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337B1 -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도어 모듈 및 차량용 도어 - Google Patents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도어 모듈 및 차량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337B1
KR101341337B1 KR1020087013428A KR20087013428A KR101341337B1 KR 101341337 B1 KR101341337 B1 KR 101341337B1 KR 1020087013428 A KR1020087013428 A KR 1020087013428A KR 20087013428 A KR20087013428 A KR 20087013428A KR 101341337 B1 KR101341337 B1 KR 101341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ositioning means
drive member
trolley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0297A (ko
Inventor
클라우스 만골드
카스텐 휴게
프랑크 뵈커
마르코 헤르만
엔리코 슈리바
Original Assignee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08008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05F11/385Fixing of window glass to the carrier of the operat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38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two cable connections to the window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05Y2201/642Trackless 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6Positioning, e.g. re-positioning, or pre-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9Permanence of use
    • E05Y2800/692Temporary use, e.g. removable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4Specific positions
    • E05Y2800/742Specific positions abnorm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 창유리(106)를 위한 구동부재(104),
- 내측 도어 패널(102),
- 창유리(106)의 설치를 위해 설치 위치 내에서 내측 도어 패널(102)에 대해 구동부재(104)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 수단(118, 120, 122, 124, 125, 126, 128, 130, 134, 136, 138, 140, 146, 148, 152, 154, 156)을 구비하고,
위치설정 수단은 제1의 위치 및 제2의 위치를 취할 수 있고, 위치설정 수단은 제1의 위치에서 설치 위치를 형성하고, 위치설정 수단은 제2의 위치에서 설치된 창유리의 개폐를 위해 구동부재의 운동을 해제한다.
차량, 윈도우, 승강, 창유리, 위치설정

Description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도어 모듈 및 차량용 도어 {Railless window winder arrangement, door module and motor vehicle door}
본 발명은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상기 윈도우 와인더 장치를 구비한 도어 모듈 및 차량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발점은 DE 10 2004 017 645 A1에 공지된 윈도우 승강 장치로서, 이 공개특허의 내용은 참조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에 도입되었다. 창유리의 설치를 단순화하기 위한 구동부재의 위치설정 및 고정을 위한 장치는 상기 공개특허에 의해 공지되었다. 상기 공개특허의 실시예에는 2개의 지지 브라켓(프리즘)을 이용하여 구동부재의 위치를 설정하고 고정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지지 브라켓은 벽부분(예, 내측 도어 패널) 상에서 일체로 주조 성형되고, 구동부재를 위한 하측 스토퍼로서 사용된다.
독일 특허공개 DE 10 2004 017 645 A1에 개시된 형식의 구동부재를 위한 캠 체인 가이드(가이드 레일)이 없이 작동하는 소위 트랙리스 윈도우 승강장치가 DE 102 55 461 A1 및 DE 10 2005 037 324(이 출원은 본 특허의 출원시에 미공개 상태임)에도 개시되어 있다.
스냅 결합에 의해 윈도우 승강장치의 구동부재에 창유리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는 DE 195 05 624 C2에 의해 공지되었다.
