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783B1 - Method of ecological wetland restoration - Google Patents

Method of ecological wetland resto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783B1
KR101316783B1 KR1020110085387A KR20110085387A KR101316783B1 KR 101316783 B1 KR101316783 B1 KR 101316783B1 KR 1020110085387 A KR1020110085387 A KR 1020110085387A KR 20110085387 A KR20110085387 A KR 20110085387A KR 101316783 B1 KR101316783 B1 KR 101316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pace portion
herbaceous plant
transplanted
rest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22647A (en
Inventor
신정섭
전숙례
문병렬
현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비
Priority to KR1020110085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783B1/en
Publication of KR2013002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6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7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새가 머무르는 습지 지역에 철새의 먹이 식물을 이식하거나 파종하여 풍족한 먹이 자원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구 습지 생태계의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복원 대상지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복원 대상지에 일정 크기를 갖는 이식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식공간부로부터 일정 거리의 이격공간부가 유지되며 또 다른 상기 이식공간부가 형성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식공간부에 상기 초본식물이 이식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하구 습지 생태계의 복원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storing an estuary wetland ecosystem in which abundant food resources are formed by transplanting or seeding a migratory food plant in a wetland area where migratory birds stay.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a restoration target site, forming a transplantation sp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n the restoration target site, maintaining a spaced distance portion of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mplantation space portion and forming another implantation space portion; It provides a method of restoring the estuary wetland eco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transplanting the herbaceous plants in the transplant space.

Description

하구 습지 생태계의 복원방법{Method of ecological wetland restoration}Method of ecological wetland restoration

본 발명은 하구 습지 생태계의 복원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새가 머무르는 지역에 철새의 먹이 식물을 이식하거나 파종하여 풍족한 먹이 자원이 형성되도록 조성하는 하구 습지 생태계의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storing an estuary wetland eco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restoring an estuary wetland ecosystem that forms abundant food resources by transplanting or seeding a migratory food plant in an area where migratory birds stay.

철새는 계절에 따라 서식지 및 취식지를 이동하는 조류이다.Migratory birds are birds that migrate their habitats and eateries seasonally.

여기서, 조류 서식지는 조류가 일정공간에 머물러 있으며 먹이활동을 취하며, 조류가 취침하고 휴식하며 산란 및 포란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Here, the bird habitat is a place where the bird stays in a certain space and takes prey, the bird sleeps, rests and lays eggs and nests.

이러한, 조류 서식지는 산업 개발과 인구 증가로 인해 조류의 서식지로 활용되는 면적은 급감하고 있으며, 교통량 증가에 따른 도로의 증설은 조류의 서식지를 단절시키고 있는 실정이다.Such a bird habitat is rapidly decreasing the area used as a bird habitat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population growth, and the expansion of roads due to the increase in traffic is cutting off the bird's habitat.

그리고, 기존에 철새들이 이용하던 서식지의 용도 변경과 주변 환경의 변화는 먹이 자원 부족 및 철새들의 경계심을 유발하여 철새들의 재도래를 저해하고 있다.In addition, changes in the use of the habita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migratory birds have used previously cause food shortages and alertness of the migratory birds, thus inhibiting the re-arrival of migratory birds.

실질적으로, 매년 한반도를 서식지로 이용하고 있는 철새들의 수는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기에, 철새들이 서식 및 취식하기에 적합한 조류 서식지의 조성은 반드시 필요한 연구과제이다.In fact, the number of migratory birds that use the Korean peninsula as their habitats is decreasing every year, so the creation of suitable bird habitats for migratory birds to eat and eat is essential.

이러한, 조류 서식지에 철새들의 먹이 자원 부족은 철새들의 재도래를 저해하는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The lack of food resources for migratory birds in bird habitats has emerged as one of the biggest obstacles to migratory birds.

일예로, 하구나 하구주변의 간척지에서 번성하는 새섬매자기는 초본식물로 농사를 업으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제거해야될 잡초로 여겨지는 식물이다.For example, Sasame Sisters, which thrive in reclaimed areas around estuaries and estuaries, is a herbaceous plant that is considered a weed to be removed by farmers.

이러한, 새섬매자기의 구근은 겨울철 한반도로 도래하는 겨울 철새들의 주요 먹이원으로 새섬매자기 군락의 훼손 또는 소멸은 겨울 철새들의 도래를 막는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높다.The bulbs of birdslings are the main food source for winter migratory birds coming to the Korean peninsula in winter, and the destruction or extinction of birdslings colony is likely to be a stumbling block to the arrival of winter birds.

이에, 철새들의 재도래를 위해 하구 습지에 철새들의 먹이 식물을 별도로 식재하여 풍족한 먹이 자원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구 습지 생태계의 복원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s have been made on the restoration method of the estuary wetland ecosystem in which abundant food resources are formed by separately planting food plants of migratory birds in the estuary wetlands for the re-arrival of migratory birds.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철새의 재도래를 유도하도록 철새가 머무르는 습지 지역에 철새의 먹이 식물을 이식하거나 파종하여 풍족한 먹이 자원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구 습지 생태계의 복원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duce abundance of migratory birds in the wetland area where the migratory birds so that migratory birds re-introduce or sowing abundant feeding resources of the estuary wetland ecosystem It is to provide a restoration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원 대상지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복원 대상지에 일정 크기를 갖는 이식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식공간부로부터 일정 거리의 이격공간부가 유지되며 또 다른 상기 이식공간부가 형성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식공간부에 초본식물이 이식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하구 습지 생태계의 복원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electing a restoration target site, forming a implantation sp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n the restoration target site, a spaced distance portion of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mplantation space portion is maintained and another implantation space Provides a method of restoring the estuary wetland eco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nd the step of transplanting the herbaceous plants in the transplanted space.

그리고, 상기 초본식물은 새섬매자기 또는 세모고랭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rbaceous plant is preferably made of sperm porcelain or triangulation.

