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580B1 -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580B1
KR101322580B1 KR1020137016419A KR20137016419A KR101322580B1 KR 101322580 B1 KR101322580 B1 KR 101322580B1 KR 1020137016419 A KR1020137016419 A KR 1020137016419A KR 20137016419 A KR20137016419 A KR 20137016419A KR 101322580 B1 KR101322580 B1 KR 101322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haft
case body
main body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479A (ko
Inventor
아쯔시 모리시따
겐지 하라다
후미끼 마노
히로미쯔 이찌까와
미쯔루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31450A external-priority patent/JP53801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9356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3709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30083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체(21)에 축부(51)를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주행륜부(52)의 일부를 축부(51)의 주위에 위치시킨다. 축부(51)와 주행륜부(52) 사이에, 주행륜부(52)를 축부(51)에 대하여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53)을 개재시킨다. 주행륜부(52)가 장해물에 충돌하면, 주행륜부(52)를 코일 스프링(53)에 의해 압박하면서 축부(51) 및 케이스체(21)에 대하여 이동해서 충격을 흡수한다. 예를 들면, 주행륜부(52)를 보다 연질화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키는 등에 의해 주행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완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SUCTION OPENING BODY AND ELECTRIC CLEANER}
본 발명은 케이스체에 설치된 회전체 유닛을 갖는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위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이 청소기 본체에 기단부측이 접속되는 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관부는 호스체, 연장관 및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를 갖고 있다. 이 바닥 브러시는 가로로 긴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좌우 폭 방향의 중심 영역의 후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통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연장관의 선단에 접속 가능한 접속관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체의 피청소면인 바닥면에 대향하는 하면에는, 가로로 긴 흡입구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의 양측부에는 문지방이나 융단 등의 단차의 타고 넘는 것을 원활하게 하여 바닥면에서의 주행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회전체 유닛인 대직경의 주행륜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주행륜은 비교적 경질한 주행륜 본체의 외주부에, 가요성을 갖는 원환상의 회전체부인 차륜부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들 주행륜은 전단부측이 케이스체의 전방부보다도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호스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파지부를 파지하고, 연장관을 통해서 바닥 브러시를 바닥면 상에서 전후로 주행시켜서 청소를 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평11-178758호 공보(제4 페이지, 도 1)
그러나, 상술한 바닥 브러시에서는 벽 등의 장해물을 향해서 주행시켰을 때에, 주행륜의 전방부가 케이스체보다도 먼저 장해물에 충돌하여, 큰 충격을 받는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 점, 주행륜 외주의 차륜부의 두께를 크게 하고, 차륜부를 보다 연질로 형성함으로써, 완충성을 향상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렇게 구성한 경우에는 바닥 브러시의 중량에 의해 주행륜의 차륜부가 가라앉아, 주행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주행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완충성을 향상한 흡입구체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체 유닛이, 케이스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부와, 적어도 일부가 이 축부의 주위에 위치하는 회전체부와, 축부와 회전체부 사이에 개재되어, 이 회전체부를 축부에 대하여 압박하는 압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부와, 적어도 일부가 이 축부의 주위에 위치하는 회전체부 사이에, 이 회전체부를 축부에 대하여 압박하는 압박 수단을 개재시킴으로써, 회전체부가 장해물에 충돌하면, 압박 수단에 의해 압박되면서 회전체부가 축부 및 케이스체에 대하여 이동하여 충격을 흡수하므로, 예를 들면 회전체부를 보다 연질화하는 것 등에 의해 주행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완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흡입구체의 회전체 유닛을 나타내고, (a)는 도 6의 A-A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단면도, (b)는 도 6의 B-B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와 동일한 회전체 유닛의 조립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와 동일한 회전체 유닛의 축부를 회전체부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와 동일한 축부를 회전체부에 대하여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와 동일한 축부와 회전체부 사이에 압박 수단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와 동일한 회전체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와 동일한 흡입구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와 동일한 흡입구체의 장해물 근방에서의 동작을 (a) 내지 (c)의 순서대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상기와 동일한 흡입구체의 주행면에 접지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상기와 동일한 흡입구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상기와 동일한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회전체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흡입구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상기와 동일한 흡입구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상기와 동일한 흡입구체의 주요부의 장해물 근방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상기와 동일한 흡입구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흡입구체의 회전체 유닛을 나타내고, (a)는 도 21의 C-C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단면도, (b)는 도 21의 D-D에 상당하는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와 동일한 회전체 유닛의 조립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평면도이다.
도 19는 상기와 동일한 회전체 유닛의 축부를 회전체부에 삽입해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상기와 동일한 축부와 회전체부 사이에 압박 수단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상기와 동일한 회전체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와 동일한 흡입구체의 장해물 근방에서의 동작을 (a) 내지 (c)의 순서대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상기와 동일한 흡입구체의 주행면에 접지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상기와 동일한 흡입구체의 주행면에 접지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상기와 동일한 흡입구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회전체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 참조 부호 11은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고, 이 전기 청소기(11)는 청소기 본체(12)의 내부에 수용된 전동 송풍기(13)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흡기풍과 함께 흡입한 진애를, 도시하지 않은 집진부에 포집하는 것이다.
또한, 청소기 본체(12)에는, 전동 송풍기(13)의 동작을 제어하는 본체 제어 수단으로서의 도시하지 않은 본체 제어 회로가 수용되어 있음과 함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본체 흡입구(14)가 전방부에 개구되어 있다. 이 본체 흡입구(14)에는 가요성을 갖고 만곡 가능한 가늘고 긴 대략 원통 형상의 호스체(15)가 연통 접속되어 있다. 이 호스체(15)의 선단에는 전동 송풍기(13)의 동작 모드 등이 선택 가능한 손잡이 조작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 조작부(16)에는 청소할 때에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부(17)가 기단부측을 향해서 돌출 설치되고, 이 파지부(17)에는 본체 제어 회로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해서 청소기 본체(12) 내의 전동 송풍기(13) 등을 복수의 동작 모드로 설정하는 복수의 설정 버튼(1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 조작부(16)의 선단에는 신축 가능한 가늘고 긴 대략 원통 형상의 연장관(19)이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되어 있다. 즉, 연장관(19)은 호스체(15)를 통해서 전동 송풍기(13)의 흡입측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연장관(19)의 선단에는, 예를 들면 실내의 피청소면으로서의 주행면인 바닥면(F)(도 8)의 융단 등의 위에 적재시켜, 이 융단 위의 진애를 흡입하는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20)가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 브러시(20)는 연장관(19), 호스체(15) 및 본체 흡입구(14)를 통하여, 전동 송풍기(13)의 흡입측에 연통 접속된다. 또한, 전동 송풍기(13) 및 본체 제어 회로 등은, 각각 상용 교류 전원, 또는 이차 전지 등으로부터 급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 브러시(20)는 도 7 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구체 본체로서의 가로로 긴 케이스체(21)와, 이 케이스체(21)의 후부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접속관(22)과, 케이스체(21)의 양측부에 배치된 회전체 유닛으로서의 주행륜(23)과, 케이스체(21)의 전방부에 배치된 전방 커버(25)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체(21)는 상측이 개방된 하부 케이스(26)과, 이 하부 케이스(26) 위에 설치된 중간 케이스(27)와, 하부 케이스(26) 및 중간 케이스(27)의 상부의 후방측을 덮고, 하부 케이스(26) 및 중간 케이스(27) 사이에서 접속관(22)을 회전 가능하게 끼워 지지하는 상부 케이스(28)와, 이 상부 케이스(28)의 전방측에 설치된 전방 케이스(29)과, 하부 케이스(26)와 상부 케이스(28) 및 전방 케이스(29) 사이에 끼워 지지되는 완충 부재인 범퍼(30)를 갖고 있다. 또한, 이 케이스체(21)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으로서의 전동부인 구동원, 즉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32)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26)에는 전단부에, 회전 브러시(32)가 끼워 맞추는 횡 길이 사각 형상의 흡입구(35)가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중간 케이스(27)는 하부 케이스(26)의 후부에 배치되고, 하부 케이스(26) 위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방 케이스(29)에는 전단부에, 가로로 긴 사각 형상의 전방측 흡입구(36)가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전방측 흡입구(36)는 흡입구(35)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전방 커버(25)가 끼워 맞추어지는 것이다.
