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642B1 - 다수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엘리베이터 그룹제어 - Google Patents

다수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엘리베이터 그룹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642B1
KR101306642B1 KR1020087007638A KR20087007638A KR101306642B1 KR 101306642 B1 KR101306642 B1 KR 101306642B1 KR 1020087007638 A KR1020087007638 A KR 1020087007638A KR 20087007638 A KR20087007638 A KR 20087007638A KR 101306642 B1 KR101306642 B1 KR 101306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elevator
destination
user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176A (ko
Inventor
마르야-리사 시코넨
야네 소르사
펜티 라이하넨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5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66B1/20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and for varying the manner of operation to suit particular traffic conditions, e.g. "one-way rush-hou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3Destination call input before entering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1Shafts divided into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선지층 호출을 입력하고, 유저에 의해 입력된 행선지층 호출의 호출 데이터를 기록하고, 행선지층 호출의 승강장 호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엘리베이터 카를 할당하고 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 도착하고 있을 때 카 호출을 엘리베이터 카에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서, 유저는 행선지 호출 장치를 사용하여 행선지층 호출을 입력한다. 행선지층 호출은 행선지 호출 장치의 메모리에 기록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 시스템에 전송되는 호출 데이터는 승강장 호출, 즉 유저가 출발하는 층 및 유저에 의해 주어진 행선지층이 상향에 있는지 또는 하향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다. 행선지층 호출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바로 전송될 수도 있고, 이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행선지층 호출의 호출 데이터를 제어 시스템의 메모리 내에 기록한다. 제어 시스템은 행선지층 호출의 승강장 호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의 조건에 적당한 엘리베이터를 할당한다. 유저에게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층에 도착하였을 때, 제어 시스템은 유저에게 서비스될 엘리베이터에 카 호출을 전송한다.
Figure 112008022706010-pct00001
엘리베이터 시스템, 엘리베이터 그룹, 행선지 호출 장치, 행선지층 호출, 승강장 호출 데이터, 카 호출

Description

다수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MULTIPLE CAR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GROUP CONTROL THEREF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 방법은 유저가 입력한 행선지 호출의 승강장 호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적절한 엘리베이터 카가 결정되는 방법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의 작동은 유저에 의해 입력된 호출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대부분의 경우 호출 입력부는 승강장에 도착한 승객이 원하는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수단으로서, 상향/하향 버튼을 빌딩의 각 층에 배치함으로써 배열되어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에 제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엘리베이터 승객은 원하는 행선지층에 대응하는 제어 패널의 버튼을 누른다. 그에 따라 종래의 호출 입력 방법에서, 엘리베이터 승객은 두 개의 호출을 입력한다. 먼저, 고객이 현재 위치한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도록 호출 버튼이 눌러져야만 한다. 이에 더하여, 엘리베이터 카 내에서 다른 호출 버튼을 또 한번 누르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한 방향의 화살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지시등이 대체로 승강장 호출 버튼 부근, 즉 엘리베이터 카의 외부에 있는 상향/하향 버튼 부근에 배치되어있다. 이러한 한 방향의 화살표에 불이 켜진 신호등(signal light)은 승강층에 도착한 엘리베이터의 이동할 방향을 표시한다. 또한, 승강장에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옆 또는 위에 배치된 디지털의 넘버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고, 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엘리베이터가 현재 위치하는 층을 연속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부품들을 나타내고 있고, 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엘리베이터 그룹(111)은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11), 엘리베이터 제어 패널(12),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 시스템(13) 및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14)을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 시스템(13)은 상향/하향 버튼을 통해 입력된 승강장 호출을 수신하고, 호출을 입력한 사람에게 가장 잘 서비스할 수 있을 엘리베이터 그룹의 엘리베이터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려고 한다. 승강장 호출은 유저의 출발층 및 유저가 상향으로 또는 하향으로 이동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유저에게 적절할 엘리베이터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는 호출 할당(call allocation)이라고 불린다. 연속 할당에서, 제어 시스템(13)은 유저에게 적절한 엘레베이터를, 예를 들면 0.5초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계속 선택한다. 대개 승강장 호출은 유저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고 또한 호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엘레베이터에 할당된다. 연속 할당에서, 엘레베이터의 실제 선택은 엘레베이터가 호출한 층에 매우 근접하여서 정지하기 위하여 감속하는 것을 시작해야만 할 때까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 단계에서, 그룹 제어 시스템(13)은 정지하고 있는 엘레베이터 카에 승 강장 호출을 할당하고 수신된 승강장 호출을 엘레베이터 제어 시스템(14)으로 전송한다. 일단 제어 시스템(13)이 어느 엘레베이터를 유저에게 서비스할지를 결정하면, 유저는 제어 패널(12)의 원하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유저의 행선지층을 입력할 수 있다. 연속 할당의 이점 중 하나는, 유저의 출발층을 향하여 이동하는 엘레베이터가 유저의 출발층에 도달하기 전에 정지하여 얼마 동안 멈춘 채로 있는 경우, 승강장 호출이 입력될 때에 가장 좋은 것으로 생각된 엘레베이터 카보다 훨씬 일찍 유저가 있는 층에 도달하는 또 다른 엘리베이터가 다른 곳으로부터 도착할 수 있다.
