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347B1 -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347B1
KR101339347B1 KR1020120060341A KR20120060341A KR101339347B1 KR 101339347 B1 KR101339347 B1 KR 101339347B1 KR 1020120060341 A KR1020120060341 A KR 1020120060341A KR 20120060341 A KR20120060341 A KR 20120060341A KR 101339347 B1 KR101339347 B1 KR 101339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heet
section
glass
mold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테크
Priority to KR102012006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7Press-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4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in machines with moulds fed by s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86H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in general, e.g. bur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093Tools and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re-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in general, e.g. chu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곡면유리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도록, 겹쳐진 한 쌍의 유리시트가 내부에서 이송되고 예열이 이루어지는 예열구간이 형성되며 예열구간에 이어 유리시트의 굽힘성형이 이루어지는 성형구간이 형성되는 이송터널과, 이송터널 내에서 겹쳐진 한 쌍의 유리시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겹쳐진 한 쌍의 유리시트가 놓인 상태로 복수개가 열을 맞추어 컨베이어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이송되는 복수의 운반틀과, 저면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이송터널의 성형구간 내에 위치하며 컨베이어의 상부쪽에서 수직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겹쳐진 유리시트가 저면에 흡착되게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거나 유리시트를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도록 흡배기구멍을 구비하는 상부성형틀과, 오목한 성형면이 형성되고 이송터널의 성형구간 내에 위치하며 상부성형틀의 하부쪽에서 수평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성형틀로부터 겹쳐진 한 쌍의 유리시트가 분리됨에 따라 분리된 유리시트를 받아내고 상부성형틀의 흡배기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유리시트가 오목한 성형면에 밀착되며 굽힘성형되는 하부성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Glass Sheet Bend-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평평한 유리시트를 굽힘 성형하여 곡면유리를 제조하도록 구성한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면유리는 판유리에 비해 역학적 성질과 굽힘 과정에서 거치는 템퍼링과정으로 인하여 충격에도 강할 뿐만 아니라 파손시에도 예리하지 않은 작은 조각들로 부수어짐에 따라 인체에 대한 손상의 우려도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곡면유리는 자동차의 유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평평한 판유리를 굽힘 성형하여 제조하게 된다.
종래 곡면유리를 제조하는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8745호가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8745호에는 유리 시트를 흡입에 의해 가운데가 위로 휘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발명으로서, 유리 시트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위로 향하는 공기흐름을 생성하는 흡입수단이 주위에 장착된 볼록한 상부 형태와, 주면에 개구가 제공되고 개구를 통하여 흡입수단이 제공된 오목한 하부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형태와 하부 몰드는 유리 시트를 압축하기 위해 수직축을 따라 서로를 향해 이동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곡면유리 제조기술은 상부 형태와 하부 몰드의 교합이 이루어지면서 유리 시트를 압축 성형하는 방식으로 곡면유리를 제조함에 따라 상부 형태와 하부 몰드의 부정교합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장치의 파손이나 유리 시트에 대한 불량품이 양산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곡면유리 제조기술은 정확한 교합을 위해서 고정밀도의 제조 및 제어기술이 필요하므로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곡면유리 제조기술은 하부 몰드의 주면에 흡입을 위한 개구가 제공됨에 따라 하부 몰드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상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며 표면정밀도 저하가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 곡면유리 제조기술은 하부 몰드에 형성되는 개구 및 흡입수단이 설치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지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부성형틀에 구비된 흡배기구멍을 통해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유리시트를 흡착하여 들어올리고 흡배기구멍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출함에 따라 상부성형틀로부터 유리시트를 용이하게 분리시키면서 하부성형틀에 밀착시키며 굽힘 성형하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상부성형틀과 하부성형틀이 교합되지 않고도 곡면유리를 간편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는 겹쳐진 