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418B1 - 다기능 의자 - Google Patents

다기능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418B1
KR101324418B1 KR1020110113961A KR20110113961A KR101324418B1 KR 101324418 B1 KR101324418 B1 KR 101324418B1 KR 1020110113961 A KR1020110113961 A KR 1020110113961A KR 20110113961 A KR20110113961 A KR 20110113961A KR 101324418 B1 KR101324418 B1 KR 101324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auxiliary
rotatably coupled
armres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8507A (ko
Inventor
김한주
Original Assignee
김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주 filed Critical 김한주
Priority to CN201180040341.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068280B/zh
Priority to PCT/KR2011/008371 priority patent/WO2012060658A2/ko
Priority to JP2013510037A priority patent/JP5570658B2/ja
Priority to EP11838263.9A priority patent/EP2636341B1/en
Priority to US13/882,756 priority patent/US8864220B2/en
Publication of KR20120048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4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e backrest-seat unit or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시트프레임과, 복수개의 다리와, 등받이와, 팔걸이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다리는 시트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서 시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등받이는 시트프레임의 후방에서 시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팔걸이는 다리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팔걸이는 이동부재와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동부재는 팔걸이의 내부에 유지되어 팔걸이를 따라 이동하고 등받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탄성부재는 팔걸이의 내부에서 이동부재의 이동에 대항하여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의자{MULTI-FUNCTIONAL 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상체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변형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시트와, 등받이와, 등받이와 시트를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더라도 사용자가 피로감을 덜 느끼게 하고 안정적으로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갖춘 의자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었다.
다기능 의자의 일 예로서, 하기의 특허문헌은 소정의 각도로 뒤로 눕혀지도록 구성된 등받이를 구비하는 의자를 개시한다.
하지만, 종래의 다기능 의자는 등받이가 뒤로 눕혀지는 기능만을 제공한다. 종래의 다기능 의자는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눕거나 일어서는 등 사용자의 자세의 변화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
KR 20-0355128 Y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변형가능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시트프레임과, 복수개의 다리와, 등받이와, 팔걸이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다리는 시트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서 시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등받이는 시트프레임의 후방에서 시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팔걸이는 다리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팔걸이는 이동부재와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동부재는 팔걸이의 내부에 유지되어 팔걸이를 따라 이동하고 등받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탄성부재는 팔걸이의 내부에서 이동부재의 이동에 대항하여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동부재는 이동부재에 형성된 제1 가이드슬롯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다리는 팔걸이 및 시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앞다리와, 팔걸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뒷다리와, 상단이 제1 가이드슬롯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앞다리와, 전단이 앞다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뒷다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뒷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다리는, 보조앞다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시트프레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부재와, 보조뒷다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뒷다리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의자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제2 탄성부재에 의해 팔걸이에 탄력적으로 연결되어, 시트프레임을 복수개의 다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시트프레임 구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시트프레임은 상측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제2 가이드슬롯을 더 포함한다. 시트프레임 구동장치는 일단이 시트프레임 구동장치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샤프트와, 일단이 제1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는 링크부재와, 일단이 링크부재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한다.
시트프레임 구동장치는, 제2 나사와, 제2 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제1 너트를 포함한다. 제2 탄성부재의 타단이 제1 너트에 연결된다.
시트프레임은 지지핀과, 지지핀에 의해 앞다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시트프레임과, 지지핀에 의해 앞다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핀을 중심으로 제1 시트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제2 시트프레임을 포함한다.
이동부재는 제1 나사와, 제1 나사에 나사결합되고 제1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제1 나사의 회전에 의해 나사이동하는 로드를 포함한다.
보조앞다리는 보조앞다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시트와, 보조시트를 승강하기 위한 승강장치를 포함한다.
승강장치는 나사축과, 보조시트의 양측에 배치되고 나사축에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축을 따라 나사이동되는 제2 너트와, 보조앞다리의 하측에서 나사축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구동축과, 나사축과 구동축 사이에 배치되어 맞물리는 웜휠과 웜기어를 포함한다.