윈도우 승강장치의 다양한 부재를 위한 지지체로서 사용되는 내측 도어 패널은 DE 202 18 678 U1에 의해 공지되었다. 이 내측 도어 패널은 도어의 내측으로부터 윈도우 승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기초를 형성하는 과제는 개량된 윈도우 와인더 장치, 상기 윈도우 승강장치를 구비한 개량된 도어 모듈 및 차량용 도어, 창유리 글래스 드랍(glass drop)이 큰 창유리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상기 윈도우 와인더 장치의 설치방법을 창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과제들은 각각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유리 구동부재를 구비한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가 창안된다. 이 윈도우 와인더 장치는 내측 도어 패널 및 상기 구동부재를 창유리 설치위치에 위치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제1의 위치 및 제2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제1의 위치에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설치 위치를 형성하고, 제2의 위치에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설치된 창유리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부재의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설정 수단의 구조는 DE 10 2004 017 645 A1와 마찬가지로 그 위치설정 수단이 창유리의 최대 개방을 동시에 규정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오히려, 위치설정 수단은 원칙적으로 구동부재의 횡방향 경로를 따라 소망하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창유리가 도어 내에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매몰될 수 있는 윈도우 와인더 장치의 설치를 위해 특히 유리하다. 차량 도어 내에 창유리의 강하율(degree of lowerability)은 또한 글래스 드랍(glass drop)이라고도 하는데, 글래스 드랍이 100%라 함은 창유리가 완전히 하강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완전히 강하할 수 있거나 거의 완전히 강하할 수 있는 창유리의 경우, 이 창유리는 그 완전 개방된 위치에서 상측 도어 브리스트(breast)의 상부로 전혀 돌출하지 않거나 거의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의 설치가 더욱 곤란해진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설치 위치에서 글래스 드랍이 큰 창유리, 특히 글래스 드랍이 100%인 창유리인 경우에도 창유리가 상측 도어 브리스트의 상부로 돌출하도록 위치설정 수단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위치에서 상측 도어 브리스트의 상부로 돌출하는 창유리의 부분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상당히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치설정 수단은 내측 도어 패널의 중간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치설정 수단은 내측 도어 패널 상에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부재를 제1의 위치에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위치설정 수단은 회전 운동이 가능하므로 제1의 위치 및 제2의 위치 사이에서 위치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또한 창유리가 설치된 후 내측 도어 패널로부터 완전이 분리되거나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내측 도어 패널 상에 장착되는 대신 회전이 가능하게, 이동이 가능하게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구동부재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창유리의 설치 후 제2의 위치에 재설정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위치설정 수단을 제2의 위치에 체결하기 위한 클램핑 부재를 채택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위치설정 수단은 설치 후 제2의 위치에 고정 유지되므로, 창유리의 개폐시 구동부재의 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치설정 수단은 구동부재와 창유리 사이의 래치 또는 스냅 결합을 위해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도록 설계된다. 만일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지 않으면, 윈도우 승강장치가 케이블 견인식 윈도우 승강장치로서 설계된 경우, 운반 로프(hauling rope)와 같은 구동부재가 창유리의 설치 이전에 구동부재에 부착된다. 이 경우, 운반 로프는 래치 결합을 위해 창유리를 구동부재에 가압하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도어 모듈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와인더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구동부재용 가이드 레일이 생략되고, 예를 들면 거의 100%의 비교적 큰 글래스 드랍을 구비한 윈도우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윈도우 와인더 장치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시, 먼저 위치설정 수단을 제1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구동부재의 위치를 설정한다. 구동부재와 창유리가 예를 들면 래치 또는 스냅 결합에 의해 결합된 후, 위치설정 수단은 제2의 위치로 이동되고, 여기 설치된 창유리의 개폐를 위한 구동부재의 운동이 자유롭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의 일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재를 위한 위치설정 수단의 측단면도,
도 3은 내측 도어 패널 상에 피봇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설정 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위치설정 수단이 제1의 위치에 있을 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의 위치에 있는 위치설정 수단의 일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의 위치에 있는 위치설정 수단의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위치설정 수단이 제2의 위치에 있을 때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의 위치 및 제2의 위치에 있는 위치설정 수단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실시예의 위치설정 수단이 제2의 위치에 있을 때의 내측 도어 패널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설정 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실시예의 죠우(jaw) 형태의 위치설정 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된 위치설정 수단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설명에서, 상호 대응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서 설명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윈도우 와인더 장치는 이해의 편의상 윈도우 승강 장치로 기재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내측 도어 패널(102)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100)을 도시한 것이다. 내측 도어 패널(102)은 예를 들면 윈도우 승강 장치의 다양한 구동 부재를 위한 지지체로서 사용된다. 동시에, 내측 도어 패널은 차량용 도어(100)의 습한 부분과 건조 부분 사이의 격벽으로도 사용된다.
