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637B1 -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637B1
KR100653637B1 KR1020030061021A KR20030061021A KR100653637B1 KR 100653637 B1 KR100653637 B1 KR 100653637B1 KR 1020030061021 A KR1020030061021 A KR 1020030061021A KR 20030061021 A KR20030061021 A KR 20030061021A KR 100653637 B1 KR100653637 B1 KR 100653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rdenite
activated carbon
solid soap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3675A (ko
Inventor
김승원
Original Assignee
김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원 filed Critical 김승원
Priority to KR1020030061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6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23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18Water-insolubl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8Shaping by extrusion or 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2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on alkali or ammonium soap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형비누의 원료에 글리세린, 식물성 오일, 활성탄, 모데나이트 등을 혼합하여 고형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피부의 보습, 연화, 윤기향상 및 해독작용을 하여 피부나 두발에 윤택을 부여하고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활성탄과 모데나이트의 작용에 의해 인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피로가 해소되도록 하고, 경수를 연수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라우릴 황산칼륨 35.0∼40.0중량%, 라우릴 황산나트륨 35.0∼40.0중량%, 디옥틸소듐 설포석시네이트 11.0∼14.0중량%, 글리세린 1.0∼1.5중량%, 가성소다 0.3∼0.8중량%, 물 3.0∼4.0중량%, 밍크오일과 올리브오일 및 호호바오일이 혼합된 식물성 오일 2.0∼3.0중량%, 역청탄을 원료로 하여 이루어진 활성탄분말 1.5∼2.5중량%, 모데나이트분말 0.4∼0.6중량% 및 토코페롤과 알로에 추출물 및 살구즙과 키토산 그리고 프로폴리스가 혼합된 영양첨가물 1.8∼2.6중량%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형비누, 활성탄, 모데나이트, 글리세린

Description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Hard soap using activated carbon and mordenit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의 제조공정도.
본 발명은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형비누의 원료에 글리세린, 식물성 오일, 활성탄, 모데나이트 등을 혼합하여 고형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피부의 보습, 연화, 윤기향상 및 해독작용을 하여 피부나 두발에 윤택을 부여하고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활성탄과 모데나이트의 작용에 의해 인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피로가 해소되도록 하고, 경수를 연수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주로 팜오일(pam oil), 야자유 등에 수산화나트륨을 투입하여 검화하고 이렇게 제조된 비누베이스가 유동성을 유지하는 동안에 향료, 염료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고 혼화기에서 혼합한 다음 고화, 건조시켜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비누에 미용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비누베이스에 우유, 벌꿀 또 는 인삼추출액 등을 배합한 비누가 제조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러한 비누의 배합제들은 세수할 때 순간적으로 피부에 침투하거나 또는 피부 표면에 장시간 묻어 있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첨가제들이 복합성분으로 된 물질이므로 그 성분 중의 일부가 비누에 의하여 변질되는 가능성도 있었다.
