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992A -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 Google Patents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992A
KR20200017992A KR1020180093630A KR20180093630A KR20200017992A KR 20200017992 A KR20200017992 A KR 20200017992A KR 1020180093630 A KR1020180093630 A KR 1020180093630A KR 20180093630 A KR20180093630 A KR 20180093630A KR 20200017992 A KR20200017992 A KR 20200017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ol resin
resin
acrylic poly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328B1 (ko
Inventor
박순규
이용희
하인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80093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3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에 관한 것으로 아크릴 수지 5 내지 15 중량부,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25 내지 50 중량부,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 20 내지 45 중량부 및 제1 용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부; 및 경화제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제3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5 내지 40 중량부 및 제2 용제 1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부; 및 경화제부;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COATING KIT FOR HOT-STAMPED METALIC MATERIALS}
본 발명은 도료 키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핫-스탬핑(hot-stamping) 소재에 다층 도막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도료 키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내장 또는 외장에 적용되는 사출 부재 중에는, 표면을 물리적, 화학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거나, 또는 외관에 고급스러운 메탈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그 플라스틱 제품의 표면을 도금 처리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그릴의 경우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진 전체 부품에 크롬으로 도금 처리를 수행하고, 도금된 크롬 중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다른 부분을 유색으로 도장하여, 그릴 부분에만 크롬 도금이 잔존하도록 하는 공정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소재에 크롬 도금을 수행하는 경우, 그 공정 중에서 발생되는 폐수 등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심각한 환경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이러한 크롬 도금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크롬 도금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의 하나로, 핫-스탬핑(hot-stamping) 공정이 개발되었다. 상기 핫-스탬핑 공정은 플라스틱 소재 위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 박막을 올려 놓은 후 가압(press)하여 금속이 플라스틱 소재에 부착됨으로써 플라스틱 소재의 표면에 메탈감을 부여할 수 있는 방식이다.
그런데 위와 같이 핫-스탬핑 공정을 통해 부착된 금속은 그 표면이 여전히 물리적, 화학적 손상으로부터 보호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는바, 이를 보호하기 위한 도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반광 타입의 도료들이 양산되고 있으나, 심미감의 측면에서 유광 타입의 도료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내수성, 고압세차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유광 타입의 도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아크릴 수지 5 내지 15 중량부,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25 내지 50 중량부,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 20 내지 45 중량부 및 제1 용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부; 및 경화제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제3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5 내지 40 중량부 및 제2 용제 1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부; 및 경화제부;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료 키트는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를 보호할 수 있는 다층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 소재에 우수한 부착성과 작업성이 우수하며,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도막은 내수성, 고압세차성 및 내후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는 금속 기재의 부식 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 기재와의 부착성 및 물성 확보를 위한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도막의 외관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한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본 발명의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에 포함되는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은 금속 기재, 구체적으로 핫-스탬핑부의 알루미늄 기재상에 도장되어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로서, 그 위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층과 금속 기재 사이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도막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수지부와 경화제부를 포함하는 2액형의 도료 조성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핫-스탬핑부는 플라스틱 소재 위에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판을 올려놓은 후 가압(press)하여 플라스틱 소재에 알루미늄이 부착된 소재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의 수지부는 아크릴 수지, 제1 및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제1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 수지
