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733B1 -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간 보호기능, 간질환 개선,항암,항균,이뇨,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 이유식대용,구충,해독 및 발효효과가 있는 건강 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간 보호기능, 간질환 개선,항암,항균,이뇨,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 이유식대용,구충,해독 및 발효효과가 있는 건강 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733B1
KR101324733B1 KR1020130027865A KR20130027865A KR101324733B1 KR 101324733 B1 KR101324733 B1 KR 101324733B1 KR 1020130027865 A KR1020130027865 A KR 1020130027865A KR 20130027865 A KR20130027865 A KR 20130027865A KR 101324733 B1 KR101324733 B1 KR 101324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traw
weight
parts
rice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홍익
윤홍순
Original Assignee
(주)가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교테크 filed Critical (주)가교테크
Priority to KR102013002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68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95Tabletting processes; Dosage units made by direct compression of powders or specially processed granules, by eliminating solvents, by melt-extrusion, by injection molding, by 3D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3Liquid-solid separation, e.g. centrifugation, sedimentation or crystalliz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주로 식용이 아닌 사료나 퇴비로 사용되고 있는 볏짚추출물을 이용하여 쌀겨 및 볏짚가루을 혼합한 후 환이나 가루형태로 만들어 섭취함으로써,간 보호기능, 간질환 개선,항암,항균,이뇨, 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이유식대용,구충, 해독 및 발효효과가 있는 건강 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준비한 유기농 볏짚을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정하는 세정단계;
b)세정한 유기농 볏짚을 3~4㎝로 자르는 절단단계;
c) 볏짚 100 중량부에 대해 물을 100~150 중량부로 첨가하는 첨가단계;
d)상기 첨가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추출기에 넣고 105℃로 2시간 가열한 후 공기를 빼고,다시 80℃에서 2시간 가열하는 가열단계;
e)상기 가열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공기를 뺀 다음 45℃로 냉각한 후 습열 원액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
f)상기 추출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25℃로 식히는 식힘 단계;
g)상기 식힘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원심분리기로 중금속 및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
h)상기 분리단계를 거친 볏짚추출물을 농축하여 농축고(膏)로 만드는 농축단계;
i)상기 농축단계를 거쳐 만든 농축고에 쌀겨,볏짚가루을 혼합하여 혼합물로 반죽하는 반죽단계;
j)상기 반죽단계에서 반죽한 조성물을 정환기에 넣어서 둥그런 모양의 환(丸)으로 만드는 제조단계와;
k)상기 제조단계를 거친 제조물을 드럼통도리에 넣어 윤환시키는 윤환단계;
l)상기 윤환단계를 거친 환을 건조기에서 40~60℃로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간 보호기능,간질환 개선,항암,항균,이뇨 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이유식대용,구충, 해독 및 발효효과가 있는 건강 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간 보호기능, 간질환 개선,항암,항균,이뇨,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 이유식대용,구충,해독 및 발효효과가 있는 건강 환 및 그 제조방법{Excellent environment and health in baby food substitutes, anthelmintic, detoxification and fermentation effects using rice straw extract liver protection, improve liver disease, anti-cancer, antibacterial, diuretic, milk products, digestive func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현재 식용이 아닌 사료나 퇴비로 사용되고 있는 볏짚추출액을 원심분류한 원액을 농축고(농축膏)로 만들어 쌀겨와 볏짚가루를 혼합하여 정환기에서 환(丸) 형태로 한 다음 드럼통 도리에서 윤환 후 완전 건조된 상태로 만들어 섭취함으로써 간 보호기능, 간질환 개선,항암,항균,이뇨,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 이유식대용,구충, 해독 및 발효효과가 있는 건강 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쌀은 세계 인구의 절반이 주식으로 사용하는 세계 3대 곡물 중 하나인 귀중한 식량자원이며,특히 아시아권에서는 다른 작물과 대치될 수 없는 국가 핵심 자원이다.
