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095B1 - 체인용 텐셔너 레버 - Google Patents

체인용 텐셔너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095B1
KR101340095B1 KR1020110077865A KR20110077865A KR101340095B1 KR 101340095 B1 KR101340095 B1 KR 101340095B1 KR 1020110077865 A KR1020110077865 A KR 1020110077865A KR 20110077865 A KR20110077865 A KR 20110077865A KR 101340095 B1 KR101340095 B1 KR 101340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torsion coil
lever
spring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3552A (ko
Inventor
다카히로 신노키
아쓰시 가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2002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Torsio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42Mounting or support of tensio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조립면에의 조립부착 작업시에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락을 확실히 저지하고 간편하게 장착하는 체인용 텐셔너 레버를 제공하는 것.
레버 본체(110)가, 슈면(S)을 형성한 슈면측 둘레벽부(111a)를 포함한 레버 둘레벽부(111)와 레버 측벽부(112)와 보강 리브부(113)와 보스부(114)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과 걸어맞춤하는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를 구비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이 누름 팔부(122)와 권회부(121)와 지지 팔부(123)를 구비하는 동시에 스프링 수용부(130)내의 보스부(114)에 느슨하게 끼워지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누름 팔부(122)가 슈면측 둘레벽부(111a)의 누름 위치(122a)와 보강리브부(113)의 걸어멈춤 위치(122b)와의 사이에서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누름 팔부(122)의 회동 범위내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빠져 나옴을 저지하고 있는 체인용 텐셔너 레버(100).

Description

체인용 텐셔너 레버{CHAIN TENSIONER LEVER}
본 발명은, 체인용 텐셔너 레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틀림(torsion)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彈發力)으로, 슈면(shoe surface)을 체인에 내리누르고 체인을 힘을 가하여 규제하는 구조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간한 위치에 있는 축 사이에서 회전을 전달하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엔진 등의 보기(補機: auxiliary machinery) 구동에 이용되는 체인 전동장치에 있어서, 체인의 느슨함을 제거하여 주행중의 체인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체인용 텐셔너 레버로서, 체인을 미끄럼동작 주행시키는 슈면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레버 기초단부가 레버 부착면에 자유로이 회동(回動)되도록 지지되는 레버 본체와, 이 레버 본체와 레버 부착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그 미는 힘에 의해 슈면을 체인에 내리누르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체인용 텐셔너 레버가 알려져 있다.
도 8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이런 종류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체인용 텐셔너 레버(500)는, 레버 본체(510)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의 적어도 권회부(卷回部)(521)를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530)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스프링 수용부(530)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을 조립해 넣기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스프링 수용부(530)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520)의 권회부(521)가 느슨하게 끼워지는 보스 외주면을 갖는 보스부(5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수용부(530)를 형성하는 레버 둘레벽부(511)의 일부에는, 부착면(R)에 체인용 텐셔너 레버(500)를 조립부착 장착했을 때에, 스프링 부착구멍(sh)에 꽂아 넣어져서 비틀림 토크가 발생하도록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의 부착면(R)측에 걸어멈춤되는 지지 팔부(523)가 통과하는 절결 영역(516a)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부착면(R)에의 레버 본체(510)의 조립부착 장착 전에, 미리 지지 팔부(523)를 절결 영역(516a)의 한쪽의 단부에 형성한 걸어맞춤 오목부(516b)에 걸어 넣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에 비틀림 토크가 생긴 상태로, 레버 본체(510)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을 조립해 넣어 둘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500)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의 슈면(S)을 힘을 가하는 누름 팔부(522)를 스프링 수용부(530)의 슈면측 둘레벽부(511a)의 모서리부에 위치시키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의 권회부(521)를 보스부(514)에 느슨하게 끼우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의 타단측에서 레버 본체(510)를 엔진 측면의 부착면(R)에 조립부착했을 때에 부착면(R)의 스프링 부착구멍(sh)에 삽입되는 지지 팔부(523)를, 스프링 수용부(530)의 개구부에 형성된 절결 영역(516a)의 일단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516b)에 비틀림을 가한 상태로 걸어맞춤시켜 레버 본체(510)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수용시키고, 체인용 텐셔너 레버(500)의 보관, 이송의 편리를 도모하고 있었다(도 8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7450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08909호
그러나, 종래 기술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500)에 있어서는, 걸어맞춤 오목부 (516b)에 지지 팔부(523)를 걸어맞춤한 채로 레버 본체(510)를 회동시키고 스프링 부착구멍(sh)에 지지 팔부(523)를 삽입하고 부착면(R)에 레버 본체(510)를 조립부착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었지만, 체인(C)의 배치형태에 따라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을 걸어맞춤 오목부(516b)에 걸어 넣은 상태인 채로 레버 본체(510) 전체를 회전시켜 스프링 부착구멍(sh)과 지지 팔부(523)의 선단을 위치 맞춤하는 것이 곤란하고, 레버 본체(510)를 적절한 각도로 유지하여 레버 본체(510)에 수납되어 있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의 지지 팔부(523)를 걸어맞춤 오목부(516b)로부터 떼어내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의 지지 팔부(523)를 스프링 부착구멍(sh)의 위치까지 변형시켜 부착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경우,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의 지지 팔부(523)를 레버 둘레벽부 (511)의 걸어맞춤부 오목부(516b)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의 지지 팔부(523)의 선단을 부착면(R)의 스프링 부착구멍(sh)에 조립부착 작업을 행하게 되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본체(510)의 조립부착 작업시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이 레버 본체(510)의 부착면측에 위치하고 레버 본체(510)에 의해 숨어 버리기 때문에, 작업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의 지지 팔부(523)밖에 보이지 않는 상태로 조립부착 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 상태를 볼 수 없는 상태로 조립부착 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이 본래 있어야 할 장착 위치로부터 어긋나거나, 경사지거나, 또한 극단적인 경우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이 탈락하거나 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을 설계했던 대로의 위치에 고정하지 못하고, 체인용 텐셔너 레버(500)의 조립부착 작업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도 10 참조).
