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062B1 - 캡, 현상제 용기, 현상제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캡, 현상제 용기, 현상제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062B1
KR101314062B1 KR1020117027221A KR20117027221A KR101314062B1 KR 101314062 B1 KR101314062 B1 KR 101314062B1 KR 1020117027221 A KR1020117027221 A KR 1020117027221A KR 20117027221 A KR20117027221 A KR 20117027221A KR 101314062 B1 KR101314062 B1 KR 101314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oner
cap
develop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425A (ko
Inventor
마코토 코마츠
츠쿠루 카이
타다시 하야카와
히로시 호소카와
다이치 야마구치
주니치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61682A external-priority patent/JP56404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61671A external-priority patent/JP550500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2001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65Generally horizont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03G2215/0668Toner discharging opening at one axial e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sealing member to be ruptured or c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캡은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분에 형성된 배출 포트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현상제 용기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캡은 제 1 부착 부재; 및 제 2 부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착 부재와 상기 제 2 부착 부재는 원피스로 탈착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 1 부착 부재와 상기 제 2 부착 부재 중 어느 하나가 회전력을 수용하면, 상기 제 1 부착 부재와 상기 제 2 부착 부재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제 1 부착 부재만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해제된다.

Description

캡, 현상제 용기, 현상제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CAP, DEVELOPER CONTAINER, DEVELOP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제를 수용하는 분말 용기용 캡, 상기 캡을 구비하는 분말 용기, 복사기, 프린터 및 팩스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상제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를 회전시켜 배출 포트를 통해 토너를 해제하는 타입의 분말 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식 분말 용기 중 몇몇 그룹은, 용기의 바닥부 상에 또는 그 근방에, 용기 본체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용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의 말단부와 결합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회전식 분말 용기 중 다른 그룹은, 분말 용기의 일부분 내에, 구동력의 수용시에 용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를 구비한다. 전자의 일례는, 일본특허출원공개 H09-6115호에 개시되어 있는 한편, 후자의 일례는 일본특허출원공개 2007-178969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회전식 분말 용기의 몇몇 그룹은 하기와 같이 구성되는바, 공장으로부터 선적시에, 용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한 커버 부재 상에 제공된 셔터에 의해 배출 포트를 덮는 폐쇄 상태에 분말 용기가 배치되고; 분말 용기가 장치에 로딩되어 용기 본체가 회전되면 셔터가 개방된다. 다른 그룹은 하기와 같이 구성되는바, 배출 포트가 캡에 의한 폐쇄 상태로 배치되고; 분말 용기가 장치 상에 로딩되면, 캡은 배출 포트를 개방하도록 제거된다. 공장 선적 시에, 분말 용기의 2가지 그룹 각각은, 분말 용기가 사용되어야 할 때 제거되어야 하는 캡으로 밀봉된다. 캡은 조립 시에 용기에 효과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말 용기용으로서 분말 용기의 배출 포트를 개폐하는데 호환가능한 작동성을 나타내는 캡, 상기 캡을 구비하는 분말 용기, 및 상기 캡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분에 형성된 배출 포트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현상제 용기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캡이 제공된다. 상기 캡은 제 1 부착 부재와 제 2 부착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부착 부재와 상기 제 2 부착 부재는 원피스로 탈착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제 1 부착 부재와 상기 제 2 부착 부재 중 어느 하나가 회전력을 수용하면, 상기 제 1 부착 부재와 상기 제 2 부착 부재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제 1 부착 부재만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해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캡은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분에 형성된 배출 포트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현상제 용기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원피스로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상기 제 1 부착 부재와 상기 제 2 부착 부재 중 어느 하나가 회전력을 수용하면, 상기 제 1 부착 부재와 상기 제 2 부착 부재는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제 1 부착 부재만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해제된다. 이에 따라, 캡을 현상제 용기로부터 탈착하는 작동성이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화상 형성 유닛의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현상제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토너 입구 커버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현상제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분말 용기를 장착한 상태의 현상제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분말 용기의 용기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분말 용기의 바닥부 및 정보 기록 장치를 구비하는 리테이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a는 도 10b의 P-P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0b는 리테이너의 정면도,
도 11은 용기 본체 상에 장착된 리테이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2a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분말 용기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2b는 분말 용기를 회전시켜 위치설정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3a는 정보 기록 장치가 리테이너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리셉터클 내에 배치된 상태의 리테이너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도이고, 도 13b는 정보 기록 장치가 리테이너의 외주면에 제공된 리세스 내에 배치된 상태의 리테이너의 확대 단면도, 도 13c는 정보 기록 장치가 리테이너의 내주면에 제공된 리세스 내에 배치된 상태의 리테이너의 확대 단면도,
도 14는 위치설정 부재의 형상을 변경하여 제공된 칼라 또는 모델에 관하여 비상호교환성을 확립하는 기능을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15는 위치설정 부재의 개수를 변경하여 제공된 칼라 또는 모델에 관하여 비상호교환성을 확립하는 기능을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16은 분말 용기 상에 정보 기록 장치를 배치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17은 안정성의 개선을 위해 중력 중심을 조절하도록 리테이너 내에 웨이트를 제공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18a는 위치설정 부재로서 자석 부재를 구비하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장착되는 분말 용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18b는 회전 및 위치설정된 분말 용기의 도면,
도 19는 리테이너 상에 제공된 자석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된 자석 부재 사이의 자극(magnet pole)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20은 위치설정 부재로서 복수의 자석 부재를 사용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1은 리테이너 상에 제공된 자석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된 복수의 자석 부재 사이의 자극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22는 리테이너 상에 제공된 복수의 자석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제공된 자석 부재 사이의 자극의 대각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23a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장착 및 위치설정된 상태에서 접촉형 정보 기록 장치를 구비하는 리테이너를 갖는 분말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3b는 접촉 상태에 있는 접촉형 정보 기록 장치 및 정보 통신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
도 24는 접촉형 정보 기록 장치를 구비하는 리테이너를 갖는 분말 용기의 칼라 또는 모델에 관하여 비상호호환성을 확립하는 기능을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25는 배출 포트 근방의 일측부 상의 분말 용기 내에 배치된 구동 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27은 분말 용기의 베이요닛 기부 및 용기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의 캡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8은 분말 용기의 베이요닛 기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9는 클로와 돌출부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30은 캡을 부착한, 분말 용기의 베이요닛 기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31은 외측 캡(본체)을 제거한, 분말 용기에 부착된 캡을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32는 분말 용기에 고정되어 있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를 제거한 분말 용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33a 및 도 33b는 분말 용기의 캡 및 베이요닛 기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33a는 비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33b는 결합된 상태에 있는 클로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
도 34a는 본체를 제거한, 분말 용기에 부착된 캡을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34b는 결합된 상태에 있는 클로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
도 35는 분말 용기 상에 제공된 클로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6은 본체 내에 개구를 갖는 캡 및 부착된 상태에 있는 분말 용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7a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37b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의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8a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38b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의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9는 고정 부재를 구비한 캡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40은 분말 용기의 베이요닛 기부의 구성 및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캡의 비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1은 분말 용기에 도 39에 도시한 캡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42a는 도 39에 도시한 캡을 부착한 분말 용기 상에 커버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42b는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에 있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와 구동 기어를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43은 분말 용기에 고정되어 있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를 제거한 분말 용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44a 내지 도 44e는 고정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44a는 외부 형상이 타원형인 고정 부재의 사시도, 도 44b는 널링된(knurled) 외주면을 갖는 고정 부재의 사시도, 도 44c는 고정 부재의 외주면에 리세스를 갖는 고정 부재의 사시도, 도 44d는 외주면에 그루브를 갖는 고정 부재의 사시도, 도 44e는 고정 부재의 외주면에 돌출부를 갖는 고정 부재의 사시도,
도 45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에 대응하는 기어의 중량 감소를 위한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46은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에 대응하는 클로 및 그루브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도,
도 47은 내측 캡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
본 출원은 2010년 3월 17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0-061671호 및 2010년 3월 17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0-061682호를 우선권으로 하며, 그 전체 내용은 참고로 원용된다.
본 출원은 1995년 8월 25일자로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H07-217694호의 전체 내용을 참고로 원용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술한다. 실시예, 변형예에서, 동일한 기능 또는 구성의 부재 또는 요소와 같은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지칭되며, 반복된 설명에는 생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구성 및 작동을 기술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토너 용기, 또는, 보다 상세하게, 칼라(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 중 대응하는 하나를 위한 토너 용기(38Y, 38M, 38C, 38K) 각각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 내의 상부에 위치설정된 토너 용기 저장 유닛(31) 내에 탈착가능(교환가능)하게 배치된다. 토너 용기는 분말 용기에 대응한다. 토너 용기 저장 유닛(31) 아래에는 중간 전사 유닛(15)이 배치된다. 벨트의 이동방향을 따라 정렬된 중간 전사 유닛(15)의 중간 전사 벨트(8) 아래에는, 칼라(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 중 대응하는 하나를 위한 각각의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이 있다.
토너 용기 저장 유닛(31) 내에 수용된 토너 용기(38Y, 38M, 38C, 38K)는 토너 공급 장치(160Y, 160M, 160C, 160K) 각각에 의해 보유된다. 토너 용기(38Y, 38M, 38C, 38K) 내에 저장된 현상제 각각은, 토너 공급 장치(160Y, 160M, 160C, 160K)에 의해 화상 형성 유닛(6Y, 6M, 6C, 6K) 내의 현상 장치 중 대응하는 하나 내로 피드(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유닛 중 대표적인 하나를 후술하며, 그 이유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각각은 토너의 칼라를 제외하고는 구성면에서 동일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토너 용기 및 토너 공급 장치 중 대표적인 하나를 후술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옐로용 화상 형성 유닛(6Y)은, 감광 드럼(1Y), 및 상기 감광 드럼(1Y) 둘레에 배치된 요소로서, 정전 대전 유닛(4Y), 현상 장치(5Y)(현상 유닛), 세정 유닛(2Y) 및 정전 방전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화상 형성 유닛(6Y)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 상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화상 형성 공정(대전, 노출, 현상, 전사 및 세정)이 감광 드럼(1Y) 상에서 수행되어 감광 드럼(1Y) 상에 옐로 화상을 형성한다.
다른 3개의 화상 형성 장치(6M, 6C, 6K)는 옐로용 화상 형성 유닛(6Y)과 구성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사용되는 토너의 칼라가 상이하다. 토너 칼라 중 대응하는 하나의 화상이 각각의 화상 형성 유닛(6M, 6C, 6K)에 의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감광 드럼(1Y)은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 2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감광 드럼(1Y)의 표면은 정전 대전 유닛(4Y)을 제공하는 위치에서 균일하게 정전식으로 대전된다(대전).
그 후, 감광 드럼(1Y)의 표면은 노출 장치(7)로부터 방출된 레이저광(L)으로 조사되는 위치에 도달하고(도 1 참조); 그 위치에서 노출 및 스캐닝이 수행되고, 그에 의해 옐로용 정전 잠상이 표면 상에 형성된다(노출). 감광 드럼(1Y)의 표면은, 상기 표면이 현상 장치(5Y)에 면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정전 잠상이 그 위치에서 현상되어 표면 상에 옐로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현상).
현상 후에, 감광 드럼(1Y)의 표면은, 상기 표면이 중간 전사 벨트(8) 및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9Y)에 면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감광 드럼(1Y) 상의 토너 화상은 그 위치에서 중간 전사 벨트(8)로 전사된다(1차 전사). 이때, 감광 드럼(1Y) 상에는 약간의 잔량 토너가 남는다.
1차 전사 후에, 감광 드럼(1Y)의 표면은, 상기 표면이 세정 유닛(2Y)에 면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감광 드럼(1Y) 상의 잔량 토너는 그 위치에서 세정 블레이드(2a)에 의해 기계식으로 수집된다(세정). 감광 드럼(1Y)의 표면은, 상기 표면이 정전 방전 유닛(도시하지 않음)에 면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그 위치에서, 감광 드럼(1Y)으로부터 잔여 전위가 제거된다. 이에 따라, 감광 드럼(1Y) 상에 수행되는 일련의 화상 형성 공정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유사한 화상 형성 공정이 다른 화상 형성 장치(6M, 6C, 6K) 각각에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6M, 6C, 6K)의 감광 드럼을 향해 화상 형성 유닛 내의 하부에 배치된 노출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에 따른 레이저광(L)이 방출된다. 보다 상세하게, 노출 장치(7)는 광원으로부터 레이저광(L)을 방출하여, 회전되는 다각형 미러를 이용하여 드럼을 스캐닝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광학 장치를 통해 레이저광(L)으로 감광 드럼(1Y)을 조명한다. 그 후, 현상을 통해 감광 드럼(1Y) 상에 각각 형성된 칼라 토너 화상이 서로 중첩된 중간 전사 벨트(8) 상에 전사된다. 이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8) 상에 칼라 화상이 형성된다.
