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697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697B1
KR101330697B1 KR1020060131913A KR20060131913A KR101330697B1 KR 101330697 B1 KR101330697 B1 KR 101330697B1 KR 1020060131913 A KR1020060131913 A KR 1020060131913A KR 20060131913 A KR20060131913 A KR 20060131913A KR 101330697 B1 KR101330697 B1 KR 101330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ubstrate
insulating substrate
signal lin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953A (ko
Inventor
김성호
정동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697B1/ko
Priority to JP2007177185A priority patent/JP5732185B2/ja
Priority to US11/936,253 priority patent/US8223278B2/en
Priority to CNA2007101988028A priority patent/CN101206326A/zh
Publication of KR20080057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953A/ko
Priority to US13/474,923 priority patent/US848807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절연기판, 상기 제1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저항막, 상기 제1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신호선 및 제2신호선을 포함하는 제1기판과; 제1기판과 마주하며, 제2절연기판과, 상기 제2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저항막, 상기 제2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3신호선 및 제4신호선을 포함하는 제2기판과; 상기 제1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패드, 상기 제2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2패드, 상기 제3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3패드 및 상기 제4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4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 중 어느 두 개와 연결되어 있는 제1연성회로기판과; 상기 패드 중 다른 두 개와 연결되어 있는 제2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이즈가 감소한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1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2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Ⅶ-Ⅶ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연성회로기판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Ⅸ-Ⅸ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1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1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H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1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2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연성회로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2의 ⅩⅧ-ⅩⅧ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1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2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1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제2기판의 배치도이고,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연성회로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5는 도 21의 ⅩⅩⅤ-ⅩⅩ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터치스크린 패널 110 : 제1기판
111 : 제1절연기판 112 : 제1저항막
113 : 제1신호선 113a: 제1패드
114 : 제2신호선 114a : 제2패드
115 : 제1연결선 115a : 제3패드
116 : 제2연결선 116a : 제4패드
120 : 제2기판 121 : 제2절연기판
122 : 제2저항막 123 : 제3신호선
124 : 제4신호선 130 : 스페이서
140 : 접착층 150 : 도전부재
200 : 액정패널 222 : 외부 블랙매트릭스
300 : 제어부 400 : 연성회로기판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는 음극선관,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전계발광장치 등이 있다.
최근 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터치 스크린 패널과 같은 입력장치를 도입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에서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패널의 표면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가압하면 그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가 화상 표시 장치에 전달되고 디스플레이된다.
터치 스크린 패널에는 가압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신호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에 의해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는 신호선에 연결된 패드를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그런데 패드 형성을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의 크기가 증가하여, 결국 표시장치의 사이즈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가 감소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1절연기판, 상기 제1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저항막, 상기 제1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신호선 및 제2신호선을 포함하는 제1기판과; 제1기판과 마주하며, 제2절연기판과, 상기 제2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저항막, 상기 제2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3신호선 및 제4신호선을 포함하는 제2기판과; 상기 제1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패드, 상기 제2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2패드, 상기 제3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3패드 및 상기 제4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4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 중 어느 두 개와 연결되어 있는 제1연성회로기판과; 상기 패드 중 다른 두 개와 연결되어 있는 제2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연성회로기판과 상기 제2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기판의 서로 다른 모서리 영역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1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3패드와 상기 제3신호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4패드와 상기 제4신호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2패드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3패드 및 상기 제4패드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2패드는 상기 제1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패드 및 상기 제4패드는 상기 제2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성회로기판과 상기 제2연성회로기판은 양면회로기판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2패드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3패드 및 상기 제4패드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기판 후방에 위치하는 액정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절연기판은 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절연기판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패널은,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제1액정패널기판과;
상기 제1기판에 대향하며 외부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되어 있는 제2액정패널기판과; 상기 양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외부 블랙매트릭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절연기판의 배면과 마주하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액정패널기판과; 상기 제1절연기판과 상기 액정패널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절연기판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 블랙매트릭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외부 블랙매트릭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패널기판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1편광판과; 상기 제2절연기판의 상 면에 위치하는 제2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절연기판은 고분자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절연기판, 상기 제1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저항막 및 복수의 제X신호선을 포함하는 제1기판; 제1기판과 마주하며, 제2절연기판과, 상기 제2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저항막 및 복수의 Y신호선을 포함하는 제2기판과; 각각 상기 X신호선 및 상기 Y신호선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서브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부와; 연성필름과, 상기 연성필름의 제1면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서브 패드 중 일부에 대응하는 제1입력리드를 포함하는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기판의 서로 다른 모서리에 연결되어 있는 제1연성회로기판과 제2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연성필름의 제2면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서브 패드 중 다른 일부에 대응하는 제2입력리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절연기판은 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절연기판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1절연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X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서브 패드는 상기 제1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Y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서브 패드는 상기 제2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절연기판의 배면과 마주하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액정 패널기판과; 상기 제1절연기판과 상기 액정패널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절연기판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 블랙매트릭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외부 블랙매트릭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패널기판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1편광판과; 상기 제2절연기판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2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표시장치가 터치 스크린 패널과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액정패널 대신에 유기전계발광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전기영동표시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보면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터치 스크린 패널(100), 액정패널(200), 제어부(300) 그리고 연성회로기판(400)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100)은 액정패널(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터치 스크린 패널(100)의 측면에는 연성회로기판(400)이 연결되어 있다. 연성회로기판(400)은 제1연성회로기판(400a)과 제2연성회로기판(400b)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패널(100)을 손가락 또는 펜을 이용하여 가압하면, 가압에 의해 전기적신호가 발생한다. 발생한 전기적 신호는 연성회로기판(400)을 통해 제어부(300)로 전달된다. 제어부(300)는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가압된 부분의 좌표를 계산하고, 계산된 좌표에 대응하여 액정패널(20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을 보면 터치 스크린 패널(100)은 제1기판(110), 제2기판(120), 양 기판(110, 120)을 접합시키는 접착층(140)을 포함한다.
