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703B1 - 유가금속 회수용 흡착볼, 그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 - Google Patents

유가금속 회수용 흡착볼, 그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703B1
KR101334703B1 KR1020110145090A KR20110145090A KR101334703B1 KR 101334703 B1 KR101334703 B1 KR 101334703B1 KR 1020110145090 A KR1020110145090 A KR 1020110145090A KR 20110145090 A KR20110145090 A KR 20110145090A KR 101334703 B1 KR101334703 B1 KR 101334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type continuous
continuous desalination
valuable metal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483A (ko
Inventor
황택성
정원호
곽노석
박성규
구진선
박희만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4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703B1/ko
Priority to PCT/KR2011/010360 priority patent/WO2013100236A1/ko
Priority to US13/651,772 priority patent/US8975207B2/en
Priority to JP2012228496A priority patent/JP5591296B2/ja
Publication of KR2013007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4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ion-exchange ext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9/00Separation of different isotopes of the same chemical element
    • B01D59/28Separation by chemical exchange
    • B01D59/30Separation by chemical exchange by ion 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B01D61/44Ion-selective electrodialysis
    • B01D61/46Apparatus therefor
    • B01D61/48Apparatus therefor having one or more compartments filled with ion-exchange material, e.g. electrode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B01D61/44Ion-selective electrodialysis
    • B01D61/46Apparatus therefor
    • B01D61/50Stacks of the plate-and-fram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1Oxides or hyd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16Particle form
    • B01J20/28019Spherical, ellipsoidal or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8Thermal treatment, e.g. calcining or pyrol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85Chemical treatments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007 - B01J20/307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6/00Obtaining alkali,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10Obtaining alkali metals
    • C22B26/12Obtaining lith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6Materials comprising a mixtur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synthetic 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20Heavy metals or 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Inversing pola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2/00Catalyst, solid sorbent, or support theref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 Y10S502/526Sorbent for fluid storage, other than an alloy for hydrogen stor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가 금속 및 자원의 회수를 위한 흡착볼 및 그의 제조방법, 흡착볼을 이용하여 유가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유동형연속탈염모듈 및 이를 장치한 해 유동형 연속 탈염(Flow Through - Continuous Deionization : FT-CDI)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가금속 회수용 흡착볼, 그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 {Microsphere for the adsorption of precious metal and Flow through Continuous Deionization}
본 발명은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Flow through-Continuous deionization ; FT-CDI)를 이용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흡착제 관통형 연속 탈염장치에 사용하는 흡착볼(Microsphere)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가금속과 유가자원을 함유하고 있는 용액에서 유가금속 및 유가자원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수 등에 존재하는 유가금속을 흡착 한 후, 흡착된 흡착볼로부터 유가금속을 연속적으로 모듈을 통과하면서 유가금속 및 자원이 탈착 농축 및 회수할 수 있는 흡착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지구의 약 70%를 차지하는 해수에는 우라늄 (41억 톤) 외에 우리나라 10대 전략 희소 금속인 망간(27억 톤), 몰리브덴(140억 톤), 코발트(1억 4000톤), 텅스텐(1억 4000톤), 티타늄(14억 톤), 리튬(2천억 톤), 마그네슘(1840조 톤), 인듐(272억 톤), 희토류(42억 톤), 크롬(6천 8백만 톤)과 바나듐(27억 톤), 게르마늄(8천만 톤), 비스무스(2천만 톤)등의 약 80여종의 금속이 저농도의 이온형태로 용존되어 있다. 