중간 전사 유닛(15)은, 중간 전사 벨트(8), 4개의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 또는 보다 상세하게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9Y) 및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9M, 9C, 9K), 2차 전사 백업 롤러(12), 복수의 텐션 롤러, 그리고 중간 전사 세정 유닛을 구비한다. 중간 전사 벨트(8)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늘어나 지지되고, 2차 전사 백업 롤러(12)의 회전에 의해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원형으로 이동된다.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9Y, 9M, 9C, 9K) 중 대응하는 하나와 감광 드럼(1Y) 및 감광 드럼(1M, 1C, 1K) 중 대응하는 하나의 각각의 쌍은 그 사이의 중간 전사 벨트(8)에 개재되어 1차 전사 닙을 형성한다. 토너와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가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9Y, 9M, 9C, 9K)에 인가된다.
중간 전사 벨트(8)는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하여,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의 1차 전사 닙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에 따라, 감광 드럼(1Y, 1M, 1C, 1K) 상의 칼라 토너 화상은 토너 화상이 서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중간 전사 벨트(8) 상에 전사된다.
칼라 토너 화상을 전사 및 중첩하는 중간 전사 벨트(8)는 토너 화상이 2차 전사 롤러(11)에 면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그 위치에서, 2차 전사 백업 롤러(12)와 2차 전사 롤러(11)는 그 사이에 중간 전사 벨트(8)를 개재하여 2차 전사 닙을 형성한다. 중간 전사 벨트(8) 상에 형성된 4개의 토너 화상은 2차 전사 닙 위치로 이송된 기록 매체(P)(예컨대, 전사지) 상에 전사된다. 이때, 기록 매체(P) 상에 전사되지 않은 잔량 토너는 중간 전사 벨트(8) 상에 남는다. 중간 전사 벨트(8)가 중간 전사 세정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제공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중간 전사 벨트(8) 상의 잔량 토너는 그 위치에 수집된다. 이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8) 상에 수행되는 일련의 전사 공정이 완료된다.
한편, 기록 매체(P)는 급지 롤러(17), 한 쌍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8) 등을 거쳐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 내의 하부에 배치된 급지 유닛(16)으로부터 2차 전사 닙 위치로 이송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복수 시트의 기록 매체(P)(예컨대, 전사지)는 급지 유닛(16) 내에 적층된 상태로 저장된다. 급지 롤러(17)가 도 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기록 매체(P)의 시트 중 최상측의 것이 한 쌍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8)들 사이의 닙으로 공급된다.
한 쌍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8)로 이송되는 기록 매체(P)는 회전을 정지한 한 쌍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8)들 사이의 닙에서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그 후, 한 쌍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8)는 중간 전사 벨트(8) 상의 칼라 화상에 맞춰 회전됨으로써, 기록 매체(P)를 2차 전사 닙으로 이송한다. 여기서, 기록 매체(P) 상에 소정의 칼라 화상이 전사된다. 2차 전사 닙 위치에서 칼라 화상이 전사되는 기록 매체(P)는 고정 유닛(20)을 제공하는 위치로 이송된다. 그 위치에서, 기록 매체(P) 상에서 고정 벨트 및 압력 롤러로부터 열과 압력이 인가되어, 기록 매체(P)의 표면 상에 전사된 칼라 화상을 고정한다.
고정 후에, 기록 매체(P)는 한 쌍의 시트 전달 롤러(19)를 통해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한 쌍의 시트 전달 롤러(19)에 의해 장치 외부로 배출된 기록 매체(P)는, 출력 화상으로서, 적층 유닛(3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이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일련의 화상 인쇄 공정이 완료된다.
도 2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유닛 내의 현상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후술한다. 현상 장치(5Y)는 감광 드럼(1Y)에 면하는 현상 롤러(21Y), 현상 롤러(21Y)에 면하는 독터 블레이드(22Y), 현상제 저장 유닛(23Y, 24Y) 내에 배치된 2개의 이송 스크류(25Y), 및 현상제 내의 토너 밀도를 검출하는 검출 센서(26Y)를 구비한다. 현상 롤러(21Y)는, 현상 롤러(21Y)의 내부에 고정되는 자석과, 상기 자석 둘레에서 회전하는 슬리브를 구비한다. 현상제 저장 유닛(23Y, 24Y) 내에는 담체 및 토너를 함유하는 2성분 현상제(G)가 저장된다. 현상제 저장 유닛(24Y)은, 현상제 저장 유닛(24Y)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토너 슈트(27Y)와 통신 연결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현상 장치(5Y)의 작동 방법을 기술한다. 현상 롤러(21Y)의 슬리브는 도 2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한다. 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현상 롤러(21Y) 상에서 이송되는 현상제(G)는 슬리브가 회전함에 따라 현상 롤러(21Y)의 표면 상에서 이동한다. 현상 장치(5Y) 내의 현상제(G)는, 현상제 내의 로터 비율(토너 밀도)이 사전 결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절된다. 보다 상세하게, 토너 용기(38Y) 내에 저장된 토너는 현상 장치(5Y) 내의 토너의 소모에 따라 토너 슈트(27Y)를 통해 현상제 저장 유닛(24Y)으로 공급된다.
그 후, 현상제 저장 유닛(24Y) 내로 공급된 토너는 현상제(G)와 혼합되는 동안에 2개의 이송 스크류(25Y)에 의해 현상제 저장 유닛(23Y, 24Y)에서 순환(도 2의 평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고, 교반된다. 현상제(G) 내의 토너는 담체와의 마찰에 의해 정전기적으로 대전되어 담체에 유인되고; 토너는 현상 롤러(21Y) 상에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담체와 함께 현상 롤러(21Y) 상에서 이송되게 한다.
현상 롤러(21Y) 상에 이송된 현상제(G)는 도 2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송되어 독터 블레이드(22Y)를 제공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그 위치에서, 현상 롤러(21Y) 상의 현상제(G)의 양이 조절되고, 그 후 현상제(G)가 감광 드럼(1Y)에 면하는 위치(현상 영역)로 이송된다. 토너는 현상 영역 내에 발생된 전기장에 의해 감광 드럼(1Y) 상에 형성된 잠상에 유인된다. 그 후, 현상 롤러(21Y) 상에 남아있는 현상제(G)는 그 위치에서 현상 롤러(21Y)로부터 분리되도록 현상제 저장 유닛(23Y) 내의 상부에 도달한다.
이하, 토너 공급 장치(160Y, 160M, 160M, 160K) 및 토너 용기(38Y, 38M, 38C, 38Y)를 기술한다. 토너 공급 장치는 로딩되는 토너 용기 내의 현상제의 칼라를 제외하고는 구성면에서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토너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참조부호 Y, M, C 또는 K를 생략한 상태로 단일의 토너 공급 장치(160) 및 단일의 토너 용기(38)를 기술한다. 토너 용기 내에 저장되는 현상제는 토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변형적으로 현상제는 토너와 담체의 혼합물 또는 담체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토너 공급 장치(160)의 부품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토너 용기(38)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의 후벽 패널(58)(도 5, 도 6)에 고정된 구동 유닛(60)에 의해 회전된다. 구동 유닛(60)은 조인트(62), 스프링(64), 및 모터와 샤프트를 내장하는 케이싱(66)을 구비한다. 조인트(62)의 선단부 상에는 리세스(62a) 및 돌출부(62b1, 62b2)가 제공된다. 토너 용기(38)의 바닥부(38-2)(후단부) 상에는, 그와 부합하게 중앙부(38b) 및 축방향 돌출부(38c1, 38c2)가 제공된다. 중앙부(38b)는 조인트(62) 내의 리세스(62a) 내에 갇히는 원통형 돌출부를 구비한다. 축방향 돌출부(38c1, 38c2) 각각은, 돌출부(62b1, 62b2) 중 대응하는 하나의 측면에 끼워지는 각주 형상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중앙부(38b)가 리세스(62a) 내에 끼워 맞춰지면, 토너 용기(38)의 바닥부(38-2)의 위치가 고정되고; 돌출부(62b1, 62b2)와 축방향 돌출부(38c1, 38c2)의 결합은 토너 용기(38)를 회전하게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유닛(60)의 조인트(62)가 화살표(E)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되면, 토너 용기(38)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3에 도시한 토너 용기(38)는 합성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다. 바닥부(38-2)로부터 배출 포트(38a) 쪽으로 연장되는 헬리컬 그루브는 토너 용기(38)의 내벽에 형성된다. 내벽에 형성된 헬리컬 그루브로 인해, 토너 용기(38)의 외주면 내에는 헬리컬 그루브(38d)가 제공된다. 토너 용기(38)가 회전되면, 토너가 헬리컬 그루브(38d)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 포트(38a)를 통해 배출된다. 토너 용기(38)를 사용하지 않는 주기 동안에 토너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68)은 배출 포트(38a)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다.
용기 보유 부재(44)의 선단 에지부 상에는 복수의 리브(44a)가 그와 일체로 형성된다. 압출 부재(46)는 압력 감응형 접착제 이중 코팅 테이프 등에 의해 리브(44a)에 부착된다. 압출 부재(46)는 탄성 재료, 예컨대 마일라(Mylar)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다. 토너 용기(38)의 중간부(38-3)의 단부면에 면하는 부분에서 용기 보유 부재(44)의 내벽 상에는 리브(44b)가 형성된다.
토너 용기(38)의 원통형 대직경부인 용기 본체(38-1)와, 테이퍼진 배출 포트(38a)는, 그 사이에 개재된 중간 직경을 갖는 중간부(38-3)와 연결된다. 구동 클로(38q1, 38q2)는 배출 포트 근방의 측면 상의 중간부(38-3)의 단부면(숄더부로 부름) 상에 형성된다. 구동 클로(38q1, 38q2)는 리브(44b)와 결합하여 토너 용기(38)의 회전에 의해 용기 보유 부재(44)를 회전시킨다.
참조부호 "70"은 캡(68)을 파지하여 해제하는 콜릿 척(collet chuck)을 지칭한다. 콜릿 척(70)은 원통형 케이싱(72)에 내장되어 스크류(74)에 의해 샤프트(76)에 일체로 결합된다. 참조부호 "78"은 시일을 지칭하고, 참조부호 "80"은 밀봉 부재를 지칭하며, 참조부호 "82"는 콜릿 척(70), 원통형 케이싱(72) 및 샤프트 부재(76)를 포함하는 구성요소 군을 토너 용기(38) 쪽으로 일정하게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을 지칭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토너 호퍼 유닛(40) 내에 조립되어 보유된다. 참조부호 "84"는 캡(68)을 개폐하도록 회전하는데 사용되는 핸들을 지칭한다. 핸들(84)과 일체로 형성된 샤프트부(84a)는 토너 크래들(toner cradle)(42)의 선단부에 형성된 샤프트 구멍(42a)에 의해 지지되어, 핸들(84)을 회전시킨다.
참조부호 "86"은 샤프트 부재(76) 내에 형성된 구멍(76a) 내로 삽입되어 핸들(84) 상에 제공된 캠(84b)과 접촉하는 슬라이딩 샤프트를 지칭한다. 핸들(84)이 도 6의 화살표(F)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되고 콜릿 척(70)을 구비하는 구성요소 군이 토너 용기(3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캠(68)이 배출 포트(38a) 외부로 나와서 토너 용기(38) 내의 토너를 토너 호퍼 유닛(40) 내로 배출되게 한다.
이하, 토너 공급 포트(54) 등을 개폐하기 위한 셔터를 기술한다. 토너 호퍼 유닛(50) 내의 개구(48)에 제공된 공급량 조절 부재(50)는 마일라 또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50a)(장방형의 신장된 구멍)을 갖는다. 슬릿(50a)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공급되는 토너량이 적절한 양으로 조절된다. 공급량 조절 부재(50)는 압력 감응형 접착제 이중 코팅 테이프 등에 의해 개구(48)에 부착된다.
