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315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315B1
KR101322315B1 KR1020070029387A KR20070029387A KR101322315B1 KR 101322315 B1 KR101322315 B1 KR 101322315B1 KR 1020070029387 A KR1020070029387 A KR 1020070029387A KR 20070029387 A KR20070029387 A KR 20070029387A KR 101322315 B1 KR101322315 B1 KR 101322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foam liquid
liquid flow
plastic foam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7325A (ko
Inventor
김영배
김경도
강지훈
윤형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315B1/ko
Priority to CN2007800531174A priority patent/CN101680707B/zh
Priority to US12/593,244 priority patent/US8500225B2/en
Priority to PCT/KR2007/004287 priority patent/WO2008117911A1/en
Publication of KR2008008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29C44/355Characteristics of the foam, e.g. having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o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냉동실과 냉장실 사이의 분리벽에 형성되는 플라스틱폼을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폼에는 상기 분리벽 내부를 충전하는 발포액으로 채워지는 발포액유동부 및 상기 플라스틱폼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무게감소부를 형성하여, 플라스틱폼의 재료 및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냉장고의 분리벽에 플라스틱폼을 접착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제 내지 공정이 필요하지 않은 플라스틱폼을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플라스틱폼, 발포액유동부, 무게감소부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냉장고의 분리벽에 사용되는 플라스틱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냉장고의 분리벽에 사용되는 플라스틱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냉장고 101: 냉동실
102: 냉장실 103: 분리벽
110,120: 플라스틱폼 111,121: 발포액유동부
112: 유동입구 113,123: 연통공
114,124: 무게감소부 116,126: 혼합지연부
117,127 : 유동속도감소부 125: 발포액유로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냉동실과 냉장실을 분리하는 분리벽 부근의 외판에서 굴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폼을 포함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그 내부가 분리벽에 의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로 구획되어 상기 냉동실은 음식물과 같은 저장물을 냉동 보관할 수 있도록 그 내부온도를 매우 낮게 하고, 냉장실은 상기 저장물을 냉동시키지는 아니하되 그 신선함이 유지될 수 있을 정도의 저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 사이에 형성되어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분하는 상기 분리벽은 그 내부에 폴리우레탄 발포폼으로 충전되거나, 따로 제작된 플라스틱 폼을 사용하여 분리벽의 내부를 채우게 된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발포폼을 냉동실과 냉장실의 분리벽으로 사용하면 폴리우레탄 발포폼이 수축하면서 상기 분리벽 부근의 외판에 굴곡이 발생하여 냉장고의 외관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굴곡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서포터 등의 추가 부품을 사용해야 했다.
또한, 플라스틱폼을 사용하여 분리벽을 채우는 경우에는 외판에 굴곡이 생기는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상기 플라스틱 폼 제작을 위한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고, 상기 플라스틱 폼을 냉장고의 분리벽 내부에 부착에 따른 비용으로 인하여 냉장고의 전체적인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재료 절감을 통하여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냉장고의 분리벽에 접착 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은 플라스틱폼을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분하는 분리벽의 외판에 굴곡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동실과 냉장실 사이의 분리벽에 형성되는 플라스틱폼을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폼에는, 상기 분리벽 내부를 충전하는 발포액으로 채워지는 발포액유동부; 및 상기 