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740B1 -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 Google Patents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740B1
KR101315740B1 KR1020110131709A KR20110131709A KR101315740B1 KR 101315740 B1 KR101315740 B1 KR 101315740B1 KR 1020110131709 A KR1020110131709 A KR 1020110131709A KR 20110131709 A KR20110131709 A KR 20110131709A KR 101315740 B1 KR101315740 B1 KR 101315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amp
pillar
polygonal
polygonal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5028A (ko
Inventor
히로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일본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131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7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6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2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of polygonal shape, e.g. square or rectang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 램프,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포그 램프, 백업 램프나 차량 외의 내장 조명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램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광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다중 반사 방식을 이용하여 다각기둥 내에서 다중반사가 일어나도록 광원 및 미러면을 형성함으로써, LED가 조사되는 각도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입체감을 형성하는 한편, 다중 반사를 통해 LED 램프를 실제의 탑재 수보다도 많게 보이게 되는 램프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프 미러로 이루어진 전면과 미러로 이루어진 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과 후면의 마주보는 면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면서 다각기둥의 측면을 이루는 다각기둥 미러 몸체를 갖는 램프로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각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에서는 LED의 사용 수를 줄일 수 있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충분한 조사 면적에 대해 입체적인 광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시인성이 향상되고 심미성을 충족할 수 있는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Lamp having polygonal column mirror}
본 발명은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 램프,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포그 램프, 백업 램프나 차량 외의 내장 조명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램프는 광원, 반사면을 갖는 램프 본체, 전면을 마감하는 렌즈 등으로 구성되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면을 거쳐 전방으로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 램프의 렌즈는 광원의 앞쪽에 설치되고, 해당 렌즈에 렌즈 컷을 행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램프는 비슷한 인상을 소비자에게 주고 있다.
또한, 최근에 판매되고 있는 차량의 경우, 광원으로 백열전구가 아니라 LED 램프를 사용한 것이 계속 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백열전구와 비교할 때 LED 램프가 소비전력이 적고, 점등할 때 까지의 소요시간이 짧은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LED 램프는 조사각이 좁고(40~60°) 넓은 발광 면적이 필요한 경우에 많은 수의 LED 램프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는 LED 램프의 가격이 높기(예를 들면, 백열전구의 약 2배) 때문에 비용증가의 원인이 된다.
차량용 램프, 예를 들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등에서 필요로 하는 조도는 각각의 법규에 따라서 정해져 있지만, 현재는 LED 램프 1개로 그 조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정도의 고성능의 LED 램프가 개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ED 램프의 탑재 수가 감소하지 않는 가장 큰 원인은 고급 차종의 경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등에 입체감이 있는 고품질감을 표현하는 추세로 가고 있기 때문이다.
즉, LED 램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사각이 좁기 때문에 1개의 LED 램프만 사용하는 경우 LED 램프로부터의 빛이 렌즈에 부합하는 면적이 좁고, 렌즈가 밝혀지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궁상스러운 느낌을 사람들에게 준다.
위와 같은 점들을 회피하기 위하여 외관상의 이유로 다수의 LED 램프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0-331509호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적어도 1개의 광원이 배치되는 다각형의 광원 설치면과, 광원 설치면의 주위를 둘러싸고 이 광원 설치면과 직각으로 접속하는 반사면으로 되는 발광 유니트를 적어도 1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련되는 기술이다.
이에 따라, 위의 기술은 광원 설치면에 설치되는 1개의 광원을 복수의 반사면에서 다중 반사시키는 방식이어서 광원으로 조사각이 좁은 LED 램프가 채용되는 때에도 LED 램프의 사용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기술은 아래와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LED 램프를 한번 반사시키는 형태이므로 다중 반사 효과가 미흡하다.
둘째,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LED 램프가 1개의 점으로 보이고, 그 점이 반사면에 대해 반사하는 형태이므로 깊이 있는 느낌이 느껴지지 않고 입체감도 없다.
