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958B1 -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958B1
KR101631958B1 KR1020100003597A KR20100003597A KR101631958B1 KR 101631958 B1 KR101631958 B1 KR 101631958B1 KR 1020100003597 A KR1020100003597 A KR 1020100003597A KR 20100003597 A KR20100003597 A KR 20100003597A KR 101631958 B1 KR101631958 B1 KR 101631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uch
unit
key butt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394A (ko
Inventor
오명석
진흥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3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958B1/ko
Priority to US12/862,683 priority patent/US8786548B2/en
Priority to EP20100175195 priority patent/EP2346232B1/en
Publication of KR2011008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7Optical touch switches
    • H03K17/9631Optical touch switches using a light source as part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7Optical touch switches
    • H03K17/9631Optical touch switches using a light source as part of the switch
    • H03K2017/9634Optical touch switches using a light source as part of the switch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e.g. light emitting polymer [OEP] or O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42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갖는 투광성 재질의 키버튼과, 상기 키버튼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키버튼의 주변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조도센서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키 버튼에 가해진 터치의 감지를 위해 상기 키 버튼의 외부로 광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 및 상기 광신호가 상기 조도센서의 수광부로 입력됨에 따라 터치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도센서를 이용한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 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입력 장치는 돔 스위치,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조그 휠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본 발명은 조도센서를 입력장치 내에 배치하여 이동 단말기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기구적인 제약을 극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구조의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투광성 재질의 키버튼과, 상기 키 버튼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단말기 바디의 주변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조도센서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키 버튼에 가해진 터치의 감지를 위해 상기 키 버튼의 외부로 광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 및 상기 광신호가 상기 조도센서의 수광부로 입력됨에 따라 터치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발광부는 적외선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적외선 발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키버튼에 대해 적어도 일 방향으로 가해지는 슬라이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도센서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신호 생성부는 상기 슬라이드 터치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바디에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조도센서의 센싱 결과를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조도센서의 수광부로 입력되는 광신호의 데이터 변화량을 근거로 상기 밝기 조절부의 활성화 유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키버튼이 누름 동작됨에 따라 푸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돔 스위치와, 상기 터치입력 신호 및 푸시 입력신호를 근거로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된 장착부품들에 제어 명령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버튼에 대한 터치입력, 푸시입력, 푸치 및 터치의 연속입력마다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입력은 손가락이 상기 키버튼 상에 슬라이드되는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터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드 터치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키버튼에는 복수의 키 정보들이 표시되고, 상기 키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 푸시 입력, 푸시 및 터치의 연속 입력 중 2 이상은 상기 복수의 키 정보들에 각각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품은 시각 정보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 입력 및 터치 입력을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명령은 특정 모드 실행 중 기설정된 화면으로 복귀 명령, 선택된 동작의 실행 명령, 실행 중인 기능의 상위 항목 표시, 메뉴 표시 명령, 다음 페이지 또는 이전 페이지로의 전환 명령, 커서 또는 포인터의 이동 명령, 특정 방향으로 화면을 스크롤하기 위한 명령, 줌 인 또는 줌 아웃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갖는 투광성 재질의 키버튼과, 상기 키버튼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키버튼의 주변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센서와, 상기 조도센서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키 버튼에 가해진 터치의 감지를 위해 상기 키 버튼의 외부로 광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 및 상기 광신호가 상기 조도센서의 수광부로 입력됨에 따라 터치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조도센서를 키버튼 내에 설치하여 단말기 바디에 조도센서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장착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는 바, 이동 단말기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입력 장치에 적용된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새로운 터치 입력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 장치에 돔 스위치를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터치입력 및 푸시입력이 모두 가능한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이와 같은 터치 및 푸시 입력 방식을 적절하게 혼용하여 적은 갯수의 키버튼으로도 다양한 입력 방식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입력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6은 밝기 조절부 및 입력 장치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입력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9a 내지 9e는 도 7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식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10은 입력신호 생성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1a 내지 11c는 텍스트 보기 모드에서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 방식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12a 내지 12e는 이미지 보기 모드에서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 방식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13a 및 13b는 웹브라우징 모드에서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 방식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
도 15 및 16는 도 1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a 내지 18c는 도 1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1조작유닛(132)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조작유닛(132)를 '입력 장치(200)'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입력 장치(200)는 키버튼(210), 조도센서(220), 및 발광부(230)를 포함한다.
키버튼(210)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며, 조도센서(220) 및 발광부(230)를 장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다. 키버튼(210)은 발광부(230)에서 나온 광신호와 외부의 광신호들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투광성의 개념은 완전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키버튼(210)은 투광성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키버튼(210)의 전체 재질이 투광성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일부 영역만 투광성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은 불투광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키버튼(210)은 프론트 케이스(101)에 고정되거나, 인쇄회로기판(240)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조도센서(220)는 키버튼(2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 또는 키버튼(210)의 주변 조도를 센싱한다. 조도센서(220)는 특정 파장 대역의 광신호(예를 들어, 가시광선)를 수광하여 이를 근거로 조도를 센싱한다. 조도센서(220)는 광신호를 수광하기 위한 수광부(221)를 구비한다.
