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333B1 -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333B1
KR101311333B1 KR1020100057998A KR20100057998A KR101311333B1 KR 101311333 B1 KR101311333 B1 KR 101311333B1 KR 1020100057998 A KR1020100057998 A KR 1020100057998A KR 20100057998 A KR20100057998 A KR 20100057998A KR 101311333 B1 KR101311333 B1 KR 10131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self
curable resin
ultraviolet curable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959A (ko
Inventor
곽용실
이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폴리텍
Priority to KR1020100057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33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에폭시/변성실리콘/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3차원 구조를 갖는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혼합 올리고머 15 ~ 90 중량%, 모노머 9 ~ 65 중량%, 광개시제 0.9 ~ 15 중량% 및 첨가제 0.1 ~ 5 중량%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에폭시/변성실리콘/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광학필름을 제조하므로 유연하여 광학필름의 타발공정과 백라이트 조립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자기복원기능에 의해 프리즘필름의 상하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아 LCD 화면에 백점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굴절율과 휘도가 높고, 광산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프리즘 필름은 자기보호 기능이 있어 하부 보호필름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절감의 효과가 월등하다.

Description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Self-Recovered Ultraviolet Cured Resin And The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본 발명은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폭시/변성실리콘/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3차원 구조를 갖는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와 상기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의 주요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액정디스플레이(LCD)는 액정 자체가 발광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장치의 후면에 별도의 광원을 설치하여, 각 화소(pixel)에 설치된 액정을 통해 통과한 광의 세기를 조절하여 계조(contrast)를 구현한다. 즉,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는 액정 물질의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장치로, 장치 뒷면의 광원 램프에서 발광하여 각종 기능성 프리즘 필름 또는 시트를 통과하여 균일도와 방향성이 제어된 빛을 컬러 필터를 통과시켜 적, 녹, 청(R, G, B)의 색상을 구현하도록 하고, 전기적인 방법으로 각 화소의 계조(contrast)를 제어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간접 발광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또한,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에서 광원을 제공하는 발광 장치는 액정디스플레이의 휘도 및 균일도 등 화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품이다. 상기 발광 장치로는 백라이트 유닛(BLU)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은 기존의 냉음극형광램프(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의 광원에서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로 바뀌게 되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방출되는 빛을 순차적으로 도광판, 광확산필름, 프리즘필름을 통과시켜 액정 패널에 도달하게 한다.
여기서, 도광판은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평면 형태인 액정 패널의 전면에 분포되도록 전달하며, 광확산필름은 화면 전면에 걸쳐 균일한 광세기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프리즘필름은 광확산필름을 거친 다양한 방향의 광선을 관측자가 화상을 인식하기에 적합한 시야각 범위 내로 변환되도록 하는 광경로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광판의 하부에는 액정 패널로 전달되지 못하고 경로를 벗어난 광을 다시 반사하여 이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원의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반사필름이 구비된다.
이러한 광확산필름, 프리즘필름, 반사필름 등의 광학필름 제조시에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또는 자외선 경화형 우레탄-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수지로 만든 필름 도막이 딱딱하여(hard) 광학필름의 타발공정과 백라이트 조립 공정에서 불량의 주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휴대폰과 같은 소형 LCD의 경우에는 프리즘필름의 상하면의 마찰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LCD 화면에 백점 등이 발생하는 등 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으로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게 되면 LCD RK(LCD Refill Kit)가 더욱 얇아지게 되고 LCD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고굴절의 광학필름이 요구되나 종래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도가 약하여 프리즘산이 부서지는 등의 이유로 휘도가 저하되고 광산란 현상이 발생하여 광학필름 및 디스플레이 등 광학 부품에 사용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제조한 필름 도막의 딱딱한 성질에 의해 광학필름의 타발공정과 백라이트 조립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고 프리즘필름의 상하면의 마찰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LCD 화면에 백점이 발생하는 문제를 에폭시/변성실리콘/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3차원 구조를 갖는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제조하여 해결하고, 종래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도가 약하여 프리즘산이 부서지는 등의 이유로 휘도가 저하되고 광산란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고굴절, 내스크래치 및 내구성의 상기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제조하여 해결한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폭시/변성실리콘/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하기 화학식(1)의 3차원 구조를 갖는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제공한다.