승강장치는 랫칫기구에 의해 구동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보조앞다리는 일단이 보조앞다리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손잡이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손잡이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별도의 조작 없이 사용자의 상체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뒤로 눕혀지거나 원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보조앞다리만을 회전시켜 사용자의 종아리 또는 다리를 지지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의자는 일어서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환자 또는 장애인과 같은 사용자가 일어서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더욱이, 보조앞다리가 승강장치를 구비하여 보조시트를 승강시키므로, 사용자(예컨대, 다리가 불편한 환자 등)도 바닥으로부터 시트프레임으로 용이하게 올라 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팔걸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팔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시트프레임 구동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팔걸이와 시트프레임 구동장치를 보인 부분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의자의 제1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의자의 제2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의자의 제3 상태를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보조앞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1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3가지의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상태(도 1 및 도 8 참조)에서 의자의 등받이가 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하게 위치하고, 제2 상태(도 9 참조)에서 의자의 등받이가 제1 상태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위치하고, 제3 상태(도 10 참조)에서 의자의 등받이가 제1 상태로부터 상방 및 전방으로 이동하여 위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100)는 시트프레임(10)과, 다리(20)와, 등받이(30)와, 팔걸이(40)와,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10)은 제1 시트프레임(11)과 제2 시트프레임(15)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시트프레임(11, 15)은 상방에서 바라볼 때 역U자형을 가질 수 있다. 제2 시트프레임(15)은 제1 시트프레임(11)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2 시트프레임(15)과 제1 시트프레임(11)은 제1 지지핀(21a)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다. 제2 시트프레임(15)에는 사용자를 지지하기 위해 쿠션부재(15a)(또는 천부재)가 장착된다. 시트프레임(10)은 중공의 관형부재 또는 중실의 봉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형부재 또는 봉부재는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시트프레임(1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트프레임(10)이 제2 시트프레임(15)이 없이 구성되는 경우에, 쿠션부재(15a)는 제1 시트프레임(11)에 장착될 수도 있다.
다리(20)는 앞다리(21)와, 뒷다리(22)와, 보조앞다리(23)와, 보조뒷다리(24)를 포함한다. 앞다리(21), 뒷다리(22), 및 보조앞다리(23)는 U자형을 가질 수 있다. 다리(20)는 중공의 관형부재 또는 중실의 봉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형부재 또는 봉부재는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리(2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의자(100)의 이동을 위해, 다리(20)의 하측에 캐스터 또는 바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앞다리(21)는 시트프레임(10) 및 팔걸이(40)를 지지한다. 앞다리(21)의 양측 상단은 팔걸이(40)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앞다리(21)의 상측에는 제1 지지핀(21a)에 의해 제1 및 제2 시트프레임(11, 15)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뒷다리(22)는 팔걸이(40)를 지지한다. 뒷다리(22)의 양측 상단은 팔걸이(40)의 대략 중간 지점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뒷다리(22)는 제2 슬라이드부재(22a)에 의해 보조뒷다리(24)와 연결된다. 제2 슬라이드부재(22a)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슬라이드부재(22a)는 뒷다리(22)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슬라이드부재(22a)는 보조뒷다리(24)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조뒷다리(24)에 결합된다. 따라서, 뒷다리(22)의 하측은 보조뒷다리(24)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보조뒷다리(24)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슬라이드부재(22a)가 보조뒷다리(24)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슬라이드부재(22a)가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보조뒷다리(24)는 상기 돌기에 맞물리는 복수개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보조앞다리(23)는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서 사용자의 다리 또는 종아리를 지지한다. 제2 상태에서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기 위해, 보조앞다리(23)에는 쿠션부재(23a)(또는 천부재)가 장착된다. 보조앞다리(23)는 제1 슬라이드부재(23b)에 의해 제1 시트프레임(11)과 연결된다. 제1 슬라이드부재(23b)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슬라이드부재(23b)는 보조앞다리(23)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슬라이드부재(23b)는 제1 시트프레임(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1 시트프레임(11)의 전방에 결합된다. 따라서, 보조앞다리(23)의 상측은 제1 시트프레임(11)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제1 시트프레임(1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슬라이드부재(23b)가 제1 시트프레임(11)의 전방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슬라이드부재(23b)가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제1 시트프레임(11)은 상기 돌기에 맞물리는 복수개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보조뒷다리(24)의 양측 전단은 앞다리(21)의 대략 중간 지점에서 제2 지지핀(24a)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보조뒷다리(24)는 앞다리(21)에 대해 제2 지지핀(24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뒷다리(24)는 제2 슬라이드부재(22a)에 의해 뒷다리(22)와 연결된다.
