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648B1 -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scoria)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scoria)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648B1
KR100893648B1 KR1020070135354A KR20070135354A KR100893648B1 KR 100893648 B1 KR100893648 B1 KR 100893648B1 KR 1020070135354 A KR1020070135354 A KR 1020070135354A KR 20070135354 A KR20070135354 A KR 20070135354A KR 100893648 B1 KR100893648 B1 KR 100893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se oil
lotion
skin
cosmetic composition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순
이정희
박광열
Original Assignee
이정순
이정희
박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순, 이정희, 박광열 filed Critical 이정순
Priority to KR102007013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이로운 약산성인, 마유 특유의 냄새가 제거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로써 이용될 수 있다.
마유(horse oil), 화산석 송이(scoria),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scori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urified horse oil and scoria powder}
본 발명은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scori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산업화가 되면서 각종 화학물질은 모든 사람의 피부에 손상과 저항력을 떨어 뜨린다. 특히 여성의 피부는 화장품으로 인해 피폐할 정도로 손상되고 있으며 어린 나이의 화장품 사용으로 인하여 피부의 노화현상이 빨리 오게한다.
말은 동물 중에서 유일하게 인간과 유사한 방법으로 땀을 분비해서 체온을 조절하는 동물이다. 그래서 마유는 피부 구조와 지방산의 구조가 사람과 비슷해 친화력이 높아 보습력과 침투력이 뛰어나며 모든 피부에 적합하며 부작용 없이 피부를 건강하게 해준다.
다른 동물성 지방과는 다르게 마유에 포함된 불포화 지방산은 체내에서 만들수 없는 세포막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체내에서 세포막을 형성하고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다량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비타민E를 함유하고 있어 잔주름 및 노화예방과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하여 자체적으로도 방부제 없는 훌륭한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마유는 얇은 유막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수분의 증발을 막아주며 피부깊이에서 항균 작용을 하며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함으로서 모든 피부트러블의 개선에 도움이 된다.
한편, 화산석(일명 :송이,Scoria)은 우리나라 제주도에만 있는 세계 유일의 인체혈액과 유사한 약알카리성 자원으로, 기생화산(오름)으로 생성되어 제주전역에 거쳐 산출되며, 제주섬내 약 200억㎥으로 거의 무한대의 자원으로 추정된 바 있다.
화산분출물(volcanic ash)인 제주 송이(Scoria)는 수만년에서 수백만년에 걸쳐 110여 회에 걸친 수성화산활동시 섭씨1600도의 마그마가 공기중에 비산하면서 산소와 결합되면서 천연소성이된 돌숯으로서 타지역의 산성계열의 화산석과는 달리 pH7.7의 약알칼리성의 천연세라믹이다. 송이(Scoria)는 다공질(多孔質)로서 높은 탈취력이 있으며 적갈색과 흑갈색이 주를 이루며 감람석, 휘석, 사장석, 자철석등이 주성분이며 중금속이 없고 반대로 중금속을 흡착분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화산석 송이는 제주농업기술원에서 참숯과 비교실험해본 결과 송이(scoria)의 납(pb)흡착력이 81%로 숯보다 6배가까이 높게 나왔다. 또한 대부분의 암석은 높은 방사능을 보이고 있는데 포타슘이 많은 화강암이나 증발암, 우라늄 또는 토튬을 다량 함유한 사암, 점토류에 비해 방사능 감마선이 자연상태(50apt이하)인 안전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송이(Scoria)는 천연상태에서 열을 가하지 않더라도 원적외선 방사 92%를 나타내는 흑사체이며, 아토피 원인 물질인 포름알데히드 탈취율 92% 암모니아 탈취율99%, 항균성 99.9% 로 곰팡이, 대장균을 퇴치하는 성능을 가진 천연 소재로서, 근간에 많이 사용 되고 있는 옥, 황토, 맥반석, 게르마늄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최고의 기능을 갖춘 천연소재다.
송이(Scoria)는 아주대 산업공학부의 기(氣)에너지에 의한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타 광물질이나 다른 어떠한 물질보다 우수한 기능을 가진 것으로 판명되었다. 인체와 유사한 파장대의 원적외선 방사로 인하여 온열, 자정, 숙성, 건습, 중화, 공명작용에 의한 인체의 피로를 풀어주며 혈액순환, 생체리듬을 완화시켜 준다.