또한, 종래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500)의 조립부착 작업에 있어서는,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미리 레버 본체(510)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을 걸어멈춤하여 수납된 상태로부터 레버 본체(510)를 부착면(R)에 조립부착하는 것뿐만 아니라, 레버 본체(510)의 부착면측 둘레벽부에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고, 체인용 텐셔너 레버(500)를 부착면(R)에 조립부착하는 단계에서 레버 본체(510)의 스프링 수용부(530)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을 배치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을 레버 본체(510)에 걸어맞춤 시키는 일 없이 부착면(R)에 조립부착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러한 경우는 레버 본체(510) 중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의 위치가 안정되지 않고, 상술한 것과 같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의 탈락 등의 조립 작업상의 문제가 한층 현저하였다.
한편, 종래 기술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500)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520)의 누름 팔부(522)의 선단을 스프링 수용부(530)의 모서리각부에 위치시켜 누름 팔부(522)를 레버 본체(510)에 대해 상대 회동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었으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의 누름 팔부(522)를 적절한 개소에서 걸어멈춤하여 탈락 방지를 도모한다고 해도, 누름 팔부(522)를 걸어멈춤하여 탈락 방지를 도모하는 부재를 얼마나 배치할 것인지, 어떻게 비틀림 코일 스프링(520)의 누름 팔부 (522)를 그러한 걸어멈춤부재와 걸어맞춤 시킬 것인지 등, 비틀림 코일 스프링 (520)을 레버 본체(510)에 장착하는 작업을 곤란하게 하는 일 없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520)의 탈락 방지를 실현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해결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부착면에의 조립부착 작업을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탈락시키는 일 없이 행할 수 있는 체인용 텐셔너 레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새로운 기술적 과제는, 부착면에의 조립 작업시에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빠짐을 확실히 저지하는 동시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간편하게 장착하는 체인용 텐셔너 레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체인을 미끄럼동작 주행시키는 슈면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고 부착면에 세워 설치된 피봇축에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지지되는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와 부착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슈면을 체인에 내리누르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체인용 텐셔너 레버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가, 상기 슈면이 형성되는 슈면측 둘레벽부와 상기 슈면측 둘레벽부와 대향하는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와 상기 슈면측 둘레벽부 및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를 접속하는 원호 형상 둘레벽부로 구성되는 레버 둘레벽부와, 상기 레버 둘레벽부의 부착면 반대측을 덮는 레버 측벽부와, 상기 슈면측 둘레벽부와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와 원호 형상 둘레벽부의 어느 2개 사이에 개설(介設)되는 보강 리브부와, 상기 레버 측벽부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상기 피봇축의 관통하는 축구멍과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느슨하게 끼우는 보스 외주면을 형성되는 보스부와, 상기 슈면측 둘레벽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걸어맞춤하는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상기 슈면측 둘레벽부의 내측면을 누르는 누름 팔부와 상기 누름 팔부에 연달아 설치하는 권회부와 상기 부착면에 지착(支着)되는 지지 팔부를 구비하고 상기 슈면측 둘레벽부와 보강 리브부와 원호 형상 둘레벽부에 의해 구획되는 스프링 수용부내에서 상기 보스부의 보스 외주면에 권회부를 사이에 두고 느슨하게 끼워지고,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팔부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에 상기 슈면측 둘레벽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누름 위치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탄발력이 작용하지 않고 부세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상기 보강 리브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걸어멈춤 위치와의 사이에서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가, 상기 누름 위치와 걸어멈춤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팔부와 걸어맞춤하고 상기 스프링 수용부로부터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빠져 나옴을 저지하고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는,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의 선단이 원호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더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는, 청구항 1 또는 2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탈착(삽입(장착)과 탈락)방향으로 넓은 폭이고 회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더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한 항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부착면에의 레버 본체의 조립부착 장착시에 부착면측에 걸어멈춤되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지지 팔부를 삽입통과하는 절결 영역이 상기 스프링 수용부를 구획하는 레버 둘레벽부의 부착면측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 본체에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 장착시에서의 탄발력에 의해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지지 팔부를 걸어넣고 유지하는 걸어맞춤 오목부가 상기 절결 영역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더 해결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한 항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상기 보스부에 대해서 권회부를 편심(偏心)시킨 상태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팔부를 보강 리브부의 내측면에 누른 채로 편의(偏倚)시켰을 때에 상기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에 의해 걸어맞춤되는 누름 위치와 걸어멈춤위치와의 사이를 벗어난 걸어멈춤 해제위치까지 이동 가능한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더 해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에 의하면, 체인을 미끄럼동작 주행시키는 슈면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고 부착면에 세워 설치된 피봇축에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지지되는 레버 본체와, 이 레버 본체와 부착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슈면을 체인에 내리 누르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체인을 확실히 미끄럼동작 주행시킬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이하와 같은 특유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즉,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에 의하면, 레버 본체가, 슈면이 형성되는 슈면측 둘레벽부와 슈면측 둘레벽부와 대향하는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와 슈면측 둘레벽부 및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를 접속하는 원호 형상 둘레벽부로 구성되는 레버 둘레벽부와, 이 레버 둘레벽부의 부착면 반대측을 덮는 레버 측벽부와, 슈면측 