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268B1 -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268B1
KR101332268B1 KR1020130007618A KR20130007618A KR101332268B1 KR 101332268 B1 KR101332268 B1 KR 101332268B1 KR 1020130007618 A KR1020130007618 A KR 1020130007618A KR 20130007618 A KR20130007618 A KR 20130007618A KR 101332268 B1 KR101332268 B1 KR 101332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ite
weight
ethanol
cosmet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솔
Priority to KR1020130007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2Exothermic; Self-heating; Heating s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취한 일라이트를 분쇄하는 제1분쇄단계; 상기 제1분쇄단계를 통해 분쇄된 일라이트를 500℃로 가열한 후 분쇄하는 제2분쇄단계; 상기 제2분쇄단계를 통해 분쇄된 상기 일라이트를 에탄올과 50 중량% : 50 중량%로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를 통해 혼합된 상기 일라이트와 상기 에탄올을 정제하는 정제단계; 정제된 상기 일라이트와 상기 에탄올을 분리하는 분리단계; 상기 분리단계를 통해 분리된 상기 일라이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상기 일라이트와 상기 에탄올을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하는 첨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슘과 같은 방사능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가진 일라이트를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피부나 두피에 안착된 방사능 물질을 제거하여 피부나 두피가 청결해지도록 하고, 음이온과 온열을 피부속 깊이 전달하여 매끄럽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해줄 뿐만 아니라 음이온 발생과 원적외선 방사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피부에 쌓인 노폐물이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하여 건강한 피부를 유지해 주고 적당한 보습효과로 피부의 촉촉한 상태가 오랜시간 유지되게 한다.
또한 피부의 피지와 여드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고 사용감과 미백기능이 크게 향상되게 한다.