또한, 상기 복원 대상지는 갯벌 또는 농경지에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storation site is preferably made on a tidal flat or farmland.

여기서, 상기 복원 대상지가 농경지인 경우에는 수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로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이식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초본식물이 이식 또는 파종되는 초본식물 공간부가 형성되는 단계,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와 구획되며 경작물이 재배되는 경작물 공간부가 형성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로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물이 괴이도록 이루어진 무논이 형성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와 경작물 공간부 및 무논은 구획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획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restoration target land is agricultural l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way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way and the transplant space is formed to form a herbaceous plant space portion for transplanting or planting the herbaceous plant, the herbaceous plant space portion And a step of forming a cultivated space portion in which the cultivated crop is cultivated and provided at one side of the waterway to form Munnon, which is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waterway, so that the water is lumped. The space portion and the munon are preferably made to be partitioned separately by the partition portion.

한편, 상기 경작물 공간부는 경작물 수확이 이루어지는 수확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확 공간부의 일측에 상기 경작물 수확이 이루어지지 않는 미수확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ultivation space portion preferably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 harvest space in which the cultivated crop is harvested and forming an unharvested space portion in which the cultivated crop is not harvested on one side of the harvest space.

그리고, 상기 이식공간부는 가로 세로의 길이가 각각 1m인 정사각형태를 이루며, 상기 이식공간부의 모서리 내측에 상기 초본식물이 이식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ransplanted space portion forms a square having a length of 1 m each, and the herbaceous plant is preferably implanted inside the corner of the transplanted space portion.

또한, 상기 이식공간부에 이식되는 상기 초본식물은 20cm(가로)×20cm(세로)×10~15cm(깊이)를 갖는 크기로 이식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rbaceous plants to be transplanted to the graft space portion is preferably implanted in a size having a 20cm (width) × 20cm (length) × 10 ~ 15cm (depth).

여기서, 상기 이격공간부는 상기 이식공간부로부터 사방으로 1m 떨어진 거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pacing part is preferably made of a distance 1m away from the implantation space part in all directions.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하구 습지 생태계의 복원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method of restoring the estuary wetland eco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습지 지역에 철새의 먹이 식물을 이식하거나 파종하여 풍족한 먹이 자원이 형성되도록 하여 철새의 재도래를 유도할 수 있다.First, migratory birds can be transplanted or sown in wetland areas so that abundant food resources are formed to induce migratory birds.

구체적으로, 습지 지역에 회복력 및 증식력이 뛰어난 새섬매자기 또는 세모고랭이를 이식하여 철새들의 먹이를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birds and moss roe, which has excellent resilience and growth ability, is implanted in the wetland area to provide food for migratory birds.

둘째, 규격화된 일정크기의 이식공간부에는 초본식물이 이식되고 이식공간부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또 다른 이식공간부가 형성됨에 따라 초본식물은 복원 대상지에서 균일한 증식을 통해 초본식물의 군락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원 대상지에서 초본식물의 피도(cover degree)는 높여질 수 있다.Second, as the plant is transplanted to the standardized size of the transplanted space, and the transplanted space is spaced by a certain distance, another planted space is formed, so that the herbaceous plants can form a colony of herbaceous plants through uniform growth at the restoration site. Can be. Accordingly, the cover degree of the herbaceous plants at the restoration site can be increased.

이는, 일정 공간에 먹이가 골고루 분포됨에 따라 철새들은 먹이를 수월하게 섭식할 수 있다.As the food is evenly distributed in a certain space, migratory birds can easily feed the food.

셋째, 새섬매자기가 이식되는 복원 대상지는 갯벌(하구 연안 및 하안의 조간대) 또는 농경지에 이루어짐으로써 철새들이 새섬매자기의 뿌리를 먹기 위해 주둥이를 사용하여 개흙을 파냄이 수월하여 손쉽게 먹이를 섭식할 수 있다.Third, the restoration target where the Sister Sister is transplanted is made on tidal-flats (estuary coastal and estuary intertidal zone) or farmland, so that migratory birds can easily feed the soil by using the snout to feed the Sister Sister's roots. .

도 1은 본 발명의 새섬매자기 군락이 형성된 조사 대상지의 조사구 위치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4월달의 새섬매자기 군락이 형성된 조사 대상지의 5개의 조사구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1월달의 새섬매자기 군락이 형성된 조사 대상지의 5개의 조사구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이식공간부에 초본식물이 이식되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갯벌에 초본식물이 이식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원 대상지에 초본식물이 이식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irradiation port of the irradiation target site in which the corpus callus colon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Figure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five irradiation zones of the surveyed site where the island of April isl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five irradiation zones of the surveyed site formed in the island of the island of Nov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herbaceous plant is transplanted to the transplantation space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plan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step of implanting the herbaceous plants in the mudfl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rbaceous plant is transplanted to the restoration targ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새섬매자기 군락이 형성된 조사 대상지의 조사구 위치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4월달의 새섬매자기 군락이 형성된 조사 대상지의 5개의 조사구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11월달의 새섬매자기 군락이 형성된 조사 대상지의 5개의 조사구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이식공간부에 초본식물이 이식되는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갯벌에 초본식물이 이식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 평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irradiation target of the survey target site of the isl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he Figure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five irradiation zone of the survey target site of the island of April islan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five irradiated spheres of the surveyed site where the bird's nest of the month of Nov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FIG. Is a schematic plan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steps of implanting the herbaceous plants in the mudfl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원 대상지(100)에는 초본식물(30)을 이식 또는 파종을 하여 상기 복원 대상지(100)에 상기 초본식물(30)이 넓게 분포되도록 하여 철새들의 먹이 자원을 풍족하도록 조성함으로써 철새의 재도래를 유도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herbaceous plant 30 is transplanted or sown on the restoration target region 100 so that the herbaceous plant 30 is widely distributed on the restoration target region 100 to provide abundant food resources for migratory birds. The composition will induce migratory birds again.

