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196B1 -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지실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지실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196B1
KR101331196B1 KR1020110145625A KR20110145625A KR101331196B1 KR 101331196 B1 KR101331196 B1 KR 101331196B1 KR 1020110145625 A KR1020110145625 A KR 1020110145625A KR 20110145625 A KR20110145625 A KR 20110145625A KR 101331196 B1 KR101331196 B1 KR 101331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ctus
extract
ethanol
extraction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096A (ko
Inventor
김영환
배은석
김대익
홍주헌
윤성란
이재욱
임애경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주식회사 웰츄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주식회사 웰츄럴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110145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1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지실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지실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A Method for Preparing functional fermented extract of Poncirus Fructus comprising abundant functional ingredient}
본 발명은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지실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 김태정. 한국의 자원식물(Ⅱ). 서울대학교 출판부, p 269 (1996)
2. Kim HM, Kim HJ, Park ST. Inhibitition of immunoglobulin E production by Poncirus trifoliate fruit extract. J Ethnopharmacol, 66, 283-288 (1999)
3. Kim DH, Bae EA, Han MJ.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the metabolites of poncirin from Poncirus trifoliate by human intestinal bacteria. Biol Pharm Bull, 22, 422-424 (1999)
4. Park JH, Kang BW.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peel of Citrus junos and Poncirus trifoliata on antioxidant and immune activity. J Life Sci, 18, 403-408 (2008)
5. 장상문, 노승현, 박선동. 한약자원식물학. 학문출판사, p 417-418 (1999)
6. 대한약사회 한약위원회. 원색한약도감. 아카데미서적, p 168 (2001)
7. Kim HC. Herb medicine pharmacology. Jipmoondang, Seoul, Korea, p 270-273 (2004)
8. Kim TJ, No JY, Ko JS, Rhee JW. The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flavonoid glycosides from Poncirus trifoliata Rafia and Citrus qaurantium L. J Anal Sci Technol, 2, 301-307 (1989)
9. Heinrich G, Schultze W, Wegner R. Compartmentation of mono and sesquiterpene synthesis of essential oil in Poncirus trifoliata. Protoplasma, 103, 115-119 (1980)
10. Chung HS, Lee JB, Seong JH, Choi JU. Chemical components in peel and flesh of trifoliate oranges(Poncirus trifoliata). Korean J Food Preserv, 11, 342-346 (2004)
11. Park JH. Stories of chinese crude drugs. Shinil, Seoul, Korea, p 252-254 (2005)
12. Park MS, Chun SB. Studies on the change of chemical composition of Poncirus trifoliata. Korean J Bot, 12, 31-34 (1969)
13. Kim HM, Kim HJ, Park ST. Inhibition of immunoglobulin E production by Poncirus trifoliata fruit extract. J Ethnopharmacol, 66, 283-288 (1999)
14. Yi JM, Kim MS, Koo HN, Song BK, Yoo HY, Kim HM. Poncirus trifoliata fruit induces apoptosis in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Clinica Chimica Acta, 34, 179-185 (2004)
15. Lee E. Anti-hyper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Poncirus trifoliata. Korea J Plant Res, 19, 279-276 (2006)
16. Singleton VL, Rossi J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965)