셋째, 반사면은 정면에서 봤을 때 삼각형이기 때문에 차량 외형과의 매칭이 곤란하므로 실제 탑재시 발광 유니트가 복수개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부품의 종류가 늘어나고 그것에 수반되는 제조비용이 증가한다.
한편, 본건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111033호에서는 다중 반사 방식을 이용하여 LED 램프를 실제 탑재 수 보다도 많게 보이도록 구현된 램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 기술은 다중 반사 방식을 이용한 단순한 구조의 램프를 제시하고 있는 데 그치고 있어,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등과 같이 시각적인 디자인이 중요시되는 제품군에 사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LED의 조사각이 좁기 때문에 여전히 다수의 LED가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광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다중 반사 방식을 이용하여 다각기둥 내에서 다중반사가 일어나도록 광원 및 미러면을 형성함으로써, LED가 조사되는 각도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입체감을 형성하는 한편, 다중 반사를 통해 LED 램프를 실제의 탑재 수보다도 많게 보이게 되는 램프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LED의 사용 수를 줄일 수 있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충분한 조사 면적에 대해 입체적인 광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시인성이 향상되고 심미성을 충족할 수 있는 램프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프 미러로 이루어진 전면과 미러로 이루어진 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과 후면의 마주보는 면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면서 다각기둥의 측면을 이루는 다각기둥 미러 몸체를 갖는 램프로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각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일단에는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에 경사지게 꺾여 연결되는 제1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확장부는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와 동일한 다각기둥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타단에는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에 경사지게 꺾여 연결되는 제2확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2확장부는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와 동일한 다각기둥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확장부에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와 연결되지 않은 쪽의 단부에는 제1보강 미러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2확장부에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와 연결되지 않은 쪽의 단부에서는 제2보강 미러면이 설치되며, 상기 제1보강 미러면은 상기 제1확장부의 단부와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 미러면은 상기 제2확장부의 단부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는 육각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에서의 후면은 육각기둥에서 광원이 설치된 서로 인접한 세 개의 면이고,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전면은 서로 인접한 나머지 세 개의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는 전면의 서로 인접한 세 개의 면 중 중앙의 면에 대한 변의 길이가 다른 두 개의 면에 대한 변의 길이에 비하여 짧은 변형육각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는 마주보는 면이 없는 중심면과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대면을 포함하는 홀수각을 갖는 다각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후면은 중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후면의 미러는 크롬이 도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광원은 도광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광봉은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전면과 후면은 모두 하프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는 서로 병렬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다각기둥 미러 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프 미러면에 LED로부터 광이 수직으로 조사되면, 하프 미러에서 일부 광이 반사되어 LED 부착면에서의 미러면으로 되돌아오게 되고, 이것이 다시 반사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LED 광원이 실제보다 더 많아 보이게 되므로, 적은 수의 LED로도 충분한 광조사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다각기둥의 양단에 서로 수직한 두 개의 미러면이 형성됨으로써 램프의 길이가 연장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램프가 상대적으로 커 보이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다각기둥의 미러면에 LED를 설치함으로써, 램프에 사용되는 LED 광원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원가 절감 및 소비 전력 감소의 효과가 있다.