여기서, 상기 초본식물(30)은 강물이 바다로 들어가 바닷물과 서로 섞이는 지역에서 생존 가능한 식물로 갈대, 줄, 애기부들 등 다양한 식물이 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의 상기 초본식물(30)은 조류의 먹이가 되는 새섬매자기 또는 세모고랭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herbaceous plant 30 may be a variety of plants such as reeds, ropes, babies as a viable plant in an area where river water enters the sea and is mixed with seawater, but the herbaceous plant 3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rd It is desirable that the bird is made of sperm porcelain or segogolang.

먼저, 상기 복원 대상지(100)의 선정은 과거에는 상기 세섬매자기가 서식했으나 현재는 소멸된 지역의 습지를 우선적으로 복원하는 대상지로 선정하고 다음으로, 갯벌 주변에 상기 새섬매자기의 면적을 확대시킬 필요가 있는 지역에 상기 복원 대상지(100)로 선정될 수 있다.First, the restoration target site 100 is selected as the target site for restoring the wetland of the area where the three islands were once inhabited but now disappeared, and then, the area of the bird islands around the tidal flat needs to be expanded. It may be selected as the restoration target 100 in the area.

이러한, 상기 새섬매자기는 갯벌의 갯골 또는 물골 주변에 분포하며 하구 습지를 찾는 겨울 철새(주로, 개리와 재두루미 및 큰 고니)들은 상기 새섬매자기의 뿌리를 주로 섭식하게 된다.The birds' gush is distributed around the tidal flats or tidal flats of the tidal flats, and winter migratory birds (mainly garys, red-crowned cranes, and large swans) looking for estuary wetlands mainly feed on the roots of the gulls.

이에, 하구 습지 생태계를 복원함에 있어 하구 습지를 찾는 철새들의 먹이로 주로 이용되는 상기 새섬매자기의 분포를 확대하여 하구 습지에 먹이터를 조성함이 바람직하다.Thus, in restoring the estuary wetland ecosystem, it is preferable to expand the distribution of the bird island porridge, which is mainly used as food for migratory birds searching for estuary wetlands, thereby creating a feeding ground in the estuary wetlands.

여기서, 갯벌의 갯골 또는 물골 주변에 상기 새섬매자기를 이용하여 하구 습지 생태계 조성하는 경우에는 만조 때의 해안선과 간조 때의 해안선 사이의 부분인 조간대에 조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estuary wetland ecosystem is formed using the bird island barley around the tidal flat or water valley of the tidal flat,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the intertidal zone which is a part between the coastline at high tide and the coastline at low tide.

한편, 상기 새섬매자기는 농경지에 먹이터 환경이 조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새섬매자기가 조성되는 농경지에는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새섬매자기가 성장함에 있어 상기 새섬매자기의 뿌리에는 수분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bird island porcelain may be made to create a food environment in the farmland. Here, it is preferable that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armland where the bird's ear magnetic field is formed. This is because the growth of the sperm porridge should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roots of the falcon.

이와 같이, 상기 복원 대상지(100)에 이식되는 상기 초본식물(30) 중에서 상기 새섬매자기가 상기 복원 대상지(100)에 이식되어야 하는 것은 상기 새섬매자기가 갈대, 줄, 애기부들 등의 다른 식물에 비해 회복력이 우수하고 철새들의 주요 탄수화물 공급원으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이다.As such, among the herbaceous plants 30 to be transplanted to the restoration target 100, the bird's sperm graft should be transplanted to the restoration target 100 compared to other plants such as reeds, ropes, and babies. This is because they are resilient and provide a major source of carbohydrates for migratory birds.

일단, 상기 새섬매자기의 구체적인 회복력 조사를 통해 상기 새섬매자기가 이식될 상기 복원 대상지(100)의 예상지역을 알아보기로 한다.First, through the specific resilience investigation of the bird's mouth self-learning to determine the expected region of the restoration destination 100 to be implanted.

먼저, 상기 새섬매자기의 회복력을 알아보기 위해 갯벌의 갯골 또는 물골을 중심으로 육지쪽으로 뻗은 뻘지역 중 겨울철새의 섭식으로 인해 뿌리가 손상되고 지상부가 0.5~1cm 내외의 어린 유모가 올라온 새섬매자기 군락지역을 포함하고 있는 곳을 조사 대상지로 선정하고 가로, 세로의 길이가 2m의 정방형의 면적에 나무를 박아 5개의 조사구를 선정하고 상기 새섬매자기 군락의 회복 정도를 알아본다.First, in order to find out the resilience of the bird's sea turtle, the bird's nest area where the roots are damaged due to the feeding of winter migratory birds and the ground part is raised up to about 0.5 ~ 1cm in the outland area that extends toward the land centered on the tidal flat or water bone of the tidal flat. Select the site containing the area to be surveyed, and planted trees in a square area of 2m in length and width, and select 5 irradiation zones and examine the degree of recovery of the bird's nest.

이때, 상기 새섬매자기의 회복력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가 실시된 시기는 4월이며, 조사가 마무리된 시기는 철새가 도래하여 상기 새섬매자기가 철새들의 먹이로 이용될 수 있는 그해 11월이다.At this time,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pril to find out the resilience of the bird seam, and the survey is completed in November of the year when the bird is available to feed the migratory birds.

여기서, 1번 조사구(a)는 좌측에 갯골 또는 물골에 근접한 지역이며, 1번 조사구(a)로부터 5번 조사구(e)로 갈수록 갯골 또는 물골로부터 멀어진 건조한 상태의 뻘지역으로 위치별 상기 새섬매자기의 회복력을 알아보도록 한다.Here, irradiated area 1 (a) is an area close to the tangle or water bone on the left side, and goes from irradiated area 1 to the irradiated area 5 from the irradiated waterway (e) to the dry area 뻘 away from the trough or water bone. Let's find out the resilience of the bird.