볏짚은 소의 사료로, 벼껍질인 왕겨는 퇴비용으로 이용되고 벼의 껍질인 왕겨를 벗기고 도정하지 않은 상태의 쌀을 현미라고 하는데,현미를 도정한 쌀겨와 쌀눈을 벗겨낸 것을 쌀겨, 벗겨낸 속은 쌀 즉 백미라고 한다.
볏짚은 자연물,공기,물, 흙 등과 접촉하면서 흙의 영양을 흡수하여 자연환경을 견디며 생존하여 다수의 성분이 함유된 상태로 되어있다.그러므로 이물질이 묻지 않은 깨끗한 볏짚을 선별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볏짚은 유효성분인 유기게르마늄,규산질,식이섬유,각종미네랄과 각종 아미노산이 풍부하다.
볏짚에 서식하는 고초균은 바실러스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is)로 바실루스속에 속하는 대표적인 세균의 일종이다.
농약을 치지 않은 유기농 볏짚이라면 물에 달여 약으로도 먹을 수 있다는 것은 우리조상 때부터 전해 내려오던 민간요법이다.이는 볏짚의 이뇨작용과 항균작용, 해독작용때문으로 흔히 우리가 즐겨먹고 있는 음식을 통해서도 경험할 수 있는 볏짚의 효능이다.해독작용을 해서 간기능 예방 및 간 질환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또한 구충기능이 뛰어나고 원적외선효과, 심신안정효과, 수질정화 등의 기능도 가진다.
최근에는 음식의 잡 냄새를 없애고 음식의 숙성과 천연 볏짚 향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발효재(효모)로 사용한다.
완전히 성숙한 볏짚의 화학적인 성분을 보면 셀룰로오스가 약 36 %, 리그닌 20 %, 펜토산 22 %, 조단백질 6 %, 회분(灰分)이 13 % 정도이며, 다른 농작물의 짚에도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볏짚은 벼의 품종과 작황에 따라서 그 생산량이 다르나 한국에서는 보통 10a 당 500kg 정도가 생산되며, 키가 작은 통일벼 품종에서는 400kg 내외, 키가 큰 일반벼 품종에서는 600kg 정도가 생산된다.
본 발명인은 65~70 년 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여름에 푸른풀을 먹은 소는 소의 위장에는 다량의 벌레가 들어있고, 겨울에 볏짚을 먹은 소는 위장이 깨끗한 것을 확인하였다.상기 내용으로 보아 볏짚에는 구충작용 및 항균작용을 하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볏짚은 식용이 아닌 사료나 퇴비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알려진 바 없으며 특히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볏짚 추출물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본 발명은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간 보호기능, 간질환 개선, 항암, 항균, 이뇨, 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 이유식대용, 구충, 해독 및 발효효과가 있는 건강 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a)준비한 유기농 볏짚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정하는 세정단계;
b)세정한 유기농 볏짚을 3~4㎝로 자르는 절단단계;
c)볏짚 100 중량부에 대해 물을 100~150 중량부로 첨가하는 첨가단계;
d)상기 첨가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추출기에 넣고 105℃로 2시간 가열한 후 공기를 빼고,다시 80℃에서 2시간 가열하는 가열단계;
e)상기 가열단계를 거친 혼합물의 공기를 뺀 다음 45℃로 냉각한 후 습열 원액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
f)상기 추출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25℃로 식히는 식힘 단계;
g)상기 식힘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원심분리기로 중금속 및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
h)상기 분리단계를 거친 볏짚추출물을 농축하여 농축고(膏)로 만드는 농축단계;
i)상기 농축단계를 거친 농축고에 쌀겨,볏짚가루을 혼합하여 혼합물로 반죽하는 반죽단계;
j)상기 반죽단계에서 반죽한 조성물을 정환기에 넣어서 둥그런 모양의 환(丸)으로 만드는 환 제조단계와;
k)상기 제조단계를 거친 제조물을 드럼통 도리에 넣어 윤환시키는 윤환단계;
l)상기 윤환단계를 거친 환을 건조기에서 40~60℃로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간 보호기능, 간질환 개선, 항암, 항균, 이뇨 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 이유식대용, 구충, 해독 및 발효효과가 있는 건강 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볏짚을 이용해서 만든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환은 간 보호 기능,간질환 개선 효과, 항암, 항균, 이뇨, 구충, 해독작용 및 발효효과가 있으며, 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 이유식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성인병 예방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간 보호기능,간질환개선,항암,항균,이뇨,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 이유식대용,구충,해독 및 발효효과가 있는 건강 환
제조방법의 단계별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볏짚추출액. 쌀겨, 볏짚가루 등을 이용하며 간 보호기능, 간질환 개선, 항암, 항균, 이뇨, 구충, 발효효과가 있으며 우유제품 소화기능이 우수해 이유식으로 이용할 수 있고 성인병예방기능이 있는 건강 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a)준비한 유기농 볏짚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정하는 세정단계;
상기에서 준비한 볏짚은 겉껍질을 제거하고 손질한 볏짚을 사용한다.