넷째, 램프의 비점등 시에서도, 다각기둥을 포함하는 조각적인 외관으로 인하여 입체적인 심미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다각기둥 구조를 여러 가지 형태로 전개 가능하므로, 설계 자유도가 높아 차량 내에 탑재가 용이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의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육각기둥 미러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를 포함하는 램프의 예에 대한 사시도와 측단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육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에서, 비점등 시와 점등 시를 구분하여 비교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에서 보강 미러면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8과 도 9는 도광봉을 광원으로 포함하는 램프의 비점등 시와 점등 시를 비교 도시한 것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육각기둥 미러 몸체의 중심에 도광봉이 위치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에서 정육각형 단면 구조를 가지는 육각기둥 미러를 병렬적으로 배열한 경우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에서 변형육각단면 구조를 가지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현된 다양한 단면 구조를 형성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에서 홀수각의 다각기둥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각기둥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내부에 설치된 LED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미러로 이루어진 다각기둥의 기둥면에 반복적으로 반사되면서 다중 반사되면서, 입체적으로 발광하는 램프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램프를 구성하는 다각기둥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다각기둥의 마주보는 면은 서로 평행한 미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다각기둥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 광원이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광원으로 LED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다각기둥의 마주보는 두 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선택적으로 광원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원이 설치된 다각기둥면과, 그 대면으로 광원이 설치되지 않은 다각기둥면에 반복적으로 광의 반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관련, 본 발명에서는 광원이 설치되지 않은 다각기둥면으로 광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외측을 향한 면을 전면이라 하고, 광원이 설치되며 다각형 기둥의 내측에 숨겨진 다각기둥면을 후면으로 정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후면에 설치된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전면과 후면에서 다중 반사되면서 전면을 통해 외부로 광을 방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중 반사가 이루어지면서 다각기둥면을 투과하여 다각기둥 외부로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다각기둥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프 미러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각기둥면 중 전면은 하프 미러로 형성하고, 후면은 미러로 형성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직접 조사된 광 및 다중 반사된 광이 전면을 통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각기둥의 전면을 형성하는 하프 미러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일부는 반사하고, 나머지 일부는 투과시키는 것으로, 하프 미러의 농도는 원하는 램프의 질감이나 형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다각기둥의 후면을 형성하는 미러는 하프 미러에 의해 반사된 광을 재반사시키는 미러이며, 바람직하게는 크롬이 도포된 미러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광의 다중 반사를 위하여 제공되는 다각기둥 형태의 미러 구조체를 다각기둥 미러 몸체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의 다각기둥 미러 몸체는 하프 미러인 전면과 미러인 후면이 다각기둥의 측면을 형성하되, 상기 다각기둥의 측면을 이루는 전면과 후면의 마주보는 면들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양단에 다각기둥이 확장된 형태의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는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단부에서 꺾여지면서 연장형성되는 바,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에 경사지게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는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와 동일한 단면구조를 가지며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 및 후면과 광원의 구성들은 모두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가 다각기둥 미러 몸체에 연장 형성된 구조를 통해, 램프가 입체감을 가지면서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경사진 구조로 인해 각각의 후면에 설치된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경로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사각도가 좁은 LED 광원을 적은 수로 사용하면서도 넓은 광조사면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에서 각각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에 연결되지 않은 쪽의 단부에는 각각 제1보강 미러면 및 제2보강 미러면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보강 미러면 및 제2보강 미러면은 광의 반사를 위한 미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강 미러면은 제1확장부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며, 제2보강 미러면은 제2확장부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보강 미러면은 제1 및 제2확장부가 비취지면서 다각기둥 구조가 더 커 보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효과와 관련, 보강 미러면과 확장부가 이루는 각도는 정확히 90도일 필요는 없으며, 대략 90도 정도라면 발광하고 있는 다각기둥 구조가 마치 연장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보강 미러면 및 제2보강 미러면은 크롬이 도포된 미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점광인 LED를 대신하여 선광인 도광봉을 광원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도광봉은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봉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도광봉을 설치하는 