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128B1 - 트리신을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트리신을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128B1
KR101337128B1 KR1020120024593A KR20120024593A KR101337128B1 KR 101337128 B1 KR101337128 B1 KR 101337128B1 KR 1020120024593 A KR1020120024593 A KR 1020120024593A KR 20120024593 A KR20120024593 A KR 20120024593A KR 101337128 B1 KR101337128 B1 KR 101337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xiety
tricin
composition
preventing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172A (ko
Inventor
이승헌
정지욱
신범영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128B1/ko
Publication of KR20130103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본계 화합물의 항불안 효과에 관한 것으로서, 트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불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리신을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trici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nxiety}
본 발명은 트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라본계 화합물인 트리신(tricin)의 불안증 개선효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면서 불안을 느끼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이혼과 자녀문제 등 급격히 변하는 가족 관계와 관련하여 불안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불안(anxiety)이란, 광범위하게 매우 불쾌한, 그리고 막연히 불안한 느낌으로, 관련된 신체 증상 (가슴 두근거림, 진땀 등)과 행동 증상 (과민성, 서성댐 등)을 동반하는 것이다( Robert. F. Schmidt. Human physiology, pp366, 1993; 민성길. 최신 정신 의학, pp238-240, 1992; S. V. Argyropoulos, J. J. Sandford, et al., Pharmacol. Ther . 88, pp213-227, 2000). 불안증으로 병원에서 전문적인 정신과 상담치료를 받는 환자도 늘어나고 있으며, 2002년에는 항불안제의 매출도 약 200% 정도 늘어났다고 한다. 이처럼 불안증은 현대인의 정신질환 중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많은 사람들이 이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다.
불안이 있을 때 뇌 전체는 각성 (arousal) 상태에 들어가며, 따라서 말초의 행동, 자율신경계, 감각, 지각 등에 지장이 나타난다. 주로 관계된 기관은 대뇌 변연계 (특히 해마와 대상회), 대뇌 피질 (전두엽, 측두엽), 시상하부, 상행망상체, 뇌하수체 등이고 말초에서는 갑상선과 부신 피질이다. 최근 뇌 영상 연구에 의하면 불안은 오른쪽 반구의 장애와 관련되며 기타 전두엽, 측두엽, 후두엽 장애와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Robert. F. Schmidt. Human physiology, pp366, 1993; 민성길. 최신 정신 의학, pp238-240, 1992).
불안에 대한 치료약물의 연구는 오래된 약물의 재평가 및 적응증의 확대뿐만 아니라 새로운 약물의 개발, 특히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등의 개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유효한 항불안 약물들은 항불안의 효과뿐만 아니라 진정, 금단 현상의 유발 등의 부작용 때문에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상적인 항불안약은 낮 시간에 지나친 졸음을 초래하지 않고 육체적 정신적 의존성을 일으키지 않으며 환자를 침착하게 만드는 것이다. 현재 상용되는 대표적 항불안제는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디아제팜(diazepam), 옥사제팜(oxazepam), 프라제팜(prazepam), 로라제팜(lorazepam), 알프라조람(alprazolam), 헤라제팜(helazepam), 크로나제팜(clonazepam) 등이 있으며, 이들 약물들은 주로 진정 및 수면유도의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윤도준, 정신과약물의 부작용, 대한의사협회지, 38(10), pp1196-1202, 1995년 10월호).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은 가장 흔히 사용하는 항불안제로, 이 약물의 작용기전이 중추신경계에서 대표적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GABA 수용체의 친화력을 증가시켜 인접한 Cl- 통로를 더 자주 열어 Cl- 이온의 투과성을 상승시킨다고 밝혀져 있다. 이 벤조디아제핀은 효과가 즉각 나타나지만 습관성과 중독성이 단점으로 전문의의 치료에 따라 약을 사용하지 않으면 증상이 재발하거나 금단증상이 나타나며, 다른 부작용으로 졸음, 운동실조, 기립성 저혈압, 호흡억제, 두통, 만성수면장애, 간질환 등이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Mary J. Mycek, Richard A, et al., Pharmacology, 2, pp89-93, 2000).