토너 공급 포트(54)를 개폐하는 셔터는, 셔터(88)가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토너 공급 포트(54)에 수직한 배향(즉, 교차)으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거나 또는 또 다른 방식으로 놓이는 방식으로 개구(48)의 외부에 장착된 토너 입구 커버(52)(도 4) 내의 부분에 제공된다. 셔터(88)는 굴곡될 수 있는 셔터 본체로서 기능하는 탄성 부재(90)와, 상기 탄성 부재(90)를 지지하는 지지부(92)와, 상기 지지부(92)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돌출부(94)를 구비한다. 지지부(92)는 셔터(88)를 폐쇄하도록 셔터(88)를 일정하게 가압하는 스프링(96)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90)는 마일라 등의 폴리에스터 필름으로 제조되며, 압력 감응형 접착제 이중 코딩 테이프 등에 의해 지지부(92)에 부착된다. 토너 입구 커버(52) 내에는 돌출부(94)를 이동하게 하는 포-운동 구멍(52a)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공급 포트(54)는 토너 입구 커버(52)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더욱이, 셔터(88)의 탄성 부재(90)를 안내하는 원호형 가이드부(98, 98)가 토너 공급 포트(54)와 일체로 형성된다. 탄성 부재(90)의 팁이 토너 분산을 방지하도록 재밍(jamming)하는, 탄성 밀봉 부재로서 기능하는 발포 플라스틱 밀봉 부재(99)는 가이드부(98)의 말단부에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개구(48) 근방의 참조부호 "104"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셔터를 이동하는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2 가이드 리브를 지칭하는 한편, 참조부호 "106"은 탄성 부재(90)의 후방면을 지지하는 변형 제한 가이드를 지칭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크래들(42)은 화살표(H)로 나타낸 방향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08)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08)는 스크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후벽 패널(58)에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전벽 패널(59)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08)의 선단부에는 슬립을 방지하는 스토퍼(112)가 제공되어, 가이드 플레이트(108)에 고정된 리프 스프링(110)에 의해 지지된다. 토너 공급 장치(160)는 스토퍼(112)가 아래로 눌러진 상태로 장착되어야 한다. 토너 공급 장치(160)가 장착된 후에 스토퍼(112)가 해제되면, 스토퍼(112)는 토너 크래들(42)의 선단부와 결합함으로써, 토너 공급 장치(160)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슬립 방지된 상태로 보유되게 한다.
도 5는 토너 공급 장치(160)가 가이드 플레이트(108) 외부로 끌어당겨진 상태를 도시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08)의 가이드(108m, 108n) 내에는 측부(42m, 42n)가 끼워 맞춰진다. 토너 용기(38)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근접한 위치로 토너 크래들(42)을 끌어당긴 상태로 토너 공급 장치(160)에 장착 또는 그로부터 제거된다. 이때, 토너 공급 장치(160)의 슬립에 대한 방지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크래들(42) 상에 형성된 단차부(42e)가 가이드 플레이트(108) 내에 제공된 노치(108a) 내에 갇히게 한다. 가이드(108n) 내의 노치에 단차부(42d)가 갇히지만, 이러한 노치는 전벽 플레이트(59) 뒤에 있으며, 그에 따라 도시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8)가 토너 크래들(42) 상에 놓인 상태에서, 토너 공급 장치(16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로 밀어져서 토너 공급 장치(160)를 그 상에 로딩한다. 토너 공급 장치(160)가 푸시-인 되기 전에, 셔터(88)가 스프링(96)에 의해 가압되어 토너 입구 커버(52)의 바닥부에 형성된 토너 공급 포트(54)를 폐쇄하고, 탄성 부재(90)는 원호형 가이드부(98)를 따라 만곡되어 탄성 부재(90)의 선단부에서 발포 플라스틱 밀봉 부재(99) 내로 재밍된다. 따라서, 토너 호퍼 유닛(40)과 토너 공급 포트(54) 사이의 공간은 누설 방지되는 방식으로 밀봉된다.
그 상태에서 토너 공급 장치(160)의 푸시-인이 수행되면, 지지부(92)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94)의 원통형부는 화상 형성 유닛(6)의 본체부 상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과 접촉하여, 스프링(96)에 의해 인가되는 장력에 대해 푸시된다. 그 결과, 원통형부는 가이드 리브의 평탄한 상부에서 정지된다. 이러한 운동과 함께, 탄성 부재(90)는 가이드부(98)를 따라 상승(수축)되어, 토너 공급 포트(54)를 개방하고 현상 장치(5) 및 토너 공급 장치(160)가 통신 연결 상태에 있게 한다. 토너 공급 장치(160)가 외부로 끌어 당겨지면, 돌출부(94)가 하강된다. 따라서, 셔터(88)는 폐쇄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스프링(96)에 의해 가압되고,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탄성 부재(90)는 토너 공급 포트(54)를 따라 만곡되어, 셔터(88)를 폐쇄 상태로 배치한다.
토너 공급 장치(160)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화상 형성 유닛(6)]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토너 공급 포트(54)와 토너 수용부(도시하지 않음)가 개방 또는 또 다른 방식으로 놓이면, 토너 용기(38)의 중간부(38-3)에 대한 위치설정은, 용기 보유 부재(44)의 내경부와 구형의 작은 돌출부(38f) 사이의 접촉 결합, 및 토너 호퍼 유닛(40)과 결합된 용기 보유 부재(44)의 리브(44b) 상의 작은 돌출부(38f)의 접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84)이 그 상태로부터 화살표(F)로 나타낸 방향으로 하측으로 선회되면, 캠(84b)(도 3)은 장치의 전면 쪽으로 슬라이딩 샤프트(86)를 끌어당긴다. 또한, 이는 샤프트(76)를 이동시켜 콜릿 척(70)이 원통형 케이싱(72) 상에 제공된 돌출부(도시하지 않음)와 접촉하게 한다. 여기서, 콜릿 척(70)의 폐쇄가 개시되어, 캡(68)을 그립핑한다. 샤프트(76)가 H 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면, 콜릿 척(70)이 토너 용기(38)로부터 캡(68)을 제거함으로써, 토너 용기(38) 내의 토너가 토너 크래들(42) 상에 조립된 토너 호퍼 유닛(40) 내로 흐르게 한다.
토너 밀도 센서(26)에 의해 결정된 현상 장치(5) 내의 토너의 밀도에 근거하여 토너 공급이 수행된다. 검출값이 기준 밀도 이하가 되도록 떨어지면, 구동 유닛(6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E)로 나타낸 방향으로 조인트(62)를 회전하도록 작동된다. 이는 조인트(62)가 토너 용기(38)의 바닥부와 결합하게 하여, 토너 용기(38)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토너 용기(38)가 회전되면, 토너가 배출 포트(38a)를 통해 배출되어 토너 호퍼 유닛(40) 내에 축적된다. 한편, 토너 용기(38)가 회전되면, 배출 포트 근방의 측부 상의 중간부(38-3)의 단부면 상에 형성된 구동 클로(38q1, 38q2)는 용기 보유 부재(44)와 일체인 리브(44b)와 결합하고, 리브(44b)를 눌러 이동시킨다. 이는 용기 보유 부재(44)와 일체인 압출 부재(46)를 회전시키는 한편, 토너 호퍼 유닛(40)의 내벽면 상에서 슬라이딩시킨다. 토너 호퍼 유닛(40) 내에 축적된 토너는 이와 같은 압출 부재(46)의 회전에 의해 긁어 내어진다.
압출 부재(46)가 공급량 조절 부재(50) 내의 슬릿을 통과하면, 토너는 슬릿을 통해 짜내어진다. 이에 따라 짜내어진 토너는 토너 입구 커버(52) 내로 떨어져서, 토너 입구 커버(52) 내의 하부에 위치된 토너 공급 포트(54)를 통과하고, 현상 장치(5) 내에 공급되도록 토너 수용 포트(도시하지 않음)를 통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장치(160)는, 토너 용기(38) 내의 배출 포트(38a) 외부로 토너를 누설하지 않고서 토너 용기(38)를 교체하게 한다.
이하, 토너 용기(38)의 구성을 기술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8)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원통형 용기 본체(38-1), 배출 포트(38a), 리테이너, 용기 본체(38-1)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정보 기록 장치에 대응하는 RFID(122)를 보유하는 링 부재(120), 및 위치설정 부재(121)를 구비한다. 배출 포트(38a)는 용기 본체 내의 토너가 용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게 하도록 용기 본체(38-1)의 일단부에 제공된다. RFID(122)는 무접촉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설정 부재(121)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 상에 배치된 토너 공급 장치(160) 상에 토너 용기(38)가 로딩되면 화상 형성 장치 본체[토너 공급 장치(160)]와 결합한다. 토너 칼라에 관한 정보, 토너량, 토너의 시리얼 번호(제조 로트), 토너의 제조일자, 및 재사용 횟수, 재사용일(들), 회사에서 수행된 재사용 작동 등의 토너 용기(38)의 재사용에 관한 정보가 RFID(122) 내에 저장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8-1)는 다른 단부, 또는 바닥부(38-2)에서 밀봉된다. 배출 포트(38a)는 바닥부(38-2)와 반대편의 측부 상에서 용기 본체(38-1)에 테이퍼진다. 편의성을 위해 배출 포트(38a)가 도 7 및 도 8의 상측부 상에 배치된 상태로 토너 용기(38)를 도시하지만, 실제로 토너 용기(38)는 배출 포트(38a)가 사용시에, 예컨대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배향된다. 따라서, 토너 용기(38)가 회전되면, 토너 용기(38) 내의 토너가 헬리컬 그루브(38d)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 포트(38a)를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주 형상의 돌출부인 축방향 돌출부(38c1, 38c2) 각각은, 원통 형상의 중심축 O-O로부터 멀어지는 바닥부(38-2) 내의 외경부에서 토너 용기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축방향 돌출부(38c1, 38c2)는 본 예에서 각주 형상의 돌출부이지만, 축방향 돌출부(38c1, 38c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토너 공급 장치(160) 내에 제공된 돌출부(62b1, 62b2)(즉, 회전력의 구동원)와의 용이한 결합을 허용하는 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축방향 돌출부(38c1, 38c2)는 일단부에서보다는 토너 용기(38)의 바닥부(38-2)측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38-2)측을 통해 토너가 배출된다. 이는 배출 포트(38a)측 상의 토너 용기(38)의 런아웃(runout)이 최소화되게 한다. 본 구성에서, 2개의 축방향 돌출부(38c1, 38c2)는 중심축 O-O으로부터 등간격으로 멀어진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결합에 가까운 회전력이 발휘된다. 이러한 구성은 토너 용기(38)가 회전 시에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힘을 수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토너 용기(38)의 의도하지 않은 팝아웃(popout)에 대한 보호 조치를 제공할 필요성을 제거 또는 감소시킨다. 따라서,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신뢰성 있는 토너 공급이 성취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부재(120)가 회전가능하고, 링 부재(120)가 회전될 때, 토너 용기(38)에 대해 축방향, 종방향으로 링 부재(120)가 오정렬되지 않는 방식으로, 토너 배출 포트(38a) 내가 아니라, 토너 용기(38)의 바닥부(38-2) 내로 끼워지도록 링 부재(120)가 구성된다. 도 10a는 도 10b의 P-P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편차 없이 토너 용기(38) 내에 링 부재(120)를 끼워 맞추는 피팅 유닛은, 도 9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바닥부(38-2) 상에 형성된 돌출 외경부(38-2a), 링 부재(120)의 내경부 상에 형성된 3개의 탄성 클로[또는 보다 상세하게,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 및 3개의 스토퍼[또는 보다 상세하게, 링 부재(120)의 내경부 상에 형성된 스토퍼(120-1A, 120-1B, 120-1C)]를 구비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 외경부(38-2a)와 용기 본체(38-1) 사이에는 그루브(38-4)가 형성된다.
3개의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는 링 부재(120)의 내주 상에 등간격으로 위치된다.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 각각은 링의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일단부를 갖는 캔틸레버형 탄성 부재이다. 캔틸레버형으로 이루어진 스토퍼 보유 부재는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 중 인접한 것들 사이에 개별적으로 개재된다. 스토퍼(120-1A, 120-1B, 120-1C)는 3개의 스토퍼 보유 부재 상에 형성된다. 슬롯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기저 단부에서 나눠지지만,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 및 스토퍼 보유 부재는 원형의 내주면을 형성한다.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 및 스토퍼 보유 부재는, 돌출 외경부(38-2a)의 외주면 내로 끼워진 상태에서,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 및 스토퍼 보유 부재가 회전 시에 편차 없이 슬라이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치수 면에서 구성된다.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 각각은, 그 자유 단부에서, 내측으로 만곡되는 후크 형상부를 갖는다. 링 부재(120)는, 도 9의 화살표(Q)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 외경부(38-2a) 내로 링 부재(120)를 가압함으로써 토너 용기(38)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링 부재(120)의 장착 과정에서, 3개의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는 그들의 자유 단부에서 뒤틀려서,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의 후크 형상부가 돌출 외경부(38-2a) 위로 올라가 그루브(38-4)에 들어가게 한다. 이때, 3개의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 및 스토퍼(120-1A, 120-1B, 120-1C)는, 그 사이에서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간극으로 돌출 외경부(38-2a)와 개재한다. 여기서, 링 부재(120)가 토너 용기(38) 내에 끼워져 있으면, 링 부재(120)를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는 링 부재(120)가 만족스런 기능을 하게 하는 조치이다. 분해를 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3개의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 각각에는 돌출 외경부(38-2a)의 코너부(우측 각도부)에 부합하는 우측 각도 만곡부가 형성된다. 만곡부는 돌출 외경부(38-2a)의 우측 각도부와 끼워져서, 축방향으로의 슬립을 방지하며 분해를 불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토너 용기(38)는 링 부재(120)에 대해 회전하게 허용되지만, 축방향으로 편향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돌출 외경부(38-2a)는 3개의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와 스토퍼(120-1A, 120-1B, 120-1C) 사이에 개재되기 때문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링 부재(120)는, 그 일단부에서 토너 용기(38)의 용기 본체(38-1)의 에지부를 근접하게 면하고; 돌출 외경부(38-2a)는 용기 본체(38-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돌출 외경부(38-2a)와 용기 본체(38-1) 사이에서 연결되는, 토너 용기(38)의 단부면은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를 덮는다. 3개의 탄성 클로(120-1a, 120-1b, 120-1c)가 외측에서 작동하게 허용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상태에 있는 토너 용기(38)는 상술한 링 부재(120)에 대한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링 부재(120)의 분해가 실제로 불능해진다. 외부 힘의 인가에 의한 링 부재(120)의 강제적인 분해가 시도되면, 토너 용기(38)의 돌출 외경부(38-2a)가 손상될 것이다.