화학식(1)
Figure 112010039299221-pat00001
또한, 본 발명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혼합 올리고머 15 ~ 90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9 ~ 65 중량%,
광개시제 0.9 ~ 15 중량% 및
첨가제 0.1 ~ 5 중량%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폭시/변성실리콘/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3차원의 구조를 갖는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광학필름을 제조하므로 유연하여 광학필름의 타발공정과 백라이트 조립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자기복원기능에 의해 프리즘필름의 상하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아 LCD 화면에 백점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굴절율과 휘도가 높고, 광산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프리즘 필름은 자기보호 기능이 있어 하부 보호필름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절감의 효과가 월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의 제품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의 FT-IR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제품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FT-IR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형성한 광학필름의 자기복원성을 시험한 결과로 A는 스크래치 전이고, B는 스크래치 상태이고, C는 스크래치 복원 후의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평균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에폭시/변성실리콘/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3차원 구조를 갖는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제조한 필름 도막의 딱딱한 성질에 의해 광학필름의 타발공정과 백라이트 조립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고 프리즘필름의 상하면의 마찰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하여 LCD 화면에 백점이 발생하는 문제를 에폭시/변성실리콘/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제조하여 해결한다.
그리고, 종래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도가 약하여 프리즘산이 부서지는 등의 이유로 휘도가 저하되고 광산란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고굴절, 내스크래치 및 내구성의 상기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폭시/변성실리콘/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3차원의 구조를 갖는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이때, 자기복원성이란 광학필름의 도막에 스크래치 등의 자국을 낸 후 방치하면 수십분 내에 스크래치 자국이 없어지며 원래의 깨끗한 필름 도막으로 되돌아 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는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실리콘 폴리올과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0.02:0.1:0.02:0.005:0.05 ~ 1:1:1:0.5:1의 몰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는 촉매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0005 ~ 0.2 몰과 중합금지제인 하이드로퀴논 0.005 ~ 2 몰을 첨가하여 60 ~ 120℃에서 0.5 ~ 24시간 반응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의 분자량은 500 ~ 10000g/mol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은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탐산, 아디프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PTMG),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TMEG), 폴리에스터폴리올 또는 폴리에테르폴리올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4,4-디사이클로헥실 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MDI),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데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사이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쇄연장제는 1,4-부탄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에틸렌 글리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실리콘 폴리올은 폴리디메틸 실록산 아미노 변성 실리콘 화합물, (KF-864; 신에츠, 상품명;제조사 이하 같다.), (KF-865; 신에츠,) (KF-868; 신에츠,), (KF-859; 신에츠,), (KF-393; 신에츠,), (KF-861; 신에츠,), 폴리디메틸 실록산 에폭시 변성 실리콘 화합물, (KF-101; 신에츠,), (X-22-343; 신에츠,), (X-22-4741;신에츠,), (KF-101; 신에츠,), 폴리디메틸 실록산 하이드록시 변성 실리콘 화합물(X-22-4049;신에츠,), (X-22-4015;신에츠,), (X-22-160AS;신에츠,), (KF-6001~3; 신에츠,), 알코올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X-22-4015; 신에츠), 아미노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X-22-161A; 신에츠), 하이드록시모노글리콜 디메틸폴리실록산(BY-16-201; 다우코닝), 모노글리콜 디메틸폴리실록산 또는 비이온계 저분자량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 메틸디메톡시 실란, β-3,4 에폭시 시클로헥실 트리메톡시 실란, γ-글리시드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γ-글리시드옥시 프로필 메틸디에톡시 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γ-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또는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벤질아크릴레이트(benzyl acrylate, BZA), 벤질메타크릴레이트(benzyl metaacrylate, BZMA), 페녹시 에틸아크릴레이트(phenoxyethyl acrylate, PHEA),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2-hydroxy-3-phenoxy propyl acrylate), 페닐티오에틸아크릴레이트(phenylthio ethyl acrylate), 큐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Cumyl phenoxy ethyl acrylate), 2-페닐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2-phenyl phenoxy ethyl acrylate), 2-하이드록시-3-페닐페녹시 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3-(phenylphonoxy)propyl acrylate), 2-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2-ethoxyethyl acrylate),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 PETA),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DPPA),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dipentaerythritol hexacrylate, DPH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PBA-001;한농화성),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HEA),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HPA),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ydroxybutyl acrylate, 4-HBA), 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벤질아크릴레이트(benzyl acrylate, BZA), 벤질메타크릴레이트(benzyl metaacrylate, BZMA), 페녹시 에틸아크릴레이트(phenoxyethyl acrylate, PHEA),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2-hydroxy-3-phenoxy propyl acrylate), 페닐티오에틸아크릴레이트(phenylthio ethyl acrylate), 큐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Cumyl phenoxy ethyl acrylate), 올소-페닐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o-phenyl phenoxy ethyl acrylate), 2-하이드록시-3-페닐페녹시 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3-(phenylphonoxy)propyl acrylate),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이다.
