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504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504B1
KR101320504B1 KR1020070069332A KR20070069332A KR101320504B1 KR 101320504 B1 KR101320504 B1 KR 101320504B1 KR 1020070069332 A KR1020070069332 A KR 1020070069332A KR 20070069332 A KR20070069332 A KR 20070069332A KR 101320504 B1 KR101320504 B1 KR 101320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isplay
display module
window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908A (ko
Inventor
홍성철
박병덕
임경택
전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504B1/ko
Priority to US12/032,468 priority patent/US8280446B2/en
Priority to DE202008018182U priority patent/DE202008018182U1/de
Priority to DE102008009954.6A priority patent/DE102008009954B4/de
Priority to CNA2008100836978A priority patent/CN101345942A/zh
Publication of KR2009000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908A/ko
Priority to US12/909,815 priority patent/US847835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방식으로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갖춘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제1디스플레이 모듈, 제1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 모듈,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모듈의 외부에 배치되는 일체형의 윈도우 및, 윈도우와 제2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윈도우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하여 입력 내용을 안내하기 위한 표지의 다양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고용량 고밀도화된 멀티 미디어 또는 통신 정보를 쉽고 빠르게 액세스하거나 실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 방식으로 입력하는 입력장치를 갖춘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 기능은 종합적으로 탑재되어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는 복잡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충분한 뒷받침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더불어,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도 개발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가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우수한 휴대성과 디자인의 다양성을 갖는 휴대 단말기도 개발된다.
휴대 단말기에 전통적으로 장착되는 입력장치인 키패드는 각 키가 갖는 표지(標識)가 변경될 수 없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각 모드에 따른 입력내용의 표시가 어려운 점이 있다. 나아가, 하나의 키패드에 여러 벌의 표지를 표시하는 경우 외관을 저해할 수 있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입력되거나 제어될 내용을 지시하는 표지를 각 휴대 단말기의 각 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입력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바디에 배치되면서도, 외관을 개선시키고 사용성도 양호하게 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제1디스플레이 모듈, 제1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제2디스플레이 모듈,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모듈의 외부에 배치되는 일체형의 윈도우 및, 윈도우와 제2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윈도우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디스플레이 모듈은 전통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며, 제2디스플레이 모듈은 터치방식으로 입력되는 입력장치의 일부로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윈도우는 제1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디스플레이 모듈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투광성 패널로 형성된다. 이로써 제1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디스플레이 모듈은 외부에서 조립틈과 같은 물리적인 경계선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외관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윈도우의 내측에는 제1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디스플레이 모듈 사이를 구획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를 외부로부터 가리는 가림층이 더 구비됨으로써 복잡한 외관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는 윈도우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갖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윈도우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고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2디스플레이 모듈은 휴대 단말기가 갖는 각 모드에 따라 입력되거나 조작될 수 있는 숫자, 문자 또는 제어를 위한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표지(標識) 세트 중에서 선택되는 표지 세트를 출력한다. 표지 세트는 단말기의 모드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표지 세트를 구성할 수 있고 입력을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제1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디스플레이 모듈은 휴대 단말기에서 동시에 실행되고 있는 복수의 태스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배치됨으로써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입력작용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태스크를 가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선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2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영역의 윈도우에 가해지는 터치가 제1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드래그) 경우, 드래그된 대상 표지에 대한 입력신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 는 제1디스플레이 모듈의 내부에도 배치되고 있으므로 단순한 터치에 의한 입력 뿐만 아니라 제1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출력되고 있는 태스크와의 연계를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제1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되는 영역의 윈도우와 제2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되는 영역의 윈도우는 균등한 높이로 연결됨으로써 터치의 연속이 용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단말기 바디는 제1바디 및 제1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제1바디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모듈, 제2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윈도우 및 터치 감지부를 구비하며, 제2바디는 푸시 방식으로 입력되는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그리고,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단말기 바디는 제1바디 및 제1바디에 제1축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바디에 폴딩 또는 언폴딩됨과 아울러, 제1축과 직각을 이루는 제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제1바디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모듈, 제2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윈도우 및 터치 감지부를 구비하며, 제2바디는 푸시 방식으로 입력되는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동일한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배치하여 그 중 하나를 터치 입력을 위한 장 치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입력 내용을 안내하기 위한 표지의 다양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고용량 고밀도화된 멀티 미디어 또는 통신 정보를 쉽고 빠르게 액세스하거나 실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외관상 제1디스플레이 모듈과 제2디스플레이 모듈은 동일한 윈도우에 의하여 덮고 있으므로 복잡한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는 부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외관을 이루는 단말기 바디(101)를 포함하고 있다. 단말기 바디(101)는 각종 장치나 부품을 내장하기 위한 프론트 케이스(102) 및 리어 케이스(103)를 구비할 수 있다.