[문헌 1] Robert. F. Schmidt. Human physiology, pp366, 1993; 민성길. 최신 정신 의학, pp238-240, 1992; S. V. Argyropoulos, J. J. Sandford, et al., Pharmacol. Ther . 88, pp213-227, 2000 [문헌 2] Robert. F. Schmidt. Human physiology, pp366, 1993; 민성길. 최신 정신 의학, pp238-240, 1992
본 발명은 트리신(tric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불안증을 개선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1의 플라본계 트리신(tric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1의 플라본계 트리신(tric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2019433872-pat00001

본 발명은 플라본계 화합물의 항불안 효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트리신을 포함한 화합물은 항불안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신경안정효과를 갖는 약학조성물 및 식품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마우스에서 5분 동안 상승된 십자미로 (elevated plus-maze)에서 트리신(tricin)의 투여에 의해 열려 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 또는 출입한 횟수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도 2는 마우스에서 5분 동안 공동판 실험(hole-board test)에서 트리신(tricin)의 투여에 의해 구멍에 머리를 넣은 횟수를 나타낸다.
도 3은 트리신(tricin)의 투여에 의한 근육이완효과를 와이어 실험에서 확인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화학식1의 플라본계 트리신(tric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불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란, 일 구체예에서 항불안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불안을 위한 약학조성물은, 트리신을 유효 성분의 함량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2 내지 50중량%, 0.1 내지 30중량% 또는 0.5 내지 2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적절한 담체, 부형제, 희석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피복정, 환제, 겔, 즙, 유제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점적제, 액제 등의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트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불안증 예방 및 치료 약학조성물의 투여량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0.001 내지 100mg/kg으로, 0.01 내지 70mg/kg으로 또는 0.1내지 50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대상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상기 약학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직장, 정맥, 동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플라본계 트리신(trici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불안 효과를 갖는 식품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화합물을 제공한다. 플라본 계열의 화합물은 우리가 흔히 접하는 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어 활용가치가 높고, 항불안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및 일반 식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본계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항불안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 0.05 내지 10중량% 또는 0.1 내지 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또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 예에서, 상기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조성물은 유기산, 인산염, 항산화제, 유당 카제인, 덱스트린, 포도당, 설탕 및 솔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또는 사과산일 수 있으며, 인산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 로인산염 또는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일 수 있으며, 항산화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 은 아니지만 폴리페놀, 카테킨, 알파-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 토산, 탄닌산 또는 피틴산 등의 항산화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1 내지 20g, 5 내지 12g 또는 6 내지 10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조성물은 트리신 이외에도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감미제 및 천연 감미제 등의 감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화합물은 0 내지 20 중량% 또는 5 내지 15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 일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불안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고형, 분말, 과립, 정제, 환제, 캡슐, 액제 또는 음료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항불안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조성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과자류, 당류, 아이스크림 제품류, 유가공품, 식육제품, 어육제품, 두부 류 또는 묵류, 식용유지류, 면류, 다류, 음료류, 특수영양식품, 건강기능식품, 조 미식품, 얼음, 인삼제품류, 김치절임식품, 건포류, 과일, 야채, 과일 또는 야채의 건조제품, 절단제품, 과일주스, 야채주스, 이들의 혼합주스, 칩류, 면류, 축산가공 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미생물 발효식 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등의 식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예비실시예>
재료 및 통계처리
예비실시예1 . 실험 동물준비
6주령의 ICR 마우스 (28 - 32 g)를 ㈜오리엔트(Seoul, Korea) 사에서 공급받아 제주대학교의 크린 케이지에 약 7일간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 (23 ± 2 ℃), 습도 (55 ± 10 %) 및 명암주기 (12 시간)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예비실시예2 . 통계처리
모든 실험 결과는 일원변량분석(ANOV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유의성이 인정될 경우 집단간 평균비교시험(Student-Newman-Keuls Test)을 사용하여 p < 0.05 수준 이하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예비실시예3 . 실험 시약준비
트리신(tricin)은 발명자가 통상적인 추출법에 의하여 죽엽(Phyllostachydis Folium)으로부터 분리하여 획득하였고, 버스피론(buspirone)은 시그마 사(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사에서, 디아제팜(diazepam)은 대원제약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Tween-80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시약들은 시그마 사(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사에서 수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실시예1 . 불안증 개선 측정
1-1. 상승된 십자미로 (elevated plus-maze) 실험
항불안 약물의 개발은 유용한 동물모델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가능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상승된 십자미로 시험은 불안과 연관된 행동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시험 방법으로 랫트 및 마우스에서 검정된 모델이다(R G. Lister Psychopharmacology. 92, pp180-185, 1987; S. R. Handley, M. D. Tricklebank, Arch Pharmacol. 327, pp1-5, 1995). 본 발명의 트리신의 항불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ICR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승된 십자미로 (elevated plus-maze)실험을 실시하였다(S. R. Handley, M. D. Tricklebank, Arch Pharmacol., 327, pp1-5, 1995).
