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442B1 - 전해액 유출을 방지하는 배터리 단자 극주 - Google Patents

전해액 유출을 방지하는 배터리 단자 극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442B1
KR101313442B1 KR1020110120223A KR20110120223A KR101313442B1 KR 101313442 B1 KR101313442 B1 KR 101313442B1 KR 1020110120223 A KR1020110120223 A KR 1020110120223A KR 20110120223 A KR20110120223 A KR 20110120223A KR 101313442 B1 KR101313442 B1 KR 101313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bushing
battery
clamp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686A (ko
Inventor
이규형
박승복
문창민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10120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4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4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 용접시 배터리 단자와 부싱간에 틈새를 확실히 메워서 클램프로 인한 부싱의 크랙이 발생하여도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배터리에 있어서, 상단부가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 단자; 및 배터리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 단자를 둘러싸고 있는 부싱(Bushing); 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단자의 상기 테이퍼 형상은 하단부가 상기 부싱으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에서 시작하고 상단부는 상기 부싱의 외부 부분까지 돌출되어 있는 배터리 단자 극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해액 유출을 방지하는 배터리 단자 극주{Battery terminal structure for avoiding electrolyte leakage}
본 발명은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배터리에서 부싱(Bushing)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배터리 단자 극주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배터리에 있어서, 배터리의 커버에 납으로 된 부싱을 몰딩하고, 이후에 배터리 셀 조립체의 극주에 부싱을 용접하여 융합시키고 있다. 통상적으로, 극주와 부싱은 두 구성 요소의 소재가 융합되도록 하는 구성물로 이루어진다.
최근 배터리 단자에 체결되는 클램프의 경우는 차량 조립시 작업성 등을 위하여 사선형 구조의 클램프의 적용이 증가 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의 단자는 극주와 부싱이 용접되어 융합되더라도 그 용접부위가 좁고 용접부위를 벗어나는 부위는 극주와 부싱간에 틈새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용접부위를 벗어나는 곳에 클램프가 체결되는 경우에, 특히 클램프가 사선형의 체결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차량의 진동등에 의해서 클램프가 부싱에 크랙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부싱 크랙을 통해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단자 용접시 배터리 단자와 부싱간에 틈새를 확실히 메워서 클램프로 인한 부싱의 크랙이 발생하여도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배터리에 있어서, 상단부가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 단자; 및 배터리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 단자를 둘러싸고 있는 부싱(Bushing); 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단자의 상기 테이퍼 형상은 하단부가 상기 부싱으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에서 시작하고 상단부는 상기 부싱의 외부 부분까지 돌출되어 있는 배터리 단자 극주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단자에 열을 가해 용접을 하는 경우에 상기 테이퍼 형상의 상단부가 용융되어 상기 배터리 단자와 상기 부싱 사이의 빈 공간이 메워지는 용접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단자 극주에 클램프가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용접부위는 상기 클램프가 체결되는 체결부위의 상측부의 일부분까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단자 극주에 클램프가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용접부위는 상기 클램프가 체결되는 체결부위의 모든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진동에 의해 부싱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발명의 일실시예로 단자와 부싱간에 용접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클램프가 배터리 극주에 체결되는 경우에 배터리 단자와 부싱간의 용접 부위와 클램프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설명에 앞서 본발명의 배터리 단자(100)와 부싱(200)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 구조를 배터리 단자 극주 또는 배터리 극주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발명의 일실시예로 단자와 부싱간에 용접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보면 배터리 커버(400)와 연결되어 있는 부싱(200)이 배터리 단자(100)를 둘러싸고 있고, 배터리 단자(100)는 상단부가 테이퍼(Taper) 형상(A)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테이퍼 형상(A)은 서로 상대하는 양측면이 대칭적으로 경사(傾斜)가 져 있는 구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축(軸) 등에서 어떤 부분에서부터 지름이 점차 작아지고 있을 때 테이퍼가 되어 있다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의 단자(100)는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로 올라갈수록 점점 지름이 작아지고 있는 테이퍼 형상(A) 구조를 이루고 있다.
배터리 단자(100)의 테이퍼 형상(A)은 배터리 단자(100)의 지름이 작아지기 시작하는 하단부는 배터리 극주 단자에 클램프(300)가 체결되는 경우에는 클램프(300)가 체결되는 부위의 안에 위치한다.
배터리 단자(100)에 체결되는 클램프(300)의 경우 최근에는 차량 조립시 작업성을 위하여 체결부위가 대부분 사선형 구조의 형성되어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선형 클램프(300)의 경우, 배터리 단자(100)에 체결 후 사선형의 날카로운 모서리로 인하여 차량 운행시, 진동에 의하여 클램프(300)가 부싱(200)에 크랙을 유발하여 배터리 단자(100) 내부로 파고 들어감으로써 배터리 내부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어 전장품 손상 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클램프(300)로 인한 부싱(200)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배터리 단자 구조를 제공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클램프가 배터리 극주에 체결되는 경우에 배터리 단자와 부싱간의 용접 부위와 클램프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배터리 단자(100)의 테이터 형상(A)에 열을 가해 배터리 단자(100)와 부싱(200)간에 용접부위(B)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클램프(300)가 배터리 단자(100)에 체결되는 경우에 클램프(300)의 체결부위 내에 용접 부위(B)가 형성된다.
배터리 단자(100)에 열을 가해 배터리 단자(100)와 부싱(200)간에 용접을 하는 경우에 테이퍼 형상(A)의 상단부가 용융되어 테이퍼 형상(A)의 하단부로 흘러 들어가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단자(100)와 부싱(200)간에 용접부위(B)가 형성된다.
이러한 용접부위(B)에 클램프(300)가 위치하므로 차량 운행시와 같은 진동이 있는 경우에 클램프(300)의 사선형의 날카로운 모서리(특히 클램프의 상단부 모서리)로 인하여 부싱(200)에 크랙이 유발되는 경우에도, 배터리 단자(100)와 부싱(200)간에 용접으로 인해 빈 틈새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배터리 전해액이 흘러나오지 않는 구조가 된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배터리 단자(100)를 부싱(200) 상단으로부터 5mm 아래 지점에서부터 테이퍼 형상(A)을 형성하도록 하고 배터리 단자(100)를 부싱(200)의 상단에서부터 상측으로 4mm 정도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이후 단자 용접을 위하여 토치로 가열시 테이퍼 형성(A)의 돌출부(4mm)가 용해되고, 용해된 납은 배터리 단자(100)에 테이퍼 형상(A)이 시작되는 부싱(200) 상단으로부터 5mm 아래 지점까지 흘러들어감으로 배터리 단자(100)와 부싱(200) 사이의 틈새가 메워진다. 즉 용접부위(B)가 형성되어 배터리 단자(100)와 부싱(200) 사이의 빈 공간이 제거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배터리 단자(100)의 테이퍼 형상(A)을 클램프(300)가 배터리 극주에 체결되는 체결부위 아래(즉, 클램프의 하단부 모서리 아래)에서 형성하도록 하여 용접부위(B) 위에 클램프(300)의 체결부위가 형성하도록 하여 클램프(300)의 상단부 모서리 또는 하단부 모서리로 인한 부싱(200)의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배터리 내부의 전해액이 흘러나오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배터리 단자
200 : 부싱(Bushing)
300 : 클램프(Clamp)
400 : 배터리 커버