발광부(230)는 키버튼(2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조도센서(220)의 일측에 배치된다. 발광부(230)는 키버튼(210)에 가해진 터치 감지를 위한 광신호를 출력한다. 발광부(230)는 특정 파장 대역, 예를 들어 조도 센싱을 위한 파장 대역과 다른 대역의 광신호를 출력하며, 발광부(230)에서 출력된 광신호는 키버튼(210)을 통과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이러한 발광부(230)의 일 예로서 적외선을 출력하는 적외선 발광 모듈을 들 수 있다. 키버튼(210)에 터치가 가해진 경우, 발광부(230)에서 출력된 광신호(적외선)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며, 반사된 광신호(적외선)는 조도센서(220)의 수광부(221)로 입력된다. 도 3의 화살표는 발광부(230)에서 나온 광신호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조도센서(220)의 수광부(220)는 조도의 센싱을 위해서 제1대역의 광신호(가시광선)을 입력 받으며, 키버튼(210)에 가해진 터치의 감지를 위해서 제2대역의 광신호(적외선)을 입력 받도록 구성된다.
조도센서(220)와 발광부(230)는 인쇄회로기판(240, PCB)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240)는 리지드 기판의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인쇄회로기판(240)은 프론트 케이스(101)에 형성된 지지부(105)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연성회로기판(245, FPCB)에 의해 단말기 바디 내부의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조도센서(220)와 키버튼(210)의 내벽 사이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의 스페이서(247)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페이서(247)는 키버튼(210)에 터치가 가해질 때 발생하는 충격이 조도센서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러버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스페이서(247)에는 수광부(221)로 광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관통홀(248)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도센서(220)에는 입력신호 생성부(250)가 연결된다. 입력신호 생성부(250)는 발광부(230)에서 출력된 광신호(적외선)가 조도센서(220)의 수광부(221)로 입력됨에 따라 터치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조도센서(220), 발광부(230), 입력신호 생성부(250)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여기서, 입력신호 생성부(250)는 제어부(180)에 포함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발광부(230)의 동작(예를 들어 광신호의 출력 여부)을 제어하며, 입력신호 생성부(250)에서 생성된 터치 입력신호를 인가 받아 이를 근거로 단말기 바디에 장착된 장착부품들에 제어 명령을 인가한다.
아울러, 조도센서(220)에서 인가된 조도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에 장착된 장착부품들에 제어 명령을 인가한다. 이러한 장착 부품의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51)를 들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조도센서(220)의 센싱 결과를 근거로 디스플레이부(151)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 조절부(26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밝기 조절부(260)는 주변 조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의 밝기를 조절한다. 이는 디스플레이부(251)를 조명하는 조명 유닛의 출력을 조절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1)가 자체 발광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발광량을 조절하므로써 가능하다. 밝기 조절부(260)는 주변 조도가 밝아질수록 디스플레이부(151)의 밝기를 밝게 조절한다. 즉, 밝기 조절부(26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밝기가 주변 조도에 비례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의 밝기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는 밝기 조절부(260)가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을 갖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밝기 조절부(260)가 제어부(180)에 포함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6은 밝기 조절부 및 입력 장치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180)는 밝기 조절부(260)를 활성화시킨다(S110).밝기 조절부(260)는 별도의 제어 명령을 받기 전까지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정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조도센서(220)의 수광부(221)로 수광된 광신호(적외선) 데이터에 변화량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20). 그리고, 제어부(180)는 이를 근거로 밝기 조절부(260)의 활성화 유무를 제어한다.
광신호(적외선) 데이터의 변화량이 발생하는 경우{또는 수광부(221)에 광신호가 입력된 경우}는 키버튼(210)에 터치가 가해져 광신호(적외선)가 수광부(221)로 입력된 것을 의미한다, 광신호(적외선) 데이터의 변화량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밝기 조절부(260)를 비활성화시킨다(S120). 이로 인해 손가락이 키버튼(210)을 가림으로써 발생하는 조도 변화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의 밝기가 조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밝기 조절부(260)가 비활성화되면, 제어부(180)는 입력신호 생성부(250)에서 생성된 입력신호를 근거로 장착부품들에 제어 명령을 인가한다(S140).
