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513B1 -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수지 - Google Patents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513B1
KR100658513B1 KR1020060089474A KR20060089474A KR100658513B1 KR 100658513 B1 KR100658513 B1 KR 100658513B1 KR 1020060089474 A KR1020060089474 A KR 1020060089474A KR 20060089474 A KR20060089474 A KR 20060089474A KR 100658513 B1 KR100658513 B1 KR 100658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isocyanate
acrylate
isocyanate
modified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규
Original Assignee
임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규 filed Critical 임진규
Priority to KR1020060089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18Introducing halogen atoms or halogen-containing groups
    • C08F8/20Haloge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83Chemically modified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레이트 수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굴절율을 갖고 각종 기재에 접착력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아크릴레이트 수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분자중에 1개이상의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지며 한 분자 이상의 플루오렌을 함유하는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반응의 결과로 분자 내에 플루오렌 구조 및 우레탄기를 포함한 화합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굴절율, 접착력 및 내마모성이 매우 우수하여 광학필름, 카메라, 복사기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광학렌즈, 안경재료용 광학 렌즈 및 기타 광학재료에도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고굴절율, 비스플루오렌, 우레탄기, 아크릴레이트

Description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Bisfluorene Modified Urethane Acrylate Resin having High Refractive Index}
본 발명은 아크릴레이트 수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굴절율을 갖고 각종 기재에 접착력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아크릴레이트 수지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에 의하여 경화되는 감광성 수지는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메타)아크릴레이트, 불소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경화후 기계적 강도가 높고, 내약품성, 각종 기재에 대한 부착성 및 가공성이 좋아 광에 의하여 경화되는 형태의 각종 잉크, 코팅제 또는 접착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킨 후,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부가반응시켜 제조하나 용도에 따라 원하는 물성을 얻기 위하여 관능기를 도입하는 등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테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3-12889호에는 유연성 및 대전방지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부가반응시킨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3-12889호에는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할로겐을 도입한 감광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미국특허 제4,153,778호에는 경화속도가 빠르면서도 점도가 낮은 섬유 코팅제를 얻기 위하여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물에 아크릴레이트와 함께 카르복실산을 반응시킨 감광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4,174,307호에는 활성수소를 도입한 수불용성 감광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5,578,693호에는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물에 알콕시 폴리하이드릭 알코올을 결합시킨 감광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들은 대부분 굴절율이 낮아서 광학 제품에 사용되는 아크릴레이트 수지로는 사용에 한계가 있다.
굴절율이 높은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광학 제품, 즉 광학 렌즈, 광학 필름, 및 광 미디어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광학필름은 액정디스플레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제품에 사용이 가능하고 그 중에서도 액정 디스플레이 후면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니트의 휘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나, 종래의 개시된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굴절율이 낮아 광학필름에 사용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굴절율이 낮아 광학용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대신에 새로운 높은 굴절율을 갖고 각종 기재에 접착력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분자중에 1개이상의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지며 한 분자 이상의 플루오렌을 함유하는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반응의 결과로 분자 내에 플루오렌 구조 및 우레탄기를 포함한 화합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플루오렌을 함유하는 폴리올은 분자량이 300 내지 2000의 플루오렌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아크릴레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글리세롤 디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디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솔비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비스(4-사이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네이토-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보란 디이소시아네이트, 다이머산 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화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화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디메틸페닐-2,4-디이소시아네이트, 1,3-디메틸페닐-4,6-디이소시아네이트, 1,4-디메틸페닐-2,5-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페닐-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4-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2,7-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7-헵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8-옥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9-노나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 트, 1,10-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1,5'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톡시-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부톡시-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사이클로 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1,3-사이클로 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는,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디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디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솔비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플루오렌을 함유하는 폴리올에 이소시아네이트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킨 화합물로 구성된다.
