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780B1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1780B1 KR101991780B1 KR1020170181516A KR20170181516A KR101991780B1 KR 101991780 B1 KR101991780 B1 KR 101991780B1 KR 1020170181516 A KR1020170181516 A KR 1020170181516A KR 20170181516 A KR20170181516 A KR 20170181516A KR 101991780 B1 KR101991780 B1 KR 1019917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connecting member
- coupling
- groove
- connection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3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 E05F11/4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 E05F11/481—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 E05F11/483—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 E05F11/485—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sliding windows, e.g. vehicle windows, to be opened or closed by vertical movement operated by cords or chains or other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tapes for vehicle windows by cables with cable tensio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4—Dru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 상기 와이어 드럼에 권취되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와이어; 자동차의 윈도우가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에 의해 승강하는 캐리어 플레이트; 상기 윈도우의 개폐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 연결부재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가 회동되는 제1회동축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3연결부재가 회동되는 제2회동축 및 상기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가 회동되는 제3회동축과 수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를 승강시키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윈도우를 승강시키는 와이어를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부재를 통해 다양한 각도를 보상함에 따라, 와이어의 꺽임 및 피로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그 도어를 개폐하는 윈도우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윈도우는 승강하면서 그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어의 내부에는 자동차의 윈도우를 승강시키는 기구인 윈도우 레귤레이터가 마련되는데,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방법에 따라 아암식과 와이어식으로 구분된다.
아암식은 구동수단인 모터의 회전력을 X자형 아암 또는 싱글 아암을 이용하여 그 윈도우를 승강시키는 방식이며, 와이어식은 와이어가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 드럼을 모터가 회전시킴에 따라 왕복 순환하게 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윈도우를 승강시키는 방식이다.
도 1과 도 2에는 종래의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와이어식 윈도우 레귤레이터(10)는,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2)에 의해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13)과, 와이어 드럼(13)에 권취되어 와이어 드럼(1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순환하는 와이어(14)와, 자동차의 윈도우가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14)에 의해 승강하는 캐리어 플레이트(16)와, 상기 윈도우의 개폐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6)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15)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도면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 드럼(1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14)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14)에 연결된 캐리어 플레이트(16)가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캐리어 플레이트(16)에 결합된 윈도우도 상승하면서 닫히게 된다. 반대로, 와이어 드럼(1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14)는 시계 방향으로 순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14)에 연결된 캐리어 플레이트(16)가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캐리어 플레이트(16)에 결합된 윈도우도 하강하면서 열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와이어식 윈도우 레귤레이터(10)에는 윈도우를 승강시키는 와이어(14)를 캐리어 플레이트(16)에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부재(20)가 마련된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재(20)는 엔드 하우스 슬라이더(End house slider)라고도 불리며, 와이어(14)의 양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캐리어 플레이트(16)에 결합되어 캐리어 플레이트(16)와 함께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즉, 와이어(14)는 와이어 연결부재(20)를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16)에 연결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어(14)의 순환에 따라 캐리어 플레이트(16)가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연결부재(20)는 결합 핀(29)을 사용하여 캐리어 플레이트(16)에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와이어 연결부재(20)의 중앙부에는 결합 핀(29)이 삽입되는 핀 삽입홀(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 연결부재(20)에는 핀 삽입홀(21)의 양측에 와이어(14)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 삽입홈(22) 각각에는 외부와 연통되어 와이어(14)가 빠져나가는 와이어 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14)의 양단부에는 원판 형상의 단부 플레이트(24)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단부 플레이트(24)의 안쪽으로 와이어(14)를 둘러싸는 스프링(25)이 설치된다.
