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446B1 - 입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446B1
KR100786446B1 KR1020060135423A KR20060135423A KR100786446B1 KR 100786446 B1 KR100786446 B1 KR 100786446B1 KR 1020060135423 A KR1020060135423 A KR 1020060135423A KR 20060135423 A KR20060135423 A KR 20060135423A KR 100786446 B1 KR100786446 B1 KR 100786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ent data
display unit
display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0105A (ko
Inventor
노리후미 사타
다케후미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휴대 단말 장치로서, 콘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주변에 마련되고,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와, 표시부 및 조작부 상을 터치하는 핑거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패드부와, 패드부가 검지한 핑거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INPUT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USING METHOD OF CONTENTS DATA OF MOBILE TERMINA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기 개체 3 : 송화부
5 : 텐 키 7 : 펑크션 키
9 : 수화부 10 : 안테나
11 : 표시부 15 : 명시부
20 : 휴대 전화 21, 21A, 21B : 조작부
31 : 패드 부재 40 : 가장자리부
41 : 제어부 42 : 영역
45 : 메모리
본 발명은, 각종 정보를 장치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 그 입력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 장치의 고기능화, 다기능화의 진전에 따라, 인터넷이나 메모리 카드 등에 의해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의 열람이 가능한 휴대 단말 장치가 증가해 왔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용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이하에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 장치인 휴대 전화(120)는 표시부(110) 및 텐 키(ten key)(109)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휴대 전화(120)의 텐 키(109)를 조작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web)으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면, 그 콘텐츠 데이터가 기기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들 조작을 복수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 콘텐츠 데이터는 휴대 전화(120) 내부의 메모리에 다운로드한 순서대로 저장된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120) 내부의 메모리에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저장된 상태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를 열람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종래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기기의 표시부(110)에 메시지(101)(여기서는, 콘텐츠 데이터의 일례로서, 메시지를 이용하여 설명함)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 소정의 키(예컨대 메뉴 키)를 누르면, 표시부(110)의 표시가 브라우저 메뉴(102) 화면으로 천이한다.
여기서 브라우저 메뉴(102)로부터 「되로」를 선택하거나, 「되로」 기능에 할당된 키를 단시간 누르면, 메시지(101)의 하나 전에 다운로드한 콘텐츠 데이터가 선택되어, 휴대 전화(120)의 표시부(110)에 그 콘텐츠 데이터(메시지(103)로 함)가 표시된다.
또한, 브라우저 메뉴(102)가 표시된 상태로, 브라우저 메뉴로부터 「앞으로」를 선택하거나, 「앞으로」 기능에 할당된 키를 단시간 누르면, 메시지(101)의 하나 후에 다운로드한 콘텐츠 데이터가 선택되어, 기기의 표시부(110)에 그 콘텐츠 데이터(메시지(104)로 함)가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작을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지금까지 다운로드한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순서대로 또는 역순으로 하나씩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조작을 간소화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의 휴대 전화(120)에서는, 「되로」 기능 또는 「앞으로」 기능에 할당된 키를 장시간(일정한 시간 이상) 누르면, 브라우저 메뉴 화면(105 또는 106)이 표시된다. 이것과 동시에, 메모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의 수에 따라 기기의 텐 키(109)가 점등된다. 예컨대, 5개의 콘텐츠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열람 가능하면, 도 17에 있어서의 텐 키(109)에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1~5까지의 키가 점등 상태로 된다.
그리고, 휴대 전화(120)에서는, 되돌아가고자 하는 화면 수 또는 앞으로 진행하고자 하는 화면 수에 따라서, 1~5까지의 키 중에서 그것에 따른 키를 누르면, 그것에 따른 메시지(107) 또는 메시지(108)가 직접 표시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이,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72954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다운로드한 모든 콘텐츠 데이터가 열람 대상, 구체적으로는, 「뒤로」 또는 「앞으로」라고 하는 기능이 대상으로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1번 다운로드했지만, 불필요해진 콘텐츠 데이터도 열람 대상으로 포함되어 버려, 특히 컨텐츠 데이터수가 증가한 경 우에 조작이 번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텐 키(109)로의 조작에 의해 소망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직접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열람하고자 하는 콘텐츠 데이터가 현재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의 몇 화면 앞 또는 몇 화면 뒤에 있는지를 사용자가 기억해 놓아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하면서도 알기 쉬운 방법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입력 장치,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콘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주변에 마련되고,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와, 표시부 및 조작부 상을 트레이스하는 핑거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패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표시부 및 조작부상을 핑거로 트레이스한다고 하는 간이하고 알기 쉬운 방법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콘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주변에 마련되고,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와, 표시부 및 조작부 상을 트레이스하는 핑거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패드부와, 패드부가 검지한 핑거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표시부 및 조작부 상을 핑거로 트레이스한다고 하는 간이하고 알기 쉬운 방법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구비하며, 패드부가 표시부로부터 조작부로 향하는 핑거의 움직임을 검지했을 때에, 제어부는 콘텐츠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기억시키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핑거를 표시부로부터 그 주변부에 마련된 조작부로 움직인다고 하는 더 간단하고 또한 알기 쉬운 조작 방법으로, 소망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열람 대상으로부터 제외하여, 일시적인 기억 상태로 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가 표시부로부터 조작부로 향하는 핑거의 움직임을 검지했을 때에, 제어부는 또 콘텐츠 데이터의 표시를 표시부에 숨기게 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콘텐츠 데이터가 일시적인 기억 상태로 된 것을 직감적으로 더 알 수 있다.