액정패널(200)은 제1액정패널기판(210), 제2액정패널기판(220), 양 기판(210, 220)을 접합시키는 실런트(260), 약 기판(210, 220)과 실런트(260)로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하는 액정층(230)을 포함한다.
제2액정패널기판(220)에는 실런트(260)를 따라 외부 블랙매트릭스(2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1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보면, 제1기판(110)은 제1절연기판(111), 제1절연기판(111)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저항막(112), 제1신호선(113), 제2신호선(114), 제1연결선(115), 제2연결선(116)을 포함한다.
제1절연기판(111)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며, 유리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제1절연기판(111)은 제2절연기판(121)보다 크게 만들어지며, 제2절연기판(121)과 겹치지 않은 제1절연기판(111)의 하변에 패드영역(B, C)이 마련되어 있다.
제1저항막(112)은 제1절연기판(111)의 상면 거의 대부분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전도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제1신호선(113)과 제2신호선(114)은 제1저항막(112)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며, 제1절연기판(111)의 장변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제1신호선(113)과 제2신호선(114)은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X신호선이라고 불린다. 제1신호선(113)과 제 2신호선(114)은 제1저항막(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제1신호선(113)의 일 단부는 제1패드(113a)가 되며, 제1패드(113a)는 제2기판(12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다. 제2신호선(114)의 일 단부는 제2패드(114a)가 되며, 제2패드(114a)는 제2기판(12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다.
제1연결선(115)은 제2기판(120)의 제3신호선(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절연기판(111)의 하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2연결선(116)은 제2기판(120)의 제4신호선(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절연기판(111)의 상변과 좌변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1연결선(115) 중 제2패드(114a)와 가까운 단부는 제3패드(115a)가 되며, 제3패드(115a)는 제2기판(12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다. 제2연결선(116) 중 제1패드(113a)와 가까운 단부는 제4패드(116a)가 되며, 제4패드(116a)는 제2기판(12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다.
실시예와 달리 각 패드(113a 내지 116a)는 연결되어 있는 신호선(113, 114) 및 연결선(115, 116)에 비해 폭이 확장될 수 있다. 패드(113a 내지 116a)는 한 변의 길이가 약 1mm정도인 정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패드(113a 내지 116a)는 2개씩 모여 있다. 즉, 제1절연기판(111)의 좌하측 모서리의 제1패드영역(B)에 제1패드(113a)와 제4패드(116a)가 위치하며, 제1절연기판(111)의 우하측 모서리의 제2패드영역(C)에 제2패드(114a)와 제3패드(115a)가 위치한다.
도 4 및 도 6을 보면 제2기판(120)은 제2절연기판(121), 제2절연기판(121)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저항막(122), 제3신호선(123), 제4신호선(124)을 포함한다.
제2절연기판(121)은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절연기판(111)에 비해 길이가 짧다.
제2저항막(122)은 제2절연기판(111)의 하면 거의 대부분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전도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제3신호선(123)과 제4신호선(124)은 제2저항막(122)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며, 제2절연기판(121)의 단변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3신호선(123)과 제4신호선(124)은 Y방향으로 따라 연장되어 있어, Y신호선이라 불린다. 제3신호선(123)과 제4신호선(124)은 제2저항막(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을 보면 제4신호선(124)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도전부재(150)를 통해 제2연결선(1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전부재(150)는 접착층(140) 사이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3신호선(123)도 같은 방식으로 제1연결선(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패드(113a 내지 116a)와 연성회로기판(400)의 연결을 설명한다.
