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820B1 - 덕트 접속구 및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덕트 접속구 및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820B1
KR101308820B1 KR1020117022022A KR20117022022A KR101308820B1 KR 101308820 B1 KR101308820 B1 KR 101308820B1 KR 1020117022022 A KR1020117022022 A KR 1020117022022A KR 20117022022 A KR20117022022 A KR 20117022022A KR 101308820 B1 KR101308820 B1 KR 101308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path
air
air passage
path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4778A (ko
Inventor
유우헤이 나루세
요시노리 후지이
히로키 아오키
츠네오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4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덕트 접속구는, 송풍기를 내장하는 환기 장치에 부착되고, 급기용 또는 배기용의 덕트가 접속되는 덕트 접속구로서, 환기 장치로부터의 급기류 또는 배기류가 통과 가능한 풍로부와, 풍로부에 겹쳐져서 풍로부의 주위를 덮는 단열부를 가지며, 풍로부에는, 단열부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지지 기구는, 풍로부에 형성된 돌기부와, 풍로부에 대해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고, 결합부는, 절곡됨으로써 돌기부에 결합하고, 풍로부와의 사이에 단열부를 끼워 넣어서 지지한다.

Description

덕트 접속구 및 환기 장치{DUCT CONNECTION OPENING AND 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은, 덕트 접속구, 특히 단열재를 구비하는 덕트 접속구 및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열교환 환기 장치 등의 환기 장치에서는, 덕트를 접속하기 위한 덕트 접속구가 마련된다. 예를 들면, 덕트 접속구를 팬 케이싱과 일체 성형하는 기술이 특허 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환기 장치는, 설치되는 건물의 레이아웃 등에 의해, 배관의 구부림, 길이를 많이 필요로 하고, 환기 장치의 송풍 성능의 악화, 운전 소음의 상승 등 악영향을 주는 요인이 된다. 그래서, 배관의 구부림, 길이를 가능한 한 적게 할 수 있도록, 환기 장치의 덕트 접속구는 건물의 레이아웃 등에 맞추어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은, 덕트 접속구가 팬 케이싱에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 접속구를 건물의 레이아웃 등에 맞추어서 변경하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덕트 접속구를 팬 케이싱이나 본체 케이싱 등의 환기 장치 본체와는 별체로 구성한 것이 있다. 또한, 환기 장치는, 동절기에 결로가 발생하는 한랭지에 설치하는 경우, 덕트 배관 및 덕트 접속구에 결로 방지를 위한 단열층(단열재)을 배열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덕트 접속구(52)를 풍로부(52a)와 단열층(52b)으로 구성하고, 중첩된 상태의 양 부재를 별도부재(52c)로 꽉 누르면서 나사 고정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환기 장치 본체와의 별체 구성 및 동계의 결로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 있다(도 8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4-371738호 공보
환기 장치 본체를 천장 뒷면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어두컴컴하고 시인성이 나쁘거나, 발판이 불안정하거나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풍로부(52a), 단열층(52b), 별도부재(52c)의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된 덕트 접속구를 환기 장치 본체에 위치맞춤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시공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풍로부(52a), 단열층(52b), 별도부재(52c)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겹치는 것도 어렵다. 또한, 부품 갯수의 증가에 의해, 부품의 낙하나 분실도 우려된다. 또한, 부품 갯수의 증가에 의해, 중량의 증가나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착 위치의 변경 가능화 및 결로 방지를 도모하면서, 시공 현장에서의 시공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파이프 접속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덕트 접속구는, 송풍기를 내장하는 환기 장치에 부착되고, 급기용 또는 배기용의 덕트가 접속되는 덕트 접속구로서, 환기 장치로부터의 급기류 또는 배기류가 통과 가능한 풍로부와, 풍로부에 겹쳐져서 풍로부의 주위를 덮는 단열부를 가지며, 풍로부에는, 단열부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풍로부에 단열부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환기 장치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덕트 접속구의 부착 작업중에 부품이 낙하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미리 풍로부에 단열부를 지지시킨 상태에서, 환기 장치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덕트 접속구의 부착 작업중의 부품의 분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풍로부와 단열부를 환기 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부재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 갯수의 삭감에 의한 경량화, 비용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열교환 환기 장치(환기 장치)를 아랫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열교환 환기 장치를 아랫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덕트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덕트 접속구를 조립한 유닛 사시도.
도 5는 단열층을 지지하는 지지 기구의 상세도.
