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524B1 -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 - Google Patents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524B1
KR101333524B1 KR1020130015442A KR20130015442A KR101333524B1 KR 101333524 B1 KR101333524 B1 KR 101333524B1 KR 1020130015442 A KR1020130015442 A KR 1020130015442A KR 20130015442 A KR20130015442 A KR 20130015442A KR 101333524 B1 KR101333524 B1 KR 101333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tape
base plate
carrier tape
cove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수
정봉희
Original Assignee
황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수 filed Critical 황영수
Priority to KR1020130015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524B1/ko
Priority to PCT/KR2013/007152 priority patent/WO2014035075A1/ko
Priority to CN201380057483.2A priority patent/CN104770077A/zh
Priority to JP2015529665A priority patent/JP2015532786A/ja
Priority to US14/425,321 priority patent/US1055544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86Replacement and removal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포켓에 부품이 적재된 베이스 테이프와 부품을 보호하는 커버 테이프로 이루어진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과정 동안 정해진 위치에서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가 자동으로 분리가 되도록 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 부품 노출 기기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일부 영역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영역에서 커버 테이프의 일부가 자동으로 벗겨지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일부 영역과 서로 다른 높이 차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분리 유닛(12)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일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은 연장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폭이 좁아진다.

Description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DEVICE FOR EXPOSURING CHIP AUTOMATICALLY FOR A FEEDER OF CARRIER TAPE}
본 발명은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포켓에 부품이 적재된 베이스 테이프와 부품을 보호하는 커버 테이프로 이루어진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과정 동안 정해진 위치에서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가 자동으로 분리가 되도록 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 관한 것이다.
다수 개의 전자 부품을 픽업하여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의 정해진 위치에 장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표면 실장 기기(Surface Mounting Device: SMD)라고 한다. 표면 실장 기기에서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부품 공급을 위하여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 또는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을 위한 피더가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피더가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부품을 가진 캐리어 테이프의 투입을 위한 투입 모듈, 투입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분리시키고 부품을 노출시키는 부품 노출 모듈 및 분리된 커버 테이프와 빈 포켓을 가진 베이스 테이프를 배출시키는 배출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을 위한 피더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5-0045862호 ‘부품 장착 기계의 노출 부재 및 테이프 가이드’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설형 팁부에 의하여 커버 테이프의 일부가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되어 가이드 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커버 테이프가 접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테이프 가이드의 노출 부재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을 위한 피더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WO 2005/046302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혀 모양의 엘리먼트, 측방 나이프 형 수단이 제공된 라운딩이 된 첨단부를 가지는 노출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과 관련된 또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등록번호 제0942163호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공급장치’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가이드 부재와 비닐 커버 분리판으로 이루어진 테이프 가이드부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분리된 커버 테이프가 자동으로 접히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또는 공지된 기술에서 개시된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을 위한 피더 또는 피더에 설치된 노출 장치에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또한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처리 과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상기 선행기술 또는 공지된 기술의 경우 커버 테이프를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커버 테이프의 일부가 미리 벗겨져야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피더의 작동 전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대한 장애 요인이 된다. 피더 전체가 자동으로 작동이 되기 위하여 커버 테이프의 분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추가로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적절한 처리 과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에서 제시되지 않는 새로운 피더의 작동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의 분리 및 접힘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된 커버 테이프가 접힌 상태로 베이스 테이프와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부 영역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영역에서 커버 테이프의 일부가 자동으로 벗겨지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부 영역과 서로 다른 높이 차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분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일부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은 연장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폭이 좁아진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리 날은 일정 방향으로 접힘 부분이 분리되도록 유도하는 분리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는 유도 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위쪽 부분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분리 날을 가지는 분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는 위치에서 분리 날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아래쪽 평면에 비하여 미리 결정된 위치만큼 아래쪽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는 분리 날의 한쪽 측면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영역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리 유닛은 분리 날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가 일부가 분리되는 영역과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일부가 분리되지 않는 영역으로 밀려들어 가는 영역을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일부가 분리되는 영역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분리 날 및 분리 날로부터 서로 다른 폭으로 연장되는 연장 가이드를 포함하는 분리 유닛;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밀려들어 가는 영역과 연장 가이드 사이에 형성된 연장 갭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날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마주보는 