한편, 광신호(적외선) 데이터의 변화량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또는, 광신호 데이터의 입력이 없는 경우), 밝기 조절부(260)는 그 동작을 수행한다. 즉, 조변 조도의 변화를 확인하며(S150), 이를 근거로 디스플레이부(151)의 밝기를 조절하게 된다(S160).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도센서(220)를 키버튼(210) 내에 설치하므로, 단말기 바디에 조도센서(220)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장착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입력 장치(200)에 적용된 조도센서(220)를 이용하여 새로운 터치 입력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본 도면들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연장선 상의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300)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키버튼(310), 조도센서(320), 및 발광부(330)를 포함한다. 조도센서(320)는 입력신호 생성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조도센서(310), 발광부(330), 및 입력신호 생성부는 제어부(180)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300)는 이에 추가적으로 돔 스위치(341)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키버튼(310)은 인쇄회로기판(340)에 고정되어 단말기 바디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돔 스위치(341)는 돔 시트(342)에 형성되어 키버튼(310)의 누름 동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돔 시트(342)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형성된 지지부(10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인쇄회로기판(340)에는 푸시 돌기(343)가 형성되어 있으며, 푸시 돌기(343)는 키버튼(310)이 누름 동작됨에 따라 돔 스위치(341)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돔 스위치(341)가 변형되어 돔 시트(342)의 접점을 연결하며, 이에 따라 푸시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300)는 키버튼(310)을 터치하는 방식과, 키버튼(320)를 클릭하는 방식을 혼용한 입력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신호 발생부에서 생성되는 터치 입력신호와 돔 시트(342)에서 생성되는 푸시 입력신호를 근거로 단말기 바디에 장착된 장착부품들에 제어 명령을 인가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발광부(330)의 구성으로서 제1발광부(331)와 제2발광부(332)를 예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발광부(331,332)는 조도센서(32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제1 및 제2발광부(331,332)는 입력 장치(300)가 키버튼(320)에 대해 적어도 일 방향으로 가해지는 슬라이드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슬라이드 터치는 손가락을 키버튼(310)에 접촉시킨 상태로 슬라이드시키는 방식을 통한 입력 방식을 지칭한다.
제1발광부(331)와 제2발광부(332)는 수광부(321)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인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슬라이드 터치시 손가락의 이동 시작점에 따라 수광부(321)로 입력되는 광신호(적외선)의 데이터량을 달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터치가 키버튼의 우측 영역에서 시작되어 좌측 영역을 향하는 경우와 좌측 영역에서 시작되어 우측 영역을 향하는 경우를 구분할 수 있다.
입력신호 생성부는 수광부(321)에 입력된 광신호(적외선) 데이터의 변화량을 근거로 터치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아울러, 입력신호 생성부는 슬라이드 터치의 시작점의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슬라이드 터치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이 구성에 돔 스위치(341)를 추가함과 아울러 발광부(330)가 제1 및 제2발광부(331,332)로 구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이들 구성들이 모두 추가된 것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중 일부만이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9a 내지 9e는 도 7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입력 방식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8에서 설명된 입력 장치(300)의 구성에 따르면, 터치 입력 및 푸시 입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입력방식의 구현이 가능하다. 즉, 푸시 입력 및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 슬라이드 터치의 방향 등에 따라 제어부(180)가 서로 다른 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설정 가능하다.
도 9a 및 9b는 돔 스위치(341)를 이용한 푸시입력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도 9a 및 9b와 같이, 푸시입력은 그 지속시간에 따라 2가지 입력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이 푸시입력의 지속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초) 이내인 경우와, 도 9b와 같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초) 이상인 경우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쇼트 클릭(short click)이라 지칭하기로 하며, 후자의 경우를 롱 클릭(long click)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도 9c 및 9d는 터치입력을 통한 입력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입력의 지속시간에 따라 2가지 입력방식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입력은 도 9c와 같은 슬라이드 터치와, 도 9d와 같은 롱 터치(long touch)로 구분될 수 있다. 입력신호 생성부는 터치 입력의 지속시간, 다시 말해 광신호(적외선) 데이터의 유지시간에 따라 다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이와 같은 입력 방식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9c는 슬라이드 터치가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초)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9c는 슬라이더 터치가 키버튼(310)의 우측 영역에서 좌측 영역을 향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도 9d는 키버튼(310) 상에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초) 이상 터치입력이 가해지는 롱 터치(long touch)를 예시하고 있다.
한편, 도 9e와 같이 푸시입력과 터치입력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입력 방식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푸시입력 및 터치입력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된 후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초) 이내에 나머지 하나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이러한 입력은 푸시입력 및 터치 입력과 별도의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9e는 쇼트 클릭과 슬라이드 터치의 연속 입력 방식을 예시하고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방식의 입력을 "클릭-슬라이드 터치"로 지칭하기로 한다. 푸시와 터치의 연속 입력(또는, 터치와 푸시의 연속입력)은 도 9e의 클릭-슬라이드 터치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를 통한 입력방식은 쇼트 클릭, 롱 클릭, 슬라이드 터치, 롱 터치, 클릭-슬라이드 터치의 5가지 입력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키버튼(310)에 대한 터치입력(슬라이드 터치, 롱 터치), 푸시입력(쇼트 클릭, 롱 클릭), 푸치 및 터치의 연속입력(클릭- 슬라이드 터치)마다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을 인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력신호 생성과 관련된 입력 장치의 작동 방식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입력신호 생성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푸시 입력 여부, 적외선 데이터의 변화량, 가시광선 데이터의 변화량을 순차적으로 확인한다.
제어부(180)는 우선적으로 돔스위치(341)를 통한 입력 여부(푸시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210).
푸시 입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푸시 입력의 지속 시간을 확인한다(S220). 푸시 입력의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1초) 이내이면, 제어부(180, 또는 입력신호 생성부)는 조도센서(320)의 수광부(321)로 입력된 광신호(적외선) 데이터의 변화량을 체크한다(S230).
적외선 데이터의 변화가 없는 경우, 제어부(180)는 쇼트 클릭이 이루어졌음을 식별한다. 그리고, 적외선 데이터의 변화가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클릭-슬라이드 터치가 이루어졌음을 식별한다.