또한, 범퍼(30)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체(21)의 양측으로부터 후부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모터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에 의해 그의 구동이 제어되고 있다.
또한, 회전 브러시(32)는 설치 부재로서의 대략 원기둥 형상의 회전 브러시 조립(37)의 주위에, 복수의 청소 부재(38)(도 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 브러시 조립(37)은,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 브러시 조립(37)의 외주면에는 각 청소 부재(38)의 기단부측을 유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홈부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청소 부재(38)는, 예를 들면 닦아냄 부재인 블레이드, 쓸어냄 부재인 브러시 솔,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며, 기단부측이 회전 브러시 조립(37)의 홈부에 각각 유지 됨으로써, 회전 브러시 조립(37)의 외주면에 대하여, 이 회전 브러시 조립(37)의 축방향을 따르는 나선벽 형상으로, 회전 브러시 조립(37)의 직경 방향으로 선단측이 돌출되어 있다.
접속관(22)은 흡입구(35)와 연통하고 있고, 케이스체(2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단부가 연장관(19)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연통 접속된다. 또한, 이 접속관(22)은 케이스체(21)의 후부 근방의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각 주행륜(23)은 도 1 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의 회전체 유닛 회동 축으로서의 축부(51)와, 바닥면(F)과 접촉하는 회전체부로서의 주행륜부(52)와, 이들 축부(51)와 주행륜부(52) 사이에 개재된 복수, 예를 들면 4개의 압박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53)과, 축부(51)를 케이스체(21)에 대하여 누락을 방기하기 위한 누락 방지체(54)와, 케이스체(21)측과 반대측, 즉 외측부를 덮는 투명한 커버(5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주행륜(23)은 바닥 브러시(20)의 좌우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이 되고 있기 때문에, 한쪽의 주행륜(23)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쪽의 주행륜(23)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축부(51)는 케이스체(21)의 측부에 형성된 베어링부(6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며, 예를 들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부(51)는 원통 형상의 축부 본체(63)와, 이 축부 본체(63)의 일단부측에 원통부(64)를 통해서 연속하는 규제부(65)와, 축부 본체(63)의 타단부측의 외주 전체로부터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하여 케이스체(21)의 측부에 따르는 플랜지부(66)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베어링부(61)는 대략 원통 형상의 베어링부 본체(68)와, 이 베어링부 본체(68)의 중심측에 동일한 축형으로 형성된 나사 보스부(69)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고, 케이스체(21)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부(6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32)와 대략 동축으로, 접속관(22)의 회동축(22a)보다도 전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주행륜(23)은 중심 위치가 접속관(22)의 회동축(22a)의 중심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본체(63)는 베어링부 본체(68)에 내주측이 끼워 맞추어져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외주에 각 코일 스프링(53)의 걸림용의 걸림 돌출부(71)가 형성되고, 선단측에 중심축측으로 연장하는 축부 본체면부로서의 선단면부(72)이 형성되고, 이 선단면부(72)의 중심 위치에 나사 보스부(69)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73)이 형성되고, 이 삽입 관통 구멍(73)의 내측 테두리부에 중심축측으로 연장하는 누락 방지면부(74)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출부(71)는 선단면부(72)와 전방측이 대략 면일한 반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걸림 돌출부(71)의 기단부의 주위에는, 코일 스프링(53)의 일단부를 유지하기 위한 홈 형상의 오목부(76)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64)는 축부 본체(63)의 선단면부(72)의 삽입 관통 구멍(73)의 주위에 일체로 기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관통 구멍(73)과 동축이 되고 있다. 또한, 이 원통부(64)는 축부 본체(63)보다도 직경 치수가 작다.
또한, 규제부(65)는 원통부(64)의 선단의 외주면 전체로부터 직경 방향과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한 원환상의 규제부 본체(81)와, 이 규제부 본체(81)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축부 규제부(82)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 규제부(65)와 축부 본체(63)의 선단면부(72)의 전방면 사이의 원통부(64)의 외주측에는, 원환상의 끼워 맞춤부(83)가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부 규제부(82)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53)에 대응하는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둘레 방향으로 서로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플랜지부(66)는 주행륜(23)의 케이스체(21)측을 덮고 있다.
또한, 주행륜부(52)는 각 코일 스프링(53)에 의해, 축부(51)에 대하여, 이 축부(51)의 축 방향으로 교차(직교)하는 방향,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 상하로 가동적으로 지지되어 있음과 함께, 축부(51)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대략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주행륜부(52)는 원통 형상의 회전체부 본체로서의 주행륜부 본체(85)와, 이 주행륜부 본체(85)의 내주연부에서 중심축 방향과,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53)에 대응하는 복수개 형성된 회전체 규제부로서의 주행륜부 규제부(86)와, 주행륜부 본체(85)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된 설치 오목부(87)에 설치된 접지부(88)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주행륜부 본체(85)는 축부(51)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행륜부 규제부(86)는 축부(51)의 끼워 맞춤부(83)에 각각 끼워 맞춤으로써 각축부 규제부(82)와 미끄럼 접촉해서 축부(51)와 주행륜부(52)와의 축방향의 위치를 서로 규제하는 부분이며, 주행륜부 본체(85)의 축방향의 일단부측인 케이스체(21)로부터 먼 측의 단부의 내측 테두리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주행륜부 규제부(86)는 주행륜부 본체(85)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서 서서히 폭 치수가 작아지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주행륜부 규제부(86) 사이에, 코일 스프링(53)이 각각 설치되는 구멍부(91)(도 2)가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주행륜부 규제부(86)의 기단부에는 커버(55)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구멍(92)이 주행륜부 본체(85)의 내측 테두리부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주행륜부 규제부(86)의 선단부 사이에는 축부(51)의 규제부(65)의 규제부 본체(81)가 삽입 관통 가능해서 축부 본체(63)가 삽입 관통 불가능한 삽입 관통 구멍부(93)가 형성되어 있다.
각 구멍부(91)는 축부(51)의 각축부 규제부(82)보다도 폭 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구멍부(91)에는 코일 스프링(53)의 타단부측을 유지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유지부(95)가 주행륜부 본체(85)의 내측 테두리부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지부(88)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에 적재한 상태에서 이 바닥면(F)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또한, 이 접지부(88)는, 예를 들면 기모천 등이며, 주행륜부 본체(85)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지부(88)는 주행륜(23)을 케이스체(21)의 베어링부(61)에 축지지한 상태에서, 전방부가 케이스체(21)의 전방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전방 커버(25)의 전단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하부가 케이스체(21)의 하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코일 스프링(53)은 일단부가 각 오목부(76)(도 1)에 유지되고, 타단부가 각 유지부(95)에 유지되어, 주행륜(23)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코일 스프링(53)은 서로 탄성 계수가 대략 동등하고, 외력을 첨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축부(51)에 대하여 주행륜부(52)를 대략 동축의 위치가 되도록 지지하고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53) 이외라도, 예를 들면 고무, 판 스프링,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가요 부재)에 의해 형성한 임의의 압박 수단을 오목부(76)와 유지부(95) 사이에 배치해도 좋고, 또한, 주행륜부(52)를 축부(51)에 대하여 내측으로, 직경 방향을 따라서 압박하는 인장 스프링 등이라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락 방지체(54)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부 본체(63) 내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누락 방지체(54)는 베어링부(61)의 나사 보스부(69)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 보스부(69)에 대하여 고정 수단인 나사(97)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베어링부(61)와 누락 방지체(54) 사이에, 축부(51)의 누락 방지면부(74)가 위치하고, 축부(51)가 베어링부(61)에 대하여 누락 방지되어 있다.
