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586B1 - 용기용 손잡이, 손잡이 부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기용 손잡이, 손잡이 부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586B1
KR101331586B1 KR1020077027882A KR20077027882A KR101331586B1 KR 101331586 B1 KR101331586 B1 KR 101331586B1 KR 1020077027882 A KR1020077027882 A KR 1020077027882A KR 20077027882 A KR20077027882 A KR 20077027882A KR 101331586 B1 KR101331586 B1 KR 101331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iner
attaching
convex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175A (ko
Inventor
마사키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4Handles formed separately
    • B65D23/106Handles formed separately the gripping region of the handle extending between the neck and the base of the bottle or jar and being located in a radial plane comprising the axis of the bottle or j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21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ype
    • B29C2049/2034Attachments, e.g. hooks to hold or hang the blown article
    • B29C2049/2039Handles, e.g. handles or grips on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83Deforming the finished article
    • B29C49/42832Moving or inverting sections, e.g. inverting bottom as vacuum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604Thermal conditioning of the blown article
    • B29C49/6605Heating the article, e.g. for hot f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에서 보관성에 뛰어나, 블로우 성형성이 양호해서, 용기 및 손잡이에 가지가지인 문제를 일으킬 일이 없고, 그 위, 낙하충격에 대하여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용기용 손잡이, 손잡이 부착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은 상부로부터 차례로, 입구부, 어깨부, 몸체부 및 바닥부로 구성되고, 이 몸체부의 일부에 오목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오목부에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를 설치한 폴리에스테르제의 용기와, 이 용기의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에 부착하는 폴리에스테르제의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오목부에서의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과 손잡이 사이에 공극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몸체부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사각형이고, 오목부는 몸체부의 상반부의 코너부에 있음과 아울러,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는 상반부의 대각선(L) 상의 오목부에 위치해 있도록 구성한 것에 있다.
Figure 112007086155231-pct00001
용기, 손잡이, 폴리에스테르, 오목부, 볼록부, 공극부.

Description

용기용 손잡이, 손잡이 부착 용기 및 그 제조방법{HANDLE FOR CONTAINER, CONTAINER WITH HAND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TAINER}
본 발명은 차 등의 액체를 충전할 수 있는 손잡이 부착 용기, 특히 고온상태의 액체를 용기의 변형을 수반하지 않고 충전할 수 있는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부의 횡단면 형상을 대략 사각형으로 하고, 오목부에서의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과 손잡이 사이에 공극부를 설치함으로써, 블로우 성형성이 양호하게 되고, 그 때문에 용기 및 손잡이에 깨짐, 균열, 주름, 변형 및 부적절한 연신에 의한 두께 불균형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손잡이 부착 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용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용기용 손잡이에도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용기는 차 등의 음료, 주류, 조미료 등을 수용하는 1.5L, 2.0L 이상의 대형의 것에는 손잡이가 있음으로 인해 사용편리성이 좋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 손잡이 부착 용기는 성능면 및 비용면에서, 용기의 재질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제이고, 손잡이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제인 것이 많다.
손잡이 부착 플라스틱제 용기의 예로서는 하기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0-25558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 2000-43877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것은, 리사이클성의 면에서, 손잡이의 재질도 용기의 재질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제로 한 것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차례로 입구부(a), 어깨부(b), 몸체부(c) 및 바닥부(d)로 구성하고, 이 몸체부(c)의 일부에 오목부(e)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오목부(e)에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f)를 설치한 폴리에스테르제의 용기(g)와, 이 용기(g)의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f)에 부착하는 폴리에스테르제의 손잡이(h)로 이루어지고, 오목부(e)에서의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f) 주위의 벽면(i)과 손잡이(h) 사이에 공극부(j)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 결과, 공극부(j)를 설치한 부분,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f) 주위의 벽면(i)과 손잡이(h)와의 마찰저항이 줄어들어, 블로우 성형성이 향상되어, 오목부(d)의 마찰 상처, 용융 상처, 백화, 또는 오목부(d)나 바닥부(d)의 두께 불량이 비늘 쇼 되어서, 양호한 손잡이 부착 용기가 얻어진다.