특히 마그네슘(1,840조 톤), 리튬(2천억 톤), 몰리브덴(140억 톤), 우라늄(41억 톤) 등은 상업화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해수로부터 농도가 극히 낮은 리튬, 우라늄과 같은 유가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분리 회수하여 자원화하기 위한 노력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해수 등에 용해되어 있는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경우에는, 유가금속의 농도가 너무 낮아 충분히 농축된 상태의 유가금속이 없기 때문에 과도한 전력의 소모를 가져오는 단점이 있어서 상업적으로 유용한 공정이 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해수 등에 존재하는 유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흡착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가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유동학적 CDI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고농축 해수중의 우라늄과, 리튬 및 고가의 유용금속을 선택적으로 흡착 분리가 가능한 1~2000㎛의 크기를 가지는 유무기복합체 형태의 흡착볼(microsphere)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Li1.33Mn1.67O4나 LimMxM'yM"zO2(단, M은 Co, Ni, Mn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이고, M'는 Al, Cr, V, Fe, Cu, Zn, Sn, Ti, Mg, Sr, B, Ga, In, Si, Ge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이고, M"는 Mg, Ca, B, Ga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이다. 또한, 0.9≤X<1이고, 0.001≤y≤0.5이고, 0≤z≤0.5이고, 0.5≤m이다) 등을 포함한 다양한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알카리 또는 알카리토금속의 복합금속산화물 입자가 분산된 다공성의 흡착볼을 제조하고 이를 이온교환(활성화)시켜 유가금속을 흡착가능하게 하는 흡착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Flow through-Continuous deionization ; FT-CDI)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흡착제 관통형 연속 탈염장치에 사용하는 흡착볼(Microsphere)을 이용한 유가금속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고 또한 흡착제관통형 연속탈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흡착볼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복합금속산화물을 지지체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법의 예로는 고분자 지지체상에 복합금속산화물을 도입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복합금속산화물을 고분자 지지체에 도입하는 여러 방법으로는, 고분자 중합체 단독이나 또는 가교고분자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 가교고분자 지지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교제를 도입함으로써 가교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금속이온을 함유하는 복합금속산화물이 안정하게 고분자의 매트릭스 내에 분산 및 흡착되어질 수 있어서 좋다. 고분자 지지체의 경우에는 금속복합산화물을 분산한 후, 이를 적절히 가열함으로써, 부분 소성하여 다공성을 가지도록 하는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고, 이를 염산등의 산처리하여 이온교환시켜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피어 형태의 흡착볼(ion adsorptive microsphere)을 제조할 수 있다. 완전 소성하는 경우에는 복합금속산화물 입자들간의 접착력이 약하여 장기 사용이 다소 제한되는 점이 있을 수 있지만, 복합금속산화물이 서로 잘 연결되어 강도를 가지는 경우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통상적인 현탁중합법이라면 크게 제한 받지 않으며, 또한 중합단량체 또한 통상의 현탁중합에 채택하는 단량체라면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을 포함하는 스티렌계,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아크릴로니트릴이나 염화비닐등을 사용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가교제로는 디비닐벤젠, 디비닐벤젠, 트리비닐벤젠, 디비닐톨루엔, 디비닐크실렌, 디비닐나프탈렌, 트리비닐나프탈렌, 디이소프로페닐벤젠,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채택하며, 예로는 펜타에리쓰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등의 가교재를 채택할 수 있지만 이 기술 분야에 사용되는 통상의 가교제라면 제한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가교제는 단량체의 중량비에 대하여 0.01~5wt%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하는 예를 들면, 일예로서, 구상의 리튬 이온 흡착제를 제조하기 위해 styrene과 divinyl benzene은 NaOH를 이용해 정제하고 리튬이온을 함유하는 복합금속산화물로서 Li1 .33Mn1 .67O4 등의 리튬이온 등의 이온을 함유하는 복합금속산화물을 단량체 혼합물에 투입하여 충분히 분산한다. 단량체 혼합물은 단량체와 가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현탁제의 함량은 현탁중합의 통상적임 함량으로 투입한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 등의 것을 현탁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승온하면서 충분히 교반한 후, 이를 중합온도에 도달하면, 현탁제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격렬히 교반하면서 투입하여 현탁중합을 개시한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는 중합개시제를 투입하고 필요할 경우 추가의 유기용매, 예를 들면, 톨루엔, 자일렌, 노말헥산, 사이클로헥산 등을 투입할 수 있다.