또한, 조작부는 콘텐츠 데이터가 메모리부에 기억된 것을 나타내는 명시부를 구비하며, 제어부는, 패드부가 표시부로부터 명시부로 향하는 핑거의 움직임을 검지했을 때에, 명시부에 콘텐츠 데이터가 메모리부에 기억된 것을 명시시키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핑거를 표시부로부터 조작부로 움직였을 때에, 명시부에 의해서 콘텐츠 데이터가 메모리부에 기억된 것이 더 명시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하여, 콘텐츠 데이터가 기억된 것을 보다 명확히 알릴 수 있다.
또한, 명시부는 콘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더 명시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에 대하여,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의 명칭도 더 알릴 수 있다.
또한, 조작부를 복수 구비하며, 조작부는 명시부를 각각 가지고, 제어부는, 패드부가 표시부로부터 조작부로 향하는 핑거의 움직임을 검지했을 때에, 복수의 명시부 중, 핑거가 중지하는 곳에 위치하는 명시부에, 콘텐츠 데이터가 메모리부에 기억된 것을 명시시키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마치 복수의 조작부 각각에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더 직감적이고 알기 쉬운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점등하고 있는 명시부의 수에 의해, 이미 기억시킨 컨텐츠 데이터의 수를 첫눈에 알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며, 패드부가 조작부로부터 표시부로 향하는 핑거의 움직임을 검지했을 때에, 제어부는 콘텐츠 데이터를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조작부로부터 표시부로 핑거를 미끄러진다는 알기 쉬운 조작 방법으로, 메모리에 기억된 컨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어부는, 패드부가 조작부로부터 표시부로 향하는 핑거의 움직임을 검지했을 때에, 콘텐츠 데이터를 표시부에 더 표시시키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메모리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가 판독된 것을 더욱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소정의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메모리부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메모리부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더 알릴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조작이, 조작부상에 핑거를 소정 시간 이상 정지시키는 조작인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또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위한 조작과 일련으로 실행할 수 있는 조작으로, 콘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소정의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표시부의 표시 영역 내에 각각의 콘텐츠 데이터를 겹치지 않도록 확대 표시 상태로 하게 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일시적으로 기억시킨 콘텐츠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를 사용자에 의해 보기 쉬운 형태로 더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조작이 표시부를 태핑하는 조작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위한 조작과 일련으로 실행할 수 있는 조작으로, 표시부에 표시된 콘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보다 보기 쉬운 형태로 사용자에게 더 알릴 수 있다.
또한, 조작부가, 하우징의 측면을 포함하는 면으로 연신되는 도광부를 갖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개체의 측면으로부터도 콘텐츠 데이터가 기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시인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드부는, 핑거의 움직임 대신에, 표시부 및 조작부상의 펜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또한, 사용자는 핑거 대신에, 펜을 이용하여 조작을 더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은, 콘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주변에 마련되고,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와, 표시부 및 조작부상을 트레이스하는 핑거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패드부와, 표시부 및 패드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으로서, 패드부가, 핑거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제 1 단계와, 제어부가, 패드부가 검지한 핑거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제 2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표시부 및 조작부상을 핑거로 트레이스한다고 하는 간 이하고 알기 쉬운 방법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알기 쉬운 방법으로, 콘텐츠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입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1~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 장치의 예로서, 휴대 전화(2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20)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20)는, 그 외형이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배선 기판이 배치되어 있는 기기 하우징(1)을 구비하고 있다. 휴대 전화(20)의 조작면측에는, 도 1에 있어서의 아래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송화 등에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소리를 수취하는 송화부(3), 번호 등의 입력을 행하기 위한 텐 키(5), 특정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입력을 하기 위한 펑크션 키(7), 콘텐츠 데이터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 및, 전화로서 기능시켰을 때에, 상대 측의 음성을 수취하기 위한 수화부(9)가 마련되어 있다.
송화부(3)는 기기 하우징(1) 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텐 키(5) 및 펑크션 키(7)는, 배선 기판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가압형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각각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부(11)는 기능 소자로서 LCD 등을 갖는다.
수화부(9)는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또한, 휴대 전화(20)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0)를 구비한다.