또 특허문헌 2의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제의 용기(g) 상부의 몸체부(c)에 별체의 손잡이(h)를 인서트 성형하고, 손잡이(h)를 부착한 상부의 몸체부(c)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성형하고, 감압 흡수 패널(k)을 형성한 하부의 몸체부(c)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 모양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손잡이(h)의 언더컷부를 감싸는 몸체부(c)의 벽면을 히트 세 팅함과 아울러, 감압흡수 패널(k)의 면적과 입구부(a)의 네크 링보다 아래의 표면적의 비가 0.22 이상이 되도록 한 것에 의해 양호한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가 얻어진다.
그런데, 최근, 플라스틱 용기는 보관시나 수송시의 용적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횡단면 형상을 대략 사각형으로 한 각형 용기를 요구받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손잡이 부착 용기는 블로우 성형성이 향상되어, 오목부(d)나 바닥부(d)에 발생하는 문제가 해소된다고 하는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만, 실시예에는, 몸체부 단면 형상이 원형의 것밖에 기재되어 있지 않고, 손잡이 부착 각형 용기를 얻기 위한 과제도 해결 수단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 고온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내열성의 부여에 대해서도 조금도 기재가 없다.
또, 특허문헌 2의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는, 손잡이 부착위치보다 아래의 몸체부는 단면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고 있지만, 손잡이를 부착한 상부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용적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직 불만족스럽다. 또한, 손잡이의 언더컷부를 감싸는 몸체부를 히트 세팅함으로써, 양호한 내열성이 얻어진다고 하고 있지만, 히트 세팅되는 것은 성형 금형과 접촉하는 용기벽이며, 손잡이 언더컷부를 감싸는 부분은 용기 내부에 위치하므로 직접적으로는 히트 세팅할 수 없어, 고온 충전시의 수축·변형에 의해 손잡이 부착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며, 보관성이 우수하고, 블로우 성형성이 양호하여, 용기 및 손잡이에 깨짐, 균열, 주름, 변형 및 부적절한 연신에 의한 두께 불균형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억제하고, 게다가, 낙하충격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갖는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로부터 차례로 입구부, 어깨부, 몸체부 및 바닥부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부에 오목부를 설치한 폴리에스테르제 용기에, 별체의 손잡이를 상기 오목부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손잡이 부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횡단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이며, 상기 오목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반부의 코너부에 있음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가 상기 몸체부의 대각선을 따라 상기 오목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용기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오목부에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를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를 상기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 사이에, 공극을 설치해서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손잡이 부착 용기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 부착 용기가 손잡이 부착 내열성 용기로서, 상기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까지 열고정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손잡이 부착 용기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의 끝면은 패널 모양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손잡이 부착 용기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용기에 부착된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이어지는 몸체부의 코너부에, 세로 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손잡이 부착 용기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 부착위치보다 아래의 몸체부 하반부에 있어서, 대향하는 코너부의 거리가 바닥부를 향하여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상기 손잡이 부착 용기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파지부와 용기의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에 부착하는 부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부는 횡단면 형상이 H형이고, 또한 상기 파지부의 외측 플레이트보다도 내측 플레이트를 폭 좁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손잡이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의 소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성형품의 재생재인 상기 용기용 손잡이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에스테르제의 프리폼(preform)을 블로우 성형하여 중공의 용기로 만들 때, 별체의 폴리에스터제의 손잡이를 용기의 몸체부 상부에 인서트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반부의 오목부에 설치한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보다 아래의 몸체부의 중심축이 상기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측으로 1.0°±0.5° 기울어지도록 블로우 성형 금형을 세팅하여 블로우 성형함과 아울러, 상기 오목부에 있어서의 상기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을 히트 세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용기의 상기 오목부, 및 상기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를 성형하는 부위의 블로우 성형 금형의 적어도 일부가 표면처리가 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블로우 성형 금형의 손잡이와 접할 가능성이 있는 부위가 단열처리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손잡이 부착 용기(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손잡이 부착 용기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패널 모양 끝면을 도시하는 손잡이의 일부분을 생략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손잡이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손잡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손잡이 부착 용기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손잡이 부착 용기의 손잡이의 주요부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상기 도면 중의 부호의 설명은 하기와 같다.