상기 아크릴 수지는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서,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 또는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열가소성 아크릴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모노머 등의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들과 열분해 개시제를 용액 내에서 라디칼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로는 비관능성 단량체, 카복실계 단량체, 비닐계 단량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관능성 모노머는 예를 들어,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로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고, 이들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카복실계 모노머는 예를 들어, 아크릭산, 메타아크릭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및 크로론산 등일 수 있고, 이들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모노머를 구체적으로 예시 하면, 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올아크릴아마이드,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 등일 수 있고, 이들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고형분이 40 내지 60 중량%, 예를 들어 43 내지 56 중량% 또는 48 내지 52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고형분이 40 중량% 미만인 경우 고형분 함량이 낮아 작업성이 좋지 않게 되어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고형분이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분자량을 높일 수 없어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120℃, 예를 들어 75 내지 115℃ 또는 80 내지 11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70℃ 미만인 경우 도막의 경도가 낮아질 수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120℃를 초과하는 경우 도막의 경도가 너무 높아져 내충격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5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수지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도막의 경도가 저하되고, 15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기재와의 부착성 및 도막의 표면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이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유기산기를 갖는 단량체,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 방향족계 비관능성 단량체, 지방족계 비관능성 단량체 등의 비닐형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들과 열분해 개시제의 라디칼 용액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기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등이거나 이들의 무수물일 수 있고, 이들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수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고, 이들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계 비관능성 단량체는 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일 수 있고, 이들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계 비관능성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르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일 수 있고, 이들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용액 중합에 사용되는 반응 개시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고형분이 50 내지 70 중량%, 예를 들어 52 내지 68 중량% 또는 55 내지 65 중량%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 고형분 함량이 낮아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70 중량% 초과인 경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증점으로 인해 도장 시에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수산기가가 50 내지 80 mgKOH/g, 예를 들어 55 내지 78 mgKOH/g 또는 60 내지 75 mgKOH/g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가 50 mgKOH/g 미만인 경우 도막의 가교도가 저하되어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고, 수산기가가 80mgKOH/g를 초과하는 경우 도막의 경도가 너무 높아져 고압세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 내지 16,000 g/mol, 예를 들어 10,000 내지 14,000 g/mol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 g/mol 미만인 경우 도막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6,000 g/mol을 초과하는 경우 도장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0℃ 내지 20℃, 예를 들어 5℃ 내지 15℃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0℃ 미만인 경우 도막의 경도가 저하될 수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20℃를 초과하는 경우 도장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아크릴 수지 5 내지 15 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50 중량부, 예를 들어 25 내지 48 중량부 또는 30 내지 4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도막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5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도막의 외관 특성 및 표면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서,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제조 방법이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고형분이 40 내지 60 중량%, 예를 들어 42 내지 58 중량% 또는 45 내지 55 중량%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40 중량% 미만인 경우 고형분 함량이 낮아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60 중량% 초과인 경우 도막의 경도가 높아져 크랙이 생길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수산기가가 40 내지 110 mgKOH/g, 예를 들어 45 내지 105 mgKOH/g 또는 50 내지 100 mgKOH/g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가 40 mgKOH/g 미만인 경우 도막의 가교밀도가 떨어져 내수성, 내후성 등이 취약할 수 있고, 수산기가가 110mgKOH/g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제 사용량이 늘어나 원재료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35,000 g/mol, 예를 들어 15,000 내지 28,000 g/mol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g/mol 미만인 경우 도막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중량평균분자량이 35,000 g/mol을 초과하는 경우 도장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15 내지 70℃, 예를 들어 17 내지 65℃ 또는 20 내지 6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15℃ 미만인 경우 도막이 연질화(soft)되어 경도불량이 생길 수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70℃를 초과하는 경우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아크릴 수지 5 내지 15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45 중량부, 예를 들어 22 내지 45 중량부 또는 25 내지 4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도막의 표면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45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도막의 경도가 저하되어 고압세차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1 용제
상기 제1 용제는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도막(프라이머층)의 두께를 유지시키기 위한 성분이다.