링 부재(120)를 토너 용기(38)로부터 분해하는 것이 불능인 이유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링 부재(120)가 비상호교환성, 독립 기능 및 회전 방지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지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링 부재(120)와 토너 용기(38)가 서로 일체하는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링 부재(120)는 축방향, 종방향으로 사전 결정된 폭(W)을 갖는다. 도 11은 도 10b의 P-O-P선을 따라 취한 토너 용기(38)의 돌출 외경부(38-2a) 내로 끼워지는 링 부재(12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전 결정된 폭(W)은, 조립된 상태에서, 링 부재(120)의 일단부가 토너 용기(38)의 용기 본체(38-1)의 단부면과 접촉하는 반면, 링 부재(120)의 다른 단부는 중앙부(38b)보다는 외측에 위치되도록 결정된다. 다른 방식에서, 다른 단부 상의 링 부재(120)의 표면은 중앙부(38b)의 표면보다 높게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중앙부(38b)뿐만 아니라 축방향 돌출부(38c1, 38c2)는 링 부재(120)의 다른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링 부재(120)를 부착하는 토너 용기(38)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면, 예컨대 테이블(130) 상에 직립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링 부재(120)가 토너 용기(38)에 부착되지 않으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8)의 직립이 성취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중앙부(38b)가 토너 용기(38)의 바닥부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토너 용기(38)는, 토너 용기 등의 교체 시에 옆으로 놓여야 한다. 그러나, 토너 용기(38)는, 토너 용기 등의 교체 시에 테이블 등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원통형 토너 용기(38)가 구르기 쉽기 때문이다. 그와는 반대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링 부재(120)가 토너 용기(38)와 결합되면, 토너 용기(38)는 안정되게 직립함으로써, 우연히 떨어질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 9를 참조하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 부재인 위치설정 부재(121)는 링 부재(12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다. 위치설정 부재(121)의 기하학적 형상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설정 부재(121)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측인 토너 공급 장치의 토너 크래들(42) 상에 형성된 스토퍼(200)와 결합하도록 결정된다. 본 예에서, 토너 크래들(42) 상에 형성된 위치설정 부재(121)는, 그 내에 끼워진 위치설정 부재(121)를 수용하도록 장방형의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다.
외주면(120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링 부재(120)의 외주면(120a) 상에는 RFID(122)를 수용하는 리셉터클(120b)이 제공된다. RFID(122)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않는 한, RFID(122)를 링 부재(120) 상에 장착하는 임의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예로는, RFID(122)를 링 부재(120)에 접착제로 부착하는 것과, RFID(122)를 삽입하는 리셉터클(120b)을 스티커(도시하지 않음)로 덮는 것을 포함한다. RFID(122)는, RFID(122)의 외부로부터 열 시일링을 인가함으로써 링 부재(120)에 접착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120b)의 최외측 반경부의 운동 경로(R1)는 위치설정 부재(121)의 최외측 반경부의 운동 경로(R2)보다 내측에 위치설정된다. 다른 방식으로서, 리셉터클(120b)이 외주면(120a)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길이는 외주면(120a)으로부터의 위치설정 부재(121)의 돌출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리셉터클(120b)이 외주면(120a)으로부터 돌출하는 구성이 이용되는 경우에도, 리셉터클(120b)과 링 부재(120) 근방에 배치된 구성요소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외주면(120a)으로부터 리셉터클(120b)의 돌출부가 위치설정 부재(121) 내에 위치설정되기 때문에 업사이징(upsizing)이 회피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ID(122)는, 위치설정 부재(121)가 스토퍼(200)와 접촉하는 경우에, RFID(122)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 측에 제공된 안테나(124)(즉, 정보 통신 유닛)에 면하고 그리고 RFID(122)가 안테나(124)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배치된다. 안테나(124)는 제어 유닛(140)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RFID(122)를 보유하는 링 부재(120)는 용기 본체(38-1)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토너 용기(38)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 상에 로딩되는 경우에 본체에 대해 위치설정하는데 사용하는 위치설정 부재(121)를 구비한다. 따라서, 토너 용기(38)의 위치설정을 수행하지 않고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 상에 토너 용기(38)가 로딩되더라도, 로딩된 용기 본체(38-1)가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구동 유닛(60)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회전되면, 링 부재(120)는 마찰 저항에 의해 용기 본체(38-1)와 함께 회전된다. 위치설정 부재(121)가 스토퍼(200)와 접촉하면, 링 부재(120)는 회전이 더욱 방지되지만, 용기 본체(38-1)는 그 위치로 회전된다. 용기 본체(38-1)의 회전은 구동 유닛(60)이 정지되면 정지된다. 이는 안테나(124)와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는 위치로 RFID(122)를 위치설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안테나(124)가 RFID(122)로부터의 정보를 신뢰성 있게 판독하게 한다.
다른 방식으로서, 이는 사용자가 RFID(122)의 위치에 대한 고려 없이 토너 공급 장치(160)의 토너 크래들(42) 상에 토너 용기(38)를 장착하게 하고; 토너 용기(38)가 장착된 후에, 이는 RFID(122)가 토너 용기(38)에 의해 수행되는 토너 배출 동작에 따른 정보를 교환하기에 최적인 위치에 위치되게 한다. 여기서, RFID(122)는 토너 용기(38)에 의해 수행되는 토너 배출 동작에 관계없이 고장나는 일없이 정보 교환을 위한 최적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RFID(122)가 고착되는 토너에 영향을 받는 것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방지한다.
링 부재(120)는 RFID(122)의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는 한 임의의 형태로 토너 용기(38)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ID(122)는 리셉터클(120b)이 외주면(120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링 부재(120)의 외주면(120a) 상에 형성된 리셉터클(120b)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RFID(122)가 리셉터클(120b) 내에 외측에서 삽입되게 함으로써, 조립 시에 RFID(122)의 장착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변형예로서, RFID(122)는 외주면(120a)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제공하기보다는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부재(120)의 외주면(120a) 내에 형성된 리세스(120c)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되면, 링 부재(120)의 외주면(120a)은 매끄러운 외부면뿐만 아니라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어서, 콤팩트한 구성에 기여한다. 도 13c에 도시한 변형예에서, 리세스(120c)는 링 부재(12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RFID(122)는 링의 내부로부터 리세스(120c)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되면, 외주면(120a)은 RFID(122)를 보호하는 보호 벽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토너 등의 외부 오염물은 RFID(122)에 고착하기 덜 쉬우므로, 안테나(124)는 RFID(122)로부터의 정보를 보다 신뢰성 있게 판독가능하다.
위치설정 부재(121)는 토너 용기(38)의 칼라 또는 모델에 관하여 비상호교환성을 확립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위치설정 부재(121)의 형상은 토너당 칼라에 근거하여 서로 상이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측 상에 제공된 스토퍼(200)의 형상은 서로 위치설정 부재(121)의 형상에 부합한다.
이러한 구성은 토너 용기(38) 상에 장착된 링 부재(120)의 위치설정 부재(121)의 형상이 스토퍼(200)의 형상에 끼워지지 않으면, 토너 공급 장치(160)의 토너 크래들(42) 상에 토너 용기(38)를 장착할 수 없으며, 토너 용기(38) 내의 토너의 칼라에 따라 다르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토너 용기(38)가 단순한 시각적 관찰에 의해 잘못 로딩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해 용이한 결정을 하게 한다. 여기서, 칼라 또는 모델에 관한 비상호교환성을 확립하는 기능은 위치설정 부재(121)의 형상의 변경에 근거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위치설정 부재(121)의 형상을 칼라 대 칼라로 변경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링 부재(120)의 제조시에 토너당 칼라에 근거한 상이한 형상으로 위치설정 부재(121)를 제조함으로써, 구성요소의 수에 대한 감소 및 단순화된 제조 공정이 성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설정 부재(121)의 배치에 관하여, 토너 용기(38)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설정 부재(121a, 121b)가 배치되며 용기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토너당 칼라에 근거하여 위치설정 부재(121a, 121b)들 사이의 간극을 변경함으로써, 칼라 비상호교환성이 확립될 수 있다. 위치설정 부재(121a, 121b)의 수를 3개 이상으로 증대시킴으로써, 배치 패턴에 대한 수가 증대되어, 모델 비상호교환성이 추가적으로 확립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이 이용되면, RFID(122) 또는 위치설정 부재(121a, 121b)를 보유하는 링 부재(120)는 비상호교환성을 확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링 부재(120)는, 링 부재로서의 기능, 및 비상호교환성을 확립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조 방법을 단순화시킨다.
도 16은, 토너 공급 장치(160)의 토너 크래들(42) 상에 토너 용기(38)가 로딩되는 경우, 중력이 작용하는 측부를 갖는 용기 본체(38-1)의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취한 단면에서, 토너 용기(38)는 회전축을 통과하는 수평선(L1) 위의 위치에서 용기 본체(38-1)의 외주부 상에 RFID(122)가 위치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RFID(122)는 토너 용기(38)가 토너 크래들(42) 상에 로딩되고 위치설정 부재(121)가 구동 유닛(60)(도 2 참조)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토퍼(200)와 접촉하는 경우에 토너 용기(38) 위에 수직으로 위치설정된다. 다른 방식으로서, RFID(122)는 토너 용기(38) 위의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안테나(124)는 RFID(122)를 장착 위치에 대면하도록 RFID(122) 위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토너 용기(38)의 장착 및 제거 동안에 RFID(122)가 오염되기 쉬운 토너 용기(38)의 토너 크래들(42)의 하부로부터 멀어지게 토너 크래들(42) 위의 공간 내에 위치설정되어 보유되게 한다. 여기서, 토너 고착으로부터 생기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토너 공급 장치(160)의 토너 크래들(42) 상에 토너 용기(38)가 장착되면, RFID(122)는 링 부재(120)를 가상으로 나누는 수평방향 라인 위에 일정하게 위치설정된다. 이는 토너 고착 등에 의한 오염이 방지되는 관점에서 상당한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정보 통신이 보다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은 위치설정 부재(121)의 중량을 이용하여 토너 크래들(42) 상에 로딩된 토너 공급 장치(160)의 안정성을 개선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위치설정 부재(121) 상에는 웨이트(125)가 장착된다.
RFID(122)에 면하는 위치에 위치설정 부재(121)가 제공되고 위치설정 부재(121)가 소정 중량을 가지면, 링 부재(120)는 중력에 의해 용기 본체(38-1)에 대해 회전됨으로써, 위치설정 부재(121)를 최저측 위치로 위치된다. 여기서, RFID(122)는 최상측 위치로 위치된다. RFID(122)가 최상측 위치에 있을 때 RFID(122)에 면하는 위치에 안테나(124)가 배치되면, 정보 통신이 보다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다. 토너 용기(38)로부터 토너를 배출하는 동작이 수행되기 전에도, 또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때에도, 웨이트(125)는 RFID(122)를 소정 위치로 이동되게 한다. 본 예에서, RFID(122)는 최상측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변형예로서, RFID(122)는 또 다른 위치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구성에서, 링 부재(120)의 중력 중심은 RFID(122)의 위치에 면하고 위치설정 부재 내에 웨이트(125)를 제공하는 위치에서 위치설정 부재(121)를 형성함으로써 낮춰진다. 변형예로서, 중력 중심은 위치설정 부재(121)의 재료로부터 변경될 수 있고, 그 밀도는 웨이트(125)를 이용하기보다는 링 부재(120)의 밀도보다 높다.