17. Davis WB. Determination of avonones in citrus fruits. Anal Chem, 19, 476 (1947)
18. Park JY. Green tea ingredient analysis and sensory test according to leachate water. J Kor Tea Soc, 14, 97-110 (2008)
19. Gray JI, Dugan LR.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1975)
20. Lee EJ, Kim JS, Kwon, JH. Optimization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for total catechin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5, 840-846 (2008)
21. Chung MJ, Paul AW, Christer H. Dietary phenolic antioxidants, caffeic acid and trolox, protect rainbow trout gill cells from nitric oxide-induced apoptosis. Aquatic Toxicology, 80, 321-328 (2006)
22. Jeong HJ, Park SB, Kim S, Kim HK.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extracts depending on ethanol concent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91-1496 (2007)
23. Yu MH, Lee SO, Im HG, Kim HJ, Lee IS. Antioxidant activities of Prunus salicina Lindl . cv . Soldam (Plum) at different growth stages. Korean J Food Preserv, 11, 358-363 (2004)
24. Hwang KA, Kim KS, Park CS, Shin SR.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Lindera obtusiloba BL. leaf teas by manufacturing Process. Korean J Food & Nutr, 16, 365-371 (2003)
25. Davies R, Massey RC, McWeeny DJ. The catalysis of the N-nitrosamine of secondary amines by nitrosophenols. J Food Chem, 6, 115-122 (1980)
26. Kang YH, Park YK, Lee GD.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996)
27. Noh KS, Yang MO, Cho EJ.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Umbelliferaecea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8-12 (2002)
28. Lee SJ, Chung MJ, Shin JH, Sung NJ. Effect of natural plant components on the nitrite-scavenging. J Food Hyg Safety, 15, 88-94 (2000)
29. Park NY, Lee GD, Jeong YJ, Kwon JH.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borea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585-590 (1998)
30.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1958)
탱자는 우리나라 중부 경기도 이남지방의 촌락부근에 흔히 울타리용으로 심고 있는 귀화식물로서 독특한 맛을 가진 과실로 식용, 관상용, 밀원용, 약용 등으로 이용된다(1). 탱자 속은 식물분류학상 운향과에 속하며 감귤 속, 금감 속 등과 더불어 감귤류라고 통칭한다. 이들 중 탱자는 다른 감귤류보다 내한성이 강하며, 4~5월경에 개화하며 과실은 10월에 황색으로 착색되어 특유의 강한 향기와 신맛을 가지나 생식에는 부적합하여 주로 건조시켜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다(2,3). 동의보감 탕액편에서는 탱자 과피에 대하여 독이 없는 약재로 폐기로 기침하는 것을 주치하고 가슴에 몰려 있는 담을 흩어내며 풍으로 가렵고 마비되는 증세, 장풍으로 생긴 치질을 치료한다고 그 효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4).
지실(Poncirus Fructus)은 운향과에 속하는 상록 소교목인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의 미숙과를 5~6월에 채취하여 음건한 한약재로 박편하거나 부초하여 사용하며, 외피는 녹회색, 흑녹색 또는 암녹갈색이고 작은 오목한 홈이 많으며 단면은 황백색 또는 황갈색이고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8~16개의 소실로 되어있다(5). 한의학에서 지실의 효능은 가슴과 복부 팽만, 수종, 소화불량, 변비 등의 치료뿐만 아니라 위를 튼튼하게 하고 소화를 촉진하며 자궁수축작용 등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지실은 체내의 불균형으로 뭉쳐진 기를 분산시키는 효능이 있어 오장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기운을 복 돋우며 몸을 가볍게 하는 작용을 한다고 하며, 특히 소화기의 기능을 원활하게 해주는 작용이 있다(7). 또한 지실에는 헤스페리딘(hespeidine), 나린진(naringine)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성분(8)과 리날룰(linalool), 캄펜(camphene) 등의 테르펜(terpene) 류 정유 성분(9) 및 다량의 비타민C와 다양한 종류의 유기산과 유리당이 함유되어 있다(10). 지실의 용법을 보면 한방에서는 다양한 탕제와 산제의 조제에 첨가하고, 민간요법에서는 차의 형태로 음용하고 있다(6,11).
