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484A - 턴버클 - Google Patents
턴버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7484A KR20120057484A KR1020110015155A KR20110015155A KR20120057484A KR 20120057484 A KR20120057484 A KR 20120057484A KR 1020110015155 A KR1020110015155 A KR 1020110015155A KR 20110015155 A KR20110015155 A KR 20110015155A KR 20120057484 A KR20120057484 A KR 201200574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rnbuckle
- screw rod
- shaft
- coupling
- bi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턴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 각각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 일영역에 조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봉의 축선방향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최소한의 공간에서 결속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작업성이 매우 편리한 턴버클이 제공된다. 또한, 결속 대상물의 형상에 상관없이 완전한 결속이 이루어지는 턴버클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최소한의 공간에서 결속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작업성이 매우 편리한 턴버클이 제공된다. 또한, 결속 대상물의 형상에 상관없이 완전한 결속이 이루어지는 턴버클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턴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최소한의 회전공간에서 결속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작업성이 매우 편리하고, 결속 대상물의 형상에 상관없이 완전한 결속이 이루어지는 턴버클에 관한 것이다.
턴버클은 로프나 와이어 등을 당겨서 조이는데 사용하는 결속기구로서, 건설현장에서의 구조물과 구조물의 결속이나 거푸집의 결속을 위한 용도와, 화물운송 분야에서 화물을 고정 결속하는 용도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종래 턴버클(10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부재(115)와, 조임부재(115)의 양측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된 한 쌍의 나사봉(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조임부재(115)는 내측에 양 나사봉(110)이 접근 및 이격되는 이동공간을 갖는 거의 사각틀 형상으로 가지고 있으며, 양 나사봉(110)은 각각 상이한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오른나사봉(111)과 왼나사봉(113)으로 마련되어 조임부재(115)의 길이방향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양 나사봉(110)의 자유단부에는 로프나 와이어(이하 '와이어(103)'로 통칭함) 등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턴버클(101)은 작업자가 조임부재(115)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양측의 나사봉(110)이 조임부재(115)의 내측방향으로 상호 접근함으로써, 결속 작용이 실행된다. 반면에, 작업자가 조임부재(115)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양측의 나사봉(110)이 조임부재(115)의 외측방향으로 상호 이격됨으로써, 결속 해제 작용이 실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턴버클(101)에 있어서는, 양측의 나사봉(110)이 조임부재(115)의 내외측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작용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조임부재(115)의 내측 공간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조임부재(115)의 외관이 폭 방향으로 비대해질 수밖에 없다.
이에 의해, 조임부재(115)의 회전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턴버클(101)을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2와 같이, 연결부(117)와 결속 대상물 사이에 스페이서(120)를 개재하여야 하는데, 별도의 스페이서(120)를 추가로 구비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현격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턴버클(101)의 결속 작업 과정에서 양 나사봉(110)의 결속 방향 이동에 따라 스페이서(120)를 이동시켜주는 작업이 수반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턴버클(101)은 나사봉(110)이 조임부재(115)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원형의 결속 대상을 결속시키고자 할 경우, 예컨데, 도 3과 같이, 각각 부분 원호 형상의 결속대상물들을 원형으로 결속하는 경우에는 결속과정에서 나사봉(110)과 조임부재(115)에 반경방향의 하중이 가해지므로 완전한 결속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원형 결속대상물(105)들이 상호 밀착되기도 전에 나사봉(110)과 조임부재(115)에 반경방향의 하중이 가해지므로 조임부재(115)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완전한 결속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한의 공간에서 결속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작업성이 매우 편리한 턴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결속 대상물의 형상에 상관없이 완전한 결속이 이루어지는 턴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턴버클에 있어서, 양측에 각각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 일영역에 조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봉의 축선방향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연결부재는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축과; 상기 양 연결축에 대해 나사봉의 축선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체는 개방측과 폐쇄측을 갖는 U자 형상을 가지며, 개방측 양 단부 영역에 상기 연결축의 양 단부 영역이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연결축의 양 단부 영역과 상기 축결합구에는 상기 연결축의 결합위치를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축결합구에 대한 상기 연결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형상맞춤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형상맞춤결합부는 연결축의 양 단부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이탈방지편과, 상기 이탈방지편에 대응하는 연결체의 축결합구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이탈방지편삽입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연결체는 개방측 양단부로부터 폐쇄측을 향해서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연결체의 폐쇄측 단부에는 와이어통과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체의 내측에는 폐쇄측 내측 공간에 대응하는 쐐기부재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체에 접하는 쐐기부재의 둘레 단부에는 와이어결속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연결체는 개방측 양단부로부터 폐쇄측을 향해서 높이가 점진적으로 축소되며, 폐쇄측 단부영역의 상단 높이는 나사봉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부재는 나사봉의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결속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연결체인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때, 연결체는 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나사봉의 축선방향에 평행한 직선 방향으로 양 연결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나사봉의 조임부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거나, 나사봉의 조임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공구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한의 공간에서 결속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작업성이 매우 편리한 턴버클이 제공된다. 