도 8을 보면 연성회로기판(400)은 연성필름(411), 연성필름(411) 상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연결배선을 포함한다.
제1연결배선은 입력리드(421), 출력리드(423), 양 리드(421, 423)를 연결하는 리드연결부(422)를 포함한다. 제2연결배선은 입력리드(431), 출력리드(433), 양 리드(431, 433)를 연결하는 리드연결부(432)를 포함한다.
제1연결배선과 제2연결배선은 연성필름(411)의 동일한 면에 형성되어 있다. 입력리드(421, 431)는 제1기판(110)의 패드(113a 내지 116a)와 연결되며, 출력리드(423, 433)는 제어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성회로기판(400)은 리드 연결부(422, 432)를 덮고 있는 절연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보면 제1패드(113a)와 제4패드(116a)는 제1연성회로기판(400a)에 연결된다.
제1패드(113a)는 이방성전도필름(500)을 통해 제1연결배선의 입력리드(4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4패드(116a)는 이방성전도필름(500)을 통해 제2연결배선의 입력리드(4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방성전도필름(500)은 베이스 수지부(511)와 베이스 수지부(511) 내에 산점되어 있는 도전볼(512)을 포함하다. 패드(113a, 116a)와 입력리드(421, 431) 사이에서 도전볼(512)은 서로 접촉하면서 전기적 통로를 형성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패드(114a)와 제3패드(115a)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2연성회로기판(400b)와 연결된다.
제1저항막(112) 상에는 스페이서(130)가 위치한다. 스페이서(130)는 반구형태로서, 양 저항막(112, 122)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기판(120)의 제2절연기판(121)은 고분자 필름으로 제조되어 중력 등에 의해 제1기판(110)을 향해 변형되기 쉽다. 제2기판(120)이 변형되면 양 저항막(112, 122)이 단락되어 사용자의 가압시 위치파악에 문제가 발생한다. 스페이서(130)는 제2기판(120)이 변형되더라도 양 저항막(112, 122)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페이서(130)는 자외선 경화 재료 또는 열 경화 재료 등을 스크린 프린팅 또는 인쇄하여 형성된다.
접착층(140)은 터치 패털 스크린(100)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면서 양 기판(110,120)을 부착시킨다. 접착층(140)은 양면 테이프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100)에서 펜 또는 손가락이 제2기판(120)을 눌러 제1저항막(112)과 제2저항막(122)이 접촉하게 되면, 그 접촉 위치에 따라 저항치가 가변된다.
가변된 저항치에 따라 전류 또는 전압이 달라지게 되고, 그 변화된 전류 또는 전압은 패드(113a 내지 116a)와 연성회로기판(400)을 통해 출력된다. 연성회로기판(400)의 출력리드(423, 433)는 직접 제어부(300)에 연결되거나, 액정패널(200)의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액정패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액정패널기판(210)은 제3절연기판(211), 박막트랜지스터(212), 절연막(213) 및 화소전극(214)를 포함한다.
제3절연기판(211)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전 극(214)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있으며 각각 별개의 박막트랜지스터(2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액정패널기판(220)은 제4절연기판(221), 외부 블랙매트릭스(222), 내부 블랙매트릭스(223), 컬러필터(224), 오버코트층(225) 및 공통전극(226)을 포함한다.
제4절연기판(221)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블랙매트릭스(223)는 박막트랜지스터(212)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컬러필터(224)는 서로 다른 색상,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가진 복수의 서브층을 포함한다. 공통전극(226)은 제4절연기판(221)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화소전극(214)과 공통전극(226)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전도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액정층(230)은 화소전극(214)과 공통전극(226)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정렬상태가 바뀌면서 투과율을 조절한다.
제1액정패널기판(210)의 외면에는 제1편광판(240)이 부착되어 있으며, 제2액정패널기판(220)의 외면에는 제2편광판(250)이 부착되어 있다.
제1편광판(240)은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제1액정패널기판(210)의 제3절연기판(211)의 배면에 부착된다. 제1편광판(240)은 입사되는 광의 편광상태를 제어하는 편광층과 편광층 상면과 하면에 위치하는 지지층을 포함한다.
편광층은 폴리 비닐 알코올(Poly Vinyl Alcohol : PVA)의 얇은 막을 가열시켜면서 연신시킨 후, 요오드 산(iodic acid)을 이색성 염료 용액에 침적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지지층은 트리 아세테이트 셀루로스(TriAcetyl Cellulose : TAC) 등으로 형성되며, 연신된 편광층의 수축을 방지하고 편광층을 보호/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편광판(250)은 제1편광판(240)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반복설명을 생략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장치(1)는 액정패널(200) 후방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100)의 패드(113a 내지 116a)는 2개씩 나뉘어 연성회로기판(400a, 400b)에 연결된다.
