KR20210105218A -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 - Google Patents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218A
KR20210105218A KR1020200019910A KR20200019910A KR20210105218A KR 20210105218 A KR20210105218 A KR 20210105218A KR 1020200019910 A KR1020200019910 A KR 1020200019910A KR 20200019910 A KR20200019910 A KR 20200019910A KR 20210105218 A KR20210105218 A KR 20210105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ver
fixing
protrusio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7019B1 (ko
Inventor
최영석
박병수
박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로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로보
Priority to KR1020200019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019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부들, 및 상기 플레이트부들에 삽입되어 상기 중첩되는 플레이트부들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커버유닛 및 삽입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플레이트부들의 개구부들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의 커버공간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들을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킨다. 상기 삽입유닛의 하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고정돌기와 상기 커버유닛의 하측연장부 사이에서 위치가 이동된다.

Description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COMBINING UNIT}
본 발명은 완구용 결합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완구나 각종 조립장치에 적용되어, 다양한 조합으로의 고정과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에 관한 것이다.
완구나 다양한 조립장치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구조나 형태를 제작하기 위한 체결유닛 또는 결합유닛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 어린이는 물론, 청소년이나 성인들에게까지도 다양한 형태의 조립장치가 교육이나 취미활동의 일환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기 체결유닛 또는 결합유닛이 사용되는 범위는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8628호에서는, 완구의 피결합체들에 형성되는 삽입구들에 삽입되어 피결합체들을 결합시키는 완구용 결합유닛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등록특허는 물론, 종래 개발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결합유닛의 경우, 사용되는 구조나 형태가 변경됨에 따라 그대로 적용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설계의 변경이 필요하게 된다.
나아가, 많은 결합유닛의 경우, 한 번 결합된 경우 재결합이 어려운 구조를 갖기도 하며, 재결합이 가능한 구조의 경우라도 반복적인 재결합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되며, 삽입 또는 해제시 상당한 정도의 외력이 요구되어 상대적으로 어린 사용자들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8628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완구나 각종 조립장치에 적용되어, 특히, 플레이트부들 사이의 결합시 다양한 조합으로의 고정과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결합유닛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부들, 및 상기 플레이트부들에 삽입되어 상기 중첩되는 플레이트부들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커버유닛 및 삽입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플레이트부들의 개구부들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의 커버공간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들을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킨다. 상기 삽입유닛의 하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고정돌기와 상기 커버유닛의 하측연장부 사이에서 위치가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저면에 연장되며, 상기 커버유닛의 상면에 접촉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지지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상기 삽입부의 끝단을 형성하는 하부, 및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 사이에 연장되며, 내측에 홈부가 형성되는 삽입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부의 하부가 상기 커버유닛의 고정돌기의 하측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들이 고정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부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커버유닛의 고정돌기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들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부들 각각은, 복수의 개구부들이 형성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들 각각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턱 및 하부턱, 및 상기 상부턱 및 상기 하부턱 사이에 연장되며, 상기 상부턱 및 상기 하부턱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상부턱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 상기 상측 연장부로부터 분기되며 연장되는 분기 연장부, 및 상기 분기 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턱에 고정되는 하측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상측 연장부와 상기 분기 연장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유닛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유닛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고정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가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하부가 상기 커버유닛의 고정돌기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가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상측 연장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유닛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 및 상기 상측 연장부와 상기 분기 연장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유닛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유닛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가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고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가 상기 커버유닛의 고정돌기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가 해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에 삽입되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서로 중첩된 플레이트부들의 개구부들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커버유닛 및 이에 삽입된 상태의 삽입유닛이, 일체로 