단말기 바디(101)의 전면에는 시각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하측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120)가 장착된다. 여기서, 전방은 +Z 방향이고, 상방은 +Y 방향을 말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휴대 단말기(100)가 갖는 임의의 모드에서 기설정 또는 저장되어 있거나 입력되고 있는 숫자,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출력한다.
입력장치(120)는 변경 가능한 한 벌의 문자, 숫자 또는 그래픽 이미지들로 조합된 표지(121)를 포함하고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가 어떠한 모드에 있는가에 따라 표지(121)는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도 1에 의하면, 전화걸기 모드일 때 표지들은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장치(120)는 터치 방식으로 동작된다. 즉, 입력장치(120)가 도 1과 같은 표지들을 포함하고 있을 때, '1'에 대하여 터치가 있는 경우 '1'이 입력되며, '3'에 대한 터치가 있는 경우 '3'이 입력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상측에는 무선 통화시 통화음, 시스템이 알리는 각종 알람음, 또는 음악 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189)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장치(120)의 하측에는 통화음이나 녹음되기 위한 음을 수신하기 위한 음향 입력부(184)가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84)는 단말기바디(101)의 전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101)는 전면(前面)을 이루는 윈도우(130)를 구비한다. 윈도우(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입력장치(120)를 한꺼번에 덮을 수 있도록 일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윈도우(130)는 입력장치(120)가 있는 영역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있는 영역으로 터치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매끄러운 윤곽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예로서 평면 또는 곡면 형태로 형 성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의 연속성'이란 입력장치(120)에 표시된 특정의 표지에 대하여 터치가 있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이동됨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입력장치(120)는 내부의 장치들이 보이지 않도록 도 2와 같이, 인쇄되거나 불투광 처리된 가림층(131)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인쇄 이외의 불투광 처리는 윈도우(130)에 불투광성 도료를 확산시키거나, 불투광 시트를 부착하거나, 스크래치와 같은 물리적 형상을 두는 것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윈도우(130)의 내측에는 윈도우(130)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터치감지부(140)가 구비된다. 터치감지부(140)는 일측에 회로기판(150)에 연결되기 위한 부분(141)이 포함되어 있다. 터치감지부(140)는 투광성이 있는 전도성의 필름, 예를 들어 인듐주석산화물(Indum-Tin Oxide;ITO) 또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등이 얇은 필름 형태로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터치감지부(140)를 이루는 전도성 필름의 수는 압력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방식 등과 같이 터치방식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터치감지부(140)는 내부에 배치되는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 및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과 달리 한 장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윈도우(130)에 결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제품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윈도우(130)와 터치감지부(140)는 단말기 바디(101)를 이루는 프론트 케이스(102)에 안착된다. 프론트 케이스(102)는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이루는 제1디 스플레이 모듈(111)과 입력장치(120)를 이루는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은 빛이 각각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창(102a)(10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이루는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 및 입력장치(120)를 이루는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이 각각 배치된다.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은 상대적으로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보다 큰 면적을 갖는 것이 가능하며,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보다 해상도가 높은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채택될 수 있다. 가능한 예로서,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은 엘시디(Liquid Crystal Display;LCD) 또는 유기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OLED), 일군(一群)의 발광다이오드(LED)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은 입력장치(120)가 제공하는 표지(121)를 형상화할 수 있는 종류의 엘시디, 유기 발광소자, 일군의 발광다이오드, 또는 이-페이퍼(Electronic Paper)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은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과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에 의하여 출력되는 화면은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에서 출력되는 화면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구성되거나,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에서 출력되는 화면과 독립적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의 예로서,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과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은 큰 이미지를 나누어 각각 출력하거나(멀티비전 기능),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에서 출력되는 화면 이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로 이동되거나 반대로 되는 경우 등이다. 후자의 예는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이 순전히 입력을 위한 표지만을 출력하고 있는 경우나, 멀티 태스킹(Multi-Tasking)되고 있는 작업 화면 중 일부 작업 화면을 각각 출력하는 경우 등이다.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과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은 동일한 마운트 부재에 의하여 마운트되어 하나의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 및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의 내측에는 휴대 단말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회로기판(150)이 구비된다. 제1디스플레이 모듈(111) 및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은 회로기판(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한다.
