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768B1 -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768B1
KR101332768B1 KR1020107022688A KR20107022688A KR101332768B1 KR 101332768 B1 KR101332768 B1 KR 101332768B1 KR 1020107022688 A KR1020107022688 A KR 1020107022688A KR 20107022688 A KR20107022688 A KR 20107022688A KR 101332768 B1 KR101332768 B1 KR 101332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insertion member
vehicle seat
side frame
structur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4027A (ko
Inventor
난다쿠마르 산카란
엘리자베쓰 안 알렌
로버트 마이클 헤일맨
Original Assignee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filed Critical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00134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81Activation of the latches by the control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차량 시트(10)가 시트 등받이로서 사용되는 개선된 시트 프레임 부재(14) 및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연결부(16) 및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8)을 포함한다.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14)는, 비교적 고강도의 강철로 제조되는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 및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연결부(16)에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하고 차량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의 중량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차량 시트(10)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강용 삽입 부재(42)를 가지는 측면 프레임 부재(30)를 포함한다.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14)는 바람직하게는 C-형 레이저 용접 패턴(40)을 이용하여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에 용접되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을 더 포함한다.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8)은 바(56), 제1 및 제2 피벗 핀(62, 64) 및 커넥터(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 {VEHICLE SEAT}
관련 특허 출원의 교차 참조
본 발명은 2008년 3월 12일에 산카란(Sankaran) 등의 이름으로 출원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1/036,036호(발명의 명칭: 차량 시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은 본 명세서체 참조로서 병합된다.
본 발명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시트 구조의 개선에 관련된다. 특히 본 발명은 시트 프레임(seat frame) 및 시트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트랙(track) 및 상기 트랙을 정위치에(in position)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latch)를 위한 액추에이터(actuator)의 개선에 관련된다.
조정가능한 시트 그리고 특히 조정가능한 차량 시트를 제공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차량 내에서 차량 시트의 전-후방 위치(fore-aft position)를 조절하기 위한, 조정가능한 트랙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도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트랙 조립체(track assembly)는 "캡틴 체어(captain's chair)"와 같은 차량 시트 또는 다른 유형의 차량 시트에 대한 전-후방 조정을 제공하는데 있어서의 사용에 대해 알려져 있다. 선형의 조정가능한(linear adjustable) 차량 시트는 승객이 더 안락한 착석 위치를 얻을 수 있게 하며 또한 차량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것을 보조하기 위하여 차량 시트의 뒤에 또는 전방에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다수의 장소에서 차량 시트 위치를 잠그기 위한 래치 메커니즘(latch mechanism)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시트 등받이(seat back)에 대한 조절성(adjustability)을 제공하기 위한 리클라이너(recliner) 래치 메커니즘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래치 메커니즘은 톱니 멈춤쇠(pawl) 및 정 결합(positive engagement) 래치-형태 장치 및 메커니즘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더 적은 중량과 동일한 강도 또는 향상된(증가된) 강도 및 공지된 시트와 비교하여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 시트 성능까지도 가지는 개선된 시트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있어 왔다.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개선된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 및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연결부에 관련된다.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는, 특히, 비교적 고강도의 강철로 제조되는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 및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연결부에 강도 및 강성(rigidity)을 제공하고 차량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의 중량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차량 시트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강용 삽입 부재를 가지는 측면 프레임 부재를 포함한다.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는 또한 차량 시트의 시트 등받이를 피벗 가능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은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연결부를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C-형 레이저 용접 패턴을 이용하여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에 용접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시트는 시트 트랙 조립체 및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 메커니즘은, 특히, 바(bar), 제1 및 제2 피벗 핀 및 커넥터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제1 및 제2 피벗 핀의 원위 단부(distal end)에 체결되며, 시트 트랙 조립체의 이동가능한 트랙 부재 상에 배치되는 구멍에 피벗 핀을 고정시킨다.