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161A - 푸시 리벳 - Google Patents

푸시 리벳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161A
KR20120030161A KR1020127003298A KR20127003298A KR20120030161A KR 20120030161 A KR20120030161 A KR 20120030161A KR 1020127003298 A KR1020127003298 A KR 1020127003298A KR 20127003298 A KR20127003298 A KR 20127003298A KR 20120030161 A KR20120030161 A KR 20120030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t
connecting leg
pin
push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츠구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2003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피장착부재를 고정할 때, 내부에 이물이 들어가기 어려운 형상으로 성형한 푸시 리벳에 있어서,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돌출형성된 한 쌍의 다리가 선단측에서 서로 연결된 연결다리부와, 상기 연결다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로부터 당해 한 쌍의 다리 사이의 공간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이물의 진입을 방호하는 방호편과,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상기 연결다리부와의 사이에 슬릿을 형성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분할다리부와, 상기 연결다리부 및 상기 분할다리부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선단으로 감에 따라 안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을 갖는 팽출부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는 리벳본체와; 상기 플랜지부에 끼워 맞추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에 슬라이드 끼워 맞춤하는 모서리부와, 상기 각 다리부의 팽출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연결다리부를 확경하는 오목홈으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는 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시 리벳{PUSH RIVET}
본 발명은, 자갈 등의 이물(異物)이 내부에 들어가기 어렵고, 만일 이물이 들어가도, 핀을 리벳본체로부터 발거(拔去)할 때, 이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푸시 리벳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개의 피장착부재에 형성된 삽입통과구멍에, 리벳본체를 끼워넣고, 그 후, 리벳본체의 구멍에 핀을 압입하는 것에 의해, 리벳본체의 다리부(脚部)를 측방으로 펴 넓혀, 피장착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푸시 리벳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피장착부재에 종래의 푸시 리벳을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푸시 리벳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 제 평5-30260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타입의 것이 있다. 도 11에서, 푸시 리벳(41)은, 암(雌) 부재(42)와, 수(雄) 부재(43)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다. 암 부재(42)는, 패널(45, 46)에 형성된 장착구멍(47)에 삽입하는 연결다리부(412)와, 연결다리부(412)의 내부에 돌출형성된 테이퍼(taper)면을 갖는 걸림돌기(414)로 구성되어 있다. 수 부재(43)는, 연결다리부(412)에 성형되어 있는 핀 진입구멍(47)에 압입하는 축부(422)와, 축부(422)에 성형되어, 연결다리부(412)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414)가 걸리는 오목부(423)로 구성되어 있다.
푸시 리벳(41)은, 연결다리부(412)를 패널(45, 46)에 형성된 장착구멍(47)에 삽입한 후, 핀의 축부(43)를 연결다리부(412)의 내부에 압입한다. 연결다리부(412)는, 테이퍼면을 갖는 걸림돌기(414)가 연결다리부(412)를 바깥쪽으로 펴 넓히는 것에 의해, 패널(45, 46)에 결합된다.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 제 평5-302609호 공보
도 11에 기재된 푸시 리벳(41)은, 상기와 같이, 패널(45, 46)에 삽입통과시킨 암 부재(42)에 수 부재(43)를 압입하는 것에 의해, 패널(45, 46)에 장착할 수 있지만, 암 부재(42)로부터 수 부재(43)를 빼고 싶은 경우에, 자갈 등의 이물이 부착되어 있으면, 용이하게 빼낼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푸시 리벳(41)은, 펜더(fender), 타이어 하우스, 범퍼(bumper) 등의 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 하방에서부터 상방을 향해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들 장소에서 사용되는 푸시 리벳(41)은, 비바람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서, 푸시 리벳(41)에 부착한 자갈, 진흙, 수분 등이 모르타르 상태로 되어, 건조되어 부착, 혹은 간격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 이르면, 푸시 리벳(41)의 암 부재로부터 수 부재를 빼낼 수 없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분할(分割)다리부의 내부에 방호편(防護片)을 형성함으로써, 리벳본체 및 핀에 자갈 등의 이물이 진입하기 어려운 푸시 리벳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벳본체로부터 핀을 발거할 때, 부착되어 있는 자갈 등의 이물이 박리되기 쉬운 형상의 푸시 리벳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핀에 들어간 자갈 등의 이물이 배출되기 쉽고, 리벳본체의 분할다리부로부터 핀을 발거할 때, 이물이 박리되기 쉬운 구조로 된 푸시 리벳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푸시 리벳의 제1 형태는, 