탱자의 성숙과인 지각은 11월경에 완숙과실을 수확하여 건조시킨 것으로 성숙과의 효능에 대해서는 언급된 부분이 미미한 실정이다. 청결한 향기가 진하여 식품소재개발의 원료로써 이용가치가 높은 재료이다. 지실 및 지각에 관한 연구로는 Park과 chun(12)은 탱자의 성숙 중 탄닌(tannin), 유리당, 유기산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병원성 세균에 대한 탱자즙의 항균효과와 리노넨(limonene), 미르센(myrcene), β-카리오필렌(caryophyllene), 트랜스(trans)-β-오시멘(ocimene), β-피넨(pinene), 3-튜젠(thujene), 7-제라니옥시쿠마린(geranyoxycoumarin) 등 탱자의 향기 성분에 관한 연구, “지실과 지각”에서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flavonoid glycoside)의 분리 및 미성숙 탱자 추출물에서 항염증 활성(13)과 장내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과민성 효과(14), 항산화 및 지질 저하 효과를 보고한바 있다(15). 최근 지실의 생물학적 활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항혈전 작용, 항 세균 혹은 항바이러스 효과, 알레르기와 과민 반응 억제 효과 등이 보고되었지만, 식품 소재 및 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지실, 지각을 다양한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처리조건으로 발효 및 볶음 공정을 적용하여 추출시 유용성분 함량을 높이고 추출효율이 향상된 고품질의 추출물을 얻기 위해 새로운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지실 및 지각 추출물이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탄닌 등의 기능성성분을 다량 함유함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 추출물이 아질산염 소거효과실험 및 전자공여능 측정을 통한 항산 효능을 측정한 결과, 이러한 지각 추출물이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통해 항산화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척한 지실을 수분을 제거하고 발효실에서 발효시키고 열풍건조를 수행하는 제 1단계; 상기 건조된 지실을 볶음공정을 수행하는 제 2단계; 상기 볶은 재료를 건조시키는 제 3단계; 상기 건조 재료에 추출용매를 넣고 추출하는 제 4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지실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 1단계에서, 상기 발효는 수분함량이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에서, 온도 20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38℃가 유지된 발효실에서 1일 내지 1주일, 바람직하게는 2일 내지 3일간 발효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 1단계에서, 상기 건조는 50 내지 95 ℃,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5℃에서 1시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열풍건조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 2단계에서, 상기 건조된 지실을 온도 150 내지 350 ℃,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에서 1분 내지 140분, 바람직하게는 2분 내지 6분간 볶음공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 3단계에서, 상기 볶은 재료를 온도 3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에서 1분 내지 140분, 바람직하게는 20분 내지 40분간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제 4단계에서, 상기 건조 재료 중량의 약 1 내지 100배(v/w),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50배 부피(v/w),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30배 부피(v/w)의 열수 및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에탄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 60% 에탄올을 각각 투입하고 온도 3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에서 30분 내지 14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지실 추출물은 추출수율이 높고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탄닌 등의 기능성성분을 다량 함유함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 추출물이 아질산염 소거효과실험 및 전자공여능 측정을 통한 항산 효능을 측정한 결과, 이러한 지각 추출물이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통해 항산화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여 항산화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지실은 오랫동안 생약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들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발효지실 추출물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으며, 피부 첩포 시험에서 무자극 시료임이 입증되었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지실 추출물을 제공가능하고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탄닌 등의 기능성성분을 다량 함유함을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 추출물이 아질산염 소거효과실험 및 전자공여능 측정을 통한 항산 효능을 측정한 결과, 이러한 지각 추출물이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통해 항산화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여 이를 함유한 항산화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실 발효 추출물(PF)를 제조하는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이며;
도 2은 처리조건에 따른 전자공여능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바(bar)는 Mean ± SD을 의미하고, n=3).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실추출물의 제조(도 1 참조)
1-1. 실험 재료