윈도우 승강 장치는 창유리(106)에 연결되는 구동부재(104)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위치설정 수단은 내측 도어 패널(102) 및/또는 구동부재(104) 상에 배치된다. 위치설정 수단은 창유리(106)와 구동부재(104)를 결합하는 설치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1의 위치 및 설치된 창유리를 개폐하기 위해 구동부재의 횡단 경로를 따라 상기 구동부재의 운동이 해제되는 제2의 위치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윈도우 승강 장치의 실시예에서 구동부재(104)가 내측 도어 패널(102)의 대략 중간에 위치되는 설치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구동부재(104)가 설치위치에 위치되면, 창유리(106)는 점선으로 표시된 상측의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표시된 설치위치로 이동된다. 이 설치위치에서, 예를 들면 외력 F가 창유리(106)의 상단부(108) 상에 가해지고, 이것에 의해 구동부재(104)와 창유리(106)가 스냅 결합하게 됨으로써 창유리(106)는 구동부재(104)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창유리(106)는 그 하단부에 구동부재(104)와 스냅 결합하기 위한 개구(107)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이점은 설치위치에서 창유리(106)의 영역(110)이 차량의 도어(100)의 상측 도어 브리스트(112)의 상측으로 돌출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창유리(106)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특히 외력 F의 개시가 용이해진다.
창유리(106) 및 구동부재(104)의 연결의 전후에, 구동부재(104)는 윈도우 승강장치의 구동부재에 연결된다. 이 구동부재는 예를 들면 윈도우 승강장치의 구동 드럼(driving drum; 116)을 경유하여 안내되는 케이블(114)에 연결된다. 구동부재(104)와 창유리(106) 사이의 스냅 결합을 위해 가해지는 외력 F는 위치설정 수단 및/또는 케이블(114)에 의해 흡수된다.
도 1의 윈도우 승강장치는 창유리의 글래스 드랍이 100% 또는 거의 100%인 비교적 큰 창유리 글래스 드랍을 가지는 실시예에 관련된다. 이것은 설치 후의 창유리(106)가 윈도우 승강장치의 작동에 의해 상측 도어 브리스트(112)의 하측으로 완전히 이동되거나 또는 하측으로 거의 완전히 이동될 수 있고, 그 결과 창유리(106)의 영역(110)도 상측 도어 브리스트(112)의 아래쪽으로 완전히 사라지게 됨을 의미한다.
도 2는 위치설정 수단(118)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위치설정 수단(118)는 아암 형상의 위치설정 부재(120)를 구비한다. 이 위치설정 부재는 도 2에 도시된 제1의 위치에서 구동부재(104)의 스토퍼 영역(122)에서 스토퍼를 형성한다. 이 스토퍼는 구동부재(104)의 설치위치를 결정한다.
위치설정 부재(120)는 내측 도어 패널(102) 상에서 축(124)을 중심으로 피봇 축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측 도어 패널(102) 상에 베어링(126)이 설치되어 있다. 위치설정 부재(120)의 축회전 위치는 그 제1의 위치에서 위치설정 부재(120) 및 베어링(126) 사이에 형성된 스토퍼(128)에 의해 결정된다.
위치설정 수단(118)은 전진 스프링(advance spring)과 같은 탄성부재(130)를 구비한다. 이 탄성부재는 위치설정 부재(120)를 도 2에 도시된 제1의 위치로부터 설치된 창유리(106)를 개폐시키기 위한 횡단경로(132)를 따라 구동부재(104)의 이동이 해제되는 제2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탄성부재(130)은 래치 결합 후크(134)에 의해 유지된다. 내측 도어 패널(102) 내에 형성된 설치용 개구(136)는 특히 수리 보수 작업에 유용하다.
도 3은 위치설정 수단(118)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위치설정 부재(120)가 제1의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위치설정 수단(118)이 배치된 내측 도어 패널(102)의 중간부위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30)는 설치용 개구(136)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구조로 내측 도어 패널(102) 상에 배치된 스냅 결합 후크(134)가 수용되는 슬롯(138)을 구비한다.
도 3은 스냅 결합 후크(134)가 슬롯(138) 내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위치설정 수단(118)을 도시한 것이다. 스냅 결합 후크(124)가 슬롯(138) 내에 결합되면, 탄성부재(130)는 위치설정 수단(118)을 제2의 위치에 유지한다. 이 경우, 위치설정 수단(118) 상에는 복귀력이 작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수단(118)의 제1의 위치에서, 위치설정 수단(118) 및 베어링(126) 사이에 제1의 위치에서의 회전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128)가 형성된다. 축(124)으로부터 이격된 각 위치설정 부재(120)의 단부에는 안내 핀(140)이 구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핀(140)은 구동부재(104)를 설치 위치 내에 고정하기 위해 구동부재(104)의 각 요부 내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재(104)는 한 쌍의 팽창이 가능한 탄성 플랜지(142)를 구비하고, 이 탄성 플랜지는 창유리(106)의 각 개구(107) 내에 결합하기 위한 후크 형상 또는 펙(peg) 형상의 스냅 결합 부재(144)를 구비한다(도 1 및 도 2 참조).
