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1131B1 -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1131B1
KR101321131B1 KR1020060066354A KR20060066354A KR101321131B1 KR 101321131 B1 KR101321131 B1 KR 101321131B1 KR 1020060066354 A KR1020060066354 A KR 1020060066354A KR 20060066354 A KR20060066354 A KR 20060066354A KR 101321131 B1 KR101321131 B1 KR 101321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delete delete
details
fulfillment
ord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951A (ko
Inventor
이재식
김용갑
안상선
이재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6/00445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055487A1/en
Publication of KR2007004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1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1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주문자가 주문 대행 운영사에 접속하여 마일리지 카드 정보를 제공하고 주문을 접수하면 마일리지 포인트를 결제 금액에 따라 적립하도록 하여 주문 접수를 유인하고, 주문 내역을 주문 대상 업체로 전송하도록 하며, 주문에 따른 물품이 배달된 후에는 해피콜을 통하여 주문자의 물품에 대한 품질 만족도를 조사하여 주문 대상 업체의 품질을 관리할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문 중개 서비스, 포인트 적립

Description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On-line order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에 이용되는 주문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단말기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n : 주문자 11a~11n : 전화기
12a~12n : 클라이언트 단말기 20 : 주문 대행 운영자
21 : 콜센터 22 : 주문 대행 서버
23 : 주문 내역 관리 데이터베이스 24 : 마일리지 카드 서버
25 : 마일리지 포인트 관리 데이터베이스
30 : 교환기 40a~40n : 주문 대상 업체
42a~42n : 전화기 50a~50n : 단말기
본 발명은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주문자가 주문 대행 운영사에 접속하여 마일리지 카드 정보를 제공하고 주문을 접수하면 마일리지 포인트를 결제 금액에 따라 적립하도록 하여 주문 접수를 유인하고, 주문 내역을 주문 대상 업체로 전송하도록 하며, 주문에 따른 물품이 배달된 후에는 해피콜을 통하여 주문자의 물품에 대한 품질 만족도를 조사하여 주문 대상 업체의 폼질을 관리할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거의 전 세계의 모든 컴퓨터들이 연결되어 구성된 거대한 하나의 통신망으로, 서비스제공자는 전세계의 네티즌을 대상으로 자신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네티즌, 즉 인터넷주문자들은 넷스케이프나 익스플로러와 같은 웹브라우저를 구동시켜 서비스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컨텐츠와 서비스들을 거의 시간 적 공간적 제약없이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은 매우 다양하고 넓은 대상을 고객으로 영업이 가능하며, 고객 또한 많은 업체를 비교해 가면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는 업체의 물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소비자와 판매자를 중개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인터넷 주문대행(注文代行)방법들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즉 지금까지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는 물품주문 대행방법은 대개 구매자가 여러 쇼핑몰에서 상품을 비교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직접 쇼핑몰에 접근하지 않고도 비교쇼핑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을 주문대행 처리함으로써 소비자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는 다양한 물품중에서 선택이 곤란한 경우에는 매우 편리하나, 항상 동일한 물품을 거의 동일한 업체에 주문하게 되는 배달(配達)물품의 경우에는 타당한 방법은 아니다.
왜냐하면 생수 또는 연료(석유, 가스), 음식물과 같은 배달물품의 경우에는 매번 주문한 업체에 다시 주문하게 되므로 주문물품 및 주문대상업체를 선택함에 있어 큰 갈등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지금까지 오프라인(off-line)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배달주문은 주문자가 대개 주문대상업체에 직접 전화를 걸어 주문하는 실정이어서 주문자의 입장에서는 전화비용의 부담은 물론, 주문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야 하고, 주문대상업체에 매번 자신을 인식시켜야 하고 물품배달장소를 알려줘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더구나 종래의 방법은 주문자 혼자 주문대상업체를 상대하는 셈이 되므로 가격협상시나 서비스향상의 요구시에 주문자는 약자의 입장에 설 수 밖에 없는 폐단을 갖게되는 것이다.