터치 감지부(140)는 회로기판(150)에 가요성 기판(Flexible PCB) 또는 케이블(141)에 의하여 연결되며, 가요성 회로기판 또는 케이블(141)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프론트 케이스(102)의 제1관통창(102a) 일측에 형성되는 통로홀(102c)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50)의 일측에는 전원공급부(15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전원공급부(151)는 전원케이스(104)의 내부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예를 보였다. 이와 달리, 전원공급부(151)부는 전원케이스(104)와 일체로 형성되는 팩(pack)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도시되는 것과 같이, 입력장치(120)는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하여 조작된다. 즉, 손가락이 윈도우(130)의 특정 위치에 터치되면, 그 위치에 해당하는 표지가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통해 출력되거나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입력장치(120)의 영역에 터치되는 손가락은 터치된 상태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10) 영역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입력장치(120)에 처음 터치되었던 표지에 해당하는 입력작용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장치(120)의 영역에 터치되는 손가락은 터치된 상태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10) 영역으로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입력장치(120)의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에서 출력되고 있는 제1작업의 항목을 디스플레이 장치(110)에서 출력되고 있는 제2작업의 내용으로 바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예는 무선통신 모듈(181), 입력장치(120), 영상 입력부(185), 음향 입력부(184), 디스플레이 장치(110), 음향 출력부(189), 외부 인터페이스(187), 방송수신 모듈(188), 메모리(186), 전원 공급부(151), 제어부(18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입력장치(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제공한다.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입력장치(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도 2의 제2디스플레이 모듈(122)에서 출력되는 화 면을 휴대 단말기(100)의 모드에 따라 제어하고, 윈도우(130)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한 터치감지부(140)의 입력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 장치(110), 음향 출력부(189), 영상 입력부(185), 메모리(186) 등을 통하여 기능을 수행시킨다.
무선통신 모듈(18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8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82)를 포함한다.
영상 입력부(18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입력부(185)가 사용되는 모드 즉, 촬영이나 화상통화 모드에 있는 경우, 입력장치(12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영상 입력부(185)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표지들을 윈도우(130)에 표시한다.
영상 입력부(185)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85)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86)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모듈(18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84)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181)를 통 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통신 모듈(181)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86)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84)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도 2와 같은 터치감지부(140)에 의하여 입력작용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89)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86)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89)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89)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음향 출력부(189)에 의하여 출력되거나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제어명령을 위한 표지들을 입력장치(120)를 통하여 모드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187)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187)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외부 인터페이스(187)를 사용하는 모드에 있을 때, 입력장치(120)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제어 명령을 표시하는 표지들을 모드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
메모리(186)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86)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력장치(12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186)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수신 모듈(188)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89),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8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88)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188)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86)에 저장될 수도 있다.
휴대 단말기(100)가 방송수신 모듈(188)을 사용하는 모드에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입력장치(120)를 통하여 방송 수신을 위한 제어명령들을 표시하는 표지들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상태를 각각 보인 작동태도이다.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에 있는 경우, 도 5A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장치(120)는 전화를 걸 상대방의 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번호를 표시하고 있다. 터치에 의하여 입력된 번호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통하여 출력된다.
휴대 단말기(100)가 메시지의 전송이나 메모작성 등과 같이 문자 편집 모드인 경우, 도 5B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장치(120)는 입력이나 편집을 위한 키들로 배정된 표지들을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터치에 의하여 입력된 문자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통하여 출력된다.
휴대 단말기(100)가 음악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모드인 경우, 도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장치(120)는 파일의 변경이나 음량의 조절 등을 표시하는 표지들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해당 표지에 대한 터치가 있는 경우 그 표지에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된다.
도 5D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지도와 같은 화상 데이터를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입력장치(120)는 임의의 위치로 이동되기 위한 포인터를 출력한다. 사용자가 포인터에 터치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시키면, 이동된 부위의 화상이 확대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출력된다.
도 5E는 빠른 탐색과 액세스를 위한 휠 또는 다이얼이 입력장치(120)에 구현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즉, 휠 또는 다이얼에 손가락을 대고 터치하면서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표시되고 있는 리스트에 대한 포인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빠르게 이동시킨다.