부분에 대하여 높이 차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는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기 이전에 이송 오차가 보정될 수 있도록 하는 오차 보정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장치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폭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부 영역과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높이 차를 가지면서 커버 테이프의 분리를 개시시키는 분리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는 전자부품을 가진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가 자동으로 벗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피더에 의한 부품 공급의 자동화가 가능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는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처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출 기기는 구조가 간단하면서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면서 유지 비용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노출 기기는 캐리어 테이프의 폭 또는 두께에 관계없이 임의의 캐리어 테이프에 적용이 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의 실시 예에 대한 분해 상태 및 결합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 적용될 수 있는 프레임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 적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 적용되는 분리 유닛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서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서 분리된 커버 테이프가 접히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가이드는 부품 노출 기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거나 부품 노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는 테이프 가이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기기를 의미하거나 또는 테이프 가이드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폭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부 영역과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높이 차를 가지면서 커버 테이프의 분리를 개시시키는 분리 유닛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10)의 실시 예에 대한 분해 상태 및 결합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10)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을 위한 유도 가이드가 형성된 프레임(F); 프레임(F)의 천정 면(F2)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적어도 미리 결정된 부분에서 높이 차이를 가지는 분리 날(121)를 가지는 분리 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전자부품이 수용되는 포켓이 형성된 베이스 테이프 및 베이스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이 되어 베이스 테이프 또는 포켓에 수용된 전자부품을 보호하는 커버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리어 테이프는 수용되는 전자부품의 규격에 따라 정해진 폭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커버 테이프는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적절한 방법에 따라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10)는 임의의 캐리어 테이프에 적용될 수 있고 캐리어 테이프의 종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자동’은 이송 과정에서 별도의 추가적인 공정 또는 수동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테이프를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조절 공정이 요구되지 않고 이송의 진행과 커버 테이프의 벗김(peeling) 또는 분리가 노출 기기의 구조에 의하여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노출 기기가 적용되는 공급 장치에서 일단 캐리어 테이프가 공급 장치 내로 투입이 되면 전자부품이 공급이 되고 빈 포켓을 가진 캐리어 테이프가 배출이 되는 전체 공정을 통하여 임의의 공정에 대한 캐리어 테이프에 대한 추가적인 외부의 공정 과정 또는 개입 행위가 요구되지 않는다.
프레임(F)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측벽(F1), 천정 면(F2) 및 내부 지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F)은 다른 구성 요소를 지지하거나 또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과정에서 이송과 관련된 일정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의 측벽(F1)은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을 위한 유도 가이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측벽(F1)을 기준으로 바닥 면이 형성되어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을 위한 유도 가이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별도로 제조된 유도 가이드가 프레임(F)에 설치될 수 있다.
천정 면(F2)은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천정 면(F2)은 전체적으로 평면 형상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프로킷과 같은 장치에 의하여 캐리어 테이프가 이송이 되는 경우 스프로킷의 일부가 천정 면에 닿는 것이 회피될 수 있도록 하는 회피 영역(16)이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천정 면(F2)에 캐리어 테이프의 위쪽 부분의 돌출을 막으면서 이송을 유도하기 위한 제한 영역이 형성될 수 있지만 제한 영역은 아래에서 설명이 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천정 면(F2)의 아래쪽에 베이스 플레이트(11)가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캐리어 테이프의 위쪽 부분 또는 커버 테이프의 위쪽에 위치하면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을 유도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캐리어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연장이 되는 방향을 따라 폭이 서로 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천정 면(F2)과 별도로 제조되어 천정 면(F2)의 아래쪽 평면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천정 면(F2) 자체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기능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분리 준비 영역(111)을 가질 수 있다.
분리 유닛(12)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분리 준비 영역(111)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캐리어 테이프의 두께 면에 접촉하여 커버 테이프의 분리를 개시시키는 분리 날(121) 및 분리 날(121)로부터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가이드(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 유닛(12)은 전체적으로 판형이 될 수 있고 분리 날(121)는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연장 가이드(122)에 결합되거나 연장 가이드(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천정 면(F2) 자체가 분리 유닛(12)의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실질적으로 천정 면(F2)을 요구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별도로 판 형상의 분리 유닛(12)을 제조하여 측벽(F1)의 위쪽에 천정 면(F2)을 형성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프레임(F), 베이스 플레이트(11) 또는 분리 유닛(12)이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분리 날(121)의 끝 부분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아래쪽 평면, 분리 준비 영역(111)의 적어도 일부 또는 분리 준비 영역(111)의 끝부분과 높이 차를 형성한다. 높이 차는 분리 날(121)의 끝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아래쪽 평면에 비하여 낮게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높이 차는 커버 테이프의 두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커버 테이프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값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분리 날(121)의 끝 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11) 또는 분리 준비 영역(111)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배치, 분리 유닛(12)의 구조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형성된 분리 준비 영역(111)과 분리 날(121)의 높이 차로 인하여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의 자동 벗김 또는 자동 분리가 가능하다.