경우에서도 다각기둥 미러 몸체를 포함한 여타의 구성은 앞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봉은 LED 광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후면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광봉으로부터 방출되는 선광이 서로 마주보는 평행한 면을 통해 다중 반사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 도광봉이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각기둥의 모든 면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도광봉을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중심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전면과 후면 모두를 하프 미러로 구성함으로써, 모든 면을 통해 광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형태를 갖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의 경우에는 모든 방향에서 광을 조사하게 되므로, 차량의 실내등과 같이 개방된 영역에 대한 광조사가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단일한 다각기둥 미러 몸체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의 다각기둥 미러 몸체 다수가 서로 병렬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해당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다각기둥 중 육각형 단면구조를 가지는 육각기둥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로써, 육각기둥의 형태의 다각기둥 미러 몸체가 병렬적으로 연결된 램프(1)의 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하프 미러로 이루어진 서로 인접한 세개의 면(11, 12, 13)들이 모여 전면을 이루고, 그 반대편에 미러로 이루어진 서로 인접한 세 개의 면(14, 15, 16)들이 모여 후면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위 전면을 형성하는 세 개의 면(11, 12, 13)과 후면을 이루는 세 개의 면(14, 15, 16)이 육각기둥의 측면을 형성하면서, 육각기둥 미러 몸체(10)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면에는 광원이 위치하여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전면의 대응하는 면과 반복적인 반사를 통해 광의 다중 반사가 일어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의 일부는 하프 미러인 전면(11, 12, 13)을 통과하여 외부로 조사되게 되며, 나머지 일부는 반사되어 전면(11, 12, 13)과 후면(14, 15, 16) 사이에서 다중 반사되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육각기둥 미러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를 포함하는 램프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도 3의 육각기둥 미러 몸체(110)의 경우, 도 3의 앞쪽에 위치하는 세 개의 면이 전면(111, 112, 113)에 해당하고, 그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이 후면이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램프는 육각기둥 미러 몸체를 중심으로 그 양단에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육각기둥 형태의 제1확장부(120) 및 제2확장부(130)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특히 상기 제1확장부(120) 및 제2확장부(130)는 모두 육각기둥 미러 몸체로부터 꺾여지면서 경사지게 연결 형성된다.
도 3에서와 같이 꺾여진 육각기둥 구조의 램프에서도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육각기둥 미러 몸체의 후면에 광원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와 같이, 육각기둥 미러 몸체(110), 제1확장부(120) 및 제2확장부(130)의 후면(115, 125, 135) 상에 각각 하나 이상의 광원이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광원의 광 경로를 분산시킬 수 있어 도 1에서와 같은 평행한 광 경로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효과적인 광 조사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는 육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를 제작한 다음, 비점등 시와 점등 시를 구분하여 비교 도시한 것이다.
즉, 도 5는 LED 광원이 점등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고, 도 6은 LED 광원이 점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점등 시를 도시하고 있는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에서는 실제 LED 광원의 갯수에 비하여 더 많은 광원이 설치된 것처럼 보이면서 입체적인 심미감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보강 미러면(141, 142)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경우를 그렇지 않은 경우(151, 152)와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 미러면(141, 142)은 제1확장부(120) 및 제2확장부(130)의 단부 측과 수직을 이루는 미러면으로 이루어지고, 제1확장부에 연결된 미러면을 제1보강 미러면(141)이라 하고, 제2확장부(130)에 연결된 미러면을 제2보강 미러면(142)라 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보강 미러면에서는 미러면을 통해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의 발광 영역을 비추어줌으로써 마치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가 더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도 7의 비교 사진으로부터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바, 보강 미러면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보강 미러면을 포함한 경우에서 램프가 더욱 커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점광인 LED 광원 대신에 선광인 도광봉을 광원으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구현한 것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도광봉을 광원으로 포함하는 램프의 비점등 시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램프의 점등 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서와 같이 광이 투과되어 외부를 조사할 수 있도록 전면은 외부로 드러나도록 구성하게 되며, 도 8에서 드러나지 않은 후면에는 세 개의 도광봉이 광원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도 8에서와 같은 육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의 점등 시를 도시한 것으로, 도 9에서는 점등 시에는 그 후면에 설치된 광원의 개수에 비하여, 다수의 광원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처럼 식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봉(220)을 육각기둥 미러 몸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이와 같이 육각기둥 미러 몸체의 중심에 도광봉(220)이 위치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3에서는 위 구조로 제작된 램프가 점등된 것을 촬영한 것이다.