Description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llite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능 물질인 세슘을 흡착하는 기능을 가진 일라이트가 첨가되어 사용감과 미백기능이 크게 향상되는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라이트는 이질퇴적암, 열수 변질대 및 중성-산성암의 풍화물에서 매우 흔하게 발견할 수 있는 2차 광물이다.
일라이트는 K+ 가 풍부한 환경에서 잘 형성되며, 장석이나 운모류로부터 쉽게 형성되기도 하고, 열수용액으로부터 직접 침전되기도 한다.
일라이트는 셰일이나 사암에서 카올리나이트,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상광물과 더불어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점토광물이다.
일반적인 퇴적환경에서는 속성작용이 진행됨에 따라 점토광물은 스멕타이트로부터 시작하여 I/S 혼합층상광물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일라이트로 전이한다.
일라이트로의 전이는 K+ 의 공급과 반응온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일라이트를 비롯한 대부분의 점토광물은 저온 환경하에서 준 안정적인(metastable) 광물 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열역학적 정보가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화학조성 또한 치환관계가 복잡하고 다양하여 여러 종류의 고용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내용을 잘 이해하면, 점토광물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유추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유추된 기술을 이용하여 지질학적 환경해석이나 산업응용분야에도 그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일라이트의 표면적은 80∼150 m2/g이다. 광물표면 전하가 0가 되는 PH(point of zero charge)인 pzpc는 9.6(Motta와 Miranda,1989)이고, muscovite의 pzpc는 6.6이다,
따라서 일라이트는 백운모보다 휠씬 높은 PH에서 표면전하가 (-)를 띠게 되면서 흡착이 활성화된다. 풍화에 대한 저항도의 경우 일라이트 구조에서는 K+가 H+에 대하여 선택성을 가지므로 풍화환경에서는 일라이트가 백운모보다 훨씬 안전하다. 이러한 이유로 K+는 Na+나 H+에 의해서는 치환이 잘 되지 않는다.
일라이트의 양이온 교환 능력(CEC)은 다른 점토광물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효율성과 활용성이 낮다. 일라이트의 CEC는 10∼40meq/100g범위이고 PH에 따라 약간 변화를 보인다.
하지만 일라이트가 토양이나 지표환경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열수변질대 환경에서처럼 비교적 온도가 높아도 다른 점토광물에 비하여 안정한 광물학적 특성때문에 특정폐기물처분 시설에의 응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일라이트 자체의 흡착특성 연구분야는 주목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일라이트는 층간에 K+ 를 함유하기 때문에 세슘(Cs)과 같은 +1가 방사성 양이온과 치환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환경 방사능 연구에 매우 중요한 대상이다. 또한 일라이트와 Ca, Na, Ba, NH4 등과 같은 다른 이온과의 흡착경쟁성 및 유해 중금속의 종류에 따른 흡착선택성 연구, 풍화작용과 용해반응, 층간양이온의 탈착 등의 연구에 중요한 대상이다.
일라이트가 함유한 K+ 는 이온교환반응을 통하여 빠져 나오게 되는데 K+ 의 방출은 확산에 의한 반응이며, 이러한 방출속도는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커지고, PH가 낮을수록 K+ 의 방출이 잘 이루어진다.
일라이트는 물 속의 부유물질을 흡착하고, 음이온을 띠기 때문에 양이온의 부유 미입자와 전기적인 중화로 응집침전을 유발하여 물을 깨끗하게 하며, 물, 토양, 대기 중에서 각족 중금속 및 유독가스를 흡착 탈취 분해한다.
또한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면역을 증가시키며, 수중에서 다량의 용존 산소를 발산하여, 물 분자를 활성화시킨다.
이외에 토양의 지력을 향상시키고, 뿌리의 활착을 좋게 하며, 일라이트 자체에서 음이온을 다량 발생시킨다. 40도에서는 93%의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유해파장을 차단하고, 피로를 회복시키며, 성인병을 예방한다.
또한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곰팡이 등의 정균 작용을 하고, 살균, 악취제거에 탁월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해 준다. 자체함유기능으로 보습효과가 크고 자외선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축열과 단열 기능이 있으며, 열전도율이 낮아 높은 열에는 안정성을 갖는다.
체감온도를 5도 이상 향상시키고, 제반독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다중구조의 밝은 반투명 판상에 박편이므로 피부에서의 퍼짐성이 좋다. 또한 피부에 묻어 있는 각종 중금속과 유기물질, 독성물질 등을 흡착하고 분해하며. 탄성이 좋고 덩어리지지 않으므로 부착성이 뛰어나다.
음이온과 온열을 피부속 깊이 전달하여 매끄럽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해 주고, 음이온 발생과 원적외선 방사의 상호 작용으로 피부 노폐물을 배출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해주며, 적당한 보습효과로 촉촉한 피부를 유지해 준다.
