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335B1 - 긁힘방지 및 자기복원성을 갖는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긁힘방지 및 자기복원성을 갖는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335B1
KR100643335B1 KR1020060077807A KR20060077807A KR100643335B1 KR 100643335 B1 KR100643335 B1 KR 100643335B1 KR 1020060077807 A KR1020060077807 A KR 1020060077807A KR 20060077807 A KR20060077807 A KR 20060077807A KR 100643335 B1 KR100643335 B1 KR 100643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self
resin composi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7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253A (ko
Inventor
황영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프씨
Priority to KR1020060077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335B1/ko
Publication of KR2006010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03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o other elements than carbon or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긁힘방지 및 자기복원성을 갖는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아크릴수지, 지방족 폴리에스터 수지,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디메틸 실록산, 알콕시 실란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 경화촉진제, 희석제, 분산제, 소포제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열 건조 경화과정을 거쳐 아크릴수지, 지방족 폴리에스터수지, 실리콘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디메틸실록산, 알콕시실란 등이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와 화학반응에 의해 분자내 치밀한 우레탄 분자구조 및 사다리구조를 갖게 함으로서, 도막의 긁힘방지 성능 개선과 스크래치 등이 시간경과에 따라 자기복원 되는 성능을 현저히 개선시킨 수지조성물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크릴수지 10~30중량%, 지방족 폴리에스터 수지 10~30중량%,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1~10중량%, 폴리디메틸 실록산 0.5~5중량%, 알콕시 실란화합물 0.5~3중량%,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 18~38중량%, 희석용제 20~60중량%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기전자제품, 자동차, 가구, 악기 등의 표면코팅 도막의 스크래치에 의한 긁힘방지 및 시간경과에 따라 긁힌 흠집이 스스로 복원 치료되는 우수한 자기복원 성능을 발현시킬 수 있어 제품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긁힘방지, 자기복원성, 수지조성물, 아크릴수지,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레 이트

Description

긁힘방지 및 자기복원성을 갖는 수지조성물{Resin composition having prevention scratch and self-repairable}
본 발명은 긁힘방지 및 자기복원성을 갖는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수지, 지방족 폴리에스터 수지,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디메틸 실록산, 알콕시 실란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 경화촉진제, 희석제, 분산제, 소포제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열 건조 경화과정을 거쳐 아크릴수지, 지방족 폴리에스터수지, 실리콘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디메틸실록산, 알콕시실란 등이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와 화학반응에 의해 분자내 치밀한 우레탄 분자구조 및 사다리구조를 갖게 함으로서, 도막의 긁힘방지 성능 개선과 스크래치 등이 시간경과에 따라 자기복원 되는 성능을 현저히 개선시킨 수지조성물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디지털미디어 제품을 비롯한 전기전자 가전제품, 자동차, 고급악기, 가구 등의 표면에 다양한 수지조성물을 코팅 처리하여 도막을 형성함으로 해서 외부로부터의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영향에 따른 제품손상을 보호하여 장기적인 내구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해오고 있다.
