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924B1 - 리퀴드 패킹 장치 - Google Patents

리퀴드 패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924B1
KR101307924B1 KR1020130057348A KR20130057348A KR101307924B1 KR 101307924 B1 KR101307924 B1 KR 101307924B1 KR 1020130057348 A KR1020130057348 A KR 1020130057348A KR 20130057348 A KR20130057348 A KR 20130057348A KR 101307924 B1 KR101307924 B1 KR 101307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pack
packaging pack
liquid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수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수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수이엔지
Priority to KR1020130057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9/00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 B65B39/12Nozzles, funnels or guides for introducing articles or materials into containers or wrappers movable towards or away from container or wrapper during filling or deposi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2Closing bottle neck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형태의 시럽이나 약 등을 낱개 포장하기 위한 리퀴드 패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띠 형태의 포장용 팩을 연속으로 공급하는 제1 공급부; 상기 포장용 팩을 둥글게 말면서 양측 가장자리를 융착하여 관 형태로 형성하는 제1 융착부; 하단이 상기 둥글게 말리는 포장용 팩 내부로 들어가 있도록 고정되는 고정관; 일정높이 승강을 반복하는 승강대; 상기 포장용 팩의 상하를 일정간격으로 융착하면서 하부로 끌어내리는 제2 융착부; 리퀴드 제품을 일정량씩 연속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부; 상기 고정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리퀴드 제품을 배출하는 노즐; 및 상기 제2 융착부에 의해 융착된 부분을 절단하는 커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고정관이 리퀴드 제품의 공급 후 융착되어야 할 부분을 보호하면서 노즐이 상기 고정관을 관통해 하강한 상태로 리퀴드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공급되는 리퀴드 제품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밀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리퀴드 패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퀴드 패킹 장치{PACKING DEVCIE}
본 발명은 액체 형태의 시럽이나 약 등을 낱개 포장하기 위한 리퀴드 패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체 형태의 시럽이나 약 등(이하, 리퀴드(riquid) 제품이라 칭함)은 필요할 때 하나씩 개봉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은 형태의 비닐 팩에 낱개 포장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리퀴드 제품을 자동으로 포장하기 위해서는 띠 형태의 포장용 팩을 연속으로 공급하면서 세로로 형성되는 가장자리 부분을 융착하여 관 형태로 만들고, 상기 포장용 팩의 상하를 일정간격마다 융착하는 한편, 상기 포장용 팩의 하부를 융착한 상태에서 상부를 융착하기 전에 노즐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리퀴드 제품을 담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이렇게 일정구간마다 리퀴드 제품이 밀봉되면 상하의 융착 부분을 절단하여 낱개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에는 상기 노즐을 이용하여 리퀴드 제품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리퀴드 제품이 노즐과 포장용 팩의 상부로 튀거나 묻어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 경우 융착의 신뢰성이 떨어지면서 리퀴드 제품이 새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포장용 팩의 상하를 융착할 때 고정된 위치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열 압착하여 융착하게 되는데, 이때 융착 시간은 최대 리퀴드 제품을 공급하는 동안만 이루어지고 리퀴드 제품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포장용 팩을 끌어내리기 위해 융착이 완료된다. 따라서 기존에는 상하의 융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상하의 융착 부분이 벌어지면서 리퀴드 제품이 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포장용 팩의 내부로 리퀴드 제품을 공급 후 융착되어야 할 부분에 공급되는 리퀴드 제품이 튀거나 묻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공급하면서 밀봉할 수 있도록 한 리퀴드 패킹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용 팩을 열 압착한 상태에서 리퀴드 제품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리퀴드 제품의 공급이 완료된 후에도 포장용 팩을 열 압착한 상태로 끌어내리도록 하여 안정적인 융착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리퀴드 패킹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리퀴드 패킹 장치는 띠 형태의 포장용 팩을 연속으로 공급하는 제1 공급부; 상기 제1 공급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포장용 팩을 둥글게 말면서 양측 가장자리를 융착하여 관 형태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포장용 팩을 