푸시 입력의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2초) 이상이면, 제어부(180)는 롱 클릭이 이루어졌음을 식별하게 된다.
한편, 돔 스위치(341)를 통한 푸시 입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80,또는 입력신호 생성부)는 조도센서(320)의 수광부(321)로 입력된 광신호(적외선) 데이터의 변화량을 체크한다(S240),
적외선 데이터의 변화가 있는 경우, 제어부(180, 또는 입력신호 생성부)는 적외선 데이터의 유지시간을 확인한다(S250). 적외선 데이터의 유지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1초) 이내이면, 제어부(180,또는 입력신호 생성부)는 슬라이드 터치가 이루어졌음을 식별한다. 적외선 데이터의 유지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2초) 이상이면 제어부(180,또는 입력신호 생성부)는 롱 터치가 이루어졌음을 식별한다.
푸시 입력이 없고 이와 동시에 적외선 데이터의 변화가 없는 경우, 즉, 어떠한 입력도 수행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조도센서(220)의 가시광선 데이터를 체크한다(S260). 조도센싱 데이터의 변화가 확인되면, 이를 근거로 밝기 조절부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부(151)의 밝기를 조절하게 한다. 밝기 조절부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제어 과정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입력 방식을 갖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작동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은 푸시입력, 터치 입력 등을 근거로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명령은 특정 모드 실행 중 기설정된 화면으로 복귀 명령, 선택된 동작의 실행 명령, 실행 중인 기능의 상위 항목 표시, 메뉴 표시 명령, 다음 페이지 또는 이전 페이지로의 전환 명령, 커서 또는 포인터의 이동 명령, 특정 방향으로 화면을 스크롤하기 위한 명령, 줌 인 또는 줌 아웃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력 장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하는 방식의 예들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a 내지 11c는 텍스트 보기 모드에서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 방식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복수의 아이콘들(411)이 표시되어 있다. 이들 아이콘들(411)은 이동 단말기가 갖는 각종 작동 모드, 어플리케이션 등을 나타내며, 사용자는 이들 아이콘들(411)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작동 모드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의 형태를 갖는 경우 아이콘(411)들은 직접 터치하여 아이콘들(411)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지만, 입력 장치(300)를 이용하여 아이콘들(411)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아이콘들(411) 중 어느 하나에는 포인터(412)가 표시될 수 있으며 입력 장치(300)를 이용하여 포인터(41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버튼(310)에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여 포인터(412)를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포인터(412)를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키버튼(310)에 쇼트 클릭을 가하면,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작동 모드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본 실시예는 텍스트 보기 모드가 실행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쇼트 클릭은 '엔터키'로서의 기능을 한다.
텍스트 보기 모드가 실행되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들(413)이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키버튼(310)에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여 표시된 텍스트 파일들(413)을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중앙에 표시된 텍스트 파일이 현재 선택된 파일이다. 이와 같은 방식 뿐 아니라, 텍스트 파일들(413) 중 어느 하나에 포인터를 표시하여 현재 선택된 파일을 나타내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a는 키버튼(310)에 클릭-우측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여 선택된 텍스트 파일(413)에 대한 메뉴(414)를 표시할 수 있다. 메뉴(414)에는 텍스트 파일(413)의 편집을 위한 명령들(예를 들어, 오려두기, 복사하기, 붙이기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슬라이드 터치로 이러한 명령들 상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쇼트 클릭을 이용하여 선택된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메뉴(414)의 표시 상태에서 키버튼(310)에 클릭-좌측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는 경우, 메뉴(414)의 표시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즉, 클릭-슬라이드 터치는 슬라이드 터치의 방향에 따라 메뉴 표시 명령 또는 메뉴 표시 해제 명령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1b는 텍스트 파일들(41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실행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413)에는 선택된 파일의 내용들이 텍스트의 형태로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413)가 특정 페이지를 표시하고 있을 때, 키버튼(310)에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여 출력되는 페이지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방향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다음 페이지(416)가 표시되고, 우측 방향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 이전 페이지(417)가 표시된다.
도 11c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작동 모드의 실행 화면에서 기설정된 화면으로 복귀시키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1c의 도시와 같이 텍스트 보기 모드의 실행 화면(418)에서 키버튼(310)에 롱 클릭을 가함으로써 아이콘(411)이 표시된 메뉴 표시 화면(419)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12e는 이미지 보기 모드에서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 방식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a는 이미지(예를 들어 사진) 보기 모드가 실행중인 화면을 보여주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421)가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키버튼(310)에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여 다음 이미지 또는 이전 이미지(422)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b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미지 보기 모드의 실행 중 키버튼(310)에 롱 터치를 가하면, 줌 인/아웃 모드 또는 화면 스크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들(423,424)가 표시된다. 키버튼(310)에 쇼트 클릭을 가하여 줌 인/아웃 모드 또는 화면 스크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아이콘들(423,424) 중 어느 하나에는 현재 선택된 모드를 표시하는 포인터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2b는 줌 인/아웃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키버튼(310)에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여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는 경우 확대된 화면(421')이 출력된다. 또한, 키버튼(310)에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는 경우 화면을 축소시킬 수 있다.