또한 피부세포의 재생과 뛰어난 미백효과를 주고, 피부의 피지와 여드름을 제거해주며, 불면증 및 성인병을 예방한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 일라이트는 화장품 조성물 등 다양한 조성물에 첨가하여 각 조성물에 일라이트의 기능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각 조성물이 다양한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화장품 조성물에 대해서 등록특허 제10-1146296호에는 대나무잎 추출물, 병풀 추출물, 홍삼 추출물, 인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모란뿌리 추출물, 박하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도엽 추출물, 홍화 추출물, 황백 추출물, 꿀 추출물, 사상자 추출물, 목련껍질 추출물, 백지 추출물, 지황 추출물, 당귀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상황버섯 추출물, 고삼 추출물, 창이자 추출물,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개선 또는 저자극 화장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종래의 개인 위생 조성물에 대해서 등록특허 제10-1155749호에는 a.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각각의 중량%로, 0.1 내지 1%의 점토; 1 내지 7.5%의 가교결합된 폴리카복실레이트 증점제; 및 0.1 내지 2%의 4차 중합체(quaternary polymer)로 형성된 구조화된 수성 겔 성분; 및 b. 겔 성분에 분산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5%의 연화제 성분을 함유하는 개인 위생 조성물로서, 상기 4차 중합체는 pH 7에서 1 내지 5 meq/gm의 전하 밀도를 갖고, 상기 점토는 합성 층화 실리케이트(synthetic layered silicate)를 포함하는 개인 위생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의 등록된 기술은 일라이트가 화장품의 조성물이나 개인 위생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지 않아 일라이트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효과를 화장품이나 개인 위생품이 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방사능 물질인 세슘을 흡착하는 기능을 가진 일라이트를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피부에 안착된 방사능 물질을 제거하여 화장품의 사용감이나 미백기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채취한 일라이트를 분쇄하는 제1분쇄단계; 상기 제1분쇄단계를 통해 분쇄된 일라이트를 500℃로 가열한 후 분쇄하는 제2분쇄단계;상기 제2분쇄단계를 통해 분쇄된 상기 일라이트를 에탄올과 50 중량% : 50 중량%로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를 통해 혼합된 상기 일라이트와 상기 에탄올을 정제하는 정제단계; 정제된 상기 일라이트와 상기 에탄올을 분리하는 분리단계; 상기 분리단계를 통해 분리된 상기 일라이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상기 일라이트와 상기 에탄올을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하는 첨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폼클린져, 바디클린져, 액상비누, 고상비누, 샴푸, 린스, 거품목욕제, 목욕용 오일, 스크럽, 마사지 크림, 에센스, 세럼, 오일, 팩, 로션, 크림 또는 클랜징 워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제수(Water) 77∼80중량%,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1∼3중량%,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0.5∼3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0.1∼2중량%, 마카다미아씨 오일 (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0.1∼2중량%,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0.1∼2중량%, 페트롤리움 디스틸레이트(Petroleum Distillates) 0.05∼2중량%, 디메치콘(Dimethicone)  0.1∼3중량%, 페녹시 에탄올(Phenoxyethanol) 0.1∼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0.01∼1중량%, 글리세린(Glycerin) 1∼4중량%, 2-트리메칠암모니오 아세테이트(2-trimethylammonioacetate) 0.1∼2중량%,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1∼4중량%, 하이알루로닉액씨드(Hyaluronic Acid) 3∼6중량%, 카보머(Carbomer) 0.1∼1중량%,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 0.01∼2중량%, 일라이트(Illite) 0.5∼2중량%, 에탄올(ethanol)   0.1∼2중량% 및 칼륨 이온수   0.1∼1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제수(Water) 10∼15중량%,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0.05∼0.7중량%,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35∼50중량%,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Ammonium Laureth Sulfate) 25∼40중량%,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3∼6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5∼0.2중량%,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0.1∼0.8중량%, 코카마이드 엠이에이(Cocamide MEA) 1∼3중량%,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Glycol Distearate) 1∼3중량%, 실리콘 애멀젼(Silicone Emulsion) 2∼5중량%, 소듐 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0.1∼0.8중량%, DL-판테놀(DL-Panthenol) 0.01∼0.1중량%, 향료(Perfume) 0.1∼0.5중량%, 시트릭액씨드(Citric Acid) 0.01∼0.1중량%,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과 메칠이소치아졸리논 혼합물 (Mixture of Methylchloroisothiazolinone and Methylisothiazolinone) 0.05∼0.3중량%, 아이오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Iodopropynyl Butylcarbamate) 0.05∼0.3중량%, 일라이트(Illite) 0.5∼2중량%, 에탄올(ethanol) 0.1∼2중량% 및 칼륨이온수 0.1∼1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폼클린져, 바디클린져, 액상비누, 고상비누, 샴푸, 린스, 거품목욕제, 목욕용 오일, 스크럽, 마사지 크림, 에센스, 세럼, 오일, 팩, 로션, 크림 또는 클랜징 워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세슘과 같은 방사능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가진 일라이트를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화장품 조성물이 피부나 두피에 안착된 방사능 물질을 제거하도록 하여 피부나 두피가 청결해지도록 하고, 화장품의 사용감이나 미백기능이 크게 향상되게 하며 피부에 형성된 피지나 여드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준다.