도 6A와 도 6B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서로 다른 태스크(task)는 동시에 실행될 수 있으며, 각 태스크는 디스플레이 장치(110) 또는 입력장치(120)를 통하여 각각 출력하거나 어느 한 장치에만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장치(120)에서 가시화되고 있는 어느 하나의 태스크는 데이터의 이동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0)에서 가시화되고 있는 다른 태스크와의 연관이 가능하다.
일례로, 도 6A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장치(120)에서 조작 가능한 리스트를 출력하고 있고, 그 중 어느 한 항목을 터치상태를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이동시키면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110)에서 출력되고 있는 태스크에의 입력 또는 제어 명령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도 6B에서는 터치에 의하여 드래그된 입력장치(120)의 항목이 디스플레이 장치(110)에서 출력되고 있는 태스크로 옮겨진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입력장치(120) 사이에 매끄러운 표면이 형성되어 있는 윈도우(130)에 의하여 터치의 연속을 가능하게 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휴대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에 의하 면, 휴대 단말기(200)는 제1바디(201)와, 제1바디(201)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한다.
제1바디(201)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10)와 제1입력장치(220)를 갖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제1바디(201)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1)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제1바디(201)가 제2바디(205)에 대해 닫혀 있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200)를 통한 조작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에의 입력은 제1입력장치(220)에 의하여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입력장치(220)에 의하여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거나 제어될 내용을 표시하는 표지들은 휴대 단말기(200)의 모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2바디(205)는 전통적인 형태를 갖는 제2입력장치(206)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입력장치(206)는 누름 방식에 의하여 동작되는 복수의 키를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제2입력장치(206)는 숫자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로 배정될 수 있다. 이로써, 간단하거나 바로 실행될 수 있는 조작은 제1입력장치(220)를 통하여 하고, 숫자나 문자의 입력은 주로 제2입력장치(206)를 통하여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A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휴대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휴대 단말기의 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300)는 제1바디(301)와, 제1바디(301)에 적어도 일측이 제1축 방향으로 회전되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2바디(305)를 포함한다. 나아가 제1바디(301)는 제2바디(305)에 대하여 제1축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2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바디(301)가 제2바디(3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가 닫힌 상태이고, 본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301)가 제2바디(305)에 대해 제1축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되어 언폴딩된 상태를 제1열린 상태라 할 수 있으며,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바디(301)가 제2바디(305)에 대해 제2축 방향으로 180도 회전되어 폴딩된 상태를 제2열린 상태라 할 수 있다.
제1바디(30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입력장치(320) 및 디스플레이 장치(310)를 갖추고 있다. 제1입력장치(320)는 제1바디(301)가 제1열린 상태로 되어 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310)와 더불어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제8B와 같이, 제2열린 상태로 되어 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310)를 조작하는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가 제2바디에 대해 360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형 타입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작동상태를 각각 보인 작동태도
도 6A와 도 6B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휴대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
도 8A는 각각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휴대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휴대 단말기의 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

Claims (13)

  1. 케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
    투광성 패널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영역과 입력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일체형의 윈도우;
    상기 윈도우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입력 영역을 구획하도록 불투광으로 이루어지는 가림층;
    상기 가림층의 하측에 배치되고 투광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체형의 윈도우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인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터치 감지부를 통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입력 영역은 각각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입력 영역은 각각 터치 방식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입력 영역은 상기 일체형의 윈도우의 동일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입력 영역이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장치를 각각 덮도록, 상기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장치를 모두 덮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윈도우에 대응되는 사이즈를 갖는 필름 형태로 형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숫자, 문자 또는 제어를 위한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 모듈 및 제2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동시에 실행되고 있는 복수의 태스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각각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의 윈도우에 가해지는 터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드래그) 경우, 드래그된 대상 표지에 대한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가 터치에 의하여 조작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조작에 반응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하거나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윈도우 및 터치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바디는 