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253B1 - 가변 프로파일 폐단면 부재의 삽입보강부재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프로파일 폐단면 부재의 삽입보강부재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253B1
KR101856253B1 KR1020120140289A KR20120140289A KR101856253B1 KR 101856253 B1 KR101856253 B1 KR 101856253B1 KR 1020120140289 A KR1020120140289 A KR 1020120140289A KR 20120140289 A KR20120140289 A KR 20120140289A KR 101856253 B1 KR101856253 B1 KR 101856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ed end
bolt
reinforcing
insertion reinforcing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598A (ko
Inventor
이주상
김형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0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25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폐단면 부재의 삽입보강부재에 관한 것으로, 부재를 절단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부재 내부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보강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폐단면 부재(10)를 보강하기 위한 삽입보강부재(50)로서, 상기 삽입보강부재는 상기 프로파일의 가변방향과 대응하도록 상호간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부재(51)와 제2부재(52)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제1부재 내에는 내장볼트(55)가 수용되고, 상기 내장볼트의 헤드부는 제2부재에 대향하고 상기 내장볼트의 축부는 제2부재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부재에 형성된 볼트구멍(54)을 관통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삽입보강부재이다.

Description

가변 프로파일 폐단면 부재의 삽입보강부재 및 그 사용방법{A Insert-Type Member for Reinforcing a Variant Profiled Hollow Member Having Closed-Loop Shaped Cross Section and the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폐단면 부재의 삽입보강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재를 절단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부재 내부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보강부재에 관한 것이다.
범퍼 레일과 같은 하이드로/롤포밍 폐단면을 가지며, 이에 더해 폐단면의 단면의 폭 등이 변경되는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부재는, 그 부재의 형상이 가지는 한계로 인해, 부재에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변형된 부분을 보강하는 방식에 많은 제한이 있다.
도 1은 가변 프로파일 폐단면 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폐단면 부재를 절단하고 내부에 내부보강부재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 절단된 폐단면 부재를 다시 용접으로 졉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폐단면의 단면의 폭 등이 변경되는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부재(10)는 외부에서 내부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이 일어나 보강이 요구되는 부분을 절단하고 보강이 요구되는 부위의 내면으로 내부보강부재(80)를 추가한 다음, 다시 도 3과 같이 절단하였던 부분을 용접으로 접합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공수가 많고 부재를 절단하고 다시 용접하면서 용접 점수가 과다하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절단 후 용접을 하면서 변형 전 원래의 형상 그대로 돌아가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절단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단면의 내면을 보강하는 대신 폐단면의 외면을 보강하는 방식이 채택되기도 하였다. 도 4는 가변 프로파일 폐단면 부재의 외부에 보강부재를 접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10)의 외면에 외부보강부재(90)를 보강하는 방식은 외부보강부재의 부착에 따라 중량이 상승하고 원가가 늘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내부를 보강하지 못하는 만큼 외부에서 더 많이 보강을 해야 하는 한계로 인해 두께가 많이 증가하고 용접 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이렇게 외부보강부재(90)를 덧붙이는 구조는 부재(10)의 프로파일을 변경시킨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절단 작업과 용접작업이 없이 단면의 폭 등이 변경되는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페단면 부재를 간편하게 보강할 수 있는 삽입보강부재와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폐단면 부재(10)를 보강하기 위한 삽입보강부재(50)로서, 상기 삽입보강부재는 상기 프로파일의 가변방향과 대응하도록 상호간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부재(51)와 제2부재(52)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제1부재 내에는 내장볼트(55)가 수용되고, 상기 내장볼트의 헤드부는 제2부재에 대향하고 상기 내장볼트의 축부는 제2부재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부재에 형성된 볼트구멍(54)을 관통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삽입보강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더해,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형성된 파단연결구(59)를 통해 삽입보강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파단연결구(59)는 소정의 인장력 이상의 인장력이 인가될 경우 파단되어 삽입보강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나오는 삽입보강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더해, 상기 제2부재 상에는 상기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폐단면 부재의 내면과 접하는 레그(57,58)를 가지며, 상기 레그는 폐단면 부재의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볼트와 체결되는 삽입보강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더해, 상기 레그는 삽입보강부재의 진입방향에 위치하는 진입레그(57)와, 그 반대부분에 위치하는 후방레그(58)를 