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003A -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003A
KR20210085003A KR1020190177577A KR20190177577A KR20210085003A KR 20210085003 A KR20210085003 A KR 20210085003A KR 1020190177577 A KR1020190177577 A KR 1020190177577A KR 20190177577 A KR20190177577 A KR 20190177577A KR 20210085003 A KR20210085003 A KR 20210085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yrrh
illite
purified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617B1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아이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아이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아이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7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6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Abstract

본 발명은 몰약과 일라이트를 각각 정제하여 혼합한 혼합물을 열수 추출함으로써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미백 및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mmiphora Myrrh and illit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몰약과 일라이트를 각각 정제하여 혼합한 혼합물을 열수 추출함으로써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미백 및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로 접어들면서 피부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피부의 건강은 미용과 직결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피부의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피부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염증, 세균, 노화, 수분, 자외선, 대기오염물질 등이 있다.
피부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염증이 발생하곤 한다. 염증은 발생 당시에도 피부 미관에 좋지 않고, 염증이 가라앉은 후에도 흉터를 남기게 되어 피부 미관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꼽히고 있다.
염증은 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세균에 의해 더욱 악화 되기도 한다. 세균 역시 피부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로 꼽히고 있으며, 세균의 증식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노화 역시, 피부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노화를 막을 수는 없지만, 최대한 늦출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피부의 탄력을 증진하는 방안에 대해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피부는 일정한 양의 수분을 필요로 한다. 건조한 피부는 피부 건강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없기 때문에 피부에 대해 수분을 공급하는 것 역시 피부 건강에 필수적인 요소로 꼽히고 있다.
피부에 자외선이 닿으면 멜라닌 세포는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멜라닌 색소를 분비하게 된다. 어두운 색을 띄는 멜라닌 색소는 빛을 흡수하여 자외선으로부터 세포들을 보호한다. 그러나, 현대로 접어들면서, 어두운 피부는 피부 미용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바, 멜라닌 색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 역시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한편, 피부는 다양한 대기오염물질과 접촉하게 된다. 대기오염물질 자체를 중화시키거나 제거하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중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미백 및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연구에서는 화학성분을 이용하여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미백 및 안티폴루션 효과를 얻었기 때문에 피부에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 제조 비용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 생태학적으로 지속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미백 및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9523호(2017.09.19.공고), "플라보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몰약과 일라이트를 각각 정제하여 혼합한 혼합물을 열수 추출함으로써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미백 및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몰약으로부터 추출한 몰약추출물과, 분쇄하여 가열하고 에탄올로 정제하여 건조시킨 일라이트를 혼합한 혼합물을 열수 추출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및 미백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혼합추출물은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몰약추출물과 분쇄하여 가열하고 에탄올로 정제하여 건조시킨 일라이트는 40 : 60 내지 60 : 4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추출물을 냉각하고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등액을 전체 중량 대비 0.1 ~ 10.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몰약과 일라이트를 각각 정제하여 혼합한 혼합물을 열수 추출함으로써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미백 및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항염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항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안티폴루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몰약으로부터 추출한 몰약추출물과, 분쇄하여 가열하고 에탄올로 정제하여 건조시킨 일라이트를 혼합한 혼합물을 열수 추출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및 미백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몰약(Commiphora Myrrha)은 감람나무과의 몰약수(Commiphora myrrha Engler, 沒藥樹) 또는 합지수(Commiphora molmol Engler, 哈地樹)에서 얻은 고무수지로 한약재이다. 전자를 천연몰약이라 하고, 후자를 교질몰약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맛이 쓰고 약간 떫고 매우며 씹으면 치아에 붙는다. 몰약에는 수지와 정유, 고무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몰약은 항혈전, 항위궤양, 항기생충 작용 등이 있다. 또한, 고대 이집트에서는 미라를 만들 때 방부제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몰약추출물을 이용하며, 이는 몰약으로부터 추출한 것을 칭한다.