상기 제1 용제는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용매들이 이용될 수 있고, n-헵탄, 톨루엔, 자일렌, 석유계 화합물 및 n-헥산 등의 비극성 용제와 에틸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이염기성 에스테르, 3-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 부틸글리콜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아세톤, 디이소부틸 케톤, 이소포론 및 사이클로헥사논 등의 극성 용제가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이 서로 혼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제는 아크릴 수지 5 내지 15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제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3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용제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도막의 부착성이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위와 같은 제1 용제가 혼합 용제인 경우에는 에스테르계 용제와 탄화수소계 용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스테르계 용제는 10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탄화수소계 용제는 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
본 발명의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에 포함되는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은 상기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이 도장되어 형성된 프라이머층 상에 도장되어 클리어코트층을 형성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로서, 이에 의해 도막의 외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수지부와 경화제부를 포함하는 2액형의 도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의 수지부는 제3 및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및 제2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아크릴 폴리올 수지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도막의 외관 특성 및 표면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서, 상기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또는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10 내지 50 중량부, 예를 들어 15 내지 45 중량부 또는 2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도막의 표면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5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도막의 경도가 저하될 수 있다.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
상기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도막의 외관 특성 및 표면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서,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 수지와 제조 방법이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고형분이 55 내지 80 중량%, 예를 들어 57 내지 75 중량% 또는 60 내지 70 중량%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55 중량% 미만인 경우 도막의 외관이 저하될 수 있고, 80 중량% 초과인 경우 점도가 높아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수산기가가 90 내지 160 mgKOH/g, 예를 들어 95 내지 155 mgKOH/g 또는 100 내지 150 mgKOH/g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가 90 mgKOH/g 미만인 경우 내수성이 떨어질 수 있고, 수산기가가 160mgKOH/g를 초과하는 경우 원재료비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15,000 g/mol, 예를 들어 7,000 내지 13,000 g/mol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g/mol 미만인 경우 도막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 g/mol을 초과하는 경우 도장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100℃, 예를 들어 55 내지 95℃ 또는 60 내지 9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50℃ 미만인 경우 도막의 경도가 낮아져 포장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는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 예를 들어 3 내지 25 중량부 또는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도막의 표면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3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도막의 경도가 저하되어 제품의 포장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는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도막의 살오름성 및 표면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는 글리콜 단량체와 산기를 갖는 단량체를 축합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글리콜 단량체는 예를 들어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6-헥산디올, 1,4-부탄디올, 1,4-사이클로헥산아미탄올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산기를 갖는 단량체는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말레산무수물, 푸마르산, 프탈산무수물, 이소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아디프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는 고형분이 50 내지 90 중량%, 예를 들어 55 내지 85 중량% 또는 60 내지 8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의 고형분이 50 중량% 미만인 경우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고형분이 90 중량% 초과인 경우 도막의 경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는 수산기가가 90 내지 170 mgKOH/g, 예를 들어 95 내지 165 mgKOH/g 또는 100 내지 160 mgKOH/g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가 90 mgKOH/g 미만인 경우 내후성이 저하될 수 수 있고, 수산기가가 170 mgKOH/g 초과인 경우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15,000 g/mol, 예를 들어 5,000 내지 10,000 g/mol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g/mol 미만인 경우 도막의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 g/mol을 초과하는 경우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20 내지 30℃, 예를 들어 -15 내지 25℃ 또는 -10 내지 2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20℃ 미만인 경우 도막의 경도가 저하될 수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30℃를 초과하는 경우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는 상기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제3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어 7 내지 35 중량부 또는 10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도막의 살오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4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도막의 경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용제