또, 휴대 전화(20)는 기기 하우징(1)의 표시부(11)가 배치된 주위 부분에 소정 폭의 가장자리부(40)를 갖고, 그 가장자리부(40)에, 표시부(11)와는 독립적으로 배치된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21)를 구비한 것으로 하고 있다.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21)는, 도 1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시부(11)에 대하여, 그 측방 위치에 맞닿은 양측의 가장자리부(40)에 각각 3개씩 독립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휴대 전화(20)에 있어서는,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21)의 배치 위치에 대응시켜, 기기 하우징(1) 내에,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이 행하여졌는지 여부(콘텐츠 데이터가 메모리에 기억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명시하기 위한 명시부(15)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21)로서 광 투과성의 수지 부품을 이용하여, 기기 하우징(1) 내의 조작부(21)에 대응하는 위치(예컨대, 조작부(21)의 바로 아래 위치)에, 명시부(15)로 서 유기 EL 소자를 배치함으로써 이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20)에 있어서는, 표시부(11) 및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21)가 배치된 영역(도 1에 점선으로 둘러싸 나타낸 영역(42))에 대응시켜, 그 영역(42)에 있어서, 사용자의 핑거를 트레이스하게 하는 움직임을 검지하기 위한 패드 부재(31)가 배치되어 있다. 이 패드 부재(31)는, 기기 하우징(1)상의 영역(42)에 핑거를 얹어놓는 등하였을 때, 그 좌표 위치의 특정이 가능한 신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예컨대 정전 용량 방식의 것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감압(압력)식의 저항막 등을 이용하여 실시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20)의 기능 블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20)는 배선 기판에 배치된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갖는 제어부(41)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41)는 안테나(10), 텐 키(5), 펑크션 키(7), 패드 부재(31), 표시부(11), 명시부(15), 송화부(3) 및 수화부(9)와 각각 접속된다. 제어부(41)와 각 구성요소 사이에서는 각종 신호의 수수가 이루어지고, 또한, 제어부(41)는 이들의 구성요소 각각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어부(41)에는 메모리(45)도 접속되어 있고, 메모리(45)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도 제어부(41)에 의해서 제어되어 있다.
또한, 휴대 전화(20)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웹을 열람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휴대 전화(20)는, 텐 키(5)나 펑크션 키(7)의 가압 조작 등에 의해서 전화를 걸거나, E 메일의 송수신 등이 행해지고, 또한, 사진이나 문서 등을 포함하는 메모리(45)에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시키거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이트 열람을 행하거나, 또 화상 전화(동화상에 의한 통화)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양한 사용 상태에서, 휴대 전화(20)의 표시부(11)에 표시되는 정보(전화번호, 전자 메일, 사진, 문서, 웹 페이지, 동화상 등)의 것을 총칭하여 콘텐츠 데이터라고 기재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2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부터 도 14까지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2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사용자는, 펑크션 키(7) 등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부(11)에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표시시킨다. 그 콘텐츠 데이터가 사진 화상인 경우에는, 예컨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콘텐츠 데이터인 Photo 1~Photo 3의 화상이, 표시시킨 순서대로(새로운 것이 자신 앞으로 되도록) 겹친 상태로 표시부(11)에 표시된다. 도 3에 있어서는, 가장 자신 앞에 Photo 3이 표시되고, 그 뒤에 Photo 2, 또한 그 뒤에 Photo 1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Photo 3에 대해서만 전체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도 3에 나타낸 상태에서, 사용자가 Photo 2의 전체를 보고자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Photo 2의 전체 상(像)을 시인하기 위해서는, 그 위에 겹쳐 표시된 Photo 3의 화상을 일시적으로 퇴피시키기 위한 조작을 행한 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는, 표시부(11) 내의 Photo 3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핑거를 올리고, 그대로, 핑거로 표시부(11)의 상면을 트레이스하여,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21A)로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표시부(11) 내의 Photo 3의 화상이 표시된 영역 내에 핑거를 둔 시점에서, 패드 부재(31)로부터는, 핑거가 놓여진 좌표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신호가 제어부(41)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어부(41)는, 패드 부재(31)로부터 송신된 신호로부터, 표시부(11)상의 핑거가 놓여진 위치를 특정하고, 또한 그 좌표로부터, 그 좌표에 대응하는, 퇴피시켜야 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한다. 도 4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제어부(41)는 사용자가 콘텐츠 데이터 Photo 3을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계속해서, 사용자의 핑거가 이동해 가면, 그것에 따라, 패드 부재(31)로부터 제어부(41)로 입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4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핑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에 맞추어 Photo 3의 표시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마치 Photo 3의 화상이 핑거의 이동에 따라 이동해 가도록 느끼기 때문에, 매우 직감적인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핑거가, 도 5에 있어서의 왼쪽 아래의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이 조작부를 조작부(21A)라고 기재함) 위로 이동되어 정지하면, 제어부(41)는 패드 부재(31)로부터의 좌표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에 근거하 여, Photo 3의 표시를 표시부(11)에 숨기고, Photo 3의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45)내에 기억시킴과 아울러, 조작부(21A)에 대응하여 배치된 명시부(15)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21A)에는, 메모리(45)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예컨대, 「Photo 3」) 등이 명시부(15)에 의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Photo 2의 거의 전체 상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표시부(11)로부터 Photo 3의 화상이 숨겨진(소거된) 것, 및, 명시부(15)에 의한 콘텐츠 데이터명의 표시에 의해서, Photo 3이라는 컨텐츠 데이터가 메모리(45)에 저장된 것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또, 이 때, 제어부(41)는, 최종적으로 핑거가 정지한 장소의 좌표 위치에 근거하여, 명시부(15)에 명시시키는 조작부(21)를 결정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 5에 있어서의 점선 화살표와 같이 핑거를 움직인 경우(다른 조작부(21) 상을 경유한 경우)에도, 제어부(41)는 최종적으로 핑거가 멈춘 장소에 대응하는 조작부(21A)의 명시부(15)에 대하여 표시 제어를 행한다.
