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215B1 - 도료 키트, 이를 이용한 다층 보호막 - Google Patents

도료 키트, 이를 이용한 다층 보호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215B1
KR102358215B1 KR1020170044239A KR20170044239A KR102358215B1 KR 102358215 B1 KR102358215 B1 KR 102358215B1 KR 1020170044239 A KR1020170044239 A KR 1020170044239A KR 20170044239 A KR20170044239 A KR 20170044239A KR 102358215 B1 KR102358215 B1 KR 102358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ol resin
coating
coating composition
acrylic poly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048A (ko
Inventor
조영석
정윤정
하인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70044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21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다층 보호막 형성용 도료 키트, 이를 이용한 다층 보호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료 키트, 이를 이용한 다층 보호막{COATING KIT, MUTI-LAYERED PROTECTIVE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층 보호막 형성용 도료 키트, 이를 이용한 다층 보호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그릴의 흑색도장방법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수지 재질의 자동차 그릴 전체에 크롬을 도금하고, 도금된 크롬 중의 일부만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프라이머 및 흑색도장제를 순차적으로 도장한 후, 건조하여 자동차 그릴의 일부분만 크롬도금을 구성하는 공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플라스틱 소재에 크롬 도금 공정 후 발생되는 폐수 처리 등 환경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크롬 도금 대체 공정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핫 스탬핑(hot stamping) 공정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플라스틱 소재 위에 알루미늄박판을 올려놓은 후 프레스(press) 하여 소재에 알루미늄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도금 외관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핫 스탬핑부 자체만으로는 부식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핫 스탬핑부의 알루미늄 부위 보호와 같이 금속 기재의 보호를 위한 도료 및 보호막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15-0004093 호
본 발명의 제1 기술적 과제는 다층 보호막 형성용 도료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기술적 과제는 상기 도료 키트를 포함하는 다층 보호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제 1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제1 용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제 1 도료 조성물; 및 제 2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제2 용제 10 중량%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제 2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층 보호막 형성용 도료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금속 기재상에 도장되고, 제 1 도료층 및 상기 제 1 도료층상에 제 2 도료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다층 보호막으로서, 상기 제 1 도료층은 제 1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제1 용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제 1 도료 조성물이 도장되어 형성된 층이고, 상기 제 2 도료층은 제 2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제2 용제 10 중량%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제 2 도료 조성물이 도장되어 형성된 층인 것인 다층 보호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보호막 형성용 도료 키트는 특정 함량의 성분 조합을 갖는 제 1 도료 조성물 및 제 2 도료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금속 기재를 보호할 수 있는 다층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형성된 다층 보호막은 우수한 외관 및 도장 작업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부착성, 내수성, 내치핑성 및 내후성 등의 도막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보호막 형성용 도료 키트는 제 1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제1 용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제 1 도료 조성물; 및 제 2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제2 용제 10 중량%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제 2 도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보호막 형성용 도료 키트는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을 포함하는 제 1 도료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다층 보호막 형성시 금속 기재와의 부착성, 및 내수성, 내치핑성 및 내후성 등의 도막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60 중량%을 포함하는 제 2 도료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도막의 외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키트는 금속 기재의 부식발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층 보호막 형성용 도료 키트로서, 금속 기재와의 부착성 및 물성 확보를 위한 제 1 도료 조성물, 및 도막의 외관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한 제 2 도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제 1 도료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보호막 형성용 도료 키트에 포함되는 제 1 도료 조성물은 금속 기재, 구체적으로 핫 스탬핑부의 알루미늄 기재상과 플라스틱상에 동시 도장되어 제 1 도료층을 형성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로서, 이에 의해 상기 기재들과의 부착성 및 도막의 물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핫 스탬핑부는 플라스틱 소재위에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판을 올려놓은 후 프레스(press)하여 플라스틱 소재에 알루미늄이 부착된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도료 조성물은 제1 및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2액형 도료 조성물로서, 특히 기재와의 부착성 및 물성에 기여할 수 있는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도막의 외관 및 도막 물성에 기여할 수 있는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의 조합을 통하여 기재와의 부착성, 작업성 및 도막 물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도료 조성물은 제 1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제1 용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는 고형분 함량이 55 중량% 내지 65 중량%이고, 하이드록실기가 60 내지 75 mgKOH/g일 수 있으며,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15,000 