또한, 결속 대상물의 형상에 상관없이 완전한 결속이 이루어지는 턴버클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턴버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래 턴버클의 사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종래 턴버클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턴버클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 5의 턴버클 사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턴버클 사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턴버클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턴버클 작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턴버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래 턴버클의 사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종래 턴버클의 다른 사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턴버클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 5의 턴버클 사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턴버클 사용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턴버클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턴버클 작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턴버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1)은 소정 길이의 나사봉(10)과, 나사봉(10)의 회전에 따라 나사봉(10)에 대해 축선방향 양측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20)를 포함한다.
나사봉(10)은 직선형상이며, 축선 방향 양측의 외주면에 각각 오른나사부(11)와 왼나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봉(10)의 오른나사부(11)와 왼나사부(13) 경계영역에는 다각형 외주면을 갖는 조임부(1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나사봉(10)은 기계가공에 의해 오른나사부(11)와 왼나사부(13) 및 조임부(15)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조임부(15)는 나사봉(1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나사봉(10)은 오른나사부(11)와 왼나사부(13) 경계영역에 마련되는 것 외에도 나사봉(10)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 측이나 양측 또는 길이방향 일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조임부(15)의 외경은 나사봉(10)의 외경에 거의 대응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턴버클(1)의 시공 작업 과정에서 조임부(15)를 회전 시킬 때, 최소한의 공간에서 회전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결속대상물(5)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 조임부(15)의 외경은 회전공간을 최소한의 공간에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전제하에서 어느 정도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20)는 나사봉(10)의 양측에 나사 결합되며 나사봉(10)의 회전에 따라서 나사봉(10)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연결축(21)과, 양 연결축(21) 각각에 결합되어 나사봉(10)의 축선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하는 한 쌍의 연결체(23)와, 양 연결체(23)의 내측에 위치하여 결속와이어(3)를 연결체(23)에 견고하게 연결시키는 한 쌍의 쐐기부재(25)를 갖는다.
양 연결축(21)은 나사봉(10)의 축선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봉(10)의 오른나사부(11)와 왼나사부(13)에 나사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양 연결축(21)의 길이방향 중앙 영역에는 나사봉(10)의 오른나사부(11)와 왼나사부(13)에 대응하게 체결되는 암나사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 연결축(21)의 길이방향 양 단부 영역에는 연결체(23)와의 상호 이탈 방지 및 결합 용이성을 구현하기 위한 결합구조로서 형상맞춤결합부(27)의 이탈방지편(27a)이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연결체(23)는 평면 투영시 개방측(23a)과 폐쇄측(23b)을 갖는 U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연결체(23)의 개방측(23a) 양 단부 영역에는 연결축(21)의 양 단부 영역이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구(23c)가 형성되어 있으며, 폐쇄측(23b) 단부 영역에는 와이어통과구(23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축결합구(23c)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연결축(21)과의 상호 이탈 방지 및 결합위치 설정에 따른 결합의 용이성을 구현하기 위한 결합구조로서 형상맞춤결합부(27)의 이탈방지편(27a)에 대응하는 이탈방지편삽입구(27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축결합구(23c)는 원형으로 형성되면서 이탈방지편삽입구(27b)가 축결합구(23c)의 반경방향 적어도 일 측에 절취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축(21)의 이탈방지편(27a)은 이에 대응하는 돌기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부품 강도 등을 고려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편삽입구(27b)가 축결합구(23c)와 함께 거의 타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연결축(21)의 이탈방지편(27a)과 연결축(21)의 단부 역시 타원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체(23)는 개방측(23a) 양단부로부터 폐쇄측(23b)을 향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갖는데, 평면 투영시 연결체(23)의 폐쇄측(23b) 영역이 거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쐐기부재(25)의 결속 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폐쇄측(23b) 영역은 평면 투영시 사다리꼴 형상 외에도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조건하에서 삼각형상 또는 반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체(23)는 개방측(23a) 양단부로부터 폐쇄측(23b)을 향해서 