b)상기 세정단계를 거친 유기농 볏짚을 3~4㎝로 자르는 절단단계;
상기 절단 단계를 거침으로서 가열이 용이하면서,상 하부가 골고루 가열되게 하기 위함이고 볏짚 내부로 물이 투습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c)상기 절단단계를 거친 볏짚 100 중량부에 대해 물을 100~150 중량부로 첨가하는 첨가단계;
상기 단계에서 충분한 시간과 물의 양을 갖고서 가열해야만 볏짚 속에 있는 유효한 성분이 용출된다.
d)상기 첨가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추출기에 넣고 105℃로 2 시간 가열 후 공기를 빼고,다시 80℃에서 2시간 가열하는 가열단계;
e)상기 가열단계를 거친 혼합물의 공기를 뺀 다음 45℃로 냉각하여 습열원액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과정을 거쳐야 우리 몸에 좋은 유기,무기 및 기타 미네랄 성분 등이 다량으로 녹아나온다.
f)상기 추출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25℃로 식히는 식힘 단계;
g) 상기 식힘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원심분리기로 중금속 및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
상기 단계에서 중금속,불순물 등을 걸러서 버리고 볏짚 추출물액을 얻는다.
h) 상기 분리단계를 거친 볏짚추출액을 농축하여 농축고(膏)로 만드는 농축단계;
i) 상기 농축단계를 거친 농축고(膏)에 볏짚가루 및 쌀겨를 혼합하여 혼합물로 반죽하는 반죽단계 ;
상기 i)단계에서 상기 볏짚추출물을 농축해서 얻은 농축고(膏) 100 중량부에 대해 쌀겨 100~120중량부, 볏짚가루 100~120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서 제조한다.
상기 쌀겨는 현미에서 정백미로 도정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과피, 종피, 호분층 등의 혼합물이다. 쌀겨에는 비타민 A, B1, B6, 철분, 인,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고 화학조성을 보면 수분 13.5%, 지방 18.3%, 당질 38.3%, 섬유 7.8%, 회분 8.9%이고 비타민 B1은 100g중 2.5㎎이 들어 있고 비타민 E도 많다.
상기 i)단계에 상기 볏짚추출물을 농축해서 얻은 농축고(膏) 100 중량부에 대해 쌀겨 100~120중량부 및 볏짚가루 100~120 중량부로 혼합한 혼합물에 돼지감자가루 10~20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서 제조한다.
상기 돼지감자는 천연인슐린이라 불리는데 소화가 잘 되지 않아 흡수율이 낮기 때문에 많은 양을 섭취해도 혈당이 높아지지 않아 당뇨병 환자에게 유익하다. 또한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장내 유산균을 증식시키는 효능도 있어 변비를 개선한다,
j)상기 반죽단계에서 반죽한 조성물을 정환기에 넣어서 둥그런 모양의 환으로 만드는 제조단계와;
k)상기 제조단계를 거친 제조물을 드럼통도리에서 윤환시키는 윤환단계;
l)상기 윤환단계를 거친 환을 건조기에서 40~60℃로 완전건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제조한 제조물을 건조기에서 완전 건조하는 이유는 햇빛에 의해 건조할 때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햇빛에서 말리는 것보다 약효를 증대시키면서 혼합물에 남아 있는 독성을 약화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과정을 거치면서 가열시 약의 효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고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다.