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한 기재와의 부착성 및 도막 물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의 사용량이 매우 중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는 제 1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20 중량%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 25 중량% 내지 4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기재와의 부착성이 저하되기 쉽고, 도막의 평활성이 불량해질 수 있으며, 내수성 및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폴리올 수지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면 스프레이 작업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건조성을 불량하게 하고, 도막의 경화밀도를 낮게 하여 내수성, 내후성 및 내충격성의 불량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는 고형분 함량이 45 중량% 내지 55 중량%이고, 하이드록실기가 50 내지 100 mgKOH/g이며, 유리전이온도(Tg)가 20 내지 60℃이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15,000 내지 20,000 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한 외관 및 도막 물성을 모두 구현하기 위하여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의 사용량이 중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는 제 1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20 중량%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 25 중량% 내지 4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도막의 외관이 저하될 수 있으며, 내수성 및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면 도막의 경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의 중량비는 1:1 내지 1:2, 구체적으로 1:1.5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의 범위인 경우, 도장 작업성뿐만 아니라 기재와의 부착성, 내수성 및 내후성 등의 도막 물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만일, 상기 중량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재와의 부착성 및 도막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에서 사용되는 단량체는 구체적으로, 2-하이드록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아크릴 단량체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아크릴 단량체는 스티렌,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단량체와 공중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1 용제는 도막의 두께를 유지시켜 주고, 도장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n-헵탄, 톨루엔, 자일렌, 석유계 화합물 및 n-헥산 등의 비극성 용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이염기성 에스테르, 3-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 부틸글리콜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아세톤, 디이소부틸 케톤, 이소포론 및 사이클로헥사논 등의 극성 용제; 및 상기 비극성 용제와 극성 용제의 혼합물 중 1종 이상을 수지의 특성이나 휘발 속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용제는 에스테르계 용제, 에테르계 용제 또는 이들의 혼합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용제가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면 전체적인 물성에서 부착력 저하나 내구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너무 소량 사용되면 용제 사용으로 인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용제는 예를 들어, 제 1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에스테르계 용제 10 중량% 내지 20 중량% 및 에테르계 용제 1 중량% 내지 1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도료 조성물은 제1 및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와 경화제의 반응을 촉진시켜 도막건조 및 경화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경화촉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 부탄 디아민, 비시클로옥탄,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트리에틸렌 디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촉진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면, 제 1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0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경화촉진제의 사용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 건조성 및 도막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외관 저하 및 가사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도료 조성물은 도료의 표면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표면 조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조정제로서는 표면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도료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표면 조정제 및/또는 실리콘계 표면 조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조정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면, 제 1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면 조정제의 사용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외관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재도장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도료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아크릴 수지의 발색단보다 UV 흡수 능력이 강해 아크릴 수지의 라디칼의 발생을 억제시키며 아크릴 수지의 변색, 부풀어 오름, 층간박리, 광택 손실 방지에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을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원가상승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1 중량% 미만인 경우 내후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도료 조성물은 제 1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25 중량% 내지 45 중량%,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25 중량% 내지 45 중량%, 에스테르계 용제 10 중량% 내지 20 중량%, 에테르계 용제 1 중량% 내지 10 중량%, 표면 조정제 0.1 중량% 내지 1 중량%, 자외선 흡수제 1 중량% 내지 10 중량% 및 경화촉진제 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금속 기재와의 부착성 및 도막물성을 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도료 조성물은 상기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경화속도, 부착성, 도막경도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하며 저가인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단독중합체 또는 변성체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경우 