그러나 송이의 이러한 장점들중 높은 중금속 흡착력과 약알카리성질은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는데 지성피부는 매우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중성 건성 피부에는 부작용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화장품 원료로 사용시 피부에 좋은 중성 혹은 약산성이 필요하며 보습력 유지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들이 포함되는 정제된 마유와 송이(scoria)를 함유하는 화장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습력과 피부 재생력이 뛰어난 장점은 있으나 마유 특유의 냄새가 나고 산성인 마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향균력이 높아 천연방부제 기능이 있고, 중금속 흡착력과 탈취력이 높아 마유 고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약알칼리성인 송이(scoria)를 첨가하여 피부에 이로운 약산성인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제된 마유와 송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된 마유와 송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이로운 약산성인, 마유 특유의 냄새가 제거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로써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제된 마유와 송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정제된 마유 2~40중량%와 송이가루 2~4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정제된 마유 2~20중량%와 송이가루 2~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제된 마유 10중량%와 송이가루 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보습, 흡착, 항균, 탈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송이와 마유 혼합시 마유가 가지고 있는 보습력으로 인하여 보습은 마유보습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동물성 기름은 식물성 기름에 비해 강한 보습력이 특징이다. 마유의 보습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송이의 높은 연속적인 기공성이 40%를 넘기 때문이며 미세 분쇄시는 표면적이 증가하므로 마유의 담체 역활을 겸하기에 이러한 결과가 나온다.
송이(Scoria)는 천연상태로 광촉매물질인 이산화티타늄이 3~8%까지 존재하므로 스스로 오염을 제거하는 자정능력이 있어 빛에 의해 초진수성으로 되고 물을 강하게 흡착시킨 후 오염 물질을 표면으로 부상시켜 간단히 세정하여 제거하는 능력이 있으며,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향장품의 경우 특히 피부용의 경우는 약산성의 상태가 최적의 조건이나 산성인 마유와 약알카리성의 송이의 혼합물은 약산성 내지 중성의 성질을 띠므로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탈취율은 송이의 천연 상태가 매우 높은 99%의 탈취율을 지니고 있는 결과로 2%대의 송이 함량으로도 최소 55.5%의 탈취를 나타내어 마유가 지니고 있는 마유특 유의 잔류 냄새를 충분히 제거하므로 휼륭한 제품으로 만들수 있다.
아토피의 원인 물질중 큰 역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포름알데히드의 경우도 시간대별로 최소 56%에서 76%를 나타내어 아토피 제어 능력을 포함하는 물질로 나타난다
항균도는 혼합시 각각 92.1~86%를 유지하므로 별도의 향균제나 방부제가 필요 없으므로 유효한 보존기간등을 유지할수 있는 안전한 제품을 천연 상태로 만들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원적외선이란 눈에 보이지 않는 열작용을 하는 전자파의 일종으로, 다른 전자파와 달리 인체에 흡수되어 분자에 진동을 주어 열에너지를 발생, 모세혈관 확장 및 혈액순환 증진에 효과가 있다. 원적외선의 효과는 인체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고 적온상태를 유지시켜 주며,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을 분해하여 배출시키고, 탈취, 정화, 해독의 효과가 있으며,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이나 번식을 방지하고, 식물생장을 촉진하고 활성화시킨다. 또한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신진대사를 촉진시킨다.
원적외선은 인체에 대한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온열작용으로써,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각질층과 표피층을 통과하여 흡수된 적외선은 피부의 가장 깊은 층인 진피층에 존재하는 온열감각 수용체에 자극을 주어서 심부에서 온열반응이 생긴다. 이렇게 발생된 열은 피부표면에서 3~5cm 깊이의 조직내부에서 반응하여 심층부 조직의 대사기능을 촉진하게 된다. 이정도 깊이의 조직이라면 우리 인체에서 근육이 가장 두터운 곳인 둔부근육, 어깨근육, 대퇴부근육 속까지 온열감이 도달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물리치료로 잘 낫지 않는 골반통, 좌골신경통, 견비통 등의 치료에 큰 도움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헤어샴푸, 풋삼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 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마유의 추출 및 정제방법 >
1. 마유의 추출단계;
도축된 말고기로부터 지방 축적이 비교적 잘 되어 있는 부위(지방육)을 선별하고, 이를 세척한다. 이는 표면에 혹은 도체에 뭍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충분히 세척된 지방육과 물을 50:50의 중량비로 개량하여 가열로에 담고, 80∼120℃(바람직하기로는 100℃)의 온도에서 약 5시간을 가열하여 지방질의 액화를 진행시킨다. 이러한 용융과정(boiling process)을 거쳐 지방육으로 부터 액화된 마유를 추출하고 나면, 도체를 분리하여 원료 마유를 얻게 된다.