또한 주문자의 주문을 직접 받게되는 주문대상업체 역시 주문자 하나하나를 직접 상대하여야 하므로 일관성있는 주문이 곤란하게 되며, 또한 담당직원이 주문내역과 주문자정보를 일일히 기재하여야 하므로 주문접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폐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주문 접수 처리 과정이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주문자에게 원하는 주문 물품이 신속히 배달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자에게 마일리지 포인트를 제공하거나 경품들을 제공하여 서비스 이용을 유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피콜 또는 온라인 사이트를 사용하여 주문 물품에 대한 만족도를 주문자에게 확인하여 주문대상업체의 품질을 파악 관리함으로써 대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자가 여러 주문 물품을 한번에 주문 가능하도록 하여 주문자에게 편리한 주문이 가능하도록 하는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 대상 업체에서 담당직원이 수기로 주문내역을 기록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통신모드나 일반전화모드로의 전환을 자동으로 수행하므로서 하나의 전화회선을 이용해 상품주문정보의 수신과 일반 전화사용이 불편없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문자가 접속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마일리지 카드 번호를 제공하고 주문을 하면 주문을 접수하고 마일리지 포인트를 적립하는 주문 대행 운영 장치;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로부터 주문 내역이 수신되면 주문 내역을 주문 대상 업체측으로 전송하는 주문 내역 전송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자가 접속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주문을 접수하는 주문 대행 운영 장치;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로부터 주문 내역이 수신되면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가 접수한 주문 내역을 주문 대상 업체측으로 팩스 데이터로 팩스톤 신호와 함께 전화망으로 전송하는 주문 내역 전송 장치; 및 상기 주문 내역 전송 장치로부터 전화망을 통하여 팩스톤 신호와 팩스 데이터가 수신되면 팩스톤 신호를 감지하여 음성 모드 상태에 있을 때 팩스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주문 내역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주문 대상 업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자가 접속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주문을 접수하는 주문 대행 운영 장치;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로부터 주문 내역이 수신되면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가 접수한 주문 내역을 주문 대상 업체측으로 인터넷망으로 전송하는 주문 내역 전송 장치; 및 상기 주문 내역 전송 장치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송한 주문 내역을 수신하여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주문 대상 업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자가 접속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주문을 접수하는 주문 대행 운영 장치;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로부터 주문 내역이 수신되면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가 접수한 주문 내역을 주문 대상 업체측으로 인터넷망으로 전송하는 주문 내역 전송 장치; 및 상기 주문 내역 전송 장치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송한 주문 내역을 수신하여 프린트로 출력하는 주문 대상 업체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 대행 운영 장치가 접속망을 통하여 주문자가 접속하여 마일리지 카드 번호를 제공하고 주문을 하면 주문을 접수하고 마일리지 포인트를 적립하는 제 1 단계; 주문 내역 전송 장치가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로부터 주문 내역이 수신되면 주문 대상 업체측으로 주문 내역을 전송하는 제 2 단계를 포 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 대행 운영 장치가 주문자가 접속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주문을 접수하는 제 1 단계; 주문 내역 전송 장치가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로부터 주문 내역이 수신되면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가 접수한 주문 내역을 주문 대상 업체측으로 팩스 데이터로 팩스톤 신호와 함께 전화망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주문 대상 업체 장치가 상기 주문 내역 전송 장치로부터 전화망을 통하여 팩스톤 신호와 팩스 데이터가 수신되면 팩스톤 신호를 감지하여 음성 모드 상태에 있을 때 팩스 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주문 내역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 대행 운영 장치가 주문자가 접속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주문을 접수하는 제 1 단계; 주문 내역 전송 장치는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로부터 주문 내역이 수신되면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가 접수한 주문 내역을 주문 대상 업체측으로 인터넷망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주문 대상 업체 장치는 상기 주문 내역 전송 장치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송한 주문 내역을 수신하여 모니터 화면에 표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문 대행 운영 장치는 주문자가 접속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주문을 접수하는 제 1 단계; 주문 내역 전송 장치가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로부터 주문 내역이 수신되면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가 접수한 주문 내역을 주문 대상 업체측으로 인터넷망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주문 대상 업체 장치는 상기 주문 내역 전송 장치로부터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송한 주문 내역을 수신하여 프린트로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도 1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중개 서비스의 개념도로서, 주문자(10), 주문대행 운영자(20), 주문 내역 전송 장치(30), 주문 대상 업체(40)로 이루어져 있다.
주문자(10)는 음식물이나 연료 등의 주문을 원하는 경우에 주문 대행 운영자(20)의 특정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주문 대행 운영자(20)의 콜센터(call center)에 접속하거나 주문 대행 운영자(20)의 특정 운영 사이트에 접속하여 주문을 할 수 가 있다.
이때, 주문자(10)는 주문자 성명, 마일리지 카드의 카드번호, 주문을 원하는 물품명, 주문 물품 수량, 주문을 원하는 지역의 주소, 연락처, 희망 배달 시간 등을 주문 대행 운영자(20)에게 알려준다. 물론, 주문 대행 운영자(20)가 선결제를 지원하는 경우에 주문자(10)는 선결제를 하기 위하여 신용카드/직불카드 결제시에는 신용카드/직불 카드 정보를 제공하며,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시에는 휴대폰 번호 등을 제공하고, 마일리지 카드의 포인트 결제를 원하는 경우에는 그 의사를 표현하여 선결제를 할 수가 있다.