와이어(14)의 양단부와 단부 플레이트(24) 및 스프링(25)은 와이어 연결부재(20)의 와이어 삽입홈(22)에 삽입되는데, 이때 스프링(25)은 와이어 삽입홈(22)의 와이어 출구(23)쪽 벽면과 단부 플레이트(24) 사이에 배치되어 단부 플레이트(24)를 와이어 출구(2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킴으로써 와이어(14)에 장력을 인가한다. 상기 와이어(14)는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서 그 장력이 약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프링(25)이 신장되면서 와이어(14)의 장력을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에는 와이어(14)의 순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와이어(14)가 감겨지는 두 개의 풀리(17, 18)가 설치된다. 이때, 두 개의 풀리(17, 18)는 와이어 연결부재(20)에 결합되는 와이어(14)를 가능한 한 직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15)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설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두 개의 풀리(17, 18)의 설치 위치가 가이드 레일(15)의 상측과 하측에 한정되면, 설계의 자유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크기가 커지고 중량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15)은 수직으로 연장된 직선 형태가 아니라 완만하게 굴곡된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와이어 연결부재(20)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구간별로 와이어 연결부재(20)의 자세가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 연결부재(20)의 와이어 출구(23) 부근에서 와이어(14)가 소정 각도로 꺾이게 되고, 이와 같은 와이어(14)의 꺾임 각도는 가이드 레일(15)의 구간별로 변하게 됨으로써, 와이어(14)가 꺾이는 부위에서 피로가 누적되어 와이어(14)가 절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6410호(2017.3.15공개)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회동 가능한 두 개의 와이어 연결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도 두 개의 연결부재 사이의 두 방향 각도 밖에 보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5)은 수직으로 연장된 직선 형태가 아니라 완만하게 굴곡된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S자 형상을 그리는 쿼터 레귤레이터 트랙을 사용하는 경우는, 상, 하, 좌, 우 다양한 각도로 와이어가 꺾이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상, 하, 좌, 우로 꺾이는 와이어의 각도를 모두 보상할 수 없으며, 와이어에 여전히 꺾임 및 피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윈도우를 승강시키는 와이어를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부재를 통해 다양한 각도를 보상함에 따라, 와이어의 꺽임 및 피로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 상기 와이어 드럼에 권취되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와이어; 자동차의 윈도우가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에 의해 승강하는 캐리어 플레이트; 상기 윈도우의 개폐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 연결부재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가 회동되는 제1회동축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3연결부재가 회동되는 제2회동축 및 상기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가 회동되는 제3회동축과 수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상기 제3연결부재에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 핀이 삽입되는 제3핀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부재에는 상기 결합 핀이 삽입되는 제4핀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3핀삽입홀의 중심과 상기 제4핀삽입홀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상기 제3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핀이 상기 제3핀삽입홀과 제4핀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상기 제3연결부재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제3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부재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제4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3결합홈에 끼워지는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4결합홈에 끼워지는 제2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3연결부재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3결합홈에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으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4결합홈에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상기 제3결합홈에는 후크 형상의 제3고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4결합홈에는 후크 형상의 제4고리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제3고리부와 상기 제3결합홈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제4고리부와 상기 제4결합홈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3연결부재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3고리부와 상기 제3결합홈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4고리부와 상기 제4결합홈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상기 제1연결부재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와이어삽입홈과, 상기 제1와이어삽입홈으로부터 외부와 연통된 제1와이어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에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2와이어삽입홈과, 상기 제2와이어삽입홈으로부터 외부와 연통된 제2와이어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에는 원판 형상의 단부 플레이트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를 둘러싸는 스프링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와이어삽입홈 및 상기 제2와이어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되, 상기 제1와이어삽입홈 및 제2와이어삽입홈의 상기 제1와이어출구쪽 및 상기 제2와이어출구쪽 벽면과 상기 단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부 플레이트를 상기 제1와이어출구 및 상기 