따라서 각 패드 영역(B, C, 도 5 참조)은 복잡하지 않게 마련될 수 있어, 패드 영역 형성을 위해 필요한 폭(d1)이 크지 않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패널(100)의 크기 증가가 억제된다.
패드 영역(B, C), 신호선(113, 114, 123, 124) 및 연결선(115, 116)은 액정패널(200)의 외부 블랙매트릭스(222)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기판(110)의 신호선(113, 114)과 연결선(115, 116)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데, 이를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 10을 보면, 제3신호선(123)과 연결되는 제1연결선(115)의 제3패드부(115a)는 제1패드부(113a)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4신호선(124)과 연결되는 제2연결선(116)은 제2신호선(114)의 뒤쪽으로 길 게 연장되어 있으며, 제4패드부(116a)는 제2패드부(114a)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1절연기판(111)의 좌하측의 제1패드영역(D)에는 제1패드(113a)와 제3패드(115a)가 위치하며, 우하측의 제2패드영역(E)에는 제2패드(114a)와 제4패드(116a)가 위치한다.
연성회로기판(400)과 제1기판(110)은 제1실시예와 같이 연결된다. 제1연성회로기판(400a)은 제1패드(113a) 및 제3패드(115a)와 연결되며, 제2연성회로기판(400b)은 제2패드(114a)와 제4패드(116a)와 연결된다.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 11을 보면, 제3신호선(123)과 연결되는 제1신호선(115)의 제3패드부(115a)는 제1패드부(113a)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제1패드부(113a)와 제3패드부(115a)는 제1절연기판(111)의 장변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제4신호선(124)과 연결되는 제2연결선(116)은 제2신호선(114)의 뒤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제4패드부(116a)는 제2패드부(114a)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1절연기판(111)의 좌하측의 제1패드영역(F)에는 제1패드(113a)와 제3패드(115a)가 위치하며, 우하측의 제2패드영역(G)에는 제2패드(114a)와 제4패드(116a)가 위치한다.
또한 연성회로기판(400a, 400b)은 제2절연기판(111)의 서로 다른 변에 연결된다. 제1연성회로기판(400a)은 제1절연기판(111)의 장변에 부착되면서 제1패 드(113a) 및 제3패드(115a)와 연결되며, 제2연성회로기판(400b)은 제1절연기판(111)의 단변에 부착되면서 제2패드(114a)와 제4패드(116a)와 연결된다.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보면, 액정패널(200)의 제2액정패널기판(220)은 터치 스크린 패널(100)의 제1기판(110)과 제1절연기판(111)을 공유한다. 즉 제1절연기판(111)의 상면에는 제1저항막(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절연기판(111)의 하면에는 블랙매트릭스(222, 223)와 컬러필터(2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액정패널(200)의 제2편광판(250)은 터치 스크린 패널(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절연기판 사용을 줄여 표시장치(1)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원가도 절감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제1기판(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기판(110)은 제1절연기판(111), 제1절연기판(111)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저항막(112), 제1신호선(113) 및 제2신호선(114)을 포함한다. 제1실시예와 달리 제1기판(110)에 연결선은 형성되지 않는다.
제1저항막(112)은 제1절연기판(111)의 상면의 거의 대부분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전도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제1신호선(113)과 제2신호선(114)는 저항막(112)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며, 제1절연기판(111)의 장변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제1신호선(113)과 제2신호 선(114)은 제1저항막(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제1절연기판(111)의 하변에 인접한 제1신호선(113)의 일 단부는 제1패드(113a)가 되며, 제1절연기판(111)의 하변에 인접한 제2신호선(114)의 일 단부는 제2패드(114a)가 된다.
도 14 및 도 16을 참조하여 제2기판(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기판(120)은 제2절연기판(121), 제2절연기판(121)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저항막(122), 제3신호선(123) 및 제2신호선(124)을 포함한다.
제2절연기판(121)은 상부에 제2편광판(250)이 위치하므로, 연신되지 않은 등방성 고분자 필름으로 마련된다. 제2절연기판(121)은 제1절연기판(111)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마련된다.
실시예와 달리 제2편광판(250)의 지지층 상에 제2저항막(12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지지층이 제2절연기판(121)이 된다.
제3신호선(123)은 제2절연기판(121)의 하변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제2절연기판(121)의 우변에 인접한 단부가 제3패드(123a)가 된다.