자동 부품 노출 장치(10)는 추가로 천정 면(F2)에 형성된 전자부품의 픽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품 노출 창(13), 전자부품이 공급된 캐리어 테이프의 배출 과정에서 아래쪽으로 향하는 지지 압력을 가하기 위한 하부 가압 플레이트(15)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유도 가압 면(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커버 테이프가 접히면서 이송이 되도록 하는 연장 갭(G)이 천정 면(F2)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테이프가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되면서 또는 분리 날(121)가 커버 테이프와 베이스 테이프 사이로 삽입이 되면서 이물질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물질의 배출을 위하여 분리 날(121)의 측면에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는 가장자리 쪽으로 배출 홀(18)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 홀(18)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전체적으로 판형을 가지면서 커버 테이프의 분리를 준비하는 분리 준비 영역(111), 분리 준비 영역의 뒤쪽에 형성되어 끝 부분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아래쪽에서 이송되는 캐리어 테이프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는 유도 가압 면(112) 및 분리 준비 영역(111)의 앞쪽으로 형성되어 분리된 커버 테이프가 한쪽 방향으로 밀리면서 접힐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영역(1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베이스 플레이트(11)에 회피 영역(16)에 대응되는 회피 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분리 준비 영역(111)의 양쪽 부분이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가이드 영역(115)이 서로 다른 폭으로 연장이 될 수 있다.
분리 유닛(12)은 분리 날(121)과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가이드(12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장 가이드(122)는 서로 다른 폭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 준비 영역(111)의 끝 부분은 분리 날(121)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그리고 분리 날(121)의 끝 부분은 분리 준비 영역(111)의 끝 부분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 영역(115)과 연장 가이드(122) 사이 또는 가이드 영역(115)이 결합된 천정 면(F2)과 연장 가이드(122) 사이에 연장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 갭(G)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분리된 커버 테이프가 한쪽 가장자리로 밀리면서 접힐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10)에서 커버 테이프가 자동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각각의 구성의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이 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 적용될 수 있는 프레임의 실시 예,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 적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실시 예 그리고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 적용되는 분리 유닛의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므로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반복적으로 설명이 되지 않는다.
도 2a를 참조하면, 테이프 가이드 또는 프레임의 내부에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을 유도하는 유도 가이드(W)가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유도 가이드(W)는 프레임의 한 쌍의 측벽(W)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유도 가이드(W)의 형성 방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배출 홀(18)은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는 위치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한쪽 측벽(F1)에 형성될 수 있고 부품 노출 창(13)의 위치는 커버 테이프가 완전히 벗겨지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가압 플레이트(15)는 전자부품이 공급되어 빈 포켓을 가진 캐리어 테이프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천정 면(F2)에 형성된 연장 갭(G)이 도시되어 있지만 연장 갭(G)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 갭(G)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가이드 영역(115)와 분리 유닛(12)의 연장 가이드(122)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천정 면(F2)과 분리 유닛(12)의 연장 가이드(122)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천정 면(F2) 자체의 분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천정 면(F2)에 형성되는 연장 갭(G)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가이드 영역(115)과 분리 유닛(12)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장 갭(G)의 형상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 갭(G)은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기 시작하는 위치로부터 시작되어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다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 갭(G)의 구조는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는 위치, 커버 테이프의 폭 또는 부품 노출 창(13)과 분리 날 사이의 거리와 같은 것에 의하여 결정이 될 수 있다. 연장 갭(G)은 캐리어 테이프의 포켓이 부품 노출 창(13)에 도달하기 이전에 커버 테이프가 포켓에 수용된 전자부품이 완전히 노출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가질 필요가 있다.
부품 노출 기기(10) 또는 테이프 가이드의 뒤쪽에 캐리어 테이프의 투입을 유도하기 투입 모듈 또는 구동 장치와 같은 것이 연결되고 그리고 부품 노출 기기(10)의 앞쪽에 전자부품이 공급이 된 캐리어 테이프의 배출을 위한 유닛 또는 구동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노출 기기(10)는 임의의 투입 유닛 또는 배출 유닛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분리 준비 영역(111)은 분리 날(121)과 마주보는 대응 면(111a)과 대응 면(111a)의 한쪽 측면에 형성된 돌출 부분(111b)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분(111b)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분리 날(121)의 끝 부분은 캐리어 테이프의 양쪽 가장자리가 지지된 상태에서 여유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서 캐리어 테이프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커버 테이프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다른 한편으로 돌출 부분(111b)은 캐리어 테이프 또는 커버 테이프의 접착된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그 사이 부분이 위쪽으로 볼록한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형상의 분리 준비 영역(111)이 가능하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분리 준비 영역(111)과 유도 가압 면(112) 사이에 오차 보정 영역(114)이 형성될 수 있다. 오차 보정 영역(114)은 예를 들어 캐리어 테이프가 스프로킷과 같은 장치에 의하여 이송이 되는 경우 캐리어 테이프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이송 홀에 스프로킷의 이빨이 맞물리지 않게 되어 발생되는 오차를 보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오차 보정 영역(114)의 공급 장치의 종류에 따라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오차 보정 영역(114)의 형성 여부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오차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경로의 경사로 발생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오차 보정 영역(114)은 임의의 원인으로부터 발생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와 같은 오차 보정 영역(114)의 형성에 의하여 분리 날(121)에 의하여 커버 테이프가 정해진 위치에서 분리가 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오차 보정 영역(114)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 영역(115)은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는 평행 영역(115a)과 폭이 좁아지도록 연장되는 편향 영역(115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행 영역(115a)은 분리가 개시된 커버 테이프의 분리된 부분이 반대편의 분리되지 않는 가장자리로 밀리도록 하는 부분에 해당되고 그리고 편향 영역(115b)은 밀리기 시작한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접힘이 시작되는 영역에 해당된다. 커버 테이프의 밀림 및 접힘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이 된다.