1 손잡이 부착 용기(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
2, a 입구부 3, b 어깨부
4, c 몸체부 5, d 바닥부
6, e 오목부 7, f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8, g 용기 9, h 손잡이
10, i 벽면 11, j 공극부
12 상반부 13 코너부
14 세로 리브 20 나사
21 플랜지 22 측벽
30 횡방향 홈 31 하반부
32 측벽 33 패널 모양 상단면
40 파지부 41 부착부
42 외측 플레이트 43 안쪽 플레이트
44 링 45 돌기
46 보강 리브 J 중심축
k 감압흡수 패널 L 대각선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손잡이 부착 용기는 몸체부의 횡단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이기 때문에 보관성이 우수하고, 또, 손잡이를 대각선을 따라 부착하기 위하여, 블로우 성형 금형의 파팅 라인을 횡단면 형상의 대각선 방향으로 할 수 있고, 각 면의 디자인을 제약없이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에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를 설치하고, 손잡이를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 사이에 공극을 만들어 부착하도록 하면, 오목부에 있어서의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과 손잡이 사이에 있는 공극부에 의해, 블로우 성형성이 양호하게 되고, 그 때문에 용기 및 손잡이에, 깨짐, 균열, 주름, 변형 및 부적절한 연신에 의한 두께 불균형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게 되고, 아울러, 적절한 연신에 의한 두께 균형, 즉, 강도의 필요성에 따른 두께로 되어, 낙하 충격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 용기와 손잡이도 폴리에스테르제로 하면 리사이클성도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손잡이 부착위치보다 아래의 몸체부 하반부에서, 대향하는 코너부의 거리를 바닥부를 향하여 점차로 좁게 하면 바닥부 근방의 부피 분포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블로우 성형 금형의 손잡이와 접할 가능성이 있는 부위를 단열처리해 두면, 손잡이가 금형에 점착되거나, 변형, 백화, 열열화 등을 일으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손잡이의 파지부의 횡단면 형상을 H형으로 함으로써 경량으로 할 수 있고, 또한, 파지부의 내측 플레이트가 외측 플레이트보다도 폭이 좁음으로써, 파지부를 손가락으로 쥐었을 때, 내측 플레이트가 손가락에 잘 부딪히지 않아, 파지하 기 쉬운 효과가 있다.
또, 용기에 부착된 손잡이의 하부에 이어지는 몸체부의 코너부에 세로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용기의 종방향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손잡이 부착 용기를 내열용기로서 구성했을 때는,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도 열고정하기 때문에, 내용물을 고온 충전해도 손잡이가 느슨해지지 않아, 양호한 내열성을 갖는 용기로 할 수 있다.
또,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보다 아래의 몸체부의 중심축이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측으로 1°±0.5° 기울어지도록, 미리 용기를 블로우 성형하고 있다.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는 손잡이를 부착하는 면이 수축하지 않으므로 기울어짐이 생기게 하기 쉽지만, 용기를 미리 역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성형함으로써 전체의 균형이 잡혀, 용기의 기울어짐을 시정하여, 정상인 상태로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을 히트 세팅하기 때문에, 주름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손잡이가 덜거덕거리거나,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용기의 제조방법에서는,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용기의 오목부, 및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를 성형하는 부위의 블로우 성형 금형의 적어도 일부에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표면처리한 부위의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흐름이 좋아지고, 반대로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의 아래는 흐르기 어렵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소재가 쌓여 두꺼워져서, 가장 하중이 걸리는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아래의 강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손잡이 부착 용기(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의 측면도, 도 2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손잡이 부착 용기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끝면의 패널 형상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6은 손잡이의 배면도, 도 7은 손잡이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X-X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손잡이 부착 용기(1)는 상부로부터 차례로 입구부(2), 어깨부(3), 몸체부(4) 및 바닥부(5)로 구성되고, 이 몸체부(4)의 일부에 오목부(6)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오목부(6)에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를 설치한 폴리에스테르제의 용기(8)와, 이 용기(8)의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에 부착하는 폴리에스테르제의 손잡이(9)로 이루어지고, 오목부(6)에서의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 주위의 벽면(10)과 손잡이(9) 사이에 공극부(11)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몸체부(4)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정방형이고, 오목부(6)는 몸체부(4)의 상반부(12)의 코너부(13)에 있음과 아울러,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는 상반부(12)의 대각선(L) 상의 오목부(6)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용기(8)의 입구부(2)에는, 캡을 나사식으로 착탈하기 위한 나사(20)가 있고, 또한 그 아래로 플랜지(21)가 있다. 이 입구부(2)는 어깨부(3)를 거쳐 몸체부(4)에 이르고, 이 몸체부(4)은 측벽(22)으로 구성되고, 이 측벽(22)의 하부는 바 닥부(5)에 이어져 있다.