상기 제2 용제는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도막의 두께를 유지시키기 위한 성분으로서, 상기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제1 용제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용제는 상기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제3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용제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4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용제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도막의 부착성이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위와 같은 제2 용제가 혼합 용제인 경우에는 에스테르계 용제와 탄화수소계 용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스테르계 용제는 10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탄화수소계 용제는 1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각 조성물의 경화제부>
상기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상기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 각각은 경화제부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도료 조성물의 경화제부는 각 도료 조성물의 수지부를 경화시키는 것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일 예로는 경화속도, 부착성, 도막경도, 내열성 등이 우수하며 저가인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단독중합체 및 변성체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경우 각종 플라스틱 성형품에 대한 부착성 및 내습성, 도막경도 등이 우수하며,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경제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고가이지만 도막의 황변을 방지하기 위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변성체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와 아크릴 폴리올 수지 와,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내의 하이드록실기의 반응 비율(NCO/OH)은 1.03 내지 1.07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 경도, 내수성 등의 도막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높을 경우, 도막건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는 적당한 희석제로 희석하여 경화제 조성물을 형성한 후 별도용기에 보관한 후 사용 직전에 충분히 교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희석제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희석용 신너를 이용할 수 있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희석제의 희석율은 주종 혼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희석제로 혼합하였을 때 수지의 수산기와 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가 결합하여 우레탄 반응이 당량 대 당량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계산하여 결정할 수 있고, 혼합은 당량비 기준으로 1:0.9 내지 1:1.2 가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당량비가 1:1.2 초과인 경우 잉여 이소시아네이트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1:0.9 미만인 경우 경화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각 조성물의 수지부 또는 경화제부의 첨가제>
한편, 본 발명의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은 도료의 표면 물성을 조절하거나, 경화를 촉진시키는 등의 목적을 위해 수지부 또는 경화제부에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표면 조정제, 경화 촉진제, 자외선 흡수제, 습윤제, 소포제, 증점제 등일 수 있고, 당업계에 공지된 물질들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표면 조정제는 표면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성분이다. 상기 표면 조정제는 도료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실록산계 표면 조정제 및 비실리콘계 표면 조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혼합하여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계 표면 조정제는 실리콘 오일,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합성 윤활유 등을 들 수 있고, 실리콘(Si)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상기 비실리콘계 표면 조정제는 저급 알콜, 광물유, 올레인산,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류, 불소 함유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표면 조정제의 함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각각의 도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조정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되며, 1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도막의 부착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는 도료 조성물의 경화를 촉진시켜 도막 건조 및 경화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성분이다. 상기 경화 촉진제는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 부탄 디아민, 비시클로옥탄,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트리에틸렌 디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의 함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각각의 도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도막 건조 및 도막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1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도막의 외관 특성 저하 및 가사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도막의 표면 결함 및 광택 손실을 방지하고 내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성분이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일 예로서는 히드록시 페닐 벤조트리아졸(Hydroxyphenyl Benzotriazole)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각각의 도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도막의 내후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원가 상승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는 도료 조성물의 표면 장력을 조절하여 도장시 도막의 습윤성과 레벨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습윤제는 당해 기술분야의 도료에 사용되는 통상의 습윤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의 함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각각의 도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습윤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포함될 경우 도막의 습윤성과 레벨링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친유체와 폴리실록산의 혼합물로서 도장시 발생되는 기포를 파괴함으로써 도막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상기 소포제의 함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각각의 도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포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포함될 경우, 소포제가 포함된 도료 조성물을 도장 시 기포가 발생되어 도막의 외관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칙소성을 부여하여 도장 시 도료 조성물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성분으로, 상기 증점제는 당해 기술분야의 도료에 사용되는 통상의 증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의 함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각각의 도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증점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포함될 경우 도료 조성물을 도장 시에 흐름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 2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아크릴 수지,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용기에 넣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저속으로 혼합하였다. 