평행 영역(115a) 또는 편향 영역(115b)의 형상에 의하여 위에서 설명된 연장 갭(G)이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평행 영역(115a)와 편향 영역(115b)의 폭 또는 연장 길이는 커버 테이프의 폭 또는 부품이 수용된 포켓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아래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과 함께 커버 테이프를 분리시키고 그리고 접히도록 하는 분리 유닛(12)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분리 유닛(12)은 분리 준비 영역(111)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열되면서 캐리어 테이프와 접촉이 되어 커버 테이프의 분리를 개시시키는 분리 날(121), 분리 날(121)의 앞쪽으로 연장되고 커버 테이프의 접힘 방향을 결정하는 분리 가이드(121a), 분리 가이드(121a)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가이드(122) 및 연장 가이드(122)에 연결되는 밀림 가이드(1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 날(121)는 날카로운 끝을 형성하면서 연장 방향으로 두께 및 폭이 커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베이스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를 분리시킬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분리 날(121)에 의하여 분리가 개시되는 커버 테이프는 분리 가이드(121a)에 의하여 분리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 가이드(121a)는 폭이 넓어지고 그리고 다시 좁아지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폭이 넓어지는 반대 방향을 커버 테이프의 가장 자리가 분리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분리 가이드(121a)는 폭이 넓어지면서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두께의 증가는 위에서 설명한 배출 홀(도 1a 또는 2a 참조)을 통한 이물질의 배출을 위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두께의 증가는 커버 테이프가 분리가 되면서 위쪽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분리 가이드(121a)의 폭이 넓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커버 테이프의 접착 부분은 완전히 분리가 되고 그리고 맞은 편의 접착 부분은 접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캐리어 테이프가 이송이 되면서 분리된 부분의 접착 부분과 맞은 편에 접착이 되면서 접히게 되어 포켓에 수용된 부품을 완전히 노출 시키게 된다.
분리 가이드(121a)에 연결되는 연장 가이드(122)는 일정한 폭으로 연장될 수 있고 커버 테이프의 접힘이 개시되도록 하고 그리고 연장 가이드(122)에 연결되는 밀림 가이드(123)은 폭이 넓어지도록 연장되면서 접힌 상태의 커버 가이드를 연장 갭(G)으로 밀리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접힘 또는 밀림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가이드 영역(115)의 구조 또는 연장 갭(G)의 구조에 의하여 결정되고 실질적으로 연장 가이드(122) 또는 밀림 가이드(123)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가이드 영역(115) 또는 연장 갭(G)의 구조에 따라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연장 가이드(122) 또는 밀림 가이드(123)는 예시적인 것으로 실질적으로 연장 가이드(122) 또는 밀림 가이드(123)는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연장 가이드(122)와 밀림 가이드(123)가 엄격하게 구분될 필요가 없다.
다른 한편으로 제시된 실시 예에서 분리 가이드(121a)가 별도로 설명이 되어 있지만 분리 가이드(121a)는 분리 날(121)의 일부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분리 날(121)의 끝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분리 가이드(121a) 영역이 분리 날(121)에서 엄격하게 구분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는 커버 테이프의 분리 및 부품 노출과 관련된 예를 들어 부품 센서와 같은 장치를 가질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이와 같은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개시하지 않는다. 이는 설명의 간결성을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장치에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F), 베이스 플레이트(11) 또는 분리 유닛(12)이 제시된 기능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도 2a, 도 2b 또는 도 2c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커버 테이프가 베이스 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서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끝 부분, 캐리어 테이프(T1, T2) 및 분리 유닛(12)의 위치 관계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아래쪽에 이송이 되는 캐리어 테이프(T1, T2)가 위치하게 되고 분리 날(121)는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높이(D)만큼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높이(D)는 커버 테이프(T2)의 두께가 되거나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아래쪽 평면으로부터 베이스 테이프(T1)와 커버 테이프(T2)의 경계 면에 이루는 거리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결정된 높이(D)는 커버 테이프(T2)의 두께에 대응되는 값이 될 수 있다.