플라스틱폼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무게감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플라스틱폼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제 없이 발포액을 이용하여 플라스틱폼을 분리벽의 내부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폼에는 상기 발포액유동부로 상기 발포액을 유입하기 위한 유동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분리벽 내부를 충전하는 발포액은 상기 플라스틱폼의 발포액유동부로 용이하게 유입되어 플라스틱폼을 분리벽 내부에 장착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발포액유동부에는 상기 발포액을 상기 무게감소부가 형성된 면으로 보내기 위한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발포액은 상기 연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발포액유동부에서 상기 무게감소부 측으로 유동한다. 이로 인해, 상기 발포액유동부 측으로만 발포액을 유입시키더라도 상기 무게감소부가 형성된 측으로 발포액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폼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위해서는 상기 플라스틱폼의 양면 또는 모든 둘레에 발포액이 유입되어야 하는데, 상기 연통공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플라스틱폼의 양면으로 발포액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게감소부가 형성된 면에 상기 발포액을 상기 발포액유동부로 유입하기 위한 발포액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발포액유동부에는 상기 발포액 유로를 통하여 유입된 상기 발포액을 상기 발포액유동부 측으로 보내기 위한 연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발포액유로를 통해 유입된 상기 발포액을 상기 연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무게감소부 측에서 상기 발포액유동부로 보내기 위함이다. 이는, 상기 플라스틱폼의 양면이 모두 상기 발포액과 접하게 하여 그 부착을 확실히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발포액유동부는 상기 플라스틱폼의 일면에 요입 형성되며, 상기 무게감소부는 상기 플라스틱폼의 타면에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라스틱폼의 일면에 상기 무게감소부를 요입 형성하고, 그 반대면에 상기 발포액유동부를 요입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라스틱폼의 재료를 절감하고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요입된 부분에 상기 발포액이 충전됨으로써 단열성능 및 분리벽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발명의 목적과 특징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 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냉장고의 분리벽에 사용되는 플라스틱폼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냉장고의 분리벽에 사용되는 플라스틱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0)는 냉동실(101)과 냉장실(10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냉동실(101)과 냉장실(102)은 분리벽(103)에 의해서 공간적으로 분리된다.
냉동실(101)과 냉장실(102)의 공간적으로 배치하는 방식 즉 상하 배열 또는 좌우배열에 상관없이, 상기 분리벽(103)은 냉동실(101)과 냉장실(102)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분리벽(103)은 그 내부에 폴리우레탄 발포액이 충전되며 진공단열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포액이 수축되는 과정에서 분리벽(103)의 외판이 발포액에 붙어서 안쪽으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라스틱폼이 설치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폼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상기 플라스틱폼(110)을 상부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플라스틱폼(110)을 하부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며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폼(110)은, 폴리우레탄 발포액이 흘러가도록 하기 위한 발포액유동부(111)와, 플라스틱폼(110)의 재료 및 무게를 줄이기 위해 형성된 무게감소부(114)를 포함하여 구 성된다. 상기 플라스틱폼(110)은 폴리우레탄,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계열 등을 사용한다.