여기서, 모노머로서 아크릴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는 고굴절을 나타내고, 실리콘에 의해 유연하고, 양 말단에 아크릴레이트기가 결합한 것으로 상기 아크릴레이트기에 의해 자외선 경화가 가능하게 된다. 하기 그림 1-a 및 그림 1-b에 상기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그림 1-a]
Figure 112010039299221-pat00002
[그림 1-b]
Figure 112010039299221-pat00003

또한, 본 발명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혼합 올리고머 15 ~ 90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9 ~ 65 중량%, 광개시제 0.9 ~ 15 중량% 및 첨가제 0.1 ~ 5 중량%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F형, 페놀 노볼락형 또는 크레졸 노볼락형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에폭시 올리고머와 아크릴산을 8:2 ~ 2:8의 중량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촉매인 4급 암모늄염 0.005 ~ 20g과 중합금지제인 하이드로퀴논 0.5 ~ 50g을 첨가하여 80 ~ 120℃에서 5 ~ 36시간 반응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분자량은 400 ~ 10000g/mol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는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수산화나트륨촉매하에서 반응시켜 제조한다.
상기 비스페놀 F형 에폭시는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의 분자 가운데 있는 메칠기 대신에 수소기가 있는 구조로서 비스페놀 A형 에폭시보다 유연하다.
상기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와 상기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는 출발원료에 의해 나누어진다. 상기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는 상기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보다 고온 안정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올리고머는 3 ~ 20개의 모노머로 구성된 단위체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고굴절을 나타내고 양 말단에 아크릴레이트기가 결합한 것으로 상기 아크릴레이트기에 의해 자외선 경화가 가능하게 된다. 하기 그림 2에 일반적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그림 2]
Figure 112010039299221-pat00004

또한, 상기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에 대한 기재는 앞의 기재를 원용한다.