커버(55)는 주행륜부 본체(85)의 일측을 피복하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커버(55)의 주연부에는 복수의 갈고리부(101)가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갈고리부(101)는 주행륜부(52)의 각 설치 구멍(92)에 삽입되고, 이들 설치 구멍(92)의 둘레 방향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 볼록부(102)에 각각 걸림으로써, 커버(55)를 주행륜부(52)에 대하여 누락 방지 고정하고 있다. 또한, 커버(55)의 중앙부에는 직경 방향을 따라서 길이 홈 형상의 회동 홈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동 홈부(103)는 커버(55)를 주행륜부(52)로부터 제거할 때에, 코인 등을 삽입함으로써 커버(55)를 둘레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방 커버(25)는 전방측 흡입구(36)의 양단부간에 걸쳐서 연속한 가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면에서 보아 전방으로 돌출되게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또한, 이 전방 커버(25)의 상단부는 전방측 흡입구(36)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토션 스프링 등의 도시하지 않은 전방 커버 압박 수단에 의해 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압박되어 있다. 또한, 이전 커버(25)의 하단부 근방의 위치에는 돌기부(25a, 25a)가 전방을 향해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부(25a, 25a)는 자연 상태(통상 상태)에서 각 주행륜(23)의 전단부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들 돌기부(25a, 25a)는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고, 전방 커버(25) 자체의 일부가 각 주행륜(23)의 전단부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각 주행륜(23)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륜부(52)에 대하여 축부(51)를 타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각 축부 규제부(82)를 각 구멍부(91)에 끼워 맞추게 한 상태에서 규제부 본체(81)를 삽입 관통 구멍부(93)에 타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계속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축부 규제부(82)를 각 주행륜부 규제부(86)보다도 일단부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축부(51)를 주행륜부(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둘레 방향(예를 들면 시계 방향 방향)으로 소정 각도, 본 실시 형태에서는 90° 정도 회동시킴으로써, 각 축부 규제부(82)가 각 주행륜부 규제부(86)의 단부면에 미끄럼 접촉함과 함께,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주행륜부 규제부(86)를 끼워 맞춤부(83)에 끼워 맞춘다.
이 상태에서, 축부(51)의 각 걸림 돌출부(71)가 주행륜부(52)의 각 유지부(95)에 대향하는 상태가 되므로, 축부(51)의 중심 위치를 주행륜부(52)의 중심 위치에 대하여 약간 치우치도록 하여, 1개의 코일 스프링(53)의 일단부에 1개의 걸림 돌출부(71)를 삽입시켜서 이 코일 스프링(53)의 일단부를 1개의 오목부(76)로 유지한 상태에서, 이 코일 스프링(53)의 타단부를 1개의 유지부(95)에 끼워 맞춰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3개의 코일 스프링(53)의 일단부에 각각 각 걸림 돌출부(71)를 삽입시켜, 각 코일 스프링(53)의 일단부를 각 오목부(76)에 유지한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코일 스프링(53)의 타단부를 각 유지부(95)에 끼워 맞춰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각 코일 스프링(53)이 각 구멍부(91)에 끼워 맞춰서 주행륜(23)의 축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 후,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별도 조립한 케이스체(21)의 측부의 각 베어링부(61)에 각 축부(51)의 축부 본체(63)를 끼워 맞추도록 하여 나사 보스부(69)를 삽입 관통 구멍(73)에 삽입 관통시켜, 누락 방지체(54)를 축부 본체(63) 내에 끼워 맞추게 하여 나사(97)를 나사 보스부(69)에 나사 고정하고, 각 축부(51)를 케이스체(21)의 베어링부(6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그리고, 커버(55)의 각 갈고리부(101)를, 주행륜부(52)의 각 설치 구멍(92)에 일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커버(55)를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킴으로써, 각 갈고리부(101)가 각 설치 구멍(92)의 걸림 볼록부(102)에 각각 걸려, 커버(55)가 주행륜부(52)에 고정된다.
청소시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관(22)을 연장관(19)의 선단부에 접속하고,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도 8) 위에 적재하고, 파지부(17)를 파지하고, 원하는 설정 버튼(18)을 조작하여 전동 송풍기(13)를 원하는 동작 모드에서 동작시킨 상태에서, 연장관(19)을 통해서 바닥 브러시(20)를 전후로 주행시킨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20)는 주행시에, 각 주행륜(23)의 접지부(88)가 바닥면(F)에 접촉해서 회전함으로써, 양호한 주행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바닥 브러시(20)에서는 흡입구(35)를 통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전동 송풍기(13)의 동작에 의해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 바닥면(F)(도 8) 위의 진애를 공기와 함께 흡입해서 청소한다. 이 흡입된 공기는 흡입풍이 되고, 진애와 함께, 도 11에 나타내는 연장관(19), 호스체(15) 및 본체 흡입구(14)를 통해서 집진부에 흡입되고, 이 집진부에서 진애가 포집된 후, 전동 송풍기(13)에 흡입되어서 배기풍이 되고, 청소기 본체(12)가 도시하지 않은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기된다.
또한,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20)를 전방으로 주행시켜서 이 바닥 브러시(20)가 벽 또는 가구 등의 장해물(O)에 충돌할 때에는 우선, 전방 커버(25)의 각 돌기부(25a)가 장해물(O)에 접촉해서 이 전방 커버(25)가 전방 커버 압박 수단의 압박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회동하고, 계속해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륜(23)의 전방부가 장해물(O)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또한 바닥 브러시(20)가 전방으로 주행함으로써,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주행륜(23)의 주행륜부(52)가 장해물(O)의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축부(51) 및 케이스체(21)가 코일 스프링(53)의 압박에 저항하면서 주행륜부(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방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각 코일 스프링(53)의 신축에 의해 충돌시의 충격이 흡수된다. 또한, 동시에 전방 커버(25)가 후방으로 회동해서 하부가 개구한 전방측 흡입구(36)(도 8(b))의 하부로부터, 회전 브러시(32)의 청소 부재(38)의 선단측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해서 장해물(O)의 근방에 위치함과 함께, 청소 부재(38)의 선단측의 일부가 각 주행륜(2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돌출되어, 바닥면(F)에 접촉한다. 그리고, 소정의 설정 버튼(18)(도 11)의 조작에 의해 회전 브러시(32)가 회전함으로써, 회전 브러시(32)가 장해물(O)의 근방의 바닥면(F) 위의 진애를 긁어내어, 전방측 흡입구(36)(도 8(b))로부터 흡입해서 청소한다.