상기 발포액유동부(111)는 플라스틱폼(110)의 상면(110a)에 요입 형성된다. 발포액유동부(111)의 요입된 깊이는 발포액이 발포액유동부(111)의 전체 면적이 골고루 유동될 수 있도록 적당한 값을 가져야 한다. 발포액유동부(111)의 깊이가 너무 작으면 폴리우레탄 발포액이 미충전될 수 있으며 너무 크면 발포액의 증가로 인해 냉장고(100)의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발포액유동부(111)는 최소 5mm 이상의 깊이를 가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발포액은 곧장 발포액유동부(111) 내에서 충전되는 것이 아니라 분리벽(103)의 내부에 충전된 발포액이 플라스틱폼(110)의 발포액유동부(111)로 공급되는 것이기 때문에, 발포액유동부(111) 내부로 발포액을 효과적으로 유입하기 위해서 플라스틱폼(110)에는 발포액 유동입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포액 유동입구(112)는 요입 형성된 발포액유동부(111)와 연통되도록 발포액유동부(111)가 형성된 측에 구비되며, 유동입구(112)는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 발포액유동부(111)의 양측에 형성된 유동입구(112)로부터 양쪽에서 발포액이 유입되면 충전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유동입구(112)의 폭은 폴리우레탄 발포액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는 값으로 설계해야 한다. 유동입구(112)의 폭이 너무 크면 발포액이 수축하면서 분리벽(103)의 외판에 굴곡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유동입구(112)는 최소 10mm 이상, 최대 50mm 이하의 폭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상기 발포액유동부(111)에는 플라스틱폼(110)의 하면(110b) 쪽으로 발포액을 보내기 위한 연통공(113)이 적어도 2개 이상 관통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유동입구(112)에서 유입되는 발포액이 갑자기 혼합됨으로써 기포 등이 발생하여 미충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통공(113)의 사이에는 혼합지연부(116)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지연부(116)는 발포액유동부(111)를 가로질러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혼합지연부(116)가 발포액유동부(111)를 완전히 분할하는 것은 아니며, 발포액이 혼합을 서서히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혼합지연부(116)의 일단은 플라스틱폼(110)의 상면(110a)과 이격되어 있다. 이 이격된 틈을 따라 발포액은 서로 혼합된다. 이 때, 이 이격된 틈으로 유입되는 발포액의 유동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속도감소부(117)가 플라스틱폼(110)의 상면(110a) 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라스틱폼(110)의 하면(110b) 쪽에는 무게감소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무게감소부(114)는 플라스틱폼(110)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플라스틱폼(110)의 하면(110b)으로부터 요입 형성되어 있을 뿐, 플라스틱폼(110)의 상면(110a)과 관통되는 것은 아니다. 무게감소부(114)는 복수개 형성되며 플라스틱폼(110)의 하면(110b) 전체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벽(103) 내부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폼(110)을 설치하면, 분리벽(103) 내부에 충전된 발포액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선 화살표와 같이 유동입구(112)를 통해 발포액유동부(111)를 먼저 채우고 난 후, 연통공(113)을 통해 무게감소부(114)가 형성된 하면(110b) 쪽으로 흐른다.
발포액이 플라스틱폼(110)과 냉장고(100)의 분리벽(103) 사이에 스며들어 가는 면적은 분리벽(103)의 구조강도와 관계가 있다. 플라스틱폼(110)과 분리벽(103) 사이를 채우는 발포액의 면적이 플라스틱폼(110)의 면적에 비하여 매우 작으면 플라스틱폼(110)이 고정되는 구조강도가 약해진다. 이러한 구조강도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전체 플라스틱폼(110)의 표면적의 50% 이상이 발포액과 접촉하여야 한다.
한편, 발포액이 스며들기 전에 발포액유동부(111)에 공기가 존재하게 되는데, 발포액을 유입하면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통로(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배출을 위한 통로를 따로 형성하지 않고 플라스틱폼(110)과 분리벽(103)의 전면에 3mm 이하의 갭(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갭을 통해 공기를 배출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폼(120)의 다른 실시예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발포액유동부(121)는 플라스틱폼(120)의 상면(120a)에 요입 형성되고, 무게감소부(124)가 플라스틱폼(120)의 하면(120b)에 요입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무게감소부(124)는 플라스틱폼(120)의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플라스틱폼(120)의 하면(120b)으로부터 요입 형성되어 있을 뿐, 플라스틱폼(120)의 상면(120a)과 관통되는 것은 아니다. 무게감소부(124)는 복수개 형성되며 플라스틱폼(120)의 하면(120b) 전체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발포액유동부(121)는 플라스틱폼(120)의 상면(120a)에 요입 형성된다. 발포액유동부(121)의 깊이가 너무 작으면 폴리우레탄 발포액이 미충전될 수 있으며 너무 크면 발포액의 증가로 인해 냉장고(100)의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발포액유동부(121)는 최소 5mm 이상의 깊이를 가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무게감소부(124)가 형성된 하면(120b)에는, 발포액을 발포액유동부(121)로 유입하기 위한 발포액유로(125)가 형성된다. 