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354B1 - 신체세정용 비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체세정용 비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354B1
KR101584354B1 KR1020130138810A KR20130138810A KR101584354B1 KR 101584354 B1 KR101584354 B1 KR 101584354B1 KR 1020130138810 A KR1020130138810 A KR 1020130138810A KR 20130138810 A KR20130138810 A KR 20130138810A KR 101584354 B1 KR101584354 B1 KR 101584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ap
coffee
coffee bea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165A (ko
Inventor
남오희
Original Assignee
남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오희 filed Critical 남오희
Priority to KR1020130138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3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354B1/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세정용 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량을 기준하여 주재료인 비누베이스와, 보조재료인 식물성 오일, 글리세린, 토코페롤, 프로폴리스 및 커피원두가루찌꺼기 각각의 재료를 혼합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각 재료들 중 고체상태의 비누베이스는 58∼76%(중량)를 65∼70℃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녹이면서 식물성 오일 2∼5%(중량), 글리세린은 1∼5%(중량), 토코페롤 0.5∼1%(중량), 프로폴리스 0.5∼1%(중량) 각각을 혼합하며, 여기에 0.01∼0.1mm의 크기로 분쇄된 커피원두가루찌꺼기 20∼30%(중량)을 혼합하여 교반한 후 형틀에 붓고 응고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커피원두가루찌꺼기가 고르게 분포된 비누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신체세정용 비누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oup for body and face}
본 발명은 신체세정용 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비누베이스에다 원두커피를 제조하고 남는 커피원두찌꺼기(가루)를 혼합하며, 여기에 각종 식물성 오일 및 기능성 첨가물을 혼합 첨가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것이며, 사용시 비누가 물에 녹을 때 비누거품과 같이 미세한 알갱이 형태의 커피원두가루가 비누거품과 같이 피부에 퍼지면서 커피향을 발산하게 되며, 또 비누거품과 같이 피부에 확산되는 미세한 커피원두가루가 피부를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며 피부에 탄력을 주고, 커피원두가루가 가지고 있는 카페인성분이 피부에 보습 및 윤기를 나타나게 하는 등 인체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특징이 있는 신체세정용 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의 제조방법에는 고체상태의 비누베이스(비누원료)를 녹인 다음 그 녹인 비누베이스액에 색을 내는 천연재료와 향을 내는 에센오일 등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녹여붓기식 제조방법과, 베이스오일과 가성소다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저온제조방법 및 베이스오일과 가성소다를 이용해서 비누원료를 만든 다음 그 비누원료를 다시 가열하여 중화시켜서 제조하는 고온제조방법 등이 있다.
상기한 비누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비누원료는 비누 분자가 산란하기 때문에 불투명한 상태로 제조되지만, 극성 용매인 물, 에탄올, 글리세린을 사용하여 비누원료를 녹이게 되면 빛이 산란하지 않고 직진하게 되어 투명한 비누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비누원료를 투명하게 제조하는 방법은 기존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나트륨 비누와 트리에탄올아민비누 재료를 지방산으로 중화한 후 폴리올을 첨가하여 투명비누를 제조하는 방법과, 지방산 비누재료를 기재로 하고 중화반응시 알콜류를 사용하며 설탕, 글리세린 등의 투명화제 및 에탄올과 물 등의 용제를 가열 혼합시켜서 투명비누를 제조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비누를 제조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비누를 포함하여 모든 신체세정용 비누는 물에 잘 녹고 거품이 잘 일어나도록 제조되고 있으며, 손이나 얼굴 및 신체를 닦을 사용하는 화장비누, 살균 및 소독효과를 나타내는 약용비누, 체취를 방지하는 방취효과가 있는 방취비누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모든 비누는 세정효과, 살균소독효과, 방취효과 등은 우수하지만 신체를 자극하여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거나 인체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웠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비누는 물에 잘 녹고 거품이 잘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사람이 손이나 발 및 목욕을 할 때 신체에 붙어있는 이물질 즉, 때를 잘 씻어낼 수는 있지만, 피부를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는 등의 맛사지 효과를 비롯하여 인체의 건강에 도움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특히 원두커피를 제조하고 남는 커피원두가루를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것이다.