도 12c는 화면 스크롤 모드에서 화면을 스크롤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키버튼(310)에 쇼트 클릭을 가하여 줌 인/아웃 모드에서 화면 스크롤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버튼(310)에 쇼트 클릭을 가함에 따라 줌 인/아웃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423)에 표시된 포인터가 화면 스크롤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424)로 이동하며, 그에 대응되는 모드로 전환된다.
화면 스크롤 모드에서 키버튼(310)에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여 출력 화면을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c의 도시와 같이 우측 방향을 향하는 슬라이드 터치인 경우, 출력된 화면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키버튼(310)에 클릭-슬라이드 터치를 가하여 출력 화면을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c와 같이 클릭 후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터치하는 경우, 출력 화면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키버튼(310)에 롱 터치를 가하여 줌 인/아웃 모드 또는 화면 스크롤 모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도 12d는 이미지 보기 모드에서 상위 항목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d와 같이, 키버튼(310)에 쇼트 클릭을 가하면, 현재 표시중인 이미지의 상위 항목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현재 표시된 이미지가 저장된 폴더 내의 전체 항목(425)가 표시된다.
도 12e는 이미지 보기 모드의 실행 화면에서 기설정된 화면으로 복귀시키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들어, 키버튼(310)에 롱 클릭을 가하면, 실행중인 화면에서 아이콘(411)이 표시된 메뉴 표시 화면(419)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롱 클릭은 '홈 키'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도 13a 및 13b는 웹브라우징 모드에서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 방식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a와 같이, 웹브라우징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웹브라우징 화면(431)이 표시된다. 키버튼(310)에 슬라이드 터치를 가함으로써 웹브라우징 화면을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버튼(310)에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는 경우, 웹브라우징 화면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표시되지 않았던 영역들이 표시되게 된다.
도 13b와 같이, 키버튼(310)에 클릭-슬라이드 터치를 가하여 출력 화면을 상하 방향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b와 같이 클릭 후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터치하는 경우, 출력 화면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밖에 도 12b 내지 12e에서 설명된 화면 확대, 화면 스크롤을 위한 입력 방식들은 본 실시예의 웹브라우징 모드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는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바디(510,5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제1바디(510)와 제2바디(5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를 예시하고 있으나, 폴더 타입, 스윙 타입 등 다른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제1바디(51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카메라(121), 스피커(152), 제1조작유닛(131), 마이크(122)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1조작유닛(131)에는 앞서 설명된 입력장치(200,300)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제2바디(520)에는 제2 및 제3조작유닛(132,133),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제2바디(520)는 제1바디(510)에 의해 일부 영역이 가려진 닫힌 상태에서 가려졌던 영역이 노출되는 열린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해 노출되는 영역에는 제3조작유닛(133)이 장착된다. 제3조작유닛(133)은 쿼티(QWERTY) 타입의 배열을 갖는 키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키버튼들에는 키 입력을 위한 키정보(예를 들어, 문자, 숫자,기호 등)이 표시된다. 앞서 설명된 입력장치(200,300)의 구조는 키버튼들 중 일부에 적용되거나 키버튼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3조작유닛(133)에 도 7에 도시된 입력장치(300)의 구조가 적용된 것을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및 16는 도 1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제3조작유닛(133)의 키버튼들은 제2바디(52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도 15 및 16에서는 복수의 열 중 맨 윗쪽 열에 위치한 키버튼들(133')에만 앞서 설명된 입력장치(300)의 구조가 적용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키버튼들(133')에 가해지는 슬라이드 터치를 이용하여 텍스트 편집 모드에서 텍스트를 삭제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슬라이드 터치는 텍스트 편집모드에서 텍스트의 삭제 명령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의 전송을 위한 텍스트 편집 화면이 표시되어 있으며, 제3조작유닛(133)로의 푸시 입력을 통하여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입력된 텍스트가 표시되어 있다.
도 15와 같이, 상단에 배열된 키버튼들(133') 중 우측 단부에 위치한 키(예를 들어, 'P'키)에 좌측 방향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면, 현재 커서의 좌측에 위치한 텍스트가 삭제된다.
도 16과 같이, 우측 단부에 위치한 키(예를 들어, 'P'키)로부터 일정 갯수만큼의 키버튼들에 좌측 방향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면, 슬라이드 터치되는 키버튼들의 갯수만큼의 텍스트가 삭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4개의 키버튼들에 슬라이드 터치가 가해진 경우, 4개의 텍스트가 삭제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한 대문자/소문자 전환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제3조작유닛(133)의 키버튼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의 키 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조작유닛(133)의 키버튼들 중 특정 키버튼(133", Q 버튼)에 문자 입력을 위한 키 정보(Q) 뿐만 아니라 대문자/소문자 전환을 위한 키 정보(Shift)가 할당될 수 있다.
해당 키 버튼(133")을 쇼트 클릭 하는 경우에는 문자 입력을 위한 키 정보(Q)가 입력되고, 롱 터치를 가하는 경우 대문자/소문자 전환을 위한 키 정보(Shift)가 입력되도록 설정 가능하다.
도 17과 같이 사용자가 대문자 "D"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Q 버튼(133")에 롱 터치를 가한 후 D 버튼에 쇼트 클릭을 가하면, 대문자 "D"가 입력되게 되는 것이다.