또한 근래 살구씨 추출물을 함유하거나 오이즙을 함유한 미용비누가 상품화되고 있으나 피부보습 효과를 개선시킬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남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출원된 국내 특허공보 제1996-12276호의 '생약함유 미용비누 및 그 제조방법'은 비누베이스에 생약인 계피와 목별자, 백반 등을 함유시켜 보습성이 뛰어나고 피부해독 작용을 갖는 비누를 제조하였으나, 피부의 영양, 노화방지에 따른 미용효과에 문제점이 있었으며, 다른 선출원된 국내 특허공보 제1989-2405호의 '화장비누의 제조방법'은 비누베이스에 스퀼렌을 혼합하여 화장비누를 제조함으로써 세척작용 및 비누의 촉감을 증가시켰으나, 영양의 공급과 보습에 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출원인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51582호의 '고형비누'는 고형비누의 원료에 유황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으로 각종 피부병의 원인이 되는 진균루와 곰팡이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비누를 제공항 피부 건강에 유익하도록 하였으나, 보습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누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형비누의 원료인 라우릴 환산칼륨, 라우릴황산나트륨 및 가성소 다로된 비누베이스에 활성탄, 모데나이트, 글리세린, 식물성 오일 등을 혼합하여 고형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피부의 보습, 연화, 윤기향상 및 해독작용을 하여 피부나 두발에 윤택을 부여하고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로부터 발생되는 다량의 음이온이 피부 내부로 깊숙하게 침투하여 부교감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인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피로가 해소되도록 하고, 활성탄과 모데나이트의 작용에 의하여 경수를 연수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활성탄 및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는 라우릴 황산칼륨 35.0∼40.0중량%, 라우릴 황산나트륨 35.0∼40.0중량%, 디옥틸소듐 설포석시네이트 11.0∼14.0중량%, 글리세린 1.0∼1.5중량%, 가성소다 0.3∼0.8중량%, 물 3.0∼4.0중량%, 식물성 오일 2.0∼3.0중량%, 활성탄분말 1.5∼2.5중량%, 모데나이트분말 0.4∼0.6중량% 및 영양첨가물 1.8∼2.6중량%배합비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의한 고형비누의 제조방법은 고형비누 100중량%를 기준으로, 라우릴 황산칼륨 35.0∼40.0중량%, 라우릴 황산나트륨 35.0∼40.0중량%, 디옥틸소듐 설포석시네이트 11.0∼14.0중량%, 글리세린 1.0∼1.5중량%, 가성소다 0.3∼0.8중량% 및 물 3.0∼4.0중량%를 혼합하여 비누화하는 단계(S1)와; 비누화된 비누베이스에 식물성 오일 2.0∼3.0중량%, 활성탄분말 1.5∼2.5중량%, 모데나이트분말 0.4∼0.6중량% 및 영양첨가물 1.8∼2.6중량%를 혼합하는 단계(S2)와; 혼합된 혼합물을 응고 시켜 고형화하는 단계(S3) 및 고형화된 혼합물을 일정 형태로 가압성형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의 제조공정도로서, 비누화(S1), 비누베이스에 활성탄과 모데나이트 혼합(S2), 고형화(S3) 및 가압성형단계(S4)로 이루어진다.
먼저 라우릴 황산칼륨, 라우릴 황산나트륨, 디옥틸소듐 설포석시네이트 및 글리세린에 가성소다와 물을 투입하여 비누화(S1)하되, 충분한 비누화반응을 진행시키기 위해 물에 소량의 가성소다를 넣어가며 녹여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을 제조한 후 이를 투입하도록 한다.
비누화반응을 통해 비누화된 비누베이스에 식물성 오일, 활성탄분말, 모데나이트분말 및 영양첨가물을 혼합(S2)하여 활성탄분말과 모데나이트분말에 의해 피부, 두피 또는 두발의 산화방지, 세포부활, 보습, 연화, 윤기의 향상 및 해독작용을 하여 피부나 두발에 윤택을 부여하고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글리세린, 선인장엑기스 및 비타민제로 인하여 덜 끈적거리며 피부자극을 적게 하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면서도 노화를 방지하며, 각각의 식물성 오일과 영양첨가물을 첨가하여 보습 및 영양공급 효과를 더욱 우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는 수질정화작용을 할 수 있는 것으로, 경수 를 연수로 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식물성 오일로는 밍크오일, 올리브오일 및 호호바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들 중 어느 한 종 또는 두 종 이상의 혼합물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영양첨가물로는 토코페롤, 알로에 추출물, 살구즙, 키토산 및 프로폴리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들 한 종 또는 두 종 이상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식물성 오일, 활성탄분말, 모데나이트분말 및 영양첨가물을 혼합할 시 소량의 향료(perfume)를 첨가하여 제조하면 우수한 향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소량의 향료를 첨가하여 제조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혼합된 혼합물을 응고시켜 고형화(S3)하여 투명비누를 제조하도록 하고, 고형화된 혼합물을 가압성형(S4)함으로써, 비누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고형비누는 라우릴 황산칼륨, 라우릴 황산나트륨, 디옥틸소듐 설포석시네이트, 글리세린, 가성소다, 물, 식물성 오일, 활성탄분말, 모데나이트분말 및 영양첨가물로 되며, 그 배합비율은 라우릴 황산칼륨 35.0∼40.0중량%, 라우릴 황산나트륨 35.0∼40.0중량%, 디옥틸소듐 설포석시네이트 11.0∼14.0중량%, 글리세린 1.0∼1.5중량%, 가성소다 0.3∼0.8중량%, 물 3.0∼4.0중량%, 식물성 오일 2.0∼3.0중량%, 활성탄분말 1.5∼2.5중량%, 모데나이트분말 0.4∼0.6중량% 및 영양첨가물 1.8∼2.6중량%로 된다.