상기 몸체부(4)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횡단면 형상이 대략 정방형이며, 중간에 있는 횡방향 홈(30)을 경계로 상기 상반부(12)와 하반부(31)로 나뉘고, 상반부(12)의 코너부(13)에 상기 손잡이(9)를 부착하는 상기 오목부(6)가 설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6)는 이것에 손잡이(9)를 부착했을 때, 몸체부(4)의 외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나가지 않도록 형성하여, 밀착해서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오목부(6)에는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는 상반부(12)의 대각선(L) 상의 오목부(6)에 위치하고, 측벽(32)과 패널 모양 끝면(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측벽(32)은 충분히 높게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 주위의 벽면(10)과 손잡이(9) 사이에 공극부(11)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 공극부(11)는 용기 성형시에,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 주위의 벽면(10)과 손잡이(9) 사이에 금형이 밀고 들어가고, 이 금형을 고온으로 함으로써,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 주위의 벽면(10)을 히트 세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한 구성의 하나이다. 또, 이 패널 모양 끝면(33)은 플랜지 모양으로 형성되어,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에 손잡이(9)를 부착했을 때,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패널 모양 끝면(33)에 패널 형상을 성형함으로써 가공량이 증가하여 부피 분포가 양호하게 되고, 고온 충전시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더한층 수축에 의한 용기(8) 및 손잡이(9)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오목부(6)가 있는 용기에서는, 블로우 성형 중의 수지의 움직임이 오목부의 주위에서 나빠지고, 그 영향으로 최대 연신부인 바닥부 주변의 두께 분포가 불균일하게 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는데, 하반부(31)의 대향하는 코너부의 거리를 바닥부를 향하여 점차로 좁게 하면, 바닥부 근방의 두께 분포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대향하는 코너부의 거리는 접지면의 대응하는 방향의 길이가 55 내지 75%로 되도록 점차로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접지면에 있어서, 대각선을 따른 방향의 폭이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점차로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의 하부에 이어지는 몸체부의 코너부(하반부(31)의 상단의 손잡이 부착위치에 대응하는 코너부)에는 세로 리브(14)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본 발명과 같은 손잡이 부착 용기에서는, 유통 과정에서 종방향으로 적재될 때와 같이 압축 하중이 걸리면, 손잡이의 하단이 접하는 몸체부에 응력이 집중함으로써, 용기의 변형을 초대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부분에 세로 리브(14)를 설치함으로써 용기 전체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것도 본 발명의 중요한 실시형태의 하나이다. 또한, 이 실시예 1에서는, 세로 리브(14)는 1개의 오목 리브이지만, 세로 리브의 형상은 볼록하여도 복수 개의 조합이어도 된다.