본 실험에 사용한 지실(Ponciri Fructus)은 2011년 대구약령시에서 건조된 상태로 구입하여 3회 이상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1-2. 전처리 공정
건조 지실을 세척한 다음에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함량 80~90%, 온도 35~38℃가 유지된 발효실에서 2~3일간 발효시킨 후에 80℃에서 3시간 열풍건조를 시켰다. 건조된 지실을 250℃에서 3분간 볶음공정을 거친 후 80℃에서 30분간 건조시킨 후에 추출용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추출조건은 시료 10g에 열수와 50% 에탄올을 각각 200 mL 투입하고 80℃에서 3시간 추출하고 본 발명의 지실 추출물 200g 을 얻어(이하, PF 라 함), 이를 이화학적 품질 분석의 시료로 사용하였다.(도 1참조)
실험예 1. 기능성 성분 분석
1-1. 총 폴리페놀함량 측정
총 폴리페놀함량은 Folin-Denis(16)법에 따라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액 0.5 mL에 2N Folin-ciocalteau reagent(F9252, Sigma-Aldrich) 0.1 mL를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한 다음 8.4 mL의 멸균 증류수를 가하여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20% Na2CO3 1 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 시킨 후 spectrophotometer(Ultraspec 2100pro, Amersham Co., Sweden)를 이용하여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tannic acid(16201, Sigma, St, Louis, MO, USA)를 정량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1-2.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측정은 Davis(17)방법에 따라 추출액 100 uL에 1 mL diethyl glycol(E4658,Sigma Co., USA )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반응 시킨 후 1 N NaOH 100 uL와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 시킨 후 420 nm에서 분광광도계(Ultraspec 2100pro, Amersham Co., Sweden)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quercetin((Q4951, Sigma Co., USA)을 정량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1-3. 탄닌함량 측정
Tannin은 Park 등(18)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추출물 1 mL에 95% ethanol 1 mL과 증류수 1 mL를 가하여 잘 흔들어 주고 5% Na2CO3 용액 1 mL과 1 N Folin-Ciocalteu reagent(F9252, Sigma-Aldrich) 0.5 mL를 가한 후 실온에서 60분간 발색시킨 다음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탄닌의 함량은 탄닌산의 검량선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1-4. 결과
1.4.1. 전처리조건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
페놀 화합물은 식물에 존재하는 phenolic hydroxy group을 지닌 방향족 화합물로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지닌 2차 대사산물로써 항산화, 항균, 항암 등 여러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항산화 활성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21). 각각의 추출 전처리 조건에 따른 열수 및 5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지실의 경우 원 시료에 비해 발효 및 볶음공정 후 총 폴리페놀함량은 열수추출은 5.78 mg/mL에서 7.37 mg/mL로 증가되었으며 50% 에탄올 추출은 6.39 mg/mL에서 8.48 mg/mL로 증가되었다. 지각의 경우 열수 추출물은 2.62 mg/mL에서 4.74 mg/mL로 증가되었으며 50% 에탄올 추출물 또한 2.72 mg/mL에서 5.08 mg/mL로 2배 가량 증가되어 추출 전처리 공정 적용을 통해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지각보다는 지실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50% 에탄올 추출이 효과적이었다. Jeong 등(22)은 에탄올 추출조건에 따른 머루의 총 폴리페놀함량 분석 결과에 따르면 동일조건에서 물, 50% 에탄올과 100% 에탄올 조건에서 추출시 50% 에탄올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다.(표 1 참조)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reatment conditions from Ponciri Fructus and Aurantii Fructus (mg/mL)
Sample conditions Ponciri Fructus Aurantii Fructus
Water 50% Ethanol Water 50% Ethanol
PF-AF1 ) 5.78±0.03 6.39±0.03 2.62±0.02 2.72±0.04
PF-AF-F 6.95±0.02 7.55±0.04 3.65±0.03 4.18±0.05
PF-AF-P 7.37±0.05 8.48±0.03 4.74±0.03 5.08±0.07
All values are mean±SD (n=3)
1)PF-AF: dried Ponciri Fructus and Aurantii Fructus, PF-AF-F: Ponciri Fructus and Aurantii Fructus after fermentation, PF-AF-P: Ponciri Fructus and Aurantii Fructus after pen-firing
1.4.2. 전처리조건에 따른 총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함량
각각의 추출 전처리 조건에 따른 열수 및 5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함량은 표 2와 같다. 지실의 경우 원 시료에 비해 발효 및 볶음공정 후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열수추출은 0.85 mg/mL에서 1.23 mg/mL로 증가되었으며 50% 에탄올 추출은 1.24 mg/mL에서 1.55 mg/mL로 증가되었다. 지각의 경우 열수 추출물은 0.44 mg/mL에서 0.58 mg/mL로 증가되었으며 50% 에탄올 추출물 또한 0.57 mg/mL에서 1.03 mg/mL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지각보다는 지실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50% 에탄올 추출이 효과적이었는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유사한 경향이었다.