상기 발포액유로(125)는 도 2에 도시된 유동입구(112)에 대응하는 구성이다. 상기 발포액유로(125)는 플라스틱폼(120)의 하면(120b)을 가로질러서 형성되며, 이로 인해 분리벽(103) 내부에 충전된 발포액이 발포액유로(125)를 따라 양쪽에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발포액유로(125)의 폭은 발포액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는 값으로 설계해야 한다. 발포액유로(125)의 폭이 너무 크면 발포액이 수축하면서 분리벽(103)의 외판에 굴곡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발포액유로(125)는 최소 10mm 이상, 최대 50mm 이하의 폭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한편, 상기 발포액유동부(121)에는 플라스틱폼(120)의 하면(120b)에 형성된 발포액유로(125)를 통하여 유입된 발포액을 발포액유동부(121)로 보내기 위한 연통공(123)이 적어도 2개 이상 관통형성되어 있다. 연통공(123)을 통해 유입된 발포액이 갑자기 혼합됨으로써 기포 등이 발생하여 미충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통공(123)의 사이에는 혼합지연부(126)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지연부(126)는 발포액유동부(121)를 가로질러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혼합지연부(126)가 발포액유동부(121)를 완전히 분할하는 것은 아니며, 발포액이 혼합을 서서히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혼합지연부(126)의 일단은 플라스틱폼(120)의 상면(120a)과 이격되어 있다. 이 이격된 틈을 따라 발포액은 서로 혼합된다. 이 때, 이 이격된 틈을 지나면서 갑자기 유로가 좁아져 발포액의 유동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속도감소부(127)가 플라스틱폼(120)의 상면(120a) 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벽(103) 내부에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폼(120)을 설치하면, 분리벽(103) 내부에 충전된 발포액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선 화살표와 같이 발포액유로(125)를 통해 플라스틱폼(120)의 하면(120b) 쪽을 먼저 채운 후 연통공(123)을 통해 발포액유동부(121)를 채우게 된다.
발포액이 플라스틱폼(120)과 냉장고(100)의 분리벽(103) 사이에 스며들어 가는 면적은 분리벽(103)의 구조강도와 관계가 있다. 플라스틱폼(120)과 분리벽(103) 사이를 채우는 발포액의 면적이 플라스틱폼(120)의 면적에 비하여 매우 작으면 플라스틱폼(120)이 고정되는 구조강도가 약해진다. 이러한 구조강도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전체 플라스틱폼(120)의 표면적의 50% 이상이 발포액과 접촉하여야 한다.
발포액이 스며들기 전에 발포액유동부(121)에 공기가 존재하게 되는데, 발포액을 유입하면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통로(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배출을 위한 통로를 따로 형성하지 않고 플라스틱폼(120)과 분리벽(103)의 전면에 3mm 이하의 갭(미도시)을 형성하고 이 갭을 통해 공기를 배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상하로 형성된 냉장고(10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플라스틱폼(110,120)은 상하영 냉장고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냉 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형성된 양문형 냉장고 또는 김치냉장고 등 다양한 냉장냉동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요입 형성된 발포액유동부와 무게감소부를 각각 상면 및 하면에 구비한 플라스틱폼을 냉동실과 냉장실의 분리벽에 형성함으로써, 플라스틱폼의 재료 및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냉장고의 분리벽에 플라스틱폼을 접착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제 내지 공정이 필요하지 않은 플라스틱폼을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분하는 분리벽 내부에 플라스틱폼을 형성함으로써 분리벽의 외관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냉동실과 냉장실 사이의 분리벽에 형성되는 플라스틱폼을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폼은 상면 및 하면을 구비하고,
    상기 플라스틱폼에는, 상기 상면에 요입 형성되고 상기 분리벽 내부를 충전하는 발포액으로 채워지는 발포액유동부;
    상기 플라스틱폼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상기 플라스틱폼의 하면에 요입 형성되는 무게감소부;
    상기 상면 및 하면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게 상기 발포액 유동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통공; 및