피장착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푸시 리벳에 있어서;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돌출형성된 한 쌍의 다리가 선단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다리부와, 상기 연결다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로부터 당해 한 쌍의 다리 사이 공간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이물 진입을 방호하는 방호편과,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상기 연결다리부와의 사이에 슬릿을 형성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분할다리부와, 상기 연결다리부 및 상기 분할다리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선단측으로 감에 따라 내측으로 밀어올리도록 경사지는 테이퍼면을 갖는 팽출부(膨出部)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는 리벳본체와; 상기 플랜지부에 끼워 맞추는 머리부(頭部)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되어 있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에 슬라이드 끼워 맞춤하는 모서리부(角部)와, 상기 각(各) 다리부의 팽출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연결다리부를 확경하는 오목홈으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는 핀;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 리벳에 있어서, 상기 방호편은, 상기 연결다리부의 내부에 팽대부(膨大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시 리벳에 있어서, 상기 방호편은, 상기 연결다리부의 내부에, 복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시 리벳에 있어서, 상기 방호편은, 상기 연결다리부에 있어서의 높이가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시 리벳에 있어서, 상기 방호편은, 연결다리부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는 탄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시 리벳에 있어서, 상기 방호편은, 상부측의 하면과, 하부측의 상면에 돌기를 형성한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시 리벳에 있어서, 상기 방호편은, 연결다리부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푸시 리벳에 의하면, 연결다리부의 내부에 방호편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리벳본체 및 핀에 자갈 등의 이물이 진입하기 어려운 구조로 했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리벳에 의하면, 연결다리부 및 분할다리부는, 선단측으로 감에 따라 내측으로 밀어올리도록 경사지는 테이퍼면을 갖는 팽출부가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핀에 성형되어 있는 오목홈과 결합하여, 연결다리부를 펴 넓히는 것에 의해, 피장착부재의 삽입통과구멍에 용이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리벳에 의하면, 핀의 축부는, 내부의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부를 발거할 때, 자갈 등의 이물이 내부에 들어 있어도, 빠지기 쉬워, 공동으로부터 배출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리벳은, 핀을 리벳본체로부터 빼낼 때, 연결다리부와 분할다리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슬릿 구조에 의해, 자갈 등이 빠지기 쉽고, 또한, 빼내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푸시 리벳에 의하면, 연결다리부의 내부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한 위치에 방호편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푸시 리벳에 있어서의 리벳본체와 핀을 결합시킬 때의 탄성력에 의한 결합강도를 소망의 단단함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인 푸시 리벳을 구성하는 리벳본체(11)를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인 푸시 리벳을 구성하는 리벳본체(11)를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리벳본체(11)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리벳본체(11)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인 푸시 리벳을 구성하는 핀(21)을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인 푸시 리벳을 구성하는 핀(21)을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핀(21)의 상면도이다.
도 8은 핀(21)의 사시도이다.
도 9는 패널(31, 32)에 끼워진 리벳본체(11)에 핀(21)을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인 푸시 리벳을 구성하는 리벳본체에 형성된 방호편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피장착부재에 종래의 푸시 리벳을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형태는 특허청구 범위에 관계되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 중에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 전부가 발명의 해결수단으로 필수라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인 푸시 리벳에 대해, 도 1부터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예의 푸시 리벳은, 예를 들면, 차의 펜더, 타이어 하우스, 범퍼 등의 피장착부재를 보디(body)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착구이며, 특히, 이들 피장착부재에 있어서의, 비바람, 혹은 진흙이나 먼지 등에 노출되는 장소에 사용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푸시 리벳은, 자갈 등의 이물이 푸시 리벳의 내부에 들어가기 어렵고, 또한, 만일 이물이 들어간 경우라도, 피장착부재로부터 빼낼 때, 당해 이물을 배출하기 쉬운 형상으로 한 것이다.