그 후, 자외선 흡수제, 표면 조정제, 경화촉진제, 및 제1 용제를 투입하여 30분간 교반하고, 필요에 따라 용제를 추가로 사용하여 점도를 59 내지 65KU로 조절하였다. 그 다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HDI Trimer)를 주제: 경화제의 당량비 기준 1:1로 혼합물에 첨가하여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희석 신너로 15 - 18초(FORD CUP#4)로 조절하였다.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
제3 아크릴 폴리올 수지,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를 용기에 넣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저속으로 혼합하였다. 그 후, 자외선 흡수제, 표면 조정제, 경화촉진제, 및 제2 용제를 투입하여 30분간 교반하고, 필요에 따라 용제를 추가로 사용하여 점도를 59 내지 65KU로 조절하였다. 그 다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HDI Trimer)를 주제: 경화제의 당량비 기준 1:1로 혼합물에 첨가하여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희석 신너로 15 - 18초(FORD CUP#4)로 조절하였다.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프라이머 클리어 프라이머 클리어 프라이머 클리어 프라이머 클리어 프라이머 클리어 프라이머 클리어
아크릴 폴리올 수지 제1-1 32 -  27 - - - - - - - - - 
제1-2 - - - -  42 - - - 27 - 42 -
제1-3 - - - - - -  32 - - - - - 
제2-1 32 -  37 - - - 32 - 37 - 22 -
제2-2 - - - - 22 - - 22 - - - -
제3-1 - 27 - 22 - 27 - - - - - -
제3-2  - - - - - - - -  - 17  - 30
제4-1 - 14 - 14 - - - - - - - -
제4-2 - - - - -  14 - - - 17 - - 
제4-3 - - - - - - -  14 - - -  16
아크릴 수지 1-1 9 - - -  -  9 -  - -  - - 
1-2 - - 9 - - - - - - - 13 -
1-3 - - - - 13 - - - 9 - - -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1-1 - 22 - 27 - 22 - 23 - - - -
1-2 - - - - - - - - - 29 - -
1-3 - - - - - - - - - - - 20
자외선 흡수제 3 1.5 3 1.5 3 1.5 3 1.5 3 1.5 3 1.5
표면조정제 0.2 0.8 0.2 0.8 0.2 0.8 0.2 0.8 0.2 0.8 0.2 0.8
경화촉진제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제1 용제 23.7 - 23.7 - 19.7 - 23.7 - 23.7 - 19.7 -
제2 용제 - 34.6 - 34.6 - 34.6 - 38.6 - 34.6 - 31.6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프라이머 클리어 프라이머 클리어 프라이머 클리어 프라이머 클리어 프라이머 클리어 프라이머 클리어
아크릴 폴리올 수지 제1-1 20 - 20 - 64 - - - - - - -
제1-4 - - - - - - 32 - 27 - 32 -
제2-1 49 - 49 - - - 32 - - - - -
제2-3 - - - - - - - - 37 22 32 27
제3-1 - 27 - 20 - - - 27 - - - -
제4-1 - 14 - 33 - 41 - 14 - 14 - 14
아크릴 수지 1-1 4 - 4 - 9 - 9 - - - - -
1-4 - - - - - - - - 9 - 9 -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1-1 - 22 - 10 - 22 - - - 27 - -
1-4 - - - - - - - 22 - - - 22
자외선 흡수제 3 1.5 3 1.5 3 1.5 3 1.5 3 1.5 3 1.5
표면조정제 0.2 0.8 0.2 0.8 0.2 0.8 0.2 0.8 0.2 0.8 0.2 0.8
경화촉진제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제1 용제 23.7 - 23.7 - 23.7 - 23.7 - 23.7 - 23.7 -
제2 용제 - 34.6 - 34.6 - 34.6 - 34.6 - 34.6 - 34.6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제1-1 아크릴 폴리올 수지: 고형분 60중량%, 수산기가 66mgKOH/g, 중량평균분자량 12,000 g/mol, 유리전이온도(Tg) 10℃
제1-2 아크릴 폴리올 수지: 고형분 65중량%, 수산기가 78mgKOH/g, 중량평균분자량 10,000 g/mol, 유리전이온도(Tg) 19℃
제1-3 아크릴 폴리올 수지: 고형분 55중량%, 수산기가 51mgKOH/g, 중량평균분자량 14,000 g/mol, 유리전이온도(Tg) 3℃
제1-4 아크릴 폴리올 수지: 고형분 60중량%, 수산기가 40mgKOH/g, 중량평균분자량 12,000 g/mol, 유리전이온도(Tg) 25℃
제2-1 아크릴 폴리올 수지: 고형분 51 중량%, 수산기가 66 mgKOH/g, 중량평균분자량 21,000 g/mol, 유리전이온도(Tg) 40℃
제2-2 아크릴 폴리올 수지: 고형분 45 중량%, 수산기가 108 mgKOH/g, 중량평균분자량 15,000 g/mol, 유리전이온도(Tg) 15℃
제2-3 아크릴 폴리올 수지: 고형분 50 중량%, 수산기가 120 mgKOH/g, 중량평균분자량 17,000 g/mol, 유리전이온도(Tg) 10℃
제3-1 아크릴 폴리올 수지: 고형분 50 중량%, 수산기가 70 mgKOH/g, 중량평균분자량 20,000 g/mol, 유리전이온도(Tg) 42℃,
제3-2 아크릴 폴리올 수지: 고형분 55 중량%, 수산기가 40 mgKOH/g, 중량평균분자량 23,000g/mol, 유리전이온도(Tg) 70℃
제4-1 아크릴 폴리올 수지: 고형분 65 중량%, 수산기가 115mgKOH/g, 중량평균분자량 10,000g/mol, 유리전이온도(Tg) 70℃,
제4-2 아크릴 폴리올 수지: 고형분 60 중량%, 수산기가 157mgKOH/g, 중량평균분자량 13,000g/mol, 유리전이온도(Tg) 51℃
제4-3 아크릴 폴리올 수지: 고형분 70 중량%, 수산기가 90mgKOH/g, 중량평균분자량 8,000g/mol, 유리전이온도(Tg) 98℃
아크릴 수지 1-1: 고형분 50중량%, 유리전이온도(Tg) 95℃,
아크릴 수지 1-2: 고형분 48중량%, 유리전이온도(Tg) 71℃
아크릴 수지 1-3: 고형분 48중량%, 유리전이온도(Tg) 120℃
아크릴 수지 1-4: 고형분 52중량%, 유리전이온도(Tg) 60℃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1-1: 고형분 70중량%, 수산기가 140mg KOH/g, 중량평균분자랑: 7,500g/mol 유리전이온도(Tg) 10℃,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1-2: 고형분 65중량%, 수산기가 168mg KOH/g, 중량평균분자랑: 5,100g/mol 유리전이온도(Tg) 0℃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1-3: 고형분 75중량%, 수산기가 91mg KOH/g, 중량평균분자랑: 9,500g/mol 유리전이온도(Tg) 18℃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1-4: 고형분 70중량%, 수산기가 85mg KOH/g, 중량평균분자랑: 4,500g/mol 유리전이온도(Tg) -10℃
표면조정제 : 폴리실록산계 표면조정제(BYK306)
제1 용제: 에틸아세테이트: AROMATIC 100: AROMATIC 150= 8 : 1.5 : 1
제2 용제: 에틸아세테이트: AROMATIC 150 = 3.5 : 1
자외선흡수제: 벤조트리아졸
경화촉진제: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실험예]-도막의 외관 및 물성 평가
소재(핫스탬핑) 위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한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건조도막두께: 15~20 마이크론)을 도장 후, 상온에서 5분간 방치하였다. 그 위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수득한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건조도막두께: 30~35 마이크론)을 도장하여 80℃에서 30분간 핫 에어로 최종도막을 경화시켰다.