상기 손잡이(9)는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40)와 상기 용기(8)의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에 부착하는 부착부(41)로 이루어지고, 이 파지부(40)는 횡단면 형상이 H형이며, 또한 파지부(40)의 외측 플레이트(42)보다도 내측 플레이트(43)를 폭이 좁게 하고 있다. 따라서, 손잡이(9)의 파지부(40)의 횡단 면 형상이 H형인 것에 의해 경량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재료의 절감을 가능하게 하며, 파지부(40)의 내측 플레이트(43)가 외측 플레이트(42)보다도 폭이 좁음으로써, 파지부(40)를 손가락으로 쥐었을 때, 내측 플레이트(43)가 손가락에 잘 부딪히지 않아 파지하기 쉽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부착부(41)는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에 끼워넣기 위한 링(44) 및 그 링(44)의 상방에는 돌기(45)를 갖고, 이들 링(44) 및 돌기(45)에 의해, 용기(8)의 오목부(6)로부터의 손잡이(9)의 이탈 및 덜거덕거림을 방지한다. 또한, 도 4 중, 46은 보강 리브이다.
상기한 용기(8) 및 손잡이(9)의 재질은 모두 폴리에스테르제이며, 예시하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체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이다. 또, 손잡이(9)의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성형품의 재생재이어도 되고, 이것을 채용하면, 더한층 리사이클성이 증가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되는 손잡이 부착 용기(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1)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별체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손잡이(9)를 사출성형해 둔다. 다음에 용기(8)가 되는 폴리에스테르제의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 금형에 세팅하고, 또한 블로우 성형 금형에 사출성형한 별체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손잡이(9)를 세팅한다. 그리고,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하여 중공의 용기(8)로 만든다. 이 때, 몸체부(4)의 상반부(12)의 오목부(6)에 설치한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보다 아래의 몸체부(4)의 중심축(J)이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측으로 1°±0.5° 기운 형상으로 블로우 성 형 금형을 설계한다. 용기를 고온의 금형에서 히트 세팅하면, 금형으로부터 꺼낼 때에 용기는 약간 수축되지만, 인서트 성형된 손잡이는 수축되지 않으므로 용기는 기울어짐, 충전, 캐핑 공정에서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를 미리 역방향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성형함으로써, 금형 취출시의 수축으로 전체의 균형이 잡혀, 용기의 기울어짐이 시정된다. 또,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의 측벽(32)은 충분히 높게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 주위의 벽면(10)과 손잡이(9) 사이에 충분히 여유가 있는 공극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극부(1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 주위의 벽면(10)과 손잡이(9) 사이에 금형이 밀고 들어가기 때문에, 이 금형을 고온으로 함으로써,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 주위의 벽면(10)을 히트 세팅할 수 있어, 미리 이 부분의 변형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블로우 성형에 있어서, 용기(8)의 오목부(6) 및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를 성형하는 부위의 블로우 성형 금형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면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 주위의 벽면(10)과 손잡이(9) 사이에 밀고 들어가는 금형의 상반부에, 표면처리를 해 두면, 블로우 성형할 때, 표면처리를 한 블로우 성형 금형 부위의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흐름이 좋아지고, 반대로,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의 아래는 흐르기 어렵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소재가 쌓여 두꺼워진다. 따라서, 손잡이(9)로 내용물이 든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1)을 들어올렸을 때, 가장 하중이 걸리는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 아래의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특허문헌 1에서는,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과 손잡 이 사이에 금형이 밀고들어가 동질의 수지로 구성되는 용기와 손잡이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블로우 성형 도중의 수지와 손잡이 사이의 마찰저항이 감소하여 블로우 성형성이 향상되었지만, 본 발명과 같이 히트 세팅을 위해 성형 금형을 고온으로 하면, 수지가 금형에 점착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금형 표면에 수지와의 마찰이나 밀착성을 저감하는 표면처리를 하는 것이 적합하다.
블로우 성형 금형의 표면처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것 자체로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지만, 샌드 블라스트나 이에프코(Iepco) 처리 등의 조면화 처리, 테플론(등록상표) 등의 불소계 등의 코팅처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용기의 블로우 성형 중, 블로우 성형 금형은 히트 세팅 때문에 고온으로 된다. 손잡이를 인서트 성형하기 위하여 블로우 성형 금형에 세팅하면, 손잡이가 금형에 점착되거나, 변형, 백화, 열열화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고, 특히 폴리에스테르제의 손잡이에서는 그 가능성이 크지만, 블로우 성형 금형의 손잡이와 접할 가능성이 있는 부위를 단열처리해 두면 그러한 우려가 없이, 양호하게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1)는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 주위의 벽면(10)을 히트 세팅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고온 충전에 의해서도 벽면(10)에 주름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손잡이가 덜거덕거리거나,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손잡이(9)로 내용물이 든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1)를 들어올리면,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7) 아래에 가장 하중이 걸리지만, 이 부분은 두꺼우므로 충분한 강도가 있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에, 시험예 및 대상예에 의해 본 발명의 손잡이 부착 용기의 우위성을 나타낸다.