등받이(30)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한다. 등받이(30)는 역U자형을 가질 수 있다. 등받이(30)의 양측 하단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30)는 대략 중간 지점에서 회전축(45b)을 통해 팔걸이(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등받이(30)의 하측은 후술할 제1 샤프트(55)에 의해 제1 시트프레임(11)과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등받이(30)는 중공의 관형부재 또는 중실의 봉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형부재 또는 봉부재는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등받이(3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팔걸이(40)는 팔걸이 본체(41)와, 이동부재(42)와, 제1 탄성부재(43)를 포함한다.
팔걸이 본체(41)는 리세스(41a)와, 제1 레일홈(41b)과, 제2 레일홈(41c)을 포함한다. 리세스(41a)는 팔걸이 본체(41)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다. 제1 레일홈(41b)은 제1 레일홈(41b)에 수용되는 이동부재(42)를 가이드한다. 제2 레일홈(41c)에는 앞다리(21) 및 뒷다리(22)의 상단이 힌지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레일홈(41b, 41c)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제1 레일홈(41b)은 C자형 단면을 가지고, 제2 레일홈(41c)은 역U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동부재(42)는 제1 레일홈(41b)에 수용되어 제1 레일홈(41b)을 따라 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2)는 제1 나사(42a)와 로드(42b)를 구비한다. 제1 나사(42a)의 일부는 이동부재(42)의 후단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나머지 일부는 이동부재의 내측에 수용된다. 제1 나사(42a)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로드(42b)는 이동부재(42)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로드(42b)의 일측에는 제1 나사(42a)가 수용되어 나사결합되고 타단은 제1 탄성부재(43)에 연결된다. 제1 나사(42a)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로드(42b)는 이동부재(42)의 내측에서 이동한다.
제1 탄성부재(43)는 팔걸이 본체(41)와 이동부재(42) 사이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 탄성부재(43)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43)의 일단은 제1 레일홈(41b)(팔걸이 본체(41))에 연결되고, 타단은 로드(42b)의 타단에 연결된다. 제1 나사(42a)의 회전에 의해 로드(42b)가 이동부재(42)의 내측에서 나사이동하면, 제1 레일홈(41b)의 전단과 로드(42b)의 전단 사이의 거리는 조절되고, 제1 탄성부재(43)의 길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제1 탄성부재(43)가 팔걸이 본체(41)와 이동부재(42) 사이에 제공하는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의자(100)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전환될 때 등받이(30)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조절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2)는 전방 하측에 형성된 제1 가이드슬롯(44)을 구비한다. 또한, 보조앞다리(23)의 상단은 제1 가이드슬롯(44)을 통해 이동부재(42)에 연결된다. 보조앞다리(23)의 상단은 이동부재(42)와 함께 팔걸이 본체(4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보조앞다리(23)의 상단은 제1 가이드슬롯(44)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이동부재(42)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제1 가이드슬롯(44)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면, 보조앞다리(23)의 이동거리가 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상태에서 보조앞다리(23)만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40)는 제1 스토퍼(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45)는 이동부재(42)를 팔걸이 본체(41)에 대해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한다. 이동부재(42)와 팔걸이 본체(41)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제한되면, 등받이(30)가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제1 스토퍼(45)는 레버(45a)와, 회전축(45b)과, 캠요소(45c)를 포함한다. 레버(45a)는 회전축(45b)의 일단과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5b)은 이동부재(42)의 전방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브라켓(45d)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45b)에는 캠요소(45c)가 결합된다. 캠요소(45c)는 레버(45a)의 회전에 의해 제1 레일홈(41b)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캠요소(45c)와 제1 레일홈(41b) 사이의 접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1 레일홈(41b)의 하측에는 팔걸이 본체(4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축(45b)의 타단은 등받이(3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등받이(30)의 대략 중간 지점은 이동부재(42)와 함께 팔걸이 본체(4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스토퍼는 등받이(30)와 시트프레임(10)의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는 시트프레임(10)을 복수개의 다리(20)에 대해 회전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의 전방이 뒷다리(22)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는 제2 탄성부재(50a)에 의해 팔걸이(4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탄성부재(50a)의 상단은 팔걸이 본체(41)의 하측에 연결되고, 하단은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에 연결된다. 제1 상태에서, 제2 탄성부재(50a)는 인장되어 있으며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있다. 의자(100)가 제1 상태로부터 제3 상태로 전환될 때,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는 제1 시트프레임(11)이 뒷다리(22)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는, 제2 시트프레임(15)이 제1 시트프레임(11)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회전하는 것을 돕는다.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는 바디(51)와, 제2 나사(52)와, 제1 너트(53)와, 제2 스토퍼(54)를 포함한다.