전면을 이루는 세 개의 면(211, 212, 213)은 하프 미러로 구성하되, 후면을 이루는 세 개의 면(214, 215, 216)은 미러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육각기둥 미러 몸체의 주변으로는 바닥면(219)과 좌우측 측면(217, 218)에 육각기둥 미러 몸체 내부의 발광영역을 다시 비추어주기 위한 미러면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육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에서는 도 12에서와 같이 전면(211, 212, 213)을 통해 광을 외부로 조사하게 된다.
이 경우 위의 경우와는 달리 육각기둥의 모든 면을 하프 미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는 도 13에 나타난 것으로, 중심의 도광봉으로부터의 광이 육각기둥 측면의 모든 방향에서 상기 하프 미러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육각기둥의 측면을 통해 광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에서는 다각기둥 미러 몸체를 병렬적으로 연결하여, 다수의 다각기둥 미러 몸체를 포함하는 램프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병렬적으로 연결되는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단면은 도 14에서와 같이 정육각형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정육각형 단면 구조를 가지는 육각기둥 미러를 병렬적으로 배열한 경우에는 다중반사가 경사진 옆면끼리 겹치게 되면서 간섭하게 되기 때문에 사각이 발생하여 효과가 저감될 우려가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정육각형 단면 구조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변형된 단면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변형된 단면 구조는 도 1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는 전면의 서로 인접한 세 개의 면 중 중앙의 면에 대한 변의 길이가 인접한 다른 두 개의 면에 대한 변의 길이에 비하여 짧게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즉, 이와 같이 변형된 구조에 따르면, 도 15에서와 같이 변형된 육각단면 구조를 통해 광원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다중 반사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육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에 관하여 주로 기술하고 있으나, 이것은 가장 바람직한 예로써 육각기둥을 예시한 것이며, 이러한 육각기둥 구조는 물론, 마주보는 면끼리 서로 평행면을 형성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다각기둥 형상에라도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도 16는 다양한 단면 구조를 가지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는 도 16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단면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며, 다만 어떠한 경우에도 다중 반사를 위해 마주보는 면은 서로 평행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에서는 홀수각의 다각기둥에 대하여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는 도 17에서는 마주보는 면이 없는 중심면과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대면을 포함하는 홀수각을 갖는 다각기둥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 홀수 각의 다각기둥 미러 구조에서의 광 경로는 도 16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중심면과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면들 중 상기 중심면에 인접한 면을 후면으로 하고, 그 외에 마주보는 면들을 전면으로 설정한다.
이 때, 도 17에 따른 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에서 다중 반사가 일어나는 것을 살펴보면, 중심면 이외의 평행하게 마주보는 대면 상에 설치된 2 개의 광원은 맞은편 면과의 사이에서 광이 반복적으로 반사되면서 다중반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반면, 중심면에 설치된 3개의 램프에서는 직접 광의 다중반사가 일어나지는 않고, 1차적으로 경사면으로 조사되어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다중반사가 일어나게 된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영역에서는 2개 경사면에 걸쳐 빛을 조사하여, 좌우에 각각 반사하게 되며, 이와 같이 반사된 빛을 다시 이용하여 마주 보는 두 면 사이에서 다중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구현하게 된다.
또한, 도 17의 'B'영역에서는 광원으로부터 경사면에 조사하면서 반사된 빛을 광원으로 하여 마주보는 두 면 사이에 다중반사가 일어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반사광을 이용하여 다중반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직접광의 다중 반사의 경우에 비하여 광의 세기는 약해지지만, 반사광을 이용하여 대면 간의 다중반사를 이룰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에서는 짝수 각을 갖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뿐만 아니라, 홀수 각을 갖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에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요소들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의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수적인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별한 상황들이나 재료에 대하여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모든 실시 예들을 포함할 것이다.