<시험예 1>
용기가 되는 폴리에스테르제의 프리폼 및 사출성형한 별체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손잡이로부터,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용량 2L의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를 제작한다.
이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로 하기 2종의 테스트를 행했다.
(1)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에 85℃의 열수를 2L 충전하고, 실온까지 냉각한 후, 견딜 수 있는 낙하높이를 측정했다.
(2)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아래의 몸체부의 측벽의 두께를 측정했다.
<대조예 1>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과 손잡이 사이에 공극부를 설치하지 않은(따라서, 손잡이와 접하는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 부분은 히트 세팅되지 않은) 것, 또한 PFA계의 이형제를 도포하지 않은 것 이외에, 시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용량 2L의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를 제작한다. 이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로 시험예 1과 동일한 측정을 행한다.
시료로서 사용한 용기는 각각 5개이다.
이상의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손잡이부의 상태
시험예 1의 손잡이 부착 용기는 열수의 충전 후에도 손잡이는 확실히 고정되 어 있었던 것에 반해, 대조예 1의 손잡이 부착 용기는 열수를 충전하면, 손잡이 부착부 주변에 주름이 생겨, 손잡이가 덜거덕거리거나, 빠지거나 하는 것이 있었다.
(2)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아래의 몸체부의 측벽 두께
시험예 1의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에서는, 평균 약 0.30mm이고, 용기 내부의 감압에 대하여 외관상 특별히 문제가 없었지만, 대조예 1의 손잡이 부착 용기에서는, 평균 약 0.25mm이고, 손잡이보다 아래의 몸체부가 마름모 형상으로 변형되거나, 용기가 굴곡되는 등의 이상이 보였다.
(3) 낙하시험의 결과
시험예 1의 손잡이 부착 용기는 낙하 높이 1.2m까지 파손 등의 문제가 없었지만, 대조예 1의 손잡이 부착 용기는, 낙하 높이 0.3m에서, 이미 파손되는 것이 보였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했는데, 구체적인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용기의 몸체부의 횡단면 형상도 대략 사각형이라고 했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변경은 적절하게 가능한 것은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용 손잡이 및 이 손잡이를 부착한 용기는, 보관의 우위성이 우수하고, 특히 내열성이 요구되며, 게다가 리사이클성도 요구되는 용도에 있어서, 특히 이용가능성이 높고, 또한,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보다 아래의 몸체부의 중심축을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측으로 1°±0.5° 기울어지도록, 미리 용기를 블로우 성형되어 있음으로써, 전체의 균형이 잡혀, 용기의 기울어짐을 시정하여, 정상 상태의 손잡이 부착 용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상부로부터 차례로 입구부, 어깨부, 몸체부 및 바닥부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부에 오목부를 설치한 폴리에스테르제 용기에, 별체의 손잡이를 상기 오목부에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손잡이 부착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횡단면 형상이 사각형이며, 상기 오목부가 상기 몸체부의 상반부의 코너부에 있음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가 상기 몸체부의 대각선을 따라 상기 오목부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에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를 설치하고, 상기 손잡이를 상기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과의 사이에, 공극을 설치하고 부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는 상기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까지 열고정되어 이루어지는 내열성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의 끝면의 주위를 플랜지 모양으로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가 빠지지 않게 함과 아울러, 또한 상기 끝면은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부착된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이어지는 몸체부의 코너부에, 세로 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손잡이 부착위치보다 아래의 몸체부 하반부에서, 몸체부의 대향하는 코너부 사이의 거리가 바닥부를 향하여 점차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손잡이 부착 용기용 손잡이에 있어서, 파지부와 용기의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에 부착하는 부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지부는 횡단면 형상이 H형이며, 또한 상기 파지부의 외측 플레이트보다도 내측 플레이트를 폭이 좁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용기용 손잡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소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성형품의 재생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용기용 손잡이.