제4신호선(124)은 제2절연기판(121)의 상변과 좌변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제2절연기판(121)의 하변에 인접한 단부가 제4패드(124a)가 된다.
이상과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르면 제1패드(113a)와 제2패드(114a)는 제1기판(110)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3패드(123a)와 제4패드(124a)는 제2기판(120)에 형성되어 있다.
제1절연기판(111)의 좌하측의 패드영역(I)에는 제1패드(113a)와 제4패 드(124a)가 위치한다. 제1패드(113a)와 제4패드(124a)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절연기판(111)의 우하측의 패드영역(J)에는 제2패드(114a)와 제3패드(123a)가 위치한다. 제2패드(114a)와 제3패드(123a)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패드(113a, 114a, 123a, 124a)는 터치스크린 패널(100)의 양 모서리에 2개씩 모여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 및 도 18을 참조하여 패드(113a, 114a, 123a, 124a)와 연성회로기판(400)의 연결을 설명한다.
도 17a 내지 도 17c를 보면 연성회로기판(400)은 연성필름(411), 연성필름(411) 상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연결배선을 포함한다.
제1연결배선은 입력리드(421), 출력리드(423), 양 리드(421, 423)를 연결하는 리드연결부(422)를 포함한다. 제2연결배선은 입력리드(431), 출력리드(433), 양 리드(431, 433)를 연결하는 리드연결부(432)를 포함한다.
연성회로기판(400)은 양면 연성회로기판이다. 입력리드(421), 출력리드(423), 리드 연결부(422), 출력리드(433)는 연성필름(411)의 제1면(411a)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연결배선의 입력리드(431)는 연성필름(411)의 제2면(411b)에 형성되어 있다.
제2연결배선의 리드연결부(432)의 일부는 출력리드(433)에 연결되어 제1면(411a)에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일부는 입력리드(431)에 연결되어 제2면(411b) 에 형성되어 있다.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어 있는 리드 연결부(432)는 연성필름(411)에 형성되어 있는 비아(via, 412)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18을 보면 제1패드(113a)와 제4패드(124a)는 제1연성회로기판(400a)에 연결되어 있다. 제1패드(113a)는 이방성전도필름(500)을 통해 제2연결배선의 입력리드(4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4패드(124a)는 이방성전도필름(500)을 통해 제1연결배선의 입력리드(4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방성전도필름(500)은 베이스 수지부(511)와 베이스 수지부(511) 내에 산점되어 있는 도전볼(512)을 포함하다. 패드(113a, 124a)와 리드(421, 431) 사이에서 도전볼(512)은 서로 접촉하면서 전기적 통로를 형성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패드(114a)와 제3패드(123a)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2연성회로기판(400b)과 연결된다.
도 18에서 제1절연기판(111) 하부의 액정패널(200)은 도시하지 않았다.
이상 설명한 제4실시예에 따르면 각 패드 영역(I, J)에서 패드(113a, 114a, 123a, 124a)는 2개씩 위치하지만 서로 수직 방향으로 겹쳐 있기 때문에, 하나의 패드 설치에 필요한 면적만이 필요하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 패널(100)의 크기 증가를 억제하는데 유리하다.
제4실시예에서 패드 영역(I, J)은 외부 블랙매트릭스(222)의 영역 내에 위치한다. 외부 블랙매트릭스(222)의 폭(d2)은 약 2mm정도일 수 있다.
제4실시예에서 신호선(113, 114, 123, 124)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데, 이를 제5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도 19를 보면 제2신호선(114)은 제1절연기판(111)의 하변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제1패드(113a)에 인접한 제2패드(114a)를 갖는다.
도 20을 보면 제4신호선(124)은 제2절연기판(121)의 좌변으로 연장되어, 제3패드(123a)와 인접한 제4패드(124a)를 갖는다.
제5실시예에서 패드영역(K)에는 제1기판(110)의 패드(113a, 114a)가 위치하며, 패드부(J)에는 제2기판(120)의 패드(123a, 124a)가 위치한다.
따라서 제5실시예에서 연성회로기판(400)은 단면 연성회로기판이 사용된다. 제1연성회로기판(400a)은 제1기판(110)에 부착되어 제1패드(113a) 및 제2패드(114a)와 연결되고, 제2연성회로기판(400b)은 제2기판(120)에 부착되어 제3패드(123a)와 제4패드(124a)와 연결된다.
도 2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1을 보면 제6실시예에서 연성회로기판(400)은 단일개로 마련된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각 패드(113a, 114a, 123a, 124a)는 서로 인접하며, 제1기판(110)의 패드(113a, 114a)와 제2기판(120)의 패드(123a, 124a)가 서로 겹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패드영역(M)은 단일 개로 마련되며, 이에 따라 연성회로기판(400)도 단일개로 마련되는 것이다.