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 메커니즘은, 래치 메커니즘을 열고(unlock) 이동가능한 트랙 부재를 해제(release)시켜서 이들이 기부(고정 트랙 부재)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차량 시트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래치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도록 설계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차량의 차량 시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차량 시트의 시트 후방 프레임의 측면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차량 시트의 시트 후방 프레임의 측면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 중 하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차량 시트의 시트 후방 프레임의 측면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에 대한 제2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차량 시트의 시트 후방 프레임의 측면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에 대한 제3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측면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의 부분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측면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의 부분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측면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의 부분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을 측면 프레임 부재에 연결하는 레이저 용접 패턴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 7의 측면 부재에 대한 상세 부분도이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측면 프레임 부재 및 측면 프레임 부재의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연결부 및 강화 부재의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의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의 피벗 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3 내지 도 15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커넥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커넥터에 대한 제2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커넥터에 대한 단부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취해진, 도 16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커넥터에 대한 제2 단부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취해진, 도 16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커넥터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21을 전체적으로 참조하면, 개선된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8) 및 리클라이너(recliner) 메커니즘 연결부(16)와 개선된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14)를 구비하는 차량 시트(12)를 가지는 차량(10)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개선된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14) 및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연결부(16)는 시트(12)의 중량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14) 및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연결부(16)의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14) 및 차량 시트(12)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된다.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8)은 차량(10)의 내부에 대해 차량 시트(12)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래치 메커니즘(20)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선된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14) 및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연결부(16)와 개선된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8) 및 방법들은, 많은 분야 및 차량 시트 시스템(예를 들어, 자동차, 트럭, 밴, SUVS, 열차, 비행기, 보트 등등을 위한 전방 시트, 2열 또는 3열 시트, 버킷 시트(bucket seat), 벤치 시트(bench seat) 등등) 그리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형의 개선된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14) 및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연결부(16) 그리고 개선된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8)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다른 비-차량 시트 응용 분야(예를 들어, 극장 좌석, 의사의 의자 등등)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차량 시트(10)가 도시된다. 차량(10)은 차량(10) 승객을 위해 제공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차량 시트(12)를 구비한다. 차량 시트 구조체(12)의 한 가지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된다. 도시된 차량(10)은 4-도어 세단이지만, 차량 시트(12)는, 미니 밴, SUV, 또는 사무실 좌석 및 운송으로부터 비행기 및 우주 여행까지의 모든 것 그리고 이들 사이의 모든 것을 포함하는 어떠한 시장 또는 응용 분야를 위해 누군가 그 안에서 여행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무언가를 운반 또는 운송하는 어떠한 다른 수단에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차량 시트(12)는 시트 등받이(22), 시트 받침(24), 그리고 시트 등받이(22) 및 시트 받침(24)에 결합되는 연결 부재 또는 리클라이너(16)를 포함한다. 차량 시트(12)는 또한 머리 지지대(26) 및 기부 부분(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머리 지지대(26)는 시트 등받이(22)로부터 위로 연장하여 충돌 중에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기부 부분(예를 들어, 트랙 조립체)(28)은 차량 시트(12)를 차량 본체에 결합시키며, 차량 시트(12)를 차량 본체에 대해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제 특히 도 1 내지 11을 참조하면, 독특한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차량 시트 측면 부재(30)가 개시된다. 특히, 각각의 측면 프레임 부재(30)는 서로 거울상이므로, 본 설명은 하나의 측면 프레임 부재(30)에 대해서만 제공될 것이다. 측면 프레임 부재(30)는, 상부 (혹은 하부) 크로스 프레임 부재, 서스펜션 부재, 폼(foam) 쿠션 및 시트 커버(이들 모두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여 시트 후방 프레임(14)에 추가되는 많은 추가적인 장치, 메커니즘, 아이템을 가지는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14)의 일부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측면 프레임 부재(3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를 포함한다.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는 대체로 평평한, 성형된 (통상적으로는 압형(stamp)되나 어떠한 공지된 또는 적절한 성형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금속 부재(formed metallic member)이다.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는 바람직하게 차량 시트(12)의 용도에 적당한 비교적 고-강도 강철로 제조된다. 측면 프레임 부재는 또한 바람직하게 차량 시트(12)의 시트 등받이(22)의 피벗 가능한 조절을 제공하기 위한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을 포함한다.