또한, 주문자(10)는 주문을 원하는 물품이 여러개가 있는 경우에도 한번에 여러 물품을 주문할 수가 있다(일명 one time 주문). 그리고, 여기에서 주문자(10)가 이용할 수 있는 주문 대행 운영자(20)와의 접속망으로는 전화망과 인터넷망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디지털 텔레비전이나 홈네트워크, 휴대폰이나 DMB 폰등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으며, 인터넷망인 경우에 온라인 포탈사이트 등과 연계하여 주문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주문자(10)가 콜센터에 접속하면 상담원이 주문자(10)와 전화통화를 통하여 주문자 성명, 마일리지 카드의 카드번호, 주문을 원하는 물품명, 주문 물품 수량, 주문을 원하는 지역의 주소, 연락처, 희망 배달 시간들을 접수한다. 이때, 주문 대행 운영자(20)의 상담원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주문자의 주소나, 연락처 등에 변동이 있는 경우에 그 내용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주문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주문자(10)가 구축된 웹사이트를 통하여 접속하는 경우에는 먼저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여 로그인하도록 한 다음에(반드시 로그인 화면을 먼저 제공하여 로그인하도록 하지 않아도 되며, 프로세스의 중간에 로그인을 하도록 할 수도 있고, 간단히 마일리지 카드 정보만을 입력하여 로그인하도록 할수도 있다) 주문을 원하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는 지역 선택화면을 제공하여 주문을 원하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후에 주문이 가능한 주문 대상 업체 정보를 제공하여 주문을 원하는 대상 업체를 선정하도록 한 다음에 주문 화면을 제공하여 주문을 원하는 물품명, 주문 물품 수량, 주문을 원하는 지역의 주소, 연락처, 희망 배달 시간들을 전송받는다(이때 주문대상 업체 정보를 먼저 제공하고 주문을 원하는 지역을 이후에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지역을 먼저 선택하고 주문대상 업체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다. 또한 주문자가 접속하여 로그 인 하면 이미 저장되어 있는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의 주문대상업체 목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주문 대행 운영자(20)은 주문자(10)로부터 주문을 접수하면 그에 따른 마일리지 포인트를 적립하여 적립된 포인트 내역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주문자(10)에게 바로 알려주거나(전화상 바로 알려주거나, 웹사이트의 경우에 웹페이지를 통하여 바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차후에 알려줄 수 있다(차후에 알려주는 경우에는 주문 대상 업체(40)가 물품을 배달하는 경우에 고객용 주문서에 마일리지 포인트를 인쇄하여 알려줄수 있다). 이때,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주문자(10)에게 고유번호를 제공하거나 하여 경품 추천을 통하여 경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물론,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주문자(10)에 대한 마일리지 포인트를 바로 적립하는 것이 아니라 후에 적립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주문자(10)의 주문 내역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회사전체 매출집계를 할수도 있고, 주문 대상 업체(40)별로 매출 집계를 할수 있다.
또한,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주문자(10)의 주문 내역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주문고객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CRM 마케팅을 할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주문 내역을 주문 내역 전송 장치(30)로 전송하며, 이때 포인트 적립 내역도 함께 전송하여 주문 대상 업체(40)의 단말기가 주문서에 그 내용을 인쇄하여 주문자(10)에게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포인트 정보, 수수료 정보, 쿠폰 정보, 유효 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쿠폰바코드 정보를 주문 내역 전송 장치(30)로 전송하여, 주문 대상 업체(40)의 단말기가 주문서에 포인트 정보, 수수료 정보, 쿠폰 정보, 유효기간 정보 등을 포함한 쿠폰 바코드를 주문서의 말미등에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쿠폰바코드는 주문서의 말미 등에 바코드 형태로 인쇄되는 것으로 주문자(10)가 주문 중개 서비스에 대한 안내 책자 등에 인쇄되어 있는 주문 중개 서비스용 쿠폰 등에 부착하여 주문 대행 운영자(20)에게 제출하면 쿠폰바코드에 있는 정보를 판독하여 포인트나 경품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쿠폰바코드에 포함된 포인트 정보는 일예로 0으로 표기될 수 있고, 수수료 정보 또한 0으로 표기될 수 있으며, 쿠폰 정보로는 주문중개 서비스용 쿠폰바코드임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유효기간 정보는 언제까지 사용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주문 내역 전송 장치(30)는 주문 대행 운영자(20)로부터 주문 내역을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주문 내역을 주문 대상 업체(40)로 전달한다. 이때, 주문 내역 전송 장치(30)가 주문 대상 업체(40)로 주문 내역을 전달하는 방법은 i) 전화를 통하여 음성으로 전달하거나, ii) 팩스를 통하여 전달하거나, iii) 인터넷망을 통하여 주문 대상 업체(40)의 컴퓨터에 전달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iii) 인터넷망을 통하여 주문 대상 업체(40)의 컴퓨터로 전달한 후에 자동으로 프린터로 인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팩스를 통하여 전달하는 방법으로 주문 대상 업체(40)가 팩스와 전화를 하나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경우에 팩스 모드와 음성 모드가 자동으로 절 환되도록 하여 팩스를 통하여 주문 내역이 전송되도록 할 수가 있으며 그일예로 아래에는 발신번호를 이용하여 팩스 모드와 음성 모드가 자동으로 절환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먼저 주문 내역 전송 장치(30)가 주문 대행 운영자(20)로부터 주문 내역을 전송받고 해당 주문 대상 업체의 전화번호 등을 전송받으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주문 대행 운영자(20)의 발신번호를 확인한 후에 확인된 전화번호를 먼저 주문 대상 업체(40)에게 전송한 후에 주문 내역 등을 송출한다.
그리고, 주문 대상 업체(40)의 단말기는 주문 내역 전송 장치(30)로부터 주문 대행 운영사(20)의 발신번호를 전송받게 되면 자동으로 데이터통신모드로 전환하여 주문 내역 전송 장치(30)로부터 전송받은 주문 내역을 전송받아 주문서에 인쇄하여 출력한다. 물론, 주문 대상 업체(40)의 단말기는 주문 내역 전송 장치(30)로부터 주문 내역의 전송이 끝나면 다시 일반전화모드로 전환하여 일반전화를 수신한다.