한 쌍의 유리시트가 내부에서 이송되고 예열이 이루어지는 예열구간이 형성되며 예열구간에 이어 유리시트의 굽힘성형이 이루어지는 성형구간이 형성되는 이송터널과, 상기 이송터널 내에서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가 놓인 상태로 복수개가 열을 맞추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이송되는 복수의 운반틀과, 저면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터널의 성형구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쪽에서 수직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겹쳐진 상기 유리시트가 저면에 흡착되게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거나 유리시트를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도록 흡배기구멍을 구비하는 상부성형틀과, 오목한 성형면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터널의 성형구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성형틀의 하부쪽에서 수평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성형틀로부터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가 분리됨에 따라 분리된 유리시트를 받아내고 상부성형틀의 흡배기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유리시트가 오목한 성형면에 밀착되며 굽힘성형되는 하부성형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성형틀은 오목한 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이송터널의 성형구간 앞쪽 끝부분 및 뒤쪽 끝부분을 가로막거나 가로막은 상태를 해제하는 한 쌍의 커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에 의하면, 흡배기구멍을 통해 공기를 흡입 및 분출함에 따라 상부성형틀로부터 유리시트를 용이하게 흡착 또는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유리시트를 하부성형틀에 가압하여 굽힘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간편하게 곡면유리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에 의하면, 상부성형틀과 하부성형틀이 교합되면서 유리시트를 가압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정교합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장치의 파손이나 제품불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에 의하면, 하부성형틀에 흡입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공간이 절약되고 구조가 간단해지며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를 나타내는 유리시트에 굽힘성형이 이루어지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부성형틀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부성형틀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에 있어서 흡배기구멍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상부성형틀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부성형틀 및 하부성형틀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에 있어서 커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에 있어서 하부성형틀의 회전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겹쳐진 한 쌍의 유리시트(2)가 내부에서 이송되는 이송터널(10)과, 상기 이송터널(10) 내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20)와, 상기 컨베이어(20)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이송되는 복수의 운반틀(30)과, 상부성형틀(40) 및 하부성형틀(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터널(10)에는 상기 운반틀(30)에 놓여 이송되는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2)를 굽힘성형하기 이전에 예열이 이루어지는 예열구간(11) 및 상기 예열구간(11)에 이어 겹쳐진 한 쌍의 유리시트(2)의 굽힘성형이 이루어지는 성형구간(12)을 구비하도록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이송터널(10)에는 성형구간(12)에 이어 굽힘성형된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2)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냉각구간(13)이 더 구비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송터널(10)의 내부에는 상기 성형구간(12)의 앞쪽 끝부분 및 뒤쪽 끝부분을 가로막거나 가로막은 상태를 해제하는 한 쌍의 커튼(16)이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튼(16)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성형구간(12)과 예열구간(11)의 사이 및 성형구간(12)과 냉각구간(13) 사이에 위치하여 성형구간(12) 내부의 온도를 굽힙성형에 적합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20)는 상기 이송터널(10) 내에서 상기 운반틀(30)을 이송한다.
상기 운반틀(30)은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2)가 놓인 상태로 복수개가 열을 맞추어 상기 컨베이어(20)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이송된다.
상기 유리시트(2) 및 이송터널(10), 이송장치(20), 운반틀(3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성형틀(4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면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터널(10)의 성형구간(12) 내에 위치하며 상기 컨베이어(20)의 상부쪽에서 수직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성형틀(40)에는 한 쌍의 겹쳐진 상기 유리시트(2)가 저면에 흡착되게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거나 유리시트(2)를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도록 흡배기구멍(42)을 구비한다.