상기 혼합 올리고머의 함량은 15 ~ 90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올리고머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인 경우 굴절율이 매우 낮고 강도가 적고 점도가 낮아 사용하기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상기 혼합 올리고머의 함량이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벤질아크릴레이트(benzyl acrylate, BZA), 벤질메타크릴레이트(benzyl metaacrylate, BZMA), 페녹시 에틸아크릴레이트(phenoxyethyl acrylate, PHEA),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2-hydroxy-3-phenoxy propyl acrylate), 페닐티오에틸아크릴레이트(phenylthio ethyl acrylate), 큐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Cumyl phenoxy ethyl acrylate), 올소-페닐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o-phenyl phenoxy ethyl acrylate), 2-하이드록시-3-페닐페녹시 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3-(phenylphonoxy)propyl acrylate), 2-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2-ethoxyethyl acrylate),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 PETA),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DPPA),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dipentaerythritol hexacrylate, DPH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HEA),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HPA),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ydroxybutyl acrylate, 4-HB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아크릴산을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가지고 있어 자외선에 경화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필름용 고굴절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의 점도 조절을 위한 희석제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고굴절 모노머로도 작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함량이 9 ~ 6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함량이 9 중량% 미만인 경우 희석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함량이 6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너무 낮아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광개시제는 벤자이온알킬에테르(benzionalkylether), 벤조페논(Benzophenone), 벤질디메틸케탈(Benzyldimethylkatal),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 cyclohexyl phenylketone), 1,1-디클로로 아세토페논(1,1-dichloro-acetophenone), 2-클로로 티오산톤(2-chloro-thioxanthone), 비스(2,4,6-트라이메틸 벤조일)페닐 포스핀 옥사이드(bis(2,4,6-trimethyl benzoyl) phenyl phosphine oxide), 2,4,6-트라이메틸 벤조일 다이페닐 포스핀(2,4,6-trimethyl benzoyl diphenyl phosphine, TPO) 또는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2-hydroxy-2-methyl-1-phenyl-1-propane)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필름의 투명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알파 하이드록시 케톤계 광개시제인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광개시제는 자외선에 의해 라디칼을 형성하고 상기 광학필름용 고굴절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존재하는 불포화탄화수소를 가교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0.9 ~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0.9 중량% 미만인 경우 수지 조성물이 경화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이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광학필름이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이형제, 슬립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또는 레벨링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벨링제는 BYK Chemie사의 BYK-3500, BYK-333, BYK-347, BYK-348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다. 상기 레벨링제는 도막의 슬립 및 광택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첨가제로서 Hanse Chemie사의 XP-1045, XP-0596, XP-0768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한다. 상기 XP-1045, XP-0596, XP-0768 등의 첨가제는 슬립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또는 레벨링제의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상기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점도는 25℃에서 50 ~ 10,000cps이고, 제조된 필름의 굴절율은 1.54 ~ 1.58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 무용제 타입으로 제조한다.
이와 별개로 상기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유기용매를 사용한 용제 타입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프리즘 형상을 구비한 프리즘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프리즘 필름은 자기보호 기능이 있어 하부 보호필름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절감의 효과가 월등하다.
또한, 상기 프리즘 필름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노트북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합성 >
1000ml 4구 라운드 플라스크에 PPG 형 폴리올(제조회사:KPX 케미칼) 0.05mole과 이소시아네이트(제조회사: 알드리치) 0.2mole, 쇄연장제(제조회사: 알드리치) 0.04mole, 실리콘 폴리올(제조회사: 다우코닝) 0.01mole, 아크릴폴리올(아크릴기 함유 폴리올 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제조회사: 알드리치) 0.2mole을 하기 표 1 내지 표 2과 같은 성분으로 첨가하고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제조회사: 알드리치) 촉매 0.001mole과 하이드로퀴논(제조회사:알드리치) 중합금지제 0.01mole을 첨가한 후 85℃에서 4시간 반응시켜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다.
시료 폴리올(mole) 실리콘
폴리올
IPDI
(mole)
DEG
(mole)
2-HEA
(mole)
PPG-400 PPG-750 PPG-1000 BY-201
(mole)
USAO-1 0.05 - - 0.01 0.2 0.04 0.2
USAO-2 - 0.05 - 0.01 0.2 0.04 0.2
USAO-3 - - 0.05 0.01 0.2 0.04 0.2
시료 이소시아네이트(mole) 실리콘
폴리올
PPG-1000
(mole)
DEG
(mole)
2-HEA
(mole)
IPDI HMDI H12MDI BY-201
(mole)
USAO-3 0.2 - - 0.01 0.05 0.04 0.2
USAO-4 - 0.2 - 0.01 0.05 0.04 0.2
USAO-5 - - 0.2 0.01 0.05 0.04 0.2
상기 IPDI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약어이다.
상기 HMDI는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약어이다.
상기 H12MDI 는 4,4-디사이클로헥실 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의 약어이다.
상기 PPG-400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400의 약어이다.
상기 PPG-750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750의 약어이다.
상기 PPG-1000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1000의 약어이다.
상기 BY-201은 모노글리콜 디메틸폴리실록산(BY-16-201)의 상품명이다.