이때, 출력되는 주문서의 일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주문서는 크게 업소용과 고객용으로 나누어져 있고, 업소용에는 주문자, 물품명, 수량, 금액, 주문시간, 연락처, 휴대폰, 희망배달시간, 배달지역주소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고객용에는 주문자, 물품명, 수량, 금액, 주문시간, 연락처, 휴대폰, 희망배달시간, 배달지역주소, 포인트, 쿠폰바코드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주문 대상 업체(40)의 단말기가 주문서를 인쇄하여 출력하면, 업주는 주문서를 보고 물품을 제조, 제작하여 주문자(10)에게 배달하며 주문자(10)는 물품을 수령한 후에 결제를 한다.
물론, 여기에서는 팩스를 통하여 전달하는 방법으로 주문 대상 업체(40)가 팩스와 전화를 하나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경우에 팩스 모드와 음성 모드가 발신번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절환되도록 하여 팩스를 통하여 주문 내역이 전송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주문 대상 업체(40)의 단말기가 팩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팩스 모드로 절환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주문 대상 업체(40)의 업주는 단말기에 있는 부재중 기능을 이용하여 영업시간이 끝났다는 것을 주문 중개 운영자(20)에게 알리거나 잠시 부재중임을 알려서 주문 대행 운영자(20)가 해당 주문 대상 업체(40)에 대한 주문처리를 접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문 대행 운영자(20)가 주문 처리를 접수하지 않는 방법으로는 1)콜센터를 주문자(10)가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 주문 대상 업체(40)에 대한 주문처리시에 그 내용을 알려줄 수 있으며, 2)웹사이트를 통하는 경우에는 웹페이지의 해당 주문 대상 업체(40)의 상호 아래에 부재중 표시등을 하여 주문접수를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주문대상 업체(40)별 주문 내역 정보를 기초로 주문대상 업체(40)의 매출을 집계한 후에 주문대상 업체(40)와의 계약에 따라 주문내역에 따른 중개 수수료를 확인하여 주문대상 업체(40)에 교환기(30) 등을 통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통지한 후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중개 수수료를 입금 받는다.
그리고,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주문 대상 업체(40)에 일괄공지가 필요한 경우에 전 주문대상업체(40)에 공지사항을 전달함으로 전 주문대상업체(40)에 일괄공지가 가능하다.
또한,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주문자(10)에게 해피콜 또는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배달 물품에 대한 주문자(10)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그에 따른 주문대상업체(40)에 대한 품질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의 주문자(10a~10n)측에 복수의 전화(11a~11n)와 클라이언트 단말기(12a~12n)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주문중개 서비스 장치의 주문 대행 운영자(20)측에는 콜센터(21)와, 주문 대행 서버(22), 콜센터(21)와 주문 대행 서버(22)에 접속된 주문 내역 관리 데이터베이스(22), 마일리지 카드 서버(23), 마일리지 카드 서버(23)에 접속된 마일리지 포인트 관리 데이터베이스(2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마일리지 카드 서버(23)와 콜센터(21)와 주문대행서버(22)가 동일 주문대행운영자(20)에 의해 운영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별도의 사업자들이 운영하도록 할수 있다.
또한,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의 주문 대행 운영자(20)와 주문 대상 업체(40a~40n) 사이에 교환기(30)(주문 내역 전송 장치의 일예이다)가 위치하고 있으며, 주문 대상 업체(40a~40n)측에는 전화기(42a~42n)와 단말기(50a~50n)가 구비되 어 있다.
여기에서, 주문자(10a~10n)는 전화(11a~11n)를 사용하여 주문 대행 운영사(20)가 운영하는 콜센터(21)에 전화하여 주문을 원하는 물품을 주문하거나, 클라이언트 단말기(12a~12n)를 이용하여 주문 대행 운영사(20)가 운영하는 주문 대행 서버(22)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물품을 주문할 수가 있다.
즉, 주문자(10a~10n)는 콜센터(21)에 전화한 경우에 상담원과 통화를 하면서 주문자 성명, 마일리지 카드의 카드번호, 주문을 원하는 물품명, 주문 물품 수량, 주문을 원하는 지역의 주소, 연락처, 희망 배달 시간들을 제공하여 원하는 물품에 대한 주문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주문자(10a~10n)가 클라이언트 단말기(12a~12n)를 사용하여 주문 대행 서버(22)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경우에는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지역 선택 화면에서 배달을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고(물론 로그인을 하는 경우에 주문 대행 서버(22)가 주문자(10a~10n)의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주소 해당 지역의 주문 대상 업체 목록 화면을 바로 제공할 수도 있다), 웹사이트가 선택된 지역의 주문 대상 업체 목록 화면을 제공하면 주문을 원하는 대상업체를 선정한 후에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주문 화면에 주문정보를 입력하여 주문을 접수할 수 있다(단계 S110). 이때, 주문자(10a~10n)는 한번에 여러 가지 물품을 동시에 주문할 수도 있다(일명 one time 주문). 그리고, 주문 대행 운영자(20)의 콜센터(21)나 주문 대행 서버(22)는 주문자(10a~10n)로부터 접수된 주문내역중 개인 정보와 관련하여 주문 내역 관리 데이터베이스(23)나 마일리지 포인트 관리 데이터베이스(25)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와 비교하여 변동이 있는 경우에 변동 사항을 확인하여 업데이트를 한다.