바디(51)의 상측에는 제1 너트(53)와 제2 탄성부재(50a)의 연결을 위한 슬롯(51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나사(52)는 바디(51)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삽입된다. 제2 나사(52)는 바디(51)에 대해 나사이동 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1 너트(53)는 제2 탄성부재(50a)의 하단과 연결되고 제2 나사(52)와 나사결합된다. 제2 나사(52)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너트(53)는 슬롯(51a)을 따라 이동한다. 제1 너트(53)의 이동에 의해 제2 탄성부재(50a)의 길이가 변한다. 따라서, 제2 탄성부재(50a)의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제2 스토퍼(54)는 바디(51)의 전단에 제공된다. 제2 스토퍼(54)는 뒷다리(22)의 상측에 형성된 제2 브라켓(22b)과 연결된다. 제2 브라켓(22b)은 원호 형상의 제3 가이드슬롯(22c)을 구비한다. 제2 스토퍼(54)는 제3 가이드슬롯(22c)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스토퍼는 제3 지지핀(22d)의 위치에 설치되는 랫칫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샤프트(55)의 일단은 바디(51)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링크부재(56)의 일단에 결합된다. 제1 샤프트(55)는 제1 시트프레임(11)에 연결된다. 제1 샤프트(55)는 제1 시트프레임(11)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제1 샤프트(55)는 등받이(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링크부재(56)의 타단에는 제2 샤프트(56a)가 결합된다. 제2 시트프레임(15)은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와의 연결을 위한 제3 브라켓(15b)을 구비한다. 제3 브라켓(15b)은 제2 시트프레임(15)의 상측에 위치한다. 제3 브라켓(15b)은 원호 형상의 제2 가이드슬롯(15c)을 구비한다. 제2 샤프트(56a)는 제3 브라켓(15b)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제2 가이드슬롯(15c)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제1 시트프레임(11)이 앞다리(21)에 대해 회전하면서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가 뒷다리(22)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제1 샤프트(55) 및 링크부재(56)는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와 함께 회전한다. 그 결과, 제2 샤프트(56a)는 제2 가이드슬롯(15c)을 따라 이동하여 제2 시트프레임(15)을 제1 시트프레임(11)보다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킨다. 다른 실시예로서, 의자가 제2 시트프레임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 제1 샤프트는 제1 시트프레임에만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100)의 작동에 대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보통 도 8에 도시된 제1 상태에서 의자(100)를 사용한다. 제1 상태에서, 사용자는 보조앞다리(23)만을 제1 시트프레임(11)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보조앞다리(2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조앞다리(23)의 상단은 제1 가이드슬롯(44)(도 2 및 도 3 참조)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1 시트프레임(11)과 보조앞다리(23)의 사이에 연결된 제1 슬라이드부재(23b)는 제1 시트프레임(1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보조앞다리(23)를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조앞다리(23)의 상단은 제1 가이드슬롯(4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1 슬라이드부재(23b)는 제1 시트프레임(1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상체를 뒤로 눕힘에 따라, 의자(100)가 제1 상태로부터 도 9에 도시된 제2 상태로 전환된다. 사용자가 상체를 뒤로 눕히면, 등받이(30)가 사용자의 상체 무게중심의 이동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동부재(42)는 등받이(30)의 회전에 의해 제1 가이드슬롯(44)과 함께 팔걸이(40)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보조앞다리(23)의 상단이 이동부재(42)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보조앞다리(23)는 제1 시트프레임(11)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 제1 탄성부재(43)(도 4 참조)는 이동부재(42)의 이동에 의해 인장된다. 즉, 제1 탄성부재(43)에는 탄성복원력이 저장된다.