상기 DEG는 디에틸렌 글리콜의 약어이다.
상기 2-HEA는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약어이다.
상기 HPA는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의 약어이다.
상기 4-HBA는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의 약어이다.
합성한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의 제품 사진은 도 1에 기재하였고, 상기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의 FT-IR 사진은 도 2에 기재하였다.
상기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의 굴절율, 외관과 점도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하기 표 3와 같이, 상기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는 일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보다 굴절율이 높고 색도인 외관이 최대 100으로서 백색에 가깝고, 점도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USAO-1 USAO-2 USAO-3 USAO-4 USAO-5
점도(cps/60) 8650 8820 9200 8730 8960
굴절률(25) 1.492 1.491 1.493 1.492 1.492
외관(APHA) 100 100 100 100 100
(1) 점도
합성한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의 점도 측정은 ThermoFisher 사의 Galling ball viscometer C type으로 적정온도에서 ball의 낙하시간을 측정하여 점도로 환산하였다.
(2) 굴절률
굴절률 측정은 ATAGO 사의 NAR-3T 제품으로 적정온도에서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3) 외관(APHA)
합성한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의 외관(색도) 측정은 APHA Color로 나타내며 표준 시료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4) FI-IR
FT-IR측정은 Bruker alpha 제품으로 측정하여 구조를 분석하였다.
< 고굴절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 EAO ) 합성 >
1000ml 4구 라운드 플라스크에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올리고머(제조회사: 국도화학) 187g과 아크릴산(제조회사: 알드리치) 72g을 하기 표 4와 같은 성분으로 첨가하고 4급 암모늄(제조회사:알드리치; 구체적인 화합물 명기 필요) 촉매 0.01g과 하이드로퀴논(제조회사:알드리치) 중합금지제 1.1g을 첨가한 후 100℃에서 10시간 반응시켜 고굴절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다.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올리고머(g)
시료 아크릴산(g) YD-127
(상품명)
YD-128
(상품명)
YD-128A
(상품명)
YD-128M
(상품명)
EAO-1 72 187 - - -
EAO-2 72 - 187 - -
EAO-3 72 - - 187 -
EAO-4 72 - - - 187
합성한 고굴절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제품 사진은 도 3에 기재하였고, 상기 고굴절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FT-IR 사진은 도 4에 기재하였다.
상기 고굴절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굴절율, 점도, 외관(색도)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하기 표 5와 같이, 상기 고굴절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굴절율이 높고 점도가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색도인 외관이 최대 50으로서 백색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EAO-1 EAO-2 EAO-3 EAO-4
굴절률(25) 1.560 1.560 1.560 1.560
점도(cps/60) 6000 6700 6800 6850
외관(APHA) 50 50 50 50
(1) 점도
합성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점도 측정은 ThermoFisher 사의 Galling ball viscometer C type으로 적정온도에서 ball의 낙하시간을 측정하여 점도로 환산하였다.
(2) 굴절률
굴절률 측정은 ATAGO 사의 NAR-3T 제품으로 적정온도에서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3) 외관(APHA)
합성한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외관(색도) 측정은 APHA Color로 나타내며 표준 시료와 비교하여 측정한다.
(4) FI-IR
FT-IR측정은 Bruker alpha 제품으로 측정하여 구조를 분석하였다.
<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제조 >
1000 ml 4구 라운드 플라스크에 실시예 1의 자기복원성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 레이트, 실시예 2의 고굴절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 모노머 , 광개시제 , 첨가제를 하기 표 6과 같이 배합하여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ESP -01 내지 ESP -3)을 제조하였다.
원료(중량%) ESP-01 ESP-02 ESP-03
올리고머 EAO-1 28 28 28
USAO-3 37.9
USAO-4 37.9
USAO-5 37.9
모노머
BZMA 3 3 3
BZA 3 3 3
HPPPA 9 9 9
PPEA(PP-011) 10 10 10
광개시제 Doublecure TPO 1 1 1
Chivacure 184 4 4 4
Chivacure 173 4 4 4
첨가제 XP-1045 0.1 0.1 0.1
여기서, BZMA는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약어이다.