분리 날(121)의 캐리어 테이프(T)에 대한 수평 위치에 의하여 커버 테이프(T2)의 분리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분리 날(121)의 끝 부분의 수평 위치는 접힘 방향을 고려하여 커버 테이프(T1, T2)의 중앙으로부터 접히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수평 위치의 결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다른 요소는 접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부분이 캐리어 테이프(T1, T2)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되면서 유지되어야 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일정 거리만큼 이동된 다음 포켓에 수용된 부품이 완전히 노출이 될 수 있도록 분리된 접착 부분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거리가 확보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여 분리 날(121)의 수평 위치는 캐리어 테이프(T1, T2)의 중앙 부분에서 예를 들어 캐리어 테이프(T) 폭의 1/20 내지 1/2가 되는 지점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커버 테이프(T2)의 분리되는 부분은 위에서 설명된 분리 가이드(121a)에 의하여 결정이 되므로 수평 위치는 분리 가이드(121a)의 구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3b는 캐리어 테이프(T)로부터 분리 유닛(12)에 의하여 분리가 개시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커버 테이프(T)는 양쪽 가장자리 접촉 부분(A1, A2)를 가지게 되고 분리 날(121)의 앞쪽 부분은 폭 방향으로 일정 지점에서 캐리어 테이프(T)와 접촉하게 된다. 분리 날(121)에 폭 방향으로 편향되어 연장되는 분리 가이드(121a)에 의하여 분리되는 접촉 부분(A1)이 결정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분리 가이드(121a)는 아래쪽 접촉 부분(A1)으로 편향되고 이로 인하여 아래쪽 접촉 부분(A1)이 분리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분리 날(121)에서 분리가 개시되고 그리고 캐리어 테이프(T)의 이동 방향(M)을 따라 폭이 넓어지면서 연장되는 분리 가이드(121a)에 의하여 커버 테이프(T)의 분리 가장자리가 결정되고 그리고 이후 접히는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가이드(121a)의 폭이 커지는 방향의 방향으로 분리가 되고 그리고 맞은 편 가장자리로 커버 테이프가 접히게 된다. 도 3b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커버 테이프가 완전히 분리되고 그리고 위쪽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캐리어 테이프(T)는 이송 홀(H)에 결합되는 스프로킷에 의하여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정해진 방향(M)으로 이동이 될 수 있고 그리고 분리 유닛(12)에 의하여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고 이후 접히게 되면서 포켓에 수용된 전자부품(E)이 노출이 되어 픽업이 될 수 있다.
도 3c 및 도 3d는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고 그리고 접힘이 개시되는 전체적인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캐리어 테이프(T)는 포켓에 전자부품(E)이 수용된 캐리어 테이프(T)는 투입 모듈(도시되지 않음)에 투입이 되어 유도 가이드를 따라 이동이 되어 하부 가압 면(112)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에 도달하게 된다. 이후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유도 가이드 사이를 따라 이송되는 캐리어 테이프(T)는 분리 준비 영역(111)을 지나고 분리 날(121)에 접촉하게 된다.
분리 날(121)의 캐리어 테이프(T)에 대한 수평 위치 또는 분리 가이드(121a)에 의하여 커버 테이프(T2)의 분리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분리 날(121)의 끝 부분의 수평 위치는 접힘 방향을 고려하여 커버 테이프(T1, T2)의 중앙으로부터 접히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분리 가이드(121a)는 분리가 되어야 하는 접착 부분(A1)을 향하여 편향이 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수평 위치의 결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다른 요소는 접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접착 부분(A2)는 캐리어 테이프(T1, T2)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되는 과정에서 유지되어야 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일정 거리만큼 이동된 다음 포켓에 수용된 전자부품(E)이 완전히 노출이 될 수 있도록 분리된 접착 부분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거리가 확보가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다만 커버 테이프(T2)의 분리되는 부분은 위에서 설명된 분리 가이드(121a)에 의하여 결정이 되므로 수평 위치는 분리 가이드(121a)의 구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커버 테이프(T2)가 분리 날(121)에 의하여 한쪽 접착 부분(A1)이 분리되고 그리고 다른 접착 부분(A2)이 접착이 된 상태에서 접힘 가이드(121a)를 지나면서 접히기 시작한다.
