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555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555B1
KR101613555B1 KR1020090101852A KR20090101852A KR101613555B1 KR 101613555 B1 KR101613555 B1 KR 101613555B1 KR 1020090101852 A KR1020090101852 A KR 1020090101852A KR 20090101852 A KR20090101852 A KR 20090101852A KR 101613555 B1 KR101613555 B1 KR 101613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roximity
display unit
mobile terminal
proxim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330A (ko
Inventor
고동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555B1/ko
Priority to EP10186613.5A priority patent/EP2315420B1/en
Priority to US12/899,428 priority patent/US8810548B2/en
Publication of KR20110045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1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03K2217/94111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having more than one e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하나의 근접센서로 방향키 또는 근접 물체의 움직임 패턴을 근거로 방향 이동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된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햅틱모듈로 전달함으로써 다양한 디스플레이 효과 및 햅틱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폭넓은 사용자 입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 근접센서, 발광소자, 수광소자, 디스플레이부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물체의 근접위치 및 물체의 움직임 패턴을 검출하여 방향키 또는 방향 이동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디스플레이 효과 및 햅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입력 장치로 버튼식 키패드를 구비한다. 버튼식 키패드는 대략 10개 이상의 숫자키 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추가적으로 방향 키,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 등으로 구성된다.
최근 버튼식 키패드를 대신하여 터치식 키패드가 채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터치식 키패드는 복수의 터치 센서가 특정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특정 위치에 터치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기존의 버튼식 키패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종래의 터치식 키패드는 터치 패널 상에서 각 기능이 수행되는 영역이 별개로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특정 면적 이상의 영역이 확보될 필요가 있었고, 따라서 이동 단말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터치식 키패드와 더불어 물리적인 터치 없이도 이동 단말기에 입력이 가능한 무접촉 입력 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입력 방식은 예를 들어 근접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 근접 센서를 이용한 무접촉 입력 방식은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키패드의 기능을 대체하기 위하여 복수의 근접 센서가 특정영역에 각각 배치되었고,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근접센서로 방향키 또는 근접 물체의 움직임 패턴을 근거로 방향 이동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된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햅틱모듈로 전달함으로써 다양한 디스플레이 효과 및 햅틱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폭넓은 사용자 입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 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시각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소자 및 인접한 발광소자들 사이에 배치된 수광소자를 갖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근접한 물체에 의하여 어느 한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어 수광소자로 입사된 경우에 물체의 근접 위치를 검출하고, 인접한 발광소자들로부터 조사된 빛이 차례로 반사되어 수광소자로 입사된 경우에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센싱부; 및 상기 물체의 근접 위치 및 움직임 패턴을 근거로 특정 키 입력 또는 방향 이동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키 입력은, 복수의 숫자키, 문자키, 방향키, 스크롤키 및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는 중앙부의 수광소자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가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는 2개 내지 8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는 중앙부의 수광소자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보상 발 광소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복수의 근접센서를 포함하며, 복수의 근접센서는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 배치되며, 인접하는 2개의 근접센서에 의해 물체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는 디스플레이부의 밑면 또는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센싱부는 물체의 근접 깊이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근접 깊이를 근거로 패턴을 근거로 특정 키 입력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키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의 확대 또는 축소키일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시각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소자 및 인접한 발광소자들 사이에 배치된 수광소자를 갖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근접한 물체에 의하여 어느 한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어 수광소자로 입사된 경우에 물체의 근접 위치를 검출하고, 인접한 발광소자들로부터 조사된 빛이 차례로 반사되어 수광소자로 입사된 경우에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센싱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햅틱 모듈; 및 상기 물체의 근접 위치 및 움직임 패턴을 근거로 특정 키 입력 또는 방향 이동에 해당하 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 및 햅틱 모듈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하나의 근접센서로 방향키 또는 근접 물체의 움직임 패턴을 근거로 방향 이동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된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햅틱모듈로 전달함으로써 다양한 디스플레이 효과 및 햅틱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폭넓은 사용자 입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이동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 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 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 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 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 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 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 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펜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 깊이 및 근접 위치 등에 따 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촉각 효과 발생 영역에 대한 설명에 참조 되는 도면이다.