제2와이어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의하면, 제1연결부재-제3연결부재-제4연결부재-제2연결부재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제1회동축과 제2회동축 및 제3회동축을 수직하게 형성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와이어 연결부재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꺾임을 다양한 각도에서 보상하여, 와이어의 꺾임 및 피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연결부재 사이의 각도가 자유롭게 변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풀리의 위치 선정에 대한 자유도가 증가할 수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크기와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식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부재의 회동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며, 도 7b는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b의 B-B 선의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와 제3연결부재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부재의 회동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이며, 도 7b는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b의 B-B 선의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와 제3연결부재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를 승강시키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윈도우를 승강시키는 와이어를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부재를 통해 4방향의 다양한 각도를 보상함에 따라, 와이어의 꺽임 및 피로를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100)는, 와이어(190), 와이어 드럼(112), 가이드 레일(113), 캐리어 플레이트(114), 와이어 연결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드럼(112)은 상기 와이어(190)를 일정한 경로를 따라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 드럼(112)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설치된 구동모터(111)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190)는 상기 와이어 드럼(112)에 권취되어 와이어 드럼(11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하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4)를 이동시킨다. 상기 와이어(190)는 일정한 경로를 따라 순환하게 되는데, 이러한 와이어(190)의 순환을 가이드하기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13)의 상측과 하측 가까이에 가이드 풀리(11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4)는 상기 와이어(190)의 구동에 의해 승강하면서 캐리어 플레이트(114)에 결합된 자동차의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4)에는 후술하는 와이어 연결부재(1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연결부재(120)를 통해 상기 와이어(19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9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하게 되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4)는 하강 또는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하강하게 되면 자동차의 윈도우가 열리게 되고, 상승하게 되면 윈도우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113)은 상기 윈도우의 개폐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4)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1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 분리된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재(120)는 상기 와이어(190)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4)에 연결하는 부재이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재(120)는 상기 와이어(190)의 양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4)에 결합되어 캐리어 플레이트(114)와 함께 가이드 레일(113)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즉, 상기 와이어(190)는 와이어 연결부재(120)를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114)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재(120)는 제1연결부재(130), 제2연결부재(140), 제3연결부재(150), 제4연결부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부재(130)는 상기 와이어(19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2연결부재(140)는 상기 와이어(190)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130)의 중간부에는 상기 와이어(19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와이어삽입홈(136)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130)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와이어삽입홈(136)으로부터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와이어(190)가 빠져나가는 제1와이어출구(13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140)의 중간부에는 상기 와이어(19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2와이어삽입홈(146)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140)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와이어삽입홈(146)으로부터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와이어(190)가 빠져나가는 제2와이어출구(147)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2연결부재(14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는 것으로, 후술할 제1회동축(171)을 중심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2연결부재(140)는 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190)의 양단부에는 원판 형상의 단부 플레이트(192)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 플레이트(192)의 안쪽으로 와이어(190)를 둘러싸는 스프링(191)이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190)의 양단부와 상기 단부 플레이트(192) 및 상기 스프링(191)은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삽입홈(136, 