포함하고, 상기 진입레그에는 측방으로 트여진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삽입보강부재를 폐단면 부재 내에 삽입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폐단면 부재에서 보강이 요구되는 부분에 미리 체결되어 있는 볼트(60)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보강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더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는 연결암(53)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부재에는 상기 연결암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암(5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장공에 관통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부재에 고정되는 핀이 체결되어 있는 삽입보강부재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폐단면 부재(10)를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파일의 가변방향과 대응하도록 상호간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부재(51)와 제2부재(52)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삽입보강부재(50)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폐단면 부재의 일측 개구(12)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폐단면 부재의 타측 개구에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연결된 와이어를 잡아당겨 상기 삽입보강부재를 폐단면 부재 안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부재 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내장볼트(55)의 축부가 상기 폐단면 부재에서 보강이 요구되는 부분에 미리 형성된 홀(18)을 통해 돌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단면 부재(10)의 보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더해, 상기 와이어를 소정의 인장력 이상의 인장력이 발생하도록 잡아당겨,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형성된 파단연결구(59)를 파단시키는 폐단면 부재의 보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더해,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폐단면 부재에서 보강이 요구되는 부분에 미리 볼트(60)를 체결하고, 상기 삽입보강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2부재 상에서 상기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폐단면 부재의 내면과 접하는 레그(57,58) 상에 측방으로 트여진 가이드홈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도록 하는 폐단면 부재의 보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보강부재가 가변프로파일을 가지는 폐단면 부재의 가변 방향에 대응하여 그 폭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단 없이 폐단면 부재 내부로 이를 삽입하여 폐단면 부재의 내면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를 이용하여 폐단면 부재 깊숙한 곳까지 삽입보강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하여 보강이 완료된 후에는 와이어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보강부재에 미리 내장되어 있는 내장볼트가 보강부위에 형성된 홀을 통해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삽입보강부재가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이와 동시에 그 위치에서 홀과 볼트 구조로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삽입보강부재에 레그를 형성하여 볼트 결합을 통해 폐단면 부재와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레그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볼트의 측방에서 볼트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체결을 간단하게 하면서도 볼트가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폐단면 부재의 프로파일이 변경되지 않고, 절단과 용접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피할 수 있으며, 최소의 원가와 중량으로 변형부를 보강할 수 있다.
도 1은 가변 프로파일 폐단면 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폐단면 부재를 절단하고 내부에 내부보강부재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절단된 폐단면 부재를 다시 용접으로 졉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가변 프로파일 폐단면 부재의 외부에 보강부재를 접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보강부재가 폐단면 부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삽입보강부재는 실루엣만이 도시되어 있음),
도 7은 도 6의 B 방향에서 바라본 폐단면 부재와 삽입보강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C 방향에서 바라본 폐단면 부재와 삽입보강부재의 단면도, 그리고
도 9는 도 6의 D 방향에서 바라본 폐단면 부재와 삽입보강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프로파일이 변경되는 폐단면 부재의 절단 없이도 내부에 보강부재를 삽입하기 위해 변경되는 프로파일에 대응할 수 있는 보강부재 구조를 제안하였고, 이러한 보강부재가 폐단면 부재 내에서 쉽게 이동하고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안함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보강부재가 폐단면 부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삽입보강부재는 실루엣만이 도시되어 있음), 도 7은 도 6의 B 방향에서 바라본 폐단면 부재와 삽입보강부재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C 방향에서 바라본 폐단면 부재와 삽입보강부재의 단면도, 그리고 도 9는 도 6의 D 방향에서 바라본 폐단면 부재와 삽입보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가변프로파일을 가지는 폐단면 부재(10)의 사시도, 그리고 그 내부에 삽입보강부재(50)가 와이어(W)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간략히 나타낸 것으로, 상기 폐단면 부재(10)는 대략 사각형의 폐단면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이며, 길이방향을 따라 도면상의 중간지점에서 프로파일의 변경이 일어나 중간지점 왼쪽은 비교적 단면적이 작은 제1구간(14), 그리고 오른쪽은 제1구간(14)보다 단면적이 큰 제2구간(16)이다. 제2구간(16)은 제1구간(14)에 비해 도면 상에서 후방(화살표 D의 반대방향)으로 폭이 늘어나는 형상이다.