각종 플라스틱 성형품에 대한 부착성 및 내습성, 도막경도 등이 우수하며,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경제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와 아크릴폴리올 수지 내의 하이드록실기의 반응 비율(NCO/OH)은 1.03 내지 1.07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 경도 및 내수성 등의 도막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높을 경우, 도막 건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적당한 용제로 희석하여 별도용기에 보관한 후 사용 직전에 충분히 교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화제 희석용액의 희석율은 주종 혼합물과 경화제 희석용액을 혼합하였을 때 수지의 하이드록실기와 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가 결합하여 우레탄 반응이 당량 대 당량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계산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혼합비는 예를 들어, 당량비 기준으로 1: 0.9 내지 1: 1.2 로 이루어질 수 있다. 1:1.2 초과인 경우,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1:0.9 미만인 경우, 경화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제 2 도료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보호막 형성용 도료 키트에 사용되는 제 2 도료 조성물은 상기 제 1 도료 조성물이 도장되어 형성된 제 1 도료층상에 도장되어 제 2 도료층을 형성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로서, 이에 의해 도막의 외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도료 조성물은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와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2액형 도료 조성물로서, 특히 우수한 외관 및 물성에 기여할 수 있는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도막의 살오름성 및 도막 물성에 기여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의 조합을 통하여 도막의 외관 및 작업성과 도막 물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도료 조성물은 제 2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제2 용제 10 중량%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는 고형분 함량이 45 중량% 내지 55 중량%이고, 하이드록실기가 50 내지 100 mgKOH/g이며, 유리전이온도(Tg)가 20 내지 60℃이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15,000 내지 20,000 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한 도막 외관 및 물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의 사용량이 중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는 제 2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20 중량%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 2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도막의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고,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면 도막의 살오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에서 사용되는 단량체는 구체적으로 2-하이드록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아크릴 단량체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아크릴 단량체는 스티렌,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단량체와 공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는 고형분 함량이 60 중량% 내지 80 중량%이고, 하이드록실기가 100 내지 160 mgKOH/g이며, 유리전이온도(Tg)가 0 내지 40℃이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1,500 내지 2,500 g/mol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의 예로는, 글리콜 단량체와 산기를 가진 단량체와의 축합반응으로 생성되는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 단량체의 예로는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6-헥산디올, 1,4-부탄디올, 1,4-사이클로헥산 아미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고, 상기 산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테레프탈산, 말레산무수물, 푸마르산, 프탈산무수물, 이소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무수물, 아디프산 및 이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한 살오름성 및 도막 물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의 사용량이 중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는 제 2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20 중량% 내지 60 중량%, 구체적으로 3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도막의 살오름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함량이 60 중량%를 초과하면 도막의 경도가 감소할 수 있다. .
상기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의 중량비는 1:1 내지 1:2, 구체적으로 1:1.5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의 범위인 경우, 도막의 외관이 우수하며, 내후성 조건하에서 도막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중량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도막의 외관 및 내후성 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도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2 용제는 도막의 두께를 유지시켜주고 도장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도료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용제와 동일한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에스테르계 용제와 에테르계 용제의 혼합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용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용제가 지나치게 많이 사용되면 전체적인 물성에서 부착력 저하나 내구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너무 소량 사용되면 용제 사용으로 인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용제는 예를 들어, 제 2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 중량% 내지 4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용제는 에스테르계 용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 및 에테르계 용제 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도료 조성물은 도료의 표면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표면 조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조정제로서는 표면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도료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실록산계 표면 조정제 및/또는 비실리콘계 표면 조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조정제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면, 제 