상기 조성물 및 그 배합비율에 대해 살펴보면, 라우릴 황산칼륨(potassium lauryl sulfate)과 라우릴 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은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하며, 친수성과 친유성을 갖고 있어 피부나 두피로부터 더러움을 제거할 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그 배합비가 35.0중량% 미만이면 비누의 원래 역할인 더러움을 제거할 수 없으며 40.0중량%를 초과하면 기타 첨가물의 투입량이 줄어들어 충분한 영양공급 및 보습의 효과를 줄 수 없으므로, 각각 35.0∼40.0중량%를 사용하며, 계면활성제로서 반드시 상기한 라우릴 황산칼륨과 라우릴 황산나트륨만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옥틸소듐 설포석시네이트(di octyl sodium sulfosuccinate)는 침투력을 강화시켜주는 역활을 하는 것으로, 피부 속 깊숙한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배합비율로는 11.0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14.0중량%를 초과하면 계면활성제의 역할이 저하되므로 11.0∼14.0중량%로 한다.
글리세린(glycerin)은 피부보습, 연화, 윤기의 향상 등의 효과가 있으며, 1.0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제조비용이 상승함과 동시에 비누에 끈적임이 있어 1.0∼1.5중량%의 배합비율로 혼합한다.
가성소다(processed salt)와 물은, 다른 조성물과 함께 투입되는 것이 아닌 물에 소량의 가성소다를 용해시켜 수용액을 만든 후, 투입되는 것으로, 가성소다의 배합비가 0.3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비누화반응이 나타나지 않고 0.8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피부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0.3∼0.8중량%하며, 물의 배합비가 3.0중량% 미만이면 가성소다가 충분히 용해할 수 없고 4.0중량%를 초과하면 과 량이 되므로 3.0∼4.0중량%로 한다.
또한 식물성 오일은 피부의 보습을 우수하게 하며 노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배합비가 2.0중량% 미만이면 소량이 되어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를 초과하면 세정력이 저하되므로 2.0∼3.0중량%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밍크 오일(mink oil) 2.0중량%, 올리브 오일(olive oil) 0.3중량%, 호호바 오일(jojoba oil) 0.5중량%를 첨가하여 사용하면 밍크 오일의 충분한 보습효과와 올리브 오일의 노화방지효과, 호호바오일의 피지분비조절 및 보습효과의 상호작용으로 피부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활성탄분말은 역청탄(bituminous coal)을 미분쇄하고 850∼1150℃의 온도범위에서 불연소화합방식인 수증기부활법으로 활성화시켜 제조하는 것으로, 흡착에 관여하는 세공이 미세공으로 형성되며 요오드흡착력이 900∼950mg/g에 이르고, 또한 계속적으로 산화 및 환원반응을 함으로써 우수한 통풍, 제습, 탈취 및 항균효과를 갖는 것이다. 활성탄분말의 입도는 생산성 및 경제성을 고려할 때 800mesh가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그 배합비율이 1.5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비누거품이 탁해지므로 1.5∼2.5중량%로 한다.
또한 모데나이트분말은 모데나이트를 약 400∼500mesh 정도로 미분쇄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계속적으로 500∼700 이온/cc 정도의 음이온을 발생시켜 주변 공기를 쾌적하게 하고 세포의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등의 효과를 가지므로, 경제성을 고려할 때 400∼500mesh가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그 배합비가 0.4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0.6중량를 초과하면 거품이 잘 발생되지 않으므로 0.4∼0.6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데나이트분말은 제올라이트(zeolite)의 일종으로 총 19종에 이르는 천연제올라이트들 중 크리놉틸로라이트와 함께 가장 흔하게 산출되는 광물이다.