탄닌은 녹차를 비롯한 차잎의 주된 폴리페놀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충치 예방, 고혈압억제, 항암, 항산화 및 미백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23). 전처리 조건 및 추출방법에 따른 탄닌 함량은 발효 및 볶음공정 후 추출한 구간이 높았으며 열수추출 보다는 50% 에탄올 추출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50% 에탄올 추출의 경우 지실이 4.22 mg/mL였으며 지각이 1.32 mg/mL으로 열수추출에 비해 우수하였다. Hwang 등(24)은 시판녹차의 탄닌 함량이 10.64%이고 일반 엽차의 평균 탄닌 함량이 12.88%라고 보고하였는데 본 실험에 사용한 지실, 지각의 경우 잎차에 비해 함량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표 2 참조)
Total flavonoid and tannin content of treatment conditions from Ponciri Fructus and Aurantii Fructus (mg/mL)
Sample
conditions
Ponciri Fructus Aurantii Fructus
Water 50% Ethanol Water 50% Ethanol
Total flavonoid Tanin Total flavonoid Tanin Total flavonoid Tanin Total flavonoid Tanin
PF-AF 0.85±0.02 3.01±0.21 1.24±0.06 3.36±0.16 0.44±0.01 0.81±0.06 0.57±0.03 1.01±0.24
PF-AF-F 1.08±0.05 3.21±0.24 1.37±0.03 3.69±0.24 0.52±0.05 1.05±0.19 0.76±0.03 1.14±0.12
PF-AF-P 1.23±0.05 3.53±0.18 1.55±0.05 4.22±0.32 0.58±0.03 1.29±0.20 1.03±0.04 1.32±0.14
All values are mean±SD (n=3)
1)PF-AF: dried Ponciri Fructus and Aurantii Fructus, PF-AF-F: Ponciri Fructus and Aurantii Fructus after fermentation, PF-AF-P: Ponciri Fructus and Aurantii Fructus after pen-firing
실험예 2. 항산화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들의 항산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2-1. 아질산염 소거작용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는 시료들의 전자공여능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Gray JI, Dugan LR.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1975)).
아질산염 소거효과(nitrite-scavenging effect)는 Gray등의 방법(19)으로 측정하였다. 즉, 1 mM 아질산나트륨 용액 1 mL에 각각의 추출물을 2 mL 가하고 여기에 0.1 N 염산(pH 1.2) 및 0.2 N 구연산 완충용액(pH 3.0, 4.2)을 7 mL 가하여 반응용액의 pH를 각각 1.2, 3.0 및 4.2으로 달리하여 반응용액의 부피를 10 mL로 하였다. 이를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반응액을 1 mL씩 취하고 여기에 2% 초산 5 mL, Griess 시약(acetic acid에 1% sulfanylic acid와 1% naphthylamine을 1:1 비율로 혼합 것으로 사용 직전에 제조) 0.4 mL를 가하여 잘 혼합시켜 15분간 실온에서 방치시킨 후 분광 광도계(Ultraspec 2100pro, Amersham Co., Sweden)를 사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하는 아질산염량을 구하였다. 그리고 대조구는 Griess 시약 대신 증류수 0.4 mL를 가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행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1.2에서 추출액 첨가전후의 아질산염 백분율(%)로 표기하였다(수학식 1).
Figure 112011104863626-pat00001
N : 아질산염 소거율
A : 1 mM NaNO2 용액에 시료를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의 흡광도
B : 1 mM NaNO2 용액에 시료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의 흡광도
C : 시료 추출물 자체의 흡광도
2-2. 전자공여능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는 시료들의 전자공여능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Lee EJ, Kim JS, Kwon, JH. Optimization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for total catechin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5, 840-846 (2008)).