BZA는 벤질 아크릴레이트의 약어이다.
HPPPA는 2-하이드록시-3-페닐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의 약어이다.
PPEA는 페닐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약어이다.
Doublecure TPO는4,6-트라이메틸 벤조일 다이페닐 포스핀의 상품명으로 장파장 개시제이다.
Chivacure 184는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의 상품명으로 단파장 개시제이다.
Chivacure 173은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의 상품명으로 단파장 개시제이다.
XP-1045는 슬립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레벨링제의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첨가제이다.
상기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굴절율과 점도 등의 물성을 하기 표 7에 기재하였다. 하기 표 7과 같이, 상기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광학필름의 굴절율이 높고 컬(curl)이 나타나지 않고 접착력이 우수하고 경도가 크고, 자기복원율이 현저하고, 상기 조성물의 점도가 광학필름용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Test item ESP-01 ESP-02 ESP-03
굴절률(25) 1.541 1.541 1.541
접착력
(100/100)
100/
100
100/
100
100/
100
점도
(cps/25)
290 260 275
자기복원율(%) 90 90 95
curl(mm) 0 0 0
경도 2 2 2
(1) 굴절률
굴절률 측정은 ATAGO 사의 NAR-3T 제품으로 25에서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2) 접착력 시험
필름에 자외선 경화 수지로 프리즘 패턴을 형성한 후 cross cut로 접착력을 시험하였다.
(3) 점도
광학필름용 고굴절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의 점도 측정은 ThermoFisher 사의 Galling ball viscometer C type으로 25에서 ball의 낙하시간을 측정하여 점도로 환산하였다.
(4) 자기복원율(soft feel) 측정
프리즘 필름을 규격대로 커팅한 후 브러쉬로 한번 문지른 후 20분 후에 원상 회복율(자기복원율)을 측정하였다(도 5 참조).
(5) curl 시험
코팅된 필름을 스평판위에 두고 curl이 발생되는 mm를 측정하였다.
(6) 경도 시험
경도시험은 코팅된 필름에 연필경도계로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프리즘 필름의 신뢰성 시험(전, 후)의 접착력, 경도 등의 물성을 하기 표 8에 기재하였다. 하기 표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프리즘 필름의 신뢰성 시험(전, 후)의 접착력, 컬(curl), 경도의 물성 저하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Test item ESP-01 ESP-02 ESP-03
접착력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curl 0 0 0
0.05 0.05 0.05
경도 2 2 2
2 2 2
여기서, 신뢰성 시험은 항온항습기에서 80℃의 온도와 80%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24시간 후에 접착력, 컬(curl), 경도를 측정한 것이다.
또한, 상기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프리즘 필름의 휘도 신뢰성 비교 시험을 하였다.
<시험조건>
·칩색(Chip Color) : 흰색
·분(min)당 표면조도(Surface Luminance) : 3000 cd/m2
·균일도(Uniformity) : 최소 80%
·측정조건 : 측정기구 : BM-7
측정환경 : 암실
측정포인트 : 9 point
측정필드 : 1.0
전류 (15 mA)
공동(Cavity) : BPT
균일도(Uniformity) = (최소/최대) × 100
Figure 112010039299221-pat00005

시험결과를 하기 표 9에 기재하였다.