특히 제품 표면의 긁힘 현상에 의한 스크래치등의 흠집은 제품의 품질유지를 현저히 저하시키게 되므로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스크래치등의 긁힘방지를 위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 2000-293895에서는 표면 처리된 실리카와 광경화 타입의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내스크래치 향상을 이룰 수 있었으나, 이미 흠집이 난 표면의 자기복원성은 나타내지 못할뿐만 아니라 실리카의 도입으로 표면 외관의 광특성 및 표면 오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내스크래치, 내오염성을 동시에 개선하려고 한 조성물로 일본 공개특허 공보 평 11-293159호에서는 불소계 화합물을 첨가하여 내오염성 개선의 목적은 이룰 수 있었으나 반면에 막경도가 저하되어 표면 긁힘 등의 문제점을 나타내며 다층 코팅 시 베이스코트와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 2000-0045053에서는 실록산 변성 아크릴수지에 아크릴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멜라민 경화제로 구성된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자동차용 상도도료 내 스크래치 개선을 이루고자 하였으나, 외부의 긁힘에 대한 스크래치 방지성능이 높지 못하여 만족할 만한 수준을 보이지 않았으며 특히 이미 긁힘이 발생한 표면 흠집에 대한 자기복원성에 대한 물성은 발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노력을 거듭한 결과 전기전자 가전제품, 자동차, 고급악기, 가구 등의 표면코팅 도막의 긁힘 현상을 방지하며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스스로 치유되는 자기복원성을 갖는 수지조성물의 발명에 이르게 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표면 도막에의 내스크래치 성능이 기존제품에 비해 월등히 개선되게 함은 물론 이미 발생된 표면의 긁힘 손상 등의 스크래치 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속하게 스스로 복원 치료되므로 표면 긁힘이 치료되게 하는 기능을 갖춘 수지조성물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의 분자구조를 사다리 형태의 래더구조에 폴리에스터 구조를 도입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표면코팅 수지조성물에서는 볼 수 없었던 우수한 내스크래치 성능의 발현은 물론 긁힘이 스스로 복원되고 치료되는 성능을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긁힘방지 및 자기복원성을 갖는 수지조성물
(A) 아크릴수지 10~30중량%
(B) 지방족 폴리에스터 수지 10~30중량%
(C)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1~10중량%
(D) 폴리디메틸 실록산 0.5~5중량%
(E) 알콕시 실란화합물 0.5~3.0중량%
(E)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 18~38중량%
(F) 희석용제 20~60중량% 로 이루어지며 경화촉진제, 분산제, 소포제, 희석제 등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사용된 각 구성요소의 특징에 대하여 하기에 설명한다.
상기 아크릴수지는 다음 (a),(b),(c)로 이루진다.
(a) 화학식 1
R1
CH2=C- COOR2
상기식에서 R1 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2 는 1~16 알킬기이다.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중에서 1개 이상의 선택된 화합물이며 전체 아크릴수지를 구성하는 성분 중 40% ~ 78%인 것이 바람직하다.
(b)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에서 1개 이상 선택된 화합물이며 전체아크릴수지를 구성하는 성분 중 21 %~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c)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중에서 1개 이상 선택된 화합물이며 구성하는 성분 중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a),(b),(c)로 이루어진 아크릴수지는 수산기가 100~150mg KOH/g, 아크릴산가는 1~10 mg KOH/g, 중량평균 분자량 5000~ 50000, 유리전이온도가 -20℃~50℃로서, 아크릴산가가 1이하거나 수산기가 100이하인 경우 중합체의 경화가 늦어지게 되고 내 약품성이 저하되며, 산가가 10이상 또는 120 이상인 경우 가교도가 증가되어 도막이 딱딱하게 되어 충격에 약해지거나 가사시간이 짧아져서 장기 사용 시 신뢰성에 문제를 주게 된다.
분자량이 5000이하인 경우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50000이상인 경우 분산 가공성이 저하되며, 유리전이 온도가 -20℃ 인 경우에는 자기복원성이 저하되며, 50℃ 이상인 경우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아크릴수지는 전체수지 조성물 중 10~30중량% 혼합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지방족 이가산과 지방족 다가알코올을 180℃ 이상의 고온에서 축합반응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로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제조에 사용된 이가산으로는 석시닉산, 아디프산, 세바식산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며, 지방족다가 알코올로는 디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티롤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중 1개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사용한다.
지방족폴리에스터 수지의 분자량은 1000~10000이며 분자량이 1000 이하인 경우 수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분자량이 10000 이상인 경우 분산가공성이 저하된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수산기는 80~150mg KOH/g로 이 범위를 초과할 경우 수지조성물의 경화 및 가교도에 영향을 주게 내충격, 내약품성의 품질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수지조성물에의 적정 사용량은 10~30 중량%로서 10이하인 경우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며 30 이상인 경우 자기복원성이 저하되게 된다.