좀 더 자세하게는, 플루오렌을 함유하는 폴리올은 플루오렌 구조에 양말단에 수산기를 가지고 있고 분자량이 통상 300 내지는 2000 이내로 조절된다. 분자량이 300이하이면 경화도막이 깨어지기 쉽고, 2000이상이면 경화속도가 느리고 표면 경도가 낮고 굴절율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상에 어려움이 있다.
이들 작용기에 반응시킬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 모노 아크릴레이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소시아네이트 모노 아크릴레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다.
이소시아네이트 모노 아크릴레이트는, 이소시아네이토 에틸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토 에틸 모노아크릴레이트를 직접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 작용기에 반응시킬수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아크릴레이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아크릴레이트는 디-이소시아네이트나 트리-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하이드록시 그룹을 갖는 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킨 것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메틸렌-비스(4-사이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네이토-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보란 디이소시아네이트, 다이머산 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화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화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디메틸페닐-2,4-디이소시아네이트, 1,3-디메틸페닐-4,6-디이 소시아네이트, 1,4-디메틸페닐-2,5-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페닐-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4-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2,7-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7-헵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8-옥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9-노나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10-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1,5'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톡시-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부톡시-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사이클로 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1,3-사이클로 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것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로는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디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디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솔비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의 생성을 실시예와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플루오렌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은 플루오렌 폴리올 1.0몰과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 1.8 내지 2.2몰과 함께 중합금지제, 촉매를 반응기에 넣고 교반하면서 45℃로 승온하여 반응을 유지시킨다. 반응이 안정화 되면 70℃에서 대략 15시간 반응시킨다. 반응의 종말점은 FT-IR로 NCO 피이크의 소멸을 확인하는 것으로 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는 60℃로 냉각하여 여과 후 포장한다.
상술한 반응에서 중합금지제는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터셔리부틸카테콜, 파라-벤조퀴논, 하이드로퀴논, 페노치아진,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파이로갈롤, 모노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 디터셔리부틸하이드로퀴논 등을 사용하며, 반응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반응에서 촉매는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틴 옥토에이트, 염화제일주석, 테트라-N-부틸틴, 트리-N-부틸틴아세테이트, N-부틸틴 트리클로라이드, 트리메틸틴하이드록사이드, 디메틸틴 디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하며, 반응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1.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반응을 기준으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서술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4구 플라스크에 분자량 360의 플루오렌 폴리올 360 g, 이소시아네이토 에틸 모노 아크릴레이트 282g 및 중합금지제로 하이드로퀴논 0.6 g과 촉매로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12 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서서히 45℃까지 승온시켰다.
반응이 유지된 후 최종 70℃에서 15시간 반응시키고, 반응이 종결된 후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128,4g을 희석후 여과하여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얻었다.
< 실시예 2>
4구 플라스크에 분자량 378의 플루오렌 폴리올 378 g, 이소시아네이토 에틸 모노 아크릴레이트 282g 및 중합금지제로 하이드로퀴논 0.6 g과 촉매로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12 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서서히 45℃까지 승온시켰다.
반응이 유지된후 최종 70℃에서 15시간 반응시키고, 반응이 종결된 후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132.0g을 희석후 여과하여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얻었다.
< 실시예 3>
4구 플라스크에 분자량 438의 플루오렌 폴리올 438 g, 이소시아네이토 에틸 모노 아크릴레이트 282g 및 중합금지제로 하이드로퀴논 0.6 g과 촉매로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12 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서서히 45℃까지 승온시켰다.
반응이 유지된후 최종 70℃에서 15시간 반응시키고, 반응이 종결된 후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144.5g을 희석후 여과하여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 레이트 수지를 얻었다.
< 실시예 4>
4구 플라스크에 분자량 438의 플루오렌 폴리올 438 g, 이소시아네이토 에틸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312g 및 중합금지제로 하이드로퀴논 0.6 g과 촉매로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12 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서서히 45℃까지 승온시켰다.