플레이트부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유닛이 소정의 스트로크(stroke) 범위에서만 이동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플레이트부를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부들의 고정 및 해제의 동작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버유닛에 삽입된 삽입유닛은, 고정돌기와 고정홈의 사이인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이동되어 상기 플레이트부들의 고정 및 해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고정 또는 해제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고정 또는 해제의 동작의 편의성과 용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이 필요한 플레이트부들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고정유닛 및 삽입유닛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고정유닛 및 삽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 고정시와 해제시에 돌출부가 각각 위치할 수 있도록 고정홈을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플레이트부들의 고정 또는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완구용 결합유닛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2b는 도 1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완구용 결합유닛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4b는 도 3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3의 고정유닛들이 플레이트부에 고정된 완구용 결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완구용 결합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완구용 결합유닛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2b는 도 1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완구용 결합유닛(8, 도 5 참조)은 고정유닛(1) 및 플레이트부(200, 도 5 참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1)은 상기 플레이트부(200)에 삽입되어, 복수의 서로 중첩되는 플레이트부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200)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유닛(1)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즉, 상기 고정유닛(1)은 상기 플레이트부(200)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삽입유닛(2) 및 커버유닛(3)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상기 삽입유닛(2)과 상기 커버유닛(3)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구조 및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서로 분리한 것에 불과하며,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고정유닛(1)에서는, 상기 삽입유닛(2)은 상기 커버유닛(3)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스트로크(stroke) 범위에서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유닛(2)은 헤드부(10), 지지부(20) 및 삽입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10)는 상기 삽입유닛(2)의 상면을 형성하며,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드부(10)는, 후술되는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개구부가 원통형 형상을 가지므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개구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는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개구부가 원통형 형상인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헤드부(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상기 플레이트부(200)와의 결합시에,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헤드부(10)의 저면(11)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20)의 두께는 상기 헤드부(1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헤드부(10)와 마찬가지로 상기 플레이트부(200)와의 결합시에,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0)의 저면(21)은, 상기 플레이트부들(200)을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커버유닛(3)의 상부커버(50)의 상면 상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삽입부(30)는 상기 지지부(20)의 저면(21)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삽입바디(31), 상부(32), 하부(33) 및 돌출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32)는 상기 지지부(20)의 저면(21)에 접촉되는 부분이며, 상기 하부(33)는 상기 삽입부(30)의 끝단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하부(33)는 개방되지 않고 밀폐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32)와 상기 하부(33) 사이에서는 일 방향으로 상기 삽입바디(31)가 연장된다.
상기 삽입바디(31)는, 예를 들어, 사각 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삽입바디(31)의 중앙에는 상기 삽입바디(31)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홈부(34)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삽입바디(31)는 상기 커버유닛(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바디(31)에 형성되는 상기 홈부(34)에는, 후술되는 상기 커버유닛(3)의 고정돌기(65)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삽입바디(3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65) 역시, 상기 홈부(34)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홈부(3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삽입바디(31)는 하단이 상기 하부(33)에 의해 막힌 상태이므로, 상기 홈부(34) 상에서 위치하는 상기 고정돌기(65)는 상기 하부(33)의 외측으로 위치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홈부(34) 상에서 상대적으로 위치하는 상기 고정돌기(65)의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5)는 상기 삽입바디(31)의 상측, 즉 상기 상부(32)에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바디(31)에 상기 홈부(34)가 형성되지 않는 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5)는 후술되는, 상기 커버유닛(3)의 고정홈(66)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커버유닛(3) 상에 상기 삽입유닛(2)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닛(3)은 상부커버(50) 및 커버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커버(50)는 상기 커버유닛(3)의 상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60)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후술되는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개구부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50)의 상면 상에는, 상기 지지부(20)의 저면(21)이 위치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20)의 저면(21)이 상기 상부커버(50)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유닛(1)은 