도 3, 6, 9에 가장 잘 나타나 있듯이,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은 차량 시트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같은 둥근 하트형(heart type)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으로서 개시된다. 둥근 하트형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은 시트 기부(24)에 고정될 기부 플레이트(36)와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된 이동 플레이트(또는 치부(tooth))(38)를 가진다. 도 4, 7, 10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은 C-형 (또는 스테이플(staple)로도 알려짐 레이저 용접 패턴(40)을 이용하는 레이저 용접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비록 간접적이기는 하나) 용접(weld)된다. 특히, 4개의 균일하게 각도를 이루고 이격되는 C-형 용접부(40)가 제공된다. 다른 형태의 레이저 용접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과 더 많거나 적은 용접부가 이용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도 4, 7, 10은 측면 프레임 부재(30)의 교대하는(alternate) 내측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 부재(30)는 둥근 하트형 리클라이너 메커니즘을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와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보강 삽입 부재(42)를 더 포함한다. 삽입 부재(42)는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의 내측 내에 맞춰지는 대체로 평평한 부재이며, 대체로 직각을 이루는(square) 단부를 가지는 제1, 상부 단부와 둥근 하트형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의 외형과 상보적인, 대체로 둥근 형태를 가지는 제2, 하부 단부를 가진다. 보강 삽입 부재(42)는 한 쌍의 측면으로 위치하는 연장 플랜지(44)를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연장 플랜지는 대체로 평평한 부분에 대해 실질적인 직각 방향으로 제1, 상부 단부로부터 제2, 하부 단부를 향해서 적어도 상부의 C-형 레이저 용접 접합부(46) 아래의 지점까지 연장한다. 측면으로 위치하는 연장 플랜지는 상부의 C-형 레이저 용접 접합부를 넘어서 연장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결정되었는데, 이는 대략 이러한 위치 넘어서는 측면으로 위치한 연장 플랜지가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에 매우 한정된 보강만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도 11은 보강 삽입 부재(42), 둥근 하트형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 그리고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의 연결을 더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개시된 바와 같이 둥근 하트형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과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를 연결하는데 있어서 보강 삽입 부재(42)를 이용하게 되면, 전체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를 더 두껍게 하여 추가되는 불필요한 질량을 가지지 않고도 둥근 하트형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과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 사이에 충분히 큰 강도의 연결부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보강 삽입 부재(42)는, 대안적으로, 도 4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체로 평평한 영역의 업셋(upset)으로서 내부에서(in-board) 연장하는 보강용 돌출부(4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강용 돌출부(48)는 제1, 상부 단부 부근의 위치로부터 C-형 레이저 용접부(40)의 연결 영역 위의 위치로 더 연장한다. 2개의 보강용 돌출부(48)가 보강 삽입 부재(42)의 전체적인 중심선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제 도 12 내지 21, 특히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 시트(12)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 트랙 조립체(28)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공지의 액추에이터(또는 릴리스(release) 시스템)(18)이 도시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8)는 래치 메커니즘(20)을 열고(unlock) 이동가능한 트랙 부재(50)를 해제하여 이것이 기부(통상적으로 제2 트랙 부재)(52)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래치 메커니즘(20)을 작동시킨다. 액추에이터(18)가 해제되면, 통상적으로 래치 메커니즘(20) 내의 (스프링과 같은) 편향 부재(54)가, 래치 메커니즘(20)을 강제하여 기부(52)에 대해 이동가능한 트랙 부재(50) 다시 맞물리고 잠그도록 한다. 도 12의 액추에이터(18)는 차량 시트(12) 및 트랙 조립체(28) 내에 설비를 제공하기 위한 외형(contour)을 구비하는 대체로 U-형 형상을 가지는 피벗 가능한 바(bar)(56)(일반적으로는 차량 시트 분야에서 타월 바(towel bar)라고 언급됨)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18)는 바(56)의 측면 또는 레그(leg)에 결합되어 타월 바(56)를 피벗시키도록 트랙 부재(50, 52) 내에 삽입되는, 둥근 로드(rod) 형태를 가지는 횡단 부재(58)를 포함한다. 횡단 부재(58)는 통상적으로 단단한 금속 재질이며 차량 시트(12) 아래의 공간을 차지한다.