도 4a는 아이콘이나 메뉴 항목 등과 같은 오브젝트를 설명의 편의상 원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역은, 도 6a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제1 영역(A)과 그를 감싸는 제2 영역(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은 서로 다른 세기나 패턴을 갖는 촉각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영역(B)을 터치한 경우 제1 진동을 출력하고, 제1 영역(A)을 터치한 경우 제1 진동보다 큰 제2 진동을 출력하도록 2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에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햅틱 영역을 동시에 설정해야 하는 경우라면, 촉각 효과가 발생하는 햅틱 영역과 근접신호가 검출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햅틱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보다 좁게 설정하거나 혹은 햅틱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보다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a의 (a)에서,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을 포함하는 영역을 근접 터치 인식 영역으로 하고, 제1 영역(A)을 햅틱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a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3개의 영역(A, B, C)으로 구분하거나, 혹은 도 4a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N(N>4) 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구분된 각 영역은 서로 다른 세기나 패턴을 갖는 촉각 효과 가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3개 혹은 그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경우에도, 햅틱 영역과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은 사용환경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 깊이에 따라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4b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에 따라 대응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C', 'B', 'A'로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에 따라 대응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이 점차 커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햅틱 영역은, 도 4b의 (b)에 도시한 'H'영역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근접 깊이와 무관하게 일정한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햅틱 영역이나 근접 터치 인식 영역의 설정을 위해 오브젝트가 표시된 영역을 분할하는 경우,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심원 형태의 분할 외에,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의 분할, 방사형 분할, 및 이들을 조합한 방식의 분할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 102)와 상기 케이스(101, 102) 내에 배치되며, 시각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케이스(101, 102)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소자 및 인접한 발광소자들 사이에 배치된 수광소자를 갖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하고, 물체의 근접 위치 및 움직임을 검출하는 센싱부(140) 및 상기 물체의 근접 위치 및 움직임 패턴을 근거로 특정 키 입력 또는 방향 이동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151)로 전달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키 입력은 복수의 숫자키, 문자키, 방향키, 스크롤키 및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으며, 상기 특정키 입력은 이러한 소프트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향키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복수의 그래픽 또는 아이콘 사이를 이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작동되는 2방향 키, 원주방향을 따라 상, 하, 좌, 우의 각 방향을 4방향 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키는 메뉴키, 지움키 및 카메라 구동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시 각적으로 표시되는 방향 선택을 통한 메뉴 등의 아이콘 간의 이동, 표시 화면 전환 및 표시 화면의 스크롤 이동 등을 근접 센서를 통하여 비접촉으로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구성하는 근접센서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근접센서(10)는 중앙부에 배치된 수광소자(11)와 상기 수광소자(11)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12, 13, 14 및 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는 2개 내지 8개일 수 있으며,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4개의 발광소자(12, 14, 13 및 15)의 각각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10)는 중앙부의 수광소자(11)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보상 발광소자(1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는 적외선 발광 소자 및 적외선 수광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센싱부(도시되지 않음)는 근접한 물체(F, 예를 들어 손가락)에 의하여 어느 한 발광소자(14)로부터 조사된 빛이 반사되어 수광소자(11)로 입사된 경우에 물체의 근접 위치를 검출하고, 인접한 발광소자(12 및 14)들로부터 조사된 빛이 차례로 반사되어 수광소자(11)로 입사된 경우에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근접센서(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밑면 또는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6에는 근접센서(10)가 디스플레이부(151)의 밑면에 배치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순차 발광에 의하여 물체의 움직임 패턴을 검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물체의 근접 정도에 따라 초기 근접 위치에 물체가 접근하면 물체의 근접 위치에 대응되는 어느 한 발광소자가 발광하게 되고, 이후 상기 발광소자를 시작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나머지 발광소자 들이 각각 발광된다.
예를 들어, 도 5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 하, 좌, 우에 각각 배치된 발광소자를 제 1내지 제 4발광소자(12, 14, 13 및 15)로 지칭하면, 제 1발광소자(12)에 물체가 근접하게 되면, 미리 설정된 근접 깊이에 따라 제 1발광소자(12)가 발광하게 되고, 제 1발과소자에서 조사된 빛(예를 들어, 적외선)은 물체(F)에 반사되어 수광소자(11)로 입사된다. 이때, 센싱부(도시되지 않음)는 수광소자(11)로 입사된 빛의 유무에 따라 물체의 근접 위치를 감지한다.