2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면 조정제의 사용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외관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재도장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도료 조성물은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와 경화제의 반응을 촉진시켜 도막건조 및 경화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경화촉진제 및 자외선 흡수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성분 및 함량은 상기 제 1 도료 조성물과 동일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도료 조성물은 제 2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40 중량%,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30 중량% 내지 50 중량%, 에스테르계 용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 에테르계 용제 1 중량% 내지 10 중량%, 표면 조정제 0.1 중량% 내지 1 중량%, 자외선 흡수제 1 중량% 내지 10 중량% 및 경화촉진제 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도막의 외관 및 내구성을 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도료 조성물은 상기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제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와 아크릴폴리올 수지와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내의 하이드록실기의 반응 비율(NCO/OH)은 1.03 내지 1.07일 수 있다. 만일,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 경도, 내수성 등의 도막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높을 경우, 도막건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적당한 용제로 희석하여 별도용기에 보관한 후 사용 직전에 충분히 교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화제 희석용액의 희석율은 주종 혼합물과 경화제 희석용액을 혼합하였을 때 수지의 하이드록실기와 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가 결합하여 우레탄 반응이 당량 대 당량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계산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혼합비는 예를 들어, 당량비 기준으로 1: 0.9 내지 1: 1.2 로 이루어질 수 있다. 1:1.2 초과인 경우 미반응 이소시아네이트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1:0.9 미만인 경우 경화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금속 기재상에 도장되고, 제 1 도료층 및 상기 제 1 도료층상에 제 2 도료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다층 보호막으로서, 상기 제 1 도료층은 제 1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제1 용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제 1 도료 조성물이 도장되어 형성된 층이고, 상기 제 2 도료층은 제 2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제2 용제 10 중량%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제 2 도료 조성물이 도장되어 형성된 층인 것인 다층 보호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보호막에 있어서, 건조도막 두께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도료층은 15 내지 25 ㎛, 구체적으로 15 내지 20 ㎛의 두께범위이고, 상기 제 2 도료층은 25 내지 40 ㎛, 구체적으로 30 내지 35 ㎛ 두께범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도료층 및 제 2 도료층의 두께비는 1:1 내지 1:3, 더욱 구체적으로 1: 1.5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다층 보호막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료층의 두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금속 기재와의 부착성, 및 내수성, 내치핑성 및 내후성 등의 도막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도료층의 두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도막의 외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금속 기재상에 제 1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제1 용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제 1 도료 조성물을 도장 및 건조하여 제 1 도료층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프라미어층 상에 제 2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제2 용제 10 중량%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제 2 도료 조성물을 도장 및 경화하여 제 2 도료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보호막의 형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다층 보호막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료층은 상술한 함량 범위의 성분 조합을 갖는 제 1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 기재, 더욱 구체적으로 플라스틱 소재 위에 알루미늄박판을 올려 놓은 후 프레스(press)하여 플라스틱 소재에 알루미늄이 부착된 핫 스탬핑부상에 상기 제 1 도료 조성물을 15 내지 25 ㎛의 건조도막 두께를 갖도록 도장한 후, 상온에서 1분 내지 10분간 방치하여 제 1 도료층을 얻을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 2 도료층은 상술한 함량 범위의 성분 조합을 갖는 제 2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제 1 도료층상에 제 2 도료 조성물을 25 내지 45 ㎛의 건조도막 두께를 갖도록 도장하여 제 2 도료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후, 약 80 내지 90 ℃에서 30분 내지 60분간 핫 에어로 최종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금속 기재상에, 구체적으로 핫 스탬핑부상에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료 키트를 이용하여 형성된 다층 보호막은 특정 함량의 성분 조합을 갖는 제 1 도료 조성물 및 제 2 도료 조성물이 각각 도장되어 형성된 제 1 도료층 및 제 2 도료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외관 및 도장 작업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부착성, 내수성, 내치핑성 및 내후성 등의 도막 물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보호막은 금속 기재 보호막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자동차 라디에이터 그릴용 보호막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도료 키트의 제조
<제 1 도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따른 각 성분 및 함량을 사용하여 제 1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서,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를 용기에 넣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저속으로 혼합하였다. 그 후, 자외선 흡수제, 표면 조정제, 경화촉진제, 및 제1 용제를 투입하여 30분간 교반하고, 필요에 따라 용제를 추가로 사용하여 점도를 59 내지 65KU로 조절하였다. 그 다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HDI Trimer)를 주제: 경화제의 당량비 기준 1:1로 혼합물에 첨가하여 제 1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희석 신너로 15 - 18초(FORD CUP#4)로 조절하였다.