2. 마유 정제단계;
탈검과정 ; 원료 마유에 함유되어 있는 인지질, 단백질 및 기타 점질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료 마유를 0.1%의 농도를 유지하고 있는 인산으로 처리를 한 다음, 이를 60∼70℃의 물로 충분히 수세한다.
탈산과정 ; 원료 마유의 지방산을 제거하기 위해 인산 처리된 상기 원료 마유에 2.5%의 농도로 희석된 가성소다를 다시 가하여 이를 60∼70℃의 물로 충분히 수세한다.
탈색 및 탈취과정 ; 마유 중에 소량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고 탈색 및 탈취를 위해 5%중량의 산성백토를 가한 다음, 110∼120℃로 가온하여 충분히 교반될 때 까지 교반한다.
3. 여과단계;
충분히 교반, 가열된 마유를 필터프레스(Filter press)로 옮겨 필터링함으로서 정제 중에 첨가된 산성백토를 제거한다. 이를 통해 정제된 양질의 마유를 얻을 수 있게 된다.
< 실시예 2; 송이가루 만드는 방법 >
송이(scoria)는 농약등에 오염되지 않은 지역에서 채취하여 분쇄과정을 거쳐 만든다. 분쇄는 볼밀 또는 제트밀등을 사용할수 있으나 분쇄 공정시 불순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가공하고 탈철기를 이용하여 철분등 불순물을 제거한다. 입도는 43micron(325mesh)~ 10micron(1340mesh)이상 입도로 가공한다. 입도가 높을수록 표면적이 증가하고 흡착 부위로의 확산 거리가 짧아져 중금속 이온의 흡착량 및 흡착속도가 증가한다.
화장품원료기준인 비소 2ppm이하 납 20ppm이하 등의 기준에는 송이원료가 문제가 없지만 가공중에 혼입 가능성에 대비하여 공정관리를 철저히하고 사용전에 검사를 통해 품질을 유지한다. 미생물은 병원성균은 없어야하고 일반세균은 100cfu/g이내여야 하므로 가열방식으로 소독한다.
화산석 송이는 결정화온도가 850도~1250도 사이이므로 가열소독시 850도를 넘지 않은 상태로 소독한다.
가열은 소독외에 송이에 열을 가함으로 활성화를 시켜 나은 방사체물질로 성질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마유와 혼합시 활성화된 기공으로 인하여 균일하게 담체역활을 하여 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 실시예 3; 마유, 송이가루 및 마유와 송이가루 혼합물의 pH 측정>
pH5.5인 정제된 마유 10중량%과 pH7.2인 송이 2중량%를 혼합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대략 pH6으로, 약산성을 나타냈다.
< 실시예 4; 마유의 피부 보습 개선 평가시험 >
본 발명에서 정제된 마유의 보습력은 인체적용시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고, 마유와 송이가루 혼합물의 보습력도 이와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가) 피험자 기본정보
영농조합법인 산새미에서 의뢰한 마유의 인체적용시험에 참가한 피험자의 정보는 표 1에 정리하였다.
표 1. 피험자 정보
Figure 112007092076421-pat00001
본 인체 시험에 참가한 사람은 총 21명의 여성으로 평균 연령은 38세, 표준 편차는 7이었다. 연령을 세분하면 아래 표 2와 같다.
표 2. 피험자 연령별 구분
Figure 112007092076421-pat00002
나) 효능평가
1) Corneometer를 이용한 피부 보습 개선 평가 결과
2주간 제품 사용 후 Corneometer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평가 결과는 제품 사용기간에 따라서 다음의 표 3에 정리하였다.
