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867B1 - 필터 어댑터 - Google Patents

필터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867B1
KR101331867B1 KR1020110076364A KR20110076364A KR101331867B1 KR 101331867 B1 KR101331867 B1 KR 101331867B1 KR 1020110076364 A KR1020110076364 A KR 1020110076364A KR 20110076364 A KR20110076364 A KR 20110076364A KR 101331867 B1 KR101331867 B1 KR 101331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movable
barrel
cylind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902A (ko
Inventor
요시마사 효도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필터 어댑터는, 줌식의 렌즈 경통에 외부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에 착탈하도록 장착되는 고정 통과, 상기 고정 통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부 단부에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렌즈 경통 가압부를 가짐과 동시에, 렌즈 경통 가압부의 피사체측 단부에 광학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동가능한 통과, 상기 이동가능한 통을 상기 카메라 본체를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한다. 이동가능한 통은, 렌즈 경통이 피사체측으로 연장할 때에, 렌즈 경통의 상부 단부에 의해 렌즈 경통 가압부가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가압됨으로써, 상기 렌즈 경통에 연동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필터 어댑터{FILTER ADAPTER}
본 발명은, 줌(zoom)식의 렌즈 경통에 외부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디지털 카메라 등의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필터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필터 어댑터는, 피사체측의 필터 어댑터의 단부에 광학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안 레플렉스용의 카메라에서는, 줌식의 렌즈 경통의 선단부 내주부에 암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암 나사부에 광학필터가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나사결합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12971호에는, 줌식의 렌즈 경통에 외부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댑터 링을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 링의 선단부에 광학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어댑터 링은, 보호 통의 내부에 내면반사 방지용의 마스크를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 마스크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렌즈 경통의 선단부에 접촉하는 방향(즉, 카메라 본체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렌즈 경통이 촬영 위치까지 연장되면, 렌즈 경통의 선단부가 마스크에 접촉하고, 이 상태에서 렌즈 경통이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해서 피사체측을 향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일안 레플렉스용 카메라의 줌식 렌즈 경통의 선단부 내주부에 형성한 암 나사부에 광학필터가 나사 결합되는 경우, 촬영 광로를 차단하지 않는 최적의 필터 지름을 설정하면, 선단부만이 큰 직경의 렌즈 경통이 되고, 렌즈 경통 자체가 대형화된다.
한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12971호에서는, 렌즈 경통에 외부적으로 삽입되는 어댑터 링의 선단부에 광학필터를 부착하므로, 렌즈 경통 자체의 대형화는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12971호에서는, 가장 연장된 상태(즉, 텔레포토 상태)의 렌즈 경통의 전역에 대하여 보호 통이 외부적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어댑터 링을 카메라 본체에 장착했을 때의 광축방향의 길이가 더 길어진다. 이 광축방향의 길이는, 렌즈 경통이 수축될 때에도 변하지 않아, 카메라의 휴대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줌(zoom)식의 렌즈 경통을 구비한 카메라 본체에 장착되는 필터 어댑터는, 상기 카메라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갖는 고정 통; 상기 고정 통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가능한 통으로서, 상기 이동가능한 통의 상부 단부에서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렌즈 경통 가압부와, 상기 렌즈 경통 가압부의 피사체측의 단부에 광학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착부를 갖는 이동가능한 통; 및 상기 고정 통과 상기 이동가능한 통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가능한 통을 상기 고정 통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통이 상기 렌즈 경통을 덮도록 상기 필터 어댑터를 상기 카메라 본체에 장착하고, 상기 렌즈 경통이 상기 피사체측으로 연장될 때에, 상기 렌즈 경통 가압부가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따라 상기 렌즈 경통의 상부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이동가능한 통이 상기 렌즈 경통에 연동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필터 어댑터의 축방향의 길이가 변화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 경통 자체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최적의 필터 지름을 갖는 광학필터를 장착할 수 있다. 렌즈 경통이 수축될 때에는, 카메라 본체에 장착한 필터 어댑터의 광축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휴대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나타내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댑터를 디지털 카메라의 카메라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필터 어댑터의 주요부 단면도다.