도 6에 나타낸 상태, 즉, Photo 3이라는 콘텐츠 데이터가 표시부(11)로부터 사라지고, 메모리(45)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상태에서, Photo 3의 화상을 재차 표시부(11) 내에 표시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상술한 조작과는 반대의 조작을 행한다. 즉, 사용자가, 콘텐츠 데이터가 퇴피된 취지가 표시된 조작부(21A) 상에 핑거를 대고, 그대로 표시부(11) 내로 향하여 핑거를 미끄럼 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면 된다.
조작부(21A) 상에 사용자가 핑거를 둔 시점에서, 패드 부재(31)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41)는, 조작부(21A)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 즉, 이 경우에는 Photo 3이라는 콘텐츠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것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41)는, 메모리(45) 내에 기억된 Photo 3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그 후 사용자가 핑거를 이동시키는 것에 따른 패드 부재(3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핑거의 이동 상태에 따라 표시부(11) 내에 Photo 3의 화상을 서서히 표시시켜 간다. 또한, 명시부(15)에 의한 조작부(21A)로의 콘텐츠 데이터명의 명시(「Photo 3」의 표시)는, 상기 조작에 있어서, Photo 3의 화상이 표시부(11) 내에 재차 표시된 시점에서 제어부(41)의 제어에 의해서 소거된다.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사용자는, 마치 조작부(21A)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Photo 3을, 핑거로 움직임으로써 표시부(11) 상에 표시시킨 것처럼 느껴서, 매우 알기 쉽게 직감적인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 Photo 1이나 Photo 2의 화상에 대하여, 조작부(21)로 향해서 이동시키도록 조작하여, 일시적으로 메모리(45)에 기억시키기 위한 방법이나, 그 일시적인 기억 상태에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재차 표시부(11)에 표시시키기 위한 방법도, 상술한 조작 방법과 공통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20)에서는,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21)를 표시부(11)에 근접한 주위 위치에 마련하고, 또한, 표시부(11) 위뿐만 아니라, 조작부(21)의 배치 위치 위도 포함시켜, 핑거의 움직임을 검지할 수 있도록 패드 부재(31)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20)에 따르면, 표시부(11) 내에 핑거를 두는 것에 의해, 그 핑거의 접촉 개소를 검지하여, 그 개소에 대응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이동 대상으로 하여 선택하는 제어를 행할 수 있어, 그 후의 콘텐츠 데이터의 이동 조작 등을 스무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20)에 따르면, 사용자가, 핑거를 표시부(11) 위로부터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21) 위까지 미끄럼 운동 조작함으로써, 이동 대상으로 된 콘텐츠 데이터를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그것과는 반대로,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하게 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핑거를,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21A) 위로부터 표시부(11) 내까지 미끄럼 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것에 따라, 재차 표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20)에 따르면, 콘텐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 상태에 하게 하거나 또는 재차 표시시키는 조작은 각각 핑거의 접촉 위치나 이동 방향 등에 따라 행하여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 매우 알기 쉽고, 또한,그 조작은 기기 하우징(1) 상을 핑거로 트레이스한다고 하는 간이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하기에도 우수하다.