상기 제조과정을 거쳐 제조한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환을 물 100 중량부에 대해 건강환 1 중량부로 녹여서 섭취하면 각종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하고 기호도가 향상된 차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사실이다.즉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
a)이물질을 제거하고,세척한 볏짚을 4㎝로 자른다
b)볏짚 100 중량부에 대해 물을 150 중량부로 첨가한다.
c)상기 혼합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추출기에 넣고 105℃로 2시간 가열한 후 공기를 빼고 80℃에서 다시 2시간 동안 공기를 빼고 45℃로 냉각한 후 습열 원액을 추출한다.
d)상기 추출단계를 거친 추출액을 25℃로 식힌다.
e)상기 식힘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중금속 및 불순물을 분리한다.
f)상기 분리단계를 거친 추출물을 농축고로 만들어 농축고 100중량부에 대해 쌀겨 100중량부, 볏짚가루 100 중량부로 혼합하여 혼합물로 반죽한다.
g)상기 반죽단계에서 반죽한 조성물을 정환기에 넣어서 둥그런 모양의 환으로 제조한다.
h)상기 제조단계를 거친 제조물을 드럼통도리에 넣어 윤환시켜 건조기에서 40~60℃로 건조하여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환을 제조한다.
<실시예 2>
a)이물질을 제거하고,세척한 볏짚을 4㎝로 자른다
b)볏짚 100 중량부에 대해 물을 150 중량부로 첨가한다.
c)상기 혼합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추출기에 넣고 105℃로 2시간 가열한 후 공기를 빼고 80℃에서 다시 2시간 동안 공기를 빼고 45℃로 냉각한 후 습열 원액을 추출한다.
d)상기 추출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25℃로 식힌다.
e)상기 식힘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중금속 및 불순물을 분리한다.
f)상기 분리단계를 거친 추출액을 농축해서 얻은 농축고 100중량부에 대해 쌀겨 100중량부, 볏짚가루 100 중량부 및 돼지감자가루 15 중량부로 혼합하여 혼합물로 반죽한다.
g)상기 반죽단계에서 반죽한 조성물을 정환기에 넣어서 둥그런 모양의 환으로 제조한다.
h)상기 제조단계를 거친 제조물을 드럼통도리에 넣어 윤환시켜 건조기에서 40~60℃로 건조하여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환을 제조한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의 볏짚 추출물을 이용해 만든 건강환을 사용해 간 보호기능 및 간질환 개선 효과 실험을 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제조한 간 보호기능, 간질환 개선효과가 있는 건강 환을 간 기능 이상이 있는 40~50세의 간질환 남성환자 30명에게 농도가 1%인 건강환을 50㎖씩 하루에 3회, 50일간 복용시킨 후 섭취 전후의 간 기능관련 지수인 GPT(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OT(glutamic oxaloacetate transaminase),γ-GTP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GPT, GOT, γ-GTP의 정상범위는 각각 5~25, 5~35 및 0~60이다.
<결과>
실시예 1 결과
평균값 섭취전 25일후 50일후
GPT(IU/L) 120 62 25
GOT(IU/L) 75 50 35
γ-GTP(IU/L) 85 62 42
실시예 2 결과
평균값 섭취전 25일후 50일후
GPT(IU/L) 122 59 23
GOT(IU/L) 72 49 33
γ-GTP(IU/L) 80 60 40
상기 표에서와 50일간 복용 후 에는 간 질환 환자의 간기능관련 지수를 현저히 저하 시킴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인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환은 간 보호기능 및 간질환 개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의 볏짚 추출물을 이용하여 우유소화불량이 있는 어린아이(만 2세~3세) 30명을 표본으로 하여 20일 동안 하루에 한번 중식에 취식하게(물에 녹여 농도가 1%인 건강환 20㎖를 우유180㎖에 혼합한 후) 한 다음 소화불량개선정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시음기간 5일 15일 20일
소화불량개선정도 2 4 5
소화불량개선정도;{매우양호:5,양호:4,보통:3,나쁨:2,매우나쁨:1}
상기 결과와 같이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환은 우유소화불량이 있는 유아에게 소화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래 표는 볏짚 추출수의 성분을 나타낸 표이다.<볏짚 추출수 성분분석표>
분석항목 분석결과
질소 0.02%
인산(P2O5) 50.09ppm
산화칼륨(K2O) 312.45ppm
구리(Cu) 0.13ppm
아연(Zn) 0.23ppm
산화망간(MnO) 1.12ppm
산화칼슘(caO) 7.47ppm
산화철(Fe2O3) 0.32ppm
몰리브덴(Mo) 1.53ppm
말토스 0.02%
글루코스 0.02%
락트산 144.34ppm
상기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일반적인 물과 비교하여, 여러 유기, 무기 및 미네랄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음을 분석을 통해서 알 수 있다.