도 13 및 도 14는 한 가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차량 시트(12)를 지지하기 위하여 트랙 조립체(28)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액추에이터(18)를 도시한다. 액추에이터(18)는, 래치 메커니즘(20)을 열고(unlock) 이동가능한 트랙 부재(50)를 해제하여 트랙 부재가 기부(52)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래치 메커니즘(20)을 작동시키도록 설계된다. 액추에이터(18)는 래치 메커니즘(20) 내의 스프링과 같은 편향 부재(54)의 힘 또는 다른 힘 발생 메커니즘의 힘에 대항하여 래치 위치로부터 언래치(unlatch)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2와 유사하게, 래치 메커니즘(20)은 이동가능한 트랙 부재(50)를 기부 또는 고정된 트랙 부재(52)에 대하여 잠근다. 트랙 조립체(28)는 제1 및 제2 레일 부재(50, 52)를 가지며, 통상적으로 차량 시트(12)는 이동가능한 트랙 부재(50) 상에 지지된다. 액추에이터(18)는 차량 시트(12) 및 트랙 조립체(28) 내에 설비를 제공하기 위한 외형(contour)을 구비하는, 대체로 U-형 형상의 가지는 바(또는 타월 바)(56)를 구비한다. 액추에이터(18)의 바(56)는 이동가능한 트랙 부재(50) 내의 구멍(60)에서 시트 트랙 조립체(28)에 대해 피벗된다. 액추에이터(18)의 바(56)는 각각의 트랙 레일 부재(50)의 구멍(60)에 삽입하기 위해 U-형 바(56)의 제1 및 제2 측면(66, 68)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피벗 핀(62, 64)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피벗 핀(62, 64) 각각은 상기 피벗 핀(62, 64)을 트랙 레일 부재(50) 내의 구멍(60)에 부착시켜서 피벗 위치 및 트랙 조립체(28)에 바(56)를 고정시키기 위한 커넥터(70)를 제공하도록 그 원위 단부(distal end)에 가깝게 위치하는 커넥터 또는 부싱(70)을 포함한다.
도 15는 차량 시트(12)의 액추에이터(18)의 바(56) 피벗 핀(262, 64)을 도시한다. 피벗 핀(62, 64)은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원주상(circumferential) 연장 부재(또는 칼라)(72) 및 상기 원주상 연장 부재(7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이동가능한 트랙(50)의 구멍(60)으로 삽입되는 피벗 핀(62, 64)의 일 단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1 원주상 홈(74)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형 형태의 부재이다. 피벗 핀(62, 64)은 원주상 연장 부재(72)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에서 바(56)에 부착된다. 커넥터(70)는 피벗 핀(60)을 트랙 레일 부재(50)에 부착시킨다.
도 16 내지 도 21은 트랙 레일 부재(50)에 피벗 핀(62)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70)를 도시한다. 커넥터(70)는 대체로 원통형의 부싱 부재이며 실린더(78)의 몸체 부분의 벽을 따라 커넥터(70)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쌍의 홈(76)을 포함한다. 커넥터(70)는 하나 이상의 트랙 부재(50)의 하나 이상의 구멍(60)으로 삽입된다(이로써 커넥터(70)가 레일 조립체에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70)는 제1 쌍의 변위가능한 연장 부재(또는 윙(wing))(82)을 더 포함하는데, 이는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피벗 핀(62, 64) 및 커넥터(70)가 트랙 레일 부재(50)의 구멍(60)으로 삽입되어 트랙 레일 부재(50)에 연결(스냅 결합(snap into))될 수 있게 한다. 변위가능한 연장 부재(82)는 일단 커넥터(70)가 트랙 레일 부재(50)의 구멍(60)에 삽입되면 바깥쪽으로 펼쳐져서 커넥터(70)가 트랙 레일 부재(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피벗 핀(62, 64)의 일단부는 커넥터(70)로 삽입되며, 홈(76)은, 단부가 피벗 핀(62, 64)의 홈(74)에 도달하여 커넥터(70)의 일 단부에 있는 내향 연장 립(lip)(80)이 홈(74) 내에 위치할 때까지, 실린더(78)의 몸체 부분이 피벗 핀(62, 64)의 일 단부 위에서 바깥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한다. 커넥터(70)는 래치 메커니즘(20)을 열기(unlock) 위하여 액추에이터(18)에 힘이 가해질 때 피벗 핀 부재(62, 64)를 트랙 레일 조립체(28)에 가둔다(trap).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 용어 "결합하다/결합되다(coupled)"는 2개의 (전기적 또는 기계적) 구성 요소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joining)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결은 사실상(in nature) 고정식이거나 또는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2개의 (전기적 또는 기계적) 구성 요소 및 서로 또는 상기 2개의 구성요소와 하나의 단일 몸체로서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임의의 중간 부재에 의하여 또는 2개의 구성 요소 및 서로 부착되는 임의의 추가적 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사실상 영구적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사실상 제거가능하거나 해제가능할 수 있다.