또한 피부나 두피에 묻어 있는 각종 중금속과 유기물질 및 독성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주고, 음이온과 온열을 피부 속 깊이 전달해주어 피부가 매끄럽고 탄력있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이 자체적으로 맑은 공기를 공급해줌으로써 불면증이나 성인병을 예방해주고,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해소시켜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라이트를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채취한 일라이트 원석을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분쇄한다(S101).
이후 분쇄된 일라이트를 500℃로 가열한 다음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재차 분쇄한다(S103).
상기 두번의 분쇄를 통해 미세하게 분쇄된 상기 일라이트를 에탄올과 50 중량% : 50 중량%로 혼합한 다음(S105), 혼합된 상기 일라이트와 상기 에탄올을 불순물이 제거되도록 정제한다(S107).
이후 정제된 상기 일라이트와 상기 에탄올을 분리시킨 다음(S109) 분리된 상기 일라이트에 묻어 있는 상기 에탄올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일라이트를 건조시킨다(S111).
상기 일라이트를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상기 일라이트와 상기 에탄올을 폼클린져, 바디클린져, 액상비누, 고상비누, 샴푸, 린스, 거품목욕제, 목욕용 오일, 스크럽, 마사지 크림, 에센스, 세럼, 오일, 팩, 로션, 크림, 클렌징워터 등의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하여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을 완성시킨다(S113).
이때 상기 화장품 조성물에는 정제수(Water) 10∼15중량%,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0.05∼0.7중량%,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35∼50중량%,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Ammonium Laureth Sulfate) 25∼40중량%,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3∼6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0.05∼0.2중량%,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0.1∼0.8중량%, 코카마이드 엠이에이(Cocamide MEA) 1∼3중량%,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Glycol Distearate) 1∼3중량%, 실리콘 애멀젼(Silicone Emulsion) 2∼5중량%, 소듐 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0.1∼0.8중량%, DL-판테놀(DL-Panthenol) 0.01∼0.1중량%, 향료(Perfume) 0.1∼0.5중량%, 시트릭액씨드(Citric Acid) 0.01∼0.1중량%,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과 메칠이소치아졸리논 혼합물 (Mixture of Methylchloroisothiazolinone and Methylisothiazolinone) 0.05∼0.3중량%, 아이오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Iodopropynyl Butylcarbamate) 0.05∼0.3중량% 및 칼륨이온수 0.1∼1중량%가 함유되고, 여기에 일라이트(Illite) 0.5∼2중량% 및 에탄올(ethanol) 0.1∼2중량%가 함유되도록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에는, 정제수(Water) 77∼80중량%,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1∼3중량%,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0.5∼3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0.1∼2중량%, 마카다미아씨 오일 (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0.1∼2중량%,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0.1∼2중량%, 페트롤리움디스틸레이트(Petroleum Distillates) 0.05∼2중량%, 디메치콘(Dimethicone)  0.1∼3중량%,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1∼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0.01∼1중량%, 글리세린(Glycerin) 1∼4중량%, 2-트리메칠암모니오 아세테이트 (2-trimethylammonioacetate) 0.1∼2중량%,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1∼4중량%, 하이알루로닉액씨드(Hyaluronic Acid) 3∼6중량%, 카보머(Carbomer) 0.1∼1중량%,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 0.01∼2중량% 및 칼륨 이온수(K+) 0.1∼1중량%가 함유되고, 여기에 일라이트(Illite) 0.5∼2중량% 및 에탄올(ethanol)   0.1∼2중량%가 함유되도록 조성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중 샴푸의 제조
본 실험에서는 상기의 조성범위 내에서 샴푸에 대한 일라이트 함량 조정실험을 하였고, 샴푸가 고유효능을 가지면서도 색상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는 범위에서 일라이트의 적정 함량 조정 실험을 하였다.
구분 원료명 SP-11 SP-12 SP-13 SP-14 SP-15