도장시 작업성, 최종 다층 도막의 외관 및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고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3, 4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우수, ○-양호, △-보통, X-불량,
1) 도장 작업성
30cm x 40cm 틴플레이트에 IWATA 61건으로 왕복 2회 도장하여 도장시 도료의 무화 정도, 평활성의 정도와 도막 살오름성을 비교하였다.
2) 외관
도막 표면의 기포, 이물, 반점, 홈 및 평활성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3) 부착성
ASTM D3359 테이프 부착성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1㎜x 1㎜ 눈금 100개 중에서 테이프 접착성 시험 후 박리된 부분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4) 내수성
40℃ 항온조에 완성된 도막을 10일간 침적 후 부착시험 및 외관평가를 진행하였다.
5) 고압세차성
분사압력 6900KPa, 분사거리 100mm, 분사각도 45도, 시간 30초간 분사 후 도막의 외관을 육안으로 비교하였다.
6) 내후성
제논 웨더로미터 시험기 환경에서 2500kJ의 에너지로 폭로 후 도막 외관, 색차, 부착성을 비교하였다.
7) 경도
시험편 위에 규격연필을(연필경도 2B~HB) 이용하여 힘을 주어 약 5cm를 직선으로 그은 후 도막의 표면상태를 확인한다.
8) 내충격성
시험편의 도막면을 위로 하여 ISO6272-2의 추 낙하시험기를 이용하여, 0.5kgf의 무게추를 20cm높이에서 낙하하여 도막면에 충격을 가하고 도막의 상태를 조사한다.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도장작업성
외관
부착성
내수성
고압세차성
내후성
경도
내충격성
항목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도장작업성
외관
부착성
내수성
고압세차성 X X
내후성 X
경도 X X
내충격성
상기 표 3,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6의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막은 도장 작업성과 외관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부착성, 내수성, 고압세차성 및 내후성과 같은 물성이 우수한 반면, 비교예 1 내지 6의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막은 도장작업성, 부착성, 내수성, 고압세차성 및 내후성의 물성이 열세하였다.

Claims (7)

  1. 아크릴 수지 5 내지 15 중량부,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 25 내지 50 중량부,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 20 내지 45 중량부 및 제1 용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부; 및 경화제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제3 아크릴 폴리올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 제4 아크릴 폴리올 수지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5 내지 40 중량부 및 제2 용제 1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부; 및 경화제부;
    를 포함하는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40 내지 60 중량%이고,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120℃이며,
    상기 제1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50 내지 70 중량%이고, 수산기가가 50 내지 80 mgKOH/g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 내지 16,000 g/mol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20℃이며,
    상기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40 내지 60 중량%이고, 수산기가가 40 내지 110 mgKOH/g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35,000 g/mol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15 내지 70℃인 것인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은,
    상기 제3 아크릴 폴리올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40 내지 60 중량%이고, 수산기가가 40 내지 110 mgKOH/g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35,000 g/mol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15 내지 70℃이며,
    상기 제4 아크릴폴리올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55 내지 80 중량%이고, 수산기가가 90 내지 160 mgKOH/g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15,000 g/mol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100℃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50 내지 90 중량%이고, 수산기가가 90 내지 170 mgKOH/g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 내지 15,000 g/mol 이고, 유리전이온도가 -20 내지 30℃인 것인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클리어 코트 도료 조성물은 각각 경화촉진제 0.01 내지 1 중량부, 표면조정제 0.1 내지 1 중량부 및 자외선 흡수제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표면 조정제는 폴리실록산계 화합물 및 비실리콘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제 및 제2 용제는 각각 에스테르계 용제, 에테르계 용제, 탄화수소계 용제 또는 이들의 혼합 용제를 포함하는 것인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KR1020180093630A 2018-08-10 2018-08-10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KR10246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630A KR102468328B1 (ko) 2018-08-10 2018-08-10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630A KR102468328B1 (ko) 2018-08-10 2018-08-10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992A true KR20200017992A (ko) 2020-02-19