입자형태의 Li1 .33Mn1 .67O4등의 금속복합산화물은 단량체 혼합용액에 완전히 혼합될 수 있도록 강하게 교반하고 초음파를 이용해 추가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중합한 현탁중합체는 스프레이건조 등의 건조방법을 통하여 건조하고, 200~400도의 온도에서 1~10시간 정도 소성하여 마이크로 사이즈의 마이크로스피어를 제조한다. 통상의 마이크로스피어의 크기는 20~1000마이크론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제조한 마이크로스피어는 해수 등의 매체로부터 유가금속이온을 흡착하기 위하여 염산이나 황산 등의 무기산용액으로 처리하여 이온교환하여 매체 내에 존재하는 유가금속과 이온교환될 수 있도록 산처리 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흡착볼(adsorptive ball)을 제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해수에 용해되어 있는 유가금속을 흡착하여 회수하고 이를 본 발명의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Flow through-Continuous deionization ; FT-CDI)를 이용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흡착제 관통형 연속 탈염장치에 사용하는 흡착볼(Microsphere)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흡착볼을 이용하여 유가금속이온을 흡착하고 이를 FT-CDI 장치를 이용하여 탈착함으로서, 고농도로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흡착볼을 이용하여 유가금속을 흡착하고 이를 CDI셀을 가지는 연속모듈 내로 통과시킴으로서 즉, CDI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극이 극성을 띄게 하여 흡착볼의 내에 흡착된 이온성 물질을 전극 표면에 흡착시켜 회수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DI 장치에 있어서 양극 및 음극의 두 전극 사이로 용존 이온을 함유하는 고농도의 유가금속이온을 함유하는 흡착볼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킬 경우에는 흡착볼의 흡착된 이온이 음이온 성분은 양극에, 양이온 성분은 음극에 흡착되어 농축되며, 두 전극을 단락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면 상기 농축된 이온들이 상기 각 전극으로부터 탈착된게 하여 유가금속 이온을 회수하게 되는 장치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FT-CDI 장치의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극(C,K)으로서 예를 들면 Ti에 Pt를 도금한 전극을 CDI의 전극으로 사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조한 이온흡착볼을 비드공급로를 가지는 비드공급유닛(G)의 금속이온흡착비드의 유입부를 통하여 유입되고 이를 통과하여 양단에 설치된 전극에 의해 양이온과 음이온이 분리되도록 한다. 이어서 비드공급유닛을 통과하는 금속이온흡착비드는 일부 이온이 탈착된 채로 다시 하부의 유출부를 통하여 유출하게 되고, 유출된 것은 반복하여 인접한 또 다른 FT-CDI장치를 통과하거나 또는 동일한 FT-CDI 반복 순환되어 흡착된 유가금속이온을 회수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하는 것은, 본 발명의 FT-CDI 의 비드공급유닛(G)의 각각의 측면에서는 이온분리막(E,I)를 구비하여 음극측에는 양이온분리막을 양극측에는 음이온분리막을 가장자리 주변을 기스켓(F,H)을 매개로 하여 적층되어 결합되도록 하고, 분리막들은 다시 개스켓(D,J)를 매개로하여 전극과 적층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이어서 전극들은 다시 개스켓(B,L)을 매개로 하여 케이스(A,M)에 의해 채결 결합되어 FT-CDI 모듈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FT-CDI모듈 내로 유기금속이 흡착된 흡착볼을 가지는 해수 등의 매개물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유가금속이 전극으로 석출되어 회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FT-CDI에서 흡착볼을 포함하는 유체를 재순환하는 펌프나 관로 등은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다.
기존의 CDI장치에 의해서는 해수 등의 매질에 함유되어 있는 유가금속을 고농도로 농축시겨 회수하지 못하였지만, 본 발명의 유가금속회수 흡착볼을 이용하여 이를 장시간 해수 등에 노출시키거나 인위적으로 해수를 환류시켜 유가금속을 고농도로 흡착볼에 흡착한 경우, 이를 회수하여 FT-CDI모듈내로 흡착볼을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는 경우, 저비용으로 고농도의 유가금속이온을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흡착볼의 전자현미경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흡착볼의 X-선 회절 패턴 분석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리튬이온 흡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따른 리튬이온 흡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실시예 1에 따른 리튬이온 회수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본 발명의 FT-CDI 모듈을 도식화한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것이 아니다.
[ 실시예 1]
흡착볼의 제조
구상의 리튬 이온 흡착제를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과 같이 styrene과 divinyl benzene은 NaOH를 이용해 수분을 제거하고, 리튬이온을 가지는 복합금속산화물로 Li1 .33Mn1 .67O4를(평균입경 60nm) 충분히 분산시켜 준비하였다. 증류수에 상기 스티렌단량체 질량 대비의 0.1%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99%검화도)을 넣어 80℃의 온도에서 충분히 혼합되도록 교반하였다. 준비된 상기 단량체 혼합용액에 단량체 질량대비 0.1% benzoyl peroxide과 10% toluene 을 혼합하였다. 입자형태의 Li1 .33Mn1 .67O4는 monomer 혼합용액에 완전히 혼합될 수 있도록 강하게 교반하고 추가적으로 초음파를 이용해 30분간 분산시켰다. Li1 .33Mn1 .67O4가 첨가된 styrene과 divinyl benzene이 혼합된 용액을 증류수 용액에 천천히 적하시키면서 강력하게 교반하여 현탁중합을 진행하였다.