사용자가 상체를 앞으로 일으킴에 따라, 의자(100)가 다시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전환된다. 사용자가 상체를 앞으로 일으키면, 등받이(30)는 제1 탄성부재(43)(도 4 참조)에 저장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동부재(42)가 등받이(30)의 회전에 의해 제1 가이드슬롯(44)과 함께 팔걸이(4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여, 보조앞다리(23)의 상단은 사용자 다리 무게 또는 보조앞다리(23)의 자중에 의해 이동부재(42)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보조앞다리(23)는 제1 시트프레임(11)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의자(100)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동안, 제1 및 제2 시트프레임(11, 15)과, 앞다리(21)와, 뒷다리(22)와, 보조뒷다리(24)는 동일한 자세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제2 스토퍼(54)를 잠금해제한 상태에서 상체를 앞으로 굽힘에 따라, 의자(100)가 제1 상태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제3 상태로 전환된다. 사용자가 상체를 앞으로 굽히면, 사용자의 상체의 무게중심이 시트프레임(10)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제1 및 제2 시트프레임(11, 1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등받이(30) 및 팔걸이(40)는 제1 및 제2 시트프레임(11, 15)의 이동 및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뒷다리(22)의 하측은 팔걸이(40)의 회전에 의해 보조뒷다리(24)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의자(100)가 제1 상태로부터 제3 상태로 전환하는 동안, 제2 시트프레임(15)은 제1 시트프레임(11) 보다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는 팔걸이(40)의 회전에 의해 제3 지지핀(22d)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샤프트(55)와, 링크부재(56)와, 제2 샤프트(56a)는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에 의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2 샤프트(56a)는 제2 시트프레임(15)에 구비된 제2 가이드슬롯(15c)에 걸려 제2 시트프레임(15)을 제1 시트프레임(11)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회전시킨다.
사용자가 보조앞다리(23)를 발로 밟은 상태에서 의자에 앉으면서 제2 시트프레임(15)에 체중을 가하면, 의자(100)가 제3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전환된다. 사용자의 체중이 제2 시트프레임(15)에 전달되면, 제2 시트프레임(15)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시트프레임 구동장치(50)는 제2 시트프레임(15)의 회전에 의해 제1 샤프트(55)와, 링크부재(56)와, 제2 샤프트(56a)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과정에서, 제2 시트프레임(15)은 제1 시트프레임(11)과 포개어진다. 그리고, 등받이(30) 및 팔걸이(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뒷다리(22)의 하측은 팔걸이(40)의 회전에 의해 보조뒷다리(24)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의자(100)를 다양한 자세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체중을 이동시킴으로써 의자(100)의 자세를 제1 내지 제3의 상태로 용이하게 변환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앞다리(200)는 가로바(201)와 가로바(201)의 양측에서 가로바(20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세로바(202)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세로바(202)의 상단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보조앞다리(23)와 동일하게 팔걸이(40)의 전방(즉, 제1 가이드슬롯(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세로바(202)는 제3 슬라이드부재(200a)에 의해 제1 시트프레임(11)에 연결된다. 제3 슬라이드부재(200a)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슬라이드부재(200a)는 제1 시트프레임(11)의 전단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 슬라이드부재(200a)는 세로바(202)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세로바(202)의 상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3 슬라이드부재(200a)가 세로바(202)의 상측의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슬라이드부재(200a)가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세로바(202)의 상측에 상기 돌기에 맞물리는 복수개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보조앞다리(200)는 보조시트(210)와, 승강장치(220)와, 보조손잡이(230)를 포함한다.
보조시트(210)는 세로바(20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보조시트(210)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었을 때, 보조시트(210)는 시트의 역할을 한다. 보조시트(210)가 세로바(202)와 평행하게 배치되었을 때, 보조시트(210)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쿠션부재(23a)와 동일하게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에서 사용자의 다리 또는 종아리를 지지한다.
승강장치(220)는 보조시트(21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승강장치(220)는 나사축(221)과, 제2 너트(222), 웜휠(223)과, 구동축(224)과, 웜기어(224a)와, 손잡이(225)와, 랫칫기구(226)와, 레버(227)를 포함한다.