도 6은 덕트 접속구를 부착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7은 열교환 환기 장치의 평면도 및 덕트 접속구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8은 종래의 덕트 접속구를 도시하는 분해도.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덕트 접속구를 구비하는 환기 장치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의 형태)
도 1은, 열교환 환기 장치(환기 장치)를 아랫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열교환 환기 장치를 아랫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열교환 환기 장치(50)는, 본체 케이싱(1), 상자체(5), 덕트 접속구(22)를 구비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싱(1)은, 육면체의 상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싱(1)은, 금속판 성형체(31), 저판(32), 측판(14a, 14b)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금속판 성형체(31)는, 천판(31a)과, 이 천판(31a)의 한 쌍의 대변이 절곡된 한 쌍의 측판(31b, 31c)의 3면으로 이루어지고, 단면 ㄷ자형상을 나타낸다. 저판(32)은, 천판(31a)에 대향하여 마련된다. 측판(14a, 14b)은, 금속판 성형체(31)와 저판(32)으로 이루어지는 통형상체의 양 개구를 덮는다. 이와 같이, 본체 케이싱(1)은, 천판(31a), 저판(32), 측판(31b, 31c, 14a, 14b)의 6면으로 구성된다. 저판(32)은, 드레인 접시 구조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수지 성형품이 사용된다.
상자체(5)는, 적층형의 열교환기(2), 급기용 송풍기(3), 배기용 송풍기(4)를 수납하여 본체 케이싱(1) 내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상자체(5)로는, 스티로폼 성형품이 사용된다. 상자체(5)에는, 열교환기(2)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열교환기(2)에는, 1차 풍로와 2차 풍로가 서로 독립하여 형성된다. 또한, 1차 풍로와 2차 풍로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열교환기(2)의 각각의 풍로의 바람이 불어오는 측에는, 외기 제진필터 테두리 유닛(6), 실내 배기 제진필터(7)가 마련된다. 외기 제진필터 테두리 유닛(6), 실내 배기 제진필터(7)는, 저판(32)측에서 탈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어서, 덕트 접속구(22)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덕트 접속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덕트 접속구(22)를 조립한 유닛 사시도이다. 도 5는, 단열층(단열부)을 지지하는 지지 기구의 상세도이다.
덕트 접속구(22)는, 풍로부(23), 단열층(24)을 갖고서 구성된다. 덕트 접속구(22)는, 측판(14a, 14b)에 형성된 풍로 개구(14c) 부분에 부착된다. 덕트 접속구(22)는, 그 부착 위치에 의해, 실내 급기구, 배기 흡입구, 배기 취출구, 외기 흡입구로 분류된다. 풍로부(23)는, 덕트 접속구(22)를 측판(14a, 14b)에 부착할 때의 부착 기판이 되는 기부(基部)(23a)와 통형상 형상의 통부(23b)를 갖고 있다. 통부(23b)의 내측이, 열교환 환기 장치(50)로부터의 급기류 또는 배기류가 통과 가능한 풍로가 된다. 통부(23b)의 외경은 약 100㎜로 되어 있고, 내경 100㎜의 덕트를 접속할 수가 있다.
기부(23a)에는, 단열층(24)을 지지하는 지지 기구(26)가 4개소에 구비된다. 지지 기구(26)는, 돌기부(26a)와 결합부(26b)를 갖고서 구성된다. 돌기부(26a)는 기부(23a)에 입설되고, 지름이 큰 대경통(26c)과 지름이 작은 소경통(26d)의 단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돌기부(26a)에는, 풍로부(23)의 측판(14a, 14b)으로의 부착면과 그 반대의 면을 관통하도록 관통구멍(26e)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26e)은, 덕트 접속구(22)를 측판(14a, 14b)에 부착할 때의 나사 구멍이 된다.
결합부(26b)는, 기부(23a)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부(23a)와 결합부(26b)의 경계에는 홈(26f)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6f)에 의해, 결합부(26b)를 홈(26f) 부분에서 절곡할 수 있는 힌지 구조가 구성된다. 또한, 결합부(26b)는 홈(26f)에 의해 절곡 가능하게 되는 경우로 한정하지 않고, 경첩 등을 이용하여 절곡 가능하게 되어도 좋다. 또한, 풍로부(23)에 형성되는 결합부(26b)의 개수는, 본 실시의 형태에 나타내는 4개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여도 좋다.