도 2는 또 다른 호출 방법을 채용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따른 행선지층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유저는 엘리베이터(21)의 외부의 엘리베이터 로비에서 미리 행선지층을 선택한다. 행선지층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기를 기다리는 각각의 유저는 승강장에서 행선지층 호출을 입력하고, 이 행선지층 호출은 유저의 출발층, 행선지층 및 승객의 수 등과 같은 이외의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행선지층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에 탈 때마다 입력될 호출의 수는 종래방식의 두 개의 호출 대신에 하나이다.
행선지층 호출은, 예를 들면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히 지정된 행선지 호출 장치(25)를 사용하여 입력되고, 이 행선지 호출 장치는 종래의 승강장의 호출 버튼에서 발전한 버전으로 승강장에 장착되어있다. 행선지 호출 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승강장 호출 버튼은 유저가 엘리베이터를 타고 가고자하는 층을 바로 지시하도 록 보다 다목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로 발전하였다. 행선지층 호출은 엘리베이터 할당을 위해 그룹 제어 시스템, 즉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24)으로 전송되고, 이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유저에게 서비스되는 엘리베이터를, 예를 들면 유전자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특히 각각의 경우에 대해 즉각 할당하고, 유저가 예약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정보를 행선지 호출 장치로 전한다. 즉각 수행되는 엘리베이터 할당이 단일 할당으로 불린다. 이 경우, 제어 시스템(24)이 유저로부터 행선지층 호출을 수신하는 바로 그때 할당이 일어나고 나중에 그 할당은 변경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카 내에 놓인 간소화된 제어 패널(22)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가 정지하게 될 층들을 표시하는 디지털의 넘버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승강장 호출 할당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다수의 유저의 호출들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그룹의 전체 수송 정원을 이용하는 것은 어렵다. 종래의 제어 방법에서 어느 것도 한 승객에 특정된 원리(a passenger-specific basis)로 각 승객의 총 이동 시간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 그에 반하여, 행선지층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각 승객의 총 이동 시간과 유저의 수를 고려하여서 좀더 효율적으로 시스템의 유저에게 서비스할 수 있다. 행선지층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유저들을 동일한 엘리베이터의 동일한 행선지층에 대하여 모을 수 있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을 신속하고 능률적이게 한다. 하지만, 행선지층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요구되는 엘리베이터 제어는 그룹 제어를 위하여 매우 복잡한 제어 시스템을 필요로 하고, 이 복잡한 제어 시스템은 소규모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꼭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행선지층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제어 테이블은 또한 대용량의 메모리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고 이에 더하여 소규모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경우 가격면에 있어서 실용적이지 못하다.
더욱이, 행선지층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호출에 대해 서비스하도록 선택된 엘리베이터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중이고 또한 어느 층에서 정지할 것인지를 유저가 알게 하는, 승강장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복잡한 신호처리기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된 전술한 문제점들을 없애거나 완화하고, 종래의 그룹 제어를 사용하여 실시되기가 간단하고 용이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전의 해결책과 비교하여 비용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행선지층 호출을 입력하고, 유저가 입력한 행선지층 호출의 호출 데이터를 기록하고, 행선지층 호출의 승강장 호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를 할당하고, 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 도착할 때 카 호출을 엘리베이터 카에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청구항 1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으로 특징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청구항 9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것으로 특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청구항에 기재된 것으로 특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본 발명의 적용예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나타나있다. 적용예에 개시된 본 발명의 내용은 이하의 청구항으로 정의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이 명시적이거나 암시적인 실시예들(sub-tasks)로 생각되는 경우, 본 발명의 내용은 또한 여러 개별 발명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의 청구항에 포함된 특성 중 일부는 개별 발명의 개념들의 관점으로부터 벗어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의 테두리 내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의 특징이 다른 실시예에 관련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저는 행선지 호출 장치를 사용하여 행선지층 호출을 입력한다. 유저에 의해 입력된 행선지층 호출의 호출 데이터는 행선지 호출 장치의 메모리 내에 기록된다. 