이후, 물체가 제 2발광소자(14)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 1 내지 제 4 발광소자가 차례로 발광하게 되면, 제 2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은 물체(F)에 반사되어 수광소자(11)로 입사된다. 이때, 센싱부는 제 2발광소자(14)로부터 조사되어 반사된 빛의 유무에 따라 제 1 발광소자(12)에서 제 2 발광소자(14)로의 물체의 움 직임 패턴(편의상, 세로방향이라 함)을 감지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센싱부는 제 3 발광소자(13)에서 제 4 발광소자(15)로의 물체의 움직임 패턴(편의상, 가로방향이라 함)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순차적으로 제 1 내지 제 4발광소자(12, 14, 13 및 15)를 각각 발광시킴으로써, 물체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움직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움직임 패턴에 따라 제어부는 다양한 입력신호를 발생시켜, 디스플레이부(151)로 전달함으로써 다양한 디스플레이 효과 및 입력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구성하는 근접센서(20)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근접센서(20)는 중앙부에 배치된 수광소자(21)와 상기 수광소자(21)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된 복수의 발광소자(22, 23, 24 및 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는 2개 내지 8개일 수 있으며, 도 7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4개의 발광소자(22, 24, 23 및 25)의 각각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근접센서(20)는 중앙부의 수광소자(21)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보상 발광소자(2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는 적외선 발광 소자 및 적외선 수광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근접센서(20)는 도 5를 통하여 설명한 근접센서(10)와 작동원리는 동일하다.
다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시각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도 5에는 휠 타입으로 구성된 근접센서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방향키 타입으로 구성된 근접센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표시 타입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10)와 도 7에 도시된 근접센서(20)의 작동 원리는 동일하므로, 이하, 도 7에 도시된 근접센서(2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의 아이콘(I1 내지 I4)예를 들어, 각 종 메뉴항목)이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의 주변 영역, 예를 들어 도 8의 정면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부에 근접센서(20)가 배치될 수 있다.
물체의 근접 정도에 따라 초기 근접 위치에 물체가 접근하면 물체의 근접 위치에 대응되는 어느 한 발광소자가 발광하게 되고, 이후 상기 발광소자를 시작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나머지 발광소자들이 각각 발광된다.
도 8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 하, 좌, 우에 각각 배치된 발광소자를 제 1내지 제 4발광소자(22, 24, 23 및 25)로 지칭한다.
제 3발광소자(23)에 물체(F)가 근접하게 되면, 미리 설정된 근접 깊이에 따라 제 3발광소자(22)가 발광하게 되고, 제 3발광소자에서 조사된 빛(예를 들어, 적 외선)은 물체(F)에 반사되어 수광소자(21)로 입사된다.
이때, 센싱부(도시되지 않음)는 수광소자(21)로 입사된 빛의 유무에 따라 물체의 근접 위치를 감지하며, 이 경우 제 3발광소자(23)의 대응 영역에 물체가 위치된 것을 감지한다.
이후, 물체가 제 4발광소자(25)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 1 내지 제 4 발광소자가 차례로 발광하게 되면, 제 4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은 물체(F)에 반사되어 수광소자(21)로 입사된다.
이때, 센싱부는 제 4발광소자(24)로부터 조사되어 반사된 빛의 유무에 따라 제 3 발광소자(23)에서 제 4 발광소자(24)로의 물체의 움직임 패턴(편의상, 가로방향이라 함)을 감지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센싱부는 제 1 발광소자(22)에서 제 2 발광소자(24)로의 물체의 움직임 패턴(편의상, 세로방향이라 함)을 감지할 수 있다.