제1구간(14)의 단부에는 일측 개구(12)가 형성되어 있는데, 후술할 삽입보강부재(50)는 일측에 형성된 개구(12)를 통해 화살표 B 방향으로 폐단면 부재(10) 내부로 삽입되고, 와이어(W)를 도면상에서 우측으로 당김에 따라 삽입보강부재(50)가 폐단면 부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6에서 제2구간(16)의 후면에 홀(18)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홀(18)은 삽입보강부재(50)가 안착, 고정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며, 폐단면 부재(10)에서 보강이 필요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삽입보강부재(5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폐단면 부재(10)를 보강하기 위한 삽입보강부재(50)는 프로파일의 가변방향(도 6의 후방 방향 및 도 7 상에서 좌측 방향)과 대응하도록 상호간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부재(51)와 제2부재(52)를 구비한다. 제1부재(51)와 제2부재(52)는 보강 또는 강화 플라스틱이며, 제1부재(51)와 제2부재(52) 사이에는 스프링(56)이 수용되어 있어서 스프링(56)에 의해 제1부재와 제2부재(52)가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제1부재(51)와 제2부재(52) 사이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략 사각 형상의 제1부재(51)의 각 꼭짓점에 가까운 부분에서 제2부재(52)를 향해 연장 형성된 4개의 연결암(53)을 구비하고, 제2부재(52)에는 이러한 연결암(53)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암(53)은 수용부 내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며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부재(51)와 제2부재(52)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연결암(53)의 길이방향으로만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암(53)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도면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에는 장공에 관통되도록 제2부재(52)에 끼워져 고정되는 핀(도면 참조)을 구비한다. 따라서 연결암(53)은 수용부에서 장공의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슬라이드되어 삽입보강부재(50)의 신장이나 수축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면서, 핀과의 간섭에 의해 연결암(53)이 수용부에서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1부재(51)에는 연결암(53)의 슬라이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진과 후퇴가 가능하도록 내장볼트(55)가 내장되어 있다. 내장볼트(55)의 헤드부는 제2부재(52)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즉 제2부재(52)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내장볼트(55)의 축부는 헤드부로부터 제2부재(52)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 즉 제2부재(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부재(51)에 형성된 볼트구멍(54)을 관통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내장볼트(55)는 볼트구멍(54)으로 내장볼트(55)의 축부가 끼워져 빠져나가려는 방향으로 스프링(56)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스프링(56)으로 내장볼트(55)를 탄성지지하고, 내장볼트(55)의 헤드부가 결국 제1부재(51)를 밀게 되므로 제1부재(51)도 탄성지지되는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제1부재(51)와 내장볼트(55)가 반드시 이러한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6)을 공유할 필요는 없으며, 각각 탄성지지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스프링을 구비하여도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능상 무방하다.
도 7에서는 아직 폐단면 부재(10)의 보강 필요 부위까지 삽입보강부재(50)가 이동하지 아니한 상태이기 때문에 내장볼트(55)는 홀(18)과 아직 마주하고 있지 않게 되고, 이 경우 폐단면 부재(10)의 내벽에 간섭되어 더 이상 제1부재(51)로부터 돌출되어 나오지 못하는 상태이다(이는 도 8의 왼쪽에 도시된 삽입보강부재(50)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8의 좌측에 도시된 삽입보강부재(50)의 위치는 도 7에 도시된 삽입보강부재(50)의 폐단면 부재(10)에서의 위치와 동일하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W)를 잡아당겨 삽입보강부재(50)가 제1구간(14)에서 제2구간(16)으로 이동하면(도 8에 도시된 두 삽입보강부재(50) 사이 정도의 위치), 제1부재(51)는 스프링(56)으로부터 탄성을 받아 제2부재(52)로부터 더 멀어지게 되지만, 내장볼트(55)는 아직 홀(18)과 마주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1부재(51)의 볼트구멍(54)으로부터 더 돌출되어 나오지 못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W)를 더 잡아당기게 되면, 도 8의 우측에 도시된 삽입보강부재(50)와 같이, 삽입보강부재(50)에 내장되어 있으면서 아직 볼트구멍(54)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오지 못하였던 내장볼트(55)의 축부가 홀(18)과 마주하여 홀(18)을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내장볼트(55)가 홀(18) 외부로 돌출되면 홀(18)과 내장볼트(55)의 간섭으로 인해 삽입보강부재(50)가 안착되어 위치 고정되면서 삽입보강부재(50)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삽입보강부재(50)의 제2부재(52)에는 도 8의 도면상에서 우측에 진입레그(57)가 형성되고 좌측에 후방레그(58)가 형성되는데, 이들 역시 폐단면 부재(10)의 내면에 접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장볼트(55)가 홀(18)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폐단면 부재(10)의 외부에서 내부로 볼트(60)를 삽입하여 후방레그(58)에 형성된 볼트체결공에 삽입 체결되도록 하면 삽입보강부재(50)는 견고하게 폐단면 부재(10)의 내면에 고정되어 내면을 보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진입레그(57)에는 측방으로 트여진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삽입보강부재(50)를 폐단면 부재(10) 내에 삽입 이동시키는 동안 폐단면 부재(10)에서 보강이 요구되는 부분에 미리 체결되어 있는 볼트(60)가 가이드홈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미리 체결되어 있는 볼트(60)는 체결수단이었던 것과 더불어 스토퍼로서 기능하게 된다.