결합부(26b)는, 그 선단 부분(26h)이 굴곡되어 있고, 단면 L자형상을 나타낸다. 선단 부분(26h)에는 U자 구멍(노출구멍)(26g)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26b)를 홈(26f)에서 절곡하면, 선단 부분(26h)에 형성된 U자 구멍(26g)이, 돌기부(26a)의 소경통(26d)에 걸리고, 결합부(26b)와 돌기부(26a)가 결합한다. 또한, 결합부(26b)가 돌기부(26a)에 결합한 상태에서, 선단 부분(26h)과 기부(23a)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 소정의 공간에, 단열층(24)이 선단 부분(26h)과 기부(23a)에 끼워져서 지지된다. 또한, 결합부(26b)가 돌기부(26a)에 결합한 상태에서, 돌기부(26a)의 관통구멍(26e)은 U자 구멍(26g)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도 6은, 덕트 접속구(22)를 부착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기부(23a)는, 측판(14a, 14b)으로의 부착면에 가이드 돌기부(위치 결정부)(23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부(23c)는 덕트 접속구(22)를 측판(14a, 14b)에 부착할 때에, 풍로 개구(14c)에 끼여서 덕트 접속구(22)의 위치 결정을 한다.
단열층(24)은 풍로부(23)에 겹쳐지고, 기부(23a), 통부(23b)를 덮어서 결로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단열층(24)은 예를 들면, 스티로폼 성형품이 사용된다. 단열층(24)중, 통부(23b)를 덮는 원통부(24b)는, 다른 지름의 통이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 외경이 약 125㎜와 약 150㎜의 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열층(24)의 원통부(24b)는, 그 외측면을 원통부(24b)의 중심축과 개략 평행한 소정의 평면으로 절단한 형상과 개략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로는, 원통부(24b)중, 외경을 약 150㎜로 하는 통부분이, 한 단계 작은 통부분이 되는 외경을 약 125㎜로 하는 통부분의 외주면에 접하는 면으로 절단된 형상을 하고 있다. 절단 부분(24c)은 원통부(24b)를 끼우고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외경을 약 150㎜로 하는 통부분이, 반경 방향으로 25㎜씩 양측에서 절단되어 있다. 여기에서, 덕트와 원통부(24b)를 실 하기 위한 테이프의 폭은 일반적으로 50㎜이다. 덕트와 원통부(24b)와의 간극이 25㎜보다 커지면, 그 간극을 막기 위해, 테이프의 폭중 덕트 부분에 겹쳐서 붙여지는 부분이 작아지고(예를 들면 10㎜), 실의 성능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원통부(24b)의 절단량은, 반경 방향으로서 2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열교환 환기 장치(50)의 평면도 및 덕트 접속구(22)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24b)의 일부에 절단 부분(24c)이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덕트 접속구(22)를 열교환 환기 장치(50)에 부착할 때에, 고정 금구, 저판(32), 별매 부품(어태치먼트, 댐퍼 유닛)(100) 등의 부품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열교환 환기 장치(50)의 외형 치수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풍로부(23)에 단열층(24)이 겹쳐진 상태에서, 풍로부(23)의 통부(23b)의 일부가 노출한다. 이에 의해, 내경이 100㎜의 덕트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통부(23b)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내경이 125㎜ 또는 150㎜의 덕트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단열층(24)의 원통부(24b)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덕트 접속구(22)를 이용함으로써, 다른 내경의 덕트 접속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덕트 지름을 변환하는 변환 부재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 다른 내경의 덕트를 그대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변환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압력 손실을 경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열교환 환기 장치(50)의 환기 능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풍로부(23)의 통부(23b)의 외경이나, 단열층(24)의 원통부(24b)의 외경은, 본 실시의 형태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단열층(24)중, 기부(23a)를 덮는 부분에는 돌기용 관통구멍(24a)이 형성되어 있다. 단열층(24)이 풍로부(23)에 겹쳐진 상태에서, 돌기용 관통구멍(24a)에는, 기부(23a)에 입설된 돌기부(26a)가 관통한다.
이어서, 덕트 접속구(22)의 조립 공정 및 덕트 접속구(22)를 측판(14a, 14b)에 부착하는 공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풍로부(23)에 대해 단열층(24)이 겹쳐진다. 이 때, 단열층(24)에 형성된 돌기용 관통구멍(24a)에 풍로부(23)의 돌기부(26a)를 관통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단열층(24)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감싸는부(26b)를 절곡하여, 돌기부(26a)에 결합시킴으로써, 덕트 접속구(22)가 조립된다. 덕트 접속구(22)가 조립되면, 감싸는부(26b)의 선단 부분(26h)과 풍로부(23)의 기부(23a)와의 사이에 생기는 소정의 공간에, 단열층(24)가 끼워 넣어져서 지지된다. 이에 의해, 단열층(24)이 풍로부(23)에 가고정 된다.