반응이 유지된후 최종 70℃에서 15시간 반응시키고, 반응이 종결된 후 페녹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150.0g을 희석후 여과하여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얻었다.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얻은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화제인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타사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특성과 비교하여 보았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에서 얻은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을 각각 sample-A 내지 sample-D로 나타내고, 비교 대상인 타사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을 sample-E로 나타내고, 각각 광개시제(1-하이드록시 사이클로 헥실 페닐 케톤)을 첨가한 샘플 배합비를 나타낸 것이다.
[표 2]는 [표 1]의 샘플들을 자외선램프로 경화시킨 후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개시한 것이다.
Sample-A Sample-B Sample-C Sample-D Sample-E
배 합 비 (중 량 부) 실시예 1의 화합물 100
실시예 2의 화합물 100
실시예 3의 화합물 100
실시예 4의 화합물 100
EBECRYL EB-204 100
Irgacure-184 3 3 3 3 3
Sample-A Sample-B Sample-C Sample-D Sample-E
굴절율 1.6150 1.6100 1.6061 1.6012 1.5113
경화성(mJ/cm2) 200 200 200 250 250
부착성 100/100 100/100 100/100 100/100 88/100
내마모성(mg) 20 22 28 33 57
[표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sample-A 내지 sample-D)의 특성이 비교 대상인 타사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sample-E) 보다 굴절율, 경화성, 부착성 및 내마모성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참고로, [표 2]에 개시된 특성치에 대한 물성 시험 방법은 다음을 기준으로 하여 시험한 결과이다.
(1) 굴절율: 굴절율은 아타고사의 아베 굴절계인 아타고 3T를 사용하여 눈금이 일치하는 값을 소수점 넷째자리까지 읽는다.
(2) 경화성 : 200 × 200 mm의 PET 시트 두께 20 마이크론으로 코팅한 후 120W의 고압 수은등으로 된 자외선 경화 장치로 경화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계산한다.
(3) 부착성: 부착성은 PET필름의 코팅한 면에 줄간격 1.5mm로 11줄씩 가로줄과 세로줄을 그어서 칸의 수가 100칸이 되게 한 다음, 3M사의 셀로테이프 600번을 붙였다가 바로 떼어내서 100칸중 남아 있는 칸의 수를 센다(ASTM D3359).
(4) 내마모성(mg) : Taber사의 Taber abraser를 사용하여 abrading wheel에 500 g의 하중을 가하고 100 cycle을 회전시켜서 마모가 되어 감소한 무게(mg)를 측정하여 마모된 정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기존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보다 굴절율이 월등히 높고 각종 기재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매우 우수하여 광학필름, 카메라, 복사기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광학렌즈, 안경재료용 광학 렌즈 및 기타 광학재료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는 기존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보다 굴절율이 월등히 높고 각종 기재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내마모성이 매우 우수하여 광학필름, 카메라, 복사기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산업용 광학렌즈, 안경재료용 광학 렌즈 및 기타 광학재료에도 이용이 가능하고 플라스틱 하드코팅재료 및 각종 코팅재료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6)

  1. 분자중에 1개이상의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지며 한 분자 이상의 플루오렌을 함유하는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반응의 결과로 분자 내에 플루오렌 구조 및 우레탄기를 포함한 화합물을 얻는,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렌을 함유하는 폴리올은 분자량이 300 내지 2000의 플루오렌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레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에틸 메타 아크릴레이트인,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아크릴레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글리세롤 디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디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솔비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메틸렌-비스(4-사이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네이토-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보란 디이소시아네이트, 다이머산 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화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화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디메틸페닐-2,4-디이소시아네이트, 1,3-디메틸페닐-4,6-디이소시아네이트, 1,4-디메틸페닐-2,5-디이소시아네이트, 1-클로로페닐-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4-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2,7-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파라-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7-헵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8-옥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9-노나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10-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1,5-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1,5'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톡시-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부톡시-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사이클로 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1,3-사이클로 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하나인,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는,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하이드록시 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디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디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솔비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고굴절율을 갖는 비 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KR1020060089474A 2006-09-15 2006-09-15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수지 KR100658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474A KR100658513B1 (ko) 2006-09-15 2006-09-15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474A KR100658513B1 (ko) 2006-09-15 2006-09-15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513B1 true KR100658513B1 (ko) 2006-12-15