나사축(221)은 세로바(202)의 내측에서 세로바(202)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나사축(221)의 상단은 제3 슬라이드부재(200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가로바(201)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나사축은 보조시트의 하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열 나사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너트(222)는 나사축(221)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축(221)의 회전에 의해 나사축(221)을 따라 나사이동한다. 2개의 제2 너트(222)는 연결축(222a)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축(222a)의 상단에는 보조시트(210)가 결합된다. 웜휠(223)은 나사축(221)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다.
구동축(224)은 보조앞다리(200)의 하측에서 나사축(221)에 대해 수직이고 가로바(201)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웜기어(224a)는 구동축(224)에 형성되어 웜휠(223)에 맞물린다. 손잡이(225)는 구동축(224)의 양단에 결합된다. 손잡이(225)는 구동축(224)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왕복회전한다. 또한, 의자(100)가 제1 상태로부터 제3 상태로 전환될 때, 사용자가 손잡이(225)를 잡고 의지하여 일어설 수 있다. 랫칫기구(226)는 구동축(224)의 양단과 손잡이(225)의 하단 사이에 배치된다. 랫칫기구(226)는 랫칫휠과 발톱을 포함하고 래칫휠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발톱에 의해 랫칫휠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랫칫기구(226)는 손잡이(225)의 왕복회전에 의해 구동축(22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레버(227)는 랫칫기구(226)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한다. 레버(227)가 랫칫기구(226)를 잠금한 상태일 때, 사용자는 손잡이(225)를 왕복회전시켜 구동축(22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축(224)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웜기어(224a)와 웜휠(223)의 맞물림에 의해 나사축(221)이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제2 너트(222)는 보조시트(210)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한다.
레버(227)가 랫칫기구(226)를 잠금해제한 상태일 때, 웜기어(224a)는 상기 일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그리고, 웜기어(224a)와 웜휠(223)에 의해 맞물려 있는 나사축(221)도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보조시트(210)에 사용자가 앉아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의 체중에 의해 제2 너트(222)가 나사축(221)을 회전시키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승강장치는 나사축(221)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보조손잡이(230)의 일단은 세로바(202)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손잡이(225)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손잡이(225)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보조손잡이(230)는 손잡이(225)를 고정을 한다. 보조시트(210)가 하측에 위치할 때, 사용자는 보조손잡이(230)를 붙잡고 보조시트(210)에 올라 앉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시트프레임 11: 제1 시트프레임
15: 제2 시트프레임 15a: 쿠션부재
15b: 제3 브라켓 15c: 제2 가이드슬롯
20: 다리 21: 앞다리
21a: 제1 지지핀 22: 뒷다리
22a: 제2 슬라이드부재 22b: 제2 브라켓
22c: 제3 가이드슬롯 22d: 제3 지지핀
23: 일 실시예의 보조앞다리 23a: 쿠션부재
23b: 제1 슬라이드부재 24: 보조뒷다리
24a: 제2 지지핀 30: 등받이
30a: 쿠션부재 40: 팔걸이
41: 팔걸이 본체 41a: 리세스
41b: 제1 레일홈 41c: 제2 레일홈
42: 이동부재 42a: 제1 나사
42b: 로드 43: 제1 탄성부재
44: 제1 가이드슬롯 45: 제1 스토퍼
45a: 레버 45b: 회전축
45c: 캠요소 45d: 제1 브라켓
50: 시트프레임 구동장치 50a: 제2 탄성부재
51: 바디 51a: 슬롯
52: 제2 나사 53: 제1 너트
54: 제2 스토퍼 55: 제1 샤프트
56: 링크부재 56a: 제2 샤프트
200: 다른 실시예의 보조앞다리 200a: 제3 슬라이드부재
201: 가로바 202: 세로바
210: 보조시트 220: 승강장치
221: 나사축 222: 제2 너트
222a: 연결축 223: 웜휠
224: 구동축 224a: 웜기어
225: 손잡이 226: 랫칫기구
227: 레버 230: 보조손잡이

Claims (12)

  1.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의 전방에서 상기 시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앞다리와,
    상기 시트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시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와,
    상기 앞다리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팔걸이와,
    상단이 상기 팔걸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뒷다리와,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팔걸이에 탄력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시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시트프레임을 상기 앞다리 및 상기 뒷다리에 대해 회전시키는 시트프레임 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팔걸이는, 상기 팔걸이의 내부에 유지되어 상기 팔걸이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등받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팔걸이의 내부에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대항하여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에 형성된 제1 가이드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의자는,
    상단이 상기 제1 가이드슬롯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트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앞다리와,
    전단이 상기 앞다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뒷다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뒷다리를 더 포함하는,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앞다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트프레임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시트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뒷다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조뒷다리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상측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제2 가이드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프레임 구동장치는,