A
Water 15.79 15.69 15.59 15.49 15.39
Guar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0.1

0.2

0.3

0.4

0.5





B




Ammonium Lauryl Sulfate
40

40

40

40

40
Ammonium Laureth Sulfate 30 30 30 30 30
CocamidoPropyl Betaine 5 5 5 5 5
Disodium EDTA 0.10 0.10 0.10 0.10 0.10
Cetearyl Alcohol 0.60 0.60 0.60 0.60 0.60
Cocamide MEA 1.80 1.80 1.80 1.80 1.80
Glycol Distearate 1.50 1.50 1.50 1.50 1.50
Silicone Emulsion 3.00 3.00 3.00 3.00 3.00

C
Sodium Chloride 0.50 0.50 0.50 0.50 0.50
DL-Panthenol 0.05 0.05 0.05 0.05 0.05
Perfume 0.40 0.40 0.40 0.40 0.40
D Citric Acid 0.01 0.01 0.01 0.01 0.01

E
Methylchloroisothiazolinone and Methylisothiazolinone 0.05 0.05 0.05 0.05 0.05
Iodopropynyl Butylcarbamate 0.10 0.10 0.10 0.10 0.10

G
Illite 1.00 1.00 1.00 1.00 1.00
Ethanol 0.5 0.5 0.5 0.5 0.5
k+ 0.1 0.1 0.1 0.1 0.1
Total 100 100 100 100 100

사용감 약간미흡 약간미흡 양호 양호 약간미흡
점도 묽다 약간미흡 양호 양호 되다
상기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탄올의 경우 2%이상 첨가시 점도가 저하되었고, 기포력 또한 저하되었다. 따라서 첨가되는 에탄올 양을 0.5%로 하여 점도와 기포력이 양호하게 나타나도록 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일라이트의 배합으로 이루어진 샴푸를 사용함으로써 두피가 방사능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두피가 보다 청결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중 크림의 제조
본 실험에서는 일라이트와 에탄올이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중 크림을 제조하였다.
S/N 원료명 무게(중량비)
1 Water 79.1%
2 Cetearyl Alcohol 2%
3 Sorbitan Sesquioleate 1%
4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0.5%
5 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1%
6 Polysorbate 80 0.5%
7 Petroleum Distillates 0.1%
8 Dimethicone 0.5%
9 Phenoxyethanol   1%
10 Disodium EDTA 0.02%
11 Glycerin 2%
12 2-trimethylammonioacetate 1%
13 Butylene Glycol 2.5%
14 Hyaluronic Acid 4.2%
15 Carbomer 0.2%
16 Triethanolamine 0.08%
17 Illite 1.2%
18 Ethanol 1%
19 K+ 0.5%
20 total 100
결과
사용감 양호
미백효과 양호
상기의 표 2의 조성비와 같이 일라이트 1.2중량% 와 에탄올 1중량%가 첨가된 크림을 측정한 결과 크림의 사용감과 미백효과 등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실험1과 실험2를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은 세슘과 같은 방사능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가진 일라이트가 첨가됨으로써 피부나 두피 등에 안착된 방사능 물질을 화장품 조성물이 제거하여 피부나 두피가 청결해지고, 화장품의 사용감이나 미백기능 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에 형성된 피지나 여드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주고, 화장품 자체에서 맑은 공기를 공급해 주어 사용자의 불면증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해 주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5)

