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057B1 -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057B1
KR101338057B1 KR1020080046751A KR20080046751A KR101338057B1 KR 101338057 B1 KR101338057 B1 KR 101338057B1 KR 1020080046751 A KR1020080046751 A KR 1020080046751A KR 20080046751 A KR20080046751 A KR 20080046751A KR 101338057 B1 KR101338057 B1 KR 101338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panel
shaft
fender panel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779A (ko
Inventor
송원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6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057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8Parts or details thereof, e.g. mudguard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63M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펜더패널(100)과 사이드아우터(700) 사이에 설치된 리인포스먼트패널(300)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며, 일단은 일측 플렌지에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 플렌지를 관통하는 축(500), 및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이 펜더패널(100)과 사이드아우터(700) 사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축(500)의 타단에 축(500) 상으로 이동가능하게끔 설치되며 타측 플렌지(320)를 외측에서 가압하여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을 굴곡시킨 후 축(500)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520)를 포함하는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가 소개된다. 그 리인포스먼트에 따르면, 리인포스먼트의 고정을 위하여 테잎실러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부와 축을 이용하여 가압, 굴곡시킴으로써 리인포스먼트를 펜더패널과 사이드아우터 사이에 밀착 고정하게 된다. 이로써 차량의 과격주행시에도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고정부의 조작만으로도 리인포스먼트를 고정할 수 있다.
펜더패널, 사이드아우터, 펜더 리인포스먼트