상기 플레이트부들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지지부(20)가 상기 상부커버(50)로부터 이격되어 상측으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고정유닛(1)은 상기 플레이트부들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60)는 상기 상부커버(50)의 저면(51)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측 연장부(61), 분기 연장부(62), 하측 연장부(63) 및 고정돌기(65)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연장부(61)는 상기 상부커버(50)의 저면(51)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분기 연장부(62)는 상기 상측 연장부(61)로부터 추가로 연장되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도록 분기되는 한 쌍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상기 커버부(60)의 길이가 짧으므로, 상기 상측 연장부(61)의 길이가 짧고, 상기 분기 연장부(62)가 상기 상부커버(50)의 저면(51)으로부터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상기 상측 연장부(61)의 길이는 상기 커버부(60)의 전체 길이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 연장부(62)가 한 쌍이 서로 이격되면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연장부(61) 및 상기 분기 연장부(62)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 연장부(62)의 내측에는 커버공간(64)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공간(64)으로는 상기 삽입유닛(2)의 삽입바디(31)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측 연장부(63)는 상기 분기 연장부(62)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기 연장부(62)의 외측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연장되며, 후술하겠으나,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개구부(220)의 하측에 고정되며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커버유닛(3)은, 상기 상부 커버(50)가 상기 상측 연장부(61) 및 상기 분기 연장부(62) 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짐에 따라 상기 개구부(220)의 상측에 고정되어 위치하게 되며, 상기 하측 연장부(63)가 상기 상측 연장부(61) 및 상기 분기 연장부(62) 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짐에 따라 상기 개구부(220)의 하측에 고정되어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커버유닛(3)은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개구부 상에 고정되어 위치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측 연장부(61)와 상기 분기 연장부(62)의 사이, 즉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고정홈(66)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66)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바디(31)에 형성되는 돌출부(35)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65)는 상기 분기 연장부(62)의 내면에 상기 커버공간(64)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돌기(6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바디(31)의 홈부(34) 상에서, 상기 홈부(3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고정유닛(1)에서, 상기 삽입유닛(2)과 상기 커버유닛(3)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도 2a 및 도 2b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삽입유닛(2)은 상기 커버유닛(3)의 내측으로 삽입된 위치에서, 소정의 스트로크 범위에서만 이동되며, 상기 커버유닛(3)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커버유닛(3)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삽입유닛(2)은 상기 삽입바디(31)의 일부가 상기 커버공간(64)의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유닛(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돌기(65)는 상기 홈부(34)에 삽입되어 위치하되, 상기 삽입바디(31)의 하부(33)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65)가 상기 홈부(34)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33)가 개방되지 않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삽입유닛(2)은 상기 커버유닛(3)의 외부로 제거되지 않으며, 상기 커버유닛(3)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삽입 상태에서, 상기 삽입유닛(2)이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즉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삽입바디(35)는 상기 커버공간(64)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삽입바디(35)의 하부(33)는 상기 분기 연장부(62)를 따라 상기 하측 연장부(63)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삽입바디(31)의 돌출부(35)는 상기 고정홈(66)에 삽입되면서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삽입유닛(2)은 상기 커버유닛(3)의 내측으로 모두 삽입되며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겠으나, 이와 같이 상기 삽입유닛(2)이 상기 커버유닛(3)의 내측으로 모두 삽입되며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들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헤드부(10)를 잡고 상부 방향으로 상기 삽입유닛(2)을 이동시키면, 상기 돌출부(35)는 상기 고정홈(66)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삽입바디(31)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33)가 밀폐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65)가 상기 하부(33)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삽입유닛(2)은 더 이상 외부로 제거되지 않게 된다.
결국, 상기 삽입유닛(2)은 상기 고정돌기(65)와 상기 하측 연장부(63)의 사이에서만, 기 설정된 범위에서 이동되며, 고정 및 해제가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완구용 결합유닛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4b는 도 3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고정유닛(4)은, 길이가 전체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고정유닛(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고정유닛(4)은 전체적으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므로, 더 많은 개수의 플레이트부들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완구용 결합유닛(8, 도 5 참조)은 고정유닛(4) 및 플레이트부(200, 도 5 참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4)은 상기 플레이트부(200)에 삽입되어, 복수의 서로 중첩되는 플레이트부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200)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고,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유닛(4)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즉, 상기 고정유닛(4)은 상기 플레이트부(200)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삽입유닛(5) 및 커버유닛(6)을 포함한다.