이어서, 조립된 상태의 덕트 접속구(22)가, 측판(14a, 14b)의 풍로 개구(14c)에 부착된다. 덕트 접속구(22)는, 돌기부(26a)에 형성된 관통구멍(26e)을 통하여 측판(14a, 14b)에 나사 고정된다. 단열층(24)은, 풍로부(23)에 가고정 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 접속구(22)를 측판(14a, 14b)에 부착할 때에, 풍로부(23)와 단열층(24)이 분리하여 낙하하여 버리는 것이나 분실하여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풍로부(23)와 단열부(24)를 열교환 환기 장치(50)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부재(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별도부재(52c))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 갯수의 삭감에 의한 경량화, 비용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부(23a)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23c)를 풍로 개구(14c)에 끼우면, 덕트 접속구(22)를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인성이 나쁘거나, 발판이 불안정하거나 하는 경우라도, 시공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덕트 접속구(22)가 미리 조립되기 때문에, 덕트 접속구(22)를 부착할 때에, 풍로부와 단열층과의 나사 구멍을 맞추는 등의 번거로운 위치맞춤도 불필요하게 되고, 덕트 접속구(22)의 부착 시공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덕트 접속구(22)의 조립도, 풍로부(23)와 단열층(24)을 겹친 다음, 감싸는부(26b)를 절곡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특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조립 작업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덕트 접속구(22)를 측판(14a, 14b)에 부착한 후, 감싸는부(26b)가 홈(26f)에서 절단되어 버린 경우라도, 덕트 접속구(22)는 관통구멍(26e)을 거쳐 나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 접속구(22)의 부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감싸는부(26b)의 선단 부분(26h)이 와셔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단열층(24)의 빠저 떨어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측판(31c)에 풍로 개구(31d)를 형성하면, 덕트 접속구(22)의 설치 위치의 변경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덕트 접속구(22)의 위치를 건물의 레이아웃 등에 맞추어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일단, 측판(14a, 14b)에 형성된 풍로 개구(14c)에 부착한 덕트 접속구(22)를, 측판(31c)에 형성된 풍로 개구(31d)에 갈아붙이는 경우에도, 시공성이 높은 덕트 접속구(22)라면, 부품의 낙하나 분실이라는 문제가 생기기 어렵고, 교체시에도 간단하다. 또한, 덕트 접속구(22)의 가이드 돌기부(23c)는, 측판(31c)에 부착될 때에도 풍로 개구(31d)에 끼어져 위치 결정 기능을 발휘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덕트 접속구는, 환기 장치에 부착하는데 유용하고, 특히, 부착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열교환기에 이용하는데 적합하다.
1 : 본체 케이싱 2 : 열교환기
3 : 급기용 송풍기 4 : 배기용 송풍기
5 : 상자체 6 : 외기 제진필터 테두리 유닛
7 : 실내 배기 제진필터 14a, 14b : 측판
22 : 덕트 접속구 23 : 풍로부
23a : 기부 23b : 통부
23c : 가이드 돌기부(위치 결정부)
24 : 단열층(단열부) 24a : 돌기용 관통구멍
24b : 원통부 24c : 절단 부분
26 : 지지 기구 26a : 돌기부
26b : 감싸는부(결합부) 26c : 대경통
26d : 소경통 26e : 관통구멍
26f : 홈 26g : U자 구멍(노출구멍)
26h : 선단 부분 31 : 금속판 성형체
31a : 천판 31b, 31c : 측판
32 : 저판 50 : 열교환 환기 장치(환기 장치)

Claims (7)

  1. 송풍기를 내장하는 환기 장치에 부착되고, 급기용 또는 배기용의 덕트가 접속되는 덕트 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로부터의 급기류 또는 배기류가 통과 가능한 풍로부와,
    상기 풍로부에 겹쳐져서 상기 풍로부의 주위를 덮는 단열부를 가지며,
    상기 풍로부에는, 상기 풍로부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풍로부에 대하여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단열부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는, 절곡됨으로서 상기 돌기부에 결합하고, 상기 풍로부와의 사이에 상기 단열부를 끼워 넣어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접속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는, 상기 풍로부의 상기 환기 장치에의 부착면과 그 반대의 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돌기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을 노출시키는 노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풍로부는, 상기 단열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풍로부를 상기 환기 장치에 나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접속구.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풍로부에는, 상기 환기 장치에 대해 상기 풍로부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접속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풍로부의 상기 환기 장치에의 설치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환기 장치에 형성된 개구에 끼움으로써 상기 풍로부를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접속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는, 접속되는 덕트의 내주에 감합(嵌合)하는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부는, 원통의 외측면을 축선과 평행한 소정의 평면으로 절단한 형상과 같은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접속구.