그리고, 주문자(10a~10n)는 콜센터(21)에 전화한 경우에 주문 대행 서버(22)는 주문자(10a~10n)의 발신번호를 확인한 후에 이미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를 이용한 주문자(10a~10n)인 경우에는 주문자(10a~10n)의 개인 정보와 주문 이력을 상담원에게 모니터등을 통하여 제공하여 상담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한다면 상담원이 상담을 진행하는 시간을 많이 단축할 수 있다.
이처럼, 주문 대행 운영자(20)의 콜센터(21)나 주문 대행 서버(22)가 주문자(10a~10n)로부터 주문을 접수하면 그에 따른 마일리지 포인트의 적립을 마일리지 카드 서버(24)로 요청하고, 마일리지 카드 서버(24)로부터 적립된 포인트 내역을 전송받아 주문자(10a~10n)에게 바로 포인트 적립 사실을 알려주거나 차후에 알려줄 수 있다.
이때, 마일리지 카드 서버(24)는 콜센터(21)나 주문 대행 서버(22)로부터 마일리지 카드 번호와 결제금액을 포함한 포인트 적립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마일리지 카드 번호를 확인하여 해당 주문자(10a~10n)에게 포인트를 적립하고 적립된 포인트를 마일리지 포인트 관리 데이터베이스(24)에 저장하며 포인트 적립 사실을 콜센터(21)나 주문 대행 서버(22)로 전송한다(단계 S112). 물론,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주문자(10a~10n)에 대한 마일리지 포인트를 바로 적립하는 것이 아니라 후에 적립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주문자(10a~10n)에게 고유번호를 제공하거나 하여 경품 추천을 통하여 경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주문 대행 운영사(20)는 주문 내역을 주문 내역 관리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하여 고객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CRM 마케팅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여기에서는 전화나 웹사이트를 통하여 주문자(10a~10n)가 주문 대행 운영자(20)에 접속하는 수단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외에 휴대전화나 디지털 텔레비전, 홈네트워크, DMB폰등을 통하여 주문자(10a~10n)이 주문 대행 운영자(20)에 접속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주문 대행 운영사(20)가 운영하는 콜센터(21)나 주문 대행 서버(22)는 주문 내역을 교환기(30)로 전송하며(단계 S114), 교환기(30)는 콜센터(21)나 주문 대행 서버(22)가 전송한 주문 내역을 데이터화하여 이를 해당 주문 대상 업체(40a~40n)에게 전송하도록 한다(단계 S116). 이때, 주문 대행 운영사(20)가 운영하는 콜센터(21)나 주문 대행 서버(22)는 마일리지 카드 서버(24)로부터 전송받은 마일리지 포인트 적립 내역을 주문내역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주문 대행 운영사(20)가 운영하는 콜센터(21)나 주문 대행 서버(22)는 포인트 정보, 수수료 정보, 쿠폰 정보, 유효기간 정보 등을 포함한 쿠폰 바코드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주문 대상 업체(40a~40n)가 보유한 단말기(50a~50n)가 이 정보를 착신하여 출력한다(단계 S118). 즉, 주문 대상 업체(40a~40n)가 보유한 단말기(50a~50n)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문 내역과 포인트 적립 내역, 그리고 쿠폰바코드가 포함된 주문서를 인쇄하여 출력한다.
한편, 상기에서 주문 대상 업체(40a~40n)가 보유한 전화회선에 설치되는 단 말기(50a~50n)는 도 5를 참조하면 전화회선 및 전화기(42a~42n)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52)와, 전화회선를 통해 전송받은 FSK 신호를 디지탈데이터로 변환하는 모뎀송수신부(54)와, 변환된 디지탈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하는 중앙처리부(56)와 상기 중앙처리부(56)의 초기화를 위한 데이터저장 및 주문 대행 운영자(20)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기위한 메모리부(58)와 상기 중앙처리부(56)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59)를 핵심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문 대행 운영자(20)가 운영하는 콜센터(21)나 주문 대행 서버(22)가 주문정보를 접수받아 이를 주문 내역 관리 데이터베이스(22)에 저장한 후에, 교환기(30)를 통해 주문자(10a~10n)가 원하는 해당물품을 배달하는 주문 대상 업체(40a~40n)에게 주문정보를 전화망을 통해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항상 특정전화번호를 이용해 데이터를 발신하여 발신번호표시서비스를 통하면 주문 대행 운영자(20)가 원하는 특정전화번호가 항상 출력되도록 하며 이경우 많은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주문 대행 운영자(20)의 특성상 한 꺼번에 많은 곳으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전화국에 협조를 요청하여 주문 대행 운영자(20)의 콜센터(21) 또는 주문 대행 서버(22)에서 전화망으로 발신되는 데이터는 주문 대행 운영자(20)의 대표전화번호가 항상 첨부되도록 요청하게 된다.
