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510B1 -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510B1
KR101315510B1 KR1020080137424A KR20080137424A KR101315510B1 KR 101315510 B1 KR101315510 B1 KR 101315510B1 KR 1020080137424 A KR1020080137424 A KR 1020080137424A KR 20080137424 A KR20080137424 A KR 20080137424A KR 101315510 B1 KR101315510 B1 KR 101315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cid component
hyper
polymer
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9024A (ko
Inventor
김한수
유민아
김성현
임민영
허윤희
김선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8013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5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3/00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2/00 - C08G81/00
    • C08G83/002Dendritic macromolecules
    • C08G83/005Hyperbranched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9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5/00General processes for preparing compound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 양 말단의 히드록시기와 측쇄의 카르복실기가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하이퍼 브랜치 구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하이퍼 브랜치 구조의 폴리머가 분자량 조절이 어렵고, 재현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을 첨가하여 분자량 조절이 용이하며, 재현성이 우수한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90731866-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메틸기, 혹은 에틸기이다.
하이퍼*브랜치*분자량조절*재현성*잔막율*컬러필터*조성

Description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및 이의 제조방법{HYPER-BRANCHED 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을 첨가하여 분자량 조절이 용이하며, 재현성이 우수한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는 덴드리머와 함께 덴드리틱(수지상) 폴리머로서 분류되고 있다. 종래의 고분자는 일반적으로 유상의 형상임에 대해, 이러한 덴드리틱 폴리머는 적극적으로 분기를 도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특이한 구조, 나노 미터 사이즈, 많은 관능기를 보유할 수 있는 표면, 선상 폴리머에 비해 저점도화 할 수 있는 분자간의 뒤엉킴이 적고 미립자적 거동을 나타내는 비정성으로 되어 용매 용해성을 제어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특히 말단기의 수가 많음은 덴드리틱 폴리머의 가장 현저한 특징이어서, 분자량이 증가하면 분기의 수도 증가하므로, 말단기의 절대수는 고분자량의 덴드리틱 폴리머일수록 많아진다. 이러한 말단기수가 많은 덴드리틱 폴리머는, 말단기의 류 에 의해 분자 사이 상호작용이 크게 좌우되어 유리 전이 온도나 용해성, 박막 형성성 등이 크게 변화하므로, 일반의 선형 고분자에는 없는 특징을 갖는다. 또 말단기에 반응성 관능기를 부여한 경우에는, 매우 고밀도로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기능물질의 고감도 보충제, 고감도인 다관능 가교제, 금속이나 금속산화물의 분산제 또는 코팅제로서의 응용이 기대된다.
일반적으로 덴드리머가 보호-탈보호를 반복 합성되는데 비해,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는 1 분자 중에 2종류의 치환기를 합계 3개 이상 갖는 이른바 ABX형 모노머의 1 단계 중합에 의해 합성된다.
덴드리틱 고분자는 분기구조가 많은 고분자이고, 다음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덴드리머와 다음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하이퍼 브랜치 고분자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덴드리머는 단일 고분자와는 달리 최외핵부가 분자량의 증가와 동시에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하이퍼 브랜치 고분자는 기본적으로 AB2형 모노머의 자기 축합에 의해 합성되며, 상기 덴드리머에 비해 훨씬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덴드릭 고분자는 구성 단위의 화학구조나 분기의 상태 등에 의한 형태로부터 분자량에 비해 점도가 작고, 많은 말단을 가지기 때문에 기능성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하이퍼-브랜치 폴리머는 모노머의 분자 설계에 의해 비교적 간단하게 합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공업적 생산에 있어서는 유리하다. 또한,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구형 구조, 저점도, 높은 용해성, 많은 말단 관능기 등의 특징을 가짐으로 각종 재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08090731866-pat00002
화학식 4
Figure 112008090731866-pat00003
상기와 같은 하이퍼 브랜치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는 컬러 필터의 바인더 수지, 기능물질의 고감도 보충제, 고감도인 다관능 가교제, 금속이나 금속산화물의 분산제 또는 코팅제로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제조예를 살피면, 일본 공개특허 2005-036099에서는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에스테르와 같은 에폭시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트리메리트 산무수물과 같은 3염기산 1 무수물을 100∼180℃로 반응시키고, 에폭시기와 카르복시기가 반응하고 생기는 에스테르 결합과, 산무수물기와 OH기를 갖는 에스테르를 형성시키고, 다음에 90℃ 이하에서 이 에스테르를 자기중 합 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아크리로일기 및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따르면, 반응속도 제어가 힘들어 결과적으로 최종 제조되는 고분자의 분자량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반응 재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고분자를 컬러 필터의 바인더 수지로 사용할 경우 상기 성분들이 높은 온도에서 휘발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잔막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이퍼 브랜치 구조의 고분자 제조시 분자량을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할 수 없어 점도가 높아져 재현성이 떨어지는 등의 종래 기술에서의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하이퍼 브랜치 구조의 고분자 제조시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을 통상의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와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반응시 첨가함으로써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이 적어도 2개의 하이퍼 브랜치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여 동일 점도 대비 고형분 함량이 증가되어 원하는 수준으로 분자량 조절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반응 재현성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자량 조절이 용이하고, 동일 점도 대비 고형분 함량이 높은 하이퍼 브랜치 구조의 고분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하이퍼 브랜치 구조의 고분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도 있다.