상기 모데나이트는 화학조성상 Na, K, Ca, Mg, Sr 및 Ba를 양이온으로 소량 함유하는 함수규산염 광물(hydrous aluminosilicate)로 결정구조상으로는 규산염광물의 기본 단위의 하나인 (Si, Al)O4 사면체의 모든 산소들이 또 다른 사면체에 의해서 공유되면서 3차원적으로 연결되는 망상 규산염 광물(Tectosilicate)에 속하나, 같은 망산광물염 광물인 석영과 장석군 과뭉들은 치밀한 구조를 이루는 데 비해서, 모데나이트는 결정구조상의 공동(2.3∼7.5Å)로 엉성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모데나이트의 구조상 Si4+ 일부가 Al3+ 로 치환됨으로서 발생하는 전하결손을 보상하기 위해서 양이온들이 흔히 구조내에 개입된게 되는데, 장석류와는 달리 모데나이트는 광물내에 구조상의 공동을 형성하고 여기에 양이온들이 존재하는 관계로, 이 양이온들이 주위의 다른 양이온들에 의해서 쉽게 치환될 수 있고 또한 고동내에서 정전기적으로 강하게 대전되어 존재하는 이 양이온들의 성격에 따라 항상 많은 양의 물분자들이 공동내로 유입됨에 따라서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모데나이트로부터 다량 발생되는 음이온은 혈액의 칼슘과 칼륨을 증가시킴으로써 산성혈액을 알칼리화로 전환시켜 혈액을 정화하고, 세포 내에 영양공급을 원활히 하고 노폐물을 배출시켜 병든 세포를 재생시키며, 또한 각종 질병에 대한 항 체의 증가로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자율신경계를 조절하여 혈액, 신경계통 등에 활력을 줌과 동시에, 엔돌핀 및 엔카파린을 발생시켜 피로를 회복시키고 체력을 증강시키며 통증을 완화시키는 등의 역할을 한다.
상기 영양첨가물로는 토코페롤(dl-α-tocopherol), 알로에 추출물(aloe extract), 살구즙(apricot juice), 키토산(kitosan), 프로폴리스(propolis) 등을 사용하여 노화억제 및 피부연화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배합비가 1.8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영양을 공급할 수 없고 2.6중량%를 초과하면 생산원가가 상승되므로 1.8∼2.6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토코페롤 0.3중량%, 알로에 추출물 0.02중량%, 살구즙 0.4중량%, 키토산 0.9중량%, 프로폴리스 0.9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은 배합비율로 본 발명의 고형비누를 제조하였다.
고형비누의 배합량 (단위: g)
구분 라우릴 황산 칼륨 라우릴 황산 나트륨 디옥틸소듐 설포 석시네이트 글리 세린 가성 소다 식물성 오일 활성탄분말 모데나이트분말 영양 첨가물
실시예 380 380 12 10 5 30 25 20 5 25
상기와 같은 배합비율로 본 발명의 고형비누를 제조한 결과, 하기 표 2에 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요오드 흡착력이 우수하고 다량의 음이온이 발생함을 알 수 있어, 큰 요오드 흡착력과 음이온 방사로 인하여 피부의 보습, 연화, 윤기의 향상 및 해독작용을 하여 피부나 두발에 윤택을 부여하고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에 따른 고형비누의 요오드 흡착력 및 음이온 발생량
구분 요오드 흡착력(mg/g) 음이온 발생량(이온/cc)
실시예 50 65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형비누 뿐만 아니라 샴푸, 린스, 투명비누 등에 활성탄분말과 모데나이트분말을 혼합하여 비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고형비누의 원료에 글리세린, 식물성오일, 활성탄, 모데나이트, 영양첨가물 등을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피부의 보습, 연화, 윤기의 향상 및 해독작용을 하여 피부나 두발에 윤택을 부여하고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거품형성이 우수하여 순하면서도 덜 끈적거리며 피부자극을 적게 하고, 피부나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며, 피부나 두피의 산화를 방지하고 세포를 활성화시켜 노화를 방지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로부터 발생되는 다량의 음이온이 피부 내부로 깊숙하게 침투하여 부교감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인체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피로가 해소되도록 하고, 자율신경을 조절하여 피부에 생기를 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경수를 연화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고형비누에 있어서,
    라우릴 황산칼륨 35.0∼40.0중량%, 라우릴 황산나트륨 35.0∼40.0중량%, 디옥틸소듐 설포석시네이트 11.0∼14.0중량%, 글리세린 1.0∼1.5중량%, 가성소다 0.3∼0.8중량%, 물 3.0∼4.0중량%, 밍크오일과 올리브오일 및 호호바오일이 혼합된 식물성 오일 2.0∼3.0중량%, 역청탄을 원료로 하여 이루어진 활성탄분말 1.5∼2.5중량%, 모데나이트분말 0.4∼0.6중량% 및 토코페롤과 알로에 추출물 및 살구즙과 키토산 그리고 프로폴리스가 혼합된 영양첨가물 1.8∼2.6중량%의 배합비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2. 삭제
  3. 삭제
  4. 고형비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고형비누 100중량%를 기준으로,