또한, 바닥 브러시(20)가 장해물(O)로부터 이격하는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53)이 바닥 브러시(20)를 장해물(O)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바닥 브러시(20)가 장해물(O)로부터 이격하는 것을 보조하기 때문에, 바닥 브러시(20)의 주행 조작이 용이해져, 주행 조작을 행하는 작업자의 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케이스체(2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 축부(51)와, 일부가 이 축부(51)의 주위에 위치하는 주행륜부(52) 사이에, 이 주행륜부(52)를 축부(51)에 대하여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53)을 개재시킴으로써, 주행륜부(52)가 장해물(O)에 충돌하면, 코일 스프링(53)에 의해 압박되면서 주행륜부(52)가 축부(51) 및 케이스체(21)에 대하여 이동해서 충격을 흡수하므로, 예를 들면 주행륜부(52)를 보다 연질화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하는 것등에 의해 주행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완충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주행륜부(52)를 탄성 부재 등으로서 그의 두께를 증가시켜서 충분한 완충성을 얻고자 하는 경우 등에서는, 주행륜부(52)가 바닥면(F)에 접촉했을 때에, 바닥 브러시(20)의 자중에 의해 주행륜부(52)가 휘고, 바닥면(F)에 대한 접지 면적(그립력)이 커져서 주행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것에 대하여,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륜부(52)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코일 스프링(53)에 의해 큰 완충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으므로, 주행시에 주행륜부(52)가 휘어서 그립력이 커지는 경우가 없고, 양호한 주행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코일 스프링(53)을, 주행륜(23)의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함으로써, 주행륜부(52)를 축부(51)에 대하여 균일하게 압박해서 지지할 수 있고, 주행륜(23)의 회전 위치에도 불구하고, 확실하게 완충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바닥 브러시(20)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접속관(2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잡이 조작부(16)의 파지부(17)를 파지한 상태에서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 위에 적재할 때에 연장관(19)을 통해서 손잡이 조작부(16)측에 고정된 접속관(22)에 대하여 케이스체(21)의 전방측이 케이스체(21)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하고(도 9의 실선), 케이스체(21)의 전방측으로부터 바닥면(F)에 접지하려고 한다. 이로 인해, 주행륜(23)의 중심 위치, 즉 케이스체(21)의 베어링부(61)에 축지지되는 주행륜(23)의 축부(51)의 위치를, 접속관(22)의 회동축(22a)의 중심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도 9의 실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에 적재할 때에 주행륜(23)이 케이스체(21)보다도 먼저 바닥면(F)에 접지하므로, 바닥 브러시(20)을 바닥면(F) 위에 적재할 때의 충격을 주행륜(23)에 의해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주행륜(23)을 케이스체(21)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주행륜(23)을 케이스체(21)의 중앙부 1군데만 배치하는 경우 등과 비교하여, 주행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음과 함께, 바닥 브러시(20)의 전방측이 장해물(O)에 충돌할 때에 바닥 브러시(20)와 장해물(O)과의 각도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어느 한쪽의 주행륜(23)을 확실하게 장해물(O)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완충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장해물(O)의 근방을 청소할 때에는, 작업자가 바닥 브러시(20)를 장해물(O)에 대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이 압박에 의해 주행륜(23, 23)의 축부(51)(케이스체(21)의 베어링부(61))가 주행륜부(52, 52)에 대하여 코일 스프링(53)의 압박에 저항해서 상대적으로 전방 하측으로 이동해서 케이스체(21)가 가라앉아 장해물(O)의 근방의 바닥면(F)에 접근하므로, 흡입구(35) 및 전방측 흡입구(36)로부터의 진애의 흡입, 및 회전 브러시(32)에 의한 바닥면(F)으로부터의 진애의 긁어냄이 각각 향상하여, 장해물(O)의 근방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주행륜(23)을, 회전 브러시(32)와 대략 동축에 위치시킴으로써, 회전 브러시(32)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주행륜(23)의 코일 스프링(53)에 의해 흡수하여, 바닥면(F) 등에 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륜(23)의 일부를 케이스체(21)보다도 전방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청소시에 바닥 브러시(20)를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켰을 때에, 장해물(O)에 대하여 주행륜(23)이 케이스체(21)보다도 먼저 접촉하므로, 바닥 브러시(20)의 전방측을 장해물(O)에 충돌시켰을 때의 충격을 주행륜(23)에 의해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압박 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53)을 사용함으로써, 주행륜부(52)를 축부(51)에 대하여 균일하게 지지하기 쉬워짐과 함께, 코일 스프링(53) 자체의 열화도 적고, 또한, 완충용의 스트로크를 크게 할 수 있어서 충분한 완충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축부(51)와 주행륜부(52)와의 축방향의 위치를 서로 규제함으로써, 주행륜(23)이 장해물(O) 또는 바닥면(F) 등에 충돌해서 코일 스프링(53)이 휘었을 때에, 축부(51)와 주행륜부(52)가 축 방향으로 어긋나서 코일 스프링(53)이 빗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축부(51)에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축부 규제부(82)를 형성하고, 주행륜부(52)에, 각 축부 규제부(82)를 삽입 관통 가능한 복수의 구멍부(91)와, 이들 구멍부(91) 사이에 위치해서 축부 규제부(82)와 접촉함으로써 축부(51)와 주행륜부(52)와의 축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주행륜부 규제부(86)룰 형성하고, 코일 스프링(53)을 구멍부(91)의 각각에 배치함으로써, 주행륜(23)을 조립할 때에, 각 축부 규제부(82)를 각 구멍부(91)에 삽입 관통시켜 둘레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각 축부 규제부(82)와 접촉시켜, 각 구멍부(91)에 코일 스프링(53)을 배치함으로써, 주행륜(23)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게다가, 축부 규제부(82)와 주행륜부 규제부(86)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주행륜(23)의 조립시의 코일 스프링(53)의 설치시 등에 축부(51)를 주행륜부(52)에 대하여 누락 방지한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주행륜(23)의 조립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주행륜(23)의 코일 스프링(53)을 투명한 커버(55)로 덮음으로써, 구멍부(91)로부터 주행륜(23)의 축방향에 노출되는 코일 스프링(53)을 포함하는 축부(51)과 주행륜부(52)의 지지 기구를, 커버(55)를 통해서 주행륜(23)의 외측으로부터 목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행륜(23)이 장해물(O)이나 바닥면(F)에 접촉했을 때의 코일 스프링(53)의 신축이나 축부(51)나 주행륜부(52)의 움직임을 작업자가 목시할 수 있으므로, 미관이 향상된다.
그리고, 케이스체(21)의 전방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전방 커버(25)를 배치하고, 이 전방 커버(25)의 각 돌기부(25a)를 주행륜(23)보다도 전방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장해물(O)의 근방을 청소할 때에, 전방 커버(25)가 주행륜(23)보다도 먼저 장해물(O)에 접촉해서 후방으로 회동하므로, 이 전방 커버(25)에 의해 전방측 흡입구(36)의 하부를 개방하고, 전방측의 진애를, 이 전방측 흡입구(36)의 하부로부터 흡입할 수 있다. 게다가, 전방 커버(25)가 장해물(O)에 접촉해서 후방으로 회동함으로써 개방한 전방측 흡입구(36)의 하부로부터, 회전 브러시(32)의 청소 부재(38)가 상대적으로 돌출되므로, 회전 브러시(32)를 회전시키면, 이 돌출된 청소 부재(38)에 의해 장해물(O)의 근방의 바닥면(F)의 진애를 긁어낼 수 있다. 따라서, 장해물(O)의 근방의 바닥면(F)을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주행륜(23)은 주행륜부(52)가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차 등의 타고 넘기가 원활해져, 양호한 주행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주행륜부(52)의 접지부(88)를 연질로 함으로써, 장해물(O)으로의 충돌시에, 이 장해물(O)을 흠집내게 하는 경우도 없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행륜(23)은 코일 스프링(53)을 사용하지 않고, 축부(51)의 외주측과 주행륜부(52)의 내주측 사이의 전체 둘레에, 도 12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예를 들면 고무, 판 스프링,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가요 부재)에 의해 환상으로 형성된 압박 수단(105)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어서, 제3 실시 형태를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주행륜(23, 23)을, 케이스체(21)에 대하여 중심축이 상하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설치한 것이다.
즉, 도 13,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주행륜(23)은 케이스체(21)의 양측부에, 커버(55)를 상측으로서 배치되어 있고, 케이스체(21)의 측면으로부터 접지부(88)의 측부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 주행륜(23)은 케이스체(21)에 축지지한 상태에서, 접지부(88)의 전방부가 케이스체(21)의 전방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전방 커버(25)의 전단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주행륜(23)은 하부 케이스(26)의 전방측과 전방 케이스(29) 사이에서 축부(51)가 상하로 끼워져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20)가 측방으로 주행해서 장해물인 벽부(W)에 충돌할 때에는, 우선 주행륜(23)의 접지부(88)가 벽부(W)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상상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바닥 브러시(20)가 측방으로 주행함으로써, 각 주행륜(23)의 주행륜부(52)가 벽부(W)의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축부(51) 및 케이스체(21)가 코일 스프링(53)의 압박에 저항하면서 주행륜부(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측방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각 코일 스프링(53)의 신축에 의해 충돌시의 충격이 흡수된다.
또한, 바닥 브러시(20)를 전방으로 주행시켜서 이 바닥 브러시(20)가 벽 또는 가구 등의 장해물(O)에 충돌할 때에는, 우선 전방 커버(25)의 각 돌기부(25a)가 장해물(O)에 접촉해서 이 전방 커버(25)가 전방 커버 압박 수단의 압박에 저항해서 후방으로 회동하고, 계속해서, 상상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륜(23)의 전방부가 장해물(O)에 접촉하고, 또한 바닥 브러시(20)가 전방으로 주행함으로써, 각 주행륜(23)의 주행륜부(52)가 장해물(O)의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축부(51) 및 케이스체(21)가 코일 스프링(53)의 압박에 저항하면서 주행륜부(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각 코일 스프링(53)의 신축에 의해 충돌시의 충격이 흡수된다.
이와 같이, 각 주행륜(23)의 중심축을 상하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케이스체(21)에 설치하고, 각 주행륜(23)의 일부를 케이스체(2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청소시에 바닥 브러시(20)를 좌우 방향으로 주행시켰을 때에, 벽부(W)에 대하여 주행륜(23)이 케이스체(21)보다도 먼저 접촉하므로, 바닥 브러시(20)의 측부를 벽부(W)에 충돌시켰을 때의 충격을 주행륜(23)에 의해 완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행륜(23)의 일부를 케이스체(21)보다도 전방측에 돌출시킴으로써, 청소 시에 바닥 브러시(20)를 전후 방향으로 주행시켰을 때에, 장해물(O)에 대하여 주행륜(23)이 케이스체(21)보다도 먼저 접촉하므로, 바닥 브러시(20)의 전방측을 장해물(O)에 충돌시켰을 때의 충격을 주행륜(23)에 의해 완충할 수 있다.