높이가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폐쇄측(23b) 단부영역의 상단 높이가 나사봉(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양 연결체(23)가 나사봉(10)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하는 과정에서 나사봉(10)의 길이방향 양 단부 영역이 연결체(23)에 간섭을 받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양 쐐기부재(25)는 연결체(23)의 폐쇄측(23b) 내부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연결체(23)에 접하는 둘레 단부에 와이어결속홈(25a)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결속와이어(3)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연결체(23)의 와이어통과구(23d)를 통과하여 양 쐐기부재(25)에 결속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1)의 사용 예를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때, 결속대상물(5)의 예는 복수의 부분 원호 형상 구조물을 원형으로 결속하는 원형 봉분의 둘레석을 예로 하여 그 시공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과같이, 결속될 부분 원호 형상의 각 구조물들을 원형으로 배치하고, 결속와이어(3)의 길이방향 양 단부를 쐐기부재(25)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결속홈(25a)에 결속시킨다. 이때, 와이어의 길이방향 양 단부는 양 연결체(23)의 폐쇄측(23b) 외측에서 내측으로 와이어통과구(23d)를 통과한 상태에서 양 쐐기부재(25)에 결속된다.
이 상태에서 나사봉(10)의 조임부(15)를 결속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양 연결체(23)가 나사봉(10)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상호 접근하게 된다. 이때, 쐐기부재(25)는 연결체(23)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조임부(15)를 결속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양 연결체(23)가 쐐기부재(25)를 수용한 상태로 나사봉(10)의 축선방향을 따라서 상호 접근하면서 양 쐐기부재(25)에 결속된 결속와이어(3)를 결속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도 7과 같이, 원형으로 배치된 구조물들이 견고하게 원형 상태로 유지되도록 결속시킨다.
이때, 쐐기부재(25)와 연결체(23)의 폐쇄측(23b) 내부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체(23)의 개방측(23a)으로부터 폐쇄측(23b)을 향해서 그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사다리꼴 등의 형상이기 때문에, 조임부(15)의 결속방향 측 회전에 따른 양 연결체(23)의 상호 접근 작용이 진행될수록 쐐기부재(25)가 연결체(23)의 폐쇄측(23b) 내면에 밀착되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의해, 결속와이어(3)가 연결되어 있는 쐐기부재(25)의 결속 작용이 극대화 되면서, 구조물들의 상호 결속이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체(23)가 나사봉(10)의 축선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축(2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조임부(15)의 결속방향 회전에 따른 양 연결체(23)의 상호 접근 과정에서 연결체(23)가 둘레석의 원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동하여 나사봉(10)에 반경방향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결속작업이 견고하게 완료될 때까지 조임부(15)와 나사봉(10)을 원활하게 결속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 완전한 결속 작업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결속 대상물인 구조물들의 결속상태를 해제할 때는 나사봉(10)의 조임부(15)를 결속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6과 같이, 양 연결체(23)가 나사봉(10)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면서 쐐기부재(25)에 연결되어 있는 결속와이어(3)를 느슨하게 결속 해제한다. 이에 의해, 매우 간단하게 결속대상물(5)의 결속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의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턴버클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1')은 전술한 도 4 및 도 5의 턴버클(1)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면서, 양 연결체(23)의 회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가이드부재(3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1')의 직선가이드부재(30) 및 이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턴버클(1')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전술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사용한다. 또한, 턴버클(1')의 결속 작업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직선가이드부재(30)는 나사봉(10)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길이 방향 양측이 양 연결체(23)에 대해 상호 상대적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부재(2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직선가이드부재(30)는 직선형의 봉이나 막대 형상을 가지며, 양 연결체(23)의 상호 대응하는 일 영역에는 직선가이드부재(30)가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부(31)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직선가이드부재(30)와 연결체(23)의 가이드부(31)는 상호 슬라이딩 가능한 조건하에서 다양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직선가이드부재(30)가 단순한 봉이나 막대 형상이고, 가이드부(31)는 양 연결체(23)에 형성되는 가이드공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직선가이드부재(30)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양 연결체(23)에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가이드리브를 형성하는 등의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직선가이드부재(30)는 단일의 부품으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턴버클(1')의 크기 등 여건에 따라 복수의 부품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직선가이드부재(30)는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1')을 도 9 및 도 10과 같이, 평면적 구조를 갖는 결속대상물(5)의 결속에 이용할 경우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서, 조임의 회전에 따른 나사봉(10)의 회전시 연결부재(20)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평면적 구조의 결속대상물(5)을 결속할 때, 턴버클(1')의 연결부재(20)들이 각기 다른 위치로 회전되어 있어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턴버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턴버클 작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1")은 나사봉(10)과, 나사봉(10)의 회전에 따라 나사봉(10)의 축선방향 양측으로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연결부재(20)로서 한 쌍의 연결체(23)를 갖는다.