Claims (4)

  1. a) 준비한 유기농 볏짚을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정하는 세정단계;
    b) 상기 단계에서 세정한 유기농 볏짚을 3~4㎝로 자르는 절단단계;
    c) 상기 절단단계를 볏짚 100중량 부에 대해 물을 100~150 중량부로 첨가하는 첨가단계;
    d)상기 첨가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추출기에 넣고 105℃로 2시간 가열한 후 공기를 빼고,다시 80℃에서 2시간 가열하는 가열단계;
    e)상기 가열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공기를 뺀 다음 45℃로 냉각한 후 습열 원액을 추출하는 추출단계 ;
    f)상기 추출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25℃로 식히는 식힘 단계;
    g)상기 식힘 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원심분리기로 중금속 및 불순물을 분리하는 분리단계;
    h)상기 분리단계를 거친 볏짚추출물을 농축하여 농축고(膏)로 만드는 농축단계;
    i)상기 농축단계를 거친 농축고에 쌀겨, 볏짚가루을 혼합하여 혼합물로 반죽하는 반죽단계;
    j)상기 반죽단계에서 반죽한 조성물을 정환기에 넣어서 둥그런 모양의 환(丸)으로 만드는 제조단계와;
    k) 상기 제조단계를 거친 제조물을 드럼통도리에 넣어 윤환시키는 윤환단계;
    l)상기 윤환단계를 거친 환을 건조기에서 40~60℃로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볏짚추출물을 농축해서 만든 농축고 100 중량부에 대해 쌀겨 100~120 중량부, 볏짚가루을 100~120 중량부로 혼합하여 반죽하는 반죽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볏짚추출물을 농축해서 만든 농축고 100 중량부에 대해 쌀겨 100~120 중량부, 볏짚가루을 100~120 중량부로 및 돼지감자가루 10~20 중량부로 혼합하여 반죽하는 반죽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서 제조된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 환.
KR1020130027865A 2013-03-15 2013-03-15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간 보호기능, 간질환 개선,항암,항균,이뇨,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 이유식대용,구충,해독 및 발효효과가 있는 건강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1324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865A KR101324733B1 (ko) 2013-03-15 2013-03-15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간 보호기능, 간질환 개선,항암,항균,이뇨,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 이유식대용,구충,해독 및 발효효과가 있는 건강 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865A KR101324733B1 (ko) 2013-03-15 2013-03-15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간 보호기능, 간질환 개선,항암,항균,이뇨,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 이유식대용,구충,해독 및 발효효과가 있는 건강 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733B1 true KR101324733B1 (ko) 2013-11-05

Family

ID=4985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865A KR101324733B1 (ko) 2013-03-15 2013-03-15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간 보호기능, 간질환 개선,항암,항균,이뇨,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 이유식대용,구충,해독 및 발효효과가 있는 건강 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73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954B1 (ko) 2015-06-30 2016-04-12 나진걸 변비 및 피로회복 개선 기능을 가지는 발효광물 생식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발효광물 생식 환
KR20190020927A (ko) 2017-08-22 2019-03-05 삼송유한회사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제조방법
KR102316029B1 (ko) 2021-01-06 2021-10-25 김정건 점도가 낮은 결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
KR102432455B1 (ko) 2021-04-26 2022-08-16 김정건 발효 찹쌀 결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환의 제조방법
KR20220146979A (ko) 2021-04-26 2022-11-02 김정건 비염환을 개선시키는데 효능이 있는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9327A (ja) * 1999-09-20 2001-04-03 Chiyoujiyo Omi 育毛剤及び化粧品素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050017616A (ko) * 2003-08-01 2005-02-22 정구일 한방 재료를 혼합한 환 형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건강식품
KR100711224B1 (ko) * 2006-02-17 2007-04-24 박정호 한약재가 함유된 청국장환의 제조방법