우선,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가로방향의 움직임 패턴에 화면 전환 또는 가로방향의 아이콘 이동 등의 대응출력이 미리 저장되고, 세로방향의 움직임 패턴에 화면 스크롤 이동 또는 세로방향의 아이콘 이동 등의 대응출력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접센서(20)를 포함한 센싱부(도시되지 않음)에서 가로방향의 움직임 패턴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대응출력을 디스플레이부로 전달되며, 디스플레이부(151)에서는 화면 전환 또는 가로방향의 아이콘 이동(예를 들어, I1 => I4)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센싱부에서 세로방향의 움직임 패턴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대응출력을 디스플레이부로 전달되며, 디스플레이부(151)에서는 화면 스크롤 이동 또는 세로방향의 아이콘 이동(예를 들어, I1 => I3)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는 센싱부가 움직임 패턴을 검출하여, 이에 대응된 입력효과를 나타내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방향을 나타내는 발광소자들을 방향키로도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 하, 좌, 우 각 방향에 대응되는 발광소자(22, 24, 23, 25)에 손가락을 근접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I1 내지 I4)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근접센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처럼 도 5 내지 도 8을 통하여 설명한 근접센서(10 및 20)를 통하여 휠 타입(도 5참조) 또는 버튼 타입(도 7참조)으로 특정 동작을 발생시키는 특정 키 입력 또는 방향 이동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151)로 전달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이동뿐만 아니라, 상기 센싱부는 물체의 근접 깊이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근접 깊이를 근거로 패턴을 근거로 특정 키 입력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151)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키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의 확대 또는 축소키, 전원 온/오프 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센서(10 및 2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아이콘 영역에 물체가 일정 이상 접근하게 되면, 제어부는 해당 아이콘의 크기를 확대하는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할 수 있고, 특정 아이콘 영역으로부터 물체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게 되면, 제어부는 해당 아이콘의 크기를 축소하는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근접센서가 전원키와 같이 기능키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근접 깊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구성하는 근접센서(30)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근접센서(30)는 중앙부의 배치된 수광소자(31)와 상기 수광소자(31)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발광소자(32, 33)를 포함한다.
상기 근접센서(30)의 작동원리는 도 5 및 도 7을 통하여 설명한 근접센서(10 및 20)과 동일하며, 다만, 좌우 방향 및 상하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움직임만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10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사용자가 각 종 문서 또는 사진 등을 보고 있는 경우에 다음 페이지 또는 다음 사진으로 화면 전환 이 이루어지는 작동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근접센서(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 밑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도 10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주변 영역에 배치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가락(F) 등으로 가로 방향의 움직임을 근접 센서(30)에 입력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센싱부(도시되지 않음)는 복수의 근접센서(30)를 포함할수 있으며, 복수의 근접센서(3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가로 방향(도 10의 L1) 또는 세로 방향(도 10의 L2)을 따라 각각 이격 배치되며, 인접하는 2개의 근접센서(30)에 의해 물체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도 11에는 스크롤(scroll)입력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시각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소자 및 인접한 발광소자들 사이에 배치된 수광소자를 갖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물체의 근접 위치 및 움직임을 검출하는 센싱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햅틱 모듈; 및 상기 물체의 근접 위치 및 움직임 패턴을 근거로 특정 키 입력 또는 방향 이동에 해당하 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 및 햅틱 모듈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전술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햅틱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가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 및 햅틱 모듈로 전달하여 시각효과뿐만 아니라 촉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는 하나의 근접센서로 방향키 또는 근접 물체의 움직임 패턴을 근거로 방향 이동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이에 대응된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 및/또는 햅틱모듈로 전달함으로써 다양한 디스플레이 효과 및 햅틱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폭넓은 사용자 입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근접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근접신호가 검출되는 근접 터치 인식 영역과 촉각 효과를 발생하는 햅틱 영역에 대한 설명을 위한 개념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구성하는 근접센서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근접센서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구성하는 근접센서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구성하는 근접센서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들.