따라서, 구동부재(104)는 위치설정 수단(118)에 의해 설치위치 내에 고정된다. 이 위치에서, 창유리는 양 플랜지(142) 사이에서 상방으로부터 가압되고, 그 결과 스냅 결합 부재(144)는 개구(107) 내에 결합한다(도 1 참조).
창유리(106)를 설치하기 위해(도 1 참조), 스냅 결합 후크(134)는 먼저 슬롯(138) 내에 결합되어 위치설정 수단(118)을 제2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 위치설정 부재(120)는 손을 이용하여 탄성부재(130)의 복귀력에 대항하여 도 4에 도시된 제1의 위치(예, 설치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제1의 위치에서, 스토퍼(128)가 형성된다.
창유리(106) 및 케이블(114)가 설치된 후(도 1 참조), 구동부재(104)는 윈도우 승강장치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고, 그 결과 안내 핀(140)은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재(104)는 예를 들면 창유리(106)의 개방 방향으로 하강 이동한다. 탄성부재(130)의 복귀력에 의해(도 2 및 도 3 참조) 위치설정 부재(120)는 최초 위치, 예를 들면 제2의 위치로 축회전하여 복귀되고, 그 결과 구동부재(104)의 횡단방향의 경로(132) 는 완전히 해제된다.
창유리의 교체시, 위치설정 부재(120)는 설치용 개구(136)를 통해 손을 이용하여 제2의 위치로부터 제1의 위치로 이동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 수리공은 설치용 개구(136)를 통해 스크류드라이버를 넣어서 위치설정 부재들(120) 중의 하나의 위치설정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그 위치설정 부재(120)를 탄성부재(130)의 복귀력에 대항하여 제1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윈도우 승강 장치를 작동시키면 구동부재(104)는 이동하여 위치설정 부재(120), 즉 안내 핀(140) 내에 삽입되고,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설치 위치로 이동된다. 이 위치에서, 설치용 개구(136)를 통해 적절한 공구를 이용하여 구동부재(104) 및 창유리(106) 사이의 결합을 해제한 다음 창유리를 교체할 수 있다.
스냅 결합을 이용하는 대신 다른 방법 예를 들면 나사, 접착제,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창유리(106)와 구동부재(104)를 결합할 수도 있다.
도 5는 구동부재(104) 및 위치설정 수단(118)의 일측을 도시한 것이다. 위치설정 부재(120)는 래치트(ratchets)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래치트는 구동부재(104)의 각 요부(146)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위치설정 부재(120) 중의 하나가 제1의 위치, 예를 들면 구동부재(104)의 설치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위치설정 부재(120)는 내측 도어 패널(102) 상의 축(124)을 중심으로 피봇 축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4 참조). 구동부재(104)의 다른 측면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위치설정 부재(120)가 배치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위치설정 부재(120)는 플랜지(142) 사이의 창유리(106)를 가압하는 외력 F를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창유리가 설치된 후 구동부재(104)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위치설정 부재(120)는 축(12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으로써 요부(146)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이탈한다. 위치설정 부재(120)가 구동부재(104)를 완전히 해제시키면, 축선(12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부재(104)의 횡단경로의 외측인 제2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2의 위치로 시계방향의 선회를 하도록 위치설정 부재(120) 상에 복귀력을 작용하는 스프링을 축(124) 상에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위치설정 부재(120)는 축(124)의 대향측에 위치하는 축(125)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위치설정 부재(120)는 상측으로부터 하측까지 요부(146)의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재(104)는 2개의 대칭 배열된 위치설정 부재(120)로 구성된 그리고 외력 F를 흡수하도록 구성되지 않은 위치설정 수단(118)에 의해 설치 위치 내에 고정된다. 실제로 외력 F는 구동부재(104)에 부착된 케이블(114)에 의해 흡수된다(도 1 참조).