이렇게 주문 대행 운영자(20)가 데이터를 발신하면 이 데이터는 전화국의 교환기(30)를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신번호표시서비스에 의해 데이터를 발신한 곳의 전화번호를 전화국에서 보유하고 있는 가입자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한 후 확인된 전화번호를 착신자에서 먼저 발신하게 되는데 주문 대행 운영자(20)가 데이터를 보낸 물품의 주문 대상 업체(40a~40n) 즉, 발신자의 전화회선에는 전용의 단말기(50a~50n)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 단말기(50a~50n)가 전화회선을 통해 전송된 전화번호를 먼저 수신하여 수신된 전화번호를 메모리부(58)에 저장된 자체 데이터베이스상의 전화번호와 비교하여 수신된 전화번호가 자체 데이터베이스상의 주문 대행 운영자(20)의 대표 전화번호와 일치하면 데이터통신모드로 자동 전환하여 이후에 수신되는 데이터를 자동 저장한 후 이를 처리하여 출력하고 수신된 전화번호가 데이터베이스상의 전화번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일반전화모드로 자동전환하여 일반전화로 신호를 연결시킬 수 있게 한 구성이다.
즉, 주문 대행 운영자(20)가 보낸 데이터는 전화국의 교환기(30)를 거치는 과정에서 전화국에서 자체 보유한 가입자데이터베이스에서 주문 대행 운영자(20)의 전화번호가 검색되어 주문 대상 업체(40a~40n)에게 전송되는데 이러한 발신번호표시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발신자의 전호번호 데이터는 전화국에서 착신자에게 보내는 첫번째 벨신호와 두번째 벨신호 사이에 끼워져서 전송되게 되는데 단말기(50a~50n)는 바로 이 특징을 이용한 것으로 주문대상업체(40a~40n)의 전화회선에 설치된 단말기(50a~50n)의 링 검출부(RING DETECT)(51)가 전화회선를 통해 전달되는 첫번째 착신벨의 신호를 포착하면 바로 이어 전달되는 신호를 찾아서 FSK DATA 방식으로 전송되는 전화번호 데이터가 있으며 바로 이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자체 메모리부(58)의 데이터베이스상에 저장되어 있는 주문 대행 운영자(20) 전화번호와 즉시 비교, 분석하게되며 분석후 수신된 전화번호와 저장되어 있던 전화번호가 일 치하면 단말기(50a~50n)는 데이터통신모드로 자동전환하여 데이터 수신 준비를 한 후 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디지탈데이터로 변환하여 중앙처리부(56)에 의해 처리되어진 후 출력부(59)를 통해 자동으로 출력되게 되며, 전송된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던 전화번호와 일치하지 않거나 첫번째 착신벨 신호 후에 아무런 데이터가 없으면 일반전화모드로 자동전환되어 이어서 전송되는 착신벨 신호를 전화기(42a~42n)로 보내어 전화벨이 울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단말기(50a~50n)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수신한 후 이를 자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데이터통신모드 또는 일반전화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지는 작업은 첫번째 착신벨 신호 후 두번째 착신벨 신호가 전달되기 전에 완료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발신번호표시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첫번째 벨신호는 묵음으로 실제 전화기(42a~42n)에는 벨이 울리지 않고 두번째 착신벨 신호부터 전화기(42a~42n)에서 소리가 나기 때문에 주문대행 운영자(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만을 자동으로 선별하여 출력해주는 단말기(50a~50n)에 의해 주문 대상 업체(40a~40n)는 벨이 울리는 전화는 무조건 일반전화로 생각하고 받으면 되기 때문에 하나의 전화회선을 이용한 상품주문정보의 수신과 일반 전화사용이 혼용에 불편이 없게된다.
물론, 여기에서는 팩스를 통하여 전달하는 방법으로 주문 대상 업체가 팩스와 전화를 하나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경우에 팩스 모드와 음성 모드가 발신번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절환되도록 하여 팩스를 통하여 주문 내역이 전송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주문 대상 업체의 단말기(50a~50n)가 팩 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팩스 모드로 절환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팩스 신호를 감지하여 팩스 모드로 절환하는 단말기(60)은 국선 인터페이스부(61)와, 팩스톤 감지기(62), 링 백톤 발생기(63), 링 발생기(6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국선 인터페이스부(61)는 국선에서 들어오는 링신호를 감지하고 이에 응답하며, 팩스톤 감지부(62)는 키시스템의 아날로그 스위치에 연결되어 국선으로부터의 링신호가 팩스톤인지를 감지하며, 링 발생기(64)는 전화기에 링신호를 송출하며, 링백톤 발생기(63)은 링발생기(64)가 링신호를 송출할 때 국선으로 링백톤을 보낸다.