와이어(W)는 제2부재(52)의 일측면에 형성된 파단연결구(59)를 통해 삽입보강부재(50)에 연결된다. 파단연결구(59)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와이어(W)가 감겨 고정되며, 파단연결구(59)는 제2부재(52)와의 결합부위에서 가장 작은 단면을 가지게 되어 해당 부위가 가장 강도가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W)를 잡아당겨 삽입보강부재(50)를 이동시키는 동안에는 와이어(W)에 소정 수치보다 큰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지만, 삽입보강부재(50)가 보강 위치에 도달하여 안착된 후에는 와이어(W)를 잡아당겨도 볼트들(55,60)에 의한 체결력으로 인해 삽입보강부재(50)가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파단연결구(59)에 소정의 인장력 이상의 인장력이 인가된다. 따라서 파단연결구(59)는 제2부재(52)와의 연결부위가 파단되어 삽입보강부재(50)로부터 분리되어 나오게 된다.
그러므로 삽입보강부재(50) 안착 및 고정 후 와이어(W)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삽입보강부재(50)의 삽입 및 안착/고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와이어(W)가 폐단면 부재(10)의 일측 개구(12)로 들어가도록 하고 타측 개구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제1부재(51)와 제2부재(52)가 가까워지도록 스프링의 탄성을 이기며 삽입보강부재(50)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폐단면 부재(10)의 일측 개구(12)로 삽입보강부재(50)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폐단면 부재(10)의 타측 개구에서 제1부재(51)와 제2부재(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연결된 와이어(W)를 잡아당겨 삽입보강부재(50)를 폐단면 부재(10) 안에서 이동시켜, 제1부재(51) 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내장볼트(55)의 축부가 폐단면 부재(10)에서 보강이 요구되는 부분에 미리 형성된 홀(18)을 통해 돌출될 때까지 이동시킨다.
한편 보강이 요구되는 부분에 삽입보강부재(50)가 도달하기 전에 해당 부분에 미리 볼트(60)를 체결하기 때문에, 삽입보강부재(50)가 보강이 요구되는 위치 근방에 도달하면 진입레그(57) 상에 측방으로 트여진 가이드홈에 볼트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후방레그(58)에 볼트(60)를 체결하면 삽입보강부재(50)의 고정이 완료된다.
마지막으로 와이어(W)를 소정의 인장력 이상의 인장력이 발생하도록 잡아당겨, 제1부재(51)와 제2부재(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형성된 파단연결구(59)를 파단시키면, 와이어(W)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각 구성은 그 기능이 훼손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10: 폐단면부재 12: 일측 개구 14: 제1구간
16: 제2구간 18: 홀 50: 삽입보강부재
51: 제1부재 52: 제2부재 53: 연결암
54: 볼트구멍 55: 내장볼트 56: 스프링
57: 진입레그 58: 후방레그 59: 파단연결구
60: 볼트 80: 내부보강부재 90: 외부보강부재
W: 와이어

Claims (11)

  1.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폐단면 부재(10)를 보강하기 위한 삽입보강부재(50)로서,
    상기 삽입보강부재는 상기 프로파일의 가변방향과 대응하도록 상호간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부재(51)와 제2부재(52)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상기 제1부재 내에는 내장볼트(55)가 수용되고, 상기 내장볼트의 헤드부는 제2부재에 대향하고 상기 내장볼트의 축부는 제2부재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부재에 형성된 볼트구멍(54)을 관통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보강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형성된 파단연결구(59)를 통해 삽입보강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보강부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단연결구(59)는 소정의 인장력 이상의 인장력이 인가될 경우 파단되어 삽입보강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보강부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 상에는 상기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폐단면 부재의 내면과 접하는 레그(57,58)를 가지며, 상기 레그는 폐단면 부재의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볼트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보강부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삽입보강부재의 진입방향에 위치하는 진입레그(57)와, 그 반대부분에 위치하는 후방레그(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보강부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입레그에는 측방으로 트여진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삽입보강부재를 폐단면 부재 내에 삽입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폐단면 부재에서 보강이 요구되는 부분에 미리 체결되어 있는 볼트(60)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보강부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는 연결암(53)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부재에는 상기 연결암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보강부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암(5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장공에 관통되며 상기 다른 하나의 부재에 고정되는 핀이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보강부재.