도 6의 실시예에서, 위치설정 부재(120)는 구동부재(104) 상에 형성된 축(124)을 중심으로 피봇 축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위치설정 부재(120)가 제1의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위치설정 부재는 이 위치에서 구동부재(104)의 내측 도어 패널(102)에 대한 설치 위치를 결정한다.
도 7은 제2의 위치로 선회된 위치설정 부재(120)를 도시한 것으로, 위치설정 부재는 이 위치에서 구동부재(104)의 운동을 자유롭게 한다. 예를 들면, 위치설정 부재(120)는 이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윈도우의 승강 동작 중에 불시에 제1의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8은 구동부재(104) 및 위치설정 부재(120)의 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설정 부재(120)는 구동부재(104)의 요부(150) 내에 삽입시 사용되는 결합부재(도 3 및 도 4의 실시예의 안내 핀(140)에 대응하는 것)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로킹 레버(152)를 이용하여 축(124)을 중심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그 결과 결합부재는 도시된 제1의 위치로부터 점선으로 표시된 제2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축들은 내측 도어 패널(102) 상에 형성된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의 위치설정 수단의 영역 내에서의 내측 도어 패널(102)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로킹 레버(152)가 제2의 위치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제2의 위치에서 로킹 레버(152)는 클램핑 부재(154)에 의해 포획[정지]되어 있다.
도 10은 구동부재(104)의 요부(150) 내에 접촉[개입]하기 위해 죠우 형상의 위치설정 부재(120)를 구비한 위치설정 수단(118)의 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위치설정 수단이 제1의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이 위치설정 수단의 제2의 위치는 도 10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의 위치설정 부재(120)의 사시도이다. 위치설정 부재(120)은 죠우 형상을 취하고, 그 대략 중앙부에 바아(156)를 구비한다. 이 바아는 위치설정 수단(118)이 제1의 위치에 있는 경우 외력 F를 흡수하는데 이용된다(도 1 및 도 5 참조).
도 12는 내측 도어 패널(102)에 거의 수직인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위치설정 부재(120)를 구비한 위치설정 수단(118)의 일 실시예도이다. 상기 위치설정 부재(120)는 내측 도어 패널(102)에 대해 거의 수직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의 위치(A) 및 제2의 위치(B)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위치설정 부재는 구동부재(104)의 각 요부(150) 내에 삽입되도록 상측이 T자형을 이루고 있다.
도면부호 리스트
100 차량 도어
102 내측 도어 패널
104 구동부재
106 창유리
107 개구(창유리 내에 형성된 것)
108 창유리의 상단부
110 영역
112 상측 도어 브리스트
114 케이블
116 구동 드럼
118 위치설정 수단
120 위치설정 부재
122 스토퍼 영역
124 축
125 축
126 베어링
128 스토퍼
130 탄성부재
132 횡단경로
134 스냅 결합 후크
136 설치용 개구
138 슬롯
140 안내핀
142 플랜지
144 스냅 결합 부재
146 요부
150 요부
152 로킹 레버
154 클램핑 부재
156 바아

Claims (20)

  1. - 창 유리(106) 개폐를 위하여 제공되는 구동부재(104),
    - 내측 도어 패널(102),
    - 창유리(106)의 설치를 위해 설치 위치 내에서 내측(inside) 도어 패널(102)에 대해 구동부재(104)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위치설정 수단(118, 120, 122, 124, 125, 126, 128, 130, 134, 136, 138, 140, 146, 148, 152, 154, 156)을 구비하되, 제1의 위치 및 제2의 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제1의 위치에서 설치 위치를 형성하고, 제2의 위치에서 설치된 창유리(106)의 개폐를 위한 구동부재(104)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설정 수단(118),
    을 갖는 윈도우 와인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118)은:
    상기 제1의 위치 및 제2의 위치 간에 피봇 축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창 유리(106)의 설치 후, 제2의 위치에 재설정하기 위한 탄성부재(130)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118)은 상기 창유리(106)가 그 설치 위치에서 상측 도어 브리스트(112)의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104)는 설치 위치에서 창유리(106)에 대해 래치 결합(107, 144)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118)은 내측 도어 패널(102)의 중앙 부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118)은 내측 도어 패널(102) 상에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부재(104)를 제1의 위치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118)은 구동부재(104) 상에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부재를 제1의 위치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118)은 분리 가능한 고정을 위한 결합부재(120; 1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118)은 제1의 위치 및 제2의 위치 간 위치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9. 삭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118)은 설치된 창유리(106)의 개폐를 위한 구동부재(104)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내측 도어 패널(102) 또는 구동부재(104)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와인더 장치는 위치설정 수단(118)을 제2의 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클램핑 부재(15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118)은 래치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는 창유리의 글래스 드랍이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의 상기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를 구비한 도어 모듈.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의 상기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87013428A 2005-12-19 2006-12-15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도어 모듈 및 차량용 도어 KR101341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61009A DE102005061009B3 (de) 2005-12-19 2005-12-19 Fensterheberanordnung, Türmodul, Kraftfahrzeugtü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ensterheberanordnung
DE102005061009.9 2005-12-19