    바디와,
    일단이 상기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 샤프트와,
    일단이 상기 제1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는 링크부재와,
    일단이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는,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 구동장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측에서 제자리 회전하는 제2 나사와,
    상기 제2 나사에 나사결합되는 제1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타단이 상기 제1 너트에 연결되는, 의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지지핀과,
    상기 지지핀에 의해 상기 앞다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시트프레임과,
    상기 지지핀에 의해 상기 앞다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핀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시트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제2 시트프레임을 포함하는, 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일부가 상기 이동부재의 내측에 수용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제1 나사와,
    상기 이동부재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나사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나사의 회전에 의해 나사이동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의자.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앞다리는,
    상기 시트프레임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제1 가이드슬롯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세로바와,
    상기 한 쌍의 세로바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바와,
    상기 한 쌍의 세로바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시트와,
    상기 보조시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의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세로바와 상기 시트프레임을 연결하는 제3 슬라이드부재에 상단이 상기 제3 슬라이드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가로바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나사축과,
    상기 보조시트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나사축을 따라 나사이동되는 제2 너트와,
    상기 보조앞다리의 하측에서 상기 나사축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나사축과 상기 구동축 사이에 배치되어 맞물리는 웜휠과 웜기어를 포함하는, 의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의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앞다리는 일단이 상기 보조앞다리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의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의자.
KR1020110113961A 2010-11-05 2011-11-03 다기능 의자 KR101324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80040341.6A CN103068280B (zh) 2010-11-05 2011-11-04 多功能椅子
PCT/KR2011/008371 WO2012060658A2 (ko) 2010-11-05 2011-11-04 다기능 의자
JP2013510037A JP5570658B2 (ja) 2010-11-05 2011-11-04 多機能椅子
EP11838263.9A EP2636341B1 (en) 2010-11-05 2011-11-04 Multifunctional chair
US13/882,756 US8864220B2 (en) 2010-11-05 2011-11-04 Multifunctional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534 2010-11-05
KR20100109534 2010-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507A KR20120048507A (ko) 2012-05-15
KR101324418B1 true KR101324418B1 (ko) 2013-11-01

Family

ID=4626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961A KR101324418B1 (ko) 2010-11-05 2011-11-03 다기능 의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64220B2 (ko)
EP (1) EP2636341B1 (ko)
JP (1) JP5570658B2 (ko)
KR (1) KR101324418B1 (ko)
CN (1) CN103068280B (ko)
WO (1) WO201206065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51692A1 (de) * 2009-11-23 2012-10-31 Tile Geismar Sitzmöbel mit rasch verformbarem Gestell
KR101486800B1 (ko) * 2013-08-05 2015-01-28 주식회사 부광정밀 낚시용 의자
US9204729B2 (en) * 2013-08-06 2015-12-08 Zenithen USA, LLC Matched footrest rack for folding seat
DE202014103985U1 (de) * 2014-08-26 2014-09-24 himolla Polstermöbel GmbH Sitzmöbel
WO2016145160A1 (en) 2015-03-10 2016-09-15 Pride Mobility Products Corp. Lift chair control device
EP3945941A4 (en) * 2019-03-29 2023-04-12 Gci Outdoor, Inc. FOLDABLE AND PORTABLE CHAIR WITH INDEPENDENTLY MOVABLE LEG SUPPORT
CN212307285U (zh) * 2019-12-17 2021-01-08 吴海泉 调节座椅靠背倾斜的扶手调节装置
US11185165B2 (en) * 2020-01-21 2021-11-30 Libin Chen Armchair
WO2023039029A1 (en) * 2021-09-09 2023-03-16 Current Products Corp. Folding chair
KR102420179B1 (ko) * 2022-02-15 2022-07-13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탈부착형 슬라이딩 보드가 구비된 휠체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056Y1 (ko) * 2003-02-27 2003-07-22 라이-푸 탕 개량형 안락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9460A (en) * 1935-05-29 1937-11-16 Heywood Wakefield Co Recliner mechanism for chairs
CA492371A (en) * 1945-05-22 1953-04-28 Lorenz Anton Foldable reclining chair
US2675059A (en) * 1951-02-19 1954-04-13 Walter C Martin Rockable and springable chair of the reclining deck or lawn type
FR1417356A (fr) * 1964-10-03 1965-11-12 Chaise de repos transformable en lit
FR1471803A (fr) * 1966-03-18 1967-03-03 Fauteuil de relaxation et lit combinés
NL184253C (nl) * 1974-12-03 1989-06-01 Kurz Gmbh Ligstoel.