본 예의 푸시 리벳은, 리벳본체(11)(도 1 내지 도 4 참조)와, 리벳본체(11)에 압입하는 핀(21)(도 5 내지 도 8 참조)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벳본체(11)는, 피장착부재의 일례인 중첩된 패널(31, 32)에 푸시 리벳의 장착구멍으로서 형성된 관통공(33)에 끼운 후, 핀(21)을 리벳본체(11)의 삽입통과구멍(118)에 압입함으로써, 2개의 패널(31, 32)이 서로 고정된다(도 9 참조).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인 푸시 리벳을 구성하는 리벳본체(11)를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리벳본체(11)의 일부에 대해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3은 리벳본체(11)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4는 리벳본체(11)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벳본체(11)는, 플랜지부(111)와, 연결다리부(112)와, 분할다리부(113, 113')와, 팽출부(114)를 갖는다. 팽출부(114)는, 도 1 내지 도 4에 부호(114-1, 114-2, 114-3, 114-4)를 붙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벳본체(11)에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그들이 거의 같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11)의 중앙부에는, 핀(21)(도 5 내지 도 8 참조)을 압입하기 위한 삽입통과구멍(118)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다리부(112)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11)로부터 리벳본체(11)의 선단부를 향해 뻗은 한 쌍의 다리가, 당해 선단부에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연결다리부(112)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의 길이, 폭, 두께, 부푼 정도 등은, 핀(21)과 결합할 때의 스프링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연결돌부(連結突部)(112')는, 연결다리부(112)에 있어서의 리벳본체(11)의 선단부 위치에 당해 선단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다리부(112)의 선단측에는, 상기 한 쌍의 다리의 양쪽으로부터 연결다리부(112)의 내측 공간을 향해 돌출하는 방호편(119, 119')이 형성되어 있다. 방호편(119, 119')은, 핀(21)(도 5 내지 도 8 참조)의 축부(212)의 선단부를 덮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자갈 등의 이물의 침입을 방호할 뿐만 아니라, 핀(21)을 리벳본체(11)로부터 빼낼 때, 연결다리부(112)가 축경(縮徑)함으로써, 외형이 변형함과 아울러, 방호편(119, 119')도 움직이기 때문에, 딱딱한 상태로 부착한 자갈 등에 외력이 주어져, 연결다리부(112)를 빼내기 더 쉬운 상태로 만든다.
방호편(119, 119')은, 예를 들면 핀(21)의 선단부와 거의 같은 크기든지, 약간 큰 평면이다. 방호편(119)의 선단부에는, 플랜지부(111)측으로 돌출한 팽대부(120)와, 리벳본체(11)의 선단측으로 돌출한 작은 돌기(小突起)(1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방호편(119')의 선단부에는, 플랜지부(111)측으로 돌출한 작은 돌기(121')와, 리벳본체(11)의 선단측으로 돌출한 팽대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리벳본체(11)에 핀(21)을 압입했을 때, 방호편(119, 119')이 핀(21)의 선단부를 덮음과 아울러, 작은 돌기(121, 121')가 접촉함으로써, 핀(21)과 리벳본체(11) 사이에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팽대부(120, 120') 및 작은 돌기(121, 121')는, 핀(21)을 리벳본체(11)로부터 빼낼 때, 핀(21)을 리벳본체(11)로 삽입하기 전의 위치까지 탄성변형하므로, 그때 방호편(119, 119') 근방에 부착한 자갈 등의 이물이 빠진다.
또한, 본 예에서는, 방호편(119, 119')이 2개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방호편은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방호편(119, 119')은, 리벳본체(11)에 핀(21)을 압입한 경우, 후술하는 핀(21)의 축부(212)의 선단부에 의해, 리벳본체(11)의 선단측으로 밀려 올라간다. 방호편(119, 119')은, 리벳본체(11)로부터 핀(21)을 뽑아내면, 밀려 올라가 있던 상태로부터,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온다. 그리고, 이때 방호편(119, 119') 선단의 팽대부(120)와 작은 돌기(121')가 방호편(119)이나 핀(21)의 선단부에 부착해 있던 이물 등을 박리한다.
방호편(119, 119')은, 리벳본체(1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해 있으며, 서로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리벳본체(11)와 핀(21)의 끼워 맞춤을 해제하면, 방호편(119, 119')은, 탄성변형된 상태로부터 원래 상태로 돌아가고, 이때 중첩된 상태가 변하기 때문에, 부착해 있던 이물이 박리한다.
방호편(119, 119')은, 연결다리부(112)가 핀(21)에 의해 펴 넓혀지고, 또한, 핀(21)이 뽑아짐으로써 펴 넓혀진 상태로부터 원상태로 돌아올 때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탄성을 갖고 있다.