이러한, 5개의 조사구중 4월 조사가 시작된 시점에서는 2번 조사구(b)가 가장 많은 피해를 받았으며, 상기 새섬매자기의 뿌리를 먹기 위해 겨울 철새가 파놓은 구멍도 가장 많음을 알 수 있다.At the beginning of the April survey, the survey area 2 (b) was the most damaged, and the hole that the winter migratory birds dug to eat the roots of the bird island porcelain was the most.

이와 같이, 겨울 철새의 먹이 섭식은 갯골 또는 물골에서 가까운 곳에서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는, 갯골 또는 물골에서 가까울수록 땅이 부드러워 상기 새섬매자기의 뿌리를 먹기 위한 땅파기가 수월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feeding of winter migratory birds is more active near the lagoons or waterways. This is because the closer to the lagoons or water valleys, the smoother the soil is, so it is easier to dig the ground for eating the roots of the birds.

이에, 상기 복원 대상지(100)가 갯벌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복원 대상지(100)에 이식되는 상기 새섬매자기는 갯골 또는 물골에서 가까운 지역에 이식하여 철새들이 수월하게 상기 새섬매자기를 섭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us, when the restoration target 100 is made of a tidal flat, it is preferable that the bird's hawk is transplanted to the area to be restored to the restoration target 100 so that migratory birds feed on the bird's hawk easily. .

이러한, 5개의 조사구에 대해 조사가 시작된 4월로부터 7개월이 지난 그해 11월에 상기 새섬매자기의 회복력을 조사한 결과 상기 1번 조사구(a)의 경우 갯골 또는 물골로 향해 기울어진 부분은 토양이 유실되면서 상기 새섬매자기가 원활히 자라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고, 1번 조사구의 상기 새섬매자기의 피도(cover degree)는 70%이며, 돌피와 갈대가 함께 출현하였으나 상기 새섬매자기가 우점(dominance)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silience of the new island porcelain in November of that year, seven months from April, when the survey was started, five slopes were inclined toward the troughs or troughs. The loss was found to have not been able to grow smoothly, and the cover degree of the bird's cockle of the first investigation area is 70%, and both the dolphins and reeds appeared but the bird's cockle dominated (dominance) It can be seen that.

그리고, 2번 조사구(b)의 경우 상기 새섬매자기의 피도는 80%이며, 개피와 갈대 함께 출현하였으나 상기 새섬매자기가 우점(dominance)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rradiation No. 2 (b), the degree of cover of the bird's earmuff is 80%, and it appears that the bird's earmuff is dominance.

또한, 3번 조사구(c)의 경우에는 상기 새섬매자기의 피도는 90%이며, 돌피가 함께 출현하였으나, 상기 새섬매자기가 우점(dominance)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No. 3 (c), the degree of the cinnamon porcelain is 90%, the dolphins appeared together, but it can be seen that the cinnamon porcelain dominates (dominance).

그리고, 4번 조사구(d)의 경우 상기 새섬매자기의 피도는 90%이며, 물피와 개피가 함께 출현하였으나, 상기 새섬매자기가 우점(dominance)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rradiation No. 4 (d), the degree of the cinnamon cinnamon is 90%, and both the cinnabar and the crust appear together, but it can be seen that the casserole dominates.

한편, 상기 5번 조사구(e)의 경우에는 갯골 또는 물골에서 멀어져 수분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았으므로 반이상의 식생이 회복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rradiation No. 5 (e) it can be seen that more than half of the vegetation could not be recovered because the supply of water was far from the tidal or water bone.

이에, 상기 새섬매자기가 이식된 상기 복원 대상지(100)에는 수분 공급 원활한 지역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us, the restoration target 100 implanted with the sperm porcelain is preferably made of a smooth water supply area.

이러한, 상기 새섬매자기는 기수역과 같이 토양에 일정 농도의 염분이 존재할 때 양호한 성장을 보이며, 조사 대상지로부터 상기 새섬매자기는 증식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As such, the sperm sperm shows good growth when a certain concentration of salts are present in the soil, such as brackish water.

이에, 증식력이 뛰어난 상기 새섬매자기가 상기 복원 대상지(100)에 이식되어 철새들의 먹이터를 형성함에 있어 유리하다.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form the feed site of the migratory birds by implanting the bird island porridge excellent in proliferation power to the restoration target 100.

따라서, 상기 새섬매자기가 이식되는 상기 복원 대상지(100)는 조간대의 갯벌에 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새섬매자기가 토양에서 일정량의 염분이 존재하며, 수분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복원 대상지(100)에 이식됨에 있어 상기 새섬매자기의 군락 형성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toration target area 100 to which the ginseng porridge is transplanted is selected on the tidal flat of intertidal zone. This is because the cochlear fungi present a certain amount of salinity in the soil and is easily implanted in the restoration target area 100, where water supply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and thus, the colony formation of the cobweb can be made easily.

이와 같이, 상기 복원 대상지(100)가 선정되면 관리자는 상기 복원 대상지(100)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이식공간부(10)를 형성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restoration target region 100 is selected, the administrator forms the implantation space portion 10 that maintains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restoration target region 100.

여기서, 상기 이식공간부(10)는 일정크기를 갖으며 상기 복원 대상지(100)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식공간부(10)의 크기는 가로 세로의 길이가 각각 1m인 정사각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implanted space portion 10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is formed in the restoration target 100.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implanted space portion 10 is preferably formed to form a square shape each having a length and width of 1m.

이는, 상기 이식공간부(10)의 크기가 가로 세로의 길이가 각각 1m인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관리자가 상기 이식공간부(1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이식공간부(10)의 내측에 상기 초본식물(30)인 즉 상기 새섬매자기를 이식함에 있어 상기 이식공간부(10)의 내측에 이식되는 상기 새섬매자기가 밟히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새섬매자기를 수월하게 이식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size of the transplant space 10 is made of squares each having a length and a length of 1m each of the herbaceous plants from the outside of the transplant space 10 to the inside of the transplant space 10 In other words, in the implantation of the new summer magnetic field, the new summer magnetic field is prevented from being stepped on, and the new summer magnetic field can be easily implanted.