나사봉(10)은 직선 형상이며, 축선 방향 양측의 외주면에 각각 오른나사부(11)와 왼나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봉(10)의 오른나사부(11)와 왼나사부(13)의 경계영역에는 조임부(15)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조임부(15)는 나사봉(10)의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회전공구삽입공(15a)으로 형성된다. 이때, 회전공구삽입공(15a)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는데, 각 회전공구삽입공(15a)은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공구를 어느 하나의 회전공구삽입공(15a)에 삽입한 상태에서 나사봉(10)을 회전시킬 때, 일정 각도 회전시킨 후, 더 이상 회전 시키지 못할 때, 회전공구를 빼서 다시 다른 회전공구삽입공(15a)에 삽입하여 나사봉(10)을 계속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조임부(15)는 회전공구삽입공(15a) 구조 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다각형상의 외주면으로 형성하여 스페너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봉(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양 연결체(23)는 사각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양 연결체(23)의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나사봉(10)의 오른나사부(11) 및 왼나사부(13)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연결체(23)의 외측면에는 와이어(103)의 결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결속공(23d)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와이어결속공(23d)은 복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다양한 형태의 와이어(103)의 결속방법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이들 양 연결체(2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가이드부재(30)에 의해 나사봉(10) 회전시 상호 접근 및 이격시 임의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직선가이드부재(30)는 연결체(23)의 일측에 가이드공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며, 전술한 도 8의 턴버클(1')에 마련된 직선가이드부재(30)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질 수 있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1")은 나사봉(10)에 마련되는 조임부(15)를 회전공구삽입공(15a)으로 형성하고, 연결체(23)를 사각틀 형상으로 마련함으로써, 그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턴버클(1") 제조비용 및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협소한 공간에서 턴버클(1")의 결속 및 해제 작업에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턴버클은 최소한의 공간에서 조임부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결속 및 결속 해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페이서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스페이서 역할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므로써, 매우 실용적이며, 양 연결부재가 조임부의 회전에 따라 나사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격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연결부재가 나사봉의 축선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므로 원형의 결속대상물을 결속하는 과정에서 나사봉에 반경방향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결속작업이 견고하게 완료될 때까지 조임부와 나사봉을 원활하게 결속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 완전한 결속 작업이 이루어진다.