분할다리부(113, 113')는, 플랜지부(111)에 있어서의 연결다리부(112)와 다른 위치로부터 리벳본체(11)의 선단부를 향해 쌍을 이루어 뻗어 있다. 그래서 연결다리부(112)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와 분할다리부(113, 113') 사이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116, 1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연결다리부(112)를 구성하는 한 쌍의 다리 각각과 소정의 간격(슬릿(116, 116')에 상당하는 간격)을 두고 인접하도록 한 쌍의 분할다리부(113, 113')가 형성되어 있지만, 연결다리부(112)의 한 쌍의 다리 사이에 분할다리부를 복수 쌍 형성해도 좋다. 또한, 분할다리부(113, 113')는, 거의 꼭대기부(頂部)에서, 연결다리부(112)의 팽출부(114)가 같은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분할다리부(113, 113') 각각의 선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팽출부(114-1, 11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팽출부(114-1, 114-2)는, 리벳본체(11)의 선단으로 감에 따라 내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115)을 갖는다. 또한, 연결다리부(112)를 구성하는 상기 한 쌍의 다리 각각에는, 분할다리부(113, 113')의 선단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팽출부(114-3, 11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팽출부(114-3, 114-4)는, 분할다리부(113, 113')의 선단부에 형성된 팽출부(114-1, 114-2)와 마찬가지로, 리벳본체(11)의 선단으로 감에 따라 내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115)을 갖는다.
푸시 리벳을 이용하여 피장착부재를 고정할 때에는, 연결다리부(112) 및 분할다리부(113, 113')의 각각에 형성된 팽출부(114-1, 114-2, 114-3, 114-4)가 후술하는 핀(21)의 오목홈(215)과 결합함으로써, 연결다리부(112)가 펴 넓어진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인 푸시 리벳을 구성하는 핀(21)을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핀(21)의 상면도(上面圖)이며, 도 8은, 핀(21)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21)은, 머리부(211)와, 축부(212)를 갖는다. 머리부(211)는, 그 두께와 직경이, 리벳본체(11)의 플랜지부(111)에 형성된 삽입통과구멍(118)의 깊이와 구멍 지름에 대응한 크기이며, 핀(21)이 리벳본체(11)의 삽입통과구멍(118)에 압입되면, 삽입통과구멍(118)에 끼워 맞춰진다.
축부(212)는, 핀(21)의 머리부(211)로부터 핀(21)의 선단부를 향해 뻗어 있으며, 그 머리부(211)측에는, 핀(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공동부(空洞部)(214, 214')가 형성되어 있다. 공동부(214, 214')의 내부에 들어간 자갈 등의 이물은, 그 이상, 핀(21) 안쪽 부분으로 들어가지 않으며, 또한, 핀(21)을 리벳본체(11)로부터 빼낸 경우에, 공동부(214, 214') 근방에 부착한 이물이 빠지기 쉽고, 또한, 당해 이물이 공동부(214, 214')로부터 배출되기 쉽다.
또한, 축부(212)의 단면(斷面)은, 대략 정사각형의 4개의 꼭짓점(頂点) 근방에 모서리부(213-1, 213-2, 213-3, 213-4)가 배치되고, 모서리부(213-1, 213-2, 213-3, 213-4) 사이에 오목홈(215, 215')이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핀(21)이 리벳본체(11)의 삽입통과구멍(118)에 압입되면, 모서리부(213-1, 213-2, 213-3, 213-4)는, 리벳본체(11)의 슬릿(116)에 슬라이드 끼워 맞춤되어, 모서리부(213-1, 213-2, 213-3, 213-4) 사이에 오목홈(215, 215')이 성형되고 있다.
핀(21)을 리벳본체(11)에 압입하면, 축부(212)는, 리벳본체(11)의 슬릿(116), 연결다리부(112), 및 분할다리부(113, 113')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이때, 연결다리부(112) 및 분할다리부(113, 113')의 팽출부(114)는, 축부(212)의 오목홈(215, 215')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이때, 리벳본체(11)의 연결다리부(112)가 팽출부(114)를 통해 축부(212)에 의해 펴 넓혀진다.
또한, 축부(212)에는, 오목홈(215')에 있어서의 핀(21)의 선단부측으로 돌기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홈(215')의 더 선단부측에는, 오목홈(215')보다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단차부(段差部)(217')가 형성되어 있다. 핀(21)을 리벳본체(11)에 압입하면, 연결다리부(112)에 형성된 팽출부(114)는, 축부(212)의 오목홈(215')을 따라 리벳본체(11)의 선단측으로 이동한 후, 단차부(217')를 타고 넘은 후에 단차부(217')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핀(21)이 리벳본체(1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걸린다. 또한, 리벳본체(11)로부터 핀(21)을 빼낼 때에는, 연결다리부(112)에 형성된 팽출부(114)가 단차부(217')를 오목홈(215')측으로 타고 넘을 만큼의 외력을 주면 좋다.