이러한 단말기(60)는 국선에서 링신호가 오면 착신국선에 응답하며, 이후 팩스톤감지기(62)를 국선에 연결하여 팩스톤인지를 감지하고 팩스로 링신호를 보내어 응답을 하면 국선과 팩스를 연결하여 팩스통신을 하며, 팩스톤이 아닐 경우 국선에 링백톤을 보내면서 전화기로 링신호를 보내어 응답을 하면 국선과 일반가입자를 연결하여 음성통신을 하도로 한다.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팩스 데이터인경우에 데이터 내용을 인쇄하여 출력하는 출력부가 더 구비되어 있다.
한편, 주문 대상 업체(40a~40n)의 단말기(50a~50n)가 주문서를 인쇄하여 출력하면, 업주는 주문서를 보고 물품을 제조, 제작하여 주문자(10a~10n)에게 배달하며 주문자(10a~10n)는 물품을 수령한 후에 결제를 한다(단계 S120).
한편, 주문 대상 업체(40a~40n)의 업주는 단말기(50a~50n)에 있는 부재중 기능을 이용하여 영업시간이 끝났다는 것을 주문 중개 운영자(20)에게 알리거나 잠시 부재중임을 알려서 주문 대행 운영자(20)가 해당 주문 대상 업체(40a~40n)에 대한 주문처리를 접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주문 내역 관리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되어 있는 주문대상 업체(40a~40n)별 주문 내역 정보를 기초로 주문대상 업체(40a~40n)의 매출을 집계한 후에 주문대상 업체(40a~40n)와의 계약에 따라 주문내역에 따른 중개 수수료를 확인하여 주문대상 업체(40a~40n)에 교환기(30) 등을 통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통지한 후에(단계 S122)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중개 수수료를 송금 받는다(단계 S124).
한편,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주문 대상 업체(40a~40n)에 일괄공지가 필요한 경우에 전 주문대상업체(40a~40n)에 공지사항을 전달함으로 전 주문대상업체(40a~40n)에 일괄공지가 가능하다.
또한, 주문 대행 운영자(20)는 주문자(10a~10n)에게 해피콜을 하여 배달 물품에 대한 주문자(10a~10n)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그에 따른 주문대상업체(40a~40n)에 대한 품질 관리를 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주문 대행 운영자(20)가 주문 대상 업체(40a~40n)로 주문 내역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주문 대행 운영자(20)가 주문 대상 업체(40a~40n)의 컴퓨터 단말기(70)으로 주문 내역을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송하여, 주문 대상 업자가 직접 컴퓨터 단말기(70)의 모니터를 통하여 주문 내역을 바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프린터(71)에 인쇄되도록 하여 주문 대상 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주문자에게 마일리지 포인트를 제공함으로 서비스 이용을 유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문접수 처리 과정이 짧아 주문 처리가 빠르게 처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문 대상 업체의 업주가 수기로 주문내역 장부에 재기록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문 대상 업체의 업주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업체로 걸려온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문자는 여러 물품을 한번에 주문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피콜을 통한 대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주문 대상 업체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4)

  1. 주문자가 접속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마일리지 카드 번호를 제공하고 주문을 하면 제1 상담 단말이나 제2 상담 단말을 이용하여 주문을 접수하고 마일리지 포인트를 적립하며 주문 내역을 출력하는 주문 대행 운영 장치; 및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로부터 주문 내역이 수신되면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가 접수한 주문 내역을 주문 대상 업체 장치로 전송하는 주문 내역 전송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주문 내역 전송 장치는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로부터 주문 내역이 수신되면 상기 주문 내역을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에 지정된 발신번호와 함께 상기 주문 대상 업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주문 대상 업체 장치는 상기 주문 내역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발신번호가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면 데이터 통신 모드로 자동전환한 후, 이후 수신되는 상기 주문 내역을 출력하며,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는 상기 주문 대상 업체 장치로 포인트 정보, 수수료 정보, 쿠폰 정보를 포함한 주문 중개 서비스용 쿠폰 바코드 정보를 상기 주문 내역 전송 장치를 통하여 전송하고, 상기 주문 대상 업체 장치는 상기 주문 중개 서비스용 쿠폰 바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주문서에 주문 중개 서비스용 쿠폰 바코드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는,
    마일리지 카드 번호와 결제금액 정보를 포함한 마일리지 포인트 적립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회원 정보를 확인하여 마일리지 포인트를 적립하는 마일리지 카드 서버; 및
    상기 주문자가 접속하는 접속망이 전화망인 경우에 상기 주문자의 전화를 수신하여 마일리지 카드 번호와 주문 내역을 전송받고, 마일리지 포인트 적립을 상기 마일리지 카드 서버에 요청하며, 주문 내역을 상기 주문 내역 전송 장치로 콜센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주문 대행 운영 장치가 접속망을 통하여 주문자가 접속하여 마일리지 카드 번호를 제공하고 주문을 하면 주문을 접수하고 마일리지 포인트를 적립하며 주문 내역을 출력 및 팩스 데이터로 전화망으로 통하여 전송하는 제 1 단계;
    주문 내역 전송 장치가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로부터 주문 내역이 수신되면 상기 주문 내역을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에 지정된 발신번호와 함께 주문 대상 업체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주문 대상 업체 장치가 상기 주문 내역 전송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상기 발신번호가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면 데이터 통신 모드로 자동전환한 후, 이후 수신되는 상기 주문 내역을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대상 업체 장치가 부재중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업자가 부재중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로 부재중임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여 주문을 접수하지 않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가 접속망을 통하여 주문자가 접속하여 마일리지 카드 번호를 제공하고 주문을 하면 주문을 접수하는 제 1-1 단계;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는 상기 주문자가 접속하는 접속망이 전화망인 경우에 상기 주문자의 발신전화번호를 확인하는 제 1-2 단계;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는 발신전화번호를 통하여 확인된 주문자가 이미 주문한 주문이력을 가지고 있는 주문자인 경우에 주문자 정보를 상담요원에게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하여 추가적인 주문자 정보의 입력이 불필요하도록 하는 제 1-3 단계; 및