DATA ESP-01 ESP-02 ESP-03
3,836.0 3,716.0 3,830.0
3,993.0 3,877.0 3,885.0
3,903.0 3,942.0 3,909.0
3,919.0 3,781.0 3,759.0
3,883.0 3,840.0 3,781.0
3,759.0 3,860.0 3,730.0
3,962.0 3,927.0 3,858.0
3,773.0 3,809.0 3,812.0
3,797.0 3,840.0 3,855.0
평균 3,869.4 3,843.6 3,824.3
최대 3,993.0 3,942.0 3,909.0
최대 3,759.0 3,716.0 3,730.0
균일도(Uniformity) 94.14% 94.27% 95.42%
Chroma-X 0.2924 0.2937 0.2915
Chroma-Y 0.2882 0.2904 0.2879
상기 표 9에서 살펴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3의 결과물로서의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휘도 신뢰성 결과는 휘도값이 3824 ~ 3869에 이르는 우수함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와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의 혼합 올리고머 15 ~ 90 중량%,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9 ~ 65 중량%,
    광개시제 0.9 ~ 15 중량% 및
    첨가제 0.1 ~ 5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이형제, 슬립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또는 레벨링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는 분자량 400 내지 1000 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실리콘 폴리올과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0.02: 0.1: 0.02: 0.005: 0.05 ~ 1: 1: 1: 0.5: 1의 몰비로 첨가하고,
    상기 우레탄 실리콘 아크릴레이트는 촉매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0005 ~ 0.2 몰과 중합금지제인 하이드로퀴논 0.005 ~ 2 몰을 첨가하여 60 ~ 120℃에서 0.5 ~ 24시간 반응시켜 형성하되,
    점도는 25℃에서 50~10,000cps이고, 제조된 필름의 굴절율은 1.54~1.5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F형, 페놀 노볼락형 또는 크레졸 노볼락형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에폭시 올리고머와 아크릴산을 8:2 ~ 2:8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촉매인 4급 암모늄염 0.005 ~ 20g과 중합금지제인 하이드로퀴논 0.5 ~ 50g을 첨가하여 80 ~ 120℃에서 5 ~ 36시간 반응시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벤질아크릴레이트(benzyl acrylate, BZA), 벤질메타크릴레이트(benzyl metaacrylate, BZMA), 페녹시 에틸아크릴레이트(phenoxyethyl acrylate, PHEA),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2-hydroxy-3-phenoxy propyl acrylate), 페닐티오에틸아크릴레이트(phenylthio ethyl acrylate), 큐밀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Cumyl phenoxy ethyl acrylate), 올소-페닐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o-phenyl phenoxy ethyl acrylate), 2-하이드록시-3-페닐페녹시 프로필아크릴레이트(2-hydroxy-3-(phenylphonoxy)propyl acrylate), 2-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2-ethoxyethyl acrylate) ,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이트(pentaerythritol triacrylat, PETA),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DPPA),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dipentaerythritol hexacrylate, DPH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acrylate, HEA),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HPA),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ydroxybutyl acrylate, 4-HB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벤자이온알킬에테르(benzionalkylether), 벤조페논(Benzophenone), 벤질디메틸케탈(Benzyldimethylkatal),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1-Hydroxy cyclohexyl phenylketone), 1,1-디클로로 아세토페논(1,1-dichloro-acetophenone), 2-클로로 티오산톤(2-chloro-thioxanthone), 비스(2,4,6-트라이메틸 벤조일)페닐 포스핀 옥사이드(bis(2,4,6-trimethyl benzoyl) phenyl phosphine oxide), 2,4,6-트라이메틸 벤조일 다이페닐 포스핀(2,4,6-trimethyl benzoyl diphenyl phosphine, TPO) 또는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2-hydroxy-2-methyl-1-phenyl-1-propane)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프리즘 형상을 구비한 프리즘 필름.
  14. 제13항의 프리즘 필름을 구비한 백라이트 장치.