<제 2 도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따른 각 성분 및 함량을 사용하여 제 2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서,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를 용기에 넣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저속으로 혼합하였다. 그 후, 자외선 흡수제, 표면 조정제, 경화촉진제, 및 제2 용제를 투입하여 30분간 교반하고, 필요에 따라 용제를 추가로 사용하여 점도를 59 내지 65KU로 조절하였다. 그 다음,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HDI Trimer)를 주제: 경화제의 당량비 기준 1:1로 혼합물에 첨가하여 제 2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희석 신너로 15 - 18초(FORD CUP#4)로 조절하였다.
<다층 보호막을 포함하는 도막 제조>
핫 스탬핑부상에 상기 제 1 도료 조성물을 15 내지 20 ㎛의 건조도막 두께를 갖도록 도장한 후, 상온에서 5분간 방치하여 제 1 도료층을 얻었다. 그 다음, 상기 제 1 도료층상에 상기 제 2 도료 조성물을 30 내지 35 ㎛의 건조도막 두께를 갖도록 도장하고, 약 80 ℃에서 30분간 핫 에어로 경화하여 제 2 도료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최종 도막을 얻었다
실시예 2
하기 표 1과 같이 제 1 도료 조성물에서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의 함량을 변경하고, 제 2 도료 조성물에서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의 함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 1 도료 조성물, 제 2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을 얻었다.
비교예 1
하기 표 2와 같이 제 1 도료 조성물에서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의 함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 1 도료 조성물, 제 2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을 얻었다.
비교예 2
하기 표 2와 같이 제 1 도료 조성물에서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의 함량을 변경하고, 제 2 도료 조성물에서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의 함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 1 도료 조성물, 제 2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을 얻었다.
비교예 3
하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1의 제 1 도료 조성물만을 이용하여 제 1 도료층을 도장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도막을 얻었다.
비교예 4
하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의 제 2 도료 조성물만을 이용하여 제 2 도료층을 도장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도막을 얻었다.
비교예 5
하기 표 3과 같이 제 2 도료 조성물에서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의 함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 1 도료 조성물, 제 2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을 얻었다.
비교예 6
하기 표 3과 같이 제 1 도료 조성물에서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의 함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 1 도료 조성물, 제 2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을 얻었다.
비교예 7
하기 표 3과 같이 제 2 도료 조성물에서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의 함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 1 도료 조성물, 제 2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을 얻었다.
하기 표 1 내지 표 3에서 각 성분은 다음과 같다 :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7237-XS-60EN / ETERNAL 사, 고형분 55 내지 65 중량%, 하이드록실기 65 내지 75 mgKOH/g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CRT01522 / KCC 사, 고형분 45 내지 55 중량%, 하이드록실기 50 내지 80 mgKOH/g, 유리전이온도(Tg) 30 내지 50℃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CRT01522 / KCC사, 고형분 45 내지 55 중량%, 하이드록실기 50 내지 80 mgKOH/g, 유리전이온도(Tg) 30 내지 50℃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CRF00279 / KCC사, 고형분 65 내지 75 중량%, 하이드록실기 100 내지 130 mgKOH/g, 유리전이온도(Tg) 10 내지 30℃
자외선 흡수제: TINUVIN 1130 / BASF사 하이드록시 페닐 벤조 트리아졸
표면 조정제 A: BYK 358N / BYK 폴리실록산계 표면 조정제
표면 조정제 B: BYK / BYK 306 폴리실록산계 표면조정제
경화 촉진제: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DBTDL / 우창실업
용제(제1 및 제2 용제): 에틸 아세테이트 (10 중량%), 부틸 아세테이트 (10중량%) 및 부틸 셀루솔브(6.7 중량%)의 혼합물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제1 도료층
(중량%)
제2 도료층
(중량%)
제1 도료층
(중량%)
제2 도료층
(중량%)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35 40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35 30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30 35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40 35
자외선 흡수제 3 1.5 3 1.5
표면 조정제 A 0.2 0.2
표면 조정제 B 0.2 0.2
경화촉진제 0.1 0.1 0.1 0.1
용제 26.7 28.2 26.7 28.2