푸시 방식으로 입력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 제1축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바디에 폴딩 또는 언폴딩됨과 아울러, 상기 제1축과 직각을 이루는 제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윈도우 및 터치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바디는 푸시 방식으로 입력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가림층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장자리를 외부로부터 가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시각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측에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 모듈은 각각 엘시디(Liquid Crystal Display;LCD) 또는 유기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OLED), 일군(一群)의 발광다이오드(LED)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069332A 2007-07-10 2007-07-10 휴대 단말기 KR101320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332A KR101320504B1 (ko) 2007-07-10 2007-07-10 휴대 단말기
US12/032,468 US8280446B2 (en) 2007-07-10 2008-02-15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input device
DE202008018182U DE202008018182U1 (de) 2007-07-10 2008-02-20 Mobiles Endgerät mit einer Berührungseingabeeinrichtung
DE102008009954.6A DE102008009954B4 (de) 2007-07-10 2008-02-20 Mobiles Endgerät mit einer Berührungseingabeeinrichtung
CNA2008100836978A CN101345942A (zh) 2007-07-10 2008-03-18 具有触摸输入设备的移动终端
US12/909,815 US8478351B2 (en) 2007-07-10 2010-10-21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332A KR101320504B1 (ko) 2007-07-10 2007-07-10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908A KR20090005908A (ko) 2009-01-14
KR101320504B1 true KR101320504B1 (ko) 2013-10-22

Family

ID=4012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332A KR101320504B1 (ko) 2007-07-10 2007-07-10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280446B2 (ko)
KR (1) KR101320504B1 (ko)
CN (1) CN101345942A (ko)
DE (2) DE102008009954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6072A1 (ko) * 2016-05-10 2017-11-16 (주)코텍 다른 타입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체로 구성된 의료용 모니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7102B2 (en) 2010-10-01 2015-06-02 Z124 Instant remote rendering
US8819705B2 (en) 2010-10-01 2014-08-26 Z124 User interaction support across cross-environment applications
US8966379B2 (en) 2010-10-01 2015-02-24 Z124 Dynamic cross-environment application configuration/orientation in an active user environment
US9152582B2 (en) 2010-10-01 2015-10-06 Z124 Auto-configuration of a docked system in a multi-OS environment
US8726294B2 (en) 2010-10-01 2014-05-13 Z124 Cross-environment communication using application space API
US8933949B2 (en) 2010-10-01 2015-01-13 Z124 User interaction across cross-environment applications through an extended graphics context
KR101320504B1 (ko) * 2007-07-10 2013-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8107229B2 (en) * 2008-03-14 2012-01-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slider hinge assembly
US8760431B2 (en) * 2008-07-17 2014-06-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N101859467B (zh) * 2009-04-11 2013-06-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
TW201106233A (en) * 2009-08-03 2011-02-16 Cando Corp Touch screen applied to electronic apparatus
FR2954534B1 (fr) * 2009-12-22 2012-03-16 Valeo Systemes Thermiques Module de commande et d'affichag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DE102010010806B4 (de) 2010-03-09 2013-05-29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edienvorrichtung zur Eingabe von Steuerbefehlen in ein elektronisches Gerät
FR2961146B1 (fr) * 2010-06-10 2012-07-27 Valeo Systemes Thermiques Procede de fabrication d'une interface de commande pour vehicule automobile
US20150085433A1 (en) * 2010-07-09 2015-03-26 Si-han Kim Portable display device
US8611077B2 (en) * 2010-08-27 2013-12-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component mounting structures
US9405444B2 (en) 2010-10-01 2016-08-02 Z124 User interface with independent drawer control
EP2622490B1 (en) 2010-10-01 2018-12-05 Z124 Cross-environment communication framework
US8761831B2 (en) 2010-10-15 2014-06-24 Z124 Mirrored remote peripheral interface
CN101984392B (zh) * 2010-11-05 2012-02-29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模拟硬按键的操作方法及触摸屏终端
FR2973548B1 (fr) * 2011-04-01 2013-04-26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affichage pour vehicule automobile
CN102810018A (zh) * 2011-06-01 2012-12-05 联胜(中国)科技有限公司 触控显示板
TWI433136B (zh) * 2011-07-29 2014-04-01 Univ Nat Central 顯示系統以及方法
US20130076654A1 (en) 2011-09-27 2013-03-28 Imerj LLC Handset states and state diagrams: open, closed transitional and easel
US8897836B2 (en) * 2011-12-07 2014-11-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xtending the functionality of a mobile device
KR101903348B1 (ko) 2012-05-09 2018-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346003A (zh) * 2013-07-26 2015-02-11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触控式遥控器
JP5810329B1 (ja) * 2014-05-28 2015-1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決済端末装置
CN105282315A (zh) * 2015-04-01 2016-01-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双屏显示方法及其移动终端
CN106201183B (zh) * 2016-06-28 2019-10-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分屏显示装置、移动终端及方法