Description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 {Reinforcement For Fender Panel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펜더패널과 사이드아우터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 펜더부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펜더패널은 차량 도어측 측면에 부착되어 외관을 매끄럽게 하고, 충돌로부터 차량을 보호한다. 이러한 펜더패널의 내측에는 리인포스먼트가 설치되어 차량의 측면 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의 A-필러 부위가 길게 형성되는 디자인이 주로 사용되는데, A-필러가 길게 형성될 경우 A-필러 부위의 펜더패널을 차체에 직접 부착할 수 없어 펜더패널에 리인포스먼트를 삽입하고, 그 리인포그먼트를 통해 상호 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를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펜더패널(10)의 리인포스먼트(30)는 펜더패널(10)과 차량의 사이드아우터 사이에 설치된다. 리인포스먼트(30)는 유동이 없도록 설치되어야 하는데, 완전한 고정을 위하여 테잎실러(32,34,36)와 볼팅을 이용한다. 특히, 펜더패널(10)의 상단부는 차체의 사이드아우터에 직접 마운팅하기가 어려워 테잎실러(32,34,36)를 적극적으로 이용하 고 있다. 펜더패널(10)의 리인포스먼트(30)의 상단부는 양 측단(34,36)이 펜더패널과 테잎실러로 고정되고, 상단(32)은 사이드아우터에 테잎실러로 부착되었다.
그러나 차량의 험로 주행이나 급격한 커브시에는 차체의 뒤틀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테잎실러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 결과 리인포스먼트(30)의 상단부가 떨어져 나가고, 리인포스먼트(30)는 펜더패널(10)과 사이드아우터 사이에서 유동되며 차체의 떨림과 함께 소음을 발생시킨다.
즉, 종래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30)는 펜더패널(10)과 사이드아우터 사이에서 테잎실러(32,34,36)로 마운팅되어, 테잎실러(32,34,36)의 잦은 분리와 분리시 소음의 발생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테잎실러를 사용하지 않고 리인포스먼트를 펜더패널과 사이드아우터 사이에 설치하고, 리인포스먼트의 유동을 방지하여 차량 소음을 감소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는, 펜더패널과 사이드아우터 사이에 설치되며 그 테두리에 플렌지가 형성된 리인포스먼트패널; 상기 리인포스먼트패널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며, 일단은 일측 플렌지에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 플렌지를 관통하는 축; 및 상기 리인포스먼트패널이 펜더패널과 사이드아우터 사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축의 타단에 축 상으로 이동가능하게끔 설치되며 타측 플렌지를 외측에서 가압하여 리인포스먼트패널을 굴곡시킨 후 축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축은 타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이고, 고정부는 너트일 수 있다.
상기 플렌지는 사이드아우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리인포스먼트패널의 굴곡시 플렌지는 사이드아우터에 밀착되고, 리인포스먼트패널의 중앙부는 펜더패널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축은 리인포스먼트패널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고정부는 펜더패널의 조립 후 외부로 노출되는 축의 타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에 따르면, 테잎실러를 사용하지 않고도 리인포스먼트의 상단부를 펜더패널과 사이드아우터 사이에 고정하여 리인포스먼트의 유동이 방지되고, 차량의 소음이 감소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리인포스먼트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는, 펜더패널(100)과 사이드아우터(700, 도 3 참고) 사이에 설치되며 그 테두리에 플렌지(320)가 형성된 리인포스먼트패널(300); 상기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며, 일단은 일측 플렌지에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 플렌지를 관통하는 축(500); 및 상기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이 펜더패널(100)과 사이드아우터 사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축(500)의 타단에 축(500) 상으로 이동가능하게끔 설치되며 타측 플렌지(320)를 외측에서 가압하여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을 굴곡시킨 후 축(500)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520);를 포함한다.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은 테두리를 따라 플렌지(320)가 형성된다. 플렌지(320)는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의 모든 테두리를 두르며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하의 실시예는 상단부를 두르며 형성된 것으로 본다. 도3 을 참고하여 보면,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은 펜더패널(100)과 사이드아우터(700) 사이에 설치되는데, 양 패널 사이에서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이 유동이 없도록 설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을 중앙을 중심으로 굴곡시켜 펜더패 널(100)과 사이드아우터(700) 사이에 밀착되도록 한다.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의 굴곡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일측 플렌지(340)와 타측 플렌지(320)를 관통하는 축(500)을 설치하고, 축의 일측(540)은 일측 플렌지(340)에 고정한다. 타측 플렌지(320)의 단부에는 고정부(520)를 마련하고, 고정부(520)를 이동시켜 플렌지(320)의 외측에서 가압하도록 한다. 고정부(520)의 가압으로 인하여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은 중앙을 기준으로 굴곡된다. 리인포스머트패널(300)이 펜더패널(100)과 사이드아우터(700) 사이에서 꽉 끼어 유동되지 않을 때까지 고정부(520)를 이동시키고, 굴곡이 완료된 후 고정부(520)를 축(500) 상에 고정한다. 고정부(520)가 고정되고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은 굴곡된 상태를 유지하며 유동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상기 축(500)은 타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로, 고정부(520)는 그 수나사에 체결되는 너트(520)로 할 수 있다. 축의 일단(540)이 일측 플렌지(340)에 고정되게끔 축(500)을 설치하고, 너트(520)로 돌려 끼우며 가압시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은 굴곡되고, 돌림을 멈출 경우 너트(520)는 고정되는 것이고 리인포스먼트패널(300)도 굴곡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축의 일단(540)은 볼팅이나 용접 등으로 플렌지(340)에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플렌지(320)는 사이드아우터(700)측으로 절곡되어 형성하고,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이 굴곡되면, 플렌지(320)는 사이드아우터(700)에 밀착되고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의 중앙부는 펜더패널(100)에 밀착되게끔 한다.
도 3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축(500)은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의 상 단부에 설치되고, 고정부(520)는 펜더패널(100)의 조립 후 외부로 노출되는 축(500)의 타단에 설치되게끔 하여 간단히 조립이 가능토록 한다. 상단부에 축(500)을 설정하는 이유는,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의 하단부는 볼트결합 등으로 펜더패널(100)에나 사이드아우터(700)에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A-필러가 긴 경우, 고정이 용이하지 않은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의 상단부를 축(500)과 고정부(520)로 굴곡시켜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의 하단부를 결합한 후, 펜더패널(100)을 사이드아우터(700)에 결합하고, 펜더패널(100)과 사이드아우터(700) 사이로 노출된 축(500)의 너트(520)를 돌려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의 플렌지(320)를 가압한다.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이 굴곡이 충분히 된 후 너트(520)의 돌림을 멈추면,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의 결합은 완료되는 것이고, 차량의 유동시에도 패널간의 간섭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을 상시 실시예에서 살핀 것처럼 굴곡시킬 경우, 플렌지(320)는 상승되어 사이드아우터(700)에 밀착되고,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의 중앙부는 하강하여 펜더패널(100)에 밀착된다.
도 5는 리인포스먼트의 굴곡시 내부응력의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서, 양 측방의 플렌지(320)를 외측에서 가압할 경우 상단 플렌지(360)인 A부분이 사이드아우터(700)에 밀착되고, 중앙인 B부분이 펜더패널(100)에 밀착되는 것을 보여준다. A부분의 경우 14mm로써 가장 많이 상승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양 측의 플렌지(320,340)를 관통하는 축(500)을 설치하고, 외측에서 가압하며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520)를 이용하여 리인포스먼트패널(300) 을 가압, 굴곡시킴으로써, 테잎실러를 사용할 때보다 안정적으로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고정부(520)의 조작만으로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의 고정이 가능하여 조립이 간단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의 설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의 측방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의 응력집중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펜더패널 300 : 리인포스먼트
320 : 플렌지 500 : 축
520 : 고정부 540 : 축의 일단
700 : 사이드아우터