커피에 들어있는 카페인은 자외선을 인해 생길 수 있는 기미와 주근깨를 없애주고 피부 보습에 좋은 효과가 있으며, 또한 피부의 각질제거 및 지방분해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요즈음에는 커피의 소비가 점점 증가되는 추세이어서 원두커피를 제조하고 남는 커피원두가루찌꺼기를 쉽게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피원두가루찌꺼기를 이용하여 피부 미용과 피부 맛사지, 피부 혈액순환 개선 등 여러 가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신체세정용 비누를 제조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주재료인 비누베이스를 가열하여 녹인 다음, 여기에 보조재료인 식물성 오일 및 글리세린을 중량비 기준으로 소정량씩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비누베이스는 58∼86%(중량), 식물성 오일은 2∼5%(중량), 글리세린은 1∼5%(중량)이며, 여기에 크기가 0.01∼0.1mm 정도로 미세하게 분쇄된 커피원두가루찌꺼기 10∼30%(중량) 및 토코페롤 0.5∼1%(중량), 프로폴리스 0.5∼1%(중량)를 혼합하고 65∼70℃로 가열하여 녹인 후 형틀에 붓고 응고시키는 방법으로 비누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청구항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신체세정용 비누 100%(중량)를 기준으로 가열하여 녹인 액체상태에서 기능성 첨가물인 곡물류 엑기스, 식물류 엑기스, 나무류 엑기스, 풀류 엑기스, 꽃류 엑기스, 과일류 엑기스, 구근류 엑기스, 조류 엑기스, 물고기류 엑기스, 씨앗류 엑기스, 한방약재류 엑기스, 발효류 엑기스 중에서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엑기스를 0.1∼1%(중량)씩 따로따로 첨가하고 혼합하여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이나 발을 씻을 때는 물론이고 목욕을 할 때 비누에 혼합되어 있던 물에 녹는 비누거품 속에 미세한 커피원두가루찌꺼기가 함께 분포하게 되므로 커피향이 발산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비누거품과 함께 분포되는 미세한 커피원두가루찌꺼기는 피부를 문지를 때 피부를 자극하게 되므로 피부의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으며, 커피원두가루찌꺼기에 들어있는 카페인 성분이 지방을 분해가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피부의 탈색이나 색소침착을 막아주는 등 피부 미용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등 피부 건강에 많은 도움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신체세정용 비누의 제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고체상태의 비누베이스 58∼76%(중량)를 주재료로 하며, 이를 65∼70℃ 정도로 가열하여 녹인 다음, 보조재료인 식물성 오일 2∼5%(중량) 및 글리세린 1∼5%(중량)을 혼합하며, 여기에 크기가 0.01∼0.1mm 정도의 미세한 커피원두가루찌꺼기 20∼30%(중량)와, 토코페롤 0.5∼1.0%(중량), 프로폴리스 0.5∼1.0%(중량)를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주재료인 비누베이스는 기존의 비누원료를 제조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중량을 기준하여 볼 때 58∼76% 정도가 사용되며, 상기한 고체상태의 비누베이스는 65∼70℃ 정도로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녹인 상태에서 식물성 오일, 글리세린 및 토코페롤, 프로폴리스 등의 재료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알로에유, 동백유, 라벤다유. 올리브유, 아보카드유, 달맞이유, 녹차씨유, 헤이즐넛유, 복숭아유, 연꽃유, 살수씨유, 톨유, 해바라기유, 까놀라유, 참깨유, 들깨유 등등의 식물성 오일 중 5종류 이상의 오일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한 것이 사용되며, 이때의 식물성 오일 혼합비율은 중량을 기준하여 2∼5% 정도로 혼합된다.
상기 글리세린은 중량을 기준하여 1∼5% 정도의 소량으로 혼합된다.
상기 커피원두가루찌꺼기는 원두커피를 제조할 때처럼 볶아낸 다음 미세하게 분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이 생커피원두를 이용하게 될 경우에는 비누의 제조비용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비누의 가격이 높아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원두커피를 제조하고 남는 찌꺼기를 사용하여 비누를 제조하여 저렴한 가격의 비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커피원두가루찌꺼기는 원두커피를 제조할 때 생원두를 볶아주는 로스팅공정과, 볶아진 커피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딩공정 및 원두커피즙을 추출해 내는 원두커피즙 추출공정을 거친 후 걸러낸 커피원두가루찌꺼기를 수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때 사용되는 커피원두가루찌꺼기는 대략 0.01∼0.1mm 정도의 미세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중량을 기준하여 볼 때 비누베이스 56∼76%에 상기 커피원두가루찌꺼기 20∼30% 정도가 혼합된다.
상기 커피원두가루찌꺼기는 비누에 고르게 분포되어 비누 사용시 비누거품과 같이 비누에서 분리되면서 커피향을 발산하며, 비누거품과 같이 피부에 퍼지면서 피부를 문지를 때 피부를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며, 상기 커피원두가루찌꺼기에 포함되어 있는 카페인 성분은 피부의 탈색이나 색소 침착을 막아주는 등 피부의 건강에 많은 도움을 준다.