도시된, 개량된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14) 및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연결부(16) 및 개량된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8)의 부재들의 구성 및 배열은 단지 예를 들기 위한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지 몇 개의 실시예만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나, 본 명세서를 검토하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주제의 신규한 내용 및 장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수정(예를 들어, 여러 부재의 크기, 치수, 구조, 형태 및 비율, 파라미터 값, 설치 배열, 재료의 사용, 색, 배향 등등의 변화)이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량된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14) 및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연결부(16) 및 개량된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8) 차량 시트(12)와의 결합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개량된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14) 및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연결부(16) 및 개량된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8)은 다른 시트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트랙 조립체에 사용하기에도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부재들은 다수의 부분 또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부재의 위치가 역전되거나 그렇지 않다면 변화될 수 있으며, 별개의 부재의 속성 또는 개수 또는 위치가 바뀌거나 변경될 수 있다. 개량된 시트 후방 프레임 부재(14) 및 리클라이너 메커니즘 연결부(16) 및 개량된 차량 시트 트랙 액추에이터 메커니즘(18)의 부재 및/또는 조립체가 다양한 색상, 결합(combination) 및 적절한 재료 중 임의의 것에서 충분한 강도 또는 내구성을 제공하는 다양한 재료 중 임의의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서, 바람직한 그리고 기타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계, 작동 조건 및 배치에 대한 기타의 대체(substitution), 수정, 변경 및 생략(omission)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시트에 사용하기 위한 시트 프레임으로서,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가지는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 로서, 단부를 가지는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
    상기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에 결합하기 위한 제1 측면을 가지는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가지는 삽입 부재(42)로서, 제1, 상부 단부 및 제2, 하부 단부를 가지며, 상기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의 제2 측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삽입 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재(42),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 및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은 제1 위치에서 함께 용접되고,
    상기 삽입 부재(42)와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만 제2 위치에서 함께 용접되고,
    상기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은, 상부 용접 접합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레이저 용접부에 의해, 상기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 부재(42)는, C-형인 제2 레이저 용접부에 의해, 상기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 부재(42)는, 상기 삽입 부재(42)의 대체로 평평한 부분에 수직한 방향 및 상기 제1, 상부 단부로부터 상기 제2, 하부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되, 상기 제2, 하부 단부의 상부의 C-형 용접 접합부(40)를 넘어서 연장되지 않는, 한 쌍의 측방향으로 배치된 연장 플랜지(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42)가 상기 제1, 상부 단부 및 상기 제2, 하부 단부 사이에 대체로 평평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재(42)의 제2, 하부 단부가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의 상기 단부와 정렬되는,
    시트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42)의 제1, 상부 단부가 전체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형태(square-shaped)의 상부 단부이고, 제2, 하부 단부가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과 정렬되는, 전체적으로 둥근 형태의 하부 단부인,
    시트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방향으로 배치된 연장 플랜지는 상기 삽입 부재(42)의 대체로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시트 프레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42)가, 상기 삽입 부재(42)에 대해 추가 강성(rigidity)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 부재(42)의 대체로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시트 프레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이저 용접부가 삽입 부재(42),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 및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을 결합시키는,
    시트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은 둥근 형태의 리클라이너 메커니즘(34)의 둘레 주위에서 균일하게 각도를 두고 이격되는 4개의 레이저 용접부를 이용하여 측면 프레임 구조 부재(32)에 결합되는,
    시트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트를 활주가능식으로 조절하기 위한 시트 트랙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시트 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트랙 조립체가 차량 시트를 잠그기 위한 래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시트 프레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메커니즘을 열기(unlock) 위한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시트 프레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 각각에는 피벗 핀이 결합되며, 각각의 피벗 핀은 시트 트랙 조립체의 트랙 내부로 삽입되는,
    시트 프레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피벗 핀은, 피벗 핀에 대해 커넥터를 체결시키기 위하여, 그 원위 단부에 배치되는 홈 및 칼라를 포함하는,
    시트 프레임.