행선지층 호출의 승강장 호출 데이터는 유저의 출발층 및 유저가 상향으로 또는 하향으로 이동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더욱이, 이 호출 데이터는 유저의 행선지층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행선지 호출 장치는 유저의 출발층 및 유저에 의해 주어진 행선지층이 출발층으로부터 상향에 위치되어있는지 또는 하향에 위치되어있는지를 나타내는 승강장 호출로서 유저에 의해 입력된 호출을 종래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부는 연속 할당 또는 단일 할당을 사용하여, 승강장 호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절한 엘리베이터 카를 유저에게 할당한다. 제어 시스템이 연속 할당을 사용하는 경우, 유저는 어느 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 도착하면서 유저에게 서비스될 지에 관하여 예를 들면 신호광 및/또는 신호음으로 정보를 제공받는다. 단일 할당이 적용될 때, 유저는 유저에게 서비스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정보를, 예를 들면 행선지 호출 장치를 통하여 즉각 제공받는다.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도착했을 때, 행선지층 호출 장치는 행선지층 호출로부터 기록된 호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저의 출발층에 관한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이 제어 시스템은 더 카 호출을 엘리베이터 카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방법에서, 유저는 행선지 호출 장치를 통해 행선지층 호출을 다시 입력한다. 이 예에서, 행선지 호출 장치를 통해 입력된 유저의 행선지층 호출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으로 바로 전송되고, 이 제어 시스템은 행선지층 호출의 호출 데이터를 제어 시스템의 메모리 내에 기록한다. 제어 시스템은 연속 할당 또는 단일 할당을 사용하여, 행선지층 호출의 승강장 호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절한 엘리베이터를 유저에게 할당한다. 제어 시스템이 연속 할당을 사용하는 경우, 유저는 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 도착했을 때, 유저에게 서비스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정보를, 예를 들면 신호광 및/또는 신호음으로 제공받는다. 단일 할당이 적용될 때, 유저는 유저에게 서비스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정보를 행선지 호출 장치를 통하여 즉각 제공받는다.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도착했을 때, 제어 시스템은 유저가 이동하려는 층을 엘리베이터에 알리는 카 호출을 엘리베이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가 서비스되는 층들이 여러 구역으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그룹이 4개의 엘리베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하부 층에 서비스되는 두 개의 엘리베이터와 상부 층에 서비스되는 다른 두 개의 엘리베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승객이 현관층에 도착했을 때, 하나의 엘리베이터는 시스템의 특정한 층들에서만 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할당에 있어서의 구역화 데이터를 이용한다. 이 경우, 입력된 호출은 엘리베이터들 중 구역 한정이 해당 행선지층을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엘리베이터에만 전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업-피크(up-peak) 상태에서는 한 엘리베이터에 의해 서비스되는 층의 개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좀더 유효한 엘리베이터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유저가 입력한 행선지층 호출은 단순한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서비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유저는 행선지층 호출로서 호출을 입력할 수 있고, 이 경우 유저는 호출을 오직 한 번만 입력할 필요가 있고, 그 후 제어 시스템은 호출에 응답하여 카를 유저의 행선지층에 오게 하도록 호출 할당을 처리한다.
개시된 해결책은 또한 호출 할당을 처리하기 위해 값비싸고 복잡한 프로세서를 제어 시스템 내에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할당을 위한 이 시스템은 대량의 저장공간 및 연산 기억 용량을 요구하는 상응하는 제어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고, 대신에, 종래의 행선지층 호출에 포함된 승강장 호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호출 할당이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값비싸고 복잡한 제어 시스템 없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비스 수준은 더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현재 있는 제어 시스템에서 형성되는 데에 필요한 변경이 크지않고 그 소모되는 시간이 길지않기 때문에 현재의 시스템에 설치하기도 용이하다. 또한 단순한 행선지층 호출의 프로세싱 기능뿐만 아니라 저장 공간을 현재의 행선지 호출 장치 내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유저가 승강장에서 승강장 호출을 입력하고,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서 행선지층 만을 입력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유저가 하나의 행선지층 호출로, 승강장 호출 및 행선지층의 지시를 입력하는 또 다른 종래기술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유저가 승강장 호출 데이터를 포함하는 단일의 행선지층 호출을 입력하고, 제어 시스템이 승강장 호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절한 엘리베이터를 유저에게 할당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간략화한 형태로 나타낸 기능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시스템은 다수의 엘리베이터(31)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그룹(311), 승객이 사용할 엘리베이터를 예약하기 위한 행선지 호출 장치(34), 및 엘리베이터 그룹(311)의 제어 시스템(33)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유저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오면서 행선지 호출 장치(34)를 통해 행선지층 호출을 입력한다.
본 발명에 따라, 행선지 호출 장치(34)는 행선지층 호출을 기록하고, 이 호출을 승강장 호출로서 엘리베이터 그룹(311)의 제어 시스템(33)에 전송하고, 이 호출은 오직 유저가 출발하는 층 및 유저가 상향으로 또는 하향으로 이동될지를 제어 시스템에 지시한다(즉, 승강장 호출 데이터). 행선지층 호출은 그 자체로 제어 시 스템(33)에 바로 전송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제어 시스템(33)은 호출을 기록하고 그 호출로부터 승강장 호출 데이터를 선택해낸다.