그리고, 측방의 벽부(W)와 전방의 장해물(O)과 각각에 대하여 주행륜(23)에 의해 완충이 가능하게 되므로, 바닥 브러시(20)를 측방의 벽부(W)를 따라 장해물(O)에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장해물(O)을 따라 측방으로 이동시켜서 방의 내측 테두리를 청소할 때 등에, 양호한 완충성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측방의 벽부(W)를 따라 주행할 때에도, 각 주행륜(23)이 벽부(W)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해서 저항이 되기 어려우므로, 주행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주행륜(23)의 코일 스프링(53) 대신에,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압박 수단(105)을 적용해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각 주행륜(23)은 커버(55)를 하측으로서 배치해도 좋다.
이어서, 제4 실시 형태를 도 17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4 실시 형태는 각 주행륜(23)의 주행륜부(52)가 도 17 내지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 환상(원통 형상)의 회전체부 본체로서의 주행륜부 본체(111)와, 이 주행륜부 본체(111)와 일체적으로 성형된 피복부(112)와, 이들 주행륜부 본체(111)와 피복부(112)에 걸쳐서 설치된 마찰 저감부로서의 접지부인 기모부(113)를 구비하고 있고, 주행륜부 본체(111)와 피복부(112)가, 예를 들면 더블 몰드(2색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주행륜부(52)를 케이스체(21)의 양측에 배치한다란, 주행륜부(52)를 케이스체(21)의 양측 근방에 배치한 구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주행륜부 본체(111)는, 예를 들면 더블 몰드의 1차측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ABS 등의 비교적 경질한 부재(합성 수지)에 의해, 축부(51)보다도 대직경으로 형성되고, 케이스체(21)의 좌우 폭 방향을 따라서 축방향을 갖고 있다. 또한, 이 주행륜부 본체(111)는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111a)의 외측, 즉 축방향의 일단부측인 케이스체(21)로부터 먼 측 근방의 위치에, 피복부(112)와 끼워 맞추는 외측 끼워 맞춤부로서의 외측 오목부(111b)가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111a)의 내측, 즉 축 방향의 타단부측인 케이스체(21)에 가까운 측 근방의 위치에, 피복부(112)와 끼워 맞추는 내측 끼워 맞춤부로서의 내측 오목부(111c)가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주행륜부 본체(111)에는 내주연부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53)에 대응하는 복수의 회전체 규제부로서의 주행륜부 규제부(115)가 돌출되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오목부(111b)와 내측 오목부(111c)와는 각각 주행륜부 본체(111)의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외측 오목부(111b)와 내측 오목부(111c)와는 둘레 방향의 소정 위치, 예를 들면 주행륜부 규제부(115, 115) 사이의 각 위치에서, 도 17의 (a) 및 도 21에 나타내는 연통부(111d)를 통해서 서로 연통하고 있다.
도 17 내지 도 21에 나타내는 주행륜부 규제부(115)는 축부(51)의 끼워 맞춤부(83)에 각각 끼워 맞춤으로써 각 축부 규제부(82)와 미끄럼 접촉해서 축부(51)와 주행륜부(52)와의 축방향의 위치를 서로 규제하는 부분이며,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측의 내측 테두리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주행륜부 규제부(115)는 주행륜부 본체(111)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서 서서히 폭 치수가 작아지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주행륜부 규제부(115)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53)이 각각 설치되는 구멍부(121)(도 18)가 둘레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주행륜부 규제부(115)의 기단부에는 커버(55)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구멍(122)이 주행륜부 본체(111)의 내측 테두리부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주행륜부 규제부(115)의 선단부간에는 축부(51)의 규제부(65)의 규제부 본체(81)이 삽입 관통 가능해서 축부 본체(63)이 삽입 관통 불가능한 삽입 관통 구멍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행륜부 규제부(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주행륜부 본체(111)를 성형할 때의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가 외측면(115a)에 형성되어 있다.
각 구멍부(121)는 축부(51)의 각 축부 규제부(82)보다도 폭 치수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구멍부(121)에는 코일 스프링(53)의 타단부측을 유지하기 위한 벽부인 유지부(125)가 주행륜부 본체(111)의 내측 테두리부로부터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측에 개구하는 역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복부(112)는, 예를 들면 더블 몰드의 2차측이 되는 점에서,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 등의 주행륜부 본체(111)보다도 연질의 부재(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또한, 피복부(112)는 주행륜부 본체(111)의 축방향 외측부의 외주측을 덮는 원환상의 외측 피복부(127)와, 주행륜부 본체(111)의 축방향 내측부의 외주측을 덮는 원환상의 내측 피복부(128)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외측 피복부(127)와 내측 피복부(128)가 서로 대략 평행하게 이격되어서, 이들 피복부(127, 128) 사이에 기모부(113)를 설치하는 설치 오목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복부(127, 128)는 주행륜부 본체(111)의 각 연통부(111d)에서 접속부(130)를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외측 피복부(127)는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측의 단부면(111e) 및 외주면(111a)의 외측의 부분을 덮고 있고, 외측 오목부(111b)와 끼워 맞추고 있다. 따라서, 외측 피복부(127)는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바닥 브러시(20) 전체의 측면 방향의 외측, 즉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접속관(22)(도 25)으로부터 먼 측의 측부, 바꾸어 말하면 각 주행륜(23)의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주측, 서로 다른 쪽의 주행륜(23)과 반대측의 측부를 덮고 있고, 외측 피복부(127)의 단부면(127a)은 주행륜(23)의 외측부 전체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외측 피복부(127)에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측의 단부면(111e)의 둘레 방향의 복수 개소, 예를 들면 주행륜 규제부(115)의 설치 구멍(122)의 양단부의 외측의 위치에 각각 형성된 외측 절결부로서의 외측 끼워 맞춤 절결부(111f)에 끼워 맞추는 피복부 끼워 맞춤부(외측 피복부 끼워 맞춤부)로서의 면적 확대부인 외측 끼워 맞춤 돌기부(127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외측 피복부(127)의 외주면(127c)은 설치 오목부(129)측에 직경 방향으로 서서히 돌출되도록 경사져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각 외측 끼워 맞춤 돌기부(127b)는 외측 피복부(127)(피복부(112))의 두께를 증가시킴과 함께, 이 외측 피복부(127)(피복부(112))와 주행륜부 본체(111)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부분이며, 외측 피복부(127)의 단부면(127a)과 대략 면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외측 피복부(127)의 중심축측으로 돌출되어, 주행륜부 본체(111)의 내주면과 대략 편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내는 내측 피복부(128)는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주면(111a)의 내측의 부분을 덮고 있다. 또한, 이 중측 피복부(128)는 단부면(128a)이 주행륜부 본체(111)의 내측의 단부면(111g)과 대략 편평하게 되어 있고, 이 단부면(111g)에 복수 개소, 예를 들면 각 유지부(125)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하여 형성된 내측 절결부로서의 내측 끼워 맞춤 절결부(111h)에 끼워 맞추는 내측 피복부 끼워 맞춤부로서의 내측 끼워 맞춤부(128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내측 피복부(128)의 외주면(128c)은 설치 오목부(129)측에 직경 방향으로 서서히 돌출되도록 경사져 있다.
각 내측 끼워 맞춤부(128b)는 기단부측이 내측 끼워 맞춤 절결부(111h)의 위치에서 주행륜부 본체(111)의 내측의 단부면(111g)과 대략 면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선단측이 각 유지부(125)를 따라 형성되고, 이 선단측이 피복부(112)를 성형할 때의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가 형성되는 부분이 되고 있다.
또한, 설치 오목부(129)는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주면(111a)의 일부, 즉 연통부(111d, 111d)간의 영역을 노출시키는 부분이다.