이에, 상기 이식공간부(10)에 초기 이식되는 상기 새섬매자기는 외부로부터 밟힘 또는 훼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새섬매자기의 활착(活着)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eedlings that are initially implanted in the transplantation space portion 10 are prevented from being stepped on or damag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sliding of the seedlings can be easily performed.

이러한, 상기 새섬매자기는 상기 이식공간부(10)의 모서리부의 내측으로 상기 새섬매자기를 이식하게 되며, 이식되는 상기 새섬매자기는 일예로 상기 조사대상지와 같이 철새들에 먹이로 훼손된 후에도 안전한 회복이 확인된 상기 새섬매자기를 상기 이식공간부(10)에 이식하게 된다.In this way, the bird sperm transplants the bird sperm into the insid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graft space portion 10, the implanted bird sperm is confirmed as a safe recovery even after being damaged by prey in the migratory birds, such as the survey target The sperm porcelain is transplanted to the transplant space 10.

이때, 상기 이식공간부(10)에 이식되는 상기 새섬매자기는 20cm(가로)×20cm(세로)×10~15cm(바닥으로 이식되는 깊이)를 갖는 크기로 이식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inseng seedlings to be implanted in the graft space part 10 are implanted in a size having 20 cm (width) × 20 cm (length) × 10-15 cm (depth to be implanted into the floor).

여기서, 상기 새섬매자기가 상기 이식공간부(10)에 이식됨에 있어 상기 새섬매자기가 죽지않고 활착되도록 상기 이식공간부(10)에 이식되는 상기 새섬매자기는 일정크기의 뭉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이식공간부(10)에 이식되도록 한다.In this case, in the transplanting of the gimlet in the transplant space 10, the gyeuljagi to be implanted in the graft space portion 10 so that the gyeuljagi do not die in the state of maintaining a bundle of a certain size It is to be implanted in the space (10).

그리고, 상기 이식공간부(10)에는 상기 새섬매자기와 상기 세모고랭이가 함께 이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상기 이식공간부(10)에 다양한 초본식물을 이식함으로써 철새들에게 다양한 먹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ginseng porcelain and the triangular groin may be implanted together in the transplant space 10. This may be made to provide a variety of food to the migratory birds by implanting various herbaceous plants in the transplant space (10).

이와 같이, 상기 이식공간부(10)에는 상기 새섬매자기만 이식될 수도 있고, 상기 세모고랭이가 함께 이식될 수도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초본식물이 이식될 수도 있다.In this manner, the gimmick porcelain may be implanted in the graft space portion 10, the triangulation may be transplanted together, and various other herbaceous plants may be transplanted.

한편, 상기 이식공간부(10)와 이식공간부(10) 사이에는 이격공간부(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격공간부(20)의 이격된 거리(L)는 상기 이식공간부(10)로부터 사방으로 1m가 떨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식공간부(10)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다른 상기 이식공간부(10)가 형성되도록 한다.Meanwhile, a spaced space portion 20 is formed between the implanted space portion 10 and the implanted space portion 10. The spaced distance L of the spaced space portion 20 is formed to be 1m apart in all directions from the implanted space portion 10 so that the transplanted space portion 10 maintains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pace 10 is formed.

이는, 관리자가 상기 이식공간부(10)에 상기 새섬매자기를 이식함에 있어 걸어다니는 통로를 형성하여 초기 이식된 상기 새섬매자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is prevents the manager from damaging the initially implanted new porridge by forming a walking path for transplanting the new porcelain in the transplant space 10.

또한, 상기 이식공간부(10)들 간에 떨어진 상기 이격공간부(20)의 거리가 1m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이식공간부(10)의 내부에 이식된 상기 새섬매자기는 증식함에 있어 상기 이식공간부(10)의 내부뿐만 아니라 상기 이격공간부(20)로도 증식하게 되어 균일한 분포로 증식이 이루어져 상기 복원 대상지(100)는 상기 새섬매자기의 군락이 형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by maintaining the distance of the spaced apart space portion 20 between the transplanted space portion (10) 1m the gyeoseom gypsum implanted in the interior of the transplanted space portion 10 in the proliferation of the transplanted space portion ( Not only the inside of the 10) but also to the spacing space portion 20 to be proliferated in a uniform distribution, so that the restoration target 100 is to form a colony of the bird porcelain.

여기서,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원 대상지(100)는 상술된 상기 조사대상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수분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갯골 또는 물골에서 가까운 지역의 갯벌로 선정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toration targ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selected as a tidal flat in a region close to a trough or a water valley where water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as can be seen through the above-described survey target.

이는, 상기 복원 대상지(100)에 이식된 상기 새섬매자기의 뿌리를 먹기 위해 철새들이 주둥이를 이용하여 개흙을 파냄이 수월하여 상기 새섬매자기의 뿌리를 손쉽게 섭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migratory birds can easily dig out the soil by using a snout to eat the roots of the bird's sperm transplanted to the restoration target 100, so that the root of the bird's sperm can be easily f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원 대상지에 초본식물을 이식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rbaceous plant is transplanted to a restoration targ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원 대상지(200)는 농경지에 형성된 경우로 이러한, 농경지는 하구에 형성되는 간척지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6, the restoration target sit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farmland. Such a farmland may be made of reclaimed land formed in an estuary.

여기서, 상기 복원 대상지(200)는 초본식물 공간부(50), 경작물 공간부(60) 및 무논(7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50), 경작물 공간부(60) 및 무논(70)은 구획부(90)에 의해 나눠지게 된다.Here, the restoration target site 200 includes a herbaceous plant space unit 50, a cultivated plant space unit 60 and Munon 70, and the herbaceous plant space unit 50, cultivated plant space unit 60 and Munnon 70 is divided by the partition 90.