상기 흡배기구멍(42)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성형틀(4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흡배기구멍(42)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2)의 모서리 주위 상부쪽에서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성형틀(40)의 상부쪽에는 상기 흡배기구멍(42)와 연통하며 흡배기통로를 형성하도록 덕트(50)가 설치되며 상기 덕트(50)에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흡배기구멍에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공펌프 및 압축공기를 분출시키기 위한 공기압축기 등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상부성형틀(40)에 흡착되는 유리시트(2)는 상기 흡배기구멍(42)으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중단하면 중력에 의해 상부성형틀(4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며, 흡배기구멍(42)으로 압축공기를 분출하여 분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성형틀(6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성형틀(40)의 하부쪽에서 수평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성형틀(60)은 상기 상부성형틀(40)로부터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2)가 분리됨에 따라 전진 이동하여 분리된 유리시트(2)를 받아내고 상기 상부성형틀(40)의 흡배기구멍(50)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2)가 밀착되며 굽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성형틀(60)의 윗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기구멍(62)을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성형틀(60)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한 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대략 180°정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성형틀(60)은 모터(70) 등을 이용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성형틀(60)은 대략 0~180°구간을 왕복회전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360°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하부성형틀(60)이 회전되면, 상기 유리시트(2)의 굽힘성형 과정에서 유리시트(2)의 파손이나 불량으로 인해 잔존하는 파편 등의 잔존물을 아래로 낙하시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잔존물로 인해 제품불량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의 작동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컨베이어(20)에 의해 겹쳐진 한 쌍의 유리시트(2)가 놓인 운반틀(30)이 이송터널(10) 내의 예열구간(11)에서 성형구간(12)쪽으로 전진 이송되면 상기 성형구간(12)의 한쪽 끝부분에 위치한 커튼(20)이 열리고 상기 운반틀(30)은 커튼(16)의 하부를 지나쳐 상부성형틀(4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이송이 정지되며 커튼(16)은 다시 하향 이동하며 닫히게 된다.(도 1 및 도 2, 도 8 참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성형틀(40)은 하향 이동하여 저면이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운반틀(30)에 놓인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2)와 근접하게 되면 상기 흡배기구멍(42)으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에 따라 상기 겹쳐진 한 쌍의 유리시트(2)가 저면에 흡착된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성형틀(40)은 상기 하부성형틀(60)보다 높게 다시 상향 이동되고 상기 하부성형틀(60)은 상부성형틀(40)의 하부쪽으로 전진 이동하게 되며 상부성형틀(40)은 저면에 흡착된 유리시트(2)가 하부성형틀(60)의 윗면과 근접하는 상태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흡배기구멍(52)을 통한 공기의 흡입이 정지되면 한 쌍의 겹쳐진 상기 유리시트(2)는 상기 하부성형틀(40)의 윗면에 놓여지게 되고 흡배기구멍(42)에서는 압축공기의 분출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7 참조)
상기 흡배기구멍(42)으로 압축공기를 분출시키면 분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2)는 하부성형틀(40)의 윗면에 밀착되며 굽힘 성형이 완료된다.(도 2 및 도 3 참조)
상기에서 상부성형틀(40)은 저면에 흡착된 유리시트(2)가 하부성형틀(60)의 윗면과 접촉되기 전에 하향 이동을 멈추게 되며, 상기 유리시트(2)와 하부성형틀(60)의 윗면 사이의 거리는 대략 1~10mm정도 거리를 유지시킨다.
상기 하부성형틀(60)의 윗면에 유리시트(2)를 밀착시켜 유리시트(2)의 굽힘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흡배기구멍(42)을 통한 압축공기의 분출을 멈춘 후 흡배기구멍(42)으로 다시 공기를 흡입하여 유리시트(2)가 상기 상부성형틀(40)의 저면에 흡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성형틀(40)은 일정 높이로 상향 이동되고 하부성형틀(60)은 후진 이동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후진 이동한 하부성형틀(60)은 오목한 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180°회전한 후 다시 윗면을 향하도록 역회전하거나 180°도 더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성형틀(40)은 다시 하향 이동되면서 하부에 위치한 빈 운반틀(30) 상부에 흡착된 유리시트(2)가 근접하게 되면 흡배기구멍(42)을 통한 유리시트(2)의 흡착을 해제하여 빈 운반틀(30)에 내려놓고 다시 상승 이동된다.
상기 굽힘성형된 겹쳐진 한 쌍의 유리시트(2)가 빈 운반틀(30)에 놓여짐에 따라 운반틀(30)은 컨베이어(20)에 의해 계속 전진 이송되고 상기 성형구간(12)을 벗어나서 냉각구간(13)으로 이송된다.