또,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하여, 다음에 그것을 재차 표시시키는 사례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 중, 불필요한 콘텐츠 데이터각각에 대하여, 상술한 조작을, 각각 다른 조작부(21)에 대하여 반복해서 행하여,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하여, 표시부(11)에는 필요한 콘텐츠 데이터만을 표시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하기 위한 조작이 이루어진 조작부(21A)에 대하여, 사용자가 잘못하여 또 다른 콘텐츠 데이터를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하는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구체적으로는, 명시부(15)가 점등하고 있는 조작부(21A)에 대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더 기억시키기 위한 조작을 한 경우) 도 상정되지만, 그 경우에는, 콘텐츠 데이터를 단지 새로운 콘텐츠 데이터에 오버라이트하는 사양도 가능하고, 실용상으로는, 사용자가 잘못된 조작을 행한 것으로 판정하여, 스피커 등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하여 부저음 등의 경보를 통지하는 사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제어로서는, 상술한 잘못된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 표시부(11) 내로부터 조작부(21A)로 핑거가 이동했다고 하는 좌표를 나타내는 신호가 패드 부재(31)로부터 제어부(41)로 입력되기 때문에, 그 신호를 키로서, 제어부(41)가, 이미 조작부(21A)에 대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하는 조작이 이루어져 있으면, 사용자에 대하여 경보를 통지하도록 제어하면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20)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가 인터넷의 사이트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펑크션 키(7) 등을 조작하여, 인터넷 등의 소망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바오 같은, 콘텐츠 데이터로 되는 사이트의 정보 화면을 표시부(11) 내에 복수 표시시킨다. 또, 그 표시된 사이트의 정보 화면은, 복 수의 다른 사이트의 정보 화면이 동시에 표시되어 있더라도 좋고, 같은 사이트의 화면이, 그 계층을 순차적으로 포갠 상태로 복수 표시되어 있더라도 좋다.
도 7에 있어서는, 3개의 사이트의 정보 화면(SiteA~SiseC)이 겹쳐져 표시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SiteC는 SiteB 상에 겹쳐 표시되고, SiteB는 SiteA 상에 겹쳐 표시되어 있다. 표시부(11) 상에서는, SiteC만이 전체를 볼 수 있는 정보이다.
도 7의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SiteB의 전체를 보고자 하는 경우, 및, SiteB의 화상을 일시적으로 퇴피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 우선 사용자는 표시부(11) 상의 SiteB의 정보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위치에 핑거를 놓는다.
이에 따라, 패드 부재(31)로부터 좌표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신호가 제어부(41)에 입력되고, 제어부(41)는,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SiteB의 정보 화면이 조작 대상으로 하여 선택되었다고 판정한다. 또, 이 때 SiteB의 정보는, SiteC의 정보 화면에 의해 숨겨져 있는 범위도 포함시켜, 그 전체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4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SiteB의 화상이 가장 자신 앞에 오도록 표시부(11)에 표시시킨다.
다음에, SiteB의 화상을 퇴피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에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그대로 계속하여, 핑거를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21B) 상에 향해서 미끄럼 운동시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선택되어 있는 SiteB의 정보 화면이, 핑거의 이동 방향이나 속도에 따라 서 서히 이동해 간다(도 9 참조).
그리고, 사용자가 핑거를 움직이는 것에 의해, 핑거가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도 9에 있어서의 오른쪽 열의 한가운데의 조작부에서, 여기서는 조작부(21B)라고 기재함) 상에 위치하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iteB의 정보가 표시부(11)로부터 사라지고, SiteB의 정보 화면이 메모리(45) 내에 축적됨과 아울러, 조작부(21B)에는 명시부(15)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의 내용, 이 경우에는 「SiteB」의 명칭이 문자 등으로 명시된다. 이들의 제어에 관해서는, 조금 전에 설명한, 콘텐츠 데이터로서 사진을 이용한 경우와 공통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20)에 따르면, 사용자는, 마치 스스로가 SiteB의 화상을 움직여 조작부(21B)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감각으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일시적인 기억 상태에 있는 SiteB의 정보 화면을, 재차 표시부(11)에 표시시키기 위한 조작이나 제어 등도, 전술한 콘텐츠 데이터로서 사진을 이용한 경우와 공통되고 있다. 사용자는, 핑거를 조작부(21B) 위로부터 표시부(11)까지, 기기 하우징(1) 상면을 트레이스하도록 하는 조작을 행하면 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하는 조작을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행하거나, 반대로, 기억된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 중, 필요한 콘텐츠 데이터의 정보 화면을 적절히 재차 표시시키거나 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전술한 콘텐츠 데이터로서 사진을 이용한 경우와 공통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20)에 대하여, 한층 더 개량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소정의 사이트의 정보 화면이, 사용자의 핑거를 표시부(11)로부터 조작부(21B) 상에 비키어 놓도록 움직이는 조작에 의해서,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이행된 상태라고 한다. 이 때, 사용자가 조작부(21B) 상의 위치에, 소정 시간 동안 핑거를 두는 등, 그 조작이, 상술한 콘텐츠 데이터를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하는 조작이나 재차 표시시키는 조작과는 다른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제어부(41)는,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사용자에 대하여 통지한다고 하면, 또한 사용하기를 향상할 수 있다. 이 통지 방법으로서는, 수화부(9)의 스피커 등으로부터 음성으로 통지할 수도 있고, 표시부(11) 내에 팝업 화면을 열어 통지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20)에서 화상 전화(동화상 등의 화상을 이용한 통화) 기능을 사용할 때의 동작예에 대해서 도 11~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사용자가 6명의 상대와 동시에 통화를 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그 6명 각각의 화상이 표시부(11)에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표시된 A씨, B씨, C씨, D씨, E씨, F씨의 화상 중, 일부의 화상(B씨, C씨, D씨, E씨의 화상)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도 11에 나타낸 6명의 화상을 동시에 표시시킨 상태로부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B씨, C씨, D씨, E씨의 화상 각각에 관하여, 기기 하우징(1) 상을, 표시부(11)에 표시된 각 화상으로부터 각 조작부(21)로 향하여 핑거로 트레이스하도록 미끄럼 운동시키는 조작을 행한다. 그렇게 하면, B씨, C씨, D씨 및 E씨의 총 4명의 화상이 각각 일시적으로 메모리(45)에 저장된 상태로 된다.