  7. 폴리에스테르제의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하여 중공의 용기로 만들 때, 별체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손잡이를 용기의 몸체부 상부에 인서트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반부의 오목부에 설치한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보다 아래의 몸체부의 중심축이 상기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측으로 1.0°±0.5° 기울어지도록 블로우 성형 금형을 세팅하여 블로우 성형함과 아울러, 상기 오목부에서의 상기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 주위의 벽면을 히트 세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기 오목부, 및 상기 손잡이 부착용 볼록부를 성형하는 부위의 블로우 성형 금형의 적어도 일부에 표면처리가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의 제조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성형에서, 블로우 성형 금형의 손잡이와 접할 가능성이 있는 부위가 단열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부착 내열 용기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077027882A 2005-05-30 2006-05-26 용기용 손잡이, 손잡이 부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331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56768 2005-05-30
JP2005156768A JP4887665B2 (ja) 2005-05-30 2005-05-30 把手付耐熱容器
PCT/JP2006/311137 WO2006129812A1 (ja) 2005-05-30 2006-05-26 容器用把手・把手付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175A KR20080018175A (ko) 2008-02-27
KR101331586B1 true KR101331586B1 (ko) 2013-11-21

Family

ID=3748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882A KR101331586B1 (ko) 2005-05-30 2006-05-26 용기용 손잡이, 손잡이 부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261932B2 (ko)
EP (2) EP2110335B1 (ko)
JP (1) JP4887665B2 (ko)
KR (1) KR101331586B1 (ko)
CN (1) CN101189167B (ko)
WO (1) WO20061298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59350C (en) 2006-08-30 2015-10-20 Masaaki Sasaki Bottle container with handle
US9397308B2 (en) 2006-12-04 2016-07-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5035674B2 (ja) * 2007-06-08 2012-09-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壜体用合成樹脂製把手体
ES2360319B1 (es) * 2009-06-03 2012-04-20 And & Or S.A. Dispositivo de colocación de asas en botellas o garrafas, m�?quina que integra el dispositivo de colocación de asa en botella o garrafa, procedimiento para la colocación del asa en una botella o garrafa y asa colocable en botella o garrafa.
GB0918744D0 (en) * 2009-10-26 2009-12-09 Nampak Plastics Europe Ltd Plastic container
US10232971B2 (en) * 2013-03-08 2019-03-19 Robert M. Jennings Measu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JP6397413B2 (ja) * 2013-08-21 2018-09-26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把手付き容器の製造方法、把手付き容器の製造装置および把手付き容器
WO2016181850A1 (ja) * 2015-05-08 2016-11-17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把手および把手付き容器
EP3927471A4 (en) * 2019-02-19 2023-03-08 Hight, Myra STORAGE CONTAINERS AND DISPENSER
USD900613S1 (en) 2019-10-25 2020-11-03 Niagara Bottling, Llc Bott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3150A (ja) * 1993-03-10 1994-09-20 Nissei Asb Mach Co Ltd 把手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
JP2000255580A (ja) * 1999-03-11 2000-09-19 Toyo Seikan Kaisha Ltd ポリエステル製把手付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0573A1 (de) * 1990-02-14 1991-08-22 Toyo Seikan Kaisha Ltd Kunststoffbehaelter mit einem griff
JPH0628896B2 (ja) * 1990-06-04 1994-04-20 東洋製罐株式会社 把手付合成樹脂容器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508572B2 (ja) * 1992-10-22 1996-06-19 東洋製罐株式会社 把手付合成樹脂製容器の製法
KR100305543B1 (ko) 1993-05-17 2002-08-14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손잡이를갖는합성수지제병체와그제조방법