146)에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191)은 제1 및 제2와이어삽입홈(136, 146)의 제1 및 제2와이어출구(137, 147)쪽 벽면과 상기 단부 플레이트(19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부 플레이트(192)를 제1 및 제2와이어출구(137, 14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190)에 장력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190)는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서 그 장력이 약해진 경우에, 상기 스프링(191)이 신장되면서 와이어(190)의 장력을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3연결부재(150)는 상기 제1연결부재(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제4연결부재(160)는 상기 제2연결부재(1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3연결부재(150)와 상기 제4연결부재(160)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즉,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결부재(130)-제3연결부재(150)-제4연결부재(160)-제2연결부재(140)의 순서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3연결부재(150)와 제4연결부재(160)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4)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3연결부재(150)에는 결합 핀(180)이 삽입되는 제3핀삽입홀(151)이 형성되고, 제4연결부재(160)에는 상기 결합 핀(180)이 삽입되는 제4핀삽입홀(161)이 형성된다. 상기 제3핀삽입홀(151)의 중심과 제4핀삽입홀(161)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제3연결부재(150)와 제4연결부재(16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핀(180)이 상기 제3핀삽입홀(151)과 제4핀삽입홀(161)을 관통하여 캐리어 플레이트(11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3연결부재(150)와 제4연결부재(160)는 상기 결합 핀(180)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 가능한 상태로 캐리어 플레이트(114)에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재(130)는 상기 제3연결부재(15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140)는 상기 제4연결부재(16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재(130), 상기 제2연결부재(140), 상기 제3연결부재(150), 상기 제4연결부재(160)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4)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연결부재(130), 상기 제2연결부재(140), 상기 제3연결부재(150), 상기 제4연결부재(160)의 결합 및 회동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3연결부재(150)와 상기 제4연결부재(160)는 상기 결합 핀(180)을 통해 결합 됨에 따라, 상기 결합 핀(180)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결합 핀(180)을 중심으로 상기 제3연결부재(150)와 상기 제4연결부재(160)가 회동하는 제1회동축(17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3연결부재(15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형성되는 제2회동축(172)과 상기 제2연결부재(140)와 상기 제4연결부재(16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형성되는 제3회동축(173)은 상기 제1회동축(171)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1회동축(171)과 상기 제2회동축(172)은 서로 수직한 방향을 이루고, 상기 제1회동축(171)과 상기 제3회동축(173)이 서로 수직한 방향을 이루어짐에 따라 회전에 대한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회동축(172)과 상기 제3회동축(173)은 대칭적을 이루면서 평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부재(130)가 상기 제3연결부재(150)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어 제1방향으로 각도가 보상되며, 상기 제3연결부재(150)는 상기 제4연결부재(160)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어 제2방향으로 각도가 보상된다. 동일하게, 제2연결부재(140)가 상기 제4연결부재(160)에 대하여 제3방향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어 제3방향으로 각도가 보상되며, 상기 제4연결부재(160)는 상기 제3연결부재(150)에 대하여 상기 제3방향과 수직한 제4방향으로 회동 가능할 수 있어 제4방향으로 각도가 보상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기 와이어(19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113)을 따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14)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재(120)가 함께 승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 연결부재(120)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상기 제1연결부재(130), 상기 제2연결부재(140), 상기 제3연결부재(150), 상기 제4연결부재(160)를 통해 4방향으로 각도를 보상하여, 상기 와이어(190)에 꺾임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2연결부재(140)는 상기 제3연결부재(150)와 상기 제4연결부재(16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빠지지 않고 쉽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3연결부재(150)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130)가 끼워질 수 있는 제3결합홈(152)이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부재(160)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140)가 끼워질 수 있는 제4결합홈(16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재(130)의 일단에는 상기 제3결합홈(152)에 끼워지는 제1결합부(131)가 마련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140)의 일단에는 상기 제4결합홈(162)에 끼워지는 제2결합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7a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31)는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3연결부재(150)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3결합홈(152)에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결합부(141)는 상기 제2연결부재(140)와 상기 제4연결부재(160)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4결합홈(162)에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결합부(131)와 