상기 몰약추출물은 열수 추출, 초음파추출, 증기추출, 압착추출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적절하게는 증기추출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약추출물은 몰약에 고온의 수증기를 가하여, 고온의 수증기에 몰약의 유효물질이 용해되어 스며나오도록 하고, 몰약의 유효물질이 용해된 수증기를 냉각수로 응축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상기 몰약은 발효과정을 거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데, 상기 몰약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소제(Aspergillus sojae), 트리코데르마 리세이(Trichoderma reesei) 또는 리조푸스 오리자에(Rhizopusoryzae)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균주는 공시된 균주로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다. 몰약에 발효과정을 수행하면 완성된 조성물의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미백 및 안티폴루션 효과가 더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증기추출은 물과 에탄올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발생시킨 증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증기추출에 물과 에탄올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발생시킨 증기를 이용할 경우 완성된 조성물의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미백 및 안티폴루션 효과가 더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일라이트는 일종의 점토광물로서, 지표에 있는 규산염(Silicate) 광물의 화학풍화 산물이다. 미국 일리노이주에서 1937년 Grim 교수가 처음으로 발견하여 ILLITE라 명명하였으며, 펜실베니아주, 캐나다 퀘백주, 호주, 이리노이주에 소량 분포하며, 대한민국 충북 영동에 세계 최대 매장량이 있는 것으로 학계에 알려져 있다. 상기 일라이트의 주성분은 SiO2와 Al2O3 등이 있으며, 중금속 흡착기능과 유독가스 흡착기능,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발생 능력 등이 탁월하다. 상기 일라이트는 일라이트라는 명칭 이외에도 가수운모(hydrous mica), 세립질 운모(finegrained mica), 운모점토광물(mica clay mineral) 등 다양한 명칭이 있다. 대표적인 화학식은 {K0. 75[Al1.75(Mg·Fe2+)0.25](Si3 . 50Al0 . 50)O10(OH)2}이다. 일라이트는 백운모에 비하여 층전하가 낮고, 그 전하는 4면체판의 Al3 과 Si4 의 동형치환 감소에 기인한다. 8면체판에서 약간의 동형치환이 일어난다. 일라이트는 층간에 존재하는 K에 의한 강한 결합력으로 비팽창성이며 층간격은 10A이다. X-선 회절에서는 1.0nm에서 고차의 저면반사를 나타내고, 폴리타입은 1M형이 많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라이트는 분쇄하여 가열하고 에탄올로 정제하여 건조시킨 일라이트를 칭한다.
상기 일라이트는 분쇄하여 가루 형태로 만든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일라이트는 고온으로 가열한 것이 적절하다. 이 때, 상기 일라이트의 가열 온도는 300 ~ 800℃인 것이 적절할 것이다.
분쇄하고 고온으로 가열한 일라이트는 에탄올로 정제하고 건조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일라이트에 에탄올을 40 : 60 ~ 60 : 4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일라이트를 정제하고, 에탄올을 분리하여 건조시키면 정제된 일라이트만이 남게 된다.
이에, 몰약을 추출한 몰약추출물과, 분쇄하여 가열하고 에탄올로 정제하여 건조시킨 일라이트를 서로 혼합한다.
이때, 몰약추출물과, 분쇄하여 가열하고 에탄올로 정제하여 건조시킨 일라이트는 40 : 60 내지 60 : 4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때, 상기 혼합 비율을 벗어날 경우, 완성된 조성물의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미백 및 안티폴루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몰약을 추출한 몰약추출물과, 분쇄하여 가열하고 에탄올로 정제하여 건조시킨 일라이트를 혼합한 혼합물은 100℃ 이하의 온도에서 열수 추출 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열수 추출한 혼합 추출물은 냉각하고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상등액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 대비 0.1 ~ 10.0 중량%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혼합추출물을 냉각하고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취한 상등액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상등액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 1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완성된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미백 및 안티폴루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내지 5. 몰약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을 거쳐 실시예 1 내지 5의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S10 : 정제수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여, 생성된 수증기를 몰약 사이로 통과시켜 몰약으로부터 유효성분이 추출된 수증기를 생성하고, 몰약으로부터 유효성분이 추출된 수증기를 냉각기로 냉각하여 몰약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20 : 일라이트를 분쇄하여 500℃로 가열하고, 에탄올과 혼합하여 정제하고, 다시 에탄올을 분리하고 건조하여 정제된 일라이트를 제조하였다.