  14.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넥터가 피벗 핀을 트랙에 결합시키는 한 쌍의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커넥터는, 커넥터가 피벗 핀의 원위 단부 위에서 바깥쪽으로 구부러지고 피벗 핀의 칼라와 맞물리게 하여 각각의 커넥터, 피벗 핀 및 액추에이터를 트랙 조립체 상의 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는,
    시트 프레임.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를 정위치에 고정시키고 제1 및 제2 피벗 핀을 시트 트랙 조립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피벗 핀의 홈으로 끼워지는 내향 연장 립을 더 포함하는,
    시트 프레임.
KR1020107022688A 2008-03-12 2009-03-12 차량 시트 KR101332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03608P 2008-03-12 2008-03-12
US61/036,036 2008-03-12
PCT/US2009/036897 WO2009114660A2 (en) 2008-03-12 2009-03-12 Vehicle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027A KR20100134027A (ko) 2010-12-22
KR101332768B1 true KR101332768B1 (ko) 2013-11-25

Family

ID=4106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688A KR101332768B1 (ko) 2008-03-12 2009-03-12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68272B2 (ko)
EP (1) EP2254768A4 (ko)
JP (1) JP5498966B2 (ko)
KR (1) KR101332768B1 (ko)
CN (1) CN102066152B (ko)
CA (1) CA2718177C (ko)
MX (1) MX2010009648A (ko)
WO (1) WO200911466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6340B2 (en) * 2010-08-03 2013-10-15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recliner mechanism with selective torque transmission connectors
US9487108B2 (en) * 2011-06-03 2016-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otor vehicle seat, motor vehicle and associated method
DE102012004695A1 (de) * 2012-03-12 2013-09-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rriegelungseinrichtung, Verstellvorrichtung, Kraftfahrzeugsitz,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hierzu
CN104602958B (zh) * 2012-08-31 2016-09-21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车用座椅的座椅框架
JP6169461B2 (ja) * 2013-09-30 2017-07-2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のシートフレーム
USD801065S1 (en) * 2015-03-16 2017-10-31 Jaguar Land Rover Limited Core front seat
USD799224S1 (en) * 2015-12-23 2017-10-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ear seat
JP6803531B2 (ja) * 2017-01-24 2020-12-23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US10086723B1 (en) * 2017-03-30 2018-10-02 Ts Tech Co., Ltd. Vehicle seat
JP7147154B2 (ja) 2017-11-24 2022-10-0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N108437856A (zh) * 2018-04-23 2018-08-24 张家港润盛科技材料有限公司 一种铝型材制成的汽车座椅滑轨组件
JP7028107B2 (ja) * 2018-08-31 2022-03-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フレー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1559A (en) * 1989-12-18 1990-10-09 Chrysler Corporation Latching bar arrangement for seat adjuster
JP2001150996A (ja) * 1999-11-29 2001-06-05 Tachi S Co Ltd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JP2001149176A (ja) * 1999-11-29 2001-06-05 Tachi S Co Ltd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3196A (en) 1987-08-20 1990-07-24 Sps Technologies, Inc. Swaged collar fastener
US5564785A (en) * 1994-10-17 1996-10-15 Atoma International Inc. Seat fram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DE19641372C2 (de) 1996-10-08 2001-06-07 Ims Morat & Soehne Gmbh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9747297C1 (de) 1997-10-25 1999-02-25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Spindelantrieb zur Verstellung von Einstellpositionen eines Kraftfahrzeugsitzes
DE69902629T2 (de) * 1998-01-28 2003-04-03 Faure Bertrand Components Ltd Drehgelenkmechanismus für multifunktionelle anwendungen an einem kraftfahrzeugsitz
JP4103212B2 (ja) 1998-11-26 2008-06-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9944961C1 (de) 1999-09-20 2001-02-15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Spindelantrieb zum Verstellen von relativ zueinander beweglichen Bauteilen eines Kraftfahrzeugsitzes