도 3은 필터 어댑터의 축방향을 따른 단면도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필터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A 방향에서 본 필터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다.
도 6은 이동가능한 통의 사시도다.
도 7은 베이스(base) 통의 사시도다.
도 8은 렌즈 경통이 텔레포토 위치에 이르렀을 때의 필터 어댑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에 대해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댑터를 디지털 카메라의 카메라 본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다. 도 3은 필터 어댑터의 축방향을 따른 단면도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필터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A 방향에서 본 필터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다. 도 6은 이동가능한 통의 사시도다. 도 7은 베이스 통의 사시도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시적 실시예의 필터 어댑터(10)는, 디지털 카메라의 줌식의 렌즈 경통(12)에 외부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11)에 베이어네트(bayonet)부(2a)(도 3 참조)를 거쳐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이어네트부(2a)는, 장착부의 일례를 구성한다. 렌즈 경통(12)은 카메라 본체(11)의 전원 스위치(11b)를 온(on) 조작하는 경우 수축된 위치로부터 광각 위치(도 2 참조)로 연장되고, 렌즈 경통(12)은 카메라 본체(11)의 줌 레버(11c)를 조작하는 경우 텔레포토 위치측을 향해서 줌 동작을 행한다.
필터 어댑터(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통(4)과, 베이스 통(4)의 외주측에 배치된 이동가능한 통(3)과, 이동가능한 통(3)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외통(2)을 구비한다. 이동가능한 통(3)은, 상기 외통(2)과 베이스 통(4)에 대해 망원경으로 보는 방식으로 이동한다. 상기 베이스 통(4)을 내통(4)이라고도 한다. 외통(2)의 베이스 단부측(즉, 카메라 본체(11)측)의 내주부에는, 필터 어댑터(10)를 카메라 본체(1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베이어네트부(2a)가 외통(2)의 원주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카메라 본체(11)의 착/탈 버튼(11a)을 조작할 때 필터 어댑터(10)를 카메라 본체(11)로부터 떼는 것이 가능해진다.
외통(2)의 내주부의 베이어네트부(2a)의 약간 선단측(즉, 피사체측)위치에는, 오목부(2b)가 형성되어 있다. 반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볼록부(4a)는, 베이스 통(4)의 베이스 단부측 외주부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b)와 맞물려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사 삽입 구멍(2c)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나사(7)가 각각 설치된다. 나사 삽입 구멍(2c)은, 외통(2)의 베이스 단부측에 원주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그 나사(7)는, 볼록부(4a)에 더욱 더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외통(2)에 베이스 통(4)이 일체로 고정된다. 외통(2) 및 베이스 통(4) 각각은, 고정 통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동가능한 통(3)은, 외통(2)과 베이스 통(4)과의 사이에서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동가능한 통(3)의 내주부에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광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직진 홈(groove)(3d)이 원주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통(3)의 베이스 단부측 외주부에는, 복수의 나사 구멍(3e)이 원주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통(4)의 외주부에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광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직진 키(4d)가 이동가능한 통(3)의 각각의 직진 홈(3d)에 대해서 원주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통(3)의 직진 홈(3d)은, 대응한 베이스 통(4)의 직진 키(4d)와 맞물려서, 그 이동가능한 통(3)이 베이스 통(4)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다.
광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구멍(4e), 즉 복수의 슬롯(4e)은, 이동가능한 통(3)의 각각의 나사 구멍(3e)에 대해서 원주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응한 베이스 통(4)의 관통구멍(4e)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동가능한 통(3)의 나사 구멍(3e)에 외주측으로부터 나사결합된 나사(6)의 선단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이동가능한 통(3)이 베이스 통(4)에 대하여 피사체측을 향해 소정량만큼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동가능한 통(3)이 베이스 통(4)으로부터 아래로 떨어지거나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은, 나사(6)의 선단이 관통구멍(4e)의 피사체측의 내부 단부 벽에 접촉하기 때문이다.