도 18a 내지 도 22는 위치설정 부재가 자기력을 이용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링 부재(120)의 외주면(120a) 상에는, 위치설정 부재로서 자석(201)(자석 부재)이 제공된다. 자석(201)은 링의 외주면(120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본 변형예에서, 자석(201)의 돌출 길이는 리셉터클(120b)의 운동 경로(R1) 외부에 위치되고; 변형예로서, 자석(201)은 운동 경로(R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토너 공급 장치(160)의 토너 크래들(42)[즉,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 측] 상에는 수용 부재로서 기능하는 자석 부재인 자석(202)이 제공된다. 이로써, 자석(201)과 자석(202)이 서로에 대해 배치되며, 자석(201)과 자석(202) 사이의 자기 인력에 의해 링 부재(120)의 회전이 정지되면, RFID(122)는 RFID(122)가 안테나(124)에 면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201)과 자석(202)은, 자석(201)과 자석(202)의 서로 면하는 표면 상에서의 자극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된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구성에서, 자석(201)은 링 부재(120)의 외주면(120a)으로부터 돌출한다. 변형예로서,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한 리세스(120c)와 유사한 리세스가 링 부재(120)의 외주면(120a) 또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자석(201)을 리세스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자석(202)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로부터 토너 용기(38) 쪽으로 돌출하는 구성과는 달리, 자석(202)은 토너 공급 장치(160)의 토너 크래들(42)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석(201)은 토너 용기(38)에 부착된 링 부재(120) 상에서 위치설정 부재로서 배치되는 한편, 자석(202)은 토너 크래들(42) 상에 배치되며, 그 상에서 토너 용기(38)는 토너 공급 장치(160)에 로딩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토너 용기(38)를 토너 공급 장치(160)의 토너 크래들(42)[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 상에 로딩하면, RFID(122)를 보유하며 용기 본체(38-1)에 대해 회전가능한 링 부재(120)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위치설정할 때 위치설정 부재로서 기능하는 자석(201)을 구비하게 한다. 여기서, 토너 용기(38)의 위치설정을 수행하지 않고서 토너 공급 장치(160)의 토너 크래들(42) 상에 토너 용기(38)가 로딩되는 경우에도, 로딩된 용기 본체(38-1)가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구동 유닛(60)에 의해 장착 방향으로 회전되면, 링 부재(120)는 마찰 저항에 의해 용기 본체(38-1)와 함께 회전된다. 자석(201)이 자석(202)에 면하는 위치에 자석(201)이 도달하면, 링 부재(120)가 더욱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지만, 용기 본체(38-1)는 토너가 배출될 수 있는 사전 결정된 위치로 회전된다. 용기 본체(38-1)의 회전은 구동 유닛(60)이 정지되면 정지된다. 이는 안테나와의 통신이 수행되는 위치에 RFID(122)의 위치설정을 하는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테나(124)가 RFID(122)로부터의 정보를 신뢰성 있게 판독하게 한다.
다른 방식으로서, RFID(122)의 위치는 자석(201)과 자석(202)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배향 등에 대한 고려 없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토너 용기(38)를 삽입하게 하고, 또한 토너 용기(38)에 의해 수행되는 토너 배출 동작에 따라서 RFID(122)가 필요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위치로 RFID(122)가 이동되게 한다. 여기서, RFID(122)의 정보 교환은, 토너 고착에 대한 영향을 실질적으로 받지 않으면서, 토너 용기(38)에 의해 수행되는 토너 배출 동작에 관계없는 고장 나는 일없이 수행될 수 있다. 위치설정 부재가 자석(자석 부재)의 자기력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면, 접촉으로부터 일어나는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구성은 조용한 동작의 관점에서 위치설정 부재(121)와 스토퍼(200)를 구비하는 위치설정 유닛에 비해 유리하다.
도 20은 복수의 위치설정 부재로서 기능하는 자석(201a, 201b)이 링 부재의 운동 방향을 따라 링 부재(120)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자석(201a, 201b)의 수용 부재로서 기능하는 자석(202a, 202b)이 토너 공급 장치(160)의 토너 크래들(42)(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 상에 배치되는 구성을 도시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201a, 201b)과 자석(202a, 202b)은, 자석(201a, 201b)의 대면하는 표면 상의 자극이 서로 반대이고, 자석(202a, 202b)의 자극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된다.
위치설정을 위해 복수 쌍의 자석이 이와 같이 배치되면, 링 부재(1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자기력, 또는 또 다른 방식으로서의 제동력은 한 쌍의 자석을 구비하는 구성에 비해 증가될 수 있다. 이는 토너 용기(38)의 중량이 큼으로써 토너 용기(38)의 회전의 정지에 의해 발생되는 관성력이 큰 경우에도, 또는 구동되는 토너 용기(38)의 회전 속도가 높은 경우, RFID(122)와 안테나(124) 사이에서 정보를 교환해야 하는 위치로 링 부재(120)를 안정되게 고정하게 한다. 여기서, 본 구성은 토너 고착에 의해 발휘되는 영향을 실질적으로 없앤다. 또한, 안테나(124)는 RFID(122)로부터의 정보를 신뢰성 있게 판독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예에서, 자석(201a, 201b)에 대한 자극 배치와, 자석(202a, 202b)에 대한 자극 배치는 서로 동일하다. 변형예로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201c)의 자극 배치는 자석(201a)에 대한 자극 배치와 반대이거나, 또는 자석(202c)의 자극 배치는 자석(201a)에 대한 자극 배치와 반대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서로 대각선으로 면하도록 배치되는 자석(201a)과 자석(202c) 및 동일한 극성의 자극이 서로 면하는 한편, 서로 대각선으로 면하도록 배치된 자석(201c)과 자석(202a)의 이러한 변형 구성에서, 동일 극성의 자극이 서로 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이 이용되면, 복수 쌍의 자석이 배치되는 경우에 자석들 사이의 인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위치설정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한 구성에서, 대각선으로 배치된 자석(201a)과 자석(202b)의 대면하는 표면 상의 자극은 반대 극성이다. 자석(201a)과 자석(202b) 사이에 자기 인력이 발휘되면, 링 부재(120)의 정지 위치는 의도된 위치로부터 편향될 수 있다. 그와는 반대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201a)과 자석(202c)의 대면하는 표면 상의 자극은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한편, 자석(201c)과 자석(202a)의 대면하는 표면 상의 자극은 동일한 극성을 갖는 구성에서는, 대각선으로 배치된 자극들 사이에 자기 인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링 부재(120)는 고장 없이 설계에서 의도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무접촉 RFID(122)는 정보 기록 장치로서 이용되지만, 정보 기록 장치는 무접촉형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3a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ID(122)의 각각의 변형예 대신에, 리셉터클(120b) 내에 접촉형 정보 기록 장치(126)가 배치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 상에 접촉 단자(127)가 배치되는 또 다른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링 부재(120)가 위치설정 부재(121) 및 스토퍼(200)에 의해 정지되면, 접촉형 정보 기록 장치(126)는 통신을 수행하도록 접촉 단자(127)와 접촉된다. 접촉 단자(127)는 제어 유닛(140)에 연결된다. 접촉 단자(127)의 말단부는 토션 코일 스프링 등으로 형성되어, 말단부가 링 부재(120)의 외주면(120a)과 적절한 접촉압으로 접촉한다. 이는 접촉 단자(127)가 접촉형 정보 기록 장치(126)와 탄성 접촉하게 함으로써, 정보 기록 장치(126)의 장착시의 정확도가 변경하는 경우에도 장착 정확도의 변동을 수용한다.
또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형 정보 기록 장치(126)가 링 부재(120) 상에 장착되는 구성에서, 위치설정 부재(121)는 토너당 칼라에 근거하여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토너 공급 장치(160)의 토너 크래들(42) 상의 잘못된 칼라의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38)를 장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더라도, 위치설정 부재(121)의 형상은 스토퍼(200)의 형상과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링 부재(120)는 접촉형 정보 기록 장치(126)가 접촉 단자(127)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정지됨으로써, 제어 유닛(140)에서 부적절한 로딩이 수행되는지를 판단하게 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접촉형 정보 기록 장치(126)는 탄성을 가진 접촉 단자(127)로 형성되지만, 정보 기록 장치(126)와의 접점은 리프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프 스프링 등의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이용되면, 리프 스프링 등의 추가적인 구성요소는 토너 공급 장치(160)의 토너 크래들(42), 즉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 및 토너 용기(38)측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정보 기록 장치(126)의 위치설정은 접촉 단자(127)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정보 기록 장치(126)와 접촉 단자(127) 사이의 접촉 저항에 근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위치설정 부재(121)와 자석을 제공할 필요성을 없앰으로써, 정보 기록 장치(126)와 접촉 단자(127)가 위치설정 부재로서 기능하게 하므로, 구조를 단순화시킨다.
도 18a 내지 도 22에 도시한 변형예에서, 자기력을 이용하여 위치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자석(201, 201a, 201b, 201c)이 링 부재(120) 상에 직접 장착된다. 변형예에서는, 위치설정 부재(121)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한 웨이트(125) 대신에,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자석(201)은 링 부재(120)의 회전 방향에 대해 스토퍼(200)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구성은 상이한 형태의 위치설정 부재에 대한 조합된 사용을 허용한다. 이는, 위치설정 부재(121)가 스토퍼(200)와 접촉함으로써 링 부재(120)의 회전이 정지되어야 하는 경우에, 위치설정 부재(121)와 스토퍼(200) 사이의 접촉이 발생하기 전에 자석(201)과 자석(202) 사이의 인력이 링 부재(120)의 회전에 대한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작용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링 부재(120)의 회전을 고장 없이 정지시키는 동시에, 위치설정 부재(121)와 스토퍼(200) 사이의 접촉에 의해 야기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한 사용 주파수 또는 출력 화상의 유형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더라도, 도 1에 도시한 화상 형성 장치는 고품질 화상을 위해 필요한 시간에 현상 장치 각각에 요구되는 토너량을 바람직하게 공급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 논의된 토너 용기(38)를 토너 칼라 중 대응하는 하나의 토너 공급 장치(160Y 내지 160K)에 사용함으로써 토너 공급이 수행되면, 토너 용기(38)로부터 대응하는 칼라의 현상 장치로 신뢰성 있게 토너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화상이 얻어질 수 있다.
이하, 캡을 구비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인 토너 용기의 일 실시예를 기술한다.
도 26에 도시한 캡(300)은 도 27에 도시한 토너 용기(138)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토너 용기(38)와 같이, 토너 용기(138)는 원통형 대직경부인 용기 본체, 테이퍼진 원통 형상을 갖는 베이요닛 기부(138a), 및 용기 본체와 베이요닛을 연결하도록 개재된, 중간 직경부인 중간부를 구비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 외부에는 커버 부재(330)가 배치된다. 커버 부재(330)는 용기 본체(138-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138) 내에 형성된 헬리컬 그루브(도시하지 않음)와 유사한 헬리컬 그루브는 용기 본체(138-1) 내에 형성된다. 용기 본체(138-1)가 회전되면, 용기 본체(138-1) 내의 현상제는 헬리컬 그루브를 통해 베이요닛 기부(138a) 내에 형성된 배출 포트(138b)를 향해 이송된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300)은 원피스로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부착 부재와 제 2 부착 부재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부착 부재는 배출 포트(138b)를 개방/밀봉하는 본체에 대응하는 외측 캡(301)을 구비하는 한편, 제 2 부착 부재는 외측 캡(301)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에 대응하는 기어(302)를 구비한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캡(301)은 폐쇄 단부형 원통 형상을 갖는다. 베이요닛 기부(138a)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헬리컬 돌출부(139)와 결합하는 헬리컬 그루브(304)는 외측 캡(301)의 내부면 내에 형성된다. 베이요닛 기부(138a) 상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외측 캡(301)이 용기 본체(138-1) 상에 장착되어 배출 포트(138b)를 밀봉하는 반면, 베이요닛 기부(138a)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외측 캡(301)은 배출 포트(138b)를 개방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요닛 기부(138a) 내부에는 내측 캡(168)이 부착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토너 용기(138)가 현상제 공급 장치(360) 상에 장착되면, 내측 캡(168)은 콜릿 척(70)에 의해 배출 포트(138) 외부로 끌어 당겨짐으로써, 용기 본체(138-1) 내의 현상제가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도 3에 도시한 콜릿 척(70)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콜릿 척(70)은 현상제 공급 장치(360) 내에 제공된다.
현상제 공급 장치(360)의 구성은, 구동원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토너 공급 장치(160)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현상제 공급 장치(360)에서, 구동원은, 토너 용기(138)의 후단부를 이동시키기보다는 토너 용기(138)의 베이요닛 기부(138a)에 부착된,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에 대응하는 기어(302) 또는 기어(402)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방식으로는, 토너 용기(138)가 현상제 공급 장치(360) 상에 장착되면, 현상제 공급 장치(360)는 도 25에 도시한 구동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구동원의 구성으로서, 일본특허출원공개 H09-6115호의 도 5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구동원(370)은 하기와 같이 구성되는데, 구동 모터(371)의 샤프트에는 웜 휠(372)이 부착되고; 웜 휠(372)은 중간 기어(373)와 맞물리고; 중간 기어(373)와 동일한 샤프트에 부착된 구동 기어(374)는 토너 용기(138)의 기어(302)와 맞물린다. 구동 모터(37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기어(374)는 현상제 공급 장치(360) 상에 토너 용기(138)가 로딩될 때 기어(302)와 맞물림으로써, 기어(302)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한다.