KR20110056156A (ko) * 2009-11-20 2011-05-26 (주)믹스앤매치 볏짚 및 들깨꼬투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9327A (ja) * 1999-09-20 2001-04-03 Chiyoujiyo Omi 育毛剤及び化粧品素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050017616A (ko) * 2003-08-01 2005-02-22 정구일 한방 재료를 혼합한 환 형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건강식품
KR100711224B1 (ko) * 2006-02-17 2007-04-24 박정호 한약재가 함유된 청국장환의 제조방법
KR20110056156A (ko) * 2009-11-20 2011-05-26 (주)믹스앤매치 볏짚 및 들깨꼬투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954B1 (ko) 2015-06-30 2016-04-12 나진걸 변비 및 피로회복 개선 기능을 가지는 발효광물 생식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발효광물 생식 환
WO2017003206A1 (ko) * 2015-06-30 2017-01-05 나진걸 변비 및 피로회복 개선 기능을 가지는 발효광물 생식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발효광물 생식 환
US10294495B2 (en) 2015-06-30 2019-05-21 Chin Keol NA Fermented mineral raw-edible pill with constipation reduction and fatigue recov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90020927A (ko) 2017-08-22 2019-03-05 삼송유한회사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제조방법
KR102316029B1 (ko) 2021-01-06 2021-10-25 김정건 점도가 낮은 결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
KR102432455B1 (ko) 2021-04-26 2022-08-16 김정건 발효 찹쌀 결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환의 제조방법
KR20220146979A (ko) 2021-04-26 2022-11-02 김정건 비염환을 개선시키는데 효능이 있는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733B1 (ko) 볏짚 추출물을 이용한 간 보호기능, 간질환 개선,항암,항균,이뇨,우유제품소화기능이 우수하며 이유식대용,구충,해독 및 발효효과가 있는 건강 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6307A (ko) 천연 산야초 발효 흑마늘,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포함하는 건강식품
KR101273381B1 (ko) 산야초와 곤약을 이용한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86792A (ko) 성장 촉진 및 눈 건강 개선 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약 제제
CN104543138A (zh) 一种化积消暑茶及其制作方法
KR100871669B1 (ko) 함초 발효 진액 제조방법
KR100500438B1 (ko) 차환 제조 방법
KR102509108B1 (ko) 느타리버섯 균사체 추출물로 사육한 굼벵이와 차전자피 추출물을 활용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107424B1 (ko) 발효 호박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690416B1 (ko) 천마, 미강, 치아씨, 녹차분말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CN107981280A (zh) 一种腌制的韭菜根的制作方法
JP3858054B2 (ja) オリーブまんでがん利用法および抗ピロリ菌活性を有する食品
US20080286413A1 (en) Making Process of Extract Containing Ingredients of a Radish and a Pumpkin, and Making Process of Granules and Pills by Using the Extract
CN104171916B (zh) 一种含虾蛄头、虾蛄壳的保健挂面及其制作方法
KR102085436B1 (ko) 생누에를 이용한 식품원료의 가공방법
KR101289871B1 (ko) 꾸지뽕과 유기산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청국장 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721199A (zh) 一种肉牛用饲料
KR101171390B1 (ko) 허브가 함유되어 있는 젤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젤리
CN110338265A (zh) 一种仔猪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1418338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환의 제조 방법
KR20190096699A (ko)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7490A (ko) 누에 추출액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30007B1 (ko) 기능성 발효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7589B1 (ko) 유기 게르마늄 마늘을 이용한 흑마늘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1966517B1 (ko) 생강법제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누에를 식품원료로 가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