그리고,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50)는 수로(8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로(8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50)에는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rbaceous plant space 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way 80 is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waterway 80 is preferably made so that the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herbaceous space 50.

이는,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50)에 이식 또는 파종되는 초본식물(30)의 뿌리에 수분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sure that the water supply to the roots of the herbaceous plant 30 that is transplanted or sown in the herbaceous plant space 50 is continuously made.

여기서,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50)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50)에 이식공간부(10)를 형성하고 상기 이식공간부(10)의 모서리부 내측에 초본식물(30)인 새섬매자기를 이식하게 된다.Here, in the herbaceous plant space 50,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transplant space 10 in the herbaceous plant space 50, the insid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transplant space 10 The herbaceous plant is a herbaceous plant (30).

그리고, 상기 이식공간부(1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이식공간부(10)와 이식공간부(10) 사이에는 이격공간부(20)를 형성하며 서로 다른 상기 이식공간부(10)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50)에는 상기 새섬매자기의 군락이 형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graft space portion 10 forms a spaced space portion 20 between the graft space portion 10 and the graft space portion 10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raft space portion different from each other. 10, so that the herbaceous plant space portion 50 is to form a colony of the bird Sister porcelain.

이때, 상기 이식공간부(10)에는 새섬매자기와 세모고랭이을 함께 이식하여 상기 이식공간부(10)에 철새들의 다양한 먹이터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ginseng porcelain and triangulation is transplanted together in the graft space 10 is made of a variety of feeding sites of migratory birds in the graft space portion 10 is of course made.

또한,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50)에는 상기 초본식물(30)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이식하는 방법이 아닌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50)에 상기 초본식물(30)을 파종하여 상기 초본식물(30)이 활착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erbaceous plant space portion 50 by planting the herbaceous plant 30 in the herbaceous plant space 50, rather than the method of transplanting the herbaceous plant 30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rbaceous plant 30 may be made to slide.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원 대상지(200)에는 제1실시예의 복원 대상지(100, 도 5참조)와 달리 바닷물의 조석차가 발생되지 않아 상기 초본식물(30)의 종자는 조류에 의해 유실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파종에 의한 상기 초본식물(30)의 활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idal difference of seawater does not occur in the restoration target region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restoration target region 100 (see FIG. 5)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lid of the herbaceous plant 30 by sowing because it does not occur by the loss.

한편, 상기 경작물 공간부(60)은 상기 구획부(90)에 의해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50)와 구획되며 상기 경작물 공간부(60)에는 벼, 보리 등 다양한 경작물을 경작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ultivated space 60 is partitioned with the herbaceous plant space 50 by the partition 90, the cultivated space 60 is to cultivate a variety of crops such as rice, barley.

이러한, 상기 경작물 공간부(60)는 경작물을 수확하는 수확 공간부(62)와 경작물을 수확하지 않는 미수확 공간부(61)를 포함하게 된다.The cultivated space 60 includes a harvested space 62 for harvesting cultivated products and an unharvested space 61 for not harvesting cultivated products.

이때, 상기 경작물 공간부(60)에 벼를 경작하는 경우에 수확이 이루어진 볏짚의 밑동만 자르는 것과 볏짚을 일정 크기로 자르는 것을 교대로 방치하여 상기 수확 공간부(62)를 형성한다.In this case, when the rice is cultivated in the cultivation space 60, only the bottom of the harvested straw is cut and the rice straw is cut to a certain size, leaving the harvested space 62.

그리고, 상기 수확 공간부(62)의 볏짚을 일정 크기로 자르는 경우에는 10 ∼ 15cm의 크기로 볏짚을 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철새가 보금자리인 둥지를 만듦에 있어 수월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when cutting the straw of the harvesting space 62 to a predetermined size, it is preferable to cut the straw to a size of 10 to 15cm. This is to ensure that the migratory birds make easy work in creating nests.

그리고, 상기 수확 공간부(62)에는 볏짚을 쌓아놓고 그 위에 벼를 뿌려서 철새들의 먹이터를 조성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harvesting space 62 may be piled up rice straw and sprinkle rice on it to form a feeding ground for migratory birds.

또한, 상기 수확 공간부(62)에는 볏짚 안쪽에 벼를 넣은 먹이 주머니를 위치시켜 철새가 먹이를 찾도록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확 공간부(62)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철새들의 먹이터를 조성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harvesting space 62, the migratory bird finds food by placing a food bag in which rice is placed inside the rice straw. In this way, the harvesting space 62 is to form a feed site for migratory birds in a variety of ways.

또한, 상기 수확 공간부(62)의 일부 면적을 대상으로 11월 보리를 파종하여 기러기 또는 황오리 등의 보리 싹을 선호하는 철새가 도래하였을 시기에 이를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sow barley in November to target a part of the harvesting space 62 so that it can be eaten when a migratory bird that prefers barley buds such as geese or yellow ducks arrives.

한편, 상기 수확 공간부(62)의 일측에는 상기 경작물 수확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기 미수확 공간부(61)가 형성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harvest space 62 is to be formed in the non-harvested space 61 is not harvested crops.

이는, 상기 수확 공간부(62)와는 다른 환경을 형성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form an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at of the harvest space 62.

예를 들면, 수풀 사이를 헤집고 다니는 것을 좋아하는 철새들이 서식 및 취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For example, migratory birds that prefer to roam between bushes provide a suitable environment for habitation and eating.

그리고, 상기 미수확 공간부(61)는 상기 경작물 수확이 이루어지지 않기에 철새들에게 풍부한 먹이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unharvested space portion 61 provides abundant food to the migratory birds because the crop harvest is not made.