이동가능한 통(3)에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맞춤못(dowel)(3c)이 원주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베이스 통(4)에는, 도 3 및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맞춤못(4b)이 원주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각각의 인장 코일 스프링(5)의 단부의 각각은, 이동가능한 통(3)을 카메라 본체(11)측에 또는 이 카메라 본체측을 향해 가압 또는 압박하고, 상기 맞춤못 3c와 맞춤못 4b 각각에 보유된다. 상기 인장 코일스프링(5)은, 본 발명의 압박(urging)부재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동가능한 통(3)의 상부 단측의 내주부에는,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렌즈 경통 가압부(3a)가 설치된다. 렌즈 경통 가압부(3a)는, 이동가능한 통(3)의 말단부 근방에 배치되어도 되고, 이때 상기 말단부는, 당업자라면 카메라 본체(11)로부터 가장 먼 이동가능한 통의 단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렌즈 경통(12)이 연장되기 전에, 적어도 수축위치로부터 광각 위치까지, 렌즈 경통 가압부(3a)는, 인장 코일 스프링(5)에 의해 카메라 본체(11)를 향해 가압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통(4)의 상부 단부(4f)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가능한 통(3)의 상부 단부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경통 가압부(3a)보다 피사체측으로 돌출한다. 상기 이동가능한 통(3)의 돌출부분의 내주부에는, 암 나사부 3b나 나사산부 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통(3)의 암 나사부(3b)에는, 예를 들면, ISO표준 렌즈 필터 등의 광학필터(1)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암 나사부(3b)는, 부착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카메라 본체(11)의 전원 스위치(11b)를 온 조작하면,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렌즈 경통(12)이 수축 위치로부터 광각 위치로 연장된다. 이 때의 필터 어댑터(10)는, 도 1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렌즈 경통(12)이 광각 위치로 연장된 상태에서, 렌즈 경통(12)의 상부 단부는, 이동가능한 통(3)의 렌즈 경통 가압부(3a)에 접촉하지 않고, 렌즈 경통 가압부(3a)로부터 거리S만큼 이격된 카메라 본체(11)측에 배치된다. 그 거리S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본체(11)와 상기 렌즈 경통(12) 사이에 조립 정밀도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렌즈 경통(12)의 상부 단부는 상기 이동가능한 통(3)의 렌즈 경통 가압부(3a)에 확실히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렌즈 경통(12)의 상부 단부가 항상 상기 렌즈 경통(12)이 광각 위치로 연장되는 상태에서 상기 렌즈 경통 가압부(3a)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렌즈 경통(12)에는 너무 많이 부하가 걸린다.
카메라 본체(11)의 줌 레버(11c)를 텔레포토측으로 조작하면, 렌즈 경통(12)은, 광각 위치로부터 텔레포토 위치측으로 이동하여, 렌즈 경통(12)의 상부 단부가 상기 이동가능한 통(3)의 렌즈 경통 가압부(3a)에 접촉한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렌즈 경통 가압부(3a)를 누르면서 렌즈 경통(12)이 텔레포토 위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가능한 통(3)은, 외통(2) 및 베이스 통(4)에 대하여 광축방향을 피사체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원하는 촬영 화각으로 줌 레버(11c)로부터 유저가 손을 떼면, 렌즈 경통(12)이 정지하고 상기 이동가능한 통(3)도 정지하여, 상기 렌즈 경통 가압부(3a)는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에 의해 렌즈 경통(12)의 상부 단부에 대해 가압된다. 도 8은, 렌즈 경통(12)이 텔레포토 위치에 도달했을 때의 필터 어댑터(10)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8로부터, 필터 어댑터(10)의 이동가능한 통(3)이 외통(2) 및 베이스 통(4)에 대하여 피사체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안다.
도 8의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11)의 줌 레버(11c)를 광각측으로 조작하는 경우나 전원 스위치(11b)를 오프 조작한 경우에는, 렌즈 경통(12)의 수축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이동가능한 통(3)도 카메라 본체(11)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이동가능한 통(3)은, 렌즈 경통 가압부(3a)가 렌즈 경통(12)의 상부 단부에 대해 가압된 상태에서 베이스 통(4)의 상부 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인장 코일 스프링(5)의 가압력에 따라 카메라 본체(11)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렌즈 경통(12)에 필터 어댑터(10)가 외부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1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어댑터(10)의 상부 단부에 광학필터(1)를 부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렌즈 경통(12)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최적의 필터 지름을 갖는 광학필터(1)가 부착될 수 있다.