수산기관능기를 갖는 실리콘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로는 소수성과 친유성을 증가시키며, 발수성 및 발유성을 극적으로 향상시키는 물질로서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에 사용되어 이소시아네이트와의 우레탄 반응을 거쳐 아크릴 실리콘의 사다리구조를 가지므로 오염물질의 부착을 줄여주며 레벨링성, 내점착성 및 내후성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자기복원성 및 내스크래치성 향상에도 도움을 주게 된다.
이러한 실리콘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수산기가 20~60 mg KOH/g 이 적당하며 전체 수지조성물 중 이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하게 되면 경화 및 가교밀도 저하 및 상승을 나타나게 되어 수지도막의 충격 및 기계적 물성 저하는 물론 내스크래치 및 자기복원성의 저하도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실리콘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의 전체 수지조성물 중의 적정 사 용량은 1~10% 로서 1% 이하인 경우 내오염성, 레벨링성이 저하되며 10% 이상인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하도 프라이머 등과의 계면점착성이 저하되게 된다.
폴리디메틸 실록산 화합물로는 측쇄또는 말단에 폴리에테르기와 하이드록시 기능기를 갖고 있으며 수산기는 50~100mg KOH/g 로서 0.5~5% 가 적당하다. 0.5% 이하일 경우에는 내오염성이 떨어지며 5% 이상일 경우에는 아크릴수지와의 상용성 및 레벨링성이 떨어지게 된다.
경화제로는 트리블럭 타입의 헥사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닐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트리블럭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를 사용한다.
이러한 경화제들은 주제에 1개 이상 선택하여 혼합사용 할 수 있으며, 전체수지조성물 중 18~38 중량%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트리블럭 타입의 3관능성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가짐으로서 수지조성물내의 수산기와의 우레탄 경화반응 시 치밀한 가교밀도를 갖게 하며, 막강도의 증가와 내침임성 및 내약품성의 향상을 이루게 하고, 내스크래치성과 자기복원성능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경화제의 분자구조가 이관능성의 이소시아네이트인 경우에는 자기복원성능과, 수지도막의 밀도, 내스크래치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없다.
알콕시 실란화합물로는 테트라메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메틸테트라 에톡시실란, 에틸테트라 에톡시실란을 단독 또는 혼합사용하며 가수분해 후 반응에 참여하여 가교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첨가량은 0.5 ~3.0 중량%가 적당하다.
0.5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수지도막의 가교도가 저하되게 되며 3.0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수지도막의 가교밀도가 증가하게 되어 내충격성이 저하되게 된다.
수지조성물의 점도조절을 위하여 희석제를 수지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20~60중량%까지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적합한 희석제로는 아세테이트계, 키톤계, 알콕시알코올계, 방향족계 등의 희석 용제류 등을 혼합 사용한다.
그밖에 경화촉진제, 분산제, 소광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아크릴수지 제조예 1)
톨루엔, 자일렌 등의 용액 내에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48중량부,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5중량부,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6중량부, 아크릴산 1중량부, 반응개시제 등을 넣고 80℃ 온도에서 중합하여 고형분 60% 아크릴수지를 제조하였다.
아크릴수지 제조예 2)
톨루엔, 자일렌 등의 용액 내에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6중량부,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53중량부, 아크릴산 1중량부, 반응개시제 등을 넣고 80℃ 온도에서 중합하여 고형분 60% 아크릴수지를 제조하였다.
아크릴수지 제조예 3)
톨루엔, 자일렌 등의 용액 내에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6중량부,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43중량부, 아크릴산 1중량부, 반응개시제 등을 넣고 80℃ 온도에서 중합하여 고형분 60% 아크릴수지를 제조하였다.