접속부(130)는 피복부(112)를 성형하는 부재를 내측 피복부(128)의 내측 끼워 맞춤부(128b)에 형성된 게이트로부터 외측 피복부(127)측에 유통시킬 때 형성된 부분이다. 즉, 피복부(112)는 내측 끼워 맞춤부(128b)에 형성된 게이트로부터의 부재의 주입에 의해 외측 피복부(127)와 내측 피복부(128)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기모부(113)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에 적재한 상태에서 이 바닥면(F)에 접촉하는 부분인 다수의 기모(113a)와, 이들 기모(113a)를 일체적으로 배치한 피설치부로서의 피접착부, 즉 마찰 저감부 본체인 띠 형상의 시트부(113b)를 구비하고, 피복부(112)보다도 바닥면(F)에 대한 마찰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시트부(113b)는 설치 오목부(129)에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 등을 통하여 접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113b)는 양단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 오목부(129)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감겨 있다. 즉, 기모부(113)는 주행륜(23)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113b)의 양단부는, 예를 들면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주면(111a) 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기모(113a)는 피복부(112)의 외주면(외주면(127c, 128c))에 대하여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음과 함께, 선단측이 케이스체(21)(바닥 브러시(20))의 전진시의 주행륜(23)(주행륜부(5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즉 도 21의 화살표(Y) 방향으로 경사 형상으로 무너지도록 만곡하고 있다. 그리고, 이 기모부(113)는 주행륜(23)을 케이스체(21)의 베어링부(61)에 축지지한 상태에서, 기모(113a)의 선단측의 전방부가 케이스체(21)의 전방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전방 커버(25)의 전단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기모(113a)의 선단측의 하부가 케이스체(21)의 하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어서,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각 주행륜(23)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주행륜부(52)는 주행륜부 본체(111)를 사출 성형한 후, 이 주행륜부 본체(111)를 금형의 코어측으로서 피복부(112)를 사출 성형해서 형성한다.
이때, 피복부(112)는 내측 피복부(128)의 내측 끼워 맞춤부(128b)를 게이트로서 부재를 사출함으로써, 이 부재가 주행륜부 본체(111)의 연통부(111d)로부터 외측 피복부(127)측으로 주입되어, 내측 피복부(128)와 외측 피복부(127)가 접속부(130)를 통해서 일체로 성형된다.
이 상태에서, 피복부(112)는 내측 끼워 맞춤부(128b)를 내측 끼워 맞춤 절결부(111h)에 끼워 맞추고, 외측 끼워 맞춤 돌기부(127b)를 외측 끼워 맞춤 절결부(111f)에 끼워 맞춤으로써, 주행륜부 본체(111)와의 접촉 면적이 확대된다.
그리고, 도 18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9의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륜부(52)에 대하여 축부(51)를 타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구체적으로, 각 축부 규제부(82)를 각 구멍부(121)에 끼워 맞추게 한 상태에서 규제부 본체(81)를 삽입 관통 구멍부(123)에 타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계속해서, 도 19의 실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축부 규제부(82)를 각 주행륜부 규제부(115)보다도 일단부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축부(51)를 주행륜부(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둘레 방향(예를 들면 시계 방향 방향)으로 소정 각도, 본 실시 형태에서는 90° 정도 회동시킴으로써, 각 축부 규제부(82)가 각 주행륜부 규제부(115)의 단부면에 미끄럼 접촉함과 함께,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주행륜부 규제부(115)를 끼워 맞춤부(83)에 끼워 맞춘다.
이 상태에서, 축부(51)의 각 걸림 돌출부(71)가 주행륜부(52)의 각 유지부(125)에 대향하는 상태가 되므로, 축부(51)의 중심 위치를 주행륜부(52)의 중심 위치에 대하여 약간 치우치게 하여, 1개의 코일 스프링(53)의 일단부에 1개의 걸림 돌출부(71)를 삽입시켜서 이 코일 스프링(53)의 일단부를 1개의 오목부(76)에 유지한 상태에서, 이 코일 스프링(53)의 타단부를 1개의 유지부(125)에 끼워 맞춤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3개의 코일 스프링(53)의 일단부에 각각 각 걸림 돌출부(71)를 삽입시켜, 각 코일 스프링(53)의 일단부를 각 오목부(76)에 유지한 상태에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코일 스프링(53)의 타단부를 각 유지부(125)에 끼워 맞춤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각 코일 스프링(53)이 각 구멍부(121)에 끼워 맞춰서 주행륜(23)의 축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설치 오목부(129)에 기모부(113)의 시트부(113b)를 접착 고정한다. 이때, 시트부(113b)는 일단부가 설치 오목부(129)에 노출되는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주면(111a)에 고정되고, 설치 오목부(129)를 따라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주를 일주한 위치에서 타단부가 일단부에 인접해서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주면(111a)에 고정된다. 또한, 이 기모부(113)의 설치는 주행륜부(52)를 성형한 후에 행해도 좋다.
이 후, 도 17의 (a) 및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별도 조립한 케이스체(21)의 측부의 각 베어링부(61)에 각 축부(51)의 축부 본체(63)을 끼워 맞추게 해서 나사 보스부(69)를 삽입 관통 구멍(73)에 삽입 관통시켜, 누락 방지체(54)를 축부 본체(63) 내에 끼워 맞추게 해서 나사(97)를 나사 보스부(69)에 나사 고정하고, 각 축부(51)를 케이스체(21)의 베어링부(6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또한, 커버(55)의 각 갈고리부(101)를, 주행륜부(52)의 각 설치 구멍(122)에 일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커버(55)를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킴으로써, 각 갈고리부(101)가 각 설치 구멍(122)의 둘레 방향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 볼록부(133)에 각각 걸리게 됨으로써, 커버(55)가 주행륜부(52)에 고정된다.
그리고, 청소시에, 바닥 브러시(20)는 접속관(22)이 케이스체(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함으로써, 작업자가 파지부(17)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케이스체(21)측의 중량 밸런스, 예를 들면 모터 등의 중량에 의해, 연장관(19)에 접속된 접속관(22)에 대하여 케이스체(21)가 상대적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이 회동에 수반하여,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 위에 적재하려고 할 때에는, 케이스체(21)의 좌우 폭 방향 양측 중 어느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고, 케이스체(21)의 좌우 폭 방향 양측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는 주행륜(23)의 외측에 위치하는 피복부(112)의 외측 피복부(127)가 바닥면(F)에 최초에 접촉하고, 그 후, 케이스체(21)의 좌우 폭 방향 양측의 타방측이 바닥면(F)에 접촉한다. 따라서,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 위에 적재할 때에는, 주행륜부 본체(111)보다도 연질의 부재에서 형성된 피복부(112)(외측 피복부(127))가 바닥면(F)에 대하여 완충성을 확보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파지부(17)의 원하는 설정 버튼(18)을 조작해서 전동 송풍기(13)를 원하는 동작 모드에서 동작시킨 상태에서, 연장관(19)을 통해서 바닥 브러시(20)를 전후로 교대로 주행시킨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20)는 주행시에, 각 주행륜(23)의 기모부(113)의 기모(113a)가 바닥면(F)에 접촉해서 회전함으로써, 양호한 주행성을 얻을 수 있다.