도 3에서는 상기 삽입유닛(5)과 상기 커버유닛(6)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구조 및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서로 분리한 것에 불과하며,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고정유닛(4)에서는, 상기 삽입유닛(5)은 상기 커버유닛(6)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스트로크(stroke) 범위에서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유닛(5) 및 상기 커버유닛(6)은, 상기 삽입부(130) 및 상기 커버부(16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유닛(5)은 헤드부(110), 지지부(120) 및 삽입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110)는 상기 삽입유닛(5)의 상면을 형성하며,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드부(110)는, 후술되는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개구부가 원통형 형상을 가지므로,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개구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는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개구부가 원통형 형상인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헤드부(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상기 플레이트부(200)와의 결합시에,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헤드부(110)의 저면(111)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120)의 두께는 상기 헤드부(11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헤드부(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플레이트부(200)와의 결합시에,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20)의 저면(121)은, 상기 플레이트부들(200)을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커버유닛(6)의 상부커버(150)의 상면 상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삽입부(130)는 상기 지지부(120)의 저면(121)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삽입바디(131), 상부(132), 하부(133) 및 돌출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132)는 상기 지지부(120)의 저면(121)에 접촉되는 부분이며, 상기 하부(133)는 상기 삽입부(130)의 끝단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하부(133)는 개방되지 않고 밀폐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132)와 상기 하부(133) 사이에서는 일 방향으로 상기 삽입바디(131)가 연장된다.
상기 삽입바디(131)는, 예를 들어, 사각 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삽입바디(131)의 중앙에는 상기 삽입바디(131)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홈부(134)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삽입바디(131)는 상기 커버유닛(6)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바디(131)에 형성되는 상기 홈부(134)에는, 후술되는 상기 커버유닛(6)의 고정돌기(165)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삽입바디(13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165) 역시, 상기 홈부(134)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홈부(13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삽입바디(131)는 하단이 상기 하부(133)에 의해 막힌 상태이므로, 상기 홈부(134) 상에서 위치하는 상기 고정돌기(165)는 상기 하부(133)의 외측으로 위치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상기 홈부(134) 상에서 상대적으로 위치하는 상기 고정돌기(165)의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5)는 상기 삽입바디(131)의 하측, 즉 상기 하부(133)에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바디(131)에 상기 홈부(134)가 형성되지 않는 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5)는 후술되는, 상기 커버유닛(6)의 고정홈들(166, 167)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상기 커버유닛(6) 상에 상기 삽입유닛(5)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닛(6)은 상부커버(150) 및 커버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커버(150)는 상기 커버유닛(6)의 상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160)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후술되는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개구부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50)의 상면 상에는, 상기 지지부(120)의 저면(121)이 위치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의 저면(121)이 상기 상부커버(150)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유닛(4)은 상기 플레이트부들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지지부(120)가 상기 상부커버(150)로부터 이격되어 상측으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고정유닛(4)은 상기 플레이트부들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160)는 상기 상부커버(150)의 저면(151)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측 연장부(161), 분기 연장부(162), 하측 연장부(163) 및 고정돌기(165)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연장부(161)는 상기 상부커버(150)의 저면(151)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분기 연장부(162)는 상기 상측 연장부(161)로부터 추가로 연장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도록 