(단위: 중량%)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제1 도료층 제2 도료층 제1 도료층 제2 도료층 제1 도료층 제2 도료층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15   15   35 -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55   55   35 -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30   25   -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40   45   -
자외선 흡수제 3 1.5 3 1.5 3 -
표면 조정제A 0.2   0.2   0.2 -
표면 조정제B   0.2   0.2    
경화촉진제 0.1 0.1 0.1 0.1 0.1 -
용제 26.7 28.2 26.7 28.2 26.7 -
(단위: 중량%)
성분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제1 도료층 제2 도료층 제1 도료층 제2 도료층 제1 도료층 제2 도료층 제1 도료층 제2 도료층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   35   55   35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   35   15   35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 30   15   30   55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 40   55   40   15
자외선 흡수제 - 1.5 3 1.5 3 1.5 3 1.5
표면 조정제A -   0.2   0.2   0.2 0.2
표면 조정제B   0.2   0.2   0.2    
경화촉진제 - 0.1 0.1 0.1 0.1 0.1 0.1 0.1
용제 - 28.2 26.7 28.2 26.7 28.2 26.7 28.2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얻어진 도막을 이용하여 도장 작업성, 최종 도막의 외관, 부착성, 내수성, 내치핑성 및 내후성 등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고,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우수
○-양호
△-보통
X-불량
1) 도장 작업성
30 x 40cm 틴플레이트에 IWATA 61건으로 왕복 2회 도장하여 도장시 도료의 무화 정도, 평활성의 정도와 도막 살오름성을 비교하였다.
2) 외관
도막 표면의 기포, 이물, 반점, 홈 및 평활성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3) 부착성
ASTM D3359 테이프 부착성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1㎜x 1㎜ 눈금 100개 중에서 테이프 접착성 시험 후 박리된 부분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4) 내수성
40℃ 항온조에 완성된 도막을 10일간 침적 후 부착시험 및 외관평가를 진행하였다.
5) 내치핑성
규정된 내치핑성 시험기로 45°각도로 4.0kgf 압력으로 비석을 분사하여 도막의 외관을 육안으로 비교하였다.
6) 내후성
제논 웨더로미터 시험기 환경에서 2500kJ의 에너지로 폭로 후 도막 외관, 색차, 부착성을 비교하였다.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도장작업성 X X X
외관 X X
부착성 X X
내수성 X X
내치핑성 X X
내후성 X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2의 제 1 도료 조성물 및 제 2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적용한 도막의 경우, 도장 작업성과 외관이 우수하고, 부착성, 내수성, 내치핑성 및 내후성 등의 내구 물성이 우수한 반면, 비교예 1 내지 7의 보호막을 적용한 도막의 경우, 도막의 외관 및 작업성은 우수하나 부착성, 내수성 및 내후성 등의 도막 물성이 열세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특정 함량 범위내의 제1 및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를 포함하는 제 1 도료 조성물 및 특정 함량 범위내의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를 포함하는 제 2 도료 조성물을 도장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도막은 도막의 물성이 모두 우수하였으나, 본 발명의 함량 범위에 벗어나는 제 1 도료 조성물을 도장한 비교예 1 및 2의 경우 부착성 및 내후성이 실시예 1 및 2의 도막에 비해 저하되고, 내수성이 크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 1 도료층만 존재하는 경우인 비교예 3, 제 2 도료층만 존재하는 경우인 비교예 4는 도장 작업성, 외관, 부착성, 내수성, 내치핑성, 내후성이 모두 열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2 도료층이 본 발명의 함량 범위에 벗어나는 경우인 비교예 5와, 제 1 도료 조성물에서 제1 및 제2 아크릴 폴리올 수지가 본 발명의 함량 범위에 벗어난 경우인 비교예 6 및 제 2 도료 조성물에서 제3 아크릴 폴리올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가 본 발명의 함량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인 비교예 7의 경우도 최종 외관이 비교적 우수하게 나타난 비교예 5의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본원 실시에 보다 열악한 물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금속 기재상에 도장되고, 프라이머층제 1 도료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제 1 도료층 상에 클리어층제 2 도료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다층 보호막으로서,
    상기 프라이머층제 1 도료층은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제 1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1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제2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제1 용제 1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제 1 도료 조성물이 도장되어 형성된 층이고,
    상기 클리어층제 2 도료층은 클리어 도료 조성물제 2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제3 아크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50 중량%,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수지 2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제2 용제 10 중량%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제 2 도료 조성물이 도장되어 형성된 층인 것인 다층 보호막.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제 1 도료층은 15 내지 25 ㎛의 두께범위이고, 상기 클리어층제 2 도료층은 25 내지 40 ㎛ 두께범위인 것인 다층 보호막.