  7. 상자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내장된 송풍기와,
    상기 케이싱에 부착된 제 1항에 기재된 덕트 접속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KR1020117022022A 2009-03-30 2009-03-30 덕트 접속구 및 환기 장치 KR101308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6554 WO2010116466A1 (ja) 2009-03-30 2009-03-30 ダクト接続口および換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778A KR20110124778A (ko) 2011-11-17
KR101308820B1 true KR101308820B1 (ko) 2013-09-13

Family

ID=4293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022A KR101308820B1 (ko) 2009-03-30 2009-03-30 덕트 접속구 및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416079B1 (ko)
JP (1) JP5079137B2 (ko)
KR (1) KR101308820B1 (ko)
CN (1) CN102317695B (ko)
TW (1) TW201035500A (ko)
WO (1) WO20101164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8701B2 (ja) * 2012-01-20 2015-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装置
CN105910219A (zh) * 2016-06-07 2016-08-31 上海赛菲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换气装置及所适用的新风机
EP3633284A4 (en) * 2017-05-30 2020-06-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NE PORT AND VENTILATION DEVICE
JP7172502B2 (ja) * 2018-11-27 2022-11-16 株式会社リコー 送風装置、乾燥装置、印刷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522A (ja) * 1997-10-24 1999-05-21 Matsushita Seiko Co Ltd 換気装置
JP2003074936A (ja) 2001-08-30 2003-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換気装置
JP2005003345A (ja) 2003-05-21 2005-01-06 Showa Denko Kk 換気兼熱交換装置および空調システム
JP2006242514A (ja) 2005-03-04 2006-09-14 Max Co Ltd 熱交換型換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632B2 (ja) 1991-06-20 2001-05-28 松下精工株式会社 熱交換形換気装置
JPH07332727A (ja) * 1994-06-06 1995-12-22 Daikin Ind Ltd 熱交換換気装置
JP2000171070A (ja) * 1998-12-04 2000-06-23 Matsushita Seiko Co Ltd 換気空調ユニット
EP1508002B1 (en) * 2002-05-15 2008-07-23 Imperial Sheet Metal Ltd. Connection adapter for conduits and ventilation units
KR100700454B1 (ko) * 2004-10-28 200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2522A (ja) * 1997-10-24 1999-05-21 Matsushita Seiko Co Ltd 換気装置
JP2003074936A (ja) 2001-08-30 2003-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換気装置
JP2005003345A (ja) 2003-05-21 2005-01-06 Showa Denko Kk 換気兼熱交換装置および空調システム
JP2006242514A (ja) 2005-03-04 2006-09-14 Max Co Ltd 熱交換型換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6079A4 (en) 2017-11-22
TWI372845B (ko) 2012-09-21
EP2416079B1 (en) 2019-09-11
JP5079137B2 (ja) 2012-11-21
EP2416079A1 (en) 2012-02-08
WO2010116466A1 (ja) 2010-10-14
KR20110124778A (ko) 2011-11-17
CN102317695A (zh) 2012-01-11
TW201035500A (en) 2010-10-01
CN102317695B (zh) 2014-02-05
JPWO2010116466A1 (ja)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9318C (en) Furnace vent termination
KR101308820B1 (ko) 덕트 접속구 및 환기 장치
JP5338756B2 (ja) 空気調和機の冷媒分岐ユニット
US7627999B2 (en) Prefabricated fixture protection cover and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JP4945357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5127688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WO2012160749A1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5278341B2 (ja) 空調室内機
JP5516495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2018071863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037887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6414189B2 (ja) 無響室
JP2010112622A (ja) セントラル換気扇
KR20210008292A (ko) 공기 조화기
WO2018220697A1 (ja) ダクト接続口及び換気装置
CN220524226U (zh) 一种换热器组件以及空调室内机
JP6384304B2 (ja) 電磁膨張弁ユニット
JP2004219014A (ja) コーナー用化粧カバー
JP200715528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463265Y1 (ko) 공기조화장치
JP2023123963A (ja) 屋外フード
JP200802010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03014284A (ja) 換気装置
JP2005147578A (ja) 換気ボックスとその施工方法
JP201308340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