둘레벽부와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와 원호 형상 둘레벽부의 어느 2개 사이에 개설되는 보강 리브부와, 레버 측벽부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피봇축의 관통하는 축구멍과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느슨하게 끼우는 보스 외주면이 형성되는 보스부와, 슈면측 둘레벽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걸어맞춤하는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를 구비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슈면측 둘레벽부의 내측면을 누르는 누름 팔부와 누름 팔부에 연달아 설치하는 권회부와 부착면에 지착되는 지지 팔부를 구비하고 슈면측 둘레벽부와 보강 리브부와 원호 형상 둘레벽부에 의해 구획되는 스프링 수용부내에서 보스부의 보스 외주면에 권회부를 사이에 두고 느슨하게 끼워져,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팔부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에 슈면측 둘레벽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누름 위치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탄발력이 작용하지 않고 부세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보강 리브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걸어멈춤 위치와의 사이에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배치되고,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가 누름 위치와 걸어멈춤 위치와의 사이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팔부와 걸어맞춤하여 스프링 수용부로부터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빠져 나옴을 저지하고 있는 것에 의해, 레버 본체의 레버 둘레벽부에 설치한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레버 본체의 스프링 수납부에 걸어맞춤, 유지되어 탈락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체인용 텐셔너 레버의 장착 작업을 실수 없이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걸어맞춤 리브부의 내측면에 의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회동 도중의 불안정한 상태로 장착해 버릴 우려가 큰 폭으로 경감되어 안정된 상태로 조립 부착할 수 있다.
게다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회동 범위가 슈면측 둘레벽부를 누를 때의 누름 위치로부터 보강 리브부에 접촉하는 걸어멈춤 위치까지로 한정되어 이 회동 범위에서는 스프링 걸어맞춤 리브부에 의해서 탈락하지 않도록 걸어맞춤 유지되어 있고, 걸어멈춤 위치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장착과 탈락을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장착 상태로 상정되는 회동 범위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탈락하는 일이 없고 체인용 텐셔너 레버의 조립부착 작업시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탈락할 가능성을 실제상 거의 없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걸어멈춤 위치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본체 레버에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조립해 넣기 작업을 간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의 선단이 원호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팔부와 걸어맞춤하는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의 선단이 걸어멈춤 위치에 가까워질수록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팔부와 걸어맞춤하는 범위가 작아지고, 걸어멈춤 위치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추는 힘이 미소(微小)하게 되기 때문에, 이 걸어멈춤 위치에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장착 작업을 작업자에 있어서 특히 큰 힘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의 치용 텐셔너 레버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탈착방향으로 넓은 폭이고 회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탈락 방향에 대해서는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가 넓은 폭이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을 당겨 뽑으려고 하는 힘에 대한 강성이 높아져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대한 빠짐방지 기능이 큰 폭으로 강화되는 동시에,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가 파손될 우려를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한 항에 관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부착면에의 레버 본체의 조립부착 장착시에 부착면측에 걸어멈춤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지지 팔부를 삽입통과하는 절결 영역이 스프링 수용부를 구획하는 레버 둘레벽부의 부착면측의 일부에 형성되고, 레버 본체에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 장착시에서의 탄발력에 의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지지 팔부를 걸어넣고 유지하는 걸어맞춤 오목부가 절결 영역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미리 레버 본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장착해 두는 경우에는, 절결 영역의 단부에 형성한 걸어맞춤 오목부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지지 팔부를 걸어넣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탈락을 저지할 뿐만 아니라,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팔부에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를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탈락을 저지한다는 것과 같이 2중으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탈락을 저지한 상태로 체인용 텐셔너 레버의 수납·이송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절결 영역의 걸어맞춤 오목부에 의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걸어맞춤을 떼어내고 조립부착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에 의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탈락을 방지하여, 조립부착 작업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한 항에 관한 발명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보스부에 대해서 권회부를 편심시킨 상태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팔부를 보강 리브부의 내측면에 누른 채로 편의시켰을 때에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에 의해 걸어맞춤되는 누름 위치와 걸어멈춤 위치와의 사이를 벗어난 걸어멈춤 해제 위치까지 이동 가능한 것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끼우고 떼기 가능한 위치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통상 취할 수 없는 위치에서만 가능하게 했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있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간편하게 조립부착 할 수 있는 동시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레버 본체로부터의 빠져나옴·탈락을 한층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체인용 텐셔너 레버의 사용형태도.
도 2는 도 1의 A-A선상에서의 단면시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버 본체의 이면측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위치 상태의 설명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걸어멈춤 위치 상태의 설명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걸어멈춤 해제 위치 상태의 설명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레버 본체의 조립부착시의 스프링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
도 8은 종래 기술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의 사시도.
도 9는 종래 기술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의 조립부착시의 자세 설명도.