상기 토코페롤 성분은 중량을 기준하여 0.5∼1.0% 정도의 소량이 혼합되는 것이며, 상기한 토코페롤은 피부에 비타민을 보충해주는 역활을 한다.
상기 프로폴리스 성분 역시 중량을 기준하여 0.5∼1.0% 정도의 소량이 혼합되는 것으로, 프로폴리스는 항균 및 항염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비누 사용시 피부질환이나 상처의 감염을 막아주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비율로 비누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 비누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종류의 기능성 첨가물을 첨가하여 비누를 제조할 수 있으며, 비누제조시 첨가 혼합되는 기능성 첨가물의 종류와 혼합비율은 다음과 같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곡물류 엑기스, 나무류 엑기스, 풀류 엑기스, 꽃류 엑기스, 과일류 엑기스, 구근류 엑기스, 조류 엑기스, 물고기류 엑기스, 씨앗류 엑기스, 한방약재류 엑기스 등이 있으며, 상기한 각 엑기스들은 다음과 같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 중 곡물류 엑기스는, 밀, 보리, 찹쌀, 차수수, 차조, 팥, 백미, 백태, 옥수수, 완두, 현미, 흑미, 흑태, 흑깨, 쥐눈이테, 서리태, 현미눈, 기장, 율무, 울타리태, 수수 등의 곡물 중에서 5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추출해낸 엑기스가 사용되며, 상기한 곡물류 엑기스는 비누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비누베이스, 식물성 오일, 글리세린, 커피원두가루, 토코페롤, 프로폴리스를 합한 중량비 100%를 기준하여 볼 때 0.1∼1.0%(중량)가 추가로 혼합되어 비누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상황버섯, 파프리카, 편백, 브루콜리, 울금, 오행초, 청대, 토란, 골담초, 생강, 개피, 쑥, 감초, 검은콩 중에서 5종류 이상의 식물을 선택하여 추출해낸 식물류 엑기스를 0.1∼1.0%(중량) 정도를 추가로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 중 나무류 엑기스는, 은행나무, 모과나무, 앵두나무, 상수리나무, 개암나무, 도토리나무, 뽕나무, 소나무, 사철나무, 닥나무, 무궁화나무, 느티나무, 커피나무, 귤나무, 가시오가피나무, 헛개나무, 벗나무, 두충나무, 굴피나무, 게피나무, 목련나무, 감나무, 살구나무, 복숭아나무, 회향목, 대나무, 밤나무, 대추나무, 목화나무, 감람나무, 유향나무, 침향나무, 옻나무, 버드나무 등등의 나무들 중에서 5종류 이상의 나무를 선택하여 추출해서 뽑아낸 엑기스가 사용되며, 상기 나무류 엑기스는 전술한 곡물류 엑기스의 혼합비와 같은 0.1∼1.0%(중량) 정도가 추가로 혼합되어 비누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 중 풀류 엑기스는, 아주까리, 애기똥풀, 피나물, 냉이, 비름, 고사리, 쑥, 질갱이, 달래, 모시, 골풀, 선인장, 쪽두리풀, 아욱, 결명자초, 어성초, 토대왕, 범부채, 성대, 옥수수, 돌미나리, 바위취, 삼백초, 상추, 호랑이풀, 함초, 골담초, 등등의 폴종류 중에서 5종류 이상의 풀을 선택하여 추출해낸 엑기스가 사용되며, 상기 풀류 엑기스 역시 전술한 곡물류 엑기스의 혼합비와 같은 0.1∼1.0%(중량) 정도가 추가 혼합되어 비누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 중 꽃류 엑기스는, 민들레. 백합, 장미, 은방울꽃, 만년청, 수국, 해당화, 봉숭화, 모란, 접시꽃, 분꽃, 달맞이꽃, 장미, 백합화, 맨드라미, 채송화, 홍차, 국화, 야생화, 금낭화, 자스민, 능수화, 천일홍, 할미꽃, 용설란, 매화, 다알리아, 수선화 등등의 꽃류 중에서 5종류 이상의 꽃을 선택하여 추출해낸 엑기스가 사용되며, 상기 꽃류 엑기스 역시 전술한 곡물류 엑기스와 마찬가지로 중량을 기준하여 0.1∼1.0%(중량) 정도 추가로 첨가 혼합되어 비누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 중 과일류 엑기스는, 수박, 포도, 딸기, 코코넛, 사과, 메론, 감, 유자, 탱자, 석류, 돌배, 귤, 토마토, 레몬, 복분자, 블루베리, 오렌지, 바나나, 망고, 파인애풀, 한라봉, 산수유, 산봉숭아, 매실, 살구, 자두 등등의 과일류 중에서 5종류 이상의 과일을 선택하여 추출해낸 엑기스가 사용되며, 상기 과일류 엑기스도 전술한 곡물류 엑시스와 동일하게 중량비를 기준하여 0.1∼1.0%(중량) 정도 추가로 혼합되어 비누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 