아크릴수지 제조비교예 4)
톨루엔, 자일렌 등의 용액 내에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14중량부, 스티렌 20중량부,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35중량부, 아크릴산 1중량부, 반응개시제 등을 넣고 80℃ 온도에서 중합하여 고형분 60% 아크릴수지를 제조하였다.
아크릴수지 제조비교예 5)
톨루엔, 자일렌 등의 용액 내에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36중량부,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30중량부, 아크릴산 4중량부, 반응개시제 등을 넣고 80℃ 온도에서 중합하여 고형분 60% 아크릴수지를 제조하였다.
아크릴수지 제조비교예 6)
톨루엔, 자일렌 등의 용액 내에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40중량부,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6중량부, 스티렌 23중량부, 아크릴산 1중량부, 반응개시제 등을 넣고 80℃ 온도에서 중합하여 고형분 60% 아크릴수지를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제조예 7)
반응기내 아디프산 50.5중량부, 1,6-헥산디올 26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23중량부, 반응촉진제 0.5중량부를 넣고 180℃에서 축합 반응하여 지방족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제조예 8)
반응기내 아디프산 50.5중량부, 1,6-헥산디올 38중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 11중량부, 반응촉진제 0.5 중량부를 넣고 180℃에서 축합 반응하여 지방족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제조예 9)
반응기내 아디프산 50.5중량부, 1,6-헥산디올 28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10중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 11중량부, 반응촉진제 0.5 중량부를 넣고 180℃에서 축합 반응하여 지방족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제조비교예 10)
반응기내 아디프산 40.5중량부, 이소프탈산10중량부 1,6-헥산디올 28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10중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 11중량부, 반응촉진제 0.5 중량부를 넣 고 180℃에서 축합 반응하여 방향족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제조비교예 11)
반응기내 아디프산 30.5중량부, 이소프탈산10중량부, 테레프탈산 10중량부, 1,6-헥산디올 26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23중량부, 반응촉진제 0.5 중량부를 넣고 180℃에서 축합 반응하여 방향족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 제조예12)
트리블록타입의 헥사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55중량부에 희석용제 45중량부를 넣고 잘 혼합 용해하여 고형분 55%의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 비교제조예13)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5중량부에 희석용제 45중량부를 넣고 잘 혼합 용해하여 고형분 55%의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제조한 아크릴수지와 지방족 폴리에스터 수지 및 제조비교예의 아크릴수지와, 지방족 폴리에스터 수지에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디메틸 실록산, 알콕시실란화합물,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 희석용제, 분산제, 경화촉진제를 넣고 2시간 이상 혼합 교반하여 표1과 같이 각각의 수지조성물을 제조 후 각각 가전용 플라스틱피도체, 가구용 목제피도체, 금속용피도체에 스프레이 도장, 건조, 경화 등을 거쳐 표면코팅 도막을 얻었다.
조성물 성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아크릴수지 제조예1 440 - - - - - -
제조예2 - 440 - - - - -
제조예3 - - 440 - - - -
제조비교예4 - - - 440 - - 200
제조비교예5 - - - - 440 - -
제조비교예6 - - - - - 430 -
폴리에스테르수지 제조예7 240 - - - - - 480
제조예8 - 240 - - - - -
제조예9 - - 240 - - - -
제조비교예10 - - - 236 236 - -
제조비교예11 - - - - - 230 -
실리콘변성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10 12 10 2 2 2 12
폴리디메틸실록산 10 12 8 2 2 35 12
알콕시실란 10 8 8 35 35 2 8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제조예 12 356 356 356 - - - -
제조비교예13 - - - 356 356 356 356
희석용제 356 356 356 356 356 356 356
경화촉진제 7 7 7 7 7 7 7
분산제 5 5 5 5 5 5 5
소포제 5 5 5 5 5 5 5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하여 얻어진 각각의 표면코팅 도막에 대한 물성측정결과는 표2에 나타난 바와같다.