Claims (14)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시각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인접한 복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들 사이에 배치된 하나의 수광소자를 갖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근접한 물체에 의하여 상기 인접한 복수의 발광소자들로부터 차례로 조사된 빛이 차례로 반사되어 상기 수광소자로 입사하여 물체의 위치 및 움직임을 검출하는 센싱부; 및
    상기 물체의 근접 위치 및 움직임 패턴을 근거로 특정 키 입력 또는 방향 이동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된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 입력은, 복수의 숫자키, 문자키, 방향키, 스크롤키 및 기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중앙부의 수광소자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가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2개 내지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는 중앙부의 수광소자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보상 발광소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복수의 근접센서를 포함하며, 복수의 근접센서는 디스플레이부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 배치되며, 인접하는 2개의 근접센서에 의해 물체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는 디스플레이부의 밑면 또는 주변 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물체의 근접 깊이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근접 깊이를 근거로 패턴을 근거로 특정 키 입력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키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의 확대 또는 축소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시각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인접한 복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들 사이에 배치된 하나의 수광소자를 갖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근접한 물체에 의하여 상기 인접한 복수의 발광소자들로부터 차례로 조사된 빛이 차례로 반사되어 상기 수광소자로 입사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센싱부;
    사용자에게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햅틱 모듈; 및
    상기 물체의 근접 위치 및 움직임 패턴을 근거로 특정 키 입력 또는 방향 이동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된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부 및 햅틱 모듈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중앙부의 수광소자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발광소자가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2개 내지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90101852A 2009-10-26 2009-10-26 이동 단말기 KR101613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852A KR101613555B1 (ko) 2009-10-26 2009-10-26 이동 단말기
EP10186613.5A EP2315420B1 (en) 2009-10-26 2010-10-05 Motion detecting input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US12/899,428 US8810548B2 (en) 2009-10-26 2010-10-06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852A KR101613555B1 (ko) 2009-10-26 2009-10-26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330A KR20110045330A (ko) 2011-05-04
KR101613555B1 true KR101613555B1 (ko) 2016-04-19

Family

ID=4356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852A KR101613555B1 (ko) 2009-10-26 2009-10-26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10548B2 (ko)
EP (1) EP2315420B1 (ko)
KR (1) KR101613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6397B2 (en) * 2008-10-27 2013-08-2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ximity interface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9740341B1 (en) 2009-02-26 2017-08-22 Amazon Technologies, Inc. Capacitive sensing with interpolating force-sensitive resistor array
US10180746B1 (en) 2009-02-26 2019-01-15 Amazon Technologies, Inc. Hardware enabled interpolating sensor and display
US9785272B1 (en) 2009-07-31 2017-10-10 Amazon Technologies, Inc. Touch distinction
US9244562B1 (en) 2009-07-31 2016-01-26 Amazon Technologies, Inc. Gestures and touches on force-sensitive input devices
US8810524B1 (en) 2009-11-20 2014-08-19 Amazon Technologies, Inc. Two-sided touch sensor
GB201020282D0 (en) * 2010-11-30 2011-01-12 Dev Ltd An improved inpu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JP2012190184A (ja) * 2011-03-09 2012-10-0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2190183A (ja) * 2011-03-09 2012-10-0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2164345A1 (en) * 2011-05-27 2012-12-06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and method comprising an optical emitter and a detector to provide a signal indicative of a position of a body
TR201106373A2 (tr) * 2011-06-28 2013-01-21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Ş. Dokunmatik kontrol özellikli ekran cihazı.
US8866064B2 (en) 2011-07-26 2014-10-21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Multi-directional proximity sensor
JP2013125247A (ja) * 2011-12-16 2013-06-24 Sony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情報表示装置
US10691219B2 (en) * 2012-01-17 2020-06-23 Ultrahaptics IP Two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control
US20150253428A1 (en) 2013-03-15 2015-09-10 Leap Motion, Inc. Determining positional information for an object in space
US11493998B2 (en) * 2012-01-17 2022-11-08 Ultrahaptics IP Two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control
US20230325005A1 (en) * 2012-01-17 2023-10-12 Ultrahaptics IP Two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control
US9788145B2 (en) * 2012-02-29 2017-10-10 Intel Corporation Detection of device motion and nearby object motion
JP2013210956A (ja) * 2012-03-30 2013-10-10 Ricoh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US9128522B2 (en) * 2012-04-02 2015-09-08 Google Inc. Wink gesture input for a head-mountable device