렌즈 경통(12)의 수축시에는, 카메라 본체(11)에 장착한 필터 어댑터(10)의 광축방향의 길이를 텔레포토 상태일 경우보다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카메라를 휴대성이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경통(12)의 광각 위치로부터 텔레포토 위치까지의 범위의 거의 전체의 영역에서, 렌즈 경통(12)의 상부 단부에 렌즈 경통 가압부(3a)가 밀착해서 이동가능한 통(3)이 이동하므로, 고스트(즉, 촬영에 불필요한 광빔이 렌즈 경통(12)내에 진입한다)가 산란되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재질, 형상, 치수, 형태, 수, 및 배치 장소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 변경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7)

  1. 줌(zoom)식의 렌즈 경통을 구비한 카메라 본체에 장착되는 필터 어댑터로서,
    상기 카메라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갖는 고정 통;
    상기 고정 통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가능한 통으로서, 상기 이동가능한 통의 상부 단부에서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연장되는 렌즈 경통 가압부와, 상기 렌즈 경통 가압부의 피사체측의 단부에 광학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착부를 갖는 이동가능한 통; 및
    상기 고정 통과 상기 이동가능한 통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가능한 통을 상기 고정 통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통이 상기 렌즈 경통을 덮도록 상기 필터 어댑터를 상기 카메라 본체에 장착하고, 상기 렌즈 경통이 상기 피사체측으로 연장될 때에, 상기 렌즈 경통 가압부가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력에 따라 상기 렌즈 경통의 상부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이동가능한 통이 상기 렌즈 경통에 연동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필터 어댑터의 축방향의 길이가 변화되는, 필터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통의 상기 렌즈 경통 가압부는, 상기 렌즈 경통이 광각 위치로 연장될 때, 상기 렌즈 경통의 상부 단부가 상기 렌즈 경통 가압부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 통에 접촉하는, 필터 어댑터.
  3. 줌식의 렌즈 경통의 일부를 둘러싸는 필터 어댑터로서,
    외통(outer tube);
    렌즈 경통 가압부가 말단부를 향해 배치된 이동가능한 통으로서, 상기 외통에 대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통에 대해 선형적으로 또 망원경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가능한 통;
    상기 이동가능한 통에 대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외통에 부착되며, 상기 외통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내통(inner tube);
    상기 이동가능한 통과, 상기 외통이나 상기 내통 중 어느 한쪽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줌식의 렌즈 경통이 연장되고 텔레토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줌식의 렌즈 경통의 상부 단부는, 상기 이동가능한 통이 광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카메라 본체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상기 렌즈 경통 가압부에 접촉하는, 필터 어댑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줌 렌즈 경통이 수축되고 광각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이동가능한 통은 수축되어 상기 카메라 본체를 향해 이동하는, 필터 어댑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재는, 상기 줌식의 렌즈 경통이 텔레포토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이동가능한 통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필터 어댑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복수의 가압부재인, 필터 어댑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스프링인, 필터 어댑터.