평가결과 중 보습 개선정도는 개선율(%)로 나타내었으며, 통계분석결과와 함께 표 4와 표 5에 정리하였다.
제품 사용 후 보습 변화정도는 그림 1에 도식화하였다.
* 보습 개선율(%) = [(제품 사용 2주후 측정결과) - (0주차의 측정결과)]/ [0주차의 측정결과] × 100
표 3. 주차별 피부 보습 측정 결과
Figure 112007092076421-pat00003
표 4. 주차별 피부 보습 개선율(%)
Figure 112007092076421-pat00004
표 5. 통계처리 결과
Figure 112007092076421-pat00005
제품 사용 전후: paired t-test
제품 사용 2주 경과 후 Corneometer을 이용한 기기적 평가에서 마유 사용 전에 비하여 4.41% 피부 보습이 개선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통계분석 결과 마유 사용전에 제품 사용 2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의 개선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 실시예 5: 마유의 피부첩포시험 ( patch test )에 의한 안전성 시험 >
피험자 30명 (평균연령 35세, 연령분포 20세-53세)을 대상으로 finn chamber를 이용하여 상박에 피부 첩포시험 (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단 건선 (Psoriasis), 습진 (Eczema), 기타 피부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 하였다. 피험자 30명을 대상으로 시험부위인 상박 부위를 증류수 (1차 destilled water)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다음, 영농조합법인 산새미 제주마유를 각각 25㎕씩 finn chamber에 적하 시킨 후 상박 부위에 얹어 고정시켰다. 24시간 동안 피부에 첩포를 적용하였으며,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marking pen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48시간 경과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하였다.
판정은 첩포 제거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48시간 경과 후에 행하였 으며 피부반응은 하기 [표 6] 국제 접촉피부염연구회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정도를 분류하였다. [표 7] 평균피부반응도 계산공식에 따라 mean score를 산정한 후 피부첩포시험 (patch test) 결과 판정표에 따라 자극유무를 판정하였다.
[표 6] 국제 접촉피부염연구회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 ICDRG)의 판정 기준
Figure 112007092076421-pat00006
※ 피부반응 판정기준
1) negative (-) : 무자극
2)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 : 미자극
희미한 또는 가까스로 감지할 수 있는 가벼운 홍반
3) erythema + induration (+) : 경자극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4)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 (++) : 중자극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5)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 : 강자극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표 7] 피부첩포시험 (patch test) 결과 판정표
※평균 피부반응도 (mean score) 계산공식
i = 패치 제거 후 30분 경과 후 피험자 번호
j = 패치 제거 후 24시간 경과 후 피험자 번호
k = 패치 제거 후 48시간 경과 후 피험자 번호
score i, j, k = 첩포제거 후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48시간 경과 후 각각의 평가결과를 ICDRG 판정기준에 따라 score로 표기된 점수, erythema 와 edema 두 가지 반응에 대하여 모두 적용
Figure 112007092076421-pat00007
Ⅰ.인체적용시험방법의 흐름도
Figure 112007092076421-pat00008
Ⅱ. 평가결과
가. 피험자 기본정보
본 인체적용시험에 참가한 피험자의 정보는 [표 8]에 정리하였다.
[표 8]피험자 기본정보
Figure 112007092076421-pat00009
인체 시험에 참가한 사람은 총 30명의 남성 (6명)과 여성 (24명)으로 평균 연령은 35세였다. 연령을 세분하면 아래[표 9]와 같다.
[표 9] 피험자의 연령분포표
Figure 112007092076421-pat00010
나. 피부첩포시험 (patch test)에 의한 안전성 시험
피험자 30명의 상박에 제주마유를 각각 25㎕씩 finn chamber에 적하 시킨 후, 피부 첩포시험 (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여 첩포를 제거한 후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48시간 경과 후에 시험부위에서 나타난 피부반응을 국제 접촉피부염연구회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정도를 분류하고 피부첩포시험 (patch test) 결과 판정표에 따라 판정하여 아래 [표 10]에 정리하였다.