JP3300787B2 (ja) * 1993-09-24 2002-07-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把手付き合成樹脂製壜体
US6388338B1 (en) * 1995-04-28 2002-05-14 Stmicroelectronics Plastic package for an integrated electronic semiconductor device
JP3556320B2 (ja) * 1995-04-21 2004-08-18 三菱樹脂株式会社 把手付ボトルの成形方法
US5819966A (en) * 1996-08-20 1998-10-13 Yoshino Kogyosho Co., Ltd. Synthetic resin bottle with grip
EP1038786A4 (en) 1997-11-28 2009-04-08 Mitsubishi Plastics Inc HANDLE FOR PLASTIC LASER AND BOTTLE WITH HANDLE
US6012597A (en) * 1998-03-18 2000-01-11 Mitsubishi Plastics, Inc. Polyester bottle with a hand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0043877A (ja) * 1998-08-01 2000-02-15 Yoshino Kogyosho Co Ltd 耐熱性の把手付き角形中空容器
JP3948663B2 (ja) * 2002-09-30 2007-07-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把手付き合成樹脂製壜体の成形法
BRPI0415590B1 (pt) * 2003-10-15 2015-06-09 Plastipak Packaging Inc Recipiente plástico e alça formada separadamente
EP1693347A4 (en) * 2003-11-14 2007-03-28 Nihon Yamamura Glass Co Ltd METHOD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A BOTTLE SHAPING TOOL AND BOTTLE FORMING TOOL USED THEREFRO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3150A (ja) * 1993-03-10 1994-09-20 Nissei Asb Mach Co Ltd 把手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
JP2000255580A (ja) * 1999-03-11 2000-09-19 Toyo Seikan Kaisha Ltd ポリエステル製把手付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0335B1 (en) 2011-10-12
EP1889790B1 (en) 2011-08-03
JP4887665B2 (ja) 2012-02-29
WO2006129812A1 (ja) 2006-12-07
EP1889790A1 (en) 2008-02-20
US20100187246A1 (en) 2010-07-29
JP2006327666A (ja) 2006-12-07
US8261932B2 (en) 2012-09-11
EP2110335A1 (en) 2009-10-21
EP1889790A4 (en) 2009-04-08
US20120292830A1 (en) 2012-11-22
CN101189167B (zh) 2012-05-23
KR20080018175A (ko) 2008-02-27
CN101189167A (zh) 2008-05-28
US9034241B2 (en) 201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586B1 (ko) 용기용 손잡이, 손잡이 부착 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4926249B2 (ja) 熱可塑性材料プリフォームの吹き込み成型または引き抜き吹き込み成型とその底からなる中空体
JP3881154B2 (ja) 高温内容物の充てんに適したボトル状の合成樹脂製容器
JP5740408B2 (ja) 補強要素を備えるプリフォーム及び容器
US5535901A (en) Synthetic resin bottle with handle and its production method
US8881922B2 (en) Hot fill container having improved crush resistance
US7258244B2 (en) Hot-fill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10084046A1 (en) Plastic container having improved flexible panel
KR20030020872A (ko) 라운드 쇼울더를 갖는 플라스틱 용기
JP3060045U (ja) ボトル
US20040022976A1 (en) Biaxially stretch-blow molded lightweight synthetic resin bottle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6444158B1 (en) Handled plastic container
IL131087A (en) Packaging with a wide opening template with an assembly with an expandable plug for paint packaging and the like
MX2015006564A (es) Envase de plastico.
US20010042731A1 (en) Synthetic resin bottle with a handle
JP5077463B2 (ja) 把手付耐熱容器の製造方法
JP2011251711A (ja) 合成樹脂製容器
WO2014027027A1 (en) Hot-fillable plastic container having vertical pillars and concave deformable sidewall panels
JP2005112361A (ja) 耐熱性の軽量底部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ボトル
KR100778916B1 (ko) 합성수지 용기의 손잡이
JP5353959B2 (ja) 把手付容器
JP3868657B2 (ja) ポリエステル製把手付容器
JP4842699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H06198717A (ja) 把手付き合成樹脂製容器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容器
AU738642B2 (en) Handled plastic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