PCT/EP2006/069784 WO2007071629A1 (de) 2005-12-19 2006-12-15 Fensterheberanordnung, türmodul, kraftfahrzeugtü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ensterheber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297A KR20080080297A (ko) 2008-09-03
KR101341337B1 true KR101341337B1 (ko) 2013-12-13

Family

ID=3780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428A KR101341337B1 (ko) 2005-12-19 2006-12-15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도어 모듈 및 차량용 도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40086B2 (ko)
EP (1) EP1966459B1 (ko)
KR (1) KR101341337B1 (ko)
AT (1) ATE448380T1 (ko)
DE (2) DE102005061009B3 (ko)
WO (1) WO2007071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2368B2 (en) * 2005-12-19 2012-03-1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Window lift apparatus, door module, motor vehicle door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 window lift apparatus
DE102006030238B4 (de) 2006-06-30 2012-10-18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Mitnehmer für eine Fensterheberanordnung
FR2920402B1 (fr) * 2007-08-29 2010-02-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aide au montage d'une vitre dans un caisson d'un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DE202007018213U1 (de) 2007-12-28 2009-05-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Schienenloser Seil-Fensterheber
US20100088964A1 (en) * 2008-10-10 2010-04-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nap-in glass retention for a vehicle door
DE102008044175B4 (de) 2008-11-28 2010-12-2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Montagevorrichtung zur Montage einer Fensterscheibe an einen Mitnehmer eines Fensterhebers
DE102008060407A1 (de) 2008-12-01 2010-06-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ensterheberbaugruppe
DE202008017217U1 (de) 2008-12-19 2010-04-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ensterheberbaugruppe mit Positionierungselement für eine Fensterscheibe
DE102008064566A1 (de) * 2008-12-19 2010-06-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Positionierungswerkzeug und Montageverfahren für eine Fensterheberbaugruppe
DE102011054212A1 (de) 2011-10-05 2013-04-11 Küster Holding GmbH Verfahren zum Festlegen einer Fensterscheibe an einem Mitnehmer eines Fensterhebers und Fensterheber
DE102011054192B4 (de) 2011-10-05 2019-01-03 Küster Holding GmbH Fensterheber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durch einen Seilzug betätigbaren Mitnehmer
US9790728B2 (en) * 2015-07-17 2017-10-17 Hi-Lex Controls, Inc. Single-rail window regulator assembly
US9822571B2 (en) * 2016-02-19 2017-11-21 Hi-Lex Controls Inc. Window clamp and assembly for window regulator
EP3241697B1 (de) * 2016-05-02 2018-08-01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Fensterheber
WO2023078533A1 (fr) * 2021-11-02 2023-05-11 Advanced Comfort Systems France Sas - Acs France Dispositif vitré pour porte de véhicule à panneau mobile affleurant et porte correspondan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5745A1 (de) 2004-04-02 2005-10-1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Fensterheb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ensterscheib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9947B2 (ja) * 1987-03-24 1998-12-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組立方法
FR2637001B1 (ko) * 1988-09-29 1995-06-30 Rockwell Cim
DE4426670A1 (de) * 1994-07-28 1996-02-01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r Fensterscheibe mit einem Fensterheber
DE19505624C2 (de) * 1995-02-18 2003-06-12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r Fensterscheibe mit einem Fensterheber
DE19653046A1 (de) * 1996-12-19 1998-06-25 Brose Fahrzeugteil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verschiebbaren Fensterscheibe eines Kraftfahrzeugs an der Führungsvorrichtung eines Fensterhebers
DE19819910C1 (de) * 1998-05-05 1999-06-17 Brose Fahrzeugteile Mitnehmer zur Anbindung einer Fensterscheibe an einen Fensterheber
FR2781006B1 (fr) 1998-07-08 2000-10-06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Dispositif de leve-vitre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US6330764B1 (en) * 1999-11-19 2001-12-18 Larry G. Klosterman Door window mounting and regulator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y
JP3756750B2 (ja) * 2000-10-31 2006-03-15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ウインドパネル支持構造
FR2830894B1 (fr) * 2001-10-16 2004-04-16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eve-vitre avec blocage de curseur et procede d'assemblage correspondant
DE10255461B4 (de) 2002-11-25 2007-05-16 Faurecia Innenraum Sys Gmbh Fensterheberanordnung sowie Kraftfahrzeugtür
DE20218678U1 (de) * 2002-12-03 2003-02-13 Brose Fahrzeugteile Kraftfahrzeugtür und Trägerplatte einer Kraftfahrzeugtür
ITTO20030172A1 (it) * 2003-03-07 2004-09-08 Andrea Napoli Alzacristallo per autoveicoli.