분기되는 한 쌍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상기 커버부(60)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상기 상측 연장부(161)의 길이가 길며, 상기 분기 연장부(162)의 길이가 상기 상측 연장부(161)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 연장부(162)가 한 쌍이 서로 이격되면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연장부(161) 및 상기 분기 연장부(162)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기 연장부(162)의 내측에는 커버공간(164)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공간(164)으로는 상기 삽입유닛(5)의 삽입바디(131)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측 연장부(163)는 상기 분기 연장부(162)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기 연장부(162)의 외측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연장되며, 후술하겠으나,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개구부(220)의 하측에 고정되며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커버유닛(6)은, 상기 상부 커버(150)가 상기 상측 연장부(161) 및 상기 분기 연장부(162) 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짐에 따라 상기 개구부(220)의 상측에 고정되어 위치하게 되며, 상기 하측 연장부(163)가 상기 상측 연장부(161) 및 상기 분기 연장부(162) 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가짐에 따라 상기 개구부(220)의 하측에 고정되어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커버유닛(6)은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개구부 상에 고정되어 위치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측 연장부(161)와 상기 분기 연장부(162)의 사이, 즉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1 고정홈(166) 및 제2 고정홈(167)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홈(166)이 상기 제2 고정홈(167)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 고정홈(166) 또는 상기 제2 고정홈(167)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바디(131)에 형성되는 돌출부(135)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165)는 상기 분기 연장부(162)의 내면에 상기 커버공간(164)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돌기(16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바디(131)의 홈부(134) 상에서, 상기 홈부(13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고정유닛(4)에서, 상기 삽입유닛(5)과 상기 커버유닛(6)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도 4a 및 도 4b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삽입유닛(5)은 상기 커버유닛(6)의 내측으로 삽입된 위치에서, 소정의 스트로크 범위에서만 이동되며, 상기 커버유닛(6)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커버유닛(6)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삽입유닛(5)은 상기 삽입바디(131)의 일부가 상기 커버공간(164)의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유닛(6)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돌기(165)는 상기 홈부(134)에 삽입되어 위치하되, 상기 삽입바디(131)의 하부(133)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돌출부(135)는 상기 제1 고정홈(166) 상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한다. 이는,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삽입유닛(5)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상기 삽입유닛(5)을 안정적으로 상기 커버유닛(6) 상에 고정시켜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65)가 상기 홈부(134)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135)가 상기 제1 고정홈(16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133)가 개방되지 않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삽입유닛(5)은 상기 커버유닛(6)의 외부로 제거되지 않으며, 상기 커버유닛(6)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삽입 상태에서, 상기 삽입유닛(5)이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즉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삽입바디(131)는 상기 커버공간(164)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삽입바디(131)의 하부(133)는 상기 분기 연장부(162)를 따라 상기 하측 연장부(163)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삽입바디(131)의 돌출부(135)는 상기 제2 고정홈(167)에 삽입되면서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삽입유닛(5)은 상기 커버유닛(6)의 내측으로 모두 삽입되며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겠으나, 이와 같이 상기 삽입유닛(5)이 상기 커버유닛(6)의 내측으로 모두 삽입되며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들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상기 헤드부(110)를 잡고 상부 방향으로 상기 삽입유닛(5)을 이동시키면, 상기 돌출부(135)는 상기 제2 고정홈(167)으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삽입바디(131)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133)가 밀폐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165)가 상기 하부(133)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삽입유닛(5)은 더 이상 외부로 제거되지 않게 된다.