구상의 리튬 이온 흡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현탁중합의 조건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원활한 중합을 진행하기 위해 80℃를 유지하고 6시간 반응을 진행하였다. 수득한 합성물은 80℃의 오븐에서 12시간 동안 서서히 건조하였다. 미반응 물질과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전기로에서 300℃의 온도로 2시간 소성하였다.
Figure 112011104644410-pat00001
이어서, 상기 제조된 마이크로스피어 구상의 흡착제를 완전히 소성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소성하여 소성된 흡착볼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104644410-pat00002
상기 에서 수득한 구상 흡착볼의 표면 구조를 전자주사현미경(Cold type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통하여 관찰한 사진이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에서 수득한 최종 결과물은 400μm의 크기를 갖는 구상의 형태를 지니고 있어 넓은 표면적을 갖기 때문에 분말흡착제의 흡착효율에 비해 저하되지 않는 흡착볼이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에서 수득한 구상 흡착볼의 결정 구조를 X-선 회절 패턴(Multipurpose X-ray Diffractometer)을 통하여 결정구조를 측정하였다. 상기 X-선 회절 패턴 분석은 10~90 의 2θ의 범위에서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구상 리튬 이온 흡착제의 결정구조를 도 2에서와 같이 X-선 회절 패턴 분석을 실시한 결과 spinel 결정구조의 회절 패턴이 나타났다.
구상 흡착볼의 활성화(이온교환)
이어서, 상기 에서 수득한 구상 흡착볼을 활성화 하기 위하여 산처리 하였다. 산처리는 0.1몰의 HCl 용액 500 ml 에서 100 rpm의 속도로 교반 하는 상태로 24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1회 활성화한 구상 흡착제는 60℃ 오븐에서 4시간 건조한 후 0.1몰의 HCl 용액 500 ml 에서 1회 반응과 같은 속도로 교반하며 24시간동안 2차 활성화 하였다. 2회 활성화한 구상 흡착체는 전과 마찬가지로 60℃ 오븐에서 4시간 건조하고 이어서 다시 0.1몰의 HCl 용액 500 ml 을 이용하여 3회 리튬 이온의 탈착과정을 통하여 구상 흡착볼을 활성화 하였다.
활성화한 구상 흡착볼의 흡착성능 평가
상기에서 제조한 활성화한 구상 흡착볼의 흡착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제조된 구상 리튬 이온 흡착제의 흡착 효율을 측정하였다.
리튬 흡착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리튬 단일 용액은 LiCl 1.234 mg 을 1 L의 증류수에 녹여 0.2 ppm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리튬 단일용액 100 ml 에 리튬 흡착제의 양을 다르게 하여(1g, 2g, 3,g) 제조된 이온 흡착볼을 100 rpm의 속도로 교반해 주면서 120 시간동안 리튬의 흡착을 진행 하였다. 리튬 흡착의 성능측정을 위해 0시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10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120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분취하여 ICP 분석을 통해 흡착된 리튬의 양을 구하였다. 리튬 단일 용액 (Li 0.2 ppm)에서 리튬 흡착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와 같이 리튬 흡착제의 양이 많이 첨가된 리튬 이온 흡착볼일 수록 리튬의 흡착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3 g 의 리튬 흡착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구상 리튬이온 흡착볼의 경우 흡착볼 1 g 당 최대 0.16 ppm의 흡착량을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활성화한 구상흡착볼을 이용하여 인공해수 (Li 2.0 ppm, In 110-1 ppm, Co 310-1 ppm, Na 1.1107 ppm, Mg 1.3106 ppm, Ca 4.2105 ppm)에서 리튬 흡착량을 측정하였다. 리튬 흡착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공해수는 인공해수염(Marine reef salt) 3.64 g 을 증류수 1 L에서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제조된 인공해수 100 ml 에 리튬 이온 흡착볼 1 g 을 넣고 100 rpm의 속도로 교반해 주면서 120 시간동안 리튬의 흡착을 진행 하였다.