  9.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폐단면 부재(10)를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프로파일의 가변방향과 대응하도록 상호간의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부재(51)와 제2부재(52)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삽입보강부재(50)를 압축시킨 상태에서 폐단면 부재의 일측 개구(12)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폐단면 부재의 타측 개구에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연결된 와이어를 잡아당겨 상기 삽입보강부재를 폐단면 부재 안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부재 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내장볼트(55)의 축부가 상기 폐단면 부재에서 보강이 요구되는 부분에 미리 형성된 홀(18)을 통해 돌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부재(10)의 보강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를 소정의 인장력 이상의 인장력이 발생하도록 잡아당겨,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형성된 파단연결구(59)를 파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부재의 보강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폐단면 부재에서 보강이 요구되는 부분에 미리 볼트(60)를 체결하고,
    상기 삽입보강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제2부재 상에서 상기 가변 프로파일을 가지는 폐단면 부재의 내면과 접하는 레그(57,58) 상에 측방으로 트여진 가이드홈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단면 부재의 보강 방법.
KR1020120140289A 2012-12-05 2012-12-05 가변 프로파일 폐단면 부재의 삽입보강부재 및 그 사용방법 KR101856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289A KR101856253B1 (ko) 2012-12-05 2012-12-05 가변 프로파일 폐단면 부재의 삽입보강부재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289A KR101856253B1 (ko) 2012-12-05 2012-12-05 가변 프로파일 폐단면 부재의 삽입보강부재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598A KR20140072598A (ko) 2014-06-13
KR101856253B1 true KR101856253B1 (ko) 2018-05-09

Family

ID=5112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289A KR101856253B1 (ko) 2012-12-05 2012-12-05 가변 프로파일 폐단면 부재의 삽입보강부재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2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331B1 (ko) 2000-12-20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 구조
JP2004148994A (ja) 2002-10-30 2004-05-27 Tokai Rubber Ind Ltd 車両用衝撃吸収部材
KR100466516B1 (ko) 2002-06-01 2005-01-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실 구조
JP2007315093A (ja) 2006-05-26 2007-12-06 Okumura Corp 床等の振動抑制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331B1 (ko) 2000-12-20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범퍼 구조
KR100466516B1 (ko) 2002-06-01 2005-01-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실 구조
JP2004148994A (ja) 2002-10-30 2004-05-27 Tokai Rubber Ind Ltd 車両用衝撃吸収部材
JP2007315093A (ja) 2006-05-26 2007-12-06 Okumura Corp 床等の振動抑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598A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291B1 (ko) 면도날 카트리지
JP5648756B2 (ja) 固定具、固定具抜去構造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固定装置
KR20160093058A (ko) 면도날 카트리지
US20020050551A1 (en) Article holding device
KR102068702B1 (ko) 프로파일부 벨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6253B1 (ko) 가변 프로파일 폐단면 부재의 삽입보강부재 및 그 사용방법
CN106606126B (zh) 滑轨总成及其滑轨套件
CN105936307A (zh) 框架锁
CN106308426A (zh) 遮物帘的伸缩边杆
WO2007139364A1 (en) Self closing device for a slide
KR100472062B1 (ko) 끈형상 내지는 띠형상물의 단부 커버
KR200472726Y1 (ko) 원터치 조립식 코드 록
KR20130054245A (ko) 의료용 스테이플러
KR102113637B1 (ko) 커버재 체결 클립
CN102197926B (zh) 用于滑轨总成的开启装置
KR20130073983A (ko)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JP6490636B2 (ja) 抽斗サイドウォールパーツ
KR200459087Y1 (ko) 거푸집 연결용 조인트
KR101274751B1 (ko) 차량용 휠가드 조립체
EP2921076B1 (en) Slide rail assembly
WO2017125757A1 (en) Device for connecting components of a wall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id device
JP5138450B2 (ja) 二部材組み付け構造
CA2970001A1 (en) Frame for a movable furniture part
WO2011092825A1 (ja) クリップ
KR200403203Y1 (ko) 차음 펜스용 플라스틱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