S30: 상기 단계 S10의 몰약추출물과 상기 단계 S20의 정제된 일라이트를 하기 표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상기 단계 S30의 혼합물을 100℃ 이하의 온도에서 열수 추출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50: 상기 단계 S40의 혼합추출물을 냉각하고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취하고 5.0 중량%가 되도록 정제수에 희석시켰다.
몰약추출물의 중량비
(중량%)
정제된 일라이트의 중량비
(중량%)
실시예 1 30 70
실시예 2 40 60
실시예 3 50 50
실시예 4 60 40
실시예 5 70 30
비교예 1. 몰약 추출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공정을 거쳐 비교예 1의 몰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10 : 정제수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여, 생성된 수증기를 몰약 사이로 통과시켜 몰약으로부터 유효성분이 추출된 수증기를 생성하고, 몰약으로부터 유효성분이 추출된 수증기를 냉각기로 냉각하여 몰약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10: 상기 단계 S10의 몰약추출물을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취하고 5.0 중량%가 되도록 정제수에 희석시켰다.
비교예 2. 정제된 일라이트의 제조
하기의 제조공정을 거쳐 비교예 2의 정제된 일라이트를 제조하였다.
S10 : 일라이트를 분쇄하여 500℃로 가열하고, 에탄올과 혼합하여 정제하고, 다시 에탄올을 분리하고 건조하여 정제된 일라이트를 제조하였다.
S20: 상기 단계 S10의 혼합추출물을 냉각하고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취하고 5.0 중량%가 되도록 정제수에 희석시켰다.
비교예 3.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 혼합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 공정을 거쳐 비교예 3의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은 실시예 1 내지 5와 다르게 열수 추출하는 과정이 생략되었다.
S10 : 정제수를 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여, 생성된 수증기를 몰약 사이로 통과시켜 몰약으로부터 유효성분이 추출된 수증기를 생성하고, 몰약으로부터 유효성분이 추출된 수증기를 냉각기로 냉각하여 몰약추출물을 제조하였다.
S20 : 일라이트를 분쇄하여 500℃로 가열하고, 에탄올과 혼합하여 정제하고, 다시 에탄올을 분리하고 건조하여 정제된 일라이트를 제조하였다.
S30: 상기 단계 S10의 몰약추출물과 상기 단계 S20의 정제된 일라이트를 하기 표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S40: 상기 단계 S30의 혼합물을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취하고 5.0 중량%가 되도록 정제수에 희석시켰다.
실험예 1. 항염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염 효과의 피부트러블 완화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PGE2 생성 억제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Jeffrey, K H, Anglea, S W, Zoe, S, and Rhia C M, Intracellular Measurement of Prostaglandin E2 : Effect of antiinflammatory drugs on cyclooxygenase activity and prostanoid expression, Analytical Biochemistry, 1999, 271, 18-28).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7 세포를 수차례 계대 배양한 후, 24-웰 플레이트에 1 X 105개씩 넣고 5% CO2 항온항습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 50 ㎍과 LPS(1 ㎍/㎖) 450 ㎍을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전배양과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PGE2를 측정하기 위해 배양배지를 원심분리(12,000rpm, 3 min)하여 상층액을 얻었다. PGE2의 측정은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이용하여 정량함으로써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프로스타글란딘 억제 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프로스타글라딘 억제율(%)
실시예 1 32.5
실시예 2 58.6
실시예 3 73.4
실시예 4 57.4
실시예 5 38.2
비교예 1 12.3
비교예 2 18.2
비교예 3 26.3
그 결과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50 : 50 중량비로 혼합하고 열수추출한 실시예 3이 가장 높은 프로스타글라딘 억제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5의 조성물은 다소 낮은 프로스타글라딘 억제율을 보였으나, 실시예 2와 실시예4의 조성물은 적절한 프로스타글라딘 억제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의 적절한 혼합비는 40 : 60 내지 60 : 40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몰약을 단독으로 추출한 비교예 1과 일라이트를 정제만 한 비교예 2의 경우 낮은 수치의 프로스타글라딘 억제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단순히 혼합한 비교예 3 역시 낮은 수치의 프로스타글라딘 억제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혼합하고 열수추출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균효과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내지 3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항균활성 시험은 페이퍼 디스크 아가 확산법(paper disk agar diffusion)을 응용하였다. 