외측 캡(301) 및 기어(302)는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POM으로 제조되며, 복수의 슬릿을 형성하는 해제 유닛(303)과 원피스로 탈착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 캡(301) 및 기어(302)는 해제 유닛(303)과 원피스로 조립되고; 변형예로서, 외측 캡(301) 및 기어(302)는 점선으로 슬릿을 갖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 원피스로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 캡(301) 및 기어(302)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됨으로써, 예컨대 외측 캡(301) 및 기어(302) 각각은 PET 및 POM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기능을 위한 적절한 내구성이 보장될 수 있다.
헬리컬 돌출부(139)보다 용기 본체(138-1)에 근접한 부분에서, 캡(300)을 부착하는 베이요닛 기부(138a)의 외주부 상에는, 환형 돌출부(141) 및 칼라(142)가 형성된다. 환형 돌출부(141)와 헬리컬 돌출부(19) 사이의 간극(W)은 소정 길이에 의해 기어(302)의 폭(W1)(축방향으로 취해짐)보다 크다. 환형 돌출부(141)와 베이요닛 기부(138a)의 단부면 사이의 길이(Wa)와, 외측 캡(301)의 깊이(Wa1)는, 캡(300)이 베이요닛 기부(138a)에 부착될 때 환형 돌출부(141)와 칼라(142) 사이의 공간에 기어(302)가 배치되며, 외측 캡(301)의 바닥부(301a)가 베이요닛 기부(138a)의 단부면과 근접 접촉하여 배출 포트(138b)를 밀봉하도록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 캡(138)은 배출 포트(138b)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바닥부(301a)는 내측 캡(168)의 플랜지부(168a)를 유지한다.
환형 돌출부(141)의 반경방향에서의 돌출 길이와, 칼라(142)의 반경방향에서의 돌출 길이 각각은, 기어(302)의 보스(302a)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환형 돌출부(141)와 칼라(142) 사이에 기어(302)를 개재하는 구성은, 환형 돌출부(141)와 칼라(142)가 축방향으로 위치설정 부재로서 기능하게 한다. 헬리컬 돌출부(139) 근방의 측부 상에 형성된 환형 돌출부(141)의 반경방향 돌출 길이는, 용기 본체(138-1) 근방의 측부 상에 위치된 칼라(142)의 반경방향 돌출 길이보다 짧다. 이는 장착/해제에 대한 동작성을 증대시킨다.
환형 돌출부(14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 구성에서, 기어(302)의 보스(302a) 내에는 복수의 클로(305)가 형성된다. 클로(305) 각각은 보스(302a)의 단부면을 굴곡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단부면 내에 노치를 부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클로(305)는 반경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클로(305)의 이와 같이 굴곡된 부분은 외측 캡(301)과는 반대 측부 상에 위치설정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서, 베이요닛 기부(138a) 근방의 측부 상에 위치설정된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 돌출부(141)와 칼라(142) 사이에 위치설정된 베이요닛 기부(138a)의 외주면 상에는, 회전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43)가 형성된다. 돌출부(143)는 환형 돌출부(141)로부터 연장되며, 환형 돌출부(141)로부터 칼라(142)로 높이가 감소하는 슬로프인 외부면(143a)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43)의 개수는 2개 이상이고; 복수의 돌출부(143)는, 돌출부(143)가 서로 이격되도록 환형 돌출부(141)와 칼라(142)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돌출부(143)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원주방향으로 클로(305)의 폭보다 크다. 돌출부(143)의 높이는, 기어(302)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토너 용기(138)를 교대로 회전시킬 때, 클로(305)가 돌출부(143)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해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캡(300)을 토너 용기(138)에 부착하는 것은, 내측 캡(168)이 배출 포트(138b)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요닛 기부(138a)의 단부면에 면하는 측부로부터 토너 용기(138) 상에 나사 결합된다. 부착 동작의 진행 동안에 클로(305)가 환형 돌출부(141) 위로 올라가면, 클로(305)는 내측으로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클로(305)가 환형 돌출부(141) 위로 올라가 있으면, 환형 돌출부(141)와 칼라(142) 사이에는 기어(302)가 위치설정된다. 그와 동시에, 클로(305)가 환형 돌출부(141) 위로 올라가 있으면, 탄성 변형이 역전되어 클로(305)가 베이요닛 기부(138a)의 중심 쪽으로 상승하게 하여 환형 돌출부(141)와 결합하게 한다. 이러한 결합은 환형 돌출부(141)와 칼라(142)가 기어(302)의 운동을 축방향, 또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해제 방향(M)으로 구속하게 한다. 여기서, 기어(302)는 슬립 방지된 상태에서 베이요닛 기부(138a)에 부착되고; 그와 동시에, 배출 포트(138b)는 외측 캡(301)에 의해 밀봉된다. 캡(300)이 토너 용기(138)에 부착되는 상태는, 배출 포트(138b)가 밀봉된 상태에 있는 사전 선적 상태로 지칭된다.
토너 용기(138)를 밀봉된 상태로 장치 상에 로딩하기 위해, 작업자는 외측 캡(301)을 제거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클로(305)와 돌출부(143)의 원주방향 플레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외측 캡(301)과 동일한 방향으로 기어(302)가 이동하게 한다. 그러나, 클로(305)가 돌출부(143)를 원주방향으로 접하여 돌출부(143)와 결합하면, 기어(302)의 회전 방향으로의 운동이 구속된다. 한편, 해제 유닛(303)은 그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으로 인해 원주방향으로 비교적 낮은 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외측 캡(301)을 회전시키면, 외측 캡(301)과 기어(302)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유닛(303)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여기서, 배출 포트(138b)를 개방하도록 외측 캡(301)이 용기 본체(138-1)로부터 제거되면, 기어(302)는 용기 본체(138-1)측 상에 남도록 외측 캡(301)으로부터 분리된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 또는 정비사 등의 작업자에 의해 회전력(캡 개방력)이 외측 캡(301)에 발휘되면, 외측 캡(301)과 일체인 기어(302)를 회전시키는 힘이 기어(302)에 인가된다. 그러나, 기어(302)는, 기어(302)의 회전방향으로의 운동이 클로(305)와 돌출부(143)에 의해 구속되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기어(302)는 회전력(캡 개방력)이 해제 유닛(303)의 한계점을 초과한 경우에 외측 캡(301)으로부터 분리된다.
사용된 토너 용기(138)로부터 기어(302)를 제거하기 위해, 기어(302)는 환형 돌출부(141) 쪽으로, 또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 방향(M)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는 클로(305)의 선단부(305a)가 환형 돌출부(141)의 내측면에 의해 갇히게 한다. 사전 결정된 부하 이상의 부하가 기어(302)에 해제 방향(M)으로 인가되면, 굴곡되어 있는 클로(305)가 다시 굴곡되는 한편, 선단부(305a)와 환형 돌출부(141) 사이의 접촉부 둘레에서 선회하므로, 클로(305)가 상승하게 하여 환형 돌출부(141) 위로 해제 방향(M)으로 올라가게 한다. 여기서, 기어(302)는 토너 용기(138)로부터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피스로 탈착가능하게 조립된 외측 캡(301)과 기어(302)를 구비하는 캡(300)은 토너 용기(138)에 부착된다. 부착된 상태로 외측 캡(301) 상에 회전력이 인가되면, 해제 유닛(303)이 부서짐으로써, 외측 캡(301)과 기어(302)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게 하므로, 배출 포트(138b)를 개방한다. 여기서, 캡(300)의 조립 작업이 용이해지고, 작동성이 개선된다.
또한, 이는 토너 용기(138)가 아직 개방되지 않은 토너 용기인지 또는 이미 개방된 토너 용기인지를 해제 유닛(303)의 상태를 체크함으로써, 또는 보다 상세하게 외측 캡(301)이 회전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작업자가 판단하게 한다. 이는 토너 용기(138)가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제조되는 신품인지 또는 사용품인지에 대한 판단을 용이하고 호환가능한 작동성으로 하게 한다. 이는 외측 캡(301)이 회전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토너 용기(138)가 공인된 제품인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을 허용한다.
기어(302)의 제거 후에, 신품인 캡(300)이 토너 용기(138)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토너 용기(138)와 기어(302) 각각은 그 기능적 특성을 위해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제조에 관한 제한사항을 없애므로, 제조 내구성을 강화하며 비용 감소를 성취시킨다. 또한, 기어(302)는 사용된 토너 용기(138)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는 토너 용기(138)의 세정에 대한 효율을 증대시켜서 재사용 비율을 증대시킨다.
도 33a 내지 도 34b는 토너 용기(138)의 캡 및 베이요닛 기부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33a 및 도 33b에 도시한 캡(300A)은 캡(300)과 기본적으로 유사하고; 캡(300A) 내에는 외측 캡(301)과 기어(302)가 해제 유닛(303)과 원피스로 탈착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러나, 캡(300A)은, 기어(302)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로(305A)가 대각선으로 배치된 2가지 위치에서 기어(302) 상에 형성되며, 베이요닛 기부(138a) 상에 형성되며 슬립 방지 부재로서 기능하는 돌출부(141A)의 형상이 그 동등물과는 상이하다는 점에서, 캡(300)과는 다르다.
헬리컬 돌출부(139)는 베이요닛 기부(138a) 내에 형성되지 않는다. 칼라(142), 상기 칼라(142)와 베이요닛 기부(138a) 사이의 원주면 상에 형성된 단차부(145), 및 돌출부(146)는 베이요닛 기부(138a) 상에 형성된다. 돌출부(146)는 클로(305A)와 별개로 결합되어야 한다. 단차부(145)는 캡(300A)이 회전되면 클로(305A)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이다.
돌출부(146) 각각은, 베이요닛 기부(138a)로부터 토너 용기(138)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클로(305A)의 회전을 기어 회전방향으로 정지하도록 단차부(146)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는 원주방향 스토퍼(146A)와, 클로(305A)의 해제 방향(M)으로의 운동을 구속하는 해제 구속부(146B), 및 상기 해제 구속부(146B) 상에 형성된 경사면(146C)을 구비한다. 경사면(146C)은 베이요닛 기부(138a)의 단부면으로부터 칼라(142)로 높이가 증대되는 경사면이다. 경사면(146C)은 클로(305A)를 해제 구속부(146B)로 안내하는 가이드면으로서 기능하여, 캡(300A)의 부착 동안에 클로(305A)가 해제 구속부(146B) 위에 용이하게 올라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캡(300A)이 도 34a 및 도 3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요닛 기부(138a)에 부착되어 그 내로 가압되면, 클로(305A)는 해제 구속부(146B) 위로 올라간다. 이는 클로(305A)의 선단부가 해제 구속부(146B)와 결합하게 하여, 클로(305A)의 운동을 클로(305A)의 해제 방향(M)으로 구속한다. 원주방향 스토퍼(146A)는 클로(305A)의 운동을 원주방향으로 구속한다. 그 결과, 배출 포트(138b)는 외측 캡(301)에 의해 밀봉된다. 캡(300A)이 토너 용기(138)에 부착되는 상태는, 배출 포트(138b)가 밀봉된 상태에 있는 사전 선적 상태를 지칭한다.
토너 용기(138)를 밀봉된 상태로 장치 상에 로딩하기 위해, 작업자는 외측 캡(301)을 제거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의해 외측 캡(301) 상에 회전력(캡 개방력)이 인가된다. 이때, 외측 캡(301)과 함께 기어(302)를 회전시키는 힘이 기어(302)에 인가되지만, 기어(302)의 회전방향으로의 운동은 원주방향 스토퍼(146A)에 의해 구속된다. 따라서, 기어(302)는 해제 유닛(303)으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배출 포트(138b)를 개방하도록 외측 캡(301)이 용기 본체(138-1)로부터 제거되면, 기어(302)는 용기 본체(138-1)측 상에 남도록 외측 캡(301)으로부터 분리된다. 보다 상세하게, 작업자에 의해 인가되는 회전력(캡 개방력)이 외측 캡(301)에 발휘되면, 외측 캡(301)과 일체인 기어(302)는 외측 캡(301)으로부터 분리된다.