상기 제2결합부(141)는,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3연결부재(150)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와, 상기 제2연결부재(140)와 상기 제4연결부재(160)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끼워지고 빠질 수 있으며, 수직이 아닌 각도에서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끼워지거나 빠지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3연결부재(150)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와, 상기 제2연결부재(140)와 상기 제4연결부재(160)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1결합부(131) 및 상기 제2결합부(141)가 끼워지거나 빠지게 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후술할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3연결부재(150)의 결합관계와 상기 제2연결부재(140)와 상기 제4연결부재(160)의 결합관계는, 상기 제1회동축(171)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3연결부재(150)의 결합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연결부재(140)와 상기 제4연결부재(160)의 결합관계는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3연결부재(150)의 결합관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결합홈(152)에는 후크 형상의 제3고리부(153)가 마련되고, 상기 제4결합홈(162)에는 후크 형상의 제4고리부(163)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합부(131)에는 상기 제3고리부(153)와 상기 제3결합홈(152)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132)가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141)에는 상기 제4고리부(163)와 상기 제4결합홈(162)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142)가 마련되며, 상기 제1삽입부(132)는,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3연결부재(150)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3고리부(153)와 상기 제3결합홈(152)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삽입부(142)는, 상기 제2연결부재(140)와 상기 제4연결부재(160)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4고리부(164)와 상기 제4결합홈(162)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부재(130)의 제1결합부(131), 제1삽입부(132), 제1회전삽입부(133), 제1고리공(134), 제1날개부(135)의 구성은 상기 제2연결부재의 제2결합부(141), 제2삽입부(142), 제2회전삽입부(143), 제2고리공(144), 제2날개부(145)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연결부재(13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3연결부재(150)의 제3결합홈(152), 제3고리부(153)는 상기 제4연결부재(160)의 제4결합홈(162), 제4고리부(163)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므로, 상기 제3연결부재(15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결부재(130)의 상기 제1결합부(131)는 상기 제1삽입부(132)와 상기 제1삽입부(132) 양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제1회전삽입부(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삽입부(133)는 상기 제1연결부재(130)가 상기 제3연결부재(15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결합홈(152)에는 상기 제1회전삽입부(133)가 끼워져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전삽입부(133)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의 홈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결합홈(152)은 양측면이 상기 제1회전삽입부(133)가 끼워질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간부에는 상기 제3고리부(153)가 마련되면서, 상기 제3고리부(153)와 상기 제3결합홈(152)의 측면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도 7b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3고리부(153)에 의해 상기 제3결합홈(152)의 간격은 일부 좁아지게 되고, 이 좁아진 간격을 통해 상기 제1삽입부(132)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삽입부(132)는 상기 제1회전삽입부(133)와 마련된 곳과 다르게 두께가 얇아진 곳이다.)
상기 제1삽입부(132)는 두께가 얇아졌기 때문에, 상기 제3고리부(153)와 상기 제3결합홈(152)의 측면 사이의 간격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이지만,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3연결부재(150)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1삽입부(132)는 상기 제3고리부(153)와 상기 제3결합홈(152)의 측면 사이의 간격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3연결부재(150)가 수직으로 놓여 있지 않을 때는, 상기 제1삽입부(132)도 비스듬하게 놓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3고리부(153)와 상기 제3결합홈(152)의 측면 사이의 간격을 상기 제1삽입부(132)가 통과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130)가 상기 제3연결부재(150)에 끼워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결부재(130)가 상기 제3연결부재(150)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제1연결부재(130)의 상기 제1삽입부(132)를 통해 상기 제1연결부재(130)가 상기 제3연결부재(15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이후, 상기 제1연결부재(130)를 회동시키면, 상기 제1연결부재(130)는 상기 제3연결부재(1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1삽입부(132)는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3연결부재(150)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3고리부(153)와 상기 제3결합홈(152)의 측면 사이의 간격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연결부재(130)는 상기 제3연결부재(150)에 대하여 빠지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130)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130)가 회동할 때 상기 제3고리부(153)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인 제1고리공(134)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130)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130)가 상기 제3연결부재(150)에 결합 되었을 때, 