시험균주로 대장균(Escherichia coli)을 액체 배지(육즙성분(beef extract) 3.0g, 펩톤 5.0g, 아가 15.0g, 증류수 1.0L, pH 6.8)에 37℃에서 8~24시간 동안 전 배양하여 활성화시킨 후, 균 현탁액을 일정한 농도(620nm에서 Optical Density 0.5)로 조절하여 희석한 후, 0.1ml씩 페트리디쉬에 접종한 후 멸균시킨 배지 10ml를 pouring하여 배지를 조성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조성물 30㎕가 흡착된 멸균 페이퍼 디스크에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디스크 주위의 생육 억제환의 크기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장균에 대한 생육 억제 크기(mm)
실시예 1 7.2mm
실시예 2 10.4mm
실시예 3 12.8mm
실시예 4 11.9mm
실시예 5 7.5mm
비교예 1 3.3mm
비교예 2 3.8mm
비교예 3 5.9mm
그 결과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50 : 50 중량비로 혼합하고 열수추출한 실시예 3이 대장균에 대하여 가장 넓은 생육 억제 크기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5의 조성물은 다소 좁은 생육 억제 크기을 보였으나, 실시예 2와 실시예 4의 조성물은 넓은 생육 억제 크기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의 적절한 혼합비는 40 : 60 내지 60 : 40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몰약을 단독으로 추출한 비교예 1과 일라이트를 정제만 한 비교예 2의 경우 좁은 넓이의 생육 억제 크기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단순히 혼합한 비교예 3 역시 좁은 넓이의 생육 억제 크기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혼합하고 열수추출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탄력 증진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피부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시험관 내(in vitro) 실험 방법으로 콜라겐(collagen) 생합성 촉진 효과를 검토하였다. PIP(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어세이로 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하였으며, 가장 많이 합성이 이루어지는 제I형 전구 콜라겐 C 말단 펩타이드(PICP)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24 웰 플레이트에 1× 104의 세포를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혈청을 포함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해주고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을 50 ㎍/㎖의 농도로 첨가하여, 37 ℃, 5% CO2 인큐베이터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 C를 대조군으로 하여 각 웰에 50 ㎍/㎖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배양 상층액인 배지를 원심 분리하여 키트(PIP EIA KIT)에 사용하였다. PIP에 대한 마우스 단클론항체가 코팅되어있는 96 웰 플레이트에 퍼록시다제(peroxidase)로 표지한 항체-POD 컨쥬게이트(MK1O1, TAKARA BIO INC.)를 넣어 반응시키고, 여기에 배양액을 20㎕/웰을 첨가하였다.
37 ℃, 5% CO2 인큐베이터에서 3시간 반응시킨 후 기질용액인 ρ-페닐렌디아민(phenylenediamine)을 100 ㎕/웰넣어 발색시켰다. 실내온도에서 15분 방치 후 반응중지용액을 100 ㎕/웰 넣어 반응을 중지시켰다. 5분 이내에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PICP 표준농도로 그래프를 작성하여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콜라겐 합성능(ng/ml)
실시예 1 267
실시예 2 412
실시예 3 594
실시예 4 423
실시예 5 288
비교예 1 116
비교예 2 128
비교예 3 228
그 결과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50 : 50 중량비로 혼합하고 열수추출한 실시예 3이 가장 높은 콜라겐 합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5의 조성물은 다소 낮은 콜라겐 합성능을 보였으나, 실시예 2와 실시예 4의 조성물은 적절한 콜라겐 합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의 적절한 혼합비는 40 : 60 내지 60 : 40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몰약을 단독으로 추출한 비교예 1과 일라이트를 정제만 한 비교예 2의 경우 낮은 수치의 콜라겐 합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단순히 혼합한 비교예 3 역시 낮은 수치의 콜라겐 합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혼합하고 열수추출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보습 효과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부 질환이 없는 20-40대 25명을 대상으로 1조 당 20명 씩 2개조로 나누고, 각 조별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을 매일 2회씩 1개월간 얼굴 및 전박부에 도포하게 하였다. 미리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도, 습도 40%)에서 corneometer(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 값을 삼고, 1주, 2주, 4주 경과 후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그 증가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1주 후 2주 후 4주 후