  15. 제14항의 백라이트 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쇄연장제는 1,4-부탄디올, 디에틸렌 글리콜 또는 에틸렌 글리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폴리올은 알코올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아미노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폴리디메틸 실록산 아미노변성 실리콘 화합물, 폴리디메틸 실록산 에폭시 변성 실리콘 화합물, 폴리디메틸 실록산 하이드록시 변성 실리콘 화합물, 모노글리콜 디메틸폴리실록산 또는 비이온계 저분자량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1020100057998A 2010-06-18 2010-06-18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101311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998A KR101311333B1 (ko) 2010-06-18 2010-06-18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998A KR101311333B1 (ko) 2010-06-18 2010-06-18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959A KR20110137959A (ko) 2011-12-26
KR101311333B1 true KR101311333B1 (ko) 2013-10-14

Family

ID=4550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998A KR101311333B1 (ko) 2010-06-18 2010-06-18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3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0110B2 (en) 2015-02-03 2019-09-03 Lg Chem, Ltd. Composition for forming self-healing coating layer, coating layer and coating film
WO2020208197A1 (en) * 2019-04-11 2020-10-15 Henkel IP & Holding GmbH Anaerobically curable composi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8616B2 (en) 2013-01-21 2016-04-12 Innovative Finishes LLC Refurbished component,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refurbishing a component of an electronic device
KR101488316B1 (ko) 2013-07-05 2015-0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크래치 자가복원 도료 조성물
KR102031417B1 (ko) * 2016-08-26 2019-11-08 주식회사 애스크와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광학 기판 소재
KR101967026B1 (ko) * 2016-09-30 2019-04-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윈도우 필름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
KR102118395B1 (ko) * 2016-11-11 2020-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화성 조성물
KR101979784B1 (ko) * 2017-07-05 2019-05-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Uv 경화용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69223B1 (ko) * 2017-08-31 2019-04-15 전자부품연구원 Uv 경화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필름
KR102135512B1 (ko) * 2018-11-23 2020-07-17 조방섭 폴리올레핀계 이형 코팅제 조성물
KR102383513B1 (ko) * 2021-06-25 2022-04-08 (주) 코스폴 내후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구조용 접착제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2861A (en) 1991-10-01 1994-06-21 Mitsubishi Kasei Corporation Ultraviolet-hardening urethane acrylate oligomer
JP2003313215A (ja) 2002-02-20 2003-1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樹脂組成物および光学素子
KR100643335B1 (ko) 2006-08-17 2006-11-10 주식회사 디에프씨 긁힘방지 및 자기복원성을 갖는 수지조성물
KR20080101584A (ko) * 2007-05-18 2008-11-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프리즘시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2861A (en) 1991-10-01 1994-06-21 Mitsubishi Kasei Corporation Ultraviolet-hardening urethane acrylate oligomer
JP2003313215A (ja) 2002-02-20 2003-11-06 Dainippon Printing Co Ltd 樹脂組成物および光学素子
KR100643335B1 (ko) 2006-08-17 2006-11-10 주식회사 디에프씨 긁힘방지 및 자기복원성을 갖는 수지조성물
KR20080101584A (ko) * 2007-05-18 2008-11-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프리즘시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0110B2 (en) 2015-02-03 2019-09-03 Lg Chem, Ltd. Composition for forming self-healing coating layer, coating layer and coating film
WO2020208197A1 (en) * 2019-04-11 2020-10-15 Henkel IP & Holding GmbH Anaerobically curable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959A (ko)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333B1 (ko)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US8319913B2 (en) Resin-type lightguide plate composition, backlight unit including lightguide plate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TW201522470A (zh) 活性能量射線硬化型組成物與其硬化物及具有其硬化塗布膜之物品
JP2014106275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加飾フィルム及び保護フィルム
JP2008063433A (ja) ディスプレイ貼着用透明フィルム
KR101347176B1 (ko)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 복합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외선 경화형 유무기 복합수지 조성물
KR101296200B1 (ko) 광학필름용 고굴절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JP5055763B2 (ja) 光学物品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CN103988099B (zh) 光学膜和包含该光学膜的光学显示装置
US20130148330A1 (en) Optical film,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8779313B (zh) 固化性组合物及光学构件
KR20120050069A (ko) 수지형 도광판용 조성물, 이로 형성된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CN109735143B (zh) 一种高阻隔组合物及一种无阻隔膜的量子点薄膜
TW201610027A (zh) 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以及使用其之層合體
KR101256456B1 (ko) 무용매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제
KR100658513B1 (ko)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수지
KR101282991B1 (ko) 휘도가 우수한 광확산 도료 조성물
EP3690499A1 (en) Visibility-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90022288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080101584A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프리즘시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KR101255661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광학필름
KR20130067774A (ko) 수지형 도광판용 조성물, 이로 형성된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007695A (ko) 광경화성 무황변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판디스플레이
JP7355033B2 (ja) 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樹脂、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KR20190055881A (ko) 휘도 향상 필름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