그 결과,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11)에는, 퇴피 대상으로 되지 않았던 A씨, F씨의 총 2명의 화면 정보는 종전의 표시의 크기를 유지된 상태로 표시된다. 그리고, B씨, C씨, D씨 및 E씨의 화상이, 4개의 조작부(21) 각각에 저장된 것이 명시부(15)에 의해서 명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B씨, C씨, D씨 및 E씨의 화상 각각이 메모리(45)에 기억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A씨, F씨의 화상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예컨대, 표시부(11) 위 등을 핑거로 2번 태핑하는 등의, 상술한 콘텐츠 데이터를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하는 조작, 및, 저장 상태이었던 콘텐츠 데이터를 재차 표시시키는 조작과는 다른 조작을 행한다.
그렇게 하면, 그 조작에 따라서, 패드 부재(31)(도 13에는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제어부(41)에 대하여, 통상의 조작과는 다른 조작이 행하여진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어, 그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41)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11)에, A씨, F씨의 총 2명의 화면 정보의 각각이 서로 겹치지 않고, 표시부(11) 전체를 등분(等分)으로 분할하는 크기로 되도록 확대하여 표시시킨다.
또, 이러한 화상을 확대 표시시키기 위한 조작의 형태는, 콘텐츠 데이터를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하는 조작, 또는, 저장 상태이었던 콘텐츠 데이터를 재차 표시시키는 조작을 행한 후에, 일련으로 실행할 수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하기가 더욱 향상되게 된다. 예컨대 표시부(11) 상을 손끝이나 관절 등으로 태핑(tapping)하는 조작을, 화상을 확대 표시시키기 위한 조작이라고 하면, 콘텐츠 데이터를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하는 조작, 또는, 저장 상태이었던 콘텐츠 데이터를 재차 표시시키는 조작을 행한 후에, 하우징으로부터 손을 떼는 일없이, 일련의 동작으로서 실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알기 쉬운 조작 방법으로, 사용자가, 콘텐츠 데이터를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하게 하거나, 재차 표시시키거나 하는 것이 용이한 휴대 전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에 설명한 조작 방법을 서로 조합하여 사용하도록 하더라도 되고, 조작 대상으로 되는 컨텐츠 데이터도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 퇴피용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21)의 명시부(15)로서, 유기 EL 소자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그 유기 EL 소자에 의해, 조작 대상으로 되어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된 콘텐츠 데이터의 명칭 등이 문자로 명시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명시부(15)의 기능 소자로서는, 그 이외의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유기 EL 소자의 대신에 각 조작부(21)에 대응시켜 LED를 배치해 두고, 소정의 조작부(21)로의 미끄럼 운동 조작으로 콘텐츠 데이터가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되었을 때, 그 조작이 이루어진 조작부(21)에 대응하여 배치된 LED를 점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이러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명시부(15)(도 15에는 도시하지 않음)로서 LED을 이용하여, 각 조작부(21)에 있어서, 광 투과성의 수지 부품(도광부)을 기기 하우징(1)의 표면으로부터 측면에 걸쳐 마련하는 것에 의해, LED를 점등시켰을 때에, 기기 하우징(1)의 측면측으로부터도 조광(照光)시킬 수 있는 것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패드 부재(31)로서 정전 용량식의 것을 이용하여, 조작부(21)의 측면상의 핑거의 움직임도 검지시킴으로써, 곡면이나 측면에 있어서도 핑거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측면으로부터 배면까지 더 연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러한 휴대 전화(2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이미 정보를 퇴피시키기 위한 조작이 행하여진 조작부(21)로의, 사용자에 의한 재차의 퇴피 조작으로, 일시적인 저장 상태로 된 콘텐츠 데이터의 내용이 사용자에게 통지되는 구성으로 해 놓으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 전화(20)에 있어서는, 표시부(11)로서 LCD를 갖는 구성이라고 하여 설명을 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부(11)로서 유기 EL 소자를 이용하여, 그 유기 EL 소자를 조작부(21)의 위치까지 연신시켜 배치함으로써, 조작부(21) 및 표시부(11)를 공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실용적으로는, 조작부(21)는, 표시부(11)에 대하여 독립된 상태로 마련되는 쪽이, 사용자측에서 보아, 트레이스 조작을 행했다고 하는 인식이 행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트레이스 조작을 매끄럽고, 또한, 스무스 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작부(21)의 배치 위치를, 표시부(11)에 근접하는 주위 위치에 설정함과 아울러, 양자간의 경계선의 위치에, 큰 단차 등이 없도록 기기 하우징(1)의 상면 형상을 설정하면 된다.