  1. 채취한 일라이트를 분쇄하는 제1분쇄단계;
    상기 제1분쇄단계를 통해 분쇄된 일라이트를 500℃로 가열한 후 분쇄하는 제2분쇄단계;
    상기 제2분쇄단계를 통해 분쇄된 상기 일라이트를 에탄올과 50 중량% : 50 중량%로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를 통해 혼합된 상기 일라이트와 상기 에탄올을 정제하는 정제단계;
    정제된 상기 일라이트와 상기 에탄올을 분리하는 분리단계;
    상기 분리단계를 통해 분리된 상기 일라이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및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상기 일라이트와 상기 에탄올을 화장품 조성물에 첨가하는 첨가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폼클린져, 바디클린져, 액상비누, 고상비누, 샴푸, 린스, 거품목욕제, 목욕용 오일, 스크럽, 마사지 크림, 에센스, 세럼, 오일, 팩, 로션, 크림 또는 클랜징 워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3. 정제수(Water) 77∼80중량%,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1∼3중량%,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0.5∼3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0.1∼2중량%, 마카다미아씨 오일 (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0.1∼2중량%,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0.1∼2중량%, 페트롤리움 디스틸레이트(Petroleum Distillates) 0.05∼2중량%, 디메치콘(Dimethicone)  0.1∼3중량%, 페녹시 에탄올(Phenoxyethanol) 0.1∼2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0.01∼1중량%, 글리세린(Glycerin) 1∼4중량%, 2-트리메칠암모니오 아세테이트(2-trimethylammonioacetate) 0.1∼2중량%,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1∼4중량%, 하이알루로닉액씨드(Hyaluronic Acid) 3∼6중량%, 카보머(Carbomer) 0.1∼1중량%,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 0.01∼2중량%, 일라이트(Illite) 0.5∼2중량%, 에탄올(ethanol)   0.1∼2중량% 및 칼륨 이온수   0.1∼1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4. 정제수(Water) 10∼15중량%,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0.05∼0.7중량%,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35∼50중량%,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Ammonium Laureth Sulfate) 25∼40중량%,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3∼6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5∼0.2중량%,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0.1∼0.8중량%, 코카마이드 엠이에이(Cocamide MEA) 1∼3중량%,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Glycol Distearate) 1∼3중량%, 실리콘 애멀젼(Silicone Emulsion) 2∼5중량%, 소듐 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0.1∼0.8중량%, DL-판테놀(DL-Panthenol) 0.01∼0.1중량%, 향료(Perfume) 0.1∼0.5중량%, 시트릭액씨드(Citric Acid) 0.01∼0.1중량%,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과 메칠이소치아졸리논 혼합물 (Mixture of Methylchloroisothiazolinone and Methylisothiazolinone) 0.05∼0.3중량%, 아이오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Iodopropynyl Butylcarbamate) 0.05∼0.3중량%, 일라이트(Illite) 0.5∼2중량%, 에탄올(ethanol) 0.1∼2중량% 및 칼륨이온수 0.1∼1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폼클린져, 바디클린져, 액상비누, 고상비누, 샴푸, 린스, 거품목욕제, 목욕용 오일, 스크럽, 마사지 크림, 에센스, 세럼, 오일, 팩, 로션, 크림 또는 클랜징 워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KR1020130007618A 2013-01-23 2013-01-23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32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618A KR101332268B1 (ko) 2013-01-23 2013-01-23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618A KR101332268B1 (ko) 2013-01-23 2013-01-23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268B1 true KR101332268B1 (ko) 2013-11-22