하부로 배출하는 제1 융착부; 상기 제1 융착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둥글게 말리는 포장용 팩 내부로 들어가 있도록 고정되는 고정관; 상기 제1 공급부 하부에 설치되고, 일정높이 승강을 반복하는 승강대; 상기 승강대의 전방에 설치하되, 상기 고정관 하부에서 승강대와 함께 승강하고, 상기 둥글게 말린 포장용 팩의 전후에서 압착과 이격을 반복하면서 포장용 팩의 상하를 일정간격으로 융착하는 한편, 상기 포장용 팩을 융착하는 상태로 포장용 팩을 하부로 끌어내리는 제2 융착부 ; 상기 제1 공급부 상측에 설치되고, 리퀴드 제품을 일정량씩 연속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부; 상기 승강대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기 승강대와 함께 승강하면서 하단이 상기 고정관을 관통하여 고정관 하부로 출입하는 한편, 상기 하단을 통해 상기 제2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리퀴드 제품을 배출하는 노즐; 및 상기 제2 융착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융착부에 의해 융착된 부분을 절단하는 커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리퀴드 패킹 장치에 의하면 고정관이 리퀴드 제품의 공급 후 융착되어야 할 부분을 보호하면서 노즐이 상기 고정관을 관통해 하강한 상태로 리퀴드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공급되는 리퀴드 제품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밀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리퀴드 패킹 장치에 의하면 포장용 팩의 상하를 융착할 때 열 압착한 상태로 리퀴드 제품을 공급함과 아울러 리퀴드 제품의 공급이 완료 후 포장용 팩을 끌어내리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융착 시간의 확보를 통해 포장용 팩의 상하 융착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리퀴드 패킹 장치에 의해 생산된 제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리퀴드 패킹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리퀴드 패킹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리퀴드 패킹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리퀴드 패킹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리퀴드 패킹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리퀴드 패킹 장치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태의 포장용 팩을 연속으로 공급하는 제1 공급부(100), 상기 포장용 팩(1)을 둥글게 말면서 양측 가장자리를 융착하여 관 형태로 형성하는 제1 융착부(200), 하단이 상기 둥글게 말리는 포장용 팩 내부로 들어가 있도록 고정되는 고정관(300), 일정높이 승강을 반복하는 승강대(400), 상기 포장용 팩의 상하를 일정간격으로 융착하면서 하부로 끌어내리는 제2 융착부(500), 리퀴드 제품을 일정량씩 연속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부(600) 상기 고정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리퀴드 제품을 배출하는 노즐(700) 및 상기 제2 융착부에 의해 융착된 부분을 절단하는 커팅부(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공급부(100)는 띠 형태로 롤에 권취되어 있는 포장용 팩(1)을 연속으로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공급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태의 포장용 팩을 권취하여 공급하는 샤프트와 띠 형태의 포장용 팩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롤러들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융착부(200)는 상기 제1 공급부(100)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포장용 팩을 둥글게 말면서 양측 가장자리를 융착하여 관 형태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포장용 팩을 하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띠 형태의 포장용 팩을 둥글게 말면서 양측 가장자리를 융착하여 관 형태로 형성하는 기술은 통상적으로 커피 믹스를 낱개로 공급하는 포장용 팩킹 기술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과 도시는 생략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고정관(300)은 상기 제1 융착부(200)의 상측에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둥글게 말리는 포장용 팩(1) 내부로 들어가 있도록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관(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말리는 포장용 팩(1)의 형태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그 내부로 후술하는 노즐(700)이 관통하여 상하로 승강하면서 리퀴드 제품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 상기 고정관(300)의 하단은 포장용 팩(1)에 채워진 리퀴트 제품의 수위보다 높게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노즐이 하강하여 포장용 팩의 하부에서 리퀴드 제품을 공급할 때 리퀴드 제품이 튀더라도 다음에 융착되어야 할 포장용 팩의 상부에 묻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리퀴드 제품의 공급을 완료한 노즐이 상승할 때 노즐에 묻어있는 리퀴드 제품이 다음에 융착되어야 할 포장용 팩의 상부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대(400)는 상기 제1 공급부(100) 하부에 설치되고, 일정높이 승강을 반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승강대(400)의 승강은 예를 들어 실린더를 이용하거나 모터와 스크루 등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 융착부(500)는 상기 승강대(40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관(300) 하부에서 승강대(400)와 함께 승강하고, 상기 둥글게 말린 포장용 팩(1)의 전후에서 압착과 이격을 반복하면서 포장용 팩의 상하를 일정간격으로 융착하는 한편, 상기 포장용 팩을 하부로 끌어내리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2 융착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퀴드 제품을 공급하기 전에 상기 승강대(400)와 함께 상승하여 연속으로 공급되는 포장용 팩의 하부를 전후에서 밀착하면서 융착하고, 상기 융착된 부분 위로 리퀴드 제품이 공급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400)와 함께 하강하면서 포장용 팩을 끌어내린다. 