또한, 조작부(21)를 배치하는 수는 하나라도 되지만, 사용함 등을 고려하면 복수 개소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핑거의 트레이스 조작에서의 조작 개소로도 되는 각 조작부(21)를 배치할 때의 면적으로서는, 그 각각이 적어도 핑거로 닿는 넓이 정도로 설정되고, 또한, 하나의 조작부(21) 상에 핑거가 맞닿은 상태로, 이웃하는 조작부(21)에 핑거의 접촉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을 든 배치 상태로 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핑거로 트레이스 조작을 행하는 예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트레이스 조작을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경우에는, 펜끝 등의 접촉에 의해서도, 그 위치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패드 부재(31)를 이용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 장치로서, 휴대 전화를 이용하여 설명을 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은 휴대 전화나 스마트 폰을 대표로 하는 휴대식의 무선 단말 기기에 부가하여, PDA로 대표되는 정보 단말 기기, 또는 휴대 게임기, 리모콘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음악 플레이어나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표시부를 구비한 각종 가전 제품 등도 증가하여, 퍼스널 컴퓨터 등도 포함시켜, 이들 각종 전자 기기 전반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해서, 그 사용함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면서도 알기 쉬운 방법으로, 소망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다고 하는 각별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6)

  1. 콘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주변에 마련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조작부 상의 물체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패드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2. 콘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주변에 마련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조작부 상의 물체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가 검지한 물체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패드부가 상기 표시부로부터 상기 조작부로 향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가 상기 표시부로부터 상기 조작부로 향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제어부는 또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표시를 상기 표시부로 하여금 숨기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되었음을 나타내는 명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드부가 상기 표시부로부터 상기 명시부로 향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명시부로 하여금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되었음을 명시하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명시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명칭을 더 명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 각각은 상기 명시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드부가 상기 표시부로부터 상기 조작부로 향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복수의 명시부 중, 물체가 멈춘 곳에 위치하는 명시부로 하여금,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되었음을 명시하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패드부가 상기 조작부로부터 상기 표시부로 향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드부가 상기 조작부로부터 상기 표시부로 향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더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메모리부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작은 상기 조작부상에 물체를 소정 시간 이상 정지시키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조작을 검지했을 때에, 상기 표시부의 표시 영역 내에 각각의 콘텐츠 데이터를 겹치지 않도록 확대 표시 상태로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작은 상기 표시부를 태핑(tapping)하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하우징의 측면을 포함하는 면으로 연신(延伸)되는 도광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조작부 상의 핑거의 움직임 또는 펜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6. 콘텐츠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주변에 마련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조작부상의 물체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패드부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패드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한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으로서,
    상기 패드부가 물체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패드부가 검지한 물체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
KR1020060135423A 2005-12-28 2006-12-27 입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 KR100786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7944 2005-12-28
JP2005377944 2005-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105A KR20070070105A (ko) 2007-07-03
KR100786446B1 true KR100786446B1 (ko) 2007-12-17

Family

ID=3787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423A KR100786446B1 (ko) 2005-12-28 2006-12-27 입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46346A1 (ko)
EP (1) EP1811365A3 (ko)
KR (1) KR100786446B1 (ko)
CN (1) CN100483320C (ko)
TW (1) TWI3628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7484B2 (en) * 2005-11-25 2014-02-11 Applied Materials, Inc. Target for sputtering chamber
JP4884412B2 (ja) * 2008-03-12 2012-02-2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US20100146388A1 (en) * 2008-12-05 2010-06-10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defining content download parameters with simple gesture
JP2013046386A (ja) * 2011-08-26 2013-03-04 Sharp Corp 表示装置、受信装置、表示方法、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3677564B (zh) * 2013-11-20 2016-03-3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滑动操作响应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10225587B1 (en) * 2017-12-19 2019-03-05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Motion estimation method for frame rate converter and video processor using the same
US10288990B1 (en) * 2017-12-21 2019-05-14 Stmicroelectronics S.R.L. Calculation of beam speed and position in a laser projection system using a graphics processing unit
US10469813B2 (en) 2017-12-21 2019-11-05 Stmicroelectronics S.R.L. Light source response compensation for light projection system using a graphics processing uni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826A (ko) * 1999-09-16 2001-04-06 윤종용 멀티미디어콘텐츠의 구매 및 휴대용기기에서의 재생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방송수신장치