Family

ID=4985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618A KR101332268B1 (ko) 2013-01-23 2013-01-23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26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456A (ko) * 2017-01-04 2018-07-12 주식회사 휴먼텍코리아 피부발열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2893A (ko) 2017-11-29 2019-06-07 박정우 일라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CN111759766A (zh) * 2020-07-24 2020-10-13 南京佰宏卓越科技有限公司 一种可释放远红外洗手液及其制备方法
KR20210045115A (ko)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다솔 아티초크 잎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5003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유비아이코퍼레이션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85004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유비아이코퍼레이션 목단화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17517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다솔 월도잎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51587A (ko)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셀레너스 일라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22057227A1 (zh) * 2020-09-21 2022-03-24 湖南御家化妆品制造有限公司 伊利石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20120816A (ko) * 2021-02-24 2022-08-3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커피 성분이 함유된 미용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59247A (ko) 2021-05-25 2022-12-02 한국세라믹기술원 유기-일라이트 복합 분체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912A (ko) * 2005-02-15 2005-03-31 김성중 일라이트를 함유한 피부 외용 연고 및 화장품 조성물
KR20100010308A (ko) * 2008-07-22 2010-02-01 김상범 애완동물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21666B1 (ko) * 2009-03-02 2012-03-09 ㈜에이치생활과학 세라믹 분말을 함유한 액상 피부팩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912A (ko) * 2005-02-15 2005-03-31 김성중 일라이트를 함유한 피부 외용 연고 및 화장품 조성물
KR20100010308A (ko) * 2008-07-22 2010-02-01 김상범 애완동물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21666B1 (ko) * 2009-03-02 2012-03-09 ㈜에이치생활과학 세라믹 분말을 함유한 액상 피부팩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CLAY MINERALS *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048B1 (ko) * 2017-01-04 2018-07-19 주식회사 휴먼텍코리아 피부발열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0456A (ko) * 2017-01-04 2018-07-12 주식회사 휴먼텍코리아 피부발열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2893A (ko) 2017-11-29 2019-06-07 박정우 일라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5115A (ko)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다솔 아티초크 잎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94091B1 (ko) * 2019-10-16 2021-08-26 주식회사 다솔 아티초크 잎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60617B1 (ko) * 2019-12-30 2022-02-09 (주)유비아이코퍼레이션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0618B1 (ko) * 2019-12-30 2022-02-09 (주)유비아이코퍼레이션 목단화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85003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유비아이코퍼레이션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85004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유비아이코퍼레이션 목단화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17517A (ko) * 2020-03-19 2021-09-29 주식회사 다솔 월도잎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67228B1 (ko) * 2020-03-19 2022-02-24 주식회사 다솔 월도잎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51587A (ko)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셀레너스 일라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1759766A (zh) * 2020-07-24 2020-10-13 南京佰宏卓越科技有限公司 一种可释放远红外洗手液及其制备方法
WO2022057227A1 (zh) * 2020-09-21 2022-03-24 湖南御家化妆品制造有限公司 伊利石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20120816A (ko) * 2021-02-24 2022-08-3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커피 성분이 함유된 미용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7350B1 (ko) 2021-02-24 2023-03-3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커피 성분이 함유된 미용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59247A (ko) 2021-05-25 2022-12-02 한국세라믹기술원 유기-일라이트 복합 분체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9680B1 (ko) 2021-05-25 2024-04-22 한국세라믹기술원 유기-일라이트 복합 분체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268B1 (ko)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93648B1 (ko)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scoria)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US7235266B2 (en) Facial pack and bathing compositions based on Hwangto (Korean loess) and preparation thereof
KR100890070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CN102091016A (zh) 纳米蛇类元素中药负离子远红外功效性沐浴液
CN103845255A (zh) 抗流感矿物浴盐
KR101708595B1 (ko) 다시마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JP4594698B2 (ja) 黄土粉、顔専用パック、入浴組成物並びに顔専用パック組成物及び入浴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880048B1 (ko) 피부발열 화장료 조성물
CN104083297A (zh) 一种中草药美白防晒护肤霜的制备方法及其制品
CN102008408A (zh) 一种美白皮肤祛除皮肤皱纹的复方精油
CN102776082A (zh) 一种新型中草药美容香皂
KR101696914B1 (ko) 일라이트 및 규산소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3286B1 (ko) 탱자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653637B1 (ko)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0652A (ko) 포스파티딜콜린 및 바닐릴부틸에텔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55069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0515956B1 (ko) 머드와 허브 및 흑미분말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KR19980019915A (ko) 건강 미용 비누
KR100413641B1 (ko) 화장비누 조성물
CN101456721A (zh) 一种永久释放远红外线、负离子黄土球、黄土板
KR100249928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KR20140079249A (ko) 시라스 비누
CN105125436A (zh) 一种复合美白组合物及制备方法
KR20040087124A (ko) 미용용 진주 황토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