결국, 상기 삽입유닛(5)은 상기 고정돌기(165)와 상기 하측 연장부(163)의 사이, 즉 상기 제1 고정홈(166)과 상기 제2 고정홈(167)의 사이에서만, 기 설정된 범위에서 이동되며, 고정 및 해제가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도 1 및 도 3의 고정유닛들이 플레이트부에 고정된 완구용 결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완구용 결합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유닛(8)은, 서로 적층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부들(200, 201, 202, 203)에 도 1에서의 고정유닛(1) 또는 도 3에서의 고정유닛(4)이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부들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들 각각은, 서로 동일한 형상의 개구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220)는 복수개가 기 설정된 일정한 배열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부들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부들은 소위,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 평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플레이트부들의 면적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플레이트부들의 면적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플레이트부들은, 최종 조립되는 형상인 구조를 고려하여, 소정의 면을 형성하되 다양한 형상으로, 예를 들어, 'ㄱ'자, 'ㄷ'자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부들의 형상이 모두 다르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플레이트부들에 형성되는 상기 개구부(220)의 배열, 즉 인접 개구부들 사이의 간격 및 상기 개구부들 각각의 구조 및 형상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서로 중첩되는 플레이트부들에 대하여, 상기 도 1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고정유닛들(1, 4)을 통해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들(220) 각각은, 상기 플레이트부들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면서, 소위 결합면(230)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결합면(230)은 상기 플레이트부(200)의 프레임인 베이스부(210)의 상면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는 상부턱(231), 상기 베이스부(210)의 하면으로부터 단차를 형성하는 하부턱(233), 및 상기 상부턱(231)과 상기 하부턱(233)을 서로 연결하는 접촉면(232)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턱(231) 및 상기 하부턱(233)은 서로 위치만 다를 뿐이며, 서로 대칭인 형상 및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면(232)이 형성하는 단면인 원의 반경은, 상기 상부턱(231) 또는 상기 하부턱(233)이 형성하는 단면인 원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상기 결합면(2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끝단이 넓게 형성되고 중앙의 접촉면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1에서 설명한 상기 고정유닛(1)의 경우, 상기 삽입부(3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서로 중첩되는 플레이트부들(202, 203)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부들(202, 203)의 결합을 위해서는, 우선, 내측으로 상기 삽입유닛(2)이 위치한 상기 커버유닛(3)을 상기 2개의 플레이트부들(202, 203)의 서로 일렬로 위치한 개구부들(220)에 삽입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유닛(3)의 상기 상부커버(50)는 상기 상측에 위치한 플레이트부(202)의 상부턱(231)에 위치하여 고정되며, 상기 하측 연장부(63)는 상기 하측에 위치한 플레이트부(203)의 하부턱(233)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측 연장부(61) 및 상기 분기 연장부(62)는 상기 플레이트부들(202, 203)의 접촉면(232)을 통과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분기 연장부(62)의 커버공간(64) 측으로는 상기 삽입부(30)가 위치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분기 연장부(62)는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유닛(3)은 상기 서로 적층된 플레이트부들(202, 203)의 개구부(220)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돌기(65)는 상기 홈부(34)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33)에 접촉하며 위치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삽입유닛(2)이 상기 커버유닛(3)을 향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삽입부(30)는 상기 커버공간(64)의 내측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리하여, 상기 분기 연장부(62)는 양측으로 벌어지며, 상기 하측 연장부(63)가 상기 하부턱(233)에 고정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35)는 상기 고정홈(66)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유닛(1)은 서로 중첩되는 2개의 상기 플레이트부들(202, 203)을 서로 결합시킨다.
상기 플레이트부들(202, 203)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삽입유닛(2)을 상기 커버유닛(3)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충분하고, 이에 따라, 초기 상태에서의 위치로 상기 삽입유닛(2)이 위치하게 된다.
이 후, 상기 고정유닛(1)을 상기 플레이트부들(202, 203)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에서 설명한 상기 고정유닛(4)의 경우, 상기 삽입부(13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서로 중첩되는 플레이트부들(201, 202, 203, 204)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부들(201, 202, 203, 204)의 결합을 위해서는, 우선, 내측으로 상기 삽입유닛(5)이 위치한 상기 커버유닛(6)을 상기 4개의 플레이트부들(201, 202, 203, 204)의 서로 일렬로 위치한 개구부들(220)에 삽입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유닛(6)의 상기 상부커버(150)는 상기 가장 상측에 위치한 플레이트부(200)의 상부턱(231)에 위치하여 고정되며, 상기 하측 연장부(163)는 상기 가장 하측에 위치한 플레이트부(203)의 하부턱(233)에 위치하여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측 연장부(161) 및 상기 분기 연장부(162)는 상기 플레이트부들(201, 202, 203, 204)의 접촉면(232)을 통과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분기 연장부(162)의 커버공간(164) 측으로는 상기 삽입부(130)가 위치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분기 연장부(162)는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유닛(6)은 상기 서로 적층된 플레이트부들(201, 202, 203, 204)의 개구부(220)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돌기(165)는 상기 홈부(134)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133)에 접촉하며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35)는 상기 제1 고정홈(166)에 위치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삽입유닛(5)이 상기 커버유닛(6)을 향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삽입부(130)는 상기 커버공간(164)의 내측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리하여, 상기 분기 연장부(162)는 양측으로 벌어지며, 상기 하측 연장부(163)가 상기 하부턱(233)에 고정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부(135)는 상기 제2 고정홈(167)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유닛(4)은 서로 중첩되는 4개의 상기 플레이트부들(201, 202, 203, 204)을 서로 결합시킨다.