중 구근류 엑기스는, 연근, 우엉, 토란, 감자, 고무마, 마늘, 생강, 천마, 양파, 무, 상황버섯, 능이버섯, 인삼, 홍삼, 카카오, 오미자, 도라지, 수세미, 오이, 파뿌리, 옥수수수염 등 중에서 5종류 이상을 선택하여 추출해낸 엑기스가 사용되며, 상기 구근류 엑기스 역시 전술한 곡물류 엑기스와 같은 비율인 중량비를 기준하여 0.1∼1.0%(중량) 정도 추가로 혼합되어 비누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 중 조류 엑기스는, 닭, 오리, 참새, 비들기, 꿩 등을 추출하여 뽑아낸 엑기스가 사용되며, 상기 조류 엑기스도 전술한 곡물류 엑기스와 마찬가지로 중량비를 기준하여 0.1∼1.0%(중량) 정도 추가로 혼합 첨가하는 방법으로 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 중 물고기류 엑기스는, 고등어, 꽁치. 이면수, 갈치, 잉어, 가물치 등 중에서 3종류 이상의 물고기를 선택하여 추출해낸 엑기스가 사용되며, 상기 물고기류 엑기스 역시 전술한 곡물류 엑기스와 마찬가지로 중량비를 기준하여 0.1∼1.0%(중량) 정도를 추가로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 중 씨앗류 엑기스는, 녹두, 아몬드, 호두, 땅콩, 하바라기, 호박, 감 등의 싸앗 중에서 3종류 이상의 씨앗을 선택하여 추출해낸 엑기스가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씨앗류 엑기스 역시 전순한 곡물류 엑기스와 마찬가지로 중량비를 기준하여 0.1∼1.0%(중량) 정도를 추가로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은, 당귀, 자초, 감초, 금은화, 연교, 황기, 황금, 유근피, 황련, 개피, 헛개, 생강, 쑥, 가시오가피, 하수오 등등의 한방약재들 중에서 5종류 이상의 약재를 선택하여 추출해낸 한방약재 엑기스를 중량을 기준하여 0.1∼1.0%(중량) 정도 추가로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의 각 기능성 첨가물들은 비누를 제조하는데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비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극소량씩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한 기능성 첨가물들은 피부 건강에 도움을 주는 영양분을 공급하는 기능이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비누베이스 58∼86%(중량), 커피원두가루찌꺼기 10∼30%(중량), 식물성 오일 2∼5%(중량), 글리세린 1∼5%(중량), 토코페롤 및 프로폴리스 각각 0.1∼1.0%(중량)를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한 기능성 첨가물들 중에서 선택되는 두 종류의 엑기스를 추가로 첨가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하기 위해 선택되는 두 종류의 엑기스가 예를 들어, 곡물류 엑기스와 과일류 엑기스라고 가정할 때 상기한 곡물류 엑기스 0.1∼1.0%(중량)과 과일류 엑기스 0.1∼1.0%를 각각 추가로 첨가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신체세정용 비누는 비누베이스에 포함되어 있는 커피원두가루찌꺼기는 원두커피를 제조하기 위해 커피원두를 볶아주는 로스팅공정과, 볶은 커피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딩공정과, 분쇄된 커피원두가루에서 커피원액을 추출해내는 추출공정을 통해 커피원액을 추출하고 남는 찌꺼기를 재활용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것이므로, 커피성분이 들어있는 비누를 저렴한 제조원가로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비누는 사용시 물에 녹는 비누거품과 같이 미세한 크기로 혼합되어 있는 커피원두가루찌꺼기가 비누에서 분리되어 피부에 퍼지는 과정에서 커피향을 발산하게 되며, 또한 비누거품과 같이 비누에서 분리되어 피부에 퍼지는 커피원두가루찌꺼기는 손이나 발 및 신체 등의 피부로 확산되는 것이며, 또 손으로 비누거품을 문지를 때 커피원두가루찌꺼기가 피부에 자극을 주어 혈액이 활발하게 순환되게 하며, 또한 커피원두가루찌꺼기에 들어있는 카페인 성분은 피부에 묻어있는 지방을 분해하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며, 피부의 탈색이나 색소침착을 막아주는 등 피부 건강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다.