[표 10] 첩포시험 (patch test) 결과표
Figure 112007092076421-pat00011
Figure 112007092076421-pat00012
제주마유를 24시간 동안 피부첩포 (patch test)하여 첩포를 제거한 후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48시간 경과 후에 시험부위에서 나타난 피부반응을 국제 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정도를 분류하고, 피부첩포시험 (patch test) 결과 판정표에 따라 평균 피부반응도 (mean score)를 구하였다.
제주마유의 경우 패치 제거 후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48시간 경과 후에서 모두 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다. 평균 피부반응도는 0.00으로써 [표 7]의 판정기준에 따라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실시예 6; 마유와 송이가루 혼합물의 보습력, 탈취력, 항균력, 및 원적외선 방사능효과>
1. 보습력 변화
[표 11]보습력
2% 송이+ 10% 마유 혼합 5% 송이+ 10% 마유 혼합 마유
보습력(%) 0.05 0.05 0.05
[표 11]에서 정리한 대로, 2% 송이와 10% 마유를 혼합한 혼합물과 5% 송이와 10% 마유를 혼합한 혼합물의 보습력은 마유 자체의 보습력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혼합물의 경우에도 마유 자체의 보습력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탈취율(%)
①암모니아(NH3)기준 : 시험방법 KICM-FIR-1085
[표 12] 암모니아 탈취율
2% 송이+ 10% 마유 혼합 5% 송이+ 10% 마유 혼합 송이
30분경과시 46.6% 74.4 99%
60분경과시 50.9% 79.3 99%
90분경과시 53.9% 81.6 99%
120분경과시 55.2% 82.1% 99%
[표 12]에서 정리한 대로, 2% 송이와 10% 마유를 혼합한 혼합물의 암모니아 탈취율은 5% 송이와 10% 마유를 혼합한 혼합물의 탈취율보다는 미흡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탈취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5% 송이와 10% 마유를 혼합한 혼합물의 탈취율은 120분이 경과된 시간에서는 82.1%의 높은 탈취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②포름알데히드 기준
[표 13] 포름알데히드 탈취율
2% 송이+ 10% 마유 혼합 5% 송이+ 10% 마유 혼합 송이
30분경과시 56% 70 92%
60분경과시 60% 74 92%
90분경과시 60% 76 92%
120분경과시 60% 76 92%
[표 13]에서 정리한 대로, 2% 송이와 10% 마유를 혼합한 혼합물의 포름알테히드 탈취율은 5% 송이와 10% 마유를 혼합한 혼합물의 탈취율보다는 미흡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탈취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5% 송이와 10% 마유를 혼합한 혼합물의 탈취력은 120분이 경과된 시간에서는 76%의 높은 탈취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3. 항균도 : KS K 0693:2006준용
[표 14] 항균도(%)
2% 송이+ 10% 마유 혼합 5% 송이+ 10% 마유 혼합 송이
황색포도사상균 92.1 92.1 99.9
대장균,폐렴균 86.0 86.0 99.9
[표 14]에서 정리한 대로, 2% 송이와 10% 마유를 혼합한 혼합물과 5% 송이와 10% 마유를 혼합한 혼합물의 항균도는 송이 자체의 항균도보다는 약간 떨어졌으나, 황색포도사상균에 대한 항균도는 92%, 대장균 및 폐렴균에 대한 항균도는 86%로 혼합물의 경우에도 송이 자체의 항균도와 거의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4. 원적외선 방사율 : 시험방법FTCM-FIR-1005
[표 15] 원적외선 방사율
2% 송이+ 10% 마유 혼합 5% 송이+ 10% 마유 혼합 송이
원적외선 방사율(%) 89.4 90.1 92.6
[표 15]에서 정리한 대로, 원적외선 방사율은 2% 송이와 10% 마유를 혼합한 혼합물은 89.4%, 5% 송이와 10% 마유를 혼합한 혼합물은 90.1%를 나타냄으로 송이 자체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거의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마유와 송이가루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첨가된 제형들>
이하 제조예를 틀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유연화장수
[표 16]
성분 함량(중량%)
마유 10.0
송이 2.0
복합과일산 2.0
글리세린 3.0
1.3-부틸렌글리콜 3.0
피이지 1500 0.5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이.디.티.에이-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3.0
에탄올 7.0
옥틸도데세스-16 0.2
폴리솔베이트 20 0.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2. 영양화장수
[표 17]
성분 함량(중량%)
마유 8.0
송이 2.0
복합식물산 4.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5
스테아릴 알콜 1.5
라놀린 1.0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메도우폼유 1.0
광물유 3.0
스쿠알렌 3.0
트리옥티노인 2.0
디메치콘 0.6
초산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2
글리세린 4.0
1,3-부틸렌글리콜 2.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트리에탄올아민 0.1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3. 영양크림
[표 18]
성분 함량(중량%)
마유 14
송이 2
L-젖산 2.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
세테아릴알콜 2.0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6
메도우폼유 1.0
스쿠알렌 3.0
광물유 4.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소듐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3.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4. 에센스
[표 19]
성분 함량(중량%)
마유 12
송이 2
사과산 8.0
글리세린 8.0
베타인 4.0
피이지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2
이.디.티.에이-2N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히아루로네이트 7.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5. 맛사지크림
[표 20]
성분 함량(중량%)
마유 18
송이 2
L-글리콜산 2.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5
스테아릴 알콜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0.0
디메치콘 0.5