긁힘방지 등의 내스크래치성은 금속브러시로 1kgf 하중을 주어 60초간 직선 왕복운동을 하며 도막을 긁은 다음 표면에 긁힘 등의 스크래치가 나타나는 정도를 현미경관측을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스크래치 발생에 표면광택의 저하현상 정도를 광택도 시험기로 크로스 측정하였다. 긁힘현상 등이 스스로 복원 치료되는 자기치료복원성은 시간경과에 따라 표면에 나타난 흠집 등의 긁힘현상이 사라지는 정도를 현미경관찰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또한 표면흠집의 복원 치료됨으로 나타나는 표면광택의 증가도 변화를 크로스 측정하였다.
광택은 글로스메타 6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내충격성의 경우 500g의 추를 1m 상에서 낙구시켜 깨짐 정도를 평가하였다. 내후성은 QUV 시험기를 이용 2000시간 측정하였다.
소지와의 접착성은 80℃×80°항온항습기에 시편을 48시간 방치 후 2mmX-Cutting 하여 테이프 탈착 여부를 측정하였다.
물성평가결과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광택 92 93 93 92 92 91 89
내스크래치성 우수 우수 우수 불량 불량 불량 불량
자기치료복원성 90% 92% 90% 1%이하 1%이하 1%이하 1%이하
충격강도 양호 양호 양호 미흡 미흡 양호 미흡
접착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미흡 미흡
내후성 2000시간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미흡 미흡
상기 표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아크릴수지, 지방족 폴리에스터 수지,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디메틸 실록산, 알콕시 실란화합물,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은 내스크래치성 및 자기치료복원성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지조성물로서 표면의 도막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표2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특성에 맞게 혼합 사용하여 전기전자제품, 자동차, 가구, 악기 등의 표면코팅 도막의 스크래치에 의한 긁힘방지 및 시간경과에 따라 긁힌 흠집이 스스로 복원 치료되는 우수한 자기복원 성능을 발현시킴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적용하여 디지털 디스플레이어 등의 전기전자 제품, 자동차, 고가의 가구, 악기 등의 표면에는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수지 및 도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아크릴수지 10~30중량%, 지방족 폴리에스터 수지 10~30중량%, 실리콘 변성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1~10중량%, 폴리디메틸 실록산 0.5~5중량%, 알콕시 실란화합물 0.5~3중량%,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 18~38중량%, 희석용제 20~6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긁힘방지 자기복원 치료 수지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석시닉산, 아디프산, 세바식산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이가산과; 디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티롤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중 1개 이상 선택된 다가알코올의 축합반응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로서 지방족폴리에스터 수지의 분자량은 1000~10000, 히드록시가는 80~150mg KOH/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긁힘방지 자기복원 치료 수지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로는 지방족 트리블럭 타입의 헥사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닐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트리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긁힘방지 자기복원 치료 수지조성물.