또한, 상기 미수확 공간부(61)는 적설 기간 동안 상기 수확 공간부(62)에서 서식 및 취식하는 철새의 먹이 활동을 도울 수 있다.In addition, the unharvested space portion 61 may help feeding activities of migratory birds that inhabit and eat in the harvest space portion 62 during the snowing period.

이러한, 상기 수확 공간부(62)와 미수확 공간부(61)는 교대로 형성되어 철새들의 다양한 서식지 및 취식지를 제공하게 된다.The harvesting space 62 and the non-harvesting space 61 are alternately formed to provide various habitats and eating places of migratory birds.

그리고, 상기 수확 공간부(62)와 미수확 공간부(61)가 교대로 형성됨에 있어 상기 수확 공간부(62)의 면적은 상기 미수확 공간부(61)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harvesting space 62 and the non-harvesting space 61 are alternately formed, the area of the harvesting space 62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area of the non-harvesting space 61.

여기서, 상기 수확 공간부(62)와 미수확 공간부(61)의 면적 비율은 2: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ratio of the harvest space 62 and the non-harvested space 61 is 2: 1.

이는, 철새들에게 넓은 시야를 확보하게 하여 주위를 경계할 수 있도록 하며, 철새들의 원활한 착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migratory birds to have a wide field of view so that they can watch the surroundings and allow the migratory birds to land smoothly.

한편, 상기 무논(70)은 상기 구획부(90)에 의해 상기 경작물 공간부(60)와 초본식물 공간부(50)와 구획되며 상기 무논(70)은 휴경기에도 논에 물이 괴이도록 이루어져 다리가 일정 깊이의 물에 잠겨야 취침을 하는 재두루미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공간으로 조성함으로써 재두루미의 도래를 유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unon 70 is partitioned with the cultivation space 60 and the herbaceous plant space 50 by the partition 90, the munon 70 is made of water in the rice paddy even in the fall season.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arrival of a red-crowned crane by creating a space consider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leeping crane, when the legs are submerged in a certain depth of water.

이러한, 상기 무논(70)에는 지속적으로 물이 괴어져 있어 토양의 온도가 매우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각종 생물들의 생육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어 상기 무논(70)에서 생존하는 각종 생물들은 철새들에게 다양한 먹이를 제공하게 된다.Such, the munon 70 is constantly lumped in water to prevent the soil temperature is very low, to provide an environment capable of growing a variety of organisms, the various living organisms in the munon 70 are migratory birds It will provide them with a variety of food.

여기서, 상기 무논(70)은 상기 수로(8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로(8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무논(70)에는 지속적으로 물이 괴이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munon 7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way 80 is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waterway 80 is preferably made to continuously lump water in the munon (70).

이와 같이,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50)와 무논(70)은 상기 수로(8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로(80)로부터 지속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In this way, the herbaceous plant space portion 50 and the Munon 7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way 80 is made to enable continuous water supply from the waterway (80).

이러한, 상기 복원 대상지(200)는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50), 경작물 공간부(60) 및 무논(70)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50), 경작물 공간부(60) 및 무논(70)은 상기 구획부(90)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획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철새들은 짧은 거리의 이동만으로도 다양한 먹이를 섭식할 수 있는 하구 습지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다.The restoring target site 200 includes the herbaceous plant space unit 50, the cultivated plant space unit 60, and the munon 70, and the herbaceous plant space unit 50, the cultivated plant space unit 60, and The munon 70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unit 90 so that migratory birds can be formed in the estuary wetland ecosystem that can feed a variety of food even with a short distance movemen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이식공간부 20: 이격공간부
30: 초본식물 50: 초본식물 공간부
60: 경작물 공간부 70: 무논
80: 수로 100, 200: 복원 대상지
10: implantation space portion 20: spaced apart space portion
30: herbaceous plant 50: herbaceous plant space
60: cultivated space part 70: Munnon
80: channel 100, 200: destination for restoration

Claims (8)

복원 대상지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복원 대상지에 일정 크기를 갖는 이식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식공간부로부터 일정 거리의 이격공간부가 유지되며 또 다른 상기 이식공간부가 형성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식공간부에 초본식물이 이식되는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이식공간부는 가로 세로의 길이가 각각 1m인 정사각형태를 이루며, 상기 이식공간부의 모서리 내측에 상기 초본식물이 이식되고,
상기 이식공간부에 이식되는 상기 초본식물은 20cm(가로)×20cm(세로)×10~15cm(깊이)를 갖는 크기로 이식되며,
상기 이격공간부는 상기 이식공간부로부터 사방으로 1m 떨어진 거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구 습지 생태계의 복원방법.
Selecting a restoration site;
Forming an implantation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n the restoration sit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implanted space portion at a distance and forming another implanted space portion; And,
Including the step of transplanting the herbaceous plant in the transplant space,
The transplanted space portion forms a square having a length of 1 m each, the herbaceous plant is implanted inside the corner of the transplanted space portion,
The herbaceous plant to be transplanted to the transplanted space is transplanted into a size having 20cm (width) × 20cm (length) × 10-15cm (depth),
The spaced space portion restoration method of the estuary wetland ecosystem,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distance 1m away in all directions from the transplant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본식물은 새섬매자기 또는 세모고랭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구 습지 생태계의 복원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herbaceous plant is a method of restoring an estuary wetland eco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bird island barley or ses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대상지는 갯벌 또는 농경지에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구 습지 생태계의 복원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storation method of the estuary wetland eco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toration site is made on a tidal flat or farmlan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대상지가 농경지인 경우에는
수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로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이식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초본식물이 이식 또는 파종되는 초본식물 공간부가 형성되는 단계;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와 구획되며 경작물이 재배되는 경작물 공간부가 형성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로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물이 괴이도록 이루어진 무논이 형성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초본식물 공간부와 경작물 공간부 및 무논은 구획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획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구 습지 생태계의 복원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storation site is farml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nal to receive water from the canal and the graft space is formed to form a herbaceous plant space portion for transplanting or planting the herbaceous plants;
Forming a crop space portion partitioned from the herbaceous plant space portion and cultivated crops; An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way is formed by the water supply is supplied from the waterway and comprises a step of forming a munon and the herbaceous plant space portion and the cultivation space portion and Munon is made to be partitioned separately by the partition portion Restoration method of the estuary wetland eco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작물 공간부는
경작물 수확이 이루어지는 수확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확 공간부의 일측에 상기 경작물 수확이 이루어지지 않는 미수확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구 습지 생태계의 복원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ultivation space portion
Forming a harvesting space in which the crop harvest is made; And
A method of restoring an estuary wetland ecosystem comprising forming an unharvested space portion in which the crop harvest is not made at one side of the harvest spac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10085387A 2011-08-25 2011-08-25 Method of ecological wetland restoration KR1013167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387A KR101316783B1 (en) 2011-08-25 2011-08-25 Method of ecological wetland resto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387A KR101316783B1 (en) 2011-08-25 2011-08-25 Method of ecological wetland resto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647A KR20130022647A (en) 2013-03-07
KR101316783B1 true KR101316783B1 (en) 2013-10-08