히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7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6. 팩
[표 21]
성분 함량(중량%)
마유 20
송이 4
복합과일산 3.0
폴리비닐알콜 12.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피이지 1500 2.0
사이크로 데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0.3
니코틴 아미드 0.5
에탄올 5.0
피이지 40 경화피마자유 0.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7. 풋샴푸
[표 22]
성분 함량(중량%)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17.5
콕아이도프로필 베테인(cocamidopropyl betaine) 10
SLES(Sodium Laureth Sulfate) 8
Lauramide Dea 5
Glycol distearate 2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2
유레아(Urea) 1
베테인(betaine) 1
멘톨(Menthol) 1
Melaleuca alternifolia(Tea tree) Leaf Oil 0.5
Acylates/C10-30 Alkyl Acylate Crosspolymer 0.2
송이 2
마유 8
시트르산(citric acid) 0.1
트리클로산 (Triclosan) 0.1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
디소디움 EDTA(disodium EDTA) 0.05
Methylchloroisothiaxolinone (and) Methylisothiazolinone 0.05
정제수 잔량
전체 100
도 1은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scoria)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과정이다.

Claims (4)

  1. 정제된 마유 10중량%와 송이가루 1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 항균, 탈취 및 원적외선 방사 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헤어샴푸, 풋삼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135354A 2007-12-21 2007-12-21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scoria)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893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354A KR100893648B1 (ko) 2007-12-21 2007-12-21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scoria)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354A KR100893648B1 (ko) 2007-12-21 2007-12-21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scoria)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648B1 true KR100893648B1 (ko) 2009-04-17

Family

ID=4075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354A KR100893648B1 (ko) 2007-12-21 2007-12-21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scoria)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648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441A (ko) * 2011-06-27 2013-01-04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6140467A1 (ko) * 2015-03-05 2016-09-09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1297A (ko) 2015-05-29 2016-12-08 (주)클레어스코리아 피부 탄력에 효과를 갖는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2637B1 (ko) 2017-03-02 2018-11-27 (주)유앤아이제주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2635B1 (ko) 2017-03-02 2018-11-27 (주)유앤아이제주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035514A1 (ko) * 2017-08-17 2019-02-21 농업회사법인(주)제주우다 마유의 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정제된 마유를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5154A (ko) * 2018-03-30 2019-10-11 김영선 고상 마유의 제조방법
KR20190115153A (ko) * 2018-03-30 2019-10-11 농업회사법인(주)제주우다 액상 마유의 제조방법
KR20190115152A (ko) * 2018-03-30 2019-10-11 농업회사법인(주)제주우다 마유를 이용한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0129A (ko) 2018-07-20 2020-01-3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소를 이용한 마유 추출 및 정제 방법
KR102079263B1 (ko) * 2018-08-23 2020-02-1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유의 정제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되는 정제마유를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7352A (ko) * 2019-07-11 2021-01-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유 리포좀을 함유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10026280A (ko) * 2019-08-29 2021-03-10 에이앤펩주식회사 피부 진정, 안티에이징 효과가 개선된 율무, 화산 송이 복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008A (ko) * 2003-07-26 2005-02-02 제주녹산장영농조합법인 정제 마유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2832A (ko) * 2004-02-20 2005-08-24 (주)제주사랑농수산 향장품 원료용 송이 화산석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이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008A (ko) * 2003-07-26 2005-02-02 제주녹산장영농조합법인 정제 마유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2832A (ko) * 2004-02-20 2005-08-24 (주)제주사랑농수산 향장품 원료용 송이 화산석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이팩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441A (ko) * 2011-06-27 2013-01-04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06393B1 (ko) * 2011-06-27 2016-03-28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6140467A1 (ko) * 2015-03-05 2016-09-09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1297A (ko) 2015-05-29 2016-12-08 (주)클레어스코리아 피부 탄력에 효과를 갖는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2637B1 (ko) 2017-03-02 2018-11-27 (주)유앤아이제주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2635B1 (ko) 2017-03-02 2018-11-27 (주)유앤아이제주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035514A1 (ko) * 2017-08-17 2019-02-21 농업회사법인(주)제주우다 마유의 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정제된 마유를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0227A (ko) * 2017-08-17 2019-02-28 농업회사법인(주)제주우다 마유의 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정제된 마유를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7272B1 (ko) * 2017-08-17 2019-05-13 농업회사법인(주)제주우다 마유의 정제방법 및 이에 의해 정제된 마유를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15153A (ko) * 2018-03-30 2019-10-11 농업회사법인(주)제주우다 액상 마유의 제조방법
KR20190115154A (ko) * 2018-03-30 2019-10-11 김영선 고상 마유의 제조방법
KR20190115152A (ko) * 2018-03-30 2019-10-11 농업회사법인(주)제주우다 마유를 이용한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2799B1 (ko) 2018-03-30 2019-11-08 농업회사법인(주)제주우다 액상 마유의 제조방법
KR102121305B1 (ko) 2018-03-30 2020-06-11 김영선 고상 마유의 제조방법
KR102121301B1 (ko) * 2018-03-30 2020-06-11 농업회사법인(주)제주우다 마유를 이용한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0129A (ko) 2018-07-20 2020-01-3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소를 이용한 마유 추출 및 정제 방법
KR102079263B1 (ko) * 2018-08-23 2020-02-1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유의 정제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되는 정제마유를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7352A (ko) * 2019-07-11 2021-01-2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유 리포좀을 함유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303079B1 (ko) 2019-07-11 2021-09-1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유 리포좀을 함유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210026280A (ko) * 2019-08-29 2021-03-10 에이앤펩주식회사 피부 진정, 안티에이징 효과가 개선된 율무, 화산 송이 복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436798B1 (ko) * 2019-08-29 2022-08-29 에이앤펩주식회사 피부 진정, 안티에이징 효과가 개선된 율무, 화산 송이 복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648B1 (ko)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scoria)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CN103230354B (zh) 一种止汗祛臭组合物
US20060105058A1 (en) Facial pack and bathing compositions based on Hwangto (Korean loess) and preparation thereof
CN106266384A (zh) 一种防治婴儿尿布疹的植物药膏及其制备方法
CN104042523A (zh) 天然植物保健按摩精油
CN110613632B (zh) 一种富含透明质酸或其盐的宠物洗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963205A (zh) 一种人体止汗除臭香体露及其制备方法
CN105816365A (zh) 一种纯天然精油驱蚊液及其制备方法
JP2003002840A5 (ko)
CN109310724A (zh) 一种用于皮肤和/或头发护理和/或治疗的组合物
KR20190087755A (ko)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천연샴푸 조성물
KR101761005B1 (ko) 법제 유황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항염 및 면역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180214C1 (ru) Крем-скраб
KR100918941B1 (ko)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10093B1 (ko) 안면 미안용 마스크
KR20190050387A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바디워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4150B1 (ko) 신발냄새를 제거하는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1134153B1 (ko)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CN105169463B (zh) 一种阳离子婴儿医用敷料及其制备方法
KR20180110357A (ko) 옥정수와 연옥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
KR100433380B1 (ko) 솔림욕 이미용제(황솔팩)와 입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860188A (zh) 美容润肤纳米乳霜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RU2126676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34;айседора&#34;
KR101970111B1 (ko) 흑운모를 이용한 피부병 치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병 치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107

Effective date: 200902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