도 24a 및 도 24b를 참조하면 연성회로기판(400)은 양면 회로기판이며, 연결배선은 4개가 마련된다.
제1연결배선은 입력리드(421), 출력리드(423), 양 리드(421, 423)를 연결하는 리드연결부(422)를 포함한다. 제2연결배선은 입력리드(431), 출력리드(433), 양 리드(431, 433)를 연결하는 리드연결부(432)를 포함한다. 제3연결배선은 입력리드(441), 출력리드(443), 양 리드(441, 443)를 연결하는 리드연결부(442)를 포함한다. 제4연결배선은 입력리드(451), 출력리드(453), 양 리드(451, 453)를 연결하는 리드연결부(452)를 포함한다.
이 중 제3연결배선의 입력리드(441)와 제4연결배선의 입력리드(451)는 제2면(411b)에 위치하며, 제3연결배선의 리드 연결부(442)의 일부와 제4연결배선의 리드 연결부(452)의 일부도 제2면(411b)에 위한다.
제1면(411a)에 위치하는 리드 연결부(442, 452)와 제2면(411b)에 위치하는 리드 연결부(442, 452)는 연성필름(411)에 형성된 비아(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25를 보면 제1패드(113a)는 이방성전도필름(500)을 통해 제4연결배선의 입력리드(4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패드(114a)는 이방성전도필름(500)을 통해 제3연결배선의 입력리드(4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3패드(123a)는 제2연결배선의 입력리드(4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4패드(124a)는 제1연결배선의 입력리드(4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5에서 제1절연기판(111) 하부의 액정패널(200)은 도시하지 않았다.
제6실시예에 따르면 패드영역의 면적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연성회로기판(400)의 개수도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제4실시예 및 제6실시예에서 설명한 양면 연성회로기판을 사용하는 구조는 실시예 1과 같이 터치스크린패널(100)과 액정패널(200)이 분리된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성회로기판(400)의 부착위치는 터치 스크린 패널(100)의 모서리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호선이 5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구조에서도 적용가능한데, 신호선이 5개인 경우 신호선은 2개와 3개로 나뉘어 연성회로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신호선이 5개 이상인 경우 3개 이상의 연성회로기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즈가 감소한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1)

  1. 제1절연기판, 상기 제1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저항막, 상기 제1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신호선 및 제2신호선을 포함하는 제1기판과;
    제1기판과 마주하며, 제2절연기판과, 상기 제2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저항막, 상기 제2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3신호선 및 제4신호선을 포함하는 제2기판과;
    상기 제1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패드, 상기 제2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2패드, 상기 제3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3패드 및 상기 제4신호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4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패드부와;
    상기 패드 중 어느 두 개와 연결되어 있는 제1연성회로기판과;
    상기 패드 중 다른 두 개와 연결되어 있는 제2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3패드와 상기 제3신호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4패드와 상기 제4신호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성회로기판과 상기 제2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기판의 서로 다른 모서리 영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1패드 및 상기 제2패드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3패드 및 상기 제4패드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후방에 위치하는 액정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기판은 유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절연기판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은,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제1액정패널기판과;
    상기 제1기판에 대향하며 외부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되어 있는 제2액정패널기판과;
    상기 양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외부 블랙매트릭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기판의 배면과 마주하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액정 패널기판과;
    상기 제1절연기판과 상기 액정패널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060131913A 2006-12-21 2006-12-21 표시 장치 KR101330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913A KR101330697B1 (ko) 2006-12-21 2006-12-21 표시 장치
JP2007177185A JP5732185B2 (ja) 2006-12-21 2007-07-05 表示装置
US11/936,253 US8223278B2 (en) 2006-12-21 2007-11-07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panel
CNA2007101988028A CN101206326A (zh) 2006-12-21 2007-12-07 具有触摸屏面板的显示装置
US13/474,923 US8488071B2 (en) 2006-12-21 2012-05-18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913A KR101330697B1 (ko) 2006-12-21 2006-12-21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953A KR20080057953A (ko) 2008-06-25
KR101330697B1 true KR101330697B1 (ko) 2013-11-18

Family

ID=3954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913A KR101330697B1 (ko) 2006-12-21 2006-12-2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223278B2 (ko)
JP (1) JP5732185B2 (ko)
KR (1) KR101330697B1 (ko)
CN (1) CN1012063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0501B2 (en) 2008-01-04 2017-08-01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US8243038B2 (en) 2009-07-03 2012-08-14 Tactus Technologies Method for adjusting the user interface of a device
US9280224B2 (en) 2012-09-24 2016-03-08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and methods