포장용 팩을 일정 거리 끌어내린 후에는 다시 전후로 벌어지면서 상승함으로써, 전술된 과정을 연속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면 상기 제2 융착부(500)가 상기 리퀴드 제품을 공급하기 전부터 포장용 팩을 끌어내릴 때까지 열 압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충분한 융착 시간의 확보를 통해 융착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공급부(600)는 상기 제1 공급부(100) 상측에 설치되면서 리퀴드 제품을 일정량씩 연속으로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 공급부(600)는 실시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퀴드 제품을 저장하는 호퍼(미도시)와 호퍼에 저장된 리퀴드 제품을 압송하기 위한 펌프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700)은 상기 승강대(400)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기 승강대(400)와 함께 승강하면서 하단이 상기 고정관(300)을 관통하여 고정관(300) 하부로 출입하는 한편, 상기 하단을 통해 상기 제2 공급부(600)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리퀴드 제품을 배출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기 노즐(7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관(300)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로 승강하는데, 도 5와 같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리퀴드 제품을 공급하지 않고, 도 6과 같이 하강한 상태에서 리퀴드 제품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커팅부(800)는 상기 제2 융착부(500)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융착부(500)에 의해 융착된 부분을 절단한다. 즉, 상기 커팅부(800)는 제2 융착부(500)에 의해 떨어지지 않는 상태로 연속해서 내려오는 포장용 팩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실린더에 의해 날이 전후진하여 절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부(800) 하부에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절단된 제품을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정관(300)이 리퀴드 제품의 공급 후 융착되어야 할 부분을 보호하면서 노즐(700)이 상기 고정관(300)을 관통해 하강한 상태로 리퀴드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공급되는 리퀴드 제품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밀봉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융착부(500)가 포장용 팩의 상하를 융착할 때 열 압착한 상태로 리퀴드 제품을 공급함과 아울러 리퀴드 제품의 공급이 완료 후 포장용 팩을 끌어내리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융착 시간의 확보를 통해 포장용 팩의 상하 융착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융착부와 노즐(700)이 동시에 승하강이 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어 포장팩의 깊숙이 노즐이 삽입되어 액체형태의 제품이 뛰지 않도록 형성하였다.
1: 포장용 팩 2. 리퀴드 제품
100: 제1 공급부
200: 제1 융착부
300: 고정관
400: 승강대
500: 제2 융착부
600: 제2 공급부
700: 노즐
800: 커팅부

Claims (2)

  1. 띠 형태의 포장용 팩을 연속으로 공급하는 제1 공급부;
    상기 제1 공급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포장용 팩을 둥글게 말면서 양측 가장자리를 융착하여 관 형태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포장용 팩을 하부로 배출하는 제1 융착부;
    상기 제1 융착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둥글게 말리는 포장용 팩 내부로 들어가 있도록 고정되는 고정관;
    상기 제1 공급부 하부에 설치되고, 일정높이 승강을 반복하는 승강대;
    상기 승강대의 전방에 설치하되, 상기 고정관 하부에서 승강대와 함께 승강하고, 상기 둥글게 말린 포장용 팩의 전후에서 압착과 이격을 반복하면서 포장용 팩의 상하를 일정간격으로 융착하는 한편, 상기 포장용 팩을 융착하는 상태로 포장용 팩을 하부로 끌어내리는 제2 융착부;
    상기 제1 공급부 상측에 설치되고, 리퀴드 제품을 일정량씩 연속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 공급부;
    상기 승강대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기 승강대와 함께 승강하면서 하단이 상기 고정관을 관통하여 고정관 하부로 출입하는 한편, 상기 하단을 통해 상기 제2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리퀴드 제품을 배출하는 노즐; 및
    상기 제2 융착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융착부에 의해 융착된 부분을 절단하는 커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퀴드 패킹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융착부와 노즐이 동시에 승하강이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퀴드 패킹 장치.

