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481Y1 -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 - Google Patents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481Y1
KR200496481Y1 KR2020210003142U KR20210003142U KR200496481Y1 KR 200496481 Y1 KR200496481 Y1 KR 200496481Y1 KR 2020210003142 U KR2020210003142 U KR 2020210003142U KR 20210003142 U KR20210003142 U KR 20210003142U KR 200496481 Y1 KR200496481 Y1 KR 200496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variable
turnbuckle
space
assembly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욱
김동진
조인걸
Original Assignee
두산에너빌리티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에너빌리티 (주) filed Critical 두산에너빌리티 (주)
Priority to KR2020210003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홈 및 가변공간이 이격되게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고정홈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지는 고정축과, 상기 가변공간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지는 가변축을 포함하는 축부 및 일단이 상기 가변공간에 끼워진 상기 가변축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가변공간 외부로 노출되는 스크류축과, 노출된 상기 스크류축의 단부에 결합된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변축을 상기 가변공간에서 상기 스크류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축과 상기 가변축의 간격을 가변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TURN BUCKLE COUPLING ASSEMBLY JIG}
본 고안은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턴버클의 길이를 동일한 길이로 조립할 수 있게하여 길이의 오차로 인해 제품 운전시 유동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턴버클은 구조물이나 건축물 또는 해상구조물들의 중간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를 당기거나 늦출 때 사용하는 연결부품이다.
예를 들면, 턴버클은건설현장에서의 구조물과 구조물의 결속이나 거푸집의 결속을 위한 용도와, 화물운송 분야에서 화물을 고정 결속하는 용도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 턴버클은 양측에 암나사의 한 형태로서 플랜지 너트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플랜지 너트에 서로 다른 방향의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체결된 타이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타이바는 그 외측 단부에 연결케이블 또는 구조물이 직접 결속된다.
이와 같이, 턴버클은 서로 다른 방향의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체결된 타이바 사이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짐으로써, 구조물과 구조물, 건축물과 건축물 및 해상구조물과 해상구조물 사이 간격을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각 스테이지별로 구조물과 구조물의 개별 거리를 측정하여 수작업을 통해 조립을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 턴버클의 길이 오차가 발생하여 제품 운전시 유동 흐름에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57484호(2012.06.05)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턴버클의 길이를 동일한 길이로 조립할 수 있게 하여 길이의 오차로 인해 제품 운전시 유동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1 측면에 따른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는 고정홈 및 가변공간이 이격되게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고정홈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지는 고정축과, 상기 가변공간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지는 가변축을 포함하는 축부 및 일단이 상기 가변공간에 끼워진 상기 가변축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가변공간 외부로 노출되는 스크류축과, 노출된 상기 스크류축의 단부에 결합된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변축을 상기 가변공간에서 상기 스크류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축과 상기 가변축의 간격을 가변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는 제1 삽입공과, 상기 가변축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변축이 관통하는 제2 삽입공이 구비된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축 및 상기 가변축 둘레에는 상기 축들에 끼워진 턴버클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고정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커버 각각의 측면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축 또는 상기 가변축의 측면에 접촉하여 접촉된 축을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공간의 내벽과 상기 가변축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변축을 일 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수 암모니아나 암모니아수에 비해 인체에 무해하고 폭발 위험성이 낮은 질소산화물 환원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조립 지그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 지그 축부의 사이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조립 지그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조립 지그는 턴버클(1)의 길이를 동일한 길이로 조립할 수 있게하여 길이의 오차로 인해 제품 운전시 유동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립 지그는 베이스부(100), 축부(210, 220), 간격 조절부(3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축부(210, 22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축부(210, 220)가 끼워지는 방향(예를 들면, 도면상 상부 방향)이 개방된 고정홈(110) 및 가변공간(120)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참고로, 가변공간(120)은 가변축(220)이 끼워지는 방향(121)과 스크류축(310)이 끼위지는 방향(122)이 개방된다.
고정홈(110)은 축부(210, 220) 중 고정축(210)의 일부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고정축(21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가변공간(120)은 가변축(220)이 끼워져서 고정되는 공간으로서 가변축(220)이 소정 간격으로 이동될 수 있는 크기(또는 직경)로 형성된다. 가변공간(120)에는 가변축(220)의 일부 및 스크류축(310)의 일부가 삽입된다. 가변공간(120)은 가변축(220)이 끼워지는 방향(121) 및 스크류축(310)이 끼워지는 방향(122)이 개방된다.
축부(210, 220)는 상호 이격된 고정축(210) 및 가변축(220)을 포함한다. 고정축(210) 및 가변축(220)의 이격 거리는 턴버클(1)의 조립 길이를 결정한다.