CN106961526B (zh) * 2017-04-13 2020-01-1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通知消息的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7153546B (zh) * 2017-05-12 2020-01-17 厦门美图移动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及移动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544A (ko) * 2001-10-18 2003-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딩 타입의 터치 패널과, 이를 채용한 평판표시장치
JP2003256140A (ja) * 2002-03-04 2003-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および携帯端末
KR20070020510A (ko) * 2004-06-17 2007-02-2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두 개의 손가락 입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62692A (fi) 1996-06-28 1997-12-29 Nokia Mobile Phones Ltd Kosketusherkkä näyttö ja päätelaite
FI104928B (fi) 1997-11-27 2000-04-28 Nokia Mobile Phones Ltd Langaton viestin ja menetelmä langattoman viestimen valmistuksessa
US7730401B2 (en) * 2001-05-16 2010-06-01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screen with user interface enhancement
KR200254130Y1 (ko) 2001-08-21 2001-11-23 (주) 태양기전 휴대 전화용 투명창
EP1292086A1 (en) 2001-09-06 2003-03-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US20040067768A1 (en) * 2002-05-31 2004-04-08 Lavaflow, Llp User interface for a cellular telephone functioning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JP2004127048A (ja) * 2002-10-04 2004-04-22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KR100677303B1 (ko) * 2003-12-26 2007-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7136282B1 (en) * 2004-01-06 2006-11-14 Carlton Rebeske Tablet laptop and interactive conferencing station system
KR100663552B1 (ko) * 2004-06-1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성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690726B1 (ko) * 2004-09-14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태스킹이 구현된 휴대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
US7643008B2 (en) * 2005-02-23 2010-01-05 Nokia Corporation Changing keys drawn on a display and actuating them using a sensor-screen
JP2006244218A (ja) 2005-03-04 2006-09-14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センサ内蔵表示装置
EP1752860B1 (en) * 2005-08-12 2015-03-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providing haptic feedback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0640808B1 (ko) * 2005-08-1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촬상 이미지의 듀얼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EP1758345B1 (en) 2005-08-26 2016-1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KR100755851B1 (ko) 2005-10-14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방법,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이동 단말기용 크래들
US20070152983A1 (en)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with symbols based on mode
JP4285504B2 (ja) * 2006-05-24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表示装置
US8243027B2 (en) * 2006-06-09 2012-08-14 Apple Inc. Touch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US8144129B2 (en) * 2007-01-05 2012-03-27 Apple Inc. Flexible touch sensing circuits
KR101320504B1 (ko) * 2007-07-10 2013-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544A (ko) * 2001-10-18 2003-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딩 타입의 터치 패널과, 이를 채용한 평판표시장치
JP2003256140A (ja) * 2002-03-04 2003-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および携帯端末
KR20070020510A (ko) * 2004-06-17 2007-02-2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두 개의 손가락 입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6072A1 (ko) * 2016-05-10 2017-11-16 (주)코텍 다른 타입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일체로 구성된 의료용 모니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17874A1 (en) 2009-01-15
US8478351B2 (en) 2013-07-02
US8280446B2 (en) 2012-10-02
DE202008018182U1 (de) 2011-12-21
DE102008009954A1 (de) 2009-01-15
KR20090005908A (ko) 2009-01-14
US20110034214A1 (en) 2011-02-10
DE102008009954B4 (de) 2014-03-20
CN101345942A (zh)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0504B1 (ko) 휴대 단말기
CN103577066B (zh) 电子装置和使用电子装置的电子笔记系统
KR101553842B1 (ko) 멀티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I387906B (zh) 行動式終端機
KR101533850B1 (ko) 전자 종이를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된 제어방법
KR101078929B1 (ko) 단말기 및 그 인터넷 이용 방법
TWI406551B (zh) 行動式終端機
US919206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141476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N103425427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40109722A (ko) 이동 단말기
KR100786446B1 (ko) 입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
KR20100063545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수기 메모 방법
KR101649626B1 (ko) 이동 단말기
US9417724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11273992B (zh) 一种图标显示方法及电子设备
JP2007202124A (ja) 入力装置およびこの入力装置を用いた携帯端末機器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におけるコンテンツデータの閲覧方法
KR20100054944A (ko) 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964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8206B1 (ko) 발광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45589B1 (ko) 휴대 단말기
KR101578726B1 (ko) 이동 단말기
KR101463806B1 (ko)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53370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7694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