도 3d를 참조하면, 분리 지점은 분리 날(121)가 되고 그리고 접힘 개시 지점(SA)은 예를 들어 연장 가이드(122)의 시작 부분이 될 수 있다. 분리가 개시되면서 분리 가이드(121a)의 형상에 의하여 한쪽 접착 부분(A1)은 분리가 되고 그리고 다른 접착 부분(A2)은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커버 테이프(T2)의 중앙 부분이 위쪽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형상으로 연장 갭(G)으로 커버 테이프(T2)가 이동되도록 유도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연장 갭(G)의 초기 위치 및 연장 방향은 볼록한 상태로 유입되면서 이와 동시에 다른 접착 부분(A2)이 접착된 상태로 분리된 접착 부분(A1)이 접힐 수 있도록 설정이 되어야 한다. 또한 접힘이 완료되는 완료 시점에서 접힌 커버 테이프(T2)의 일부가 부품의 픽업에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접힘 개시 부분(SA), 평행 영역(115a) 또는 편향 영역(115b)의 연장 길이 또는 편향 각 또는 연장 갭(G)의 간격은 캐리어 테이프(T)의 폭 또는 커버 테이프(T2)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3d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 테이프(T2)가 분리되고 그리고 접힘이 개시되면서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접착 부분(A2)으로 밀리도록 하기 위하여 밀림 영역(AN)에서 천정 면(F2)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단차(DI)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차(DI)는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연장 부분이 천정 면(F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만드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테이프(T1)의 한쪽 접착 부분(A1)이 완전히 분리가 되도록 하면서 다른 쪽 접착 부분(A2)이 접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접힘 개시 부분(SA)의 설정과 밀림 영역(AN)의 경사 설정 또는 연장 갭(G)의 편향 각이 설계의 주요한 인자가 된다. 접힘 개시 부분(SA) 또는 밀림 영역(AN)의 경사 설정에 의하여 커버 테이프(T2)가 접히게 되면서 한쪽 접착 부분(A2)이 유지된 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접히는 분리된 접착 부분(A1)이 전자부품(E)의 노출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아래에서 커버 테이프(T2)가 적절하게 분리될 수 있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서 분리된 커버 테이프가 접히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프레임의 측벽(F1) 사이에 형성된 유도 가이드(W)를 따라 이동되는 포켓에 부품이 수용된 캐리어 테이프는 유도 가압 면(112)을 통과하면서 유도 가이드(W)의 바닥 면에 안정적으로 밀착이 되어 이송된다. 이후 캐리어 테이프는 분리 준비 영역(111)에 도달하여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분리 날(121)과 접촉하게 되면서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기 시작한다.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분리 준비 영역(111)의 아래쪽 평면은 접촉 영역(C)에서 분리 날(121)에 비하여 높게 위치하게 된다.
분리 날(121)이 베이스 테이프와 커버 테이프 사이로 삽입되면서 분리되기 시작하는 커버 테이프는 캐리어 테이프가 연장 몸체(122)를 통과하면서 접히게 된다. 커버 테이프는 캐리어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양쪽 가장 자리를 따라 접합되어 있고 분리 날(121)이 캐리어 테이프와 접촉하는 시점에서 분리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커버 테이프는 접착된 한쪽 부분에서 분리되면서 접히기 시작하고 접히는 방향은 분리 날(121)의 캐리어 테이프에 대한 접촉 위치 또는 분리 가이드(121a)의 모양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 가이드(121a)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동 방향을 따라 폭이 넓어지면서 연장되고 폭이 커지는 방향에 의하여 커버 테이프의 분리 및 접히는 방향이 결정된다. 분리된 커버 테이프는 분리 가이드(121a)를 지나면서 연장 갭(G)에 의하여 접힘 이 유도된다. 접힘 갭(G)은 천정 면(F2), 가이드 영역(115) 및 연장 가이드 또는 밀림 가이드(1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 갭(G)은 일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고 그리고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정해진 길이만큼 편향이 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연장 갭(G)은 천정 면(F2)을 2개의 부분으로 분리시키면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하여 길이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분리시킬 수 있다. 접힘 갭(G)의 시작 위치는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기 시작하고 부품 노출 창(13)에서 포켓의 전자부품이 완전히 노출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캐리어 테이프의 포켓이 적어도 부품 노출 창(13)에 도달하기 전에 커버 테이프가 완전히 접힌 상태로 되어 부품이 노출될 수 있도록 설정이 될 수 있다. 커버 테이프가 완전히 접힌 상태는 커버 테이프의 한쪽 가장 자리의 접착 부분이 접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분리된 접착 부분이 완전히 접히게 되어 전자부품의 노출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연장 갭(G)은 부품 노출 창(13)의 앞쪽 부분까지 편향이 되도록 연장될 수 있고 그리고 적어도 부품 노출 창(13)이 시작되는 부분 또는 그 앞쪽에서 길이 방향에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연장 갭(G)은 측벽(F1)에 인접하여 연장 방향 또는 측벽(F1)에 평행하도록 연장된다. 부품 노출 창(13)을 통하여 노출된 부품은 픽업이 되어 회로기판으로 전달이 되어 배치가 되고 그리고 빈 캐리어 테이프는 하부 가압 면(15)을 통과하여 배출이 될 수 있다. 한쪽 가장자리가 분리되어 접힌 상태가 되고 그리고 다른 한쪽 가장자리가 접착이 된 상태를 유지하는 커버 테이프는 베이스 테이프와 함께 배출이 되거나 또는 테이프 가이드의 종류에 따라 별도로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접힘 갭(G)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접촉 영역(C)은 분리 개시 위치(S1)과 수평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분리 준비 영역(111)의 끝 부분은 분리 날(121)의 끝 부분과 캐리어의 이송 방향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는 커버 테이프의 분리 개시를 용이하게 하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분리 날(121)의 한쪽 부분은 접착 부분의 분리 가장자리를 결정하기 위하여 편향된 형상을 가지지만(분리 가이드(121a) 참조) 다른 쪽 부분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천정 면(F2)의 연장 방향과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힘 개시 부분(S2)와 분리 개시 부분(S1) 사이에 일정한 수평 거리가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다만 천정 면(F2)과 분리 날(121) 사이의 높이 또는 분리 거리는 임의로 형성될 수 있다.