Family

ID=4817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387A KR101316783B1 (en) 2011-08-25 2011-08-25 Method of ecological wetland resto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78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4475A (en) * 2014-12-26 2015-05-13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Method for promoting recovery of marsh plants in wetland field blocks reverted from cultivated land in plain area
CN105027942A (en) * 2015-08-24 2015-11-11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Method for quick restoration of scirpusplaniculmis wetland by means of corm transplantation
CN107371452A (en) * 2017-07-21 2017-11-24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A kind of flat stalk cyperus iria L. rhizoma scirpi bulb storage method for improving emergence rate and shortening seedling-growing ti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4763B (en) * 2013-07-09 2015-04-29 中国科学院城市环境研究所 Micro-reformation and vegetation restoration method for degraded plateau and lake wetlands
USD761819S1 (en) 2014-08-28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9816230B (en) * 2019-01-16 2022-11-25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Method for determining aquatic bird habitat type ratio in ecological restoration of fishpond
CN109717009B (en) * 2019-02-27 2021-12-21 黑龙江省科学院自然与生态研究所 Method for recovering slightly degraded lobular wetland by farmland drain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240A (en) 2002-02-14 2003-08-27 Kajima Corp Method for cultivating coastal wetlands by using naturally decomposable plant material, and coastal wetlands
KR20090069038A (en)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An artificial bank for restoration of coastal wet land and method for restortation of coastal wet land using the same
KR20090069039A (en)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An artificial bank for restoration of coastal wet land and method for restortation of coastal wet land using the same
KR20100034134A (en) * 2008-09-23 2010-04-01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Method for restoration of coastal wet land using a pipe type structure(2)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240A (en) 2002-02-14 2003-08-27 Kajima Corp Method for cultivating coastal wetlands by using naturally decomposable plant material, and coastal wetlands
KR20090069038A (en)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An artificial bank for restoration of coastal wet land and method for restortation of coastal wet land using the same
KR20090069039A (en)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An artificial bank for restoration of coastal wet land and method for restortation of coastal wet land using the same
KR20100034134A (en) * 2008-09-23 2010-04-01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Method for restoration of coastal wet land using a pipe type structure(2)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4475A (en) * 2014-12-26 2015-05-13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Method for promoting recovery of marsh plants in wetland field blocks reverted from cultivated land in plain area
CN105027942A (en) * 2015-08-24 2015-11-11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Method for quick restoration of scirpusplaniculmis wetland by means of corm transplantation
CN107371452A (en) * 2017-07-21 2017-11-24 中国科学院东北地理与农业生态研究所 A kind of flat stalk cyperus iria L. rhizoma scirpi bulb storage method for improving emergence rate and shortening seedling-growing 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647A (en)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783B1 (en) Method of ecological wetland restoration
Prasad et al. Smart practices and technologies for climate resilient agriculture
CN102524139A (en) Method for breeding adult crabs in rice fields
CN101496510B (en) Plant for trapping and killing Phralidid caterpillar as well as using method
KR20200069039A (en) Aquaculture system of paddy field by using tilapia
Chowdhury et al. Application of bio-drainage for reclamation of waterlogged situations in deltaic Orissa
Danilov et al. Expansion and some ecological features of the wild boar beyond the northern boundary of its historical range in European Russia
Reddy et al. Integrated rice and aquaculture farming
Yaro et al. The effect of different fertilizer treatments on water quality parameters in rice‐cum‐fish culture systems
CN105960978A (en) Method for improving chilo suppressalis control effect by combining trap crop with sex attractant
CN108496724B (en) Method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rice stem borer, rice stem borer and rice leaf roller screening and identifying garden
Subedi et al. Rice cum fish farming: Trend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Nepal
CN101473739B (en) Artificial planting method of Reineckea carnea
Labios et al. Compendium of climate-resilient agriculture technologies and approaches in the Philippines
Limin et al.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ropical peatland in central Kalimantan, Indonesia
CN108307959B (en) Ecological breeding method for rice and eel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sect pests by flooding in field and pond
CN112042485A (en) Strawberry paddy-upland rotation seedling raising method
KR100948351B1 (en) Birds habitation and their making methods
CN105815164B (en) The method that carp is put in a kind of entire mechanization operation rice field in a suitable place to breed
CN105594424A (en) Method for high-yield planting of taros by covering field with straw
CN105409499B (en) A kind of double season crop rotations of rape corn and breeding co-planting method
KR20150005097A (en) the manufacturing methode of zostera planting plate
CN115399269A (en) Rice field transformation method for feeding penaeus vannamei boone and mixed three-dimensional cultivation method for rice and penaeus vannamei boone
CN110679404B (en) Method for preventing and controlling terrestrial water peanuts by plant substitution control and natural enemy synergy
Goyal et al. Farm Pond: A well of wealth for the dryland dwel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