양성대조군으로는 버스피론(buspirone; 2 mg/kg, i.p)을 실험 0.5시간 전에 투여하였고, 실험군인 트리신은 각각 7.5, 15, 30 mg/kg 용량으로 10% Tween-80(v/v%)에 녹여5 ml/kg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약물 투여는 실험 시작 1시간 전에 투여가 종료되도록 하였으며, 10% Tween-80(v/v%)을 5 ml/kg으로 경구 투여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 군은 10 - 12마리로 하였다.
약물 투여가 종료된 후 각 실험군의 행동변화 측정은 검정색의 아크릴로 제작된 상승된 십자미로 (elevated plus-maze)를 이용하였다. 이 장치는 바닥에서 50 cm 높이에 설치된 십자형 (+) 미로로서, 4개의 통로 가운데 마주보는 2개 (길이 30 cm, 폭 7 cm)는 개방되어 있고, 크기가 동일한 다른 2개의 통로는 높이 20 cm의 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중심 플랫폼은 가로 7 cm 및 세로 7 cm로 하였고, 미로의 중앙부 천장에 비디오카메라를 설치하여 동물의 행동을 기록하였으며 광도는 30 럭스(lux)로 조정하였다. 실험을 시작할 때 마우스는 미로의 중앙에서 열린 공간 쪽으로 머리를 향하게 하여 살며시 내려놓은 다음 미로를 자유롭게 탐색하도록 하였다. 행동은 5분간 관찰하였으며, 마우스가 열려 있는 공간과 닫혀 있는 공간에 머문 시간, 각 공간의 출입 횟수 및 총 이동거리 등을 EthoVision 프로그램(Noldus Information Technology, Wageningen, Netherlands)으로 각각 측정하여 항불안 효과를 확인하였다(S. Pellow, P. Chopin, S. J. Neurosci Methods, 14, pp149-167, 1985). 상승된 십자미로 (elevated plus-maze) 실험의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트리신(tricin)의 실험동물에서 7.5, 15 및 30 mg/kg 용량의 트리신(tricin) 투여군에서open arm에 머무는 시간의 백분율이 대조군의 비율과 비교하여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됨이 관찰되었다(각각 38.1 ± 2.1%, 45.3 ± 3.3%, 42.1 ± 3.2% versus 30.7 ± 1.9%, P> 0.05). 양성대조군인 버스피론(buspirone)투여군에서는55.4 ± 6.0%로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P < 0.05). 또한 open arm에 출입한 횟수의 백분율에서 15 및 30 mg/kg 용량의 트리신(tricin)투여군의 비율이 대조군의 비율과 비교하여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각각 55.5 ± 2.5%, 58.8 ± 3.1%, 56.2 ± 4.2% versus 50.4 ± 1.6%, P > 0.05). 양성대조군인 버스피론(buspirone)투여군에서는 52.7 ± 2.1%로 대조군의 비율보다 유의성 있게 증가하여 불안증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리신은 7.5, 15, 30 mg/kg 투여군에서 열린 공간에 머무른 시간에 대한 백분율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증가하였고(P < 0.05), 열린 공간에 들어간 횟수에 대한 백분율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증가하여(P < 0.05), 본 발명의 화합물이 불안증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 공동판 실험
본 발명의 트리신의 항불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ICR 마우스를 이용하여 공동판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인 트리신은 각 7.5, 15, 30 mg/kg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약물 투여는 실험 시작 1시간 전에 투여가 종료되도록 하였으며, 10% Tween-80을 5 ml/kg으로 경구 투여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 군은 10 - 12마리로 하였다. 약물 투여가 종료된 후 각 실험군의 행동변화 측정은 공동판을 이용하였다. 이 장치는 40 × 40 cm × 2.2 cm 크기의 회색 퍼스펙스 판으로서, 지름 3 cm의 16개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고, 바닥에서 15 cm 높이에 위치해 있다. 행동은 자유롭게 탐색하도록 하여 5분간 관찰하였으며, 마우스가 구멍에 머리를 넣는 횟수를 측정함으로써 약물의 항불안 효과를 평가하였다(J.W. Jung, N.Y. Ahn, J. Ethnopharmacol. 108, pp193-197, 2006).