본 발명은 하이퍼 브랜치 구조의 폴리머가 분자량 조절이 어렵고, 재현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을 첨가하여 분 자량 조절이 용이하며, 재현성이 우수한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분자는 동일 점도에서 고형분 함량이 높아 컬러필터용 잉크 조성물의 바인더 수지로 사용되어 잔막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 양 말단의 히드록시기와 측쇄의 카르복실기가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하이퍼 브랜치 구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제조방법은 염기성 촉매 하에서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 양 말단의 히드록시기와 측쇄의 카르복실기가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하이퍼 브랜치 구조를 형성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는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 및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염기성 촉매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한다.
상기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은 다음 화학식 1로 대표될 수 있으며,이러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비스 하이드록시 메틸프로피오닉산, 비스 하이드록시 메틸부티릭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90731866-pa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메틸기 혹은 에틸기이다.
상기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은 전체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중 1 내지 20 몰%로 포함되는 것이 분자량 조절 및 재현성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제조에 포함되는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는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90731866-pat00005
상기 식에서, X는 수소, C1~C6의 알콕시, 페녹시,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 의 알킬기, 불포화기가 1~3개 포함된 C1~C10의 알케닐기, 페닐기, 나프틸기, 또는 안트라세닐기이고; Y는 C1~C6의 알콕시기, 페녹시기,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렌기, 불포화기가 1~3개 포함된 C1~C10의 알케닐렌기, 페닐렌기이며; 상기 X와 Y는 서로 연결되어 5~6각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Z는 수소, 또는 카르복실기가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10의 알킬기이다.
상기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전체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중 30 내지 50 몰%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제조에 포함되는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5-노보넨-2-카복실레이트(엔도, 엑소 혼합물), 글리시딜 5-노보넨-2-메틸-2-카복실레이트(엔도, 엑소 혼합물), 1,2-에폭시-5-헥센, 및 1,2-에폭시-9-데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다.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전체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중 30 내지 69 몰%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는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1:30:30 내지 20:50:69몰%의 비율로 50 내지 200℃의 온도 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제조시에는 알킬암모늄염, 트리페닐포스핀, 트리페닐안티몬,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염기성 촉매 존재하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염기성 촉매는 상기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제조시 사용되는 용매로는 메틸 에틸 케톤,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틸 에테르, 2-에톡시 프로판올, 2-메톡시 프로판올, 3-메톡시 부탄올,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펠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에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및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 에서 4-메톡시페놀(MEHQ) 및 2,6-디-티-부틸-4-메틸페놀과 같은 중합금지제를 첨가제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 내지 10,000g/mol이며, 산가는 110 내지 120mg/KOH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제조 과정을 다음 반응식 1에서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112008090731866-pat00006
상기 반응식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구조를 살피면,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BHMPA)은 양 말단에 치환된 히드록시기(OH)와 카르복실기가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GMA)과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TMA)와 3개의 하이퍼 브랜치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TMA)는 이에 치환된 카르복실기와 언하이드라이드의 고리(ring)가 열리면서 역시 상기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BHMPA)과 에폭시기를 가지는 화합물(GMA)과 3개의 하이퍼 브랜치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GMA)은 에폭시 고리(ring)가 열리면 서 상기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BHMPA)과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TMA)와 하이퍼 브랜치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최종 제조된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를 구성하는 각 구성성분의 치환기 말단에 사슬로 연결된 부분은, 본 발명의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를 구성하는 화합물들 간의 반응이 계속적으로 진행되어 추가의 하이퍼 브랜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와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화합물 간의 반응성 제어가 힘들어 원하는 수준으로 분자량을 조절할 수 없었던 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을 사용하여 반응성을 제어할 수 있어 분자량 조절이 용이하고, 결과적으로 반응 재현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스 하이드록시 프로피온산 3.56g(3.45 몰%)과 트리멜리틱 언하이드라이드 61.13g(41.38 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60.31g(55.17 몰%)을 첨가하고 반응 촉매로서 테트라암모늄 브로마이드 0.82g, 열중합 금지제로서 메톡시 하이드로퀴논 0.09g을 투입하였다. 여기에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75g을 첨가한 후 110℃에서 9시간 동안 용매 환류하에서 교반, 반응시켰다.