Claims (4)

  1. 배터리에 있어서,
    상단부가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 단자; 및
    배터리 커버와 연결되고 상기 배터리 단자를 둘러싸고 있는 부싱(Bushing); 을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 단자의 상기 테이퍼 형상은 하단부가 상기 부싱으로 둘러싸여 있는 부분에서 시작하고 상단부는 상기 부싱의 외부 부분까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단자에 열을 가해 용접을 하는 경우에 상기 테이퍼 형상의 상단부가 용융되어 상기 배터리 단자와 상기 부싱 사이의 빈 공간이 메워지는 용접부위가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단자 극주에 클램프가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용접부위는 상기 클램프가 체결되는 체결부위의 상측부의 일부분까지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로 인해 발생하는 크랙으로 인한 전해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배터리 단자 극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위는 상기 클램프가 체결되는 체결부위의 모든 부분에 형성되는 배터리 단자 극주.
KR1020110120223A 2011-11-17 2011-11-17 전해액 유출을 방지하는 배터리 단자 극주 KR101313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223A KR101313442B1 (ko) 2011-11-17 2011-11-17 전해액 유출을 방지하는 배터리 단자 극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223A KR101313442B1 (ko) 2011-11-17 2011-11-17 전해액 유출을 방지하는 배터리 단자 극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686A KR20130054686A (ko) 2013-05-27
KR101313442B1 true KR101313442B1 (ko) 2013-10-01

Family

ID=4866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223A KR101313442B1 (ko) 2011-11-17 2011-11-17 전해액 유출을 방지하는 배터리 단자 극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4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9152A (ja) * 1989-07-18 1991-03-01 Furukawa Battery Co Ltd:The 鉛蓄電池の端子の形成法
JPH1145699A (ja) * 1997-07-29 1999-02-16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鉛蓄電池の端子形成法
JP2002110114A (ja) 2000-09-28 2002-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鉛蓄電池
JP2002216742A (ja) 2001-01-16 2002-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鉛蓄電池およびそ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9152A (ja) * 1989-07-18 1991-03-01 Furukawa Battery Co Ltd:The 鉛蓄電池の端子の形成法
JPH1145699A (ja) * 1997-07-29 1999-02-16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鉛蓄電池の端子形成法
JP2002110114A (ja) 2000-09-28 2002-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鉛蓄電池
JP2002216742A (ja) 2001-01-16 2002-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鉛蓄電池およびそ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686A (ko)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00255A (ja) 組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8802279B2 (en) Battery cover assembly and battery having the same
JP2017216759A (ja) 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JP2010177089A (ja) 鉛蓄電池
KR101313442B1 (ko) 전해액 유출을 방지하는 배터리 단자 극주
JP2001307714A (ja) 鉛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0301024A (en) Accumulator
CN207908773U (zh) 镜筒及包含该镜筒的镜头模组
JP5369841B2 (ja) 電池の製造方法
JP6818244B2 (ja) コネクタ
KR101222246B1 (ko) 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JP2016163388A (ja) 固定子、モータおよび圧縮機
JP6615314B2 (ja) 車載用ブラシ付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7583701U (zh) 一种低温潜液泵出液连接管结构
JP2014024443A (ja) リアアクスルの製造方法及びリアアクスル
CN101561340B (zh) 强效水冷短路环结构
JPH07235286A (ja) 鉛蓄電池の端子部形成法
CN102723529A (zh) 一种铅酸蓄电池及其制造方法
CN216773474U (zh) 一种提高烧焊质量的铅酸蓄电池端子结构
JP4292491B2 (ja) 鉛電池の端子接続方法
JP2018137216A (ja) 電線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並びに接続構造体の取り付け構造
KR101856958B1 (ko) 주금에 의한 파이프 연결구조
JP6507044B2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CN104295786B (zh) 电子膨胀阀
JP2012009320A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