도 18a 내지 18c는 도 1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또 다른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제3조작유닛(133)의 키버튼들 각각에는 복수의 키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키 정보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정보들, 예를 들어, 문자, 숫자, 기호, 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키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 푸시 입력, 푸시 및 터치의 연속 입력 중 적어도 2 이상은 키버튼에 표시된 복수의 키 정보들에 각각 할당된다.
도 18a 내지 18c는 단일의 키버튼에 5가지 종류의 키 정보들이 표시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키버튼의 중앙에는 소문자에 해당하는 키정보(q)가 표시되어 있으며, 키버튼의 좌측 상단에는 대문자에 해당하는 키정보(Q)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키버튼의 우측 상단에는 숫자에 해당하는 키정보(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키버튼의 좌측 하단에는 기호에 해당하는 키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키버튼의 우측 하단에는 자주 사용하는 단어 또는 어구에 해당하는 키정보(.com)가 표시되어 있다.
도 18a와 같이, 키버튼에 대한 푸시 입력은 소문자에 해당하는 키정보(q)에 할당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8b와 같이 키버튼에 대한 슬라이드 터치는 키버튼의 상단에 표시된 키정보들(Q,1)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버튼에 좌측 방향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면, 대문자에 해당하는 키정보(Q)가 입력되며, 우측 방향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면 숫자에 해당하는 키정보(1)가 입력된다.
또한, 도 18c와 같이 클릭-슬라이드 터치는 키버튼의 하단에 표시된 키정보들([ 및 .com)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버튼을 클릭 후 좌측 방향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면, 기호에 해당하는 키정보([)가 입력되며, 클릭 후 좌측 방향 슬라이드 터치를 가하면 단어 또는 문구에 해당하는 키정보(.com)이 입력되게 된다.
이와 같은 입력장치의 구조 및 입력 방식에 따르면 키버튼의 갯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단말기 바디의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8)

  1. 단말기 바디;
    제어부;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장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
    상기 키 버튼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바디의 주변 조도인 제1 대역의 광신호 및 제2 대역의 광신호를 센싱하는 조도센서;
    상기 조도센서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에 가해진 터치의 감지를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버톤의 외부로 제2 대역의 광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
    상기 조도센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수광부로 광신호가 입력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수광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광신호에 의하여 터치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광신호가 상기 제1 대역의 광신호인 경우 제1 제어명령을 형성하고, 상기 수광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광신호가 상기 제2 대역의 광신호인 경우 제2 제어명령을 형성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에 터치가 가해질 때 발행하는 충격이 상기 조도센서로의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내벽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적외선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적외선 발광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키버튼에 대해 적어도 일 방향으로 가해지는 슬라이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도센서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 및 제2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생성부는 상기 슬라이드 터치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며,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센서의 수광부로 입력되는 광신호의 데이터 변화량을 근거로 상기 밝기 조절부의 활성화 유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밝기 조절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광신호의 데이터량이 변화되면 상기 밝기 조절부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이 누름 동작됨에 따라 푸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돔 스위치;
    상기 터치입력 신호 및 푸시 입력신호를 근거로 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된 장착부품들에 제어 명령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버튼에 대한 터치입력, 푸시입력, 푸치 및 터치의 연속입력마다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손가락이 상기 키버튼 상에 슬라이드되는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터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드 터치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에는 복수의 키 정보들이 표시되고,
    상기 키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 푸시 입력, 푸시 및 터치의 연속 입력 중 2 이상은 상기 복수의 키 정보들에 각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입력 및 터치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지속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 명령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품은 시각 정보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 입력 및 터치 입력을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특정 모드 실행 중 기설정된 화면으로 복귀 명령, 선택된 동작의 실행 명령, 실행 중인 기능의 상위 항목 표시, 메뉴 표시 명령, 다음 페이지 또는 이전 페이지로의 전환 명령, 커서 또는 포인터의 이동 명령, 특정 방향으로 화면을 스크롤하기 위한 명령, 줌 인 또는 줌 아웃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은 손가락이 상기 키버튼 상에 슬라이드되는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터치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터치는 텍스트 편집모드에서 텍스트의 삭제 명령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은 상기 단말기 바디 상에 적어도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복수로 배열되고,
    상기 텍스트는 상기 슬라이드 터치되는 키버튼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며, 내부 공간을 갖는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
    상기 키 버튼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바디의 주변 조도인 제1 대역의 광신호 및 제2 대역의 광신호를 센싱하는 조도센서;
    상기 조도센서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에 가해진 터치의 감지를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의 외부로 제2 대역의 광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