KR1020110076364A 2010-08-06 2011-08-01 필터 어댑터 KR101331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7505A JP5541715B2 (ja) 2010-08-06 2010-08-06 フィルタアダプタ
JPJP-P-2010-177505 2010-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902A KR20120013902A (ko) 2012-02-15
KR101331867B1 true KR101331867B1 (ko) 2013-11-22

Family

ID=4555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364A KR101331867B1 (ko) 2010-08-06 2011-08-01 필터 어댑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22880B2 (ko)
JP (1) JP5541715B2 (ko)
KR (1) KR101331867B1 (ko)
CN (1) CN1023752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8515B2 (ja) * 2012-10-31 2017-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
US9829882B2 (en) 2013-12-20 2017-11-28 Sphero, Inc. Self-propelled device with center of mass drive system
EP3128365B1 (en) * 2014-03-07 2019-11-13 Fu-Chi Wu Sleeve direction-type white balance filter
CN207895213U (zh) * 2017-12-21 2018-09-2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滤镜组件以及云台相机
JP6989466B2 (ja) * 2018-09-13 2022-01-05 株式会社東芝 光学フィルタ、撮像装置および測距装置
CN109471314A (zh) * 2019-01-14 2019-03-15 上海我映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用于产生画意视觉效果的光学组件
CN112558384B (zh) * 2020-11-30 2023-03-14 惠州市宏鑫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相机转接座、相机转接装置及相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4535A (ja) 2003-02-28 2004-09-24 Tamron Co Ltd 回り止め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フィルターアダプタ、レンズフィルター、レンズユニット
JP2005156978A (ja) 2003-11-26 2005-06-16 Nikon Corp アダプタ
JP2007212971A (ja) 2006-02-13 2007-08-23 Fujifilm Corp アダプターリング及び防水ケース
JP2008175897A (ja) 2007-01-16 2008-07-31 Ricoh Co Ltd 光学レンズ検出構造、着脱構造及びこれらを備えた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1340A (ja) * 1989-01-30 1990-08-09 Minolta Camera Co Ltd カメラ用ズームテレコンバーター
US5208624A (en) * 1991-10-10 1993-05-04 Sony Corporation Of America Camera lens and filter adapter assembly
JP2008233527A (ja) * 2007-03-20 2008-10-02 Tamron Co Ltd カメラ
JP5361219B2 (ja) * 2008-03-06 2013-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セサリー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CN201210213Y (zh) * 2008-06-03 2009-03-18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回转活动式遮光装置
JP5538911B2 (ja) * 2010-01-06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及びレンズ鏡筒、撮影装置
US20120268648A1 (en) * 2011-04-22 2012-10-25 Lumos Technology Co., Ltd. Adaptive lens module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4535A (ja) 2003-02-28 2004-09-24 Tamron Co Ltd 回り止め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フィルターアダプタ、レンズフィルター、レンズユニット
JP2005156978A (ja) 2003-11-26 2005-06-16 Nikon Corp アダプタ
JP2007212971A (ja) 2006-02-13 2007-08-23 Fujifilm Corp アダプターリング及び防水ケース
JP2008175897A (ja) 2007-01-16 2008-07-31 Ricoh Co Ltd 光学レンズ検出構造、着脱構造及びこれらを備えた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75298B (zh) 2014-04-30
JP5541715B2 (ja) 2014-07-09
US8422880B2 (en) 2013-04-16
US20120033962A1 (en) 2012-02-09
JP2012037718A (ja) 2012-02-23
KR20120013902A (ko) 2012-02-15
CN102375298A (zh)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867B1 (ko) 필터 어댑터
JP5902352B2 (ja) 電気接点装置、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
KR20140109184A (ko) 경통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촬영장치
US10725263B2 (en) Lens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1601070B (zh) 圆顶摄像机
JP2006067356A (ja) 電子的撮像装置
CN116626857A (zh) 成像透镜组与成像镜头模块
JP7197731B2 (ja) カメラ装置
US8289627B2 (en) Lens barrel that realizes miniaturization,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6435857B2 (ja) 光学機器
JP5830155B1 (ja) レンズマウント装置
JP2005215416A (ja) レンズ鏡筒
US10371922B2 (en) Optical apparatus
JP5188924B2 (ja) 撮像レンズユニット
JP2008003258A (ja) レンズ鏡筒
JP7139606B2 (ja) 交換レンズ
JP4329509B2 (ja) アダプタ
KR100359133B1 (ko) 포커스 조절용 링을 구비한 고체촬상소자 카메라용 렌즈 조립체
JP2019023758A (ja) 光学機器
JP6746909B2 (ja) 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JP2010113108A (ja) レンズ鏡筒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KR100485250B1 (ko) 카메라장치
JP2006133562A (ja) カメラ
JP2013156562A (ja) レンズ鏡筒およびそれを備える撮像装置
JP2005215565A (ja) レンズ装置、カメラシステム及び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