    상기 복수의 연통공 사이에 상기 발포액 유동부를 가로질러 상기 발포액 유동부의 측벽과 이격된 틈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된 틈을 통해 상기 발포액이 혼합되게 하여 상기 발포액의 혼합을 지연시키는 혼합지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폼에는, 상기 발포액유동부로 상기 발포액을 유입하기 위한 유동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액 유동부는 상기 상면에 요입 형성되고,
    상기 무게감소부는 상기 하면에 요입 형성되며,
    상기 발포액은 상기 연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발포액유동부에서 상기 무게감소부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액 유동부 및 상기 무게감소부는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무게감소부가 형성된 면에는, 상기 발포액을 상기 발포액유동부로 유입하기 위한 발포액 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액 유동부는 상기 상면에 요입 형성되고,
    상기 무게감소부는 상기 하면에 요입 형성되며,
    상기 발포액유로를 통해 유입된 상기 발포액은, 상기 연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무게감소부 측에서 상기 발포액유동부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 제2항, 제4항, 제5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폼에는 상기 혼합지연부에 의하여 상기 상면과 이격된 틈 사이로 유동하는 발포액의 유동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상기 혼합지연부의 일 측에 절취 형성되는 유동속도감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70029387A 2007-03-26 2007-03-26 냉장고 KR101322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387A KR101322315B1 (ko) 2007-03-26 2007-03-26 냉장고
CN2007800531174A CN101680707B (zh) 2007-03-26 2007-09-05 冰箱用加强部件
US12/593,244 US8500225B2 (en) 2007-03-26 2007-09-05 Reinforcing component for refrigerator
PCT/KR2007/004287 WO2008117911A1 (en) 2007-03-26 2007-09-05 Reinforcing component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387A KR101322315B1 (ko) 2007-03-26 2007-03-2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325A KR20080087325A (ko) 2008-10-01
KR101322315B1 true KR101322315B1 (ko) 2013-10-25

Family

ID=4014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387A KR101322315B1 (ko) 2007-03-26 2007-03-26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3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138A (ja) * 1993-10-25 1995-05-12 Hitachi Ltd 真空断熱箱体
JPH08145553A (ja) * 1994-11-18 1996-06-07 Sanyo Electric Co Ltd 冷凍冷蔵庫
JPH11132645A (ja) * 1997-10-31 1999-05-21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2000193363A (ja) 1998-12-25 2000-07-14 Toshiba Corp 冷蔵箱体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138A (ja) * 1993-10-25 1995-05-12 Hitachi Ltd 真空断熱箱体
JPH08145553A (ja) * 1994-11-18 1996-06-07 Sanyo Electric Co Ltd 冷凍冷蔵庫
JPH11132645A (ja) * 1997-10-31 1999-05-21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JP2000193363A (ja) 1998-12-25 2000-07-14 Toshiba Corp 冷蔵箱体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325A (ko)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277B1 (ko) 냉장고
EP3156748B1 (en) Air-cooled refrigerator
KR100819085B1 (ko) 냉장고
JP2009115368A (ja) 冷蔵庫
CN202274695U (zh) 一种用于冰箱的隔板和设置有该隔板的冰箱
US8366219B2 (en) Foam inserts for refrigerator cabinet
JP7335681B2 (ja) 冷蔵庫
KR101322315B1 (ko) 냉장고
CN106196859B (zh) 冰箱
JP2010071556A (ja) 冷蔵庫
JPH0861837A (ja) 断熱箱体
CN108716809B (zh) 一种冷柜通用箱体组件及冷柜
CN211372889U (zh) 制冷装置
JP2014043987A (ja) 冷蔵庫
CN210004655U (zh) 冰箱
JP2009115369A (ja) 冷蔵庫
CN209588488U (zh) 冰箱
CN114719518B (zh) 冰箱
WO2014199665A1 (ja) 断熱箱体
JP4835348B2 (ja) 冷蔵庫
KR100415822B1 (ko) 냉장고
KR100389388B1 (ko) 용적가변형 냉장고
JP2023077966A (ja) 冷蔵庫
CN103673473A (zh) 具有横梁的制冷器具
CN209770130U (zh) 整体发泡的保温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