    상기 조도센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버튼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며,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수광부로 광신호가 입력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스페이서;및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수광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광신호에 의하여 따라 터치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대역의 광신호는 각각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제어신호와 대응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에 터치가 가해질 때 발행하는 충격이 상기 조도센서로의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의 내벽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KR1020100003597A 2010-01-14 2010-01-14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31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597A KR101631958B1 (ko) 2010-01-14 2010-01-14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US12/862,683 US8786548B2 (en) 2010-01-14 2010-08-24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input device
EP20100175195 EP2346232B1 (en) 2010-01-14 2010-09-03 Mobile terminal having an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597A KR101631958B1 (ko) 2010-01-14 2010-01-14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394A KR20110083394A (ko) 2011-07-20
KR101631958B1 true KR101631958B1 (ko) 2016-06-20

Family

ID=4379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597A KR101631958B1 (ko) 2010-01-14 2010-01-14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86548B2 (ko)
EP (1) EP2346232B1 (ko)
KR (1) KR1016319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6073A (ko) 2007-09-24 2023-08-03 애플 인크. 전자 장치 내의 내장형 인증 시스템들
KR101816721B1 (ko) * 2011-01-18 201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싱 모듈, gui 제어 장치 및 방법
FR2976867B1 (fr) * 2011-06-23 2013-11-08 Delphi Tech Inc Panneau de commande comportant une touche retro-eclairee de type resistive
US8847923B1 (en) * 2011-07-15 2014-09-30 James Harrison Bowen Keyboard with reflected light beam finger detection
US9024915B1 (en) * 2011-07-15 2015-05-05 Chelsea Trent Keyboard with reflected light beam finger detection
KR20130027841A (ko) * 2011-09-08 2013-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의 신호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JP6001249B2 (ja) * 2011-09-27 2016-10-0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1222388B1 (ko) * 2011-10-14 2013-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안테나 수신 감도 향상을 위한 장치
AU2013262488A1 (en) 2012-05-18 2014-12-1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US8737821B2 (en) 2012-05-31 2014-05-27 Eric Qing Li Automatic triggering of a zoomed-in scroll bar for a media program based on user input
JP2014010777A (ja) * 2012-07-02 2014-01-20 Fujitsu Ltd 表示プログラム、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9298295B2 (en) * 2012-07-25 2016-03-29 Facebook, Inc. Gestures for auto-correct
US20140061466A1 (en) * 2012-08-29 2014-03-06 Htc Corporation Controll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9710069B2 (en) 2012-10-30 2017-07-18 Apple Inc. Flexible printed circuit having flex tails upon which keyboard keycaps are coupled
US9502193B2 (en) 2012-10-30 2016-11-22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s using butterfly hinges
US9449772B2 (en) 2012-10-30 2016-09-20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s using butterfly hinges
US20140168924A1 (en) * 2012-12-14 2014-06-19 Htc Corporation Button assembly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U2014214872B2 (en) 2013-02-06 2017-05-25 Apple Inc. Input/output device with a dynamically adjustable appearance and function
CN103200733B (zh) * 2013-02-19 2016-12-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控制终端设备状态指示灯的方法及装置
KR101787227B1 (ko) 2013-05-27 2017-11-15 애플 인크. 적은 이동 스위치 조립체
US9908310B2 (en) 2013-07-10 2018-03-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 reduced friction surface
WO2015047661A1 (en) 2013-09-30 2015-04-02 Apple Inc. Keycaps with reduced thickness
WO2015047606A1 (en) 2013-09-30 2015-04-02 Apple Inc. Keycaps having reduced thickness
EP2860612B1 (en) * 2013-10-04 2019-04-24 ams AG Optical sens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gesture detection
USD755809S1 (en) * 2013-12-30 2016-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793066B1 (en) 2014-01-31 2017-10-17 Apple Inc. Keyboard hinge mechanism
US9779889B2 (en) 2014-03-24 2017-10-03 Apple Inc. Scissor mechanism features for a keyboard
US9704665B2 (en) 2014-05-19 2017-07-11 Apple Inc. Backlit keyboard including reflective component
US9411456B2 (en) * 2014-06-25 2016-08-0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mbedded light-sensing component
AU2017100150B4 (en) * 2014-08-08 2017-04-13 Apple Inc. Keyboard
KR20170001079U (ko) * 2014-08-08 2017-03-22 애플 인크. 키보드
EP2983060B1 (en) * 2014-08-08 2018-10-31 Apple Inc. Keyboard
EP3180678A1 (en) 2014-08-15 2017-06-21 Apple Inc. Fabric keyboard
US10082880B1 (en) 2014-08-28 2018-09-25 Apple Inc. System level features of a keyboard
CN105425936B (zh) * 2014-09-19 2020-07-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适配外接设备的方法、装置及终端
US10192696B2 (en) 2014-09-30 2019-01-29 Apple Inc. Light-emitting assembly for keyboard
DE102015102639A1 (de) * 2015-02-24 2016-08-25 Emporia Telecom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en Endgerätes, Applikation für ein mobiles Endgerät sowie mobiles Endgerät
CN104767513B (zh) * 2015-04-24 2018-06-0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多功能按键及移动终端
CN207367843U (zh) 2015-05-13 2018-05-15 苹果公司 键盘组件
WO2016183510A1 (en) 2015-05-13 2016-11-17 Knopf Eric A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
US9997304B2 (en) 2015-05-13 2018-06-12 Apple Inc. Uniform illumination of keys
CN205595253U (zh) 2015-05-13 2016-09-21 苹果公司 电子装置、铰接结构和键机构
US9934915B2 (en) * 2015-06-10 2018-04-03 Apple Inc. Reduced layer keyboard stack-up
DE102015011649A1 (de) * 2015-09-11 2017-03-30 Audi Ag Bedienvorrichtung mit Zeicheneingabe und Löschfunktion
US9971084B2 (en) 2015-09-28 2018-05-15 Apple Inc. Illumination structure for uniform illumination of keys
KR101749933B1 (ko) * 2015-11-12 201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I580990B (zh) * 2015-12-27 2017-05-01 昇佳電子股份有限公司 感測裝置及感測裝置製作方法