도 10은 종래 기술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의 조립부착시에서의 스프링 탈락 상태의 설명도.
본 발명은, 체인을 미끄럼동작 주행시키는 슈면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고 부착면에 세워 설치된 피봇축에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지지되는 레버 본체와, 레버 본체와 부착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슈면을 체인에 내리 누르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체인용 텐셔너 레버에 있어서, 레버 본체가, 슈면이 형성되는 슈면측 둘레벽부와 슈면측 둘레벽부와 대향하는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와 슈면측 둘레벽부 및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를 접속하는 원호 형상 둘레벽부로 구성되는 레버 둘레벽부와, 레버 둘레벽부의 부착면 반대측을 덮는 레버 측벽부와, 슈면측 둘레벽부와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와 원호 형상 둘레벽부의 어느 2개 사이에 개설되는 보강 리브부와, 레버 측벽부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피봇축의 관통하는 축구멍과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느슨하게 끼우는 보스 외주면이 형성되는 보스부와, 슈면측 둘레벽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걸어맞춤하는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를 구비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슈면측 둘레벽부의 내측면을 누르는 누름 팔부와 상기 누름 팔부에 연달아 설치하는 권회부와 부착면에 지착되는 지지 팔부를 구비하고 슈면측 둘레벽부와 보강 리브부와 원호 형상 둘레벽부에 의해 구획되는 스프링 수용부내에서 보스부의 보스 외주면에 권회부를 사이에 두고 느슨하게 끼워져,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팔부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에 슈면측 둘레벽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누름 위치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탄발력이 작용하지 않고 부세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보강 리브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걸어멈춤 위치와의 사이에서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배치되고,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가 누름 위치와 걸어멈춤 위치와의 사이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팔부와 걸어맞춤하여 스프링 수용부로부터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빠져 나옴을 저지하고, 부착면에의 조립부착 작업시에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빠짐을 확실히 저지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간편하게 장착하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형태는 어떠한 것이더라도 아무런 상관없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레버 본체의 구체적인 재료에 대해서는, 체인의 원활한 미끄럼동작 주행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소재이면 어떠한 소재이더라도 좋고,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46수지, 폴리아미드66수지, 폴리 아세탈수지, 유리섬유강화 폴리아미드수지 등의 합성수지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시한 것과 같은 합성수지 재료를 일체 성형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로 성형한 레버 본체의 적어도 체인이 미끄럼접촉하는 표면에 위에 예시한 합성수지재료의 층을 형성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체 레버에 설치되는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에 의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걸어맞춤 형태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의 선단부를 차례차례 좁은 폭이 되도록 하여 걸어멈춤 위치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의 걸어맞춤이 근소하게 되도록 해도 좋다.
게다가, 스프링의 안정 유지성을 중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레버 본체에 설치하는 보강 리브부의 수를 증가하여 원호 형상 둘레벽부와 복수의 보강 리브부에서 보다 작은 스프링 수용부를 구획하도록 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회동 범위를 작게 하거나, 레버 측벽부와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와의 사이의 빈틈을 작게 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삽입과 탈락의 방향에서의 가동 범위를 작게 하거나 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가동 범위가 작아져 위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체인용 텐셔너 레버를 조립부착 체인 전동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상에서의 단면시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버 본체의 이면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누름 위치에 있는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걸어멈춤 위치에 있는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걸어멈춤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의 설명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레버 본체의 조립부착시의 스프링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체인용 텐셔너 레버(100)는, 수지 성형된 레버 본체(110)의 기초단부측을, 엔진 본체의 부착면(R)에 피봇축(P)으로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용 텐셔너 레버(100)는, 레버 본체 (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슈면(S)이, 크랭크축에 부착된 구동측 스프로킷(SP1)과 보기축에 부착된 피동측 스프로킷(SP2)과의 사이에 걸쳐져 있는 체인(C)의 느슨한 쪽의 외주에 미끄럼동작 접촉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미는 힘에 의해서 레버 본체(110)가 피봇축(P) 회전에 체인(C)측으로 회동하는데 힘이 가해져, 슈면(S)이 체인(C)을 눌러 그 느슨함을 방지하고 있다.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본체(110)는, 주위에 레버 둘레벽부 (111)를 구비하고, 부착면과 반대측의 레버 측벽부(112)로 덮이고, 부착면(R)측을 개방한 형상을 하고 있다.