공동판 (hole-board test) 실험의 결과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트리신의 실험동물에서 열려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의 백분율은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멍에 머리를 넣은 횟수는 대조군에서 9.0 ± 4.3 회였으며, 트리신은 7.5, 15, 30 mg/kg 투여군에서 구멍에 머를 넣은 횟수는 각각 74.50 ± 3.43, 85.50 ± 2.99, 80.25 ± 3.40회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여(P < 0.05), 본 발명의 화합물이 불안증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 이동 활성(locomotor activity) 측정
약물의 효과가 단순한 운동성 변화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오픈 필드 테스트 (open field test)에서 마우스의 이동활성(locomotor activity)을 측정하였다.
이동활성은 자가 제조된 오픈 필드 테스트용 상자에서 측정하였다. 상자는 가로 41.5 cm, 세로 41.5 cm, 높이 43 cm가 되도록 만들었으며, 하나의 상자에서 한 마리씩 측정하였다. 트리신은 7.5, 15, 및 30 mg/kg 용량으로 실험 1시간 전에 경구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으로 10% Tween-80을 5 ml/kg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각 군은 10마리로 하였으며 Ethovision program (Noldus Information Technology, Wageningen, Netherlands)을 이용하여 총 이동거리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 양성 대조군, 실험군 모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험동물간의 운동성에는 변화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1]
Figure 112012019433872-pat00002
* 자료는 평균 ± 표준편차의 형식으로 표현하였고 그룹당 10마리를 사용했다.
1-4. 와이어 실험
신경안정 또는 항불안 효과를 갖는 약물들의 일반적인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는 근육이완 작용이 관찰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방법으로 와이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와이어실험은 ICR 마우스를 이용하여 양쪽에 기둥을 설치하고 바닥으로부터 20 cm의 높이로 하여 직경 1 mm의 와이어를 길이 15 cm로 하여 수평으로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마우스의 꼬리를 들어 와이어 위에서 마우스가 앞발로 와이어를 잡을 수 있도록 한 다음, 꼬리를 아래쪽으로 향하여 놓는다. 실험 측정은 마우스의 앞발을 와이어에 쥐게 한 후 적어도 한쪽 뒷발이 와이어를 쥐거나, 앞발로 10초 이상 와이어에 매달려 있으면 통과로 인정하였다. 대조군, 양성대조군 및 트리신 투여 실험군을 상승된 십자미로 (elevated plus-maze) 실험 완료 후, 5분 간격으로 두번의 와이어 테스트를 실시하여 2회의 평균값을 이용하였다(E. P. Bonetti, L. Pieri, Psychopharmacology(Berl), 78, pp8-18, 1982).