접힘 및 밀림 구간(S2~S3)은 분리된 커버 테이프가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장자리 부분으로 밀리면서 접히는 구간이 된다. 이로 인하여 부품 노출 창(13)에서 전자부품이 완전하게 노출이 될 수 있다. 접힘 및 밀림 구간(S2~S3)은 접힘의 시작 위치(S1) 및 연장 갭(G)의 경사 또는 편향이 결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연장 갭(G)의 분리 간격이 결정되어야 한다.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플레이트의 편향 영역(115b)은 천정 면(F2)으로부터 연장 가이드(122)의 방향으로 돌출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연장 가이드(122)는 천정 면(F2) 또는 편향 영역(115b)과 적절한 분리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접힘 또는 밀림은 베이스 플레이트, 천정 면(F2) 또는 분리 유닛의 아래쪽 부분의 배치 관계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도 4c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분리 유닛의 아래쪽 부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연장 가이드(122)와 천정 면(F2) 사이에 높이 차 또는 단차(SD)가 형성되어 접힘이 개시되는 부분(P)으로부터 커버 테이프가 접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밀림 위치(P2)에서 커버 테이프가 다시 밀리면서 접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힘이 개시되는 지점(P1)에서 접힘 공간이 단차(SD)에 의하여 접힘 공간이 형성되고 그리고 이후 밀리면서 접히고 이로 인하여 전자부품이 완전히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밀림 및 접힘 공간(P1~P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천정 면(F2)과 연장 가이드(122) 및 밀림 가이드(123)의 배치에 의하여 접힘 공간(P1~P2)에서 단차(SD)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공간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접힘 공간이 충분하다면 이와 같은 공간의 증가는 요구되지 않는다. 그리고 편향 가이드(115)는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다른 쪽 가장자리의 접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커버 테이프가 정해진 방향으로 분리되고 그리고 분리된 커버 테이프가 접히면서 전자부품의 노출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완전한 자동 부품의 노출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는 프레임(F),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분리 유닛(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F)은 측벽(F1) 및 천정 면(F2)을 포함하고 천정 면(F2)에 연장 갭(G) 또는 부품 노출 창(13)과 같은 것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유닛(12)은 분리 날(121) 및 연장 가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별개로 제조되어 서로 결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머리(121)의 일부가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연장 몸체(122)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분리 날(121)와 연장 가이드(122)가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분리 유닛(12)은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프레임(F)의 천정 면(F2)의 아래쪽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천정 면(F2)의 일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1) 또는 분리 유닛(12)의 기능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F)과 베이스 플레이트(11) 또는 분리 유닛(12)의 일부는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는 전자부품을 가진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가 자동으로 벗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피더에 의한 부품 공급의 자동화가 가능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품 노출 기기는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커버 테이프의 처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출 기기는 구조가 간단하면서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면서 유지 비용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노출 기기는 캐리어 테이프의 폭 또는 두께에 관계없이 임의의 캐리어 테이프에 적용이 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자동 부품 노출 기기
11: 베이스 플레이트 12: 분리 유닛
13: 부품 노출 창 15: 하부 가압 면
16: 회피 영역
111: 분리 준비 영역
112: 유도 가압 면 113: 회피 영역
114: 여유 평면 115: 가이드 영역
115a: 평행 영역 115b: 편향 영역
121: 분리 날 121a: 분리 가이드
122: 연장 가이드 123: 밀림 가이드
F: 프레임 F1: 측벽
F2: 천정 면 G: 연장 갭

Claims (8)

  1.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일부 영역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커버 테이프의 일부가 자동으로 벗겨지도록 하는 분리 유닛(12)을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10)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유닛(12)의 끝 부분은 마주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일부 영역에 비하여 커버 테이프의 두께에 의하여 결정되는 크기만큼 아래쪽에 위치하고 그리고 자동으로 벗겨지는 방향에 따라 분리 유닛(12)의 끝 부분의 커버 테이프의 수평 방향에 대한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을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유닛(12)은 캐리어 테이프의 두께 면에 접촉하여 커버 테이프의 분리를 개시시키는 분리 날(121) 및 일정 방향으로 접힘 부분이 분리되도록 유도하는 분리 가이드(121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부품 노출 기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분리 유닛(12)은 끝 부분으로부터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부품 노출 기기.