레버 둘레벽부(111)는, 체인(C)을 미끄럼동작 주행시키는 슈면(S)을 갖는 슈면측 둘레벽부(111a), 슈면(S)과 반대측의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111b), 및, 이들 슈면측 둘레벽부(111a)와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111b)와의 사이를 연결하여 원호의 형상의 형상을 나타낸 원호 형상 둘레벽부(11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슈면측 둘레벽부(111a)와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111b)의 사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보강 리브부(113){각각 중앙측 보강 리브부(113a), 꼬리측 보강 리브부(113b)라고 칭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측벽부(112)상의 원호 형상 둘레벽부(116), 슈면측 둘레벽부(111a) 및 중앙측 보강 리브부(113a)에 의해 구획되는 스프링 수용부(130)에는, 피봇축(P)이 관통하는 축구멍(114a)을 갖는 보스부(114)가 레버 측벽부(112)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114)의 부착면(R)과 대향하는 단면은 레버 둘레벽부(111)보다 조금 부착면(R)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레버 본체(110)가 회동할 때에 보스부(114)의 단면 이외의 부분이 부착면(R)에 접촉하는 일은 것은 없고, 보스부(114)에 의해서 레버 본체(110)가 피봇축(P)에 대해서 덜컥거림 없이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피봇축(P)에 형성되어 있는 날밑부(Pc)는, 레버 본체(110)의 피봇축 (P)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보스부(114)의 보스 외주면(114b)은, 축구멍(114a)과 동심(同心)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주위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권회부(121)가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권회부(121)의 한쪽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누름 팔부(122)는, 그 선단부가 부착면(R)측으로 구부러져 슈면측 둘레벽부(111a)의 내측면의 누름 위치(122a)에서 접촉되어 있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권회부(121)의 다른쪽 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팔부(123)는, 원호형상 둘레벽부(116)에 형성된 절결 영역(161a)을 삽입통과하고, 그 선단부가 부착면(R)측으로 구부러져 부착면(R)에 천공된 스프링 부착구멍(sh)에 꽂아 넣어져 있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본체(110)가 부착면(R)에 조립부착된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에는 비틀림 토크에 의한 탄발력이 생기고 있고, 피봇축(P) 주위에 레버 본체(110)를 도 1에서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데 힘을 가하고, 슈면(S)을 사이에 두고 체인(C)의 외주면을 누르고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 둘레벽부(116)에는 축구멍 (114a)의 중심에 대해 대략 60°의 범위에서 절결 영역(116a)이 형성되어 있고, 절결 영역(116a)에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지지 팔부(123)의 탄발력이 작용하는 방향의 단부에는, 지지 팔부(123)를 걸어 넣어 유지하는 원호 형상의 걸어맞춤 오목부(116b)가 스프링 걸어멈춤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오목부(116b)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을 레버 본체(110)내에 조립해 넣은 상태로 지지 팔부(123)를 걸어맞춤 오목부(116b)에 걸어넣게해 둔다.
이것에 의해, 레버 본체(110)를 부착면(R)에 조립부착 작업보다 이전의 단계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이 레버 본체(110)로부터 빠져나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지지 팔부(123)를 걸어맞춤 오목부(116b)로부터 떼어내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에 비틀림 탄발력이 생기지 않은 상태로 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은, 도 5에 도시된 걸어멈춤 위치까지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에 비틀림 탄발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에서, 일정한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슈면측 둘레벽부(111a)의 내측면과 접촉·누르는 누름 위치(122a)와, 스프링 수용부(130)를 구성하는 중앙측 보강 리브부 (113a)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걸어멈춤 위치(122b)까지의 범위에서 자유로이 회동하는 것이다.
또한, 슈면측 둘레벽부(111a)로부터 스프링 수용부(130)내를 향해서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상술한 누름 위치(122a)로부터 걸어멈춤 위치(122b)까지의 회동 범위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누름 팔부(122)와 걸어맞춤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이 스프링 수용부(130)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막고 있다(도 2 참조).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회동 범위를 대략 횡단하는 판 형상의 형상으로서,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 선단부(115a)가 원호 형상으로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있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삽입과 탈락의 방향에는 폭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한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에 의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이 어떠한 탄력으로 자유회동했다고 해도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이 레버 본체(110)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저지되는 동시에,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가 스프링 삽입과 탈락의 방향에는 넓은 폭이 되어 있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빠짐방지 방향에 대해서 높은 강성을 구비하므로, 레버 본체(110)의 조립부착 작업시 등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지지 팔부(123)에 일시적으로 큰 인장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확실히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탈락을 저지하는 동시에,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 등 레버 본체(110)를 손상하는 것도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100)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권회부(121)를 보스부(114)에 대해 편심시키면서, 누름 팔부(122)를 중앙측 보강 리브부(113a)의 내측면에 내리 누른 채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 을 도 6에서의 좌측 하방으로 편의시키면, 누름 팔부(122)의 선단을, 회동 위치(122b)로부터 도 6에서 더 하방에 위치하는 걸어멈춤 해제 위치(122c)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걸어멈춤 해제 위치(122c)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누름 팔부(122)는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에 의한 걸어맞춤 범위를 어긋나므로, 이 위치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을 스프링 수용부(130)에 장착하거나 떼어내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실시예인 체인용 텐셔너 레버(100)에 대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을 조립해 넣는 과정, 및 부착면(R)에 조립부착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을 레버 본체(110)에 조립해 넣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부(114)의 한 쪽으로 치우치게 하고,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의 회동 범위를 넘은 위치에서 스프링 수용부(130)에 삽입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이 스프링 수용부(130)에 수용된다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지지 팔부(123)를 슈면측 둘레벽부(111a)방향으로 회동하고 절결 영역(116a)의 걸어맞춤 오목부(116b)에 지지 팔부(123)를 걸어맞춤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누름 팔부(122)는 슈면측 둘레벽부(111a)의 내측면의 누름 위치 (122a)에 위치하게 되지만, 이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에 비틀림 탄발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이 스프링 수용부(130)내에서 덜컥거리는 일은 없고,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누름 팔부(122)가 스프링 걸어멈춤 보스부(115)에 걸어맞춤되어 빠져나오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지지 팔부(123)가 절결 영역(116a)의 걸어맞춤 오목부(116b)에 걸어넣고, 유지되어 있으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이 레버 본체(110)로부터 빠져나와 탈락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체인용 텐셔너 레버(100)를 일시 스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은 이 상태로 보관·반송하도록 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과 레버 본체(110)가 일체화되어 있어, 이송이나 부품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체인용 텐셔너 레버(100)를 엔진 등의 부착면(R)에 조립부착할 때에는, 부착면(R) 부근에서, 레버 본체(110)에 조립해 넣어진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지지 팔부(123)를 걸어맞춤 오목부(116b)로부터 떼어내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을 부착면(R)에 설치된 스프링 부착구멍(sh)에 꽂아넣은 후, 피봇축(P)을 삽입, 나사 멈춤하여 조립부착 작업이 완료된다.