또한 비누에 첨가 혼합되어 있는 기능성 첨가물들은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게 되어 피부의 탄력이 좋아지며, 피부의 보습 및 윤기를 부여하고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등 피부의 건강을 좋게 하는 비누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중량을 기준하여 주재료인 비누베이스와, 보조재료인 식물성 오일, 글리세린, 토코페롤, 프로폴리스 및 커피원두가루찌꺼기 각각의 재료를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각 재료들 중 고체상태의 비누베이스는 58∼76%(중량)를 65∼70℃의 고온으로 가열하여 녹이면서 식물성 오일 2∼5%(중량), 글리세린은 1∼5%(중량), 토코페롤 0.5∼1%(중량), 프로폴리스 0.5∼1%(중량) 각각을 혼합하며, 여기에 0.01∼0.1mm의 크기로 분쇄된 커피원두가루찌꺼기 20∼30%(중량)을 혼합하여 교반한 후 형틀에 붓고 응고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커피원두가루찌꺼기가 고르게 분포된 비누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세정용 비누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138810A 2013-11-15 2013-11-15 신체세정용 비누의 제조방법 KR101584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810A KR101584354B1 (ko) 2013-11-15 2013-11-15 신체세정용 비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810A KR101584354B1 (ko) 2013-11-15 2013-11-15 신체세정용 비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165A KR20150056165A (ko) 2015-05-26
KR101584354B1 true KR101584354B1 (ko) 2016-01-22

Family

ID=5339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810A KR101584354B1 (ko) 2013-11-15 2013-11-15 신체세정용 비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34036A (zh) * 2016-08-19 2017-02-22 跨越生物科技(滁州)有限公司 一种保湿凝脂薰衣草精油手工皂
CN111304025A (zh) * 2020-03-13 2020-06-19 深圳市中懿环境治理有限公司 一种利用咖啡渣回收发酵料制作香皂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912B1 (ko) * 2017-05-30 2019-02-27 소원기 액체 세제 조성물
KR102510871B1 (ko) * 2020-12-29 2023-03-16 엠와이주식회사 샤워기 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2760A (ja) * 1999-10-26 2001-05-08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637B1 (ko) * 2003-09-02 2006-12-05 김승원 활성탄과 모데나이트를 이용한 고형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1293A (ko) * 2011-01-11 2012-07-19 주식회사 주안엔지니어링 사용후 버려지는 페자원인 원두커피 찌꺼기를 재활용하는 비누및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2760A (ja) * 1999-10-26 2001-05-08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34036A (zh) * 2016-08-19 2017-02-22 跨越生物科技(滁州)有限公司 一种保湿凝脂薰衣草精油手工皂
CN111304025A (zh) * 2020-03-13 2020-06-19 深圳市中懿环境治理有限公司 一种利用咖啡渣回收发酵料制作香皂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165A (ko)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378B1 (ko)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311892A (zh) 一种天然植物美白香皂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KR101427099B1 (ko) Em발효액과 산야초 분말을 함유하는 발모기능성 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84354B1 (ko) 신체세정용 비누의 제조방법
KR101827258B1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
CN105012224A (zh) 一种天然洗发液及其制备方法
KR20160112865A (ko) 약산성 비누 조성물과, 이 조정물을 이용한 약산성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약산성 비누
CN103361200A (zh) 一种当归养肤沐浴皂的配置方法
KR101138411B1 (ko)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샴푸 조성물
CN105219559A (zh) 一种润肤舒压养生浴皂
KR20100108039A (ko) 수세미 열매 속 섬유질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15027B1 (ko) 천연 세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3683B1 (ko) 동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품
CN107304394A (zh) 一种足浴精油皂及其手工制作方法
CN106701375A (zh) 一种含铁皮石斛的氨基酸洁面皂及其制备方法
KR101554598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클렌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클렌저 조성물
CN109971567A (zh) 一种中药美容香皂及其制备方法
KR102390505B1 (ko) 천연물질을 포함하는 주방세제 조성물 및 친환경 주방세제 제조방법
KR100586268B1 (ko) 건강증진 약초족욕제의 제조방법
CN106675859A (zh) 中药皂
CN106635540A (zh) 一种中药皂
CN105250207A (zh) 一种纯天然成分沉香蚁巢果面膜液、面膜及其制备方法
CN105296226A (zh) 一种健脑益智养生皂
CN105255611A (zh) 一种亮肤养生浴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