횡방향으로 움직을 구속할 수 있는 제1날개부(135)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날개부(135)는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3연결부재(150)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는 상기 제3결합홈(152)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지만, 상기 제1연결부재(130)와 상기 제3연결부재(150)가 수직이 아닐 때는, 상기 제3결합홈(152)의 측면 벽에 걸림에 따라 횡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130)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의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와이어(190)의 꺾임 각도에 대한 보상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S자 형상을 그리는 쿼터 레귤레이터 트랙을 사용하는 경우는, 상, 하, 좌, 우 다양한 각도로 와이어가 꺾이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와 같이 상, 하, 좌, 우로 꺾이는 와이어의 각도를 보상할 수 없었으며, 이에 와이어의 꺾임 및 피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2회동축(172) 및 제3회동축(173)과 제1회동축(171)이 수직을 이루면서, 제1연결부재(130), 제3연결부재(150), 제4연결부재(160), 제2연결부재(140)를 회동시킴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와이어(190)의 꺾임을 보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부재(130)-제3연결부재(150)의 제1방향, 제3연결부재(150)-제4연결부재(160)의 제2방향, 제2연결부재(140)-제4연결부재(160)의 제3방향, 제4연결부재(160)-제3연결부재(150)의 제4방향으로 꺾임을 보상함에 따라 와이어에 발생하는 꺾임 및 이에 따른 피로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 연결부재(120)를 구성하는 제1연결부재(130), 제3연결부재(150), 제4연결부재(160), 제2연결부재(140) 사이의 각도가 자유롭게 변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풀리의 위치 선정에 대한 자유도가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90)는 좌, 우 꺾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 하로도 꺾일 수 있어, 가이드 풀리의 위치 선정을 상, 하, 좌, 우로 구애받지 않고 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크기와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110...베이스 플레이트
111...구동모터 112...와이어 드럼
113...가이드 레일 114...캐리어 플레이트
115...가이드 풀리 120...와이어 연결부재
130...제1연결부재 131...제1결합부
132...제1삽입부 133...제1회전삽입부
134...제1고리공 135...제1날개부
136...제1와이어삽입홈 137...제1와이어출구
140...제1연결부재 141...제2결합부
142...제1삽입부 143...제2회전삽입부
144...제1고리공 145...제2날개부
146...제1와이어삽입홈 147...제2와이어출구
150...제3연결부재 151...제3핀삽입홀
152...제3결합홈 153...제3고리부
160...제4연결부재 161...제4핀삽입홀
162...제3결합홈 163...제4고리부
171...제1회동축 172...제2회동축
173...제3회동축 180...결합 핀
190...와이어 191...스프링
192...단부 플레이트
111...구동모터 112...와이어 드럼
113...가이드 레일 114...캐리어 플레이트
115...가이드 풀리 120...와이어 연결부재
130...제1연결부재 131...제1결합부
132...제1삽입부 133...제1회전삽입부
134...제1고리공 135...제1날개부
136...제1와이어삽입홈 137...제1와이어출구
140...제1연결부재 141...제2결합부
142...제1삽입부 143...제2회전삽입부
144...제1고리공 145...제2날개부
146...제1와이어삽입홈 147...제2와이어출구
150...제3연결부재 151...제3핀삽입홀
152...제3결합홈 153...제3고리부
160...제4연결부재 161...제4핀삽입홀
162...제3결합홈 163...제4고리부
171...제1회동축 172...제2회동축
173...제3회동축 180...결합 핀
190...와이어 191...스프링
192...단부 플레이트
Claims (6)
- 자동차의 윈도우를 승강시키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
상기 와이어 드럼에 권취되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와이어;
자동차의 윈도우가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에 의해 승강하는 캐리어 플레이트;
상기 윈도우의 개폐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 연결부재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가 회동되는 제1회동축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3연결부재가 회동되는 제2회동축 및 상기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가 회동되는 제3회동축과 수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연결부재에는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 핀이 삽입되는 제3핀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부재에는 상기 결합 핀이 삽입되는 제4핀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3핀삽입홀의 중심과 상기 제4핀삽입홀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상기 제3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핀이 상기 제3핀삽입홀과 제4핀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부재에는 상기 제1연결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제3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부재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제4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3결합홈에 끼워지는 제1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4결합홈에 끼워지는 제2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3연결부재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3결합홈에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으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4결합홈에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홈에는 후크 형상의 제3고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4결합홈에는 후크 형상의 제4고리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제3고리부와 상기 제3결합홈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제4고리부와 상기 제4결합홈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삽입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3연결부재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3고리부와 상기 제3결합홈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삽입부는, 상기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4연결부재가 수직으로 놓여있을 때만, 상기 제4고리부와 상기 제4결합홈의 측면 사이의 간격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와이어삽입홈과, 상기 제1와이어삽입홈으로부터 외부와 연통된 제1와이어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에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2와이어삽입홈과, 상기 제2와이어삽입홈으로부터 외부와 연통된 제2와이어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에는 원판 형상의 단부 플레이트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를 둘러싸는 스프링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와이어삽입홈 및 상기 제2와이어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되,