리벳본체(11)와 핀(21)의 구조 및 형상은, 푸시 리벳이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또한, 핀(21)을 리벳본체(11)로부터 해제할 때 이물이 용이하게 빠지도록 설정된다.
도 9는, 패널(31, 32)에 끼워진 리벳본체(11)에 핀(21)을 압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리벳을 패널(31, 32)의 고정에 사용할 때에는, 패널(31, 32)에 형성된 관통구멍(33)에 리벳본체(11)를 끼우고 나서, 핀(21)을 리벳본체(11)에 압입한다. 리벳본체(11)에 핀(21)을 압입하면, 연결다리부(112)가 펴 넓혀짐으로써, 패널(31, 32)을 서로 고정할 수 있다.
분할다리부(113, 113'), 및 연결다리부(112)의 내면에는, 리벳본체(11)의 선단측으로 감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면(11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핀(21)을 리벳본체(11)의 근원(根元)측으로 빼낼 때, 분할다리부(113, 113')의 간격이 리벳본체(11)의 근원측으로 감에 따라 서서히 좁아지고 있으므로, 핀(21)의 모서리부(213-1, 213-2, 213-3, 213-4)와 슬릿(116, 116')의 간격이 서서히 커지게 되어, 자갈 등의 이물이 더 쉽게 빠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인 푸시 리벳을 구성하는 리벳본체에 형성된 방호편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리벳본체의 연결다리부(61)는, 그 내측 상부에 방호편(62)이 형성되어 있다. 방호편(62)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형(山形) 형상이며, 연결다리부(6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호편(62)의 중앙부에는, 팽대부(6210가 형성되어 있다. 팽대부(621)는, 연결돌부(611)와 함께, 리벳본체의 탄성을 결정짓는다. 방호편(62)과 연결다리부(61)는, 리벳본체에 핀을 끼워넣거나, 리벳본체로부터 핀을 빼낼 때 리벳본체가 적당히 변형하도록 탄성을 주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푸시 리벳을 구성하는 리벳본체 및 핀의 형상과 재질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출원은, 2009년 7월 31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출원(특원 2009-179223)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11…리벳본체
111…플랜지
112…연결다리부
112'…연결돌부
113, 113'…분할다리부
114…팽출부
115…테이퍼면
116…슬릿
118…삽입통과구멍
119, 119'…방호편
120, 120'…팽대부
121, 121'…작은 돌기
21…핀
211…머리부
212…축부
213…슬릿 끼움 돌부
214…공동부
215…오목홈
216…돌기부
217…단차부

Claims (7)

  1. 피장착부재를 고정할 때, 내부에 이물(異物)이 들어가기 어려운 형상으로 성형한 푸시 리벳에 있어서,
    삽입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돌출형성된 한 쌍의 다리가 선단측에서 서로 연결된 연결다리부와,
    상기 연결다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한 쌍의 다리로부터 당해 한 쌍의 다리 사이의 공간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이물의 진입을 방호하는 방호편(防護片)과,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상기 연결다리부와의 사이에 슬릿을 형성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분할다리부와,
    상기 연결다리부 및 상기 분할다리부의 내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선단으로 감에 따라 안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을 갖는 팽출부(膨出部)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는 리벳본체와;
    상기 플랜지부에 끼워 맞추는 머리부(頭部)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선단측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부에 공동(空洞)이 형성되어 있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에 슬라이드 끼워 맞춤하는 모서리부(角部)와, 상기 각(各) 다리부의 팽출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연결다리부를 확경하는 오목홈으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는 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리벳.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편은, 상기 연결다리부의 내부에 팽대부(膨大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리벳.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편은, 상기 연결다리부의 내부에, 복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리벳.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편은, 상기 연결다리부에 있어서의 높이가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리벳.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편은, 연결다리부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는 탄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리벳.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편은, 상부측의 하면과, 하부측의 상면에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리벳.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호편은, 연결다리부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리벳.