즉, 바닥 브러시(20)를 전방으로 주행시킬 때에는, 작업자가 파지부(17)를 통해서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에 압박하도록 힘을 가한다. 이때, 각 주행륜(23)에서는 기모부(113)의 기모(113a)가 바닥면(F)에 가압되어서 저항이 되지만, 기모(113a) 자체는 선단측이 전방측에 경사지고 있기 때문에, 바닥면(F) 위를 전방으로 주행, 즉 각 주행륜(23)이 전방으로 회전할 때에는 저항이 되기 어렵다. 이 결과, 바닥 브러시(20)와 바닥면(F) 사이에서 적당한 저항이 발생하고, 각 주행륜(23)이 바닥면(F)에 대하여 헛돌거나 과잉으로 걸리거나 하지 않고 원활하게 전방으로 주행 가능하게 된다. 한편으로, 바닥 브러시(20)를 후방으로 주행시킬 때에는 작업자가 파지부(17)를 통해서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에서 후방 상측으로 끌어당기도록 힘을 첨가한다. 이때, 각 주행륜(23)에서는 기모부(113)의 기모(113a)가 바닥면(F)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되어 저항이 저감되지만, 기모부(113)의 기모(113a)의 선단측이 전방측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바닥면(F) 위를 후방으로 주행, 즉 각 주행륜(23)이 후방으로 회전할 때에 바닥면(F)에 대하여 기모(113a)가 걸려서 적당한 저항을 부여한다. 이 결과, 바닥 브러시(20)와 바닥면(F) 사이에서 적당한 저항이 발생하고, 각 주행륜(23)이 바닥면(F)에 대하여 헛돌거나 과잉으로 걸리거나 하지 않고 원활하게 후방으로 주행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주행륜부 본체(111)보다도 연질의 부재에 의해 형성한 피복부(112)에서 주행륜부 본체(111)의 적어도 축방향 외측부의 외주측을 덮음과 함께,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주측에, 선단측이 피복부(112)보다도 외주측으로 돌출되어 이 피복부(112)보다도 바닥면(F)에 대한 마찰이 작은 기모부(113)를 배치함으로써,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에 적재할 때에 접속관(22)을 중심으로서 상대적으로 케이스체(21)가 회동해도, 이 케이스체(21)의 양측에 위치하는 주행륜(23)의 피복부(112)(외측 피복부(127))가 바닥면(F)에 접촉하므로, 바닥면(F)과의 완충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에 적재할 때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주행시에는 기모부(113)의 기모(113a)가 바닥면(F)에 접촉하므로, 주행성을 확보하면서, 이 주행시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파지부(17)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 위에 적재하려고 할 때에는, 케이스체(21)측의 중량 밸런스, 예를 들면 모터 등의 중량에 의해, 연장관(19)에 접속된 접속관(22)(도 22)에 대하여 케이스체(21)가 상대적으로 회동하고, 케이스체(21)의 좌우 폭 방향 양측 중 어느 한쪽이 다른 쪽에 대하여 하측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이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에 적재할 때에는, 케이스체(21)의 양측 중 어느 한쪽이 다른 쪽보다도 먼저 바닥면(F)에 접촉하게 된다. 연질의 차륜부를 구비한 주행륜을 케이스체의 양측부에 설치한 종래의 바닥 브러시의 경우, 케이스체의 양측부의 어느 한쪽의 주행륜의 차륜부가 바닥면에 접촉함으로써, 충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차륜부가 연질이기 때문에, 바닥면과의 그립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주행성이 저하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플로어링 등의 바닥면을 주행할 때에 차륜부의 하측이 순차 바닥면에 부착하고, 이 부착한 부분이 바닥면으로부터 순차 박리됨으로써, 연속적으로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주행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차륜부를 경질하게 하면, 바닥면에 적재했을 때의 완충성이 충분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체(21)의 좌우 폭 방향 양측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는 주행륜(23)의 외측에 위치하여 주행륜부 본체(111)보다도 연질의 부재에서 형성된 피복부(112)의 외측 피복부(127)이 바닥면(F)에 최초로 접촉함으로써, 바닥면(F)에 대하여 완충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주행시에는 피복부(112)가 아닌 기모부(113)의 기모(113a)가 바닥면(F)에 접촉하므로, 피복부(112)를 바닥면(F)에 접촉시키는 경우와 비교해서 바닥 브러시(20)를 옆으로 미끄러지게 하기 쉬워져, 벽측 등으로 바닥 브러시(20)의 측부를 접근하기 쉬워지는 등, 주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피복부(112)의 외주면(외주면(127c, 128c))측에, 기모부(113)가 설치되는 설치 오목부(129)를 형성함으로써, 기모부(113)의 시트부(113b)의 단부면이 설치 오목부(129) 내에 위치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이 설치 오목부(129)에 의해 보호되므로, 기모부(113)가 주행륜부 본체(111) 및 피복부(112)에 대하여 시트부(113b)의 단부면 등으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각 주행륜(23)은 케이스체(21)의 양측부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특히 기모부(113)의 기모(113a)에 바닥면(F) 위의 진애가 부착되었을 경우 두드러지기 쉬워지지만, 기모부(113)를 폭 좁게 형성함으로써, 기모부(113)를 주행륜(23)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오염이 눈에 띄기 어렵다.
또한, 기모부(113)의 시트부(113b)를, 설치 오목부(129)에 노출된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주면(111a)에 접착함으로써, 예를 들면 주행륜부 본체(111)보다도 연질의 피복부(112)에 접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접착성이 양호해져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기모부(113)가 보다 박리되기 어려워진다. 특히, 시트부(113b)의 양단부를 주행륜부 본체(111)의 위치에 접착함으로써, 이것들 단부를 주행륜부(52)에 대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기모부(113)의 박리를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기모부(113)의 기모(113a)의 선단측을 케이스체(21)(바닥 브러시(20))의 전진시의 각 주행륜(23)의 회전 방향을 따라 쓰러뜨림으로써, 각 주행륜(23)(각 주행륜부(52))이 전방으로 회전할(바닥 브러시(20)의 케이스체(21)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기모(113a)를 바닥면(F)에 가압할 수 있지만 바닥면(F)에 대하여 저항이 되기 어렵고, 각 주행륜(23)(각 주행륜부(52))이 후방으로 회전할(바닥 브러시(20)의 케이스체(21)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바닥면(F)에는 가압할 수 없지만 기모(113a)가 바닥면(F)에 걸려서 적당한 저항을 부여하므로, 전후 어느 회전에 대해서도 각 주행륜(23)(각 주행륜부(52))과 바닥면(F) 사이에 적당한 저항을 부여해서 각 주행륜(23)(각 주행륜부(52))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양호한 주행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피복부(112)에는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측부에 위치하여 이 주행륜부 본체(111)와 끼워 맞추는 외측 끼워 맞춤 돌기부(127b)를 주행륜부 본체(111)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서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이들 외측 끼워 맞춤 돌기부(127b)에 의해 피복부(112)(외측 피복부(127))의 두께를 증가시켜서 피복부(112)에서의 바닥면(F)에 대한 완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피복부(127)는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에 적재할 때에 바닥면(F)과 접촉함으로써, 충격이 가해지기 쉬운 곳이므로, 충격에 의해 주행륜부 본체(111)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피복부(112)의 외측 피복부(127)에 외측 끼워 맞춤 돌기부(127b)를 형성함으로써, 이들 외측 끼워 맞춤 돌기부(127b)에 의해 주행륜부 본체(111)와 피복부(112)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이들 주행륜부 본체(111)와 피복부(112)를 서로 박리되기 어렵게 견고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외측 끼워 맞춤 돌기부(127b)는 주행륜부 본체(111)의 내주면과 대략 면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의장적으로 두드러지기 어렵고, 미관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없다.
또한, 케이스체(21)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부(51)와, 이 축부(51)와 주행륜부(52) 사이에 이들 축부(51)와 주행륜부(52)를 상대적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53)을 개재시킴으로서, 이들 코일 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바닥면(F)과의 완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에 적재할 때의 소음을 보다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주행륜부(52)가 장해물(O)에 충돌하면, 코일 스프링(53)에 의해 압박되면서 주행륜부(52)가 축부(51) 및 케이스체(21)에 대하여 이동해서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주행륜부(52)를 보다 연화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키는 등에 의해 주행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완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주행륜부(52)를 탄성 부재 등으로서 그의 두께를 증가시켜서 충분한 완충성을 얻고자 하는 경우 등에서는, 주행륜부(52)가 바닥면(F)에 접촉했을 때에, 바닥 브러시(20)의 자중에 의해 주행륜부(52)가 휘고, 바닥면(F)에 대한 접지 면적(그립력)이 커져서 주행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는 것에 대하여,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륜부(52)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코일 스프링(53)에 의해 큰 완충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으므로, 주행시에 주행륜부(52)가 휘어서 그립력이 커지는 경우가 없고, 보다 양호한 주행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바닥 브러시(20)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접속관(2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잡이 조작부(16)의 파지부(17)를 파지한 상태에서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 위에 적재할 때에 연장관(19)을 통해서 손잡이 조작부(16)측에 고정된 접속관(22)에 대하여 케이스체(21)의 전방측이 케이스체(21)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하고(도 24의 실선), 케이스체(21)의 전방측으로부터 바닥면(F)에 접지하려고 한다. 이로 인해, 주행륜(23)의 중심 위치, 즉 케이스체(21)의 베어링부(61)에 축지지되는 주행륜(23)의 축부(51)의 위치를, 접속관(22)의 회동 축의 중심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위치시킴으로써,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에 적재할 때에 주행륜(23)의 기모부(113)이 케이스체(21)보다도 먼저 바닥면(F)에 접지하므로, 바닥 브러시(20)를 바닥면(F) 위에 적재할 때의 충격을 주행륜(23)의 기모부(113)에 의해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행륜(23)은 코일 스프링(53)을 사용하지 않고, 축부(51)의 외주측과 주행륜부(52)의 내주측 사이의 전체 둘레에, 도 26에 나타내는 제5 실시 형태와 같이, 예를 들면 고무, 판 스프링,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가요 부재)에 의해 환상으로 형성된 압박 수단(135)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주행륜부(52)를 케이스체(21)에 대하여 직접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해도 좋다.