US4603902A (en) * 1984-02-21 1986-08-05 Cosco, Inc. Foldable high chair
JPS6155852U (ko) * 1984-09-19 1986-04-15
JPH0315932U (ko) * 1989-06-30 1991-02-18
JP3015932U (ja) * 1995-03-17 1995-09-19 啓子 小野 起立介助椅子
KR200224270Y1 (ko) * 1998-07-20 2001-06-01 이기대 이동식 침대
US6030032A (en) * 1999-01-19 2000-02-29 Shin Yen Enterprise Co., Ltd. Armrest for a chair
US20020121800A1 (en) * 2001-03-05 2002-09-05 Cheng-Yi Yu Lawn chair with an inclination adjustable backrest member
CN2601579Y (zh) * 2002-09-21 2004-02-04 李善成 折叠躺椅
US6692068B1 (en) * 2003-02-05 2004-02-17 Lai-Fu Tang Deck chair
JP3095764U (ja) * 2003-02-06 2003-08-15 湯 來福 デッキチェア
KR200355128Y1 (ko) * 2004-04-02 2004-07-03 김상현 다기능 의자
US6902231B1 (en) * 2004-06-01 2005-06-07 Taiwan Shin Yeh Enterprise Co., Ltd. Collapsible chair
US7628450B2 (en) * 2006-09-05 2009-12-08 The Coast Distribution System, Inc. Collapsible chair
CN201094411Y (zh) * 2007-09-12 2008-08-06 杭州炬日电器有限公司 多功能座椅
US7950734B2 (en) * 2007-09-18 2011-05-31 Edward Zheng Recliner with lock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056Y1 (ko) * 2003-02-27 2003-07-22 라이-푸 탕 개량형 안락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70658B2 (ja) 2014-08-13
KR20120048507A (ko) 2012-05-15
JP2013526331A (ja) 2013-06-24
CN103068280B (zh) 2015-07-22
CN103068280A (zh) 2013-04-24
WO2012060658A3 (ko) 2012-09-07
EP2636341A4 (en) 2014-03-19
EP2636341B1 (en) 2015-03-04
EP2636341A2 (en) 2013-09-11
US20130328360A1 (en) 2013-12-12
US8864220B2 (en) 2014-10-21
WO2012060658A2 (ko)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418B1 (ko) 다기능 의자
RU2662092C2 (ru) Посадочный узе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US7325878B1 (en) Chair with extendable footrest
CN102160716B (zh) 一种可调节靠背位置的椅架
CN110381907B (zh) 辅助装置
KR20110009202A (ko) 발 마사지 장치를 구비한 마사지 의자
CN111315337B (zh) 辅助装置
US3672722A (en) Invalid chair having adjustable headrest seat and footrest
DK3130254T3 (en) Leisure chair with a foot rest unit
JP5906514B2 (ja) マッサージ機
JP2010162337A (ja) 椅子
KR101581290B1 (ko) 이중 지렛대를 이용한 기립 보조 의자
JP3072908B2 (ja) 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
JP2001293041A (ja) 多機能ベッド
CA3115078C (en) Assistance apparatus
KR100991359B1 (ko) 요추를 지지하는 돌출가능한 등받이판이 구비된 의자
KR20200067900A (ko) 기립 보조 의자
JP2003102581A (ja) 椅 子
IT202000002518U1 (it) Sedia multifunzione
JP2005253534A (ja) 車椅子
IT202000011257A1 (it) Sedia multifunzione
JP2001293040A (ja) 多機能ベッド
JP3219802U (ja) 車椅子
JP3836690B2 (ja) 椅子
JP4536387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