KR102419624B1 (ko) 2016-01-21 2022-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센서 배치 구조
US10104733B2 (en) * 2016-04-21 2018-10-16 Ningbo Futai Electric Limited Portable illumination device
US10353485B1 (en) 2016-07-27 2019-07-16 Apple Inc. Multifunction input device with an embedded capacitive sensing layer
CN106462293B (zh) * 2016-08-08 2022-04-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触控响应方法及装置
US10115544B2 (en) 2016-08-08 2018-10-30 Apple Inc. Singulated keyboard assembli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 keyboard
US10755877B1 (en) 2016-08-29 2020-08-25 Apple Inc.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500538B2 (en) 2016-09-13 2022-11-15 Apple Inc. Keyless keyboard with force sensing and haptic feedback
WO2019023357A1 (en) 2017-07-26 2019-01-31 Apple Inc. COMPUTER WITH KEYBOARD
KR102416838B1 (ko) * 2017-10-12 2022-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881547A (zh) * 2018-07-03 2018-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移动终端返回键显示控制方法
CN111464670B (zh) * 2019-01-21 2022-02-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US10904370B1 (en) * 2019-11-15 2021-01-26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11478692A (zh) * 2020-04-15 2020-07-31 宁波卓域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带振动反馈lin总线开关及其控制方法
US11409410B2 (en) 2020-09-14 2022-08-09 Apple Inc. User input interfa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7157A (ja) 2005-12-02 2007-06-21 Lg Electronics Inc 携帯端末機及びその動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7616B2 (ja) * 2001-04-20 2007-12-26 三菱電機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US7808487B2 (en) * 2001-06-06 2010-10-05 Cirque Corporation System for disposing a proximity sensitive touchpad behind a mobile phone keymat
DE10211307A1 (de) * 2002-03-13 2003-11-20 Mechaless System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optoelektronischen Erkennung der Bewegung und/oder Position eines Objekts
JP4187451B2 (ja) * 2002-03-15 2008-1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個人認証用デバイスと携帯端末装置
GB2392555A (en) * 2002-09-02 2004-03-03 Qinetiq Ltd Hermetic packaging
KR101281357B1 (ko) * 2003-06-06 2013-07-02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광학 소자 유지 장치, 경통, 노광 장치, 및 디바이스의제조방법
KR20050055343A (ko) * 2003-12-08 2005-06-1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조도센서를 구비한 입력장치
US7468722B2 (en) * 2004-02-09 2008-12-23 Microsem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display brightness with ambient light correction
US7714265B2 (en) * 2005-09-30 2010-05-11 Apple Inc. Integrated proximity sensor and light sensor
KR20070080399A (ko) * 2006-02-07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조도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방법 및장치
KR20080033708A (ko) * 2006-10-13 2008-04-17 최준수 슬라이드 방식의 터치패드를 적용한 휴대전화 단말기
US8031164B2 (en) * 2007-01-05 2011-10-04 Apple Inc. Backlight and ambient light sensor system
US20080284735A1 (en) * 2007-05-18 2008-11-20 Shim Theodore I Multi-Purpose Optical Mouse
CN101765916B (zh) * 2007-07-30 2011-11-23 Nxp股份有限公司 光传感器装置
US8661340B2 (en) * 2007-09-13 2014-02-25 Apple Inc. Input methods for device having multi-language environment
US8106885B2 (en) * 2007-12-19 2012-01-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put mechanism for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7902474B2 (en) * 2008-05-01 2011-03-08 Apple Inc. Button assembly with inverted dome switch
US8610659B2 (en) * 2008-05-12 2013-12-1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brightness adjustment on a display of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20100066672A1 (en) * 2008-09-15 2010-03-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ptical user interface
US8344325B2 (en) * 2009-05-22 2013-01-01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detecting basic gestur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7157A (ja) 2005-12-02 2007-06-21 Lg Electronics Inc 携帯端末機及びその動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394A (ko) 2011-07-20
US20110169743A1 (en) 2011-07-14
US8786548B2 (en) 2014-07-22
EP2346232B1 (en) 2015-05-20
EP2346232A3 (en) 2013-08-07
EP2346232A2 (en)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958B1 (ko)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13555B1 (ko) 이동 단말기
KR101533850B1 (ko) 전자 종이를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에 적용된 제어방법
KR101571723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333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5166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78736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74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7402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688134B1 (ko) 사이드 터치 입력 수단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10163501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지도 검색 방법
KR10167420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5418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수기 메모 방법
KR101649626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79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36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47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083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74463B1 (ko) 이동단말기의 리스트 표시방법
KR101578726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581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7694B1 (ko) 이동 단말기
KR10168894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입력수단 제어방법
KR1015887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77431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