ES1055444Y (es) * 2003-08-26 2004-03-01 Castellon Melchor Daumal Pinza de sujecion para cristales en elevalunas de automoviles.
US7409797B2 (en) * 2003-10-02 2008-08-12 Arvinmeritor Technology, Llc Self-fastening glass attachment clip
US20070006533A1 (en) * 2005-07-11 2007-01-11 Faurecia Interior Systems U.S.A., Inc. Vehicle window lift plate
US20070151161A1 (en) * 2006-01-03 2007-07-05 Arvinmeritor Technology, Llc Cursor with dampener
US20080098657A1 (en) * 2006-10-26 2008-05-01 Faurecia Interior Systems U.S.A., Inc. Mid-Travel Position Installation of Window Glass
US7721487B2 (en) * 2007-08-10 2010-05-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Glass attachment for movable vehicle windo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5745A1 (de) 2004-04-02 2005-10-1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Fensterheb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fensterschei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66459B1 (de) 2009-11-11
US8240086B2 (en) 2012-08-14
EP1966459A1 (de) 2008-09-10
KR20080080297A (ko) 2008-09-03
DE102005061009B3 (de) 2007-08-23
WO2007071629A1 (de) 2007-06-28
US20080289256A1 (en) 2008-11-27
ATE448380T1 (de) 2009-11-15
DE502006005375D1 (de) 200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337B1 (ko) 무궤도 윈도우 와인더 장치, 도어 모듈 및 차량용 도어
JP5753562B2 (ja) ウィンドウリフタ装置
US8132368B2 (en) Window lift apparatus, door module, motor vehicle door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 window lift apparatus
JP2655718B2 (ja) エレベータ用のロック機構付きドア駆動装置
JP6714727B2 (ja) 家具駆動システム
KR20060129513A (ko) 유리창 승강장치 및 유리창 고정방법
US7344188B2 (en) Sunroof device
CN105819315A (zh) 电梯轿厢
US7596907B2 (en) Force transmission element, window lifter and motor vehicle door with a window lifter
US6050029A (en) Cable-controlled window winder with a guiding track
KR20060050517A (ko) 윈도우 리프터 레일
JP451698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及び乗り場ドア用の連結装置
JP2020516792A (ja) 牽引手段を拘束するための拘束要素および拘束部を有するウィンドウリフタアセンブリ
US20180163455A1 (en) Window regulato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KR20030028493A (ko) 라인 안내 장치
KR100424736B1 (ko) 미닫이의 로크장치
KR101104203B1 (ko) 버스용 변속레버 길이 조절장치
KR101991780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0811715B1 (ko)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핸들장치
JPH02186087A (ja) 窓と窓上昇アームとの間の連結装置
KR0132434Y1 (ko)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수동개방장치
KR200336021Y1 (ko) 여미닫이 방식 사이드 윈도우글라스의 개폐장치
JP3017198U (ja) 展示ケースの扉開閉装置
KR0140300Y1 (ko) 자동차 윈도우 리프터 홀더의 보강구조
KR100831824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승강 장치용 글라스 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