상기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GPC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은 5,700g/mol이고, 산가는 113 KOHmg/g 이었다.
상기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합성 확인을 위하여 측정한 1H-NMR 데이터는 다음 도 1과 같으며, 8.5 ~ 8.0ppm, 8.0 ~ 7.7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트리멜리틱 언하이드라이드 피크, 6ppm, 5.6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피크, 4.8 ~ 4.2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비스하이드록시 프로피온산 피크, 3.8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피크, 1.4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비스하이드록시 프로피온산 피크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비스 하이드록시 프로피온산 2.16g(2.10 몰%)과 트리멜리틱 언하이드라이드 61.84g(41.96 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61.01g(55.94 몰%)을 첨가하고 반응 촉매로서 테트라암모늄 브로마이드 0.82g, 열중합 금지제로서 메톡시 하이드로퀴논 0.09g을 투입하였다. 여기에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375g을 첨가한 후 110℃에서 9시간 동안 용매 환류하에서 교반, 반응시켰다.
상기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GPC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은 6,600g/mol이고, 산가는 106 KOHmg/g 이었다.
상기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합성 확인을 위하여 측정한 1H-NMR 데이터는 다음 도 2과 같으며, 8.5 ~ 8.0ppm, 8.0 ~ 7.7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트리멜리틱 언 하이드라이드 피크, 6ppm, 5.6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피크, 4.8 ~ 4.2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비스하이드록시 프로피온산 피크, 3.8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피크, 1.4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비스하이드록시 프로피온산 피크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1
테트라하이드로 프탈릭언하이드라이드 18.00g과 트리멜리틱 언하이드라이드 34.05g,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60.45g을 첨가하고 반응 촉매로서 테트라암모늄 브로마이드 0.82g, 열중합 금지제로서 메톡시 하이드로퀴논 0.09g을 투입하였다. 여기에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338g을 첨가한 후 110도 9시간동안 용매 환류하에 교반 반응시켰다.
상기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GPC로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평균분자량은 5,200g/mol이고, 산가는 45 KOHmg/g 이었다.