US9013417B2 (en) 2008-01-04 2015-04-21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US9552065B2 (en) 2008-01-04 2017-01-24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US9557915B2 (en) 2008-01-04 2017-01-31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US8928621B2 (en) 2008-01-04 2015-01-06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9423875B2 (en) 2008-01-04 2016-08-23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with exhibiting optical dispersion characteristics
US8947383B2 (en) 2008-01-04 2015-02-03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9588683B2 (en) 2008-01-04 2017-03-07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US9298261B2 (en) 2008-01-04 2016-03-29 Tactus Technology, Inc. Method for actuating a tactile interface layer
US8154527B2 (en) 2008-01-04 2012-04-10 Tactus Technology User interface system
US9128525B2 (en) 2008-01-04 2015-09-08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US20160187981A1 (en) 2008-01-04 2016-06-30 Tactus Technology, Inc. Manual fluid actuator
US9274612B2 (en) 2008-01-04 2016-03-01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US8456438B2 (en) 2008-01-04 2013-06-04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US8922510B2 (en) 2008-01-04 2014-12-30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US9367132B2 (en) 2008-01-04 2016-06-14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US9430074B2 (en) 2008-01-04 2016-08-30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US8547339B2 (en) 2008-01-04 2013-10-01 Tactus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s for raised touch screens
US9052790B2 (en) 2008-01-04 2015-06-09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and methods
US9063627B2 (en) 2008-01-04 2015-06-23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and methods
US9612659B2 (en) 2008-01-04 2017-04-04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US8928597B2 (en) 2008-07-11 2015-01-0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342176B2 (en) 2008-07-21 2016-05-1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588684B2 (en) 2009-01-05 2017-03-07 Tactus Technology, Inc. Tactile interface for a computing device
US9740341B1 (en) 2009-02-26 2017-08-22 Amazon Technologies, Inc. Capacitive sensing with interpolating force-sensitive resistor array
US10180746B1 (en) * 2009-02-26 2019-01-15 Amazon Technologies, Inc. Hardware enabled interpolating sensor and display
JP5436935B2 (ja) * 2009-05-28 2014-03-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584433B2 (ja) 2009-06-17 2014-09-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105260110A (zh) 2009-07-03 2016-01-20 泰克图斯科技公司 用户界面增强系统
US9785272B1 (en) 2009-07-31 2017-10-10 Amazon Technologies, Inc. Touch distinction
US9244562B1 (en) 2009-07-31 2016-01-26 Amazon Technologies, Inc. Gestures and touches on force-sensitive input devices
KR101058106B1 (ko) * 2009-08-06 2011-08-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US8810524B1 (en) 2009-11-20 2014-08-19 Amazon Technologies, Inc. Two-sided touch sensor
EP2517089A4 (en) 2009-12-21 2016-03-09 Tactus Technology USER INTERFACE SYSTEM
CN102725716B (zh) * 2009-12-21 2016-04-13 泰克图斯科技公司 用户界面系统
US9298262B2 (en) 2010-01-05 2016-03-29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WO2011133605A1 (en) 2010-04-19 2011-10-27 Tactus Technology Method of actuating a tactile interface layer
KR101756656B1 (ko) * 2010-06-25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 장치
US20120075823A1 (en) * 2010-09-28 201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647353B2 (ja) 2010-10-20 2014-12-24 タクタス テクノロジーTactus Technology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CN103403653A (zh) * 2011-02-23 2013-11-20 Nec卡西欧移动通信株式会社 电子设备
KR101908501B1 (ko) * 2011-12-07 2018-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869186B (zh) * 2012-04-26 2015-07-29 宸阳光电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柔性印刷线路板与触控屏连接结构
KR101925609B1 (ko) * 2012-06-15 2018-1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405417B2 (en) 2012-09-24 2016-08-02 Tactus Technology, Inc. Dynamic tactile interface and methods
CN103226427A (zh) * 2012-11-30 2013-07-31 深圳市骏达光电有限公司 一种电阻触摸屏用fpc、电阻触摸屏及电子设备
US9557813B2 (en) 2013-06-28 2017-01-31 Tactus Technology, Inc. Method for reducing perceived optical distortion
TWM511619U (zh) * 2015-08-28 2015-11-01 Nano Bit Tech Co Ltd 光學複合層結構
JP2018017986A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655712B1 (ko) * 2016-09-07 2024-04-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648209B (zh) * 2016-10-19 2019-10-2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触摸屏及其制作方法、触摸装置
CN106773386B (zh) * 2016-12-23 2020-09-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双面显示装置