사용된 토너 용기(138)로부터 기어(302)를 제거하기 위해, 기어(302)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원주방향 스토퍼(146A)와 클로(305A) 사이의 결합 및 해제 구속부(146B)와 클로(305A)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여, 기어(302)가 제거될 수 있도록 클로(305A)가 해제 방향(M)으로 용이하게 운동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피스로 탈착가능하게 조립된 외측 캡(301)과 기어(302)를 구비하는 캡(300A)은 토너 용기(138)에 부착된다. 부착된 상태로 외측 캡(301) 상에 회전력이 인가되면, 해제 유닛(303)이 부서짐으로써, 외측 캡(301)과 기어(302)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게 하므로, 배출 포트(138b)를 개방한다. 여기서, 캡(300A)의 조립 작업이 용이해지고, 작동성이 개선된다.
기어(302)의 제거 후에, 신품인 캡(300A)이 토너 용기(138)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토너 용기(138)와 기어(302) 각각은 그 기능적 특성을 위해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제조에 관한 제한사항을 없애므로, 제조 내구성을 강화하며 비용 감소를 성취시킨다. 또한, 기어(302)는 사용된 토너 용기(138)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는 토너 용기(138)의 세정에 대한 효율을 증대시켜서 재사용 비율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돌출부(146)는 2개의 클로(305A)에 부합하도록 베이요닛 기부(138a)의 원주 일부분 상에 형성된다. 그러나, 기어(302)에 전달되는 구동력에서의 백래시 및 증대 등의 많은 요인으로서, 기어(302)의 회전방향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기어(302) 상에 부하가 부여되는 상황에서는, 클로(305A)는 돌출부(146)로부터 슬립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로(305)는 기어(302)의 보스(302a) 상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환형 돌출부(141)는 복수 쌍의 클로(305, 305A) 및 복수 쌍의 돌출부(141, 146)가 기어(302)의 슬립을 방지하도록 베이요닛 기부(138a)의 원주 둘레에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6은 캡(300)의 외측 캡(301)의 바닥부(301a) 내에 개구(301b)를 형성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내측 캡(168)은, 그 중앙부에서 용기 내부 쪽으로 눌러진다. 또한, 내측 캡(168)은 중앙부에 개구(168b)를 갖는다. 투과성이지만 토너를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168c)가 개구(168b) 내에 삽입되어, 용기 내외부 사이에서 기압 변경이 발전되는 경우에도 내측 캡(168)의 슬립을 방지한다. 필터(168c)의 투과성은 내측 캡(301) 내에 개구(301b)가 형성되기 때문에 악화되지 않는다. 개구(301b)는 내측 캡(168)을 파지하여 해제하는 콜릿 척(70)(도 3 참조)을 개구(301b) 내로 삽입가능하게 하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이는 외측 캡(301)을 제거하지 않고서 토너 용기(138)가 장치 상에 로딩되게 하고; 구동원으로부터 기어(302)로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는 상태에도, 외측 캡(301)이 기어(3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콜릿 척(70)을 작동시켜서 내측 캡(168)을 배출 포트(168b) 외부로 끌어당김으로써, 배출 포트(138b)는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운송 동안에 토너가 나오기 쉽지 않은 토너 용기(138)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변형예에서, 기어(스퍼 기어)(302)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로서 사용되지만,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의 변형예로는, 예컨대 도 37a 및 도 3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부(307)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308A, 308B)가 있다. 디스크부(307)는 외측 캡(301)과 탈착가능하게 일체 형성되며, 해제 유닛(303)은 디스크부(307)와 외측 캡(301) 사이에 있다. 돌출부(308A, 308B)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돌출부(308A, 308B)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돌출부(308)는 동일한 형상 또는 상이한 형상일 수 있다.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로서 기어가 사용되면, 기어는 스퍼 기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8a 및 도 3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부(307)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디스크부(307)와 외측 캡(301) 사이에 해제 유닛(303)과 함께 외측 캡(301)과 탈착가능하게 일체 형성되며 원형 구성으로 배치되는 기어(309)는, 기어(309)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로서 이용될 수 있다.
외측 캡(301)의 표면이 평탄면일 수 있지만, 외측 캡(301)은 널링부(knurled portion) 등의 고르지 않은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자가 토너 용기(138) 상에 캡(300, 300A)을 로딩할 때, 고르지 않은 부분은 작업자가 슬립을 경험하지 않고서 토너 용기(138) 내로의 캡(300, 300A)의 나사 결합 및 제거를 수행하게 한다.
도 39 내지 도 42b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을 기술한다. 도 39에 도시한 캡(400)은 원피스로 탈착가능하게 조립된 제 1 부착 부재와 제 2 부착 부재를 구비한다. 도 25에 도시한 구동 기어(374)로부터 제 1 또는 제 2 부착 부재 상에 회전력(회전 구동력)이 인가되면, 제 1 및 제 2 부착 부재는 서로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부착 부재는 용기 본체(138-1)에 부착되어야 하는 커버 부재(330)(도 42a 및 도 42b에 도시함)와 결합해야 하는 고정 부재(401)이다. 제 2 부착 부재는 고정 부재(401)와 탈착가능하게 일체 형성되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로서 기능하는 기어(402)이다. 회전력(회전 구동력)을 받을 때, 기어(402)는 용기 본체(138-1)측 상에 남도록 고정 부재(401)로부터 분리된다. 기본적으로, 캡(400)은 고정 부재(401)와 기어(402)가 해제 유닛(403)과 원피스로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배출 포트(168b)와 통신 연결되는 구멍(401a)은 고정 부재(401)와 기어(402)의 중심에 형성된다. 콜릿 척(70)은 장치 상에 장착하는 동안에 콜릿 척(70)이 작동되면 구멍(401a)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캡(400)을 토너 용기(138)에 부착하는 동안에 내측 캡(168)의 플랜지부(168a)를 보유하는 보유부(401b)는 구멍(401a) 둘레에 형성된다.
캡(400)은 토너 용기(138)의 재료와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을 전달하기에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토너 용기(138)는 일반적으로 전원을 전달하는데 적합하지 못한 PET 또는 PF로 제조된다. 특히,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가 PET 또는 PF로 제조되면, 토너 용기(138)는, 토너 용기(138)를 사용할 수 있는 횟수에서 불리하게 제한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로서 기능하는 기어(402)는 일반적으로 POM 등으로 제조된다. 수용된 토크가 높다고 가정되면, 기어(402)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기어(30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기어(402)는 기어(302)의 구성과는 동일하다.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클로(405)가 보스(402a) 상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캡(400)을 베이요닛 기부(138a)를 구비하는 토너 용기(138)에 부착하기 위해, 캡(400)은 내측 캡(168)이 배출 포트(138b)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요닛 기부(138a)의 단부면에 면하는 측부로부터 베이요닛 기부(138a) 상에 밀어진다. 부착 동작의 과정 동안에 클로(405)가 환형 돌출부(141) 위로 올라가면, 클로(405)는 내측으로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 변경된다. 클로(405)가 환형 돌출부(141) 위로 올라가 있으면, 기어(402)는 환형 돌출부(141)와 칼라(142) 사이에 위치설정된다. 그와 동시에, 클로(405)가 환형 돌출부(141) 위로 올라가 있으면, 탄성 변형이 역전되어, 클로(405)가 베이요닛 기부(138a)의 중심 쪽으로 상승하게 하여 환형 돌출부(141)와 결합한다. 따라서, 기어(402)의 축방향 또는 다른 방식으로의 해제 방향(M)으로의 운동은 환형 돌출부(141)와 칼라(142)에 의해 구속된다. 여기서, 슬립 방지된 상태에 있는 기어(402)는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요닛 기부(138a)에 부착된다. 캡(400)이 토너 용기(138)에 부착되는 상태는, 배출 포트(138b)가 밀봉된 상태에 있는 사전 선적 상태로 지칭된다.
장치 상에 토너 용기(138)를 밀봉된 상태로 로딩하기 위해,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토너 용기(138)에 부착된 캡(400) 및 커버 부재(330) 내로 삽입한다. 고정 부재(401)의 형상과 커버 부재(330)의 내부 형상이 끼워지면, 토너 용기(138)와 커버 부재(330)는 원피스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캡(400)은 토너 용기(138)에 부착될 수 있고, 캡(400)의 조립 작업이 용이해지며, 작동성도 개선된다. 이때, 기어(402)와 고정 부재(401)는 해제 유닛(403)과 원피스로 조립된다. 따라서, 토너 용기(138)와 커버 부재(330)를 함께 회전시키는 힘은, 토너 용기(138)와 커버 부재(330)에 인가된다. 여기서, 토너 용기(138)와 커버 부재(330)가 회전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토너 용기(138)가 밀봉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작업자가 판단할 수 있다.
토너 용기(138)와 커버 부재(330)가 장치 상에 원피스로 로딩된 후에, 구동 기어(374)와 기어(402)는 도 4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도록 야기된다. 구동 기어(374)로부터 기어(402)에 회전 구동력(캡 개방력)이 전달되면, 캡(400) 전체를 회전시키는 힘이 캡(400)에 인가된다. 그러나, 기어(402)측만이 회전가능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고정 부재(401)가 커버 부재(401)의 내부에 고정되어 회전 방향으로의 운동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어(402)와 고정 부재(401)는 해제 유닛(403)에서 서로 분리된다. 보다 상세하게, 원피스로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 부재(401)와 기어(402)를 구비하는 캡(400)이 토너 용기(138)에 부착된 상태에서, 기어(402)에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면, 해제 유닛(403)이 부러져서, 고정 부재(401)와 기어(402)가 서로 분리되게 한다. 이는 토너 용기(138)가 아직 개방되지 않은 토너 용기인지 또는 이미 개방된 토너 용기인지를 고정 부재(401)의 상태를 체크함으로써, 또는 보다 상세하게 고정 부재(401)와 기어(402)가 원피스로 회전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작업자가 판단하게 한다.
기어(402)를 사용된 토너 용기(138)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기어(402)는 환형 돌출부(141) 쪽으로, 또는 달리 말하면, 도 43에 도시한 해제 방향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는 클로(405)의 선단부가 환형 돌출부(141)의 내측면에 의해 갇히게 한다. 기어(402) 상에 사전 결정된 값 이상의 부하가 해제 방향(M)으로 인가되면, 굴곡된 클로(405)가 다시 굴곡되는 한편, 선단부와 환형 돌출부(141) 사이의 접촉부 둘레에서 선회하여, 클로(405)가 상승하여 환형 돌출부(141) 위로 해제 방향(M)으로 올라오게 한다. 여기서, 기어(402)는 토너 용기(138)로부터 제거된다. 고정 부재(401)와 기어(402) 사이의 이와 같은 분리는, 토너 용기(138)가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제조되는 신품인지 또는 사용품인지에 대한 판단을 용이하고 호환가능한 작동성으로 하게 한다.
기어(402)의 제거 후에, 신품인 캡(400)이 토너 용기(138)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토너 용기(138)와 기어(402) 각각은, 그 기능적 특성에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제조에 관한 제한사항을 없애므로, 제조 내구성을 강화하며 비용 감소를 성취시킨다. 또한, 기어(402)는 사용된 토너 용기(138)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는 토너 용기(138)의 세정에 대한 효율을 증대시켜서 재사용 비율을 증대시킨다.
한편, 기어(402)와 기어(302) 각각은 구동 기어(374)로부터의 회전력이 토너 용기(138)에 전달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기어(402)와 기어(302) 각각은 고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자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402) 이외의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의 구성으로서, 도 37 내지 도 38b를 참조하여 상술한 복수의 돌출부(308A, 308B) 및 기어(309)는, 그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로서 사용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디스크부(307)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핀, 기어 등이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로서 사용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401)는, 고정 부재(401)가 커버 부재(330) 내에 배치될 때 회전하지 않도록 육각형의 외부 형상을 가지고; 고정 부재(401)를 트랩하도록 고정 부재(401)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리세스는, 고정 부재(401)가 회전 스토퍼로서 기능하도록 커버 부재(330)의 내부 형상의 일부분 내에 형성된다. 그러나, 고정 부재(401)와 리세스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4a 내지 도 44e는 고정 부재(401)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44a는 고정 부재(401)의 외부 형상이 타원형인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44b는 고정 부재(401)의 원통형 외주면이 마찰계수를 증대시키도록 널링부 등의 고르지 않은 부분(408)을 갖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44c는 복수의 원호형 리세스(409)가 원통형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물론, 리세스(409) 내에 삽입되는 원호형 리브는 고정 부재(401)를 회전에 대해 고정하도록 커버 부재(330)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부재(401) 및 커버 부재(330)의 내부 형상은, 예컨대 토너 칼라 또는 토너 용기(138)를 장착하는 장치의 모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는 토너 용기(138)에 잘못된 토너 칼라를 장착하거나 또는 토너 용기(138)를 잘못된 장치에 장착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다른 방식으로서, 고정 부재(401) 및 커버 부재(330)의 내부 형상은 칼라 또는 모델면에서 비상호교환성을 확립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유닛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4a 내지 도 44c에 도시한 변형예에서는, 고정 부재(401)의 형상이 변경되어 있다. 변형예로서, 칼라 또는 모델면에서 서 비상호교환성을 확립하는 기능은 토너당 칼라 또는 장치당 모델에 근거하여 고정 부재(401)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4d는 고정 부재(401)의 외주면 상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그루브(410)가 형성된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44e는 고정 부재(40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411)를 형성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물론, 그루브(410)에 부합하는 돌출부 또는 돌출부(411)에 부합하는 리세스는 커버 부재(330)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에서는 공통적으로, 기어(302) 또는 기어(402)의 디스크부의 두께는 중량 감소를 위해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두께를 감소시킨 부분은 도 45에 도시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부분은 성형 다이로부터 매끄러운 해제를 허용하는 부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들에서, 클로(305, 305A 또는 405)는 기어(302, 402) 상에 형성되어, 클로가 토너 용기(138)의 베이요닛 기부(138a) 상에 형성된 돌출부(143) 또는 돌출부(146)와 결합함으로써, 기어(302, 402)가 토너 용기(138)와 함께 회전되게 한다. 변형예로서,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형 그루브(412)는 베이요닛 기부(138a)의 원주방향 부분 내에 형성되어, 클로(305, 305A, 405 등)가 원호형 그루브(412) 내에 삽입됨으로써, 토너 용기(138)가 기어(302, 402)와 함께 회전되게 한다.