실시예 1 32 33 35
실시예 2 43 45 48
실시예 3 50 54 58
실시예 4 42 43 46
실시예 5 31 34 36
비교예 1 18 21 22
비교예 2 15 16 17
비교예 3 25 27 28
그 결과, 실시예 3의 경우 피부 전도도 증가율이 매우 우수하였다. 일반적으로 피부 전도도는 피부 수분량에 비례하므로, 상기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3의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그렇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피부 수분 함량도 높게 유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5의 조성물은 다소 낮은 피부 전도도 증가율을 보였으나, 실시예 2와 실시예 4의 조성물은 적절한 피부 전도도 증가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의 적절한 혼합비는 40 : 60 내지 60 : 40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몰약을 단독으로 추출한 비교예 1과 일라이트를 정제만 한 비교예 2의 경우 낮은 수치의 피부 전도도 증가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단순히 혼합한 비교예 3 역시 낮은 수치의 피부 전도도 증가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혼합하고 열수 추출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미백 효과
25㎠ T-플라스크에 DMEM 배지(포도당 4.5g/ℓ 89%, 혈청 10%, 항생제 1%) 5∼6㎖를 넣은 후, 동결보관 중인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ATCC CRL 6323) 세포주를 접종하여 37℃ 온도,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0.02% EDTA가 함유된 0.05% 트립신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 25㎠ T-플라스크에 접종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세포 수는 플라스크 당 5.76 × 106 cells이었다. 여기에 100μg/㎖의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을 DMEM 배지에 희석시켜 배양된 멜라노마 세포에 처리하여 37℃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0.02% EDTA와 0.05% 트립신을 함유한 살린-포스페이트 완충용액(PBS) 1㎖를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시킨 후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만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세포에 5%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TCA)를 처리하여 교반하고,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멜라닌을 살린-포스페이트 완충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침전된 멜라닌에 1N NaOH를 처리하여 용해시킨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합성 멜라닌(시그마사)의 표준농도 곡선으로부터 멜라닌의 농도를 결정한 후,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멜라닌 생성 억제율(%)
실시예 1 43.2
실시예 2 72.3
실시예 3 83.1
실시예 4 71.2
실시예 5 48.1
비교예 1 27.1
비교예 2 28.3
비교예 3 37.3
그 결과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50 : 50 중량비로 혼합하고 열수추출한 실시예 3이 가장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5의 조성물은 다소 낮은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보였으나, 실시예 2와 실시예 4의 조성물은 적절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의 적절한 혼합비는 40 : 60 내지 60 : 40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몰약을 단독으로 추출한 비교예 1과 일라이트를 정제만 한 비교예 2의 경우 낮은 수치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단순히 혼합한 비교예 3 역시 낮은 수치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혼합하고 열수 추출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안티폴루션 효과
일반적으로 공해 물질과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는 피부 각질세포를 사용하여 공해물질에 의한 세포 손상 정도를 측정하고,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피부 세포 손상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진행하였다.
사람 각질 세포 HaCaT를 5 X 103cells/ml 농도로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배양시킨 후, 벤조피렌(10μM), 질산암모늄(500㎍/ml), 및 포름알데하이드(1.5㎍/ml) 각각과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그 후 5mg/ml 농도의 MTT solution을 넣고 3시간 배양한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dimethyl sulfoxide를 150ul 씩 각 well에 넣어주고 10분간 shaking 하고, 570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오염물을 가하기 전에 대해 오염물을 가한 후의 비교값을 세포증식율(%)로 나타내었다.