항산화능을 측정하기 위한 전자공여능은 1,1 diphenyl-2-picrylhydrazyl (DPPH)의 환원력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20). 즉, 추출물 1 mL에 4×10-4 M DPPH용액(99.9% ethyl alcohol에 용해) 1 mL을 가하여 총액의 부피가 2 mL가 되도록 하였다. 이 반응액을 약 10초간 혼합하고 실온에 30분 방치한 후 분광광도계(Ultraspec 2100pro, Amersham Co., Sweden)를 사용하여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효과는 추출물의 첨가 전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수학식 2).
Figure 112011104863626-pat00002
A : 추출물 첨가구의 흡광도
B : 추출물 무첨가구의 흡광도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와 같다.
아질산염 소거능 실험 결과
아질산염은 니트로사민의 전구체인 nitrous anhydride(N2O3)와 같은 활성 니트로소화 물질을 생성하고, 이 nitrous anhydride가 2차 아민과 결합하여 발암물질인 N-nitrosamine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Kang 등(26)은 방향족 화합물인 polyphenol 화합물이 아질산염을 효과적으로 분해하여 발암성 nitrosamine의 생성을 억제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은 니트로사민 생성의 기질인 아민과 경쟁적으로 작용하며, 생성억제 정도는 상호간의 농도 및 pH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추출전처리 조건 및 추출방법에 따른 아질산염 소거능은 표 3과 같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가 낮을수록 아질산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열수추출과 50% 에탄올 추출이 유사한 경향이었다. 추출 전처리조건에 따른 아질산염 소거능을 살펴보면 발효 및 볶음 공정 후 시료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증가되었으며 지실, 지각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지실, 지각 모두에서 열수추출보다는 50% 에탄올 추출 조건이 아질산염 소거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Noh 등(27)은 미나리과 산채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pH가 낮을수록 높다고 보고하였고, Lee 등(28)은 차류, 약용 식물류, 해조류, 채소류 및 과실류의 아질산염 분해작용이 pH 1.2에서 가장 크다고 보고한 바 있으며 그 외 많은 연구에서도 낮은 pH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표 3 참조)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of treatment conditions from Ponciri Fructus and Aurantii Fructus (mg/mL)
Sample conditions
Ponciri Fructus Aurantii Fructus
Water 50% Ethanol Water 50% Ethanol
pH 3.0 PF-AF 66.92 89.49 44.65 78.58
PF-AF-F 68.76 92.82 48.19 90.03
PF-AF-P 85.71 97.72 59.23 92.76
pH 4.2 PF-AF 14.94 41.78 17.83 35.06
PF-AF-F 15.37 52.12 18.25 43.66
PF-AF-P 21.39 63.49 18.76 52.01
pH 6.0 PF-AF 2.15 30.28 3.02 13.27
PF-AF-F 4.26 33.74 4.16 18.58
PF-AF-P 9.32 39.78 8.18 10.24
All values are mean±SD (n=3)
1)PF-AF: dried Ponciri Fructus and Aurantii Fructus, PF-AF-F: Ponciri Fructus and Aurantii Fructus after fermentation, PF-AF-P: Ponciri Fructus and Aurantii Fructus after pen-firing
전자공여능 실험결과
전자공여능은 활성 라디칼에 전자를 공여하고 식품 중의 지방질 산화를 억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인체 내에서는 활성 라디칼에 의한 노화를 억제시키는 작용으로 이용되고 있다(29). 라디칼 소거작용은 인체의 질병과 노화를 방지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자공여능 측정은 DPPH 라디칼 소거법으로 측정하며, DPPH법은 tocopherol, ascorbate, flavonoid 화합물, 방향족 아민류, Maillard형 갈변 생성물질, peptide 등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에 의해 환원됨으로서 짙은 자색이 발색되는 정도에 따라 항산화 효과를 수소공여능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30). 추출 전처리조건 및 추출방법에 따른 전자공여능은 Fig. 2에 나타내었다. 지실 열수추출의 경우 원 시료에서 65.38%, 발효 및 볶음 공정 후 각각 75.27%, 78.52%로 증가되었으며, 50% 에탄올 추출의 경우 원 시료가 75.64%였고 발효 및 볶음 공정후 87.88%와 94.25%로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추출조건에 따른 전자공여능은 50% 에탄올 추출이 열수추출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지실이 지각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Claims (6)