Claims (4)

  1. 펜더패널(100)과 사이드아우터(700) 사이에 설치되며 그 테두리에 플렌지(320)가 형성된 리인포스먼트패널(300);
    상기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되며, 일단은 일측 플렌지에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 플렌지를 관통하는 축(500); 및
    상기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이 펜더패널(100)과 사이드아우터(700) 사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축(500)의 타단에 축(500) 상으로 이동가능하게끔 설치되며 타측 플렌지(320)를 외측에서 가압하여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을 굴곡시킨 후 축(500) 상에 고정되는 고정부(520);를 포함하는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500)은 타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이고, 고정부(520)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320)는 사이드아우터(700)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의 굴곡시, 플렌지(320)는 사이드아우터(700)에 밀착되고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의 중앙부는 펜더패널(10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500)은 리인포스먼트패널(30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고정부(520)는 펜더패널(100)의 조립 후 외부로 노출되는 축(500)의 타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
KR1020080046751A 2008-05-20 2008-05-20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 KR101338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51A KR101338057B1 (ko) 2008-05-20 2008-05-20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51A KR101338057B1 (ko) 2008-05-20 2008-05-20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79A KR20090120779A (ko) 2009-11-25
KR101338057B1 true KR101338057B1 (ko) 2013-12-06

Family

ID=4160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751A KR101338057B1 (ko) 2008-05-20 2008-05-20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0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183U (ko) * 1997-07-31 1999-02-25 양재신 자동차의 사이드아우터 패널 강도 보강구조
JPH11348820A (ja) * 1998-06-15 1999-12-21 Fuji Heavy Ind Ltd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下部結合構造
JP2000177646A (ja) 1998-12-21 2000-06-2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フェンダー後部構造
JP2003118635A (ja) 2001-10-10 2003-04-23 Aska Kk 車体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183U (ko) * 1997-07-31 1999-02-25 양재신 자동차의 사이드아우터 패널 강도 보강구조
JPH11348820A (ja) * 1998-06-15 1999-12-21 Fuji Heavy Ind Ltd 自動車のフロントピラー下部結合構造
JP2000177646A (ja) 1998-12-21 2000-06-2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フェンダー後部構造
JP2003118635A (ja) 2001-10-10 2003-04-23 Aska Kk 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79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15834A (ja) フロントフェンダ構造
JP2006282119A (ja) 車両のルーフサイド部取付構造
JP2011116196A (ja) 車両における樹脂パネルとスティフナとの連結構造
KR101338057B1 (ko)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
JP2015202843A (ja) 車両後部ドア
JP2006001391A (ja) 荷箱アウターフック取付構造
JP2007145102A (ja) 自動車のルーフラック取付け構造
JP2010215114A (ja) フロントフェンダ構造
JP2012076614A (ja) 車両用ドアのパーティションサッシュの取付構造
JP5255481B2 (ja) 車両用ドアフレームのシール構造
JP2010137585A (ja) ガラスランの取付構造
JP5204532B2 (ja) 自動車用ドア構造
JP5024091B2 (ja) グロメット取付構造
KR200457519Y1 (ko) 모터 설치용 클램핑수단
JP2010052563A (ja) 車両用点検孔蓋構造
JP2008012935A (ja) 自動車のリヤ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取付構造
KR200491505Y1 (ko) 버스용 아웃사이드 미러 체결구
JPH082353A (ja) リヤバンパー取付構造
JP2009012586A (ja) 自動車のサッシレスドア構造
JP2008018782A (ja) ディビィジョンバー構造
JP3911661B2 (ja) ドアの艤装サッシュの構造
KR0112685Y1 (ko) 자동차의 측면차체 하부 결합구조
KR100535595B1 (ko) 자동차 도어의 실스트립의 장착 구조
KR20200058795A (ko) 인너리스 b필러 구조
KR20030040669A (ko) 자동차용 번호판의 봉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