KR1020130057348A 2013-05-21 2013-05-21 리퀴드 패킹 장치 KR101307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348A KR101307924B1 (ko) 2013-05-21 2013-05-21 리퀴드 패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348A KR101307924B1 (ko) 2013-05-21 2013-05-21 리퀴드 패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924B1 true KR101307924B1 (ko) 2013-09-12

Family

ID=4945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348A KR101307924B1 (ko) 2013-05-21 2013-05-21 리퀴드 패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9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315B1 (ko) * 2020-01-13 2020-04-27 (주)아남자동기 히팅 바 교체수단을 갖는 자동 포장기용 융착부
KR102189044B1 (ko) * 2020-02-26 2020-12-10 (주)아남자동기 이착접착 및 간격조절용 자동화 포장장치
KR102438177B1 (ko) * 2022-03-21 2022-08-30 주식회사 솔팩 2개의 포켓을 가지는 스틱형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137A (ko) * 1982-01-23 1983-03-25 군너칼슨 상품 포장 방법
JPH09327870A (ja) * 1996-06-10 1997-12-22 Ishizu Seisakusho:Kk 連続運転式茶漉し袋製造機
JPH10194237A (ja) * 1997-01-06 1998-07-28 Fab Toyama:Kk 充填装置
KR200313463Y1 (ko) * 2003-02-10 2003-05-14 안병화 종이컵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137A (ko) * 1982-01-23 1983-03-25 군너칼슨 상품 포장 방법
JPH09327870A (ja) * 1996-06-10 1997-12-22 Ishizu Seisakusho:Kk 連続運転式茶漉し袋製造機
JPH10194237A (ja) * 1997-01-06 1998-07-28 Fab Toyama:Kk 充填装置
KR200313463Y1 (ko) * 2003-02-10 2003-05-14 안병화 종이컵 포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315B1 (ko) * 2020-01-13 2020-04-27 (주)아남자동기 히팅 바 교체수단을 갖는 자동 포장기용 융착부
KR102189044B1 (ko) * 2020-02-26 2020-12-10 (주)아남자동기 이착접착 및 간격조절용 자동화 포장장치
KR102438177B1 (ko) * 2022-03-21 2022-08-30 주식회사 솔팩 2개의 포켓을 가지는 스틱형 포장용기에 내용물을 공급하기 위한 노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924B1 (ko) 리퀴드 패킹 장치
KR100937893B1 (ko) 비닐백 절첩 적층장치
CN106144378A (zh) 瓶装药剂自动发药装置
IT201800010250A1 (it) Apparato per il confezionamento di capsule in sottovuoto
JP2009040518A (ja) 供給、搬出装置
KR101391185B1 (ko) 스틱 파우치용 저점도 충전노즐이 장착된 포장장치
CN100509568C (zh) 杀菌设备及方法
KR20120066784A (ko) 사과절단장치
CN105936139A (zh) 一种半自动扣手挽机
JP5822155B1 (ja) ガス及び液状物の充填包装方法
CN203486554U (zh) 全自动上板机
KR20160015547A (ko) 프레스 절단장치를 구비한 사면 포장기
CN114030903A (zh) 一种袋装产品的拆垛装置
KR101425417B1 (ko) 다분할 포장팩의 연속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KR20060110923A (ko) 액체 포장기
CN200942990Y (zh) 集装箱散货装卸专用料斗
KR102049559B1 (ko) 포장지의 펴짐방지용 융착장치
JP6251542B2 (ja) フレコンバッグの粉体の吸引取出装置
JP2017088225A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製造装置
CN219821974U (zh) 一种充氮包装设备
CN205538498U (zh) 一种面板弯折爆裂检测装置
JP2008018962A (ja) 樹脂袋用液体充填機
KR101180686B1 (ko) 노즈플레이트 및 이를 갖춘 포장기계
KR200471205Y1 (ko) 파우치 용기의 흡착 방지장치
CN211365141U (zh) 一种pe袋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