또한, 피복부(112)는 적어도 주행륜부 본체(111)의 외주측의 외측부를 덮도록 구성하면 좋다. 즉, 피복부(112)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외측 피복부(127)만의 구성 등이라도 좋다.
또한, 마찰 저감부로서는, 피복부(112)보다도 바닥면(F)에 대하여 마찰이 작은 것이면, 기모부(113)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천 등의 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11)의 세부는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캐니스터형의 전기 청소기(11)뿐만 아니라, 세로 길이의 청소기 본체(12)의 하부에 바닥 브러시(20)를 접속한 업라이트형의 전기 청소기 등, 임의의 전기 청소기에서도 대응시킬 수 있다.
11 전기 청소기
12 청소기 본체
13 전동 송풍기
20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
21 케이스체
22 접속관
22a 회동축
23 회전체 유닛으로서의 주행륜
25 전방 커버
32 회전 청소체로서의 회전 브러시
51 축부
52 회전체부로서의 주행륜부
53 압박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
55 커버
82 축부 규제부
86 회전체부 규제부로서의 주행륜부 규제부
91 구멍부
105,135 압박 수단
111 회전체부 본체로서의 주행륜부 본체
112 피복부
113 마찰 저감부로서의 기모부
113a 기모
127b 피복부 끼워 맞춤부로서의 외측 끼워 맞춤 돌기부
129 설치 오목부

Claims (8)

  1. 흡입구체로서,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적어도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접속관과,
    상기 케이스체의 양측부에 설치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체보다도 전방측에 돌출하는 회전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 유닛은
    상기 케이스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축부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부의 주위에 위치함과 동시에 중심 위치가 상기 접속관의 회동축의 중심 위치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며, 주행면에 접지 가능한 회전체부와,
    상기 축부와 상기 회전체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체 유닛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상기 회전체부를 상기 축부에 대하여 압박하는 압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부는 상기 케이스체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장해물과의 충돌에 의해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에 저항하여 상기 케이스체와 상기 축부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흡입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에 피청소면에 대향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청소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 유닛은 상기 회전 청소체와 동축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흡입구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수단은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 흡입구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와 상기 회전체부는 축방향의 위치가 서로 규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흡입구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복수의 축부 규제부를 갖고,
    상기 회전체부는
    상기 각 축부 규제부를 삽입 관통 가능한 복수의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축부 규제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축부와 상기 회전체부와의 축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회전체부 규제부를 갖고,
    상기 압박 수단은 상기 구멍부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흡입구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유닛은 상기 압박 수단을 덮는 투명한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흡입구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의 전방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체 유닛보다도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흡입구체.
  8. 전기 청소기로서,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 접속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흡입구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KR1020137016419A 2009-05-29 2010-04-19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KR101322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31450A JP5380160B2 (ja) 2009-05-29 2009-05-29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JP-P-2009-131450 2009-05-29
JPJP-P-2009-193565 2009-08-24
JP2009193565A JP5537090B2 (ja) 2009-08-24 2009-08-24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PCT/JP2010/056914 WO2010137425A1 (ja) 2009-05-29 2010-04-19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519A Division KR101368516B1 (ko) 2009-05-29 2010-04-19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479A KR20130083479A (ko) 2013-07-22
KR101322580B1 true KR101322580B1 (ko) 2013-10-28

Family

ID=432225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519A KR101368516B1 (ko) 2009-05-29 2010-04-19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KR1020137016419A KR101322580B1 (ko) 2009-05-29 2010-04-19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519A KR101368516B1 (ko) 2009-05-29 2010-04-19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36292B1 (ko)
KR (2) KR101368516B1 (ko)
RU (1) RU2498762C2 (ko)
WO (1) WO20101374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8771B2 (en) * 2017-08-31 2022-10-04 Sharkninja Operating Llc Wheels having shock absorbing characteristics and 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777A (ko) * 1997-03-19 1998-11-05 최진호 진공청소기
JPH11206633A (ja) * 1998-01-26 1999-08-03 Kowa:Kk 掃除機用床ノズルの車輪
JP2002209810A (ja) * 2001-01-22 2002-07-30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3347A (en) * 1936-10-21 1937-03-09 Quadrex Corp Collapsible wheel for vacuum cleaners
KR910007689Y1 (ko) * 1989-04-11 1991-09-30 이응순 충격흡수용 차륜스포크 (spoke)
JP3063130B2 (ja) * 1990-09-10 2000-07-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床ノズル
JPH0493051U (ko) * 1990-12-28 1992-08-13
US5222786A (en) * 1992-01-10 1993-06-29 Royal Appliance Mfg. Co. Wheel construction for vacuum cleaner
JPH05245072A (ja) * 1992-03-09 1993-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US5509171A (en) * 1994-12-07 1996-04-23 Zejda; Frantisek Vacuum cleaner bumper system
SE503784C2 (sv) * 1994-12-12 1996-09-02 Electrolux Ab Hjul för ett dammsugarmunstycke eller för en dammsugare
JPH10243897A (ja) * 1997-03-05 1998-09-14 Sharp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3877411B2 (ja) 1997-12-19 2007-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床用吸込具
JP2003061873A (ja) * 2001-08-28 2003-03-04 Akihiro Higashinaka 掃除機ノズル本体の横面に、フリーの回転体がついた掃除機ノズル。
JP2003033301A (ja) * 2002-07-22 2003-02-04 Eiichi Omori 真空掃除機用床ノズル
JP2004344239A (ja) * 2003-05-20 2004-12-09 Toshiba Tec Corp 回転清掃体および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DE102005037952A1 (de) * 2005-08-11 2007-02-15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An dem Chassis eines Gerätes befestigtes Kunststoff-Laufrad
JP4818327B2 (ja) * 2008-07-31 2011-11-16 三洋電機株式会社 床用吸込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777A (ko) * 1997-03-19 1998-11-05 최진호 진공청소기
JPH11206633A (ja) * 1998-01-26 1999-08-03 Kowa:Kk 掃除機用床ノズルの車輪
JP2002209810A (ja) * 2001-01-22 2002-07-30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6292A1 (en) 2012-04-04
KR101368516B1 (ko) 2014-02-27
RU2498762C2 (ru) 2013-11-20
KR20120024596A (ko) 2012-03-14
EP2436292A4 (en) 2012-11-07
KR20130083479A (ko) 2013-07-22
RU2011148352A (ru) 2013-07-10
EP2436292B1 (en) 2013-12-18
WO2010137425A1 (ja) 201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8156B2 (en) Suction brush assembly having rotation roller for sweeping dust
JP5970732B2 (ja) 移動ロボット床掃除機のための駆動配置
CA2169591C (en) Machine for caring for floors such as a floor cleaning machine and such as especially a carpet cleaning machine
JP2004141536A (ja) 床用吸込具
US20060260087A1 (en) Robot cleaner
JP3594175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KR101322580B1 (ko) 흡입구체 및 전기 청소기
CA2586324C (en) Brush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EP3731714A1 (en) Cleaning apparatus with selectable combing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ller
JP5380160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US20190191947A1 (en) Cleaning apparatus with selectable combing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ller
KR100572156B1 (ko) 흡입구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JP3151746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5537090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3594173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2004141539A (ja) 床用吸込具
CN219331548U (zh) 一种越障轮装置及清洁机器人
JP4147551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み具
JP7198685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3594174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3149160B2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08253853A (ja) 床用吸込具
JP2006068547A (ja) 電気掃除機
JP359417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4194630B2 (ja) 床用吸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