리튬 흡착의 성능측정을 위해 0시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10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120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분취하여 ICP 분석을 통해 흡착된 리튬의 양을 구하였다. 인공해수 (Li 0.2 ppm)에서 리튬 흡착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와 같이 리튬 흡착제의 양이 많이 첨가된 리튬 이온 흡착볼일 수록 리튬의 흡착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리튬 단일 용액에서의 흡착 성능과 같이 3 g 의 리튬 흡착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구상 리튬이온 흡착볼이 가장 높은 흡착 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 하였다. 3 g 의 흡착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리튬 이온 흡착볼의 경우 흡착볼 1 g 당 최대 0.15 ppm의 흡착량을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흡착볼을 이용한 FT - CDI 장치를 이용한 리튬이온의 회수
상기에서 리튬 이온이 흡착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구상 활성화된 흡착볼를 FT-CDI 장치를 이용하여 탈착을 진행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구상 리튬 이온 흡착제의 탈착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도 6의 FT-CDI 모듈을 구비한 흡착제 관통형 연속 탈염장치로서 전극은 Ti 기판에 Pt를 도금한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유속 40 ml/min, 전압 5.0 V, 3일간의 공정을 변수로 인공해수 (Li 2.0 ppm, In 110-1 ppm, Co 310-1 ppm, Na 1.1107 ppm, Mg 1.3106 ppm, Ca 4.2105 ppm) 2L에서 20g의 흡착제를 사용하여 탈착량을 측정하였다. 도 5와 같이 구상 리튬 이온 흡착제의 탈착능은 리튬농도 0.2 ppm 의 인공해수에서 흡착제 1g당 리튬 0.14 ppm 으로 90% 이상의 리튬 회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구상 리튬 이온 흡착제의 흡착능을 측정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상 리튬 이온 흡착제는 높은 흡착능을 갖을 뿐 아니라, 구상의 비드형태를 갖고 있어 취급이 용이하여 여러 형태의 흡착 시스템에 적용하여 리튬회수에 대한 효과적인 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금속복합산화물 입자를 단량체 혼합물에 분산하여 중합한 마이크로스피어를 건조하고, 무기산으로 이온교환하여 흡착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흡착볼을 이용하여 유가금속이온을 흡착하는 단계; 및
    상기 유가금속이온이 흡착된 흡착볼을 유동형 연속 탈염 모듈을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유가금속이온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를 이용한 유가금속 회수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형 연속 탈염 모듈은 비드공급유닛, 상기 비드공급유닛의 분리막, 전극을 적층하여 구비하되, 상기 비드공급유닛은 금속이온흡착비드를 유입하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를 이용한 유가금속 회수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형 연속 탈염 모듈은 흡착볼을 반복순환하여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를 이용한 유가금속 회수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형 연속 탈염 모듈은 2이상의 모듈이 연속으로 연결되어 유가금속이온을 회수하는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를 이용한 유가금속 회수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형 연속 탈염 모듈은 비드공급유닛, 상기 비드공급유닛의 분리막, 전극을 적층하여 구비하되, 상기 비드공급유닛은 금속이온흡착비드를 유입하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모듈은 흡착볼을 연속 순환하여 유동하거나 2이상의 모듈이 연속으로 연결되는 모듈을 포함하는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공급유닛과 분리막 및 전극 사이에는 가장자리를 밀봉할 수 있는 개스킷이 적층되어 누출을 방지하는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
KR1020110145090A 2011-12-28 2011-12-28 유가금속 회수용 흡착볼, 그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 KR101334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090A KR101334703B1 (ko) 2011-12-28 2011-12-28 유가금속 회수용 흡착볼, 그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
PCT/KR2011/010360 WO2013100236A1 (ko) 2011-12-28 2011-12-30 유가금속회수용흡착볼, 그의제조방법, 이를이용한 유동형 연속탈염장치
US13/651,772 US8975207B2 (en) 2011-12-28 2012-10-15 Method for manufacturing adsorptive ball for recovering precious metals and flow through-continuous deionization (FT-CDI)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2228496A JP5591296B2 (ja) 2011-12-28 2012-10-16 有価金属回収用吸着ボール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流動型連続脱イオ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090A KR101334703B1 (ko) 2011-12-28 2011-12-28 유가금속 회수용 흡착볼, 그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483A KR20130076483A (ko) 2013-07-08
KR101334703B1 true KR101334703B1 (ko) 2013-12-05

Family

ID=4869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090A KR101334703B1 (ko) 2011-12-28 2011-12-28 유가금속 회수용 흡착볼, 그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75207B2 (ko)
JP (1) JP5591296B2 (ko)
KR (1) KR101334703B1 (ko)
WO (1) WO2013100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4743A (zh) * 2017-12-01 2018-05-11 福建金鑫钨业股份有限公司 一种钠离子特性吸附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485050B (zh) * 2019-01-08 2021-11-02 临沂昊泉硅业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去除杂质的高纯石英砂的循环酸洗方法
CN111646532B (zh) * 2020-06-12 2022-04-29 益阳生力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河水治理用重金属污染修复球及其使用方法