CN106681042B (zh) * 2017-01-05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屏及其制造方法、触控显示装置
TWI622911B (zh) * 2017-02-14 2018-05-01 宏碁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
CN108459773A (zh) * 2018-04-10 2018-08-28 江苏聚泰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液晶触摸屏的显示装置
KR20200026369A (ko) * 2018-08-30 2020-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0597416B (zh) * 2019-09-17 2021-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板、触控显示面板和触控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2244A (ja) * 1997-05-13 1998-11-24 Seiko Epson Corp 入力装置付き液晶表示装置
JP2000020226A (ja) 1998-07-06 2000-01-21 Alps Electric Co Ltd 座標入力装置
JP2002182854A (ja) * 2000-12-18 2002-06-28 Hitachi Ltd タッチパネルおよび画面入力型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373B2 (ja) * 1992-03-12 2001-09-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5628031A (en) * 1993-07-19 1997-05-06 Elonex Ip Holdings Ltd. Personal digital assistant module implemented as a low-profile printed circuit assembly having a rigid substrate wherein IC devices are mounted within openings wholly between opposite plane surfaces of the rigid substrate
JPH1011204A (ja) * 1996-06-27 1998-01-16 Toshiba Corp タブレットを使用した座標入力装置
TW523627B (en) * 1998-07-14 2003-03-11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161528B2 (ja) * 1998-09-07 2001-04-25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KR100474750B1 (ko) * 2000-10-13 2005-03-10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터치 패널, 표시장치, 및 터치 패널의 제조방법
US7255451B2 (en) * 2002-09-20 2007-08-14 Donnelly Corporation Electro-optic mirror cell
US20020149571A1 (en) * 2001-04-13 2002-10-17 Roberts Jerry B. Method and apparatus for force-based touch input
CN100378551C (zh) * 2001-10-22 2008-04-02 三星电子株式会社 液晶显示器及其制造方法
US7253808B2 (en) * 2002-11-18 2007-08-07 Lg.Philips Lcd Co., Ltd. Touch screen syste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1571537A4 (en) 2002-12-10 2006-09-27 Nissha Printing TOUCH SCREEN TOUCH SCREEN
CN1316294C (zh) 2002-12-10 2007-05-16 统宝光电股份有限公司 结合触控面板的平面显示器
JP4016955B2 (ja) * 2003-05-02 2007-12-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101209489B1 (ko) * 2003-08-22 2012-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002307B1 (ko) * 2003-12-04 2010-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2006091059A (ja) * 2004-09-21 2006-04-0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US7439962B2 (en) * 2005-06-01 2008-10-21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pad with flexible substrate
US7582556B2 (en) * 2005-06-24 2009-09-01 Megica Corporation Circuitry component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TWI298989B (en) * 2005-12-01 2008-07-11 Au Optronics Corp Circuit board module and forming ethod thereof
KR101205535B1 (ko) * 2005-12-06 2012-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구동 장치,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광원 구동 방법
KR100770921B1 (ko) * 2006-04-25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2244A (ja) * 1997-05-13 1998-11-24 Seiko Epson Corp 入力装置付き液晶表示装置
JP2000020226A (ja) 1998-07-06 2000-01-21 Alps Electric Co Ltd 座標入力装置
JP2002182854A (ja) * 2000-12-18 2002-06-28 Hitachi Ltd タッチパネルおよび画面入力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953A (ko) 2008-06-25
CN101206326A (zh) 2008-06-25
US20120229717A1 (en) 2012-09-13
US8488071B2 (en) 2013-07-16
JP2008158487A (ja) 2008-07-10
US20080151171A1 (en) 2008-06-26
US8223278B2 (en) 2012-07-17
JP5732185B2 (ja)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697B1 (ko) 표시 장치
TWI686729B (zh) 包含觸控感測器之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JP5912015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内蔵型液晶表示装置
TWI390280B (zh) 觸控面板顯示器與觸控顯示裝置
JP5976195B2 (ja) 表示装置
US8866782B2 (en) Display device
JP6055225B2 (ja) 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
JP3025257B1 (ja) 表示パネル
TWI386711B (zh) 結合有觸摸面板的平面顯示裝置
US9436336B2 (en) In-cell touch display structure
KR100487436B1 (ko) 액정 표시 장치 일체형 터치 패널
WO2010058495A1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20160063540A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133222B2 (ja)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40082367A (ko) 터치 표시장치
JP2008134975A (ja)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21893A (ko) 팬아웃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4211825A (ja) 表示装置
KR20170102111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658149B1 (ko)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TW201510812A (zh) 內建觸控感測器之顯示裝置及端子連接構造
KR20080072395A (ko) 표시 장치
US20200026391A1 (en) Touch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768488B1 (ko) 표시 장치
JP3286587B2 (ja) 液晶パネルおよび発光型マトリクス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