이러한 조립부착 작업에 있어서, 지지 팔부(123)를 걸어맞춤 오목부(116b)로부터 벗어난 상태에 있을 때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지지 팔부(123)가 작업자의 손을 떠나 자유로운 상태에 있었다고 해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에 의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누름 팔부(122)가 스프링 수용부(130)로부터 빠져나와 탈락하는 것이 저지되기 때문에, 조립부착 작업에서의 번잡함이 경감되어 불필요한 신경을 사용하는일 없이 간편하게 작업을 속행할 수 있다.
이 걸어멈춤 위치(122b)와 걸어멈춤 해제 위치(122c)와의 배치형태에 대해서는, 상술한 방법으로 행하는 것만이 아니라 다른 수법을 강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통상,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권회부(121)의 안지름은 보스 외주면(114b)의 지름과 비교하여 상당한 정도로 여유가 있으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을 장착할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권회부(121)를 보스부 (114)에 대해 경사지게 하여 누름 팔부(122)를 보스부(114)에 최대한으로 접근시켜 위치시켜 삽입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누름 팔부(122)를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의 선단을 회피한 걸어멈춤 해제 위치(122c)(도 6에 도시된 위치와 같은 위치)를 통해 스프링 수용부(130)내에 조립해 넣도록 할 수도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을 레버 본체(110)에 장착할 때는, 작업자가 강제적으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을 통상 취할 수 없는 듯한 위치 혹은 자세를 취하게 하고,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에 의해서 걸어맞춤되는 회동 범위를 넘은 위치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을 삽입하고 탈락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체인용 텐셔너 레버(100)를 조립 부착면에 조립부착 작업에서는 작업중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이 작업자의 손으로부터 멀어졌다고 해도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이 빠져나올 가능성을 근소하게 하고, 게다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을 레버 본체(110)에 장착하는 작업에 대해서는 상술한 걸어멈춤 해제 위치(122c)에서 간단하고 쉽게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권회부(121)의 안지름과 보스부(114)의 바깥지름과의 사이에 설치하는 여유에 관해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여유를 크게 할수록,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편심 범위가 커져 상술한 걸어멈춤 해제 위치(122c)에의 이동이 용이해진다고는 할 수 있지만, 여유를 늘리는 것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덜컥거림의 범위도 증대하고 그 위치의 불안정성도 증대해 버리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이 빠져나올 우려도 증대되는 한편,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여유가 너무 작으면, 상술한 걸어멈춤 해제 위치(122c)에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지 못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장착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여유에 관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회부(121)의 누름 팔부(122)측을 최대한으로 편심시키면서 누름 팔부(122)를 도시하여 하방으로 이동시켰을 때, 즉,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을 한 쪽으로 치우치게 하고 그 누름 팔부(122)를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로부터 최대한으로 이간시켰을 때에, 누름 팔부(122)가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의 걸어맞춤 범위를 벗어난 위치로 이동하는 정도의 것으로 해 두는 것이 적절하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여유의 크기는, 누름 팔부(122)를 걸어맞춤하는 범위를 결정하는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의 크기와 더불어, 체인용 텐셔너 레버(100)의 치수,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탄발력 등을 감안하여, 빠질 가능성과 장착 용이성과의 밸런스를 비교 평가하여 판단한 후, 최적인 값으로 해야 한다.