KR1020060077807A 2006-08-17 2006-08-17 긁힘방지 및 자기복원성을 갖는 수지조성물 KR100643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807A KR100643335B1 (ko) 2006-08-17 2006-08-17 긁힘방지 및 자기복원성을 갖는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807A KR100643335B1 (ko) 2006-08-17 2006-08-17 긁힘방지 및 자기복원성을 갖는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253A KR20060103253A (ko) 2006-09-28
KR100643335B1 true KR100643335B1 (ko) 2006-11-10

Family

ID=3762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807A KR100643335B1 (ko) 2006-08-17 2006-08-17 긁힘방지 및 자기복원성을 갖는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3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333B1 (ko) 2010-06-18 2013-10-14 주식회사 블루폴리텍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DE102013114833A1 (de) 2013-07-05 2015-01-08 Hyundai Motor Company Farbzusammensetzung mit selbstständig Kratzer-beseitigenden Eigenschaften
US10889733B2 (en) 2017-12-12 2021-01-12 Noroo Bee Chemical Co., Ltd. Coating composition for forming scratch-resistant layer having high strength for automobile exterior and method for coating automobile exterior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934B1 (ko) * 2013-10-07 2015-06-01 홍영근 고분자용액을 이용하는 자기치유형 아스팔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312A (ko) * 1997-12-31 1999-07-26 김충세 자동차용 도료조성물
JP2006056987A (ja) 2004-08-19 2006-03-02 Mitsubishi Rayon Co Ltd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KR20060075047A (ko) * 2004-12-28 2006-07-04 (주)디피아이 홀딩스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77826A (ko) * 2004-12-31 2006-07-05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오염성이 우수한 분체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312A (ko) * 1997-12-31 1999-07-26 김충세 자동차용 도료조성물
JP2006056987A (ja) 2004-08-19 2006-03-02 Mitsubishi Rayon Co Ltd 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KR20060075047A (ko) * 2004-12-28 2006-07-04 (주)디피아이 홀딩스 아크릴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77826A (ko) * 2004-12-31 2006-07-05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오염성이 우수한 분체도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333B1 (ko) 2010-06-18 2013-10-14 주식회사 블루폴리텍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및 광학필름용 자기복원성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DE102013114833A1 (de) 2013-07-05 2015-01-08 Hyundai Motor Company Farbzusammensetzung mit selbstständig Kratzer-beseitigenden Eigenschaften
DE102013114833B4 (de) 2013-07-05 2021-12-23 Hyundai Motor Company Farbzusammensetzung mit selbstständig Kratzer-beseitigenden Eigenschaften und Verwendung
US10889733B2 (en) 2017-12-12 2021-01-12 Noroo Bee Chemical Co., Ltd. Coating composition for forming scratch-resistant layer having high strength for automobile exterior and method for coating automobile exterio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253A (ko)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1004B2 (ja) 高い引掻耐性及び耐候性を有する被覆剤
KR100755348B1 (ko) 코팅 조성물과 다층 코팅막 형성방법 및 그 코팅 조성물을사용한 코팅 물품
KR101378336B1 (ko) 내화학성, 내스크래치성 및 스크래치 복원성이 우수한 1액형 자동차 상도용 투명 도료 조성물
KR20180063047A (ko) 도료조성물
KR102322737B1 (ko) 폴리에테르 및 폴리실록산 세그먼트를 갖는 중합체
KR101488316B1 (ko) 스크래치 자가복원 도료 조성물
KR100643335B1 (ko) 긁힘방지 및 자기복원성을 갖는 수지조성물
KR20190070171A (ko) 내스크래치성 고경도 도막을 형성하기 위한 자동차 외장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장의 코팅 방법
JP5609355B2 (ja) ウレタン塗料組成物および樹脂部材
KR102521247B1 (ko) 소프트-필, 방오 코팅을 위한 폴리실록산-변형된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JP5874971B2 (ja) ウレタン塗料組成物および樹脂部材
KR20170130210A (ko) 투명 도료 조성물
CN112703232A (zh) 涂料组合物、涂膜的形成方法以及涂装体
JPH06279586A (ja) ポリメチルシルセスキオキサン系重合体およびポリメチルシルセスキオキサン構造を有するポリマー
JP6918273B1 (ja) 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形成方法
KR20200017992A (ko)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US20210163784A1 (en) Silicone-Containing Polyesters,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Coatings Formed Therefrom
CN116042074B (zh) 双组份涂料组合物
KR20140115828A (ko) 스크래치 자가복원 도료 조성물
CN113845831B (zh) 清漆组合物
KR101230890B1 (ko) 나노 실리카 입자를 함유한 내스크래치성 클리어 도료 조성물
KR102475824B1 (ko) 이중 경화형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이중 경화 일액형 클리어코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멀티코트 코팅 방법 및 멀티코트 코팅층
JP7259204B2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料組成物
WO2019181798A1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料組成物
TWI808232B (zh) 用於柔感防污塗層之包含經聚矽氧烷修飾之聚氨酯之塗料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