JP2002099741A (ja) 2000-09-21 2002-04-05 Nippon Columbia Co Ltd 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3091476A (ja) 2001-09-14 2003-03-28 Victor Co Of Japan Ltd コンテンツ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KR100430158B1 (ko) 2001-06-18 2004-05-04 지은묵 인터넷방송의 콘텐츠 위탁 영업 시스템 및 방법
US20040261136A1 (en) 2003-06-20 2004-12-23 Canon Kabushiki Kaisha Multi-media receiving device and multi-media receiving system
KR20060007331A (ko) * 2004-07-19 2006-01-24 하승의 휴대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실시간 출력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5435A (en) * 1990-07-17 1994-04-19 Hewlett-Packard Company Computer window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off-screen document storage and retrieval
EP0469198B1 (en) * 1990-07-31 1998-05-27 Hewlett-Packard Company Object based system
US5365360A (en) * 1991-11-15 1994-1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information contained within a data icon by assigning attributes to various dimensions of the data icon
JP2813728B2 (ja) * 1993-11-01 1998-10-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ズーム/パン機能付パーソナル通信機
US5956020A (en) * 1995-07-27 1999-09-21 Microtouch Systems, Inc. Touchscreen controller with pen and/or finger inputs
JP3667043B2 (ja) * 1997-07-30 2005-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
US6822635B2 (en) * 2000-01-19 2004-11-23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interface for laptop computers and other portable devices
JP3763389B2 (ja) * 2000-03-24 2006-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データ編集操作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6938101B2 (en) * 2001-01-29 2005-08-30 Universal Electronics Inc. Hand held device having a browser application
US7209914B2 (en) * 2001-05-22 2007-04-24 Icms Group N.V. Method of storing, retrieving and viewing data
US20030060238A1 (en) * 2001-09-25 2003-03-27 Mccarthy Kevin Selection function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UPS107202A0 (en) * 2002-03-13 2002-04-11 K W Dinn Holdings Pty Limited Improved device interface
JP4065142B2 (ja) * 2002-05-31 2008-03-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オーサリング装置およびオーサリング方法
US20040067768A1 (en) * 2002-05-31 2004-04-08 Lavaflow, Llp User interface for a cellular telephone functioning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20040001073A1 (en) * 2002-06-27 2004-01-01 Jan Chipchase Device having a display
US7656393B2 (en) *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JP2004295159A (ja) * 2003-02-07 2004-10-21 Sony Corp アイコン表示システム、アイコン表示方法、電子機器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532196B2 (en) * 2003-10-30 2009-05-12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sensing techniques for mobile devices
US8028250B2 (en) * 2004-08-31 2011-09-27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having a carousel view for representing structured dat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826A (ko) * 1999-09-16 2001-04-06 윤종용 멀티미디어콘텐츠의 구매 및 휴대용기기에서의 재생을 가능케 하는 디지털방송수신장치
JP2002099741A (ja) 2000-09-21 2002-04-05 Nippon Columbia Co Ltd 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KR100430158B1 (ko) 2001-06-18 2004-05-04 지은묵 인터넷방송의 콘텐츠 위탁 영업 시스템 및 방법
JP2003091476A (ja) 2001-09-14 2003-03-28 Victor Co Of Japan Ltd コンテンツ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US20040261136A1 (en) 2003-06-20 2004-12-23 Canon Kabushiki Kaisha Multi-media receiving device and multi-media receiving system
KR20060007331A (ko) * 2004-07-19 2006-01-24 하승의 휴대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실시간 출력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105A (ko) 2007-07-03
TWI362876B (en) 2012-04-21
EP1811365A3 (en) 2012-08-01
US20070146346A1 (en) 2007-06-28
EP1811365A2 (en) 2007-07-25
CN100483320C (zh) 2009-04-29
CN1991724A (zh) 2007-07-04
TW200733695A (en) 200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8351B2 (en) Mobile terminal having touch input device
US916705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12153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0786446B1 (ko) 입력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에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조작 방법
KR101631958B1 (ko)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JP5429218B2 (ja) 入力装置
KR101571723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001151B2 (en)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during a video cal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613234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JP2010134755A (ja) 通信機器
JP2009086943A (ja) タッチ入力装置及びこれを具えた携帯電子機器
US9417724B2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7202124A (ja) 入力装置およびこの入力装置を用いた携帯端末機器ならびに携帯端末機器におけるコンテンツデータの閲覧方法
US78393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iority of input keys thereof
JP5542975B2 (ja) 電子機器
KR20100038693A (ko) 이동단말기의 키패드 표시방법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1474463B1 (ko) 이동단말기의 리스트 표시방법
KR101578726B1 (ko) 이동 단말기
KR1013052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20570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40013610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40011208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JP2013225943A (ja) 携帯電話機
KR20110002217A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명령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