KR1020170044239A 2017-04-05 2017-04-05 도료 키트, 이를 이용한 다층 보호막 KR102358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239A KR102358215B1 (ko) 2017-04-05 2017-04-05 도료 키트, 이를 이용한 다층 보호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239A KR102358215B1 (ko) 2017-04-05 2017-04-05 도료 키트, 이를 이용한 다층 보호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048A KR20180113048A (ko) 2018-10-15
KR102358215B1 true KR102358215B1 (ko) 2022-02-04

Family

ID=63865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239A KR102358215B1 (ko) 2017-04-05 2017-04-05 도료 키트, 이를 이용한 다층 보호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2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46B1 (ko) * 2007-08-20 2014-08-04 주식회사 케이씨씨 다층 코팅, 이를 형성하기 위한 열경화형 도료조성물, 및이 다층 코팅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성형품
KR20130013452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 케이씨씨 자동차 보수용 투명 도료 조성물
KR101540078B1 (ko) 2013-07-02 2015-07-30 주영산업 주식회사 크롬 도금 표면에 도포되는 이중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KR101583888B1 (ko) * 2013-12-19 2016-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파클 감이 향상된 도료 조성물과 그 도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048A (ko) 201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11582B2 (ja) 放射線硬化性組成物
CN107298932B (zh) 涂料组合物和涂膜形成方法
JP2009511253A (ja) 車体へのプライマ焼付無しでの多層コーティングの形成方法
JP2009530425A (ja) 塗料組成物及び塗膜形成方法
CA2822527C (en) Radiation curable coating compositions for metal
KR20170130210A (ko) 투명 도료 조성물
KR101488316B1 (ko) 스크래치 자가복원 도료 조성물
EP1417245B1 (en) Coating agents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ulti-layer coatings
KR102468328B1 (ko) 핫-스탬핑된 금속 소재용 도료 키트
US20090247711A1 (en) Coating compositions
JP2010285459A (ja) 塗料組成物及び塗膜形成方法
JP2005042001A (ja) 塗料組成物、塗膜形成方法および塗装物品
KR102358215B1 (ko) 도료 키트, 이를 이용한 다층 보호막
WO2009075392A1 (en)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rming multilayer coating film
KR102383359B1 (ko) 투명 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KR101947240B1 (ko) 도료 조성물
WO2009013576A1 (en) Reactive diluents for modifying thermosetting paint compositions and paint compositions in which they are used.
JP7369558B2 (ja) 3次元成型品加飾用積層フィルム
KR102567352B1 (ko) 투명 도료 조성물
JP4600386B2 (ja) 複層塗膜、複層塗膜の塗装方法、及び複層塗膜で塗装された自動車
KR101928148B1 (ko) 도료 조성물
KR20200068294A (ko) 베이스 코트 조성물
EP2647679B1 (en) Clear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forming multilayer coating film that uses same
JP2009270031A (ja) 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塗料用樹脂組成物
KR102583105B1 (ko) 클리어 코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