US10324565B2 (en) * 2013-05-30 2019-06-18 Neonode Inc. Optical proximity sensor
CN103869947B (zh) * 2012-12-14 2017-11-28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US10609285B2 (en) 2013-01-07 2020-03-31 Ultrahaptics IP Two Limited Power consumption in motion-capture systems
US9465461B2 (en) 2013-01-08 2016-10-11 Leap Motion, Inc.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with audio and optical signals
KR101524050B1 (ko) * 2013-04-09 2015-05-29 주식회사 루멘스 비접촉 제스쳐 조작장치
WO2014168416A1 (ko) * 2013-04-09 2014-10-16 주식회사 루멘스 비접촉 조작장치 및 이와 연동된 전자기기
KR101460028B1 (ko) * 2013-08-01 2014-11-11 주식회사 루멘스 비접촉 조작 장치를 구비한 키보드
KR101466941B1 (ko) * 2013-04-18 2014-12-03 엑센도 주식회사 비접촉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101457500B1 (ko) * 2013-05-08 2014-11-05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근접 조도 센서의 제작 방법
US20140376773A1 (en) * 2013-06-21 2014-12-25 Leap Motion, Inc. Tunable operational parameters in motion-capture and touchless interface operation
US20160004322A1 (en) * 2013-07-05 2016-01-07 Clarion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138510B1 (ko) * 2013-08-27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터치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5204B1 (ko) * 2013-08-27 2020-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을 이용한 센서 장치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5088056A1 (ko) * 2013-12-10 2015-06-18 엘지전자(주)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9671903B1 (en) * 2013-12-23 2017-06-06 Sensing Electromagnetic Plus Corp. Modular optical touch panel structures
US9613262B2 (en) 2014-01-15 2017-04-04 Leap Motion, Inc.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for providing a virtual device experience
KR102279790B1 (ko) 2015-03-10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N106034175B (zh) * 2015-03-16 2019-11-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874593B (zh) * 2017-02-13 2020-11-13 上海兆芯集成电路有限公司 数字电子装置设计调整方法以及服务器
WO2019000287A1 (zh) * 2017-06-28 2019-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图标显示方法及装置
CN111129074B (zh) 2018-10-30 2022-07-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屏和电子设备
KR20210125333A (ko) 2020-04-08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 포함된 근접 센서의 동작 방법
CN116702898B (zh) * 2023-08-04 2023-11-03 北京语言大学 一种基于知识表示学习的文言文知识迁移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1871A1 (en) * 2004-07-30 2006-07-20 Apple Computer,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20080100572A1 (en) * 2006-10-31 2008-05-01 Marc Boillot Touchless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20080252595A1 (en) * 2007-04-11 2008-10-16 Marc Boillot Method and Device for Virtual Navigation and Voice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0863A (en) * 1995-03-16 1999-05-04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puter without touching input device
US20070152977A1 (en) *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Illuminated touchpad
WO2005026938A2 (en) * 2003-09-12 2005-03-24 O-Pen Aps A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a position of a radiation scattering/reflecting element
US8610675B2 (en) * 2007-03-14 2013-12-17 Power2B, Inc. Interactive devices
US20070130547A1 (en) * 2005-12-01 2007-06-07 Navisense, Llc Method and system for touchless user interface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1871A1 (en) * 2004-07-30 2006-07-20 Apple Computer,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US20080100572A1 (en) * 2006-10-31 2008-05-01 Marc Boillot Touchless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20080252595A1 (en) * 2007-04-11 2008-10-16 Marc Boillot Method and Device for Virtual Navigation and Voice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15420A1 (en) 2011-04-27
EP2315420B1 (en) 2016-11-30
US8810548B2 (en) 2014-08-19
US20110096033A1 (en) 2011-04-28
KR20110045330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555B1 (ko) 이동 단말기
KR10169255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71723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97084B1 (ko) 이동 단말기
KR101631958B1 (ko)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867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6635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10190794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2191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78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398171B1 (ko) 이동 단말기
KR101970785B1 (ko) 이동 단말기
KR1015136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3551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5912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467799B1 (ko) 단말기 및 그의 외부 장치 제어 방법
KR101601276B1 (ko) 단말기에서의 명령어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
KR101578726B1 (ko) 이동 단말기
KR1014639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맵 제공 방법
KR101474463B1 (ko) 이동단말기의 리스트 표시방법
KR101987694B1 (ko) 이동 단말기
KR101873749B1 (ko) 이동 단말기
KR1015887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68894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입력수단 제어방법
KR101537594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