  6. 캐리어 테이프의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분리 날(121) 및 분리 날(121)로부터 서로 다른 폭으로 연장되는 연장 가이드(122)를 포함하는 분리 유닛(12);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일부와 분리 유닛(12)의 일부 사이에 형성되는 연장 갭(G)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날(121)의 끝 부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캐리어 테이프의 커버 테이프에 대응되는 높이로 아래쪽에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는 분리가 개시된 커버 테이프의 분리된 부분이 분리되지 않는 가장자리로 밀리도록 하는 밀림 영역과 밀린 커버 테이프의 접힘이 개시되도록 하는 접힘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부품 노출 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커버 테이프가 분리되기 이전에 이송 오차가 보정될 수 있도록 하는 오차 보정 영역(114)을 포함하는 자동 부품 노출 기기.
  8.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분리 준비 영역(111)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분리 날(121)과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 가이드(122)로 이루어진 분리 유닛(12)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 날(121)은 분리 준비 영역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아래쪽으로 위치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캐리어 테이프는 이송이 되면서 분리 날(121)에 의하여 자동으로 커버 테이프가 분리가 되면서 이송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
KR1020130015442A 2012-08-31 2013-02-13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 KR101333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442A KR101333524B1 (ko) 2013-02-13 2013-02-13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
PCT/KR2013/007152 WO2014035075A1 (ko) 2012-08-31 2013-08-08 자동 부품 노출 기기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CN201380057483.2A CN104770077A (zh) 2012-08-31 2013-08-08 具有元件自动暴露装置的载带的自动供给设备
JP2015529665A JP2015532786A (ja) 2012-08-31 2013-08-08 自動部品露出機器を含むキャリアテープの自動供給装置
US14/425,321 US10555449B2 (en) 2012-08-31 2013-08-08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carrier tape comprising device for automatically exposing par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442A KR101333524B1 (ko) 2013-02-13 2013-02-13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524B1 true KR101333524B1 (ko) 2013-11-28

Family

ID=4985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442A KR101333524B1 (ko) 2012-08-31 2013-02-13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5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0296A (ja) 2003-11-07 2007-04-19 マイデータ オートメーション アクチボラグ 電子構成部品を露出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140994A (ja) 2007-12-04 2009-06-25 Fuji Mach Mfg Co Ltd 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トップテープ剥離方法および剥離装置
KR101020561B1 (ko) 2010-09-10 2011-03-09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KR101224871B1 (ko) * 2012-08-31 2013-01-25 황영수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0296A (ja) 2003-11-07 2007-04-19 マイデータ オートメーション アクチボラグ 電子構成部品を露出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9140994A (ja) 2007-12-04 2009-06-25 Fuji Mach Mfg Co Ltd 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トップテープ剥離方法および剥離装置
KR101020561B1 (ko) 2010-09-10 2011-03-09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KR101224871B1 (ko) * 2012-08-31 2013-01-25 황영수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1344B2 (ja) フィーダ装置
KR20060121141A (ko) 전자 부품을 노출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5532786A (ja) 自動部品露出機器を含むキャリアテープの自動供給装置
JP2008091672A (ja) 部品供給装置、並びに表面実装機
JP6630914B2 (ja) 部品供給システムおよび部品供給方法
CN107182197B (zh) 载带的部件检测装置以及部件供给装置
JP5487022B2 (ja) 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
JP2016063044A (ja) トップテープ剥離の異常検出機能を備えたテープフィーダ
JP6660686B2 (ja) テーピング装置
KR101333524B1 (ko) 캐리어 테이프 공급 장치를 위한 자동 부품 노출 기기
KR101690581B1 (ko) 부품 공급 유닛
JP6596664B2 (ja) キャリアテープの部品検出装置および部品供給装置
CN106535609B (zh) 部件供给装置以及部件装配装置
KR101080633B1 (ko) 부품 노출부에 복수개의 스프라켓이 설치된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CN112567902B (zh) 拼接带、带判定方法及带判定装置
KR101224871B1 (ko)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JP6603877B2 (ja) キャリアテープの部品検出装置および部品供給装置
JP6582241B2 (ja) キャリアテープの部品検出装置および部品供給装置
JP5054626B2 (ja) 電子部品実装機用のテープ案内ガイド
CN111386756B (zh) 带式供料器
JP6301731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CN112292922B (zh) 供料器
JP7117614B2 (ja) テープ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装置
KR20230031269A (ko) 캐리어 테이프용 피더
JP2022031976A (ja) テープフィ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