또한,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가 미소 변형 가능한 합성수지 성의 경우 등은, 예를 들면,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의 선단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서 걸어멈춤 위치(122b)의 단부에 접근하는 것에 따라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누름 팔부(122)와의 걸어맞추는 힘이 작아지도록 하여 걸어멈춤 위치(122b)에도 경미하기는 하지만 걸어맞추는 힘이 작용하도록 해 두고,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에 의한 걸어멈추는 힘이 미소하게 되는 걸어멈춤 위치(122b)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에 힘을 가하여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 (115) 선단을 탄성변형시키면서 누름 팔부(122)에 밀어넣도록 해도 좋고, 이 경우는 걸어멈춤 위치(122b)와 걸어멈춤 해제 위치(122c)와는 기본적으로 같은 위치가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체인용 텐셔너 레버(100)는, 레버 본체(110)가, 슈면(S)이 형성되는 슈면측 둘레벽부(111a)와 슈면측 둘레벽부 (111a)와 대향하는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111b)와 슈면측 둘레벽부(111a) 및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111b)를 접속하는 원호 형상 둘레벽부(116)로 구성되는 레버 둘레벽부(111)와, 이 레버 둘레벽부(111)의 부착면 반대측을 덮는 레버 측벽부(112)와, 슈면측 둘레벽부(111a)와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111b)와의 사이에 개설되는 보강 리브부(113)와, 레버 측벽부(112)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피봇축(P)의 관통하는 축구멍(114a)과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을 느슨하게 끼우는 보스 외주면(114b)이 형성되는 보스부(114)와, 슈면측 둘레벽부(111a)로부터 돌출설치되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과 걸어맞춤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를 구비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 (120)이 슈면측 둘레벽부(111a)의 내측면을 누르는 누름 팔부(122)와 누름 팔부 (122)에 연달아 설치하는 권회부(121)와 부착면(R)에 지착되는 지지 팔부(123)를 구비하고 슈면측 둘레벽부(111a)와 보강 리브부(113)와 원호 형상 둘레벽부(116)에 의해 구획되는 스프링 수용부(130)내에서 보스부(114)의 보스 외주면(114b)에 권회부(121)를 사이에 두고 느슨하게 끼워지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누름 팔부 (122)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비틀림 탄발력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에 슈면측 둘레벽부(111a)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누름 위치(122a)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 (120)에 탄발력이 작용하지 않고 부세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보강 리브부(113)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걸어멈춤 위치(122b)와의 사이에서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배치되고,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가 누름 위치(122a)와 걸어멈춤 위치 (122b)와의 사이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누름 팔부(122)와 걸어맞춤하여 스프링 수용부(130)로부터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빠져 나옴을 저지하고 있는 것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부착면(R)에의 장착 작업에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빠져나옴, 탈락의 우려를 해소하고, 조립부착 작업을 간편화할 수 있는 동시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이 보스부(114)에 대해 권회부(121)를 편심시킨 상태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누름 팔부(122)를 보강 리브부(113)의 내측면에 누른 채로 편의시켰을 때에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에 의해 걸어맞춤되는 누름 위치(122a)와 걸어멈춤 위치(122b)와의 사이를 벗어난 걸어멈춤 해제 위치(122c)까지 이동 가능한 것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을 레버 본체 (110)에 조립해 넣는 작업을 간편화하여, 뛰어난 작업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115)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120)의 삽입과 탈락의 방향으로 넓은 폭으로서 그 강성을 높이고 있으므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 (120)의 빠져 나옴을 보다 확실히 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 (115)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심대하다.
100 : 체인용 텐셔너 레버
110 : 레버 본체
111 : 레버 둘레벽부
111a : 슈면측 둘레벽부
111b :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
112 : 레버 측벽부
113(113a, 113b) : 보강 리브부
114 : 보스부
114a : 축구멍
114b : 보스 외주면
115 :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
115a :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 선단부
116 : 원호 형상 둘레벽부
116a : 절결 영역
116b : 걸어맞춤 오목부
120 : 비틀림 코일 스프링
121 : 권회부
122 : 누름 팔부
122a : 누름 위치
122b : 걸어멈춤 위치
122c : 걸어멈춤 해제 위치
123 : 지지 팔부
130 : 스프링 수용부
P : 피봇축
bh : 볼트구멍
sh : 스프링 부착구멍
S : 슈면
C : 체인
R : 부착면
SP1 : 구동측 스프로킷
SP2 : 종동측 스프로킷

Claims (5)

  1. 체인을 미끄럼동작 주행시키는 슈면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하고 부착면에 세워 설치된 피봇축에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지지되는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와 부착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슈면을 체인에 내리 누르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체인용 텐셔너 레버에 있어서,
    상기 레버 본체가, 상기 슈면이 형성되는 슈면측 둘레벽부와 상기 슈면측 둘레벽부와 대향하는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와 상기 슈면측 둘레벽부 및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를 접속하는 원호 형상 둘레벽부로 구성되는 레버 둘레벽부와, 상기 레버 둘레벽부의 부착 반대면측을 덮는 레버 측벽부와, 상기 슈면측 둘레벽부와 슈면 반대측 둘레벽부와 원호 형상 둘레벽부의 어느 2개 사이에 개설되는 보강 리브부와, 상기 레버 측벽부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상기 피봇축의 관통하는 축구멍과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느슨하게 끼우는 보스 외주면을 형성되는 보스부와, 상기 슈면측 둘레벽부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걸어맞춤하는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상기 슈면측 둘레벽부의 내측면을 누르는 누름 팔부와 상기 누름 팔부에 연달아 설치하는 권회부와 상기 부착면에 지착되는 지지 팔부를 구비하고 상기 슈면측 둘레벽부와 보강 리브부와 원호 형상 둘레벽부에 의해 구획되는 스프링 수용부내에서 상기 보스부의 보스 외주면에 권회부를 사이에 두고 느슨하게 끼워지고,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팔부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힘이 가해질 때에 상기 슈면측 둘레벽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누름 위치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탄발력이 작용하지 않고 부세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상기 보강 리브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걸어멈춤 위치와의 사이에서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가, 상기 누름 위치와 걸어멈춤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팔부와 걸어맞춤하여 상기 스프링 수용부로부터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빠져 나옴을 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텐셔너 레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의 선단이, 원호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텐셔너 레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탈착방향으로 넓은 폭이고 회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텐셔너 레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에의 레버 본체의 조립부착 장착시에 부착면측에 걸어멈춤되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지지 팔부를 삽입통과하는 절결 영역이 상기 스프링 수용부를 구획하는 원호 형상 둘레벽부의 부착면측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 본체에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 장착시에서의 탄발력에 의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지지 팔부를 삽입 유지하는 걸어맞춤 오목부가 상기 절결 영역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텐셔너 레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상기 보스부에 대해서 권회부를 편심시킨 상태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누름 팔부를 보강 리브부의 내측면에 누른 채로 편의시켰을 때에 상기 스프링 걸어멈춤 리브부에 의해 걸어맞춤되는 누름 위치와 걸어멈춤 위치와의 사이를 벗어난 걸어멈춤 해제 위치까지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용 텐셔너 레버.