    라우릴 황산칼륨 35.0∼40.0중량%, 라우릴 황산나트륨 35.0∼40.0중량%, 디옥틸소듐 설포석시네이트 11.0∼14.0중량%, 글리세린 1.0∼1.5중량%, 가성소다 0.3∼0.8중량% 및 물 3.0∼4.0중량%를 혼합하여 비누화하는 단계(S1)와; 비누화된 비누베이스에 밍크오일과 올리브오일 및 호호바오일이 혼합된 식물성 오일 2.0∼3.0중량%, 역청탄을 원료로 하여 이루어진 활성탄분말 1.5∼2.5중량%, 모데나이트분말 0.4∼0.6중량% 및 토코페롤과 알로에 추출물 및 살구즙과 키토산 그리고 프로폴리스가 혼합된 영양첨가물 1.8∼2.6중량%를 혼합하는 단계(S2)와; 혼합된 혼합물을 응고시켜 고형화하는 단계(S3) 및 고형화된 혼합물을 일정 형태로 가압성형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30061021A 2003-09-02 2003-09-02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653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021A KR100653637B1 (ko) 2003-09-02 2003-09-02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021A KR100653637B1 (ko) 2003-09-02 2003-09-02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675A KR20050023675A (ko) 2005-03-10
KR100653637B1 true KR100653637B1 (ko) 2006-12-05

Family

ID=37231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021A KR100653637B1 (ko) 2003-09-02 2003-09-02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282B1 (ko) * 2018-07-30 2019-10-08 아비라 주식회사 천연 벤토나이트 및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354B1 (ko) * 2013-11-15 2016-01-22 남오희 신체세정용 비누의 제조방법
CN112041418A (zh) 2018-05-02 2020-12-04 奈克斯特阿普有限公司 洗衣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282B1 (ko) * 2018-07-30 2019-10-08 아비라 주식회사 천연 벤토나이트 및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기능성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675A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661B1 (ko)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332268B1 (ko) 일라이트가 함유된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93648B1 (ko) 정제된 마유와 화산석 송이(scoria)를 포함하는화장료 조성물
GB2537649A (en) Composition
KR101311692B1 (ko) 아토피 피부 및 여드름 치료용 비누와 이의 제조방법
KR100653637B1 (ko)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297083B1 (ko) 싸리나무오일이 첨가된 천연비누 제조 방법
JP4594698B2 (ja) 黄土粉、顔専用パック、入浴組成物並びに顔専用パック組成物及び入浴組成物の製造方法
KR20000048307A (ko) 숯 분말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25626B1 (ko) 가리비 패각 소성 분말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KR20160011247A (ko) 양구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를을 이용한 천연 유아용 물비누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
CN1539404A (zh) 含有黄腐酸的洁肤组合物
KR100889390B1 (ko) 검은콩 분말이 함유된 흑비누의 제조방법
KR102255269B1 (ko) 두피 케어용 비누 제조방법
KR101627300B1 (ko) 달걀 껍질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KR100816675B1 (ko) 황토 비누 제조방법
KR100433380B1 (ko) 솔림욕 이미용제(황솔팩)와 입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336690Y1 (ko)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로 이루어진 투명비누
KR20040090312A (ko)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투명비누의 제조방법 및 그제품
KR20000008635A (ko) 피부미용 맛사지제의 제조방법
KR100222129B1 (ko) 현미를 함유하는 미용비누
KR20160102739A (ko) 탱자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413641B1 (ko) 화장비누 조성물
KR100201536B1 (ko)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항균 위생 화장용 티슈의 제조방법
KR20040067044A (ko) 기능성 미용비누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