상기 플레이트부들(201, 202, 203, 204)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삽입유닛(5)을 상기 커버유닛(6)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충분하고, 이에 따라, 초기 상태에서의 위치, 즉 상기 돌출부(135)가 상기 제1 고정홈(166)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삽입유닛(5)이 위치하게 된다.
이 후, 상기 고정유닛(4)을 상기 플레이트부들(201, 202, 203, 204)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서로 중첩되는 플레이트부들(201, 202, 203)을 서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삽입부의 길이가 다르게 설계된 고정유닛(7)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결합유닛(8)은, 상기 중첩되는, 즉 결합하여야 하는 플레이트부들의 개수에 따른 총 결합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고정유닛의 삽입부 및 커버부의 길이가 설계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커버유닛 및 이에 삽입된 상태의 삽입유닛이, 일체로 플레이트부들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유닛이 소정의 스트로크(stroke) 범위에서만 이동되도록 제어되어, 상기 플레이트부를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부들의 고정 및 해제의 동작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버유닛에 삽입된 삽입유닛은, 고정돌기와 고정홈의 사이인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이동되어 상기 플레이트부들의 고정 및 해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고정 또는 해제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고정 또는 해제의 동작의 편의성과 용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이 필요한 플레이트부들의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고정유닛 및 삽입유닛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고정유닛 및 삽입유닛이 사용되는 경우, 고정시와 해제시에 돌출부가 각각 위치할 수 있도록 고정홈을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플레이트부들의 고정 또는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4 : 고정유닛 2, 5 : 삽입유닛
3, 6 : 커버유닛 8 : 결합유닛
10, 110 : 헤드부 20, 120 : 지지부
30, 130 : 삽입부 31, 131 : 삽입바디
50, 150 : 상부커버 61, 161 : 상측 연장부
62, 162 : 분기 연장부 60, 160 : 커버부
200, 201, 202, 203 : 플레이트부
210 : 베이스부 220 : 개구부
230 : 결합면

Claims (11)

  1.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부들, 및 상기 플레이트부들에 삽입되어 상기 중첩되는 플레이트부들을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플레이트부들의 개구부들에 삽입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커버유닛의 커버공간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들을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삽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유닛의 하부는, 상기 커버유닛의 고정돌기와 상기 커버유닛의 하측연장부 사이에서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저면에 연장되며, 상기 커버유닛의 상면에 접촉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버공간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지지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상기 삽입부의 끝단을 형성하는 하부; 및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 사이에 연장되며, 내측에 홈부가 형성되는 삽입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하부가 상기 커버유닛의 고정돌기의 하측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들이 고정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부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커버유닛의 고정돌기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들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들 각각은, 복수의 개구부들이 형성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들 각각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턱 및 하부턱; 및
    상기 상부턱 및 상기 하부턱 사이에 연장되며, 상기 상부턱 및 상기 하부턱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상부턱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
    상기 상측 연장부로부터 분기되며 연장되는 분기 연장부; 및
    상기 분기 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턱에 고정되는 하측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상측 연장부와 상기 분기 연장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유닛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유닛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고정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가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하부가 상기 커버유닛의 고정돌기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상측 연장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유닛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 및
    상기 상측 연장부와 상기 분기 연장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유닛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유닛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가 고정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고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가 상기 커버유닛의 고정돌기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부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유닛은 상기 커버유닛에 삽입되어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서로 중첩된 플레이트부들의 개구부들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결합유닛.