KR1020110077865A 2010-08-09 2011-08-04 체인용 텐셔너 레버 KR101340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8806A JP5425015B2 (ja) 2010-08-09 2010-08-09 チェーン用テンショナレバー
JPJP-P-2010-178806 2010-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552A KR20120023552A (ko) 2012-03-13
KR101340095B1 true KR101340095B1 (ko) 2013-12-10

Family

ID=4549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865A KR101340095B1 (ko) 2010-08-09 2011-08-04 체인용 텐셔너 레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25015B2 (ko)
KR (1) KR101340095B1 (ko)
CN (1) CN202251761U (ko)
DE (1) DE1020111087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7209B4 (de) 2012-09-24 2021-05-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schuh
CN104981628B (zh) * 2013-02-07 2018-10-26 日本发条株式会社 负载附加装置
JP6294089B2 (ja) * 2014-01-31 2018-03-14 株式会社ニフコ チェーンテンショナおよびチェーンテンショナのねじりコイルばねの取付構造
CN105240470A (zh) * 2014-05-28 2016-01-13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机油泵链条机械张紧器及其组装方法
DE102014211517B4 (de) * 2014-06-17 2023-02-02 Catensys Germany Gmbh Mechanischer Spanner mit verliergesicherter Befestigung einer Drehfeder und Zugmitteltrieb mit einem solchen Spanner
JP6294845B2 (ja) 2015-02-27 2018-03-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JP6444294B2 (ja) 2015-12-24 2018-12-2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CN106406137B (zh) * 2016-09-18 2018-08-24 东营市汉德自动化集成有限公司 一种电气用智能可级联式逻辑控制器
CN109458435A (zh) * 2017-09-06 2019-03-12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机械张紧装置
JP7227742B2 (ja) * 2018-11-14 2023-02-22 大同工業株式会社 チェーン用テンショナ
JP7311781B2 (ja) * 2019-11-06 2023-07-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JP7440738B2 (ja) * 2019-11-21 2024-02-2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JP7440764B2 (ja) 2020-05-14 2024-02-2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JP2023026930A (ja) 2021-08-16 2023-03-0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テンショナレバー
WO2023101657A1 (en) * 2021-11-30 2023-06-08 Borgwarner Inc. Spring structure for mechanical oil pum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2540A (en) 1994-10-24 1997-09-02 Mercedes-Benz Ag Tensioning device for a chai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0274501A (ja) 1999-03-24 2000-10-03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伝動用テンショナレバー
JP2002181146A (ja) 2000-12-19 2002-06-26 Ntn Corp ベルトテンショナ
KR20090043431A (ko) * 2007-10-29 2009-05-0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체인 전동용 텐셔너 레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2540A (en) 1994-10-24 1997-09-02 Mercedes-Benz Ag Tensioning device for a chai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0274501A (ja) 1999-03-24 2000-10-03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伝動用テンショナレバー
JP2002181146A (ja) 2000-12-19 2002-06-26 Ntn Corp ベルトテンショナ
KR20090043431A (ko) * 2007-10-29 2009-05-0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체인 전동용 텐셔너 레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251761U (zh) 2012-05-30
JP2012036996A (ja) 2012-02-23
KR20120023552A (ko) 2012-03-13
JP5425015B2 (ja) 2014-02-26
DE102011108723A1 (de)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095B1 (ko) 체인용 텐셔너 레버
KR20090043431A (ko) 체인 전동용 텐셔너 레버
US10408312B2 (en) Tensioner lever
KR101682039B1 (ko) 체인 텐셔너
JP6105404B2 (ja) 靴紐巻取用リール
US11668373B2 (en) Tensioner lever
JP7212057B2 (ja) 締結装置
JP5969754B2 (ja) 可動部材の組付け構造
JP4718494B2 (ja) ケーブルドラムを収容するためのハウジング
KR102569334B1 (ko) 체인용 텐셔너
JP2006103301A (ja) 統合ロックを備えるバーノブ
GB2348262A (en) Tensioner lever
JP2000257679A (ja) チェーンガイド
US8454462B2 (en) Chain guide mechanism
US11434980B2 (en) Tensioner lever
KR20090074769A (ko) 로킹 표면을 구비한 와이퍼 아암 조립체 및 조립 방법
JP5818525B2 (ja) 精紡スピンドルまたは撚糸スピンドルのためのロック装置
CN113719594A (zh) 链条导件
JPH0219035B2 (ko)
US11326669B2 (en) Chain tensioner and tensioner body
KR200391688Y1 (ko) 착탈가능한 동작레버가 구비된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핸들장치
FR2892663A1 (fr) Consommable pour dispositif d'impression avec bobineaux verrouilles par des ressorts integres
JP6469607B2 (ja) カップホルダー
FR3101384A1 (fr) Module d’embrayag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blocage axial d’un organe de transmission de force par rapport à un porte-disques
JPH0623227Y2 (ja) 可撓性フイラメント式草刈機のヘツ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