  1. 세척한 지실을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함량이 60 내지 95(중량)%에서, 온도 20 내지 60 ℃가 유지된 발효실에서 1일 내지 1주일간 발효시키고 50 내지 95 ℃에서 1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열풍건조를 수행하는 제 1단계; 상기 건조된 지실을 온도 150 내지 350 ℃에서 1분 내지 140분간 볶음공정을 수행하는 제 2단계; 상기 볶은 재료를 온도 30 내지 100 ℃ 에서 1분 내지 140분간 건조시키는 제 3단계; 상기 건조 재료에 건조 재료 중량의 1 내지 100배 부피(v/w)의 열수 및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를 각각 투입하고 온도 30 내지 100 ℃에서 30분 내지 1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제 4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지실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145625A 2011-12-29 2011-12-29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지실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KR101331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625A KR101331196B1 (ko) 2011-12-29 2011-12-29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지실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625A KR101331196B1 (ko) 2011-12-29 2011-12-29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지실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096A KR20130077096A (ko) 2013-07-09
KR101331196B1 true KR101331196B1 (ko) 2013-11-20

Family

ID=4899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625A KR101331196B1 (ko) 2011-12-29 2011-12-29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지실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1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16B1 (ko) * 2009-10-29 2010-07-23 (주)한국파비스 알엔디 생약 발효물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101004231B1 (ko) * 2010-03-11 2010-12-24 보은군 대추잎 발효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16B1 (ko) * 2009-10-29 2010-07-23 (주)한국파비스 알엔디 생약 발효물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101004231B1 (ko) * 2010-03-11 2010-12-24 보은군 대추잎 발효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096A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hikara et al. Bioactive compounds and pharmacological and food applications of Syzygium cumini–a review
Petrova et al. Five edible flowers–valuable source of antioxidants in human nutrition
Lee et al. Polypheno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vegetable plant'Artemisia absinthium'L.
Amarowicz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tannin constituents from Phaseolus vulgaris, Fagoypyrum esculentum, Corylus avellana and Juglans nigra
Nabavi et al. The antioxidant activity of wild medlar (Mespilus germanica L.) fruit, stem bark and leaf
Parzhanova et al. Evaluation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medicinal plants extracts for food and cosmetic purposes
KR20190033894A (ko) 금화규와 메리골드를 포함하는 티백 및 이의 제조방법
Anggraini et al. The exotic plants of Indonesia: Mahkota Dewa (Phaleria macrocarpa), Sikaduduak (Melastoma malabathricum Linn) and Mengkudu (Morinda citrifolia) as potent antioxidant sources
Patel Emerging bioresources with nutraceutical and pharmaceutical prospects
KR102387371B1 (ko)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멀꿀 발효물 및 이의 용도
Choi et al. Extraction conditions for phenolic compounds with antioxidant activities from white rose petals
KR101583595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162581B1 (ko) 기능성 곶감 및 그 제조방법
KR101331196B1 (ko)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지실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Praveen Polypheno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ndrographis paniculata L. Nees
Ebrahimzadeh et al. Antioxidant properties of Helichrysum pseudoplicatum Nab
KR102005795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KR101403355B1 (ko) 민들레 꽃 식혜의 제조방법
KR101231590B1 (ko) 항바이러스,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비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KR100726364B1 (ko) 항산화 효과가 있는 짚신나물 사탕 제조 방법
Jegatheesan et al. Applied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for a Sustainable Future
KR101209369B1 (ko)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 제조방법 및 모시대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용기능식품
KR101403354B1 (ko) 민들레를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KR102622213B1 (ko) 감귤류 진피 추출발효물을 함유한 복합 기능성 청국장 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