실시예에서 논의된 내측 캡(168)으로서, 토너 용기(138)의 베이요닛 기부(138a)보다 긴 복수의 베인(168A)이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청구항 형태로 요약된다.
"청구항 1"
분말 용기에 있어서,
분말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 내의 분말을 상기 용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부 상에 제공되는 배출 포트;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접촉식 및 무접촉식 중 어느 하나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 기록 장치를 보유하는 리테이너;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반입될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가 위치설정을 수행하는 측부와 결합하는 위치설정부재를 포함하는 분말 용기.
"청구항 2"
분말 용기에 있어서,
분말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 내의 분말을 상기 용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부 상에 제공되는 배출 포트;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접촉식 및 무접촉식 중 어느 하나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 기록 장치를 보유하는 리테이너;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반입될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가 속하는 측부 상에 제공된 자석 부재를 이용하여 위치설정을 수행하는 위치설정부재를 포함하는 분말 용기.
"청구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부재는 칼라 및 모델 중 어느 하나에 관하여 비상호교환성을 확립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분말 용기.
"청구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호교환성을 확립하는 기능은 상기 위치설정 부재의 형상에 대한 변경에 근거하여 수행되는 분말 용기.
"청구항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호교환성을 확립하는 기능은 상기 리테이너의 위치에 대한 변경에 근거하여 수행되는 분말 용기.
"청구항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용기 본체가 로딩될 때, 중력 방향이 낮아지면, 상기 정보 기록 장치는 상기 회전축을 통과하는 수평 라인에 대해 상측부 상의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부 상에 위치되는 분말 용기.
"청구항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로딩된 상기 분말 용기의 안정성은 상기 위치설정 부재의 중량을 조절함으로써 보장되는 분말 용기.
"청구항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부재는 자석 부재이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속하는 측부 상의 상기 자석 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사전 결정된 위치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상에 로딩되면, 상기 위치설정 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분말 용기.
"청구항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 장치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속하는 측부 상에 배치된 정보 통신 유닛과 접촉 통신을 수행하는 접촉형 정보 기록 장치이면, 상기 접촉형 정보 기록 장치를 위치설정하는 것은 상기 정보 기록 장치와 상기 정보 통신 유닛 사이의 접촉 저항에 근거하여 수행되는 분말 용기.
"청구항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정보 기록 장치의 운동 경로는 상기 위치설정 부재의 운동 경로에 대해 내부에 위치설정되는 분말 용기.
"청구항 11"
현상 장치 내에 분말 용기 내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는 분말 형태이고, 상기 분말 용기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분말 용기인 토너 공급 장치.
"청구항 12"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잠상을 형성하는 화상 담체;
상기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영역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유닛; 및
상기 현상 장치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토너 공급 장치는 제11항의 토너 공급 장치인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이 완전하고 명백한 개시내용을 위한 특정 실시예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청구범위는 제한이 아니라,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모든 변형 및 변경된 구성을 실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분에 형성된 배출 포트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현상제 용기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캡에 있어서,
    상기 배출 포트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헬리컬 돌출부와 결합하는 헬리컬 그루브를 내부면에 갖는 제 1 부착 부재; 및
    상기 용기 본체의 베이요닛 기부에 부착되며, 또한 상기 용기 본체에 고정되었을 때에 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력이 인가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 2 부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착 부재와 상기 제 2 부착 부재는, 복수의 슬릿을 형성하는 해제 유닛과 원피스로 탈착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 1 부착 부재와 상기 제 2 부착 부재 중 어느 하나가 회전력을 수용하면, 상기 현상제 용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헬리컬 돌출부로부터 상기 헬리컬 그루브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 1 부착 부재에 회전력이 인가되어 상기 해제 유닛이 부서짐으로써, 상기 제 1 부착 부재와 상기 제 2 부착 부재가 분리되어 상기 제 1 부착 부재만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 부재는 상기 배출 포트를 개폐하는 메인 본체부이고,
    상기 제 2 부착 부재는 상기 메인 본체부와 탈착가능하게 통합되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이며,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는, 상기 배출 포트를 개방하도록 상기 메인 본체부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회전력을 수용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부 상에 남아있는 한편, 상기 메인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착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된 커버 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고정 부재이고,
    상기 제 2 부착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와 탈착가능하게 통합되는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이며,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는 상기 회전력의 수용시에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부 상에 남아있는 한편, 상기 고정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내부 형상의 일부인 리세스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형상의 리세스는,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된 현상제의 칼라, 또는 토너 용기가 장착되는 장치의 종류에 따라 변경되어 있는
    캡.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는, 상기 캡이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면,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의 운동을 해제 방향으로 구속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분과 결합하고, 상기 해제 방향으로 사전 결정된 값보다 큰 부하가 수용되면,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를 상기 해제 방향으로 허용하도록 변형되는 하나 이상의 클로를 구비하는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에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구동 트랜스미션 부재는 상기 클로와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분의 결합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의 운동이 구속되는
    캡.
  7.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분에 형성된 배출 포트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현상제 용기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용기는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캡을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
  8. 현상제 용기에 있어서,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용기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용기는,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현상제를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분에 형성된 배출 포트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 외부로 배출하고, 제1항, 제3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캡을 더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
  9. 현상 장치에 분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는 상기 분말 현상제를 수용하는 분말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분말 용기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현상제 용기인
    현상제 공급 장치.
  10.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잠상을 형성하는 화상 담체;
    상기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영역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유닛; 및
    현상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공급 장치는 제9항의 현상제 공급 장치인
    화상 형성 장치.
KR1020117027221A 2010-03-17 2011-02-01 캡, 현상제 용기, 현상제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314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61671 2010-03-17
JP2010061682A JP5640412B2 (ja) 2010-03-17 2010-03-17 封止部材、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0-061682 2010-03-17
JP2010061671A JP5505003B2 (ja) 2010-03-17 2010-03-17 粉体収納容器、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CT/JP2011/052462 WO2011114798A1 (en) 2010-03-17 2011-02-01 Cap, developer container, develop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443A Division KR101410388B1 (ko) 2010-03-17 2011-02-01 분말 용기, 토너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425A KR20120017425A (ko) 2012-02-28
KR101314062B1 true KR101314062B1 (ko) 2013-10-07

Family

ID=446489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221A KR101314062B1 (ko) 2010-03-17 2011-02-01 캡, 현상제 용기, 현상제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7021443A KR101410388B1 (ko) 2010-03-17 2011-02-01 분말 용기, 토너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443A KR101410388B1 (ko) 2010-03-17 2011-02-01 분말 용기, 토너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965250B2 (ko)
EP (1) EP2548082A1 (ko)
KR (2) KR101314062B1 (ko)
CN (1) CN102428415B (ko)
MX (1) MX2011012105A (ko)
TW (1) TWI447537B (ko)
WO (1) WO2011114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2178A (ja) 2011-06-03 2012-12-20 Ricoh Co Ltd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ES2772277T3 (es) 2011-11-25 2020-07-07 Ricoh Co Ltd Recipiente de polvo y aparato formador de imágenes
JP6137882B2 (ja) 2013-03-11 2017-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6048346B2 (ja) * 2013-08-29 2016-12-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
JP6156066B2 (ja) * 2013-10-31 2017-07-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481883B2 (ja) * 2014-08-08 2019-03-13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9217956B1 (en) * 2014-09-15 2015-12-22 Xerox Corporation Dispense-end seal for toner containers
JP1543379S (ko) * 2015-07-22 2016-02-08
WO2017058198A1 (en) * 2015-09-30 2017-04-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eloper inlets
CN205229672U (zh) * 2015-12-16 2016-05-11 上福全球科技股份有限公司 碳粉匣
JP6665597B2 (ja) * 2016-03-08 2020-03-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の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864871B2 (ja) 2017-05-30 2021-04-2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039226B2 (ja) 2017-09-21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CN110320778B (zh) * 2019-07-31 2024-04-12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显影剂供给容器
CN111562732A (zh) * 2020-06-09 2020-08-21 江西凯利德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剂供应装置
US11454901B2 (en) * 2020-08-10 2022-09-27 Jiangxi Yibo E-Tech Co. Ltd. Developing cartridge
JP2022136710A (ja) 2021-03-08 2022-09-2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残量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115A (ja) * 1994-11-08 1997-01-10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JP2004196322A (ja) * 2002-12-17 2004-07-1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粉体収容容器と粉体収容製品、トナー収容容器とトナー収容製品、及びトナー補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2125B2 (ja) * 1992-12-26 1996-12-1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8152783A (ja) 1994-11-30 1996-06-11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US5722014A (en) * 1996-06-21 1998-02-24 Nashua Corporation Enhanced container and method for dispensing toner and supplying toner to an image forming machine
US7542703B2 (en) 2002-05-20 2009-06-02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replenishing a toner or a carrier of a two-ingredient type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ing device
WO2004027522A1 (ja) 2002-09-20 2004-04-01 Ricoh Company, Limited 画像形成装置、粉体補給装置、トナー収納容器、粉体収納容器およびその再生産方法
KR100809730B1 (ko) 2005-04-27 2008-03-06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토너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4371317B2 (ja) 2005-06-20 2009-11-2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画像形成装置、及び、梱包箱
CN100549860C (zh) * 2005-06-07 2009-10-14 株式会社理光 墨粉容器和成像装置
EP1890201B1 (en) * 2005-06-07 2014-12-31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JP4910793B2 (ja) * 2007-03-12 2012-04-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US7796922B2 (en) * 2007-04-20 2010-09-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at the toner carrying section
JP5110963B2 (ja) 2007-05-22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着脱可能なユニットの個別情報読取方法及びその装置、該個別情報読取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115A (ja) * 1994-11-08 1997-01-10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
JP2004196322A (ja) * 2002-12-17 2004-07-1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粉体収容容器と粉体収容製品、トナー収容容器とトナー収容製品、及びトナー補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1012105A (es) 2011-12-08
KR20130095858A (ko) 2013-08-28
CN102428415B (zh) 2016-08-17
US9285763B2 (en) 2016-03-15
TWI447537B (zh) 2014-08-01
US20150104218A1 (en) 2015-04-16
WO2011114798A1 (en) 2011-09-22
KR20120017425A (ko) 2012-02-28
CN102428415A (zh) 2012-04-25
US8965250B2 (en) 2015-02-24
US20120045244A1 (en) 2012-02-23
EP2548082A1 (en) 2013-01-23
TW201209528A (en) 2012-03-01
KR101410388B1 (ko) 201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062B1 (ko) 캡, 현상제 용기, 현상제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6282390B1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317572B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hereto comprising a positioning portion for engagement with a positioning member of a main assembl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9405221B2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7062205B2 (en) Structure for locking a shutter member in a toner supplying container
US94595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50086244A1 (en)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237112B1 (en) Developer storing body,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848393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동력전달구조
US8787803B2 (en)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05003B2 (ja) 粉体収納容器、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14165A (ja) 画像形成装置
US909805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locking a replaceable unit in an image forming device
KR20170060412A (ko)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5640412B2 (ja) 封止部材、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3483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cartridge that includes and image bearing member
CN107272360B (zh) 调色剂容器及图像形成装置
US20130121721A1 (en) Developer conveyance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EP3246761B1 (en)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forming device
US8909092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charge a photosensitive drum
CN110320768B (zh) 调色剂容器和图像形成装置
WO2023233238A1 (en) Shutter unit, ton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12596358B (zh) 调色剂容器及图像形成装置
JP2022158925A (ja) トナー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