상기 운반틀(30)이 형성구간(12)을 벗어날 때 성형구간(12)의 다른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커튼(16)은 열린 후 운반틀(30)이 통과함에 따라 다시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굽힘성형된 유리시트(2)가 놓여진 운반틀(30)이 성형구간(12)을 벗어남과 동시에 예열구간(11)에 있는 유리시트(2)가 놓여진 운반틀(30)이 다시 상기 상부성형틀(40)의 하부쪽으로 이동하면서 상부성형틀(40) 및 하부성형틀(60)은 상기와 같은 동작을 계속 반복하면서 겹쳐진 한 쌍의 유리시트(2)에 대한 굽힘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2 : 유리시트 10 : 이송터널
11 : 예열구간 12 : 성형구간
13 : 냉각구간 16 : 커튼
20 : 컨베이어 30 : 운반틀
40 : 상부성형틀 42 : 흡배기구멍
50 : 덕트 60 : 하부성형틀
62 : 통기구멍 70 : 모터

Claims (7)

  1. 겹쳐진 한 쌍의 유리시트가 내부에서 이송되고 예열이 이루어지는 예열구간이 형성되며 예열구간에 이어 유리시트의 굽힘성형이 이루어지는 성형구간이 형성되는 이송터널과,
    상기 이송터널 내에서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가 놓인 상태로 복수개가 열을 맞추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일정 간격을 두고 이송되는 복수의 운반틀과,
    저면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터널의 성형구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쪽에서 수직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겹쳐진 상기 유리시트가 저면에 흡착되게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거나 유리시트를 향하여 공기를 분출하도록 흡배기구멍을 구비하는 상부성형틀과,
    윗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터널의 성형구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성형틀의 하부쪽에서 수평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성형틀로부터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가 분리됨에 따라 분리된 유리시트를 받아내고 상부성형틀의 흡배기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유리시트가 윗면에 밀착되며 굽힘성형되는 하부성형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틀은 오목한 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성형틀의 윗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기구멍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구멍은 상기 상부성형틀의 저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구멍은 겹쳐진 한 쌍의 상기 유리시트의 모서리 주위 상부쪽에서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터널의 성형구간 앞쪽 끝부분 및 뒤쪽 끝부분을 가로막거나 가로막은 상태를 해제하는 한 쌍의 커튼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터널에는 상기 성형구간에 이어 굽힘성형된 유리시트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냉각구간이 더 포함되고,
    상기 커튼은 성형구간과 예열구간의 사이 및 성형구간과 냉각구간 사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KR1020120060341A 2012-06-05 2012-06-05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KR10133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341A KR101339347B1 (ko) 2012-06-05 2012-06-05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0341A KR101339347B1 (ko) 2012-06-05 2012-06-05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347B1 true KR101339347B1 (ko) 2013-12-09

Family

ID=4998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341A KR101339347B1 (ko) 2012-06-05 2012-06-05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3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2539A (en) 1992-07-09 1997-04-22 Saint-Gobain Vitrage International Process and device for supporting and transferring glass sheets in a shaping station
JP2005162517A (ja) 2003-12-01 2005-06-23 Asahi Glass Co Ltd 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
KR100631891B1 (ko) 1998-10-21 2006-10-04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판유리 벤딩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2539A (en) 1992-07-09 1997-04-22 Saint-Gobain Vitrage International Process and device for supporting and transferring glass sheets in a shaping station
KR100631891B1 (ko) 1998-10-21 2006-10-04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판유리 벤딩 방법 및 장치
JP2005162517A (ja) 2003-12-01 2005-06-23 Asahi Glass Co Ltd 強化ガラス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4730B1 (ko) 유리 벤딩 장치 및 팬을 이용한 유리 벤딩 방법
US10343852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oriented elements
US20080190143A1 (en) Glass-Bending and Cooling Method and Device Comprising Two Support Trains
CN108517724A (zh) 一体式纸浆模塑成型设备及方法
CN109068889A (zh) 三明治煎饼制造装置
JPWO2010029940A1 (ja) ガラス板の風冷強化装置、及び風冷強化方法
CN209937587U (zh) 一种注塑机
JP2014527796A (ja) 角度付き移送チャンネルにロッド状物品の質量流を充填するためのバルブユニット
KR101339347B1 (ko) 유리시트의 굽힘 성형장치
TWI751044B (zh) 漿料模塑成型系統
KR101339345B1 (ko) 유리시트의 굽힘성형장치
CN213648613U (zh) 一种自动塑料吹瓶机
JP2004122636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用プリフォームのゲートカット装置
WO2023012569A1 (en)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caps
JP3117650B2 (ja) 移送品の除塵装置
US200601211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objects from forming means
JP3512363B2 (ja) プラスチック製成形シートの裁断装置
KR20110112032A (ko) 사출성형기용 성형물 취출 냉각장치
JP2003335534A (ja) ガラス板の曲げ成形方法および装置
CN104708760A (zh) 电熔管自动生产设备
CN1251855C (zh) 可连续成型的瓶体成型机
JP7112404B2 (ja) 成形品の取出装置
CN106045288B (zh) 一种多模成型玻璃钢化设备
CN117446528B (zh) 一种瓶坯成型后输送及转运装置
JP2012165670A (ja) 成形食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