상기 제1와이어삽입홈 및 제2와이어삽입홈의 상기 제1와이어출구쪽 및 상기 제2와이어출구쪽 벽면과 상기 단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단부 플레이트를 상기 제1와이어출구 및 상기 제2와이어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1516A KR101991780B1 (ko) | 2017-12-27 | 2017-12-27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1516A KR101991780B1 (ko) | 2017-12-27 | 2017-12-27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1780B1 true KR101991780B1 (ko) | 2019-06-25 |
Family
ID=6706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1516A KR101991780B1 (ko) | 2017-12-27 | 2017-12-27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178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35619A (zh) * | 2020-12-16 | 2022-06-17 | 博泽(班贝格)汽车零部件欧洲两合公司 | 机动车辆的缆索驱动设备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40531A (ja) * | 1999-11-11 | 2001-05-22 | Shiroki Corp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KR20020082600A (ko) * | 2001-04-24 | 2002-10-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
JP2007278000A (ja) * | 2006-04-10 | 2007-10-25 | Hi-Lex Corporation | キャリアプレー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KR101708187B1 (ko) * | 2016-05-31 | 2017-02-21 |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 자동차용 윈도우 글래스의 캐리어 플레이트 조립 구조 |
KR101716410B1 (ko) | 2016-01-29 | 2017-03-15 | 주식회사 광진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
2017
- 2017-12-27 KR KR1020170181516A patent/KR1019917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40531A (ja) * | 1999-11-11 | 2001-05-22 | Shiroki Corp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KR20020082600A (ko) * | 2001-04-24 | 2002-10-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
JP2007278000A (ja) * | 2006-04-10 | 2007-10-25 | Hi-Lex Corporation | キャリアプレー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KR101716410B1 (ko) | 2016-01-29 | 2017-03-15 | 주식회사 광진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KR101708187B1 (ko) * | 2016-05-31 | 2017-02-21 |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 자동차용 윈도우 글래스의 캐리어 플레이트 조립 구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35619A (zh) * | 2020-12-16 | 2022-06-17 | 博泽(班贝格)汽车零部件欧洲两合公司 | 机动车辆的缆索驱动设备 |
EP4015848A1 (de) * | 2020-12-16 | 2022-06-22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Seilantriebs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
US11674348B2 (en) | 2020-12-16 | 2023-06-13 |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 Cable drive device of a motor vehicle, window lifter and cable drum |
CN114635619B (zh) * | 2020-12-16 | 2024-05-17 | 博泽(班贝格)汽车零部件欧洲两合公司 | 机动车辆的缆索驱动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1780B1 (ko)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
KR101716410B1 (ko)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
EP1801345A1 (en) | Blind device | |
CA2323280A1 (en) | A window panel balance apparatus and method | |
JP2919770B2 (ja) | 窓ガラスの昇降装置 | |
JP4862339B2 (ja) | ブラインド装置 | |
JP2011004974A (ja) | 吊具 | |
JP4020568B2 (ja) | ケーブル式の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 |
JP3416321B2 (ja) | ウインドウガラスレギュレータ | |
JP6541046B1 (ja) |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 |
JP6175332B2 (ja) |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 | |
KR101991778B1 (ko)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
US6000503A (en) | Sliding two speed door mechanism for an elevator car | |
KR20180048080A (ko) |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 |
JP4771604B2 (ja) | 横型ブラインド | |
KR102497045B1 (ko) | 수평 이동형 창호 조립체용 수평 이동 모듈 | |
JP3251226B2 (ja) | 浴室折戸の外れ止め構造 | |
CN216043269U (zh) | 具有适配架的玻璃升降机 | |
JPH0740634Y2 (ja) | 傾斜窓用縦型ブラインド | |
KR102018718B1 (ko) | 자동 도어 가이드 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 |
JPH0326219Y2 (ko) | ||
JP2002036871A (ja) |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ケーブル係止構造 | |
JPH0422710Y2 (ko) | ||
JP2023031905A (ja) | 軸釣装置の上吊り手段 | |
JP5969302B2 (ja) | ブラインド用ドラム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