Family

ID=3773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474A KR100658513B1 (ko) 2006-09-15 2006-09-15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5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189B1 (ko) 2007-10-11 2010-06-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레탄기를 포함하는 플루오렌계 수지 중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네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WO2014104513A1 (en) * 2012-12-28 2014-07-03 Daelim Chemical Co., Ltd. High refractive (meta) acrylate derivativ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18087284A (ja) * 2016-11-29 2018-06-07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光学物品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物品
CN113637442A (zh) * 2021-08-12 2021-11-12 太仓申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微棱镜反光膜用紫外光固化转印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6152A (ja) * 1996-03-06 1997-11-18 Nippon Steel Chem Co Ltd 多官能ウレタンアクリレート系ハードコート剤
JP2001131242A (ja) 1999-11-02 2001-05-15 Nippon Kayaku Co Ltd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らの硬化物
JP3324854B2 (ja) 1993-12-27 2002-09-17 株式会社トクヤマ 重合性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4854B2 (ja) 1993-12-27 2002-09-17 株式会社トクヤマ 重合性組成物
JPH09296152A (ja) * 1996-03-06 1997-11-18 Nippon Steel Chem Co Ltd 多官能ウレタンアクリレート系ハードコート剤
JP2001131242A (ja) 1999-11-02 2001-05-15 Nippon Kayaku Co Ltd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らの硬化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189B1 (ko) 2007-10-11 2010-06-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레탄기를 포함하는 플루오렌계 수지 중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네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WO2014104513A1 (en) * 2012-12-28 2014-07-03 Daelim Chemical Co., Ltd. High refractive (meta) acrylate derivativ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9416122B2 (en) 2012-12-28 2016-08-16 Daelim Chemical Co., Ltd. High refractive (meth)acrylate derivativ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18087284A (ja) * 2016-11-29 2018-06-07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光学物品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物品
CN113637442A (zh) * 2021-08-12 2021-11-12 太仓申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微棱镜反光膜用紫外光固化转印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637442B (zh) * 2021-08-12 2023-09-22 太仓申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微棱镜反光膜用紫外光固化转印胶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39030B1 (en) Optical fibre coatings and their production
TWI476248B (zh)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hardened product thereof, resin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20110077334A1 (en) 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reactive (meth) acrylate polymer and cured products thereof
US20100087611A1 (en) Urethane compound, 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cured product thereof
KR101021577B1 (ko) 광경화형 코팅 조성물
CN102786640B (zh) 光学透镜片用能量射线固化型树脂组合物、其固化物及光学透镜片
KR20100033533A (ko) 경화성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
JPWO2010146801A1 (ja) ウレタン(メタ)アクリレート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
KR100658513B1 (ko) 고굴절율을 갖는 비스플루오렌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수지
CN111675995A (zh) 一种低折射率的光学双面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8466208B2 (en) Curable sheet composition
JP5307511B2 (ja) 被膜形成用ラジカル重合性樹脂組成物
JP2009209256A (ja) ウレタン化合物を含有した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JP2009221358A (ja) 硬化性樹脂組成物、転写用フィルム積層体、及び衝撃吸収用積層体
JP2011033875A (ja) 光学レンズ用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光学レンズ
JPS63275619A (ja) 光フアイバ−被覆用組成物
KR101255661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광학필름
JP4140952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2006348170A (ja) 接着剤用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
JP3055196B2 (ja) 耐熱性光ファイバ被覆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光ファイバ
JP3670747B2 (ja) 光学部材作成用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
JP2002338641A (ja) 液状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光ファイバ用被覆組成物、及び光ファイバ
JPH06166737A (ja) ウレタン・不飽和オルガノオリゴマーとその製造方法
JPH06166731A (ja) 紫外線硬化性透過型スクリーン用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硬化物
JP2579531B2 (ja) 樹脂組成物及び光学ガラスファイバ用被覆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