KR1020127003298A 2009-07-31 2010-07-30 푸시 리벳 KR201200301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79223A JP2011033105A (ja) 2009-07-31 2009-07-31 プッシュリベット
JPJP-P-2009-179223 2009-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161A true KR20120030161A (ko) 2012-03-27

Family

ID=4352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298A KR20120030161A (ko) 2009-07-31 2010-07-30 푸시 리벳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48371A1 (ko)
EP (1) EP2461051A4 (ko)
JP (1) JP2011033105A (ko)
KR (1) KR20120030161A (ko)
CN (1) CN101988535B (ko)
WO (1) WO20110138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7053B2 (ja) * 2010-03-03 2013-10-02 株式会社ニフコ グロメット
CN104421278B (zh) * 2013-09-04 2016-08-31 达霆精密工业有限公司 固定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2614A (en) * 1978-11-21 1982-01-26 Itw Limited Security fastener
FR2561726B1 (fr) * 1984-03-23 1987-10-09 Itw De France Piece de fixation etanche notamment pour panneaux de garnissage
JPH0280209U (ko) * 1988-12-10 1990-06-20
JP2796850B2 (ja) * 1989-08-31 1998-09-10 加藤発条株式会社 連結具
EP0450820A1 (en) * 1990-04-05 1991-10-09 P.S.M. International Plc Fastener
JPH05302609A (ja) * 1992-04-23 1993-11-16 Nifco Inc プッシュリベット
US6045309A (en) * 1998-10-14 2000-04-04 Illinois Tool Works Inc. Two-piece rivet with pre-driven configuration
FR2790046B1 (fr) * 1999-02-19 2001-05-18 Rapid Sa Dispositif de fixation de deux panneaux ou analogues forme de deux pieces cooperantes
JP3772254B2 (ja) * 2000-03-17 2006-05-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BR0010884A (pt) * 2000-03-24 2002-02-19 Antolin Grupo Ing Sa Grampo metaloplástico para fixação de tetos e acessórios de veìculo à carroceria de veìculo
GB0007489D0 (en) * 2000-03-29 2000-05-17 Mckechnie Specialist Products Improvements in clip assemblies
JP4488588B2 (ja) * 2000-05-29 2010-06-23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4093300B2 (ja) * 2002-01-17 2008-06-04 株式会社ニフコ 緩衝クリップ
JP2004278729A (ja) * 2003-03-18 2004-10-07 Piolax Inc クリップ
JP4213550B2 (ja) * 2003-09-24 2009-01-2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JP4674292B2 (ja) * 2005-07-12 2011-04-20 大和化成工業株式会社 クリップ
US8347465B2 (en) * 2006-02-17 2013-01-08 Piolax Inc. Clip
DE102006011836B3 (de) * 2006-03-15 2007-10-18 Autoliv Development Ab Befestigungs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1051A1 (en) 2012-06-06
CN101988535B (zh) 2014-12-31
EP2461051A4 (en) 2013-02-20
US20120148371A1 (en) 2012-06-14
JP2011033105A (ja) 2011-02-17
CN101988535A (zh) 2011-03-23
WO2011013804A1 (ja) 201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0588B2 (en) Quick fastening clip
JP5000226B2 (ja) クリップ
JP4943415B2 (ja) 止め具
US10131291B2 (en) Assembly-type vehicle component
KR20100004684A (ko) 케이블 트레이의 렁 조립방법
KR101738320B1 (ko) 구조적 어셈블리 및 그 어셈블리 방법
WO2010150631A1 (ja) 留め具
KR20120030161A (ko) 푸시 리벳
JP6435231B2 (ja) 留め具
KR20120024941A (ko) 푸쉬 리벳
KR101281540B1 (ko)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배수판
JP2006234035A (ja) 嵌合構造
JP2006216322A (ja) コネクタ
JP3135920U (ja) ハンドブレーキレバーのノブ構造
KR101709283B1 (ko) 체결이 간편한 완구용 결합유닛
KR101431388B1 (ko) 조립식 돔 하우스
KR101258971B1 (ko) 눌림 방지 기능을 가지는 벽체 배수판
WO2011092825A1 (ja) クリップ
CN109155511B (zh) 用于可内置的电气和/或电子装置的紧固组件
CN112343909A (zh) 扣体结构
JP5114359B2 (ja) 止め具
KR20130004300U (ko) 전자기기의 케이싱 체결 구조
JP7480108B2 (ja) ドリフトピンを使った木材の再利用方法
CN217002564U (zh) 索环及紧固件组件
KR101856253B1 (ko) 가변 프로파일 폐단면 부재의 삽입보강부재 및 그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