KR102468328B1 KR102468328B1 (ko) 2022-11-17

Family

ID=6966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630A KR102468328B1 (ko) 2018-08-10 2018-08-10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3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10651A (zh) * 2021-12-31 2023-07-11 上海飞凯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Pu涂料组合体系及其涂装体和应用
CN116410654A (zh) * 2021-12-31 2023-07-11 上海飞凯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聚氨酯涂料组合体系及其涂层制品和应用
WO2024054023A1 (ko) * 2022-09-08 2024-03-14 주식회사 케이씨씨 수용성 베이스 코트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1564A (ja) * 2007-03-15 2010-06-24 ナノビア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樹枝状ポリウレタンコーティング
KR101424146B1 (ko) * 2007-08-20 2014-08-04 주식회사 케이씨씨 다층 코팅, 이를 형성하기 위한 열경화형 도료조성물, 및이 다층 코팅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품
KR101466049B1 (ko) * 2014-07-28 2014-11-27 주식회사 서림 방청성 및 내오염성, 내후성을 위한 실리콘 및 불소 변성 아크릴계 중방식 도료 조성물
KR20150071907A (ko) * 2013-12-19 2015-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액형 비철금속 코팅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1564A (ja) * 2007-03-15 2010-06-24 ナノビア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樹枝状ポリウレタンコーティング
KR101424146B1 (ko) * 2007-08-20 2014-08-04 주식회사 케이씨씨 다층 코팅, 이를 형성하기 위한 열경화형 도료조성물, 및이 다층 코팅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품
KR20150071907A (ko) * 2013-12-19 2015-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액형 비철금속 코팅제
KR101466049B1 (ko) * 2014-07-28 2014-11-27 주식회사 서림 방청성 및 내오염성, 내후성을 위한 실리콘 및 불소 변성 아크릴계 중방식 도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10651A (zh) * 2021-12-31 2023-07-11 上海飞凯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Pu涂料组合体系及其涂装体和应用
CN116410654A (zh) * 2021-12-31 2023-07-11 上海飞凯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聚氨酯涂料组合体系及其涂层制品和应用
WO2024054023A1 (ko) * 2022-09-08 2024-03-14 주식회사 케이씨씨 수용성 베이스 코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328B1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7386B1 (en) Coating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ultilayer coatings
JP2009511253A (ja) 車体へのプライマ焼付無しでの多層コーティングの形成方法
JP5850526B2 (ja) 塗料組成物および塗膜形成方法
KR102468328B1 (ko)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KR101378336B1 (ko) 내화학성, 내스크래치성 및 스크래치 복원성이 우수한 1액형 자동차 상도용 투명 도료 조성물
JP4073044B2 (ja) ヒドロキシ基含有フィルム形成性ポリマー、ポリイソシアネート化合物およびジオールに基づく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20170130210A (ko) 투명 도료 조성물
EP1417245B1 (en) Coating agents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ulti-layer coatings
JP6230473B2 (ja) 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形成方法
JP2005042001A (ja) 塗料組成物、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品
WO2008023224A1 (en) Resin compositions for coatings and coating compositions wherein these are used
JP2010285459A (ja) 塗料組成物及び塗膜形成方法
KR20140115828A (ko) 스크래치 자가복원 도료 조성물
JP2021138819A (ja) 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形成方法
WO2009075392A1 (en)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rming multilayer coating film
KR20200068294A (ko) 베이스 코트 조성물
KR101230890B1 (ko) 나노 실리카 입자를 함유한 내스크래치성 클리어 도료 조성물
KR102567352B1 (ko) 투명 도료 조성물
CN113166578B (zh) 涂料组合物
KR102358215B1 (ko) 도료 키트, 이를 이용한 다층 보호막
KR101928148B1 (ko) 도료 조성물
KR102461873B1 (ko) 클리어 코트 조성물
JP7156784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
KR102259014B1 (ko)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KR102583105B1 (ko) 클리어 코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