10 : 나사봉 11 : 오른나사부
13 : 왼나사부 15 : 조임부
20 : 연결부재 21 : 연결축
23 : 연결체 25 : 쐐기부재
30 : 직선가이드부재 31 : 가이드부
13 : 왼나사부 15 : 조임부
20 : 연결부재 21 : 연결축
23 : 연결체 25 : 쐐기부재
30 : 직선가이드부재 31 : 가이드부
Claims (14)
- 턴버클에 있어서,
양측에 각각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 일영역에 조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봉의 축선방향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축과;
상기 양 연결축에 대해 나사봉의 축선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 제2항에 있어서,
연결체는 개방측과 폐쇄측을 갖는 U자 형상을 가지며, 개방측 양단부 영역에 상기 연결축의 양 단부 영역이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 제3항에 있어서,
연결축의 양 단부 영역과 연결체의 축결합구에는 상기 연결축의 결합위치를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축결합구에 대한 상기 연결축의 이탈을 방지하는 형상맞춤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 제4항에 있어서,
형상맞춤결합부는
연결축의 양 단부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이탈방지편과,
상기 이탈방지편에 대응하는 연결체의 축결합구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이탈방지편삽입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 제3항에 있어서,
연결체는 개방측 양단부로부터 폐쇄측을 향해서 폭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 제6항에 있어서,
연결체의 폐쇄측 단부에는 와이어통과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체의 내측에는 폐쇄측 내측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의 쐐기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 제7항에 있어서,
연결체에 접하는 쐐기부재의 둘레 단부에는 와이어결속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체는 개방측 양단부로부터 폐쇄측을 향해서 높이가 점진적으로 축소되며, 폐쇄측 단부영역의 상단 높이는 나사봉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나사봉의 오른나사부와 왼나사부에 각각 나사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결속공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연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 제10항에 있어서,
연결체는 틀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 제2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나사봉의 축선방향에 평행한 직선 방향으로 양 연결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나사봉의 조임부 외주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나사봉의 조임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공구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5155A KR20120057484A (ko) | 2010-11-26 | 2011-02-21 | 턴버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9054 | 2010-11-26 | ||
KR1020110015155A KR20120057484A (ko) | 2010-11-26 | 2011-02-21 | 턴버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7484A true KR20120057484A (ko) | 2012-06-05 |
Family
ID=4660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5155A KR20120057484A (ko) | 2010-11-26 | 2011-02-21 | 턴버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57484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3031A (ko) * | 2017-08-27 | 2019-03-07 | 김문영 | 와이어를 이용한 넝쿨식물 제배시설 |
KR20190023032A (ko) * | 2017-08-27 | 2019-03-07 | 김문영 | 와이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제배시설 |
KR20190023033A (ko) * | 2017-08-27 | 2019-03-07 | 김문영 | 와이어를 이용한 차양용 비닐하우스 제배시설 |
KR200496481Y1 (ko) | 2021-10-18 | 2023-02-08 | 두산에너빌리티 (주) |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 |
-
2011
- 2011-02-21 KR KR1020110015155A patent/KR20120057484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23031A (ko) * | 2017-08-27 | 2019-03-07 | 김문영 | 와이어를 이용한 넝쿨식물 제배시설 |
KR20190023032A (ko) * | 2017-08-27 | 2019-03-07 | 김문영 | 와이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제배시설 |
KR20190023033A (ko) * | 2017-08-27 | 2019-03-07 | 김문영 | 와이어를 이용한 차양용 비닐하우스 제배시설 |
KR200496481Y1 (ko) | 2021-10-18 | 2023-02-08 | 두산에너빌리티 (주) |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25201B2 (en) | Track assembly | |
KR101506736B1 (ko) | 파이프용 클램프 | |
KR101342499B1 (ko) |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 |
JP5155189B2 (ja) | 少なくとも2つのパーツを有するナット | |
KR101720515B1 (ko) | 나사형 철근 커플러 | |
KR20120057484A (ko) | 턴버클 | |
US7634874B2 (en) | Collapsible structural members | |
KR101770767B1 (ko) | 프로파일 연결 브라켓 구조 | |
US11692574B2 (en) | Fastener system | |
KR101036594B1 (ko) | 철근 커플러 | |
KR200478395Y1 (ko) | 스크류볼트 역회전 풀림방지용 샤클 | |
CN106164533A (zh) | 在两个或多个部件的需连接的两个端部之间的锁合装置 | |
TW201714713A (zh) | 鉗體結構 | |
KR101095174B1 (ko) | 유동구조물 연결용 턴버클 | |
KR102301698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커넥터 | |
KR20170003058A (ko) | 결합이 용이한 가구조립용 체결구 | |
US20170014925A1 (en) | Rethreader die | |
JP3181057U (ja) | パイプクランプ | |
CN104029139A (zh) | 螺纹钢筋专用夹具及装配方法 | |
JP2008306834A (ja) | ハンドホール用管継手、及びハンドホール設置構造 | |
KR101178518B1 (ko) | 양방향 고정금구 | |
JP5207960B2 (ja) | 配線・配管材支持具 | |
KR20190027066A (ko) |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 |
KR101193049B1 (ko) | 파이프용 클램프 | |
JP7419214B2 (ja) | ボルト軸連結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