상기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합성 확인을 위하여 측정한 1H-NMR 데이터는 다음 도 3과 같으며, 8.4 ~ 8.2ppm, 8.0 ~ 7.8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트리멜리틱 언하이드라이드 피크, 6ppm, 5.6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피크, 4.8 ~ 4.2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피크, 3.8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피크, 3.1ppm, 2.6ppm, 2.4ppm 에서 반응에 참여한 테트라하이드로 프탈릭언하이드라이드 피크를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1H-NMR 데이터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2에 따른 1H-NMR 데이터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비교예 1에 따른 1H-NMR 데이터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2)

  1.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 양 말단의 히드록시기와 측쇄의 카르복실기가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하이퍼 브랜치 구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화학식 1
    Figure 112013044779133-pat00007
    상기 식에서, R1은 메틸기, 혹은 에틸기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44779133-pat00014
    상기 식에서, X는 불포화기가 1~3개 포함된 C1~C10의 알케닐기이고; Y는 불포화기가 1~3개 포함된 C1~C10의 알케닐기이며; 상기 X와 Y는 서로 연결되어 5~6각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Z는 수소, 또는 카르복실기가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10의 알킬기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은 전체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중 1 내지 20 몰%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는 중량평균분자량 5,000 내지 10,000g/mol이며, 산가는 110 내지 120mg/KO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6. 염기성 촉매 하에서 청구항 1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 청구항 1의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 및 청구항 1의 상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에 따른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촉매는 알킬암모늄염, 트리페닐포스핀, 트리페닐안티몬,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산 성분을 포함하는 디올 화합물:상기 산 성분을 포함하는 언하이드라이드:상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30:30 내지 20:50:69몰%의 비율로 반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 메틸 에틸 케톤,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 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틸 에테르, 2-에톡시 프로판올, 2-메톡시 프로판올, 3-메톡시 부탄올, 시클로헥사논, 시클로펜타논, 프로필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 에틸 3-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에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및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80137424A 2008-12-30 2008-12-30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5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424A KR101315510B1 (ko) 2008-12-30 2008-12-30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424A KR101315510B1 (ko) 2008-12-30 2008-12-30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024A KR20100079024A (ko) 2010-07-08
KR101315510B1 true KR101315510B1 (ko) 2013-10-07

Family

ID=4264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424A KR101315510B1 (ko) 2008-12-30 2008-12-30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0201407131YA (en) 2014-10-31 2016-05-30 Nipsea Technologies Pte Ltd Water Dispersible Hyperbranched Polymer Composi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2266A (ja) 2000-02-09 2003-07-22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ハイパーブランチ両親媒性ポリマー添加剤及び増加された表面エネルギーを有するポリマー組成物
JP2006274138A (ja) 2005-03-30 2006-10-12 Toyobo Co Ltd ハイパーブランチポリエステルの水分散体
WO2007119714A1 (ja) 2006-04-12 2007-10-25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活性光線硬化型ハイパーブランチポリマ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2266A (ja) 2000-02-09 2003-07-22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ハイパーブランチ両親媒性ポリマー添加剤及び増加された表面エネルギーを有するポリマー組成物
JP2006274138A (ja) 2005-03-30 2006-10-12 Toyobo Co Ltd ハイパーブランチポリエステルの水分散体
WO2007119714A1 (ja) 2006-04-12 2007-10-25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活性光線硬化型ハイパーブランチポリマ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024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4265B2 (ja) イニマーおよびハイパーブランチポリマーの合成
US8338559B2 (en) Fluorene-based resin 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CN111909366A (zh) 一种由乙酸钾催化环酐/环氧化物开环交替共聚合制备聚酯的方法
EP1305358B1 (en) Dendritic macromolecule with improved polyether polyol solubility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CN102046708B (zh) 在共轭胍的存在下大分子物质的表面化学改性
AU2001282733A1 (en) Dendritic macromolecule with improved polyether polyol solubility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101315510B1 (ko) 하이퍼 브랜치 폴리머 및 이의 제조방법
JP4210909B2 (ja) 分子末端に不飽和基を有する高分岐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KR100814315B1 (ko) 신규한 다분기 고분자
TW200813107A (en) Linear (meth) acryloyl group-containing compound, star-shaped (meth) acryloyl group-containing compound and production processes thereof
JP5144745B2 (ja) 硬化性樹脂製造用組成物、それによって製造された硬化性樹脂、およびそれを含むインク組成物
CN102439061A (zh) 可交联固化的超支化聚酯及其固化产物和制备方法
JP3900313B2 (ja) 変性共重合体の製造方法
KR20180095336A (ko) 저온 유동성 향상제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저온 유동성 향상제
Huang et al. Transition Metal-catalyzed Click Polymerization
KR101239047B1 (ko) 플루오렌계 고차가지형 고분자 수지
JP3467884B2 (ja) 硬化性の優れたオリゴマー、該オリゴマーの製造方法、該オリゴマーを用いた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硬化して得られる硬化物
WO2000078703A1 (fr) Compose chelate d'aluminium et epaississant pour vehicule
KR100557836B1 (ko) 아크릴화 디시클로펜타디엔 모노머,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경화물
TW486493B (en) Propanediol derivative and process for preparing copolyester using said propanediol derivative as comonomer
KR101066132B1 (ko) 직쇄상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화합물, 성형 (메타)아크릴로일기 함유 화합물, 및 그들의 제조 방법
JP2010037467A (ja) エステル型デンドリマー
JP2009191194A (ja) 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JPH037142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