고정축(210)은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일부가 베이스부(100)의 고정홈(110)에 끼워진다. 고정축(210)의 직경은 고정홈(1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고정축(210)의 다른쪽 단부는 턴버클(1)의 수용홈(4)에 끼워진다. 고정축(210)의 턴버클(1)의 수용홈(4)에 끼워지는 부위는 턴버클(1)의 수용홈(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축(210)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원형이 아닌 다각의 단면을 가져도 무방하다.
가변축(220)은 고정축(210)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일부가 고정축(210)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베이스부(100)의 가변공간(120)에 끼워진다. 가변축(220)은 가변공간(120)에서 고정축(210)을 향해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가변축(220)의 이동량에 따라 가변축(220)과 고정축(210)과의 이격 간격이 달라지고, 그 이격 간격은 턴버클(1)의 조립 길이를 결정한다.
가변축(220)의 하부 즉, 가변공간(120)의 내부에 위치된 일부에는 가변축(2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타공된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관통홀(22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스크류축(310)이 삽입된다.
가변축(220)의 다른쪽 단부에는 턴버클(1)의 수용홈(4)이 끼워진다. 가변축(220)의 턴버클(1)의 수용홈(4)에 끼워지는 부위(즉, 단부)는 턴버클(1)의 수용홈(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가변축(220)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원형이 아닌 다각의 단면을 가져도 무방하다.
베이스부(100)의 상부에는 커버플레이트(130)가 형성된다. 커버플레이트(130)는 고정축(210) 및 가변축(220)을 고정시키고, 가변공간(120)의 개방된 공간 중 가변축(220)이 끼워지는 부위(121)를 밀폐시킨다.
커버플레이트(130)에는 제1 삽입공(131) 및 제2 삽입공(132)이 형성된다.
제1 삽입공(131)은 베이스부(100)의 고정홈(11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고정축(21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고정축(210)은 제1 삽입공(131)을 관통한 뒤 고정홈(110)에 끼워진다.
제2 삽입공(132)은 베이스부(100)의 가변공간(120)에서 가변축(220)이 끼워지는 부위(121)에 형성되고, 가변축(220)이 끼워지는 부위(121)의 개방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되, 가변축(220)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가변축(220)은 제2 삽입공(132)을 관통한 뒤 가변공간(120)에 끼워진다.
예컨대, 제2 삽입공(132)은 가변축(220)이 이동할 수 있는 간격을 제공하며, 가변축(220)은 제2 삽입공(1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 삽입공(132)의 여유 간격(즉, 제2 삽입공의 직경에서 가변축의 직경을 제외한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가변공간(120)에 끼워진 가변축(220)의 일부는 커버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제2 삽입공(13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가변공간(120)에 끼워진 가변축(220)이 커버플레이트(130)의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축(210) 및 가변축(220)이 고정홈(110) 및 가변공간(1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커버플레이트(130)의 외부로 노출된 고정축(210) 및 가변축(220)의 둘레에는 고정커버(2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커버(250)는 고정축(210) 및 가변축(220)이 턴버클(1)의 수용홈(4)에 끼워진 상태에서 턴버클(1)이 베이스부(100)를 향해 하향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즉, 턴버클(1)의 일부는 고정커버(250)에 간섭되어 베이스부(100)를 향해 이동하지 못한다.
고정커버(250)는 측면을 관통하는 고정핀(251)에 의해 고정축(210) 및 가변축(220)에 고정된다.
간격 조절부(300)는 가변축(220)을 가변공간(120)에서 이동시켜 고정축(210)과 가변축(220)의 이격 간격을 조절한다.
간격 조절부(300)는 스크류축(310)과 노브(320)를 포함한다.
스크류축(310)은 베이스부(100) 가변공간(120)의 개방된 부위 중 가변축(22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위(122)에서 가변공간(120)으로 끼워지는 삽입 방향을 갖는다.
스크류축(31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스크류축(310)은 가변축(220)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가변축(220)의 관통홀(221)의 나사산에 맞물리게 끼워진다. 스크류축(310)과 가변축(220)은 나사산에 의해 맞물리기 때문에 스크류축(310)이 회전하면 가변축(220)은 스크류축(3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노브(320)는 베이스부(100)의 가변공간(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스크류축(310) 단부에 결합된다. 노브(320)는 핸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을 통해 스크류축(310)을 회전시킨다.
간격 조절부(300)는 브라켓(340) 및 스프링(330)을 더 포함한다.