벤조피렌
(10μM)
질산암모늄
(500㎍/ml)
포름알데하이드
(1.5㎍/ml)
세포증식률(%) 세포증식률(%) 세포증식률(%)
실시예 1 48 47 49
실시예 2 68 65 65
실시예 3 74 77 76
실시예 4 66 68 69
실시예 5 45 46 48
비교예 1 32 31 35
비교예 2 28 26 28
비교예 3 39 42 41
그 결과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50 : 50 중량비로 혼합하고 열수추출한 실시예 3을 적용하였을 때 오염물질에 대해 가장 높은 세포증식률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5의 조성물은 다소 낮은 세포증식율을 보였으나, 실시예 2와 실시예 4의 조성물은 적절한 세포증식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의 적절한 혼합비는 40 : 60 내지 60 : 40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몰약을 단독으로 추출한 비교예 1과 일라이트를 정제만 한 비교예 2의 경우 낮은 수치의 세포증식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단순히 혼합한 비교예 3 역시 낮은 수치의 세포증식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를 혼합하고 열수 추출하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상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몰약을 증기로 추출한 몰약추출물과, 분쇄하여 가열하고 에탄올로 정제하여 건조시킨 일라이트를 혼합하는 과정과 혼합물을 열수 추출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의 실험과정을 통해 몰약추출물과 정제된 일라이트의 적절한 혼합비율은 40 : 60 내지 60 : 40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험과정을 통하여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미백 및 안티폴루션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미백 및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신규한 조성물로서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Claims (5)

  1. 몰약으로부터 추출한 몰약추출물과, 분쇄하여 가열하고 에탄올로 정제하여 건조시킨 일라이트를 혼합한 혼합물을 열수 추출한 혼합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염, 항균, 피부 탄력 증진, 보습 및 미백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안티폴루션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약추출물과 분쇄하여 가열하고 에탄올로 정제하여 건조시킨 일라이트는 40 : 60 내지 60 : 4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을 냉각하고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얻어진 상등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등액을 전체 중량 대비 0.1 ~ 10.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77577A 2019-12-30 2019-12-30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0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77A KR102360617B1 (ko) 2019-12-30 2019-12-30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77A KR102360617B1 (ko) 2019-12-30 2019-12-30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003A true KR20210085003A (ko) 2021-07-08
KR102360617B1 KR102360617B1 (ko) 2022-02-09

Family

ID=7689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577A KR102360617B1 (ko) 2019-12-30 2019-12-30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61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975B1 (ko) * 1999-09-03 2002-03-20 서경배 몰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332268B1 (ko) * 2013-01-23 2013-11-22 주식회사 다솔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79728B1 (ko) * 2015-06-11 2015-12-23 심상희 약용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피부연고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618162B1 (ko) * 2016-01-25 2016-05-04 (주)에코프랜즈 건강 기능성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101779523B1 (ko) 2010-08-13 2017-09-19 (주)아모레퍼시픽 플라보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3019A (ko) *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바이오웨이 피부 안전성과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975B1 (ko) * 1999-09-03 2002-03-20 서경배 몰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779523B1 (ko) 2010-08-13 2017-09-19 (주)아모레퍼시픽 플라보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32268B1 (ko) * 2013-01-23 2013-11-22 주식회사 다솔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79728B1 (ko) * 2015-06-11 2015-12-23 심상희 약용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피부연고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618162B1 (ko) * 2016-01-25 2016-05-04 (주)에코프랜즈 건강 기능성 천연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향료 조성물
KR20180053019A (ko) * 2016-11-11 2018-05-21 주식회사 바이오웨이 피부 안전성과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617B1 (ko)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188B1 (ko)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2336B1 (ko) 적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90867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발효 조성물
WO2020226442A1 (ko)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1413105B1 (ko) 골담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용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3815A (ko)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4449A (ko) 행운목과 토끼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814498B1 (ko) 유칼립투스 잎과 붉은토끼풀 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51489B1 (ko) 틸리아닌( tilianin) 또는아카세틴(acac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960810B1 (ko) 블랙커런트 열매와 아로니아 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0617B1 (ko) 몰약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2341B1 (ko) 박하잎 및 생강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92856A (ko)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0628B1 (ko) 블랙베리 및 크랜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4733B1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0618B1 (ko) 목단화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8756B1 (ko) 귤껍질 및 칼메그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8275B1 (ko)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7966B1 (ko) 녹두씨, 만주자작나무수액 및 소리쟁이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3552A (ko) 산겨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라겐 생합성 촉진용 화장료조성물
KR102097723B1 (ko) 항산화, 미백, 주름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8695B1 (ko) 뽕나무뿌리와 모란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94091B1 (ko) 아티초크 잎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