실험결과,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양성대조군인 디아제팜 5 mg/kg 투여군에서 현저한 근육이완작용이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트리신의 모든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어떠한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부작용이 없는 보다 안전한 약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급성독성시험
플라본계 화합물인 트리신의 단회 경구투여에 의한 급성 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0 및 2000mg/kg 용량으로 10마리씩의 ICR계통의 마우스에 단회 경구투여한 후 14일간의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 변화을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 투여 가능 용량인 2000mg/kg에서 사망예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으며, 체중 증가, 사료 섭취량 등에서 전혀 유의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트리신은 안전한 약물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트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불안증 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트리신의 실험동물이 상승된 십자미로에서 열린 공간에 머무는 시간 및 횟수가 증가하고, 공동판 실험에서 구멍에 머리를 넣은 횟수가 증가하여 불안증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오픈필드 테스트에서 운동성에는 변화가 없었고 와이어 실험에서 근육이완작용은 보이지 않았으며, 급성독성실험에서 유의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었는 바 부작용을 관찰할 수 없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플라본 계열 화합물 중 트리신(tricin)이 동물모델에서 탁월한 항불안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하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1. 산제의 제조
트리신(tricin)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2. 정제의 제조
트리신(tricin)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3. 캅셀제의 제조
트리신(tricin)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4. 주사제의 제조
트리신(tricin)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5. 액제의 제조
트리신(tricin)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6. 건강 식품의 제조
트리신(tricin)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7. 건강 음료의 제조
트리신(tricin)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6)

  1. 트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담체, 부형제, 희석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보존제, 방향제 또는 리퀴드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불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의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피복정, 환제, 겔, 즙, 유제, 좌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동결건조제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불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4. 트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유기산, 인산염, 항산화제, 유당 카제인, 설탕,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 감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펙트산염, 알긴산, 알긴산염,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탈크, 비오틴, 엽산, 천연 과일주스,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불안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6.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환제, 액제 또는 음료 형태인 불안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20120024593A 2012-03-09 2012-03-09 트리신을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7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593A KR101337128B1 (ko) 2012-03-09 2012-03-09 트리신을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593A KR101337128B1 (ko) 2012-03-09 2012-03-09 트리신을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172A KR20130103172A (ko) 2013-09-23
KR101337128B1 true KR101337128B1 (ko) 2013-12-05

Family

ID=4945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593A KR101337128B1 (ko) 2012-03-09 2012-03-09 트리신을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335B1 (ko) 2019-12-23 2020-12-07 주식회사 제넨셀 맥아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113B1 (ko) 2004-01-15 2005-01-14 주식회사 유니젠 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신을 포함하는조성물
KR100490799B1 (ko) 2004-06-22 2005-05-19 주식회사 유니젠 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신을 포함하는 식품
KR100646595B1 (ko) 2005-01-08 2006-11-23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죽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신경계 관련 정신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110100064A (ko) * 2010-03-03 2011-09-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을 저해하는 그령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113B1 (ko) 2004-01-15 2005-01-14 주식회사 유니젠 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신을 포함하는조성물
KR100490799B1 (ko) 2004-06-22 2005-05-19 주식회사 유니젠 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신을 포함하는 식품
KR100646595B1 (ko) 2005-01-08 2006-11-23 학교법인 경희대학교 죽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신경계 관련 정신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110100064A (ko) * 2010-03-03 2011-09-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을 저해하는 그령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335B1 (ko) 2019-12-23 2020-12-07 주식회사 제넨셀 맥아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172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780B1 (ko) 숙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60697B1 (ko) 플로로글루시놀 또는 플로로탄닌을 포함하는 가바 a형-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활성용 조성물 및 불안 완화, 경련 개선, 진정 작용, 및 수면 유도 및 개선용 조성물
JP4653269B2 (ja) テアニン含有組成物
KR101207781B1 (ko) 감국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안정 및 뇌신경계 관련 불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52233A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6199491A (ja) 気分状態改善剤
KR20160077727A (ko) 산조인 및 복령의 조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안증 또는 불면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468551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면증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75087B1 (ko) 멀베로푸란 g, 상게논 g 및 상게놀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9967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37128B1 (ko) 트리신을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06529B1 (ko) 우묵사스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821163B2 (ja) ゴシュユ抽出物又はエボジアミ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カフェイン中毒による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KR100646595B1 (ko) 죽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신경계 관련 정신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2356624B1 (ko) 옥시라세탐을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10073653A (ko) 4-o-메틸호노키올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불안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KR100740566B1 (ko) 페닐프로파노이드 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불안 및 기억력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KR101170801B1 (ko) 식욕억제제 조성물
KR101122123B1 (ko) 식욕억제제 조성물
KR20120055159A (ko) 감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불면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US11779626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by using goji berries, mulberries and jujubes
KR20130070371A (ko)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64917A (ko) 원추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230124668A1 (en) Psychological fatigue preventer or impr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