브라켓(340)은 가변공간(120)에서 스크류축(310)이 끼워지는 부위(122)을 밀폐시킨다. 스크류축(310)은 브라켓(340)을 관통하여 가변공간(1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스프링(330)은 가변축(220)과 브라켓(340) 사이에 배치되고, 가변축(220)을 브라켓(340)의 반대방향으로 가압한다. 스프링(330)은 가변축(220)을 소정의 힘으로 압박하여 가변축(22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간격 조절부(3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노브(320)가 회전하면 스크류축(310)이 회전하고 가변축(220)은 스크류축(3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변축(220)은 제2 삽입공(1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 삽입공(132)의 여유 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다. 턴버클(1)은 좌나사(2) 또는 우나사(3)를 회전시켜 고정축(210)과 가변축(220)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로 조립한다(도 3 참조).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베이스부
110: 고정홈
120: 가변공간
210: 고정축
220: 가변축
310: 스크류축
320: 노브

Claims (5)

  1. 고정홈 및 가변공간이 이격되게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고정홈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지는 고정축과, 상기 가변공간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지는 가변축을 포함하는 축부; 및
    일단이 상기 가변공간에 끼워진 상기 가변축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가변공간 외부로 노출되는 스크류축과, 노출된 상기 스크류축의 단부에 결합된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변축을 상기 가변공간에서 상기 스크류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축과 상기 가변축의 간격을 가변하는 간격 조절부
    를 포함하는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는 제1 삽입공과, 상기 가변축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변축이 관통하는 제2 삽입공이 구비된 커버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 및 상기 가변축 둘레에는 상기 축들에 끼워진 턴버클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고정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커버 각각의 측면을 관통하고 상기 고정축 또는 상기 가변축의 측면에 접촉하여 접촉된 축을 고정시키는 고정핀
    을 더 포함하는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공간의 내벽과 상기 가변축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변축을 일 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
KR2020210003142U 2021-10-18 2021-10-18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 KR2004964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142U KR200496481Y1 (ko) 2021-10-18 2021-10-18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142U KR200496481Y1 (ko) 2021-10-18 2021-10-18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481Y1 true KR200496481Y1 (ko) 2023-02-08

Family

ID=8520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142U KR200496481Y1 (ko) 2021-10-18 2021-10-18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48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381B1 (ko) * 1995-08-30 1997-11-15 김태구 버스의 중앙통로 간격조절용 지그
KR19990019905A (ko) * 1997-08-30 1999-03-25 양재신 턴버클이 적용된 버스의 캐스터 각 조정구조
KR20120057484A (ko) 2010-11-26 2012-06-05 송진혁 턴버클
KR102253186B1 (ko) * 2020-01-13 2021-05-14 권대일 차량용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381B1 (ko) * 1995-08-30 1997-11-15 김태구 버스의 중앙통로 간격조절용 지그
KR19990019905A (ko) * 1997-08-30 1999-03-25 양재신 턴버클이 적용된 버스의 캐스터 각 조정구조
KR20120057484A (ko) 2010-11-26 2012-06-05 송진혁 턴버클
KR102253186B1 (ko) * 2020-01-13 2021-05-14 권대일 차량용 타이어 펑크 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0493B1 (de) Befestigungssystem für kabel, insbesondere bei windkraftanlagen
US11448253B2 (en) Positive locking fastener
US20130071179A1 (en) Fasten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Mounting Rail
WO2017148699A1 (de) Profilschelle
WO2017149104A1 (de) Vorpositionierer für eine profilschelle und verbindungsanordnung mit einem derartigen vorpositionierer
KR200496481Y1 (ko) 턴버클 커플링 조립 지그
EP4251504A1 (de) Antriebsanordnung
EP3218628B1 (de) Befestigungsvorrichtung
DE112005002788T5 (de) Installationswellenanordnung
DE102015216613B4 (de) Spannvorrichtung mit einem Transportsicherungskonzept
WO2014008892A1 (de) Rohrschelle
EP3430301B1 (de) Schlauchschelle
EP1905545B1 (de) Federspanner für Schraubenfedern
DE19961287A1 (de) Verbindungsvorrichtung zum Verbinden zweier koaxial zueinander angeordneter Elemente
DE102008003984A1 (de) Rohrventilator
DE19743873A1 (de) Befestigung für eine vormontierte Baueinheit
DE102007038737B4 (de) Bodenplatte für eine Sensorbaugruppe, Trägerkörper zur Befestigung der Sensorbaugruppe, Sensorbaugruppe und Befestigungssystem
DE102005042428B4 (de) Schelle zum Fixieren eines Rohres oder eines Kabels
EP3658788B1 (de) Befestiger für eine befestigung an einer montageschiene
DE102010046193A1 (de) Konsole für einen Heizkörper
WO2008025444A1 (de) Vorhanggassack-modul
DE102010061392A1 (de) Montageanordnung für einen Türbetätiger zur verbindungsmittellosen Montage auf einer Montageplatte
KR102093701B1 (ko) 와이어링 간격유지 장치
EP2899442B1 (de) Vorrichtung zur Vorpositionierung einer Schlauchschelle auf einem Faltenschlauch
DE19621665C2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r Bildröh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