KR1020200019910A 2020-02-18 2020-02-18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 KR102387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910A KR102387019B1 (ko) 2020-02-18 2020-02-18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910A KR102387019B1 (ko) 2020-02-18 2020-02-18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218A true KR20210105218A (ko) 2021-08-26
KR102387019B1 KR102387019B1 (ko) 2022-04-18

Family

ID=77465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910A KR102387019B1 (ko) 2020-02-18 2020-02-18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701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3137A1 (en) * 2005-11-29 2007-05-31 Michael Marzetta Construction system
KR100749540B1 (ko) * 2007-01-12 2007-08-14 (주)로보티즈 액추에이터 모듈
KR20130127093A (ko) * 2012-05-14 2013-11-22 (주)로보티즈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KR20140106242A (ko) * 2013-02-26 2014-09-03 (주)로보티즈 링크 기구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만능 결합 기구
KR101709283B1 (ko) * 2015-08-12 2017-02-23 주식회사 로보로보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KR101758628B1 (ko) 2015-08-25 2017-07-18 주식회사 로보로보 완구용 결합유닛
KR101988415B1 (ko) * 2018-01-19 2019-06-12 주식회사 헬로긱스 블록 체결 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3137A1 (en) * 2005-11-29 2007-05-31 Michael Marzetta Construction system
KR100749540B1 (ko) * 2007-01-12 2007-08-14 (주)로보티즈 액추에이터 모듈
KR20130127093A (ko) * 2012-05-14 2013-11-22 (주)로보티즈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KR20140106242A (ko) * 2013-02-26 2014-09-03 (주)로보티즈 링크 기구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만능 결합 기구
KR101709283B1 (ko) * 2015-08-12 2017-02-23 주식회사 로보로보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KR101758628B1 (ko) 2015-08-25 2017-07-18 주식회사 로보로보 완구용 결합유닛
KR101988415B1 (ko) * 2018-01-19 2019-06-12 주식회사 헬로긱스 블록 체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7019B1 (ko) 202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1706B1 (en) Umbrella runner
KR101478091B1 (ko) 링크 기구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만능 결합 기구
US6800016B2 (en) Flexible dolls and posable action figures
EP2256355A1 (en) Connector for Jungle Gym and Jungle Gym Using Same
KR970061727A (ko) 헤드가 있는 힌지 핀을 포함하는 모듈러 컨베이어 체인
US7140078B2 (en) Cord stopper
JPH02567B2 (ko)
KR102387019B1 (ko) 편의성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
US7140944B2 (en) Connecting toy
KR102451257B1 (ko) 고정력이 향상된 완구용 결합유닛
KR101162694B1 (ko) 연신으로 작동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있는 헤어 그립
US6442970B1 (en) Expandable bracelet, in particular watch strap
WO2019073275A1 (en) LINK FOR CHAIN OF SILVER, JEWELERY, SILVERWARE, FASHION JEWELERY
JP7260749B2 (ja) チェーンガイド
AU2017274074B2 (en) Bead
ES2629417T3 (es) Dispositivo para influir en el movimiento de piezas de mueble que pueden moverse relativamente una con respecto a la otra, en particular para guías para cajones así como guía para cajones con un dispositivo de este tipo
ES2962770T3 (es) Cierres de pendientes y broches mejorados
KR20180078751A (ko)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KR100760848B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JPH07313217A (ja) 紐止め具
JP4077816B2 (ja) ノイズ吸収装置
JP4593093B2 (ja) 軟質ボードへの取り付け用ピン
JP2017217125A (ja) コードロック
KR102024762B1 (ko) 링크 케이블 타이
ES2227119T3 (es) Elemento de cadena de ador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