    상기 주문 대행 운영 장치는 마일리지 포인트를 적립하며 주문 내역을 출력하는 제 1-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20060066354A 2005-11-09 2006-07-14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1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4453 WO2007055487A1 (en) 2005-11-09 2006-10-30 On-line order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121 2005-11-09
KR20050107121 2005-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951A KR20070049951A (ko) 2007-05-14
KR101321131B1 true KR101321131B1 (ko) 2013-10-22

Family

ID=3827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354A KR101321131B1 (ko) 2005-11-09 2006-07-14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11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298A (ko) 2014-08-28 2016-03-10 이석기 온라인 광고 및 전화 주문 방법
KR20190086242A (ko) 2018-01-12 2019-07-22 (주) 시티웍스 주문배달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10061218A (ko) 2019-11-19 2021-05-27 이성진 온라인 영업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온라인 영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774B1 (ko) * 2011-10-25 2013-06-20 김종철 아이피 교환기를 이용한 배달주문 중개를 통한 포인트 적립과 그것의 사용 서비스 제공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50145791A (ko) 2014-06-19 2015-12-31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배달주문 중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DE112015004479T5 (de) * 2014-09-30 2017-06-14 Woowa Brothers Co., Ltd. Ladenterminal, und verfahren das durch dasselbe durchgeführt wird
KR101691288B1 (ko) 2015-03-17 2017-01-02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Tts를 이용한 배달주문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1729B1 (ko) * 2015-10-02 2016-07-21 박준흥 공동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32617B1 (ko) 2016-08-30 2018-02-26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배달주문 중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342763B1 (ko) 2019-12-16 2021-12-22 오흥섭 블록체인 기반 배달-보상 서비스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배달-보상 서비스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436A (ko) * 1996-06-19 1998-03-30 구자홍 팩스/음성통신 자동전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12305A (ko) * 2002-01-29 2002-02-15 (주)티티인포 네트워크 텔레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55458A (ko) * 2003-12-08 2005-06-13 차금윤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쇼핑몰과 배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436A (ko) * 1996-06-19 1998-03-30 구자홍 팩스/음성통신 자동전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12305A (ko) * 2002-01-29 2002-02-15 (주)티티인포 네트워크 텔레마케팅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55458A (ko) * 2003-12-08 2005-06-13 차금윤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쇼핑몰과 배송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298A (ko) 2014-08-28 2016-03-10 이석기 온라인 광고 및 전화 주문 방법
KR20190086242A (ko) 2018-01-12 2019-07-22 (주) 시티웍스 주문배달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10061218A (ko) 2019-11-19 2021-05-27 이성진 온라인 영업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온라인 영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951A (ko) 2007-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131B1 (ko) 온라인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RU2259587C2 (ru) Управление покупками, платежами и кредитованием
US200301260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product orders placed through a network
US200902485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transactions
CN100514996C (zh) 通话系统及其使用的服务器和接收中继装置
US200201239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ordering a product or service
JP2000151858A (ja) 電話料金精算システムに結合した電話回答収集システム
KR101388660B1 (ko) 전자 쿠폰을 이용한 음식 배달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30093334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acting E-commerce utilizing voice-recognition and analysis
KR102383770B1 (ko) 휴대폰에서 전용 앱(Application)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로 자동주문 및 결제까지 할 수 있는 처리방법
WO2002019194A1 (fr) Procede et appareil de vente de marchandises
KR101318163B1 (ko) 재택 주문 접수를 지원하는 주문 중개 서비스 장치
CN101227529B (zh) 电话区域性服务
KR20090014935A (ko) 음성 옐로우페이지 기반 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20038916A (ko) 코드화된 물품 및 컨텐츠 제공방법
JP4207534B2 (ja) Fax受発注決済システム
JP2013003812A (ja) セルフオーダーによる注文処理方法
WO2008060014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aging electric coupon for purchasing and system including the apparatus
KR101739357B1 (ko) Dtmf를 이용한 유무선 통합 배달 스탬프 발급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7249073A (ja) 電話回線を利用した通信販売自動オーダエントリーシステム
KR20060035898A (ko) 지역 가맹업소의 상품이용을 위한 주문배달방법
KR20030012288A (ko) 인터넷을 이용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WO2007055487A1 (en) On-line order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02170053A (ja) 顧客情報収集、利用システム
JPH07311804A (ja) 電話回線を利用した与信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売掛金決済代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