10(110): 다각기둥 미러 몸체
11, 12, 13: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전면
14, 15, 16: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후면
111, 112, 113: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전면
120: 제1확장부
121, 122, 123: 제1확장부의 전면
130: 제2확장부
131, 132, 133: 제2확장부의 전면
141: 제1보강 미러면
142: 제2보강 미러면

Claims (15)

  1. 하프 미러로 이루어진 전면과 미러로 이루어진 후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과 후면의 마주보는 면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면서 다각기둥의 측면을 이루는 다각기둥 미러 몸체를 갖는 램프로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내측 각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광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일단에는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에 경사지게 꺾여 연결되는 제1확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확장부는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와 동일한 다각기둥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타단에는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에 경사지게 꺾여 연결되는 제2확장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2확장부는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와 동일한 다각기둥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확장부에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와 연결되지 않은 쪽의 단부에는 제1보강 미러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2확장부에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와 연결되지 않은 쪽의 단부에서는 제2보강 미러면이 설치되며, 상기 제1보강 미러면은 상기 제1확장부의 단부와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 미러면은 상기 제2확장부의 단부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는 육각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에서의 후면은 육각기둥에서 광원이 설치된 서로 인접한 세 개의 면이고,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전면은 서로 인접한 나머지 세 개의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는 전면의 서로 인접한 세 개의 면 중 중앙의 면에 대한 변의 길이가 다른 두 개의 면에 대한 변의 길이에 비하여 짧은 변형육각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는 마주보는 면이 없는 중심면과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대면을 포함하는 홀수각을 갖는 다각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후면은 중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의 미러는 크롬이 도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도광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도광봉은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의 전면과 후면은 모두 하프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기둥 미러 몸체는 서로 병렬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다각기둥 미러 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KR1020110131709A 2011-12-09 2011-12-09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KR101315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709A KR101315740B1 (ko) 2011-12-09 2011-12-09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709A KR101315740B1 (ko) 2011-12-09 2011-12-09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028A KR20130065028A (ko) 2013-06-19
KR101315740B1 true KR101315740B1 (ko) 2013-10-10

Family

ID=4886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709A KR101315740B1 (ko) 2011-12-09 2011-12-09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420A (ko) 2019-02-25 2020-09-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램프용 광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509A (ja) 1999-05-21 2000-11-30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KR20090111033A (ko) * 2008-04-21 2009-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509A (ja) 1999-05-21 2000-11-30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KR20090111033A (ko) * 2008-04-21 2009-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420A (ko) 2019-02-25 2020-09-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램프용 광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028A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3493B2 (en) Dual-direction light pipe for automotive lighting
US9416935B2 (en) Vehicle direction indicator light having a light emitting body including an outer emitting surface, an inner emitting surface, a tip surface, and a light guide body
JP5478467B2 (ja) 車両外装ガーニッシュ
KR101342059B1 (ko) 차량용 리어 램프
US20100014309A1 (en) Vehicle Light
JP2013048036A (ja) 車両用灯具
JP6546768B2 (ja) 車両用導光体、車両用灯具
JP2018055992A (ja) 灯具ユニット
KR101315740B1 (ko) 다각기둥 미러를 갖는 램프
JP2017183231A (ja) 灯具
JP5354421B2 (ja) ランプ器具
JP4499642B2 (ja) 車両用灯具
JP5582981B2 (ja) 導光部材
KR101262610B1 (ko) 차량용 램프구조
JP2004227981A (ja) 車両用灯具
JP2000331509A (ja) 車両用灯具
JP5040825B2 (ja) 車両用灯具
KR200483959Y1 (ko) 차량용 램프
JP2002025310A (ja) 車両用灯具
CN220540927U (zh) 用于车辆的发光组件及车辆
KR20090111033A (ko) 램프
US6957902B2 (en) Vehicle lamp with a shield having a double directional illumination structure
KR101282615B1 (ko) 차량용 램프
CN220551830U (zh) 一种用于车辆的照明装置及车辆
KR100700203B1 (ko)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