CN115518453A (zh) * 2021-06-25 2022-12-27 江苏鲁汶仪器有限公司 一种减少银刻蚀副产物团聚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6144A (ja) * 2006-11-21 2008-06-05 Teijin Entech Co Ltd リチウム吸着剤を含有する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39516B1 (ko) * 2007-11-29 2010-02-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리튬 망간 산화물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산화물을이용하는 리튬 흡착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6676A (en) 1978-11-22 1981-03-17 Kovach Julius L Process for preparing porous metal oxide beads
JPS61247999A (ja) * 1985-04-26 1986-11-05 旭化成株式会社 改良されたイオン交換樹脂の再生法
JPH0626661B2 (ja) 1989-06-02 1994-04-13 工業技術院長 粒状リチウム吸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回収方法
KR20000012405A (ko) * 1999-12-03 2000-03-06 김광영 금속이온 분리용 이온교환 복합섬유 제조방법
KR101014000B1 (ko) * 2008-08-14 2011-02-14 (주) 시온텍 폴리스티렌 수지 또는 그 유도체들을 이용한 전극용 이온교환용액 조성물 제조 및 이를 포함한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US8741150B2 (en) * 2008-09-29 2014-06-03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s And Mineral Resources Lithium recovery device using separator reservoir, lithium recovery method and lithium adsorption/desorption system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6144A (ja) * 2006-11-21 2008-06-05 Teijin Entech Co Ltd リチウム吸着剤を含有する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39516B1 (ko) * 2007-11-29 2010-02-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리튬 망간 산화물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산화물을이용하는 리튬 흡착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75207B2 (en) 2015-03-10
WO2013100236A1 (ko) 2013-07-04
JP2013139023A (ja) 2013-07-18
US20130277220A1 (en) 2013-10-24
JP5591296B2 (ja) 2014-09-17
KR20130076483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lil et al. Lithium recovery from brine: Recent developments and challenges
Wang et al. Recovery of lithium, nickel, and cobalt from spent lithium-ion battery powders by selective ammonia leaching and an adsorption separation system
Allahkarami et al. Removal of cerium from different aqueous solutions using different adsorbents: A review
Peng et al. Removal of chromium from wastewater by membrane filtration, chemical precipitation, ion exchange, adsorption electrocoagulation, electrochemical reduction, electrodialysis, electrodeionization, photocatalysis and nanotechnology: a review
Qasem et al. Removal of heavy metal ions from wastewater: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review
Orooji et al. Recent advances in nanomaterial development for lithium ion-sieving technologies
Lin et al. Synthesis of polyporous ion-sieve and its application for selective recovery of lithium from geothermal water
US20100307980A1 (en) High capacity adsorption media for separating or removing constitutents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using the adsorption media
Bao et al. Recovery of V (V) from complex vanadium solution using capacitive deionization (CDI) with resin/carbon composite electrode
KR101334703B1 (ko) 유가금속 회수용 흡착볼, 그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유동형 연속 탈염장치
Zhu et al. Adsorption of Cd (II) and Pb (II) by in situ oxidized Fe3O4 membrane grafted on 316L porous stainless steel filter tube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for drinking water treatment
Zheng et al. Dual-functional mesoporous films templated by cellulose nanocrystals for the selective adsorption of lithium and rubidium
US20230406717A1 (en) Process for the removal of fluoride from alkaline hydroxide solutions
JP5250140B1 (ja) 磁性吸着剤粒子
Siekierka Lithium iron manganese oxide as an adsorbent for capturing lithium ions in hybrid capacitive deionization with different electrical modes
Ighalo et al. Utilisation of adsorption as a resource recovery technique for lithium in geothermal water
Wang et al. Highly efficient and selective removal of Pb2+ by ultrafast synthesis of HKUST-1: Kinetic, isotherms and mechanism analysis
Kazi et al. Material design strategies for recovery of critical resources from water
CN108211825B (zh) 一种金属有机骨架复合膜材料及其制备和应用
Wang et al. Preparation of the crosslinked GO/PAA aerogel and its adsorption properties for Pb (II) ions
KR101388916B1 (ko) 탄화법에 의한 다공성 리튬 회수용 흡착볼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038535B (zh) 用于吸附银离子的载带硫脲基团的聚偏氟乙烯分离膜的再生方法
CN115197382B (zh) 一种阳离子共价有机框架的制备方法及其吸附金应用
CN113184921B (zh) 基于含镍污泥的ldh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Bar et al. Applicability of ANN in adsorptive removal of Cd (II) from aqueous s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