US6616227B2 (en) 2001-02-21 2003-09-09 Schukra North America Powered actuator for lumbar unit
JP4125135B2 (ja) * 2001-05-15 2008-07-30 シュクラ オブ ノース アメリカ リミテッド ランバユニット用の電動式アクチュエータ
US6543855B2 (en) * 2001-08-24 2003-04-08 Bae Industries, Inc. Cup style spacer for attaching an upper arm to a seat frame forming a part of a seat integrated restraint mechanism
JP4904655B2 (ja) * 2001-09-26 2012-03-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装置
JP4055182B2 (ja) 2001-11-13 2008-03-05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アジャスタの取付構造
US20040113481A1 (en) * 2002-09-13 2004-06-17 Mohammad Saberan Vehicle seat frame
US7066552B2 (en) * 2003-03-31 2006-06-27 Ts Tech Co., Ltd. Seat back frame for vehicle seat
CA2505207A1 (en) 2004-05-13 2005-11-13 Faurecia Automotive Seating Canada Limited Horizontal drive apparatus for use with a vehicle seat slide
DE102004049115A1 (de) * 2004-10-07 2006-04-27 Johnson Controls Gmbh Geschweißte Struktur, insbesondere von Sitzkomponenten
DE102004049359A1 (de) * 2004-10-08 2006-04-13 Johnson Controls Gmbh Lasergeschweißter Rahmen eines Sitzes sowie Recliner
JP4950899B2 (ja) * 2004-11-18 2012-06-13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シートフレームシステ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06051403B3 (de) * 2006-10-27 2008-02-14 Johnson Controls Gmbh Komponente, insbesondere für einen Fahrzeugsitz
CN201158323Y (zh) * 2008-01-31 2008-12-03 重庆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骨架
WO2011014506A1 (en) * 2009-07-27 2011-02-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One-piece seat structures and method of forming
JP5625831B2 (ja) * 2010-12-01 2014-11-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フレー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1559A (en) * 1989-12-18 1990-10-09 Chrysler Corporation Latching bar arrangement for seat adjuster
JP2001150996A (ja) * 1999-11-29 2001-06-05 Tachi S Co Ltd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JP2001149176A (ja) * 1999-11-29 2001-06-05 Tachi S Co Ltd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66152B (zh) 2014-11-12
CA2718177C (en) 2014-12-30
JP2011513141A (ja) 2011-04-28
EP2254768A4 (en) 2012-07-04
WO2009114660A2 (en) 2009-09-17
US8668272B2 (en) 2014-03-11
CN102066152A (zh) 2011-05-18
JP5498966B2 (ja) 2014-05-21
EP2254768A2 (en) 2010-12-01
WO2009114660A3 (en) 2010-10-21
CA2718177A1 (en) 2009-09-17
US20110006575A1 (en) 2011-01-13
MX2010009648A (es) 2010-11-09
KR20100134027A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768B1 (ko) 차량 시트
US7191995B2 (en) Seat slide mechanism for vehicles
CN108312911B (zh) 交通工具用座椅
US7131693B2 (en) Restraint anchorage for a child restraint system
US10363848B2 (en) Back frame for vehicle seat
WO2014024936A1 (ja) 車両用シート
JP5690093B2 (ja) 乗り物用シート構造
JP2609575B2 (ja) 補償リンクを備えたインターロック式シート調節機構
JP2018199362A (ja) 乗物用シート
WO2016181677A1 (ja) シートフレーム及びシート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2011255860A (ja) 自動車のシートバックの支持構造
US6435616B1 (en) Latching device for articulated elements, in particular, elements forming vehicle seats
EP2408641B1 (en) Seat structure - chamfered mounting of compensating floor latches
JP2019085082A (ja) 乗物用シート
KR102402937B1 (ko)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JP4924139B2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の取付け構造
CN220465307U (zh) 座椅底座框架,其接合部件以及车辆座椅组件
JP6575121B2 (ja) 乗物用シートの取付構造および乗物用シート
JP2015004389A (ja) 乗物用シート
US11999276B2 (en) Vehicle seat
JP5835063B2 (ja) 車両用シートの製造方法
CN107804197B (zh) 用于车辆座椅的锁紧装置
JP5584610B2 (ja) 乗物用シート
US20230131755A1 (en) Vehicle seat
JP2014196107A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