대체로, 제어 시스템(33)은 별개의 엘리베이터 제어부 및 그룹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제어 시스템의 하나의 그룹 제어부만이 동시에 활동한다. 제어 시스템(33)은 연속 할당 또는 단일 할당을 이용하여 행선지층 호출의 승강장 호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할당을 수행한다. 엘리베이터 카의 선택이 연속 할당에 의해 수행되어있을 때, 제어 시스템(33)은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관측하고 승강장 호출을 엘리베이터 그룹에 분배한다. 엘리베이터 카가 층에서 정지할 때, 유저에 의해 입력된 호출을 할당받고, 이 호출은 할당이 일어난 후에 제어 시스템(33)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동시에, 유저는 어느 엘리베이터가 자신에게 제공될지에 대해 신호광 및/또는 신호음으로 정보를 제공받는다. 엘리베이터가 층에 멈추었을 때, 행선지층 호출로부터 기록된 호출 데이터에 기초하는 카 호출이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보내지고 엘리베이터는 행선지층으로 출발한다.
엘리베이터 할당은 또한 단일 할당 방법에 의해 즉각 수행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 시스템(33)은 수신된 승강장 호출에 기초하여 가장 적절한 엘리베이터를 유저에게 즉각 할당한다. 단일 할당을 통해 할당이 수행되는 경우, 그 후 유저에게 할당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정보는 행선지 호출 장치(34)로 전송되고, 유저가 그 정보를 읽을 수 있어서 유저가 탑승하기에 적절한 엘리베이터 카가 어느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층에 도착했을 때, 승강장 호출이 제어 시스 템(33)으로부터 제거되고, 그 후 카 호출(행선지층에 관한 정보)이 엘리베이터 카에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의 기능 블럭도를 나타내고 있다. 방법에서, 유저는 행선지 호출 장치를 통해 행선지층 호출을 입력한다(41). 유저에 의해 입력된 행선지층 호출의 호출 데이터는 메모리 내에 기록된다(42). 이는 두 개의 상이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제1 대안에 따라, 유저에 의해 입력된 행선지층 호출은 행선지 호출은 행선지 호출 장치의 메모리 내에 기록되고, 이 경우 제어 시스템에 전송되는 호출 데이터는 승강장 호출, 즉 유저의 출발층 및 유저에 의해 주어진 행선지층이 상향에 있는지 또는 하향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다. 제2 대안에 따라, 행선지 호출 장치를 통해 유저에 의해 입력된 행선지층 호출은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이 제어 시스템은 행선지층 호출을 제어 시스템의 메모리 내에 기록한다. 제어 시스템은 행선지층 호출의 승강장 호출에 기초하여 유저의 조건에 적절한 엘리베이터를 할당한다(43). 유저에게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층에 도착했을 때, 다음으로, 행선지층 호출이 행선지 호출 장치에 기록되어있던 경우, 행선지층 호출에 포함된 행선지층에 관한 정보가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이 제어 시스템은 또한 카 호출을 엘리베이터 카에 전송한다(44). 반면, 행선지층 호출이 제어 시스템에 기록되어있던 경우에, 유저에게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층에 도착했을 때, 제어 시스템은 기록된 행선지층 호출의 호출 데이터로부터 카 호출을 선택해내어 엘리베이터 카에 전송한다.
상기의 예들로 상세히 설명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행선지층 엘리베이터 시 스템이긴 하지만, 본 발명은 다른 엘리베이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로만 제한되지 않고, 청구항에 정의된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14)

  1.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31)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그룹(311),
    승객이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31)를 예약하기 위한 행선지 호출 장치(34), 및
    엘리베이터 카(31)를 제어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그룹(311)의 제어 시스템(33)으로서, 상기 행선지 호출 장치(34)에 대응하는 제어 시스템(33)을 포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행선지 호출 장치(34)를 통해 행선지층 호출을 입력하는 단계(41),
    상기 행선지층 호출의 호출 데이터를 메모리 내에 기록하는 단계(42),
    유저의 출발층 및 유저가 이동할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행선지층 호출의 승강장 호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유저에게 할당하는 단계(43), 및
    할당된 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 도착하고 있을 때에만 카 호출로서의 기록된 호출 데이터의 행선지층 호출을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에 전송하는 단계(4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선지층 호출의 호출 데이터를 메모리 내에 기록하는 단계(42)는 상기 행선지층 호출의 호출 데이터를 행선지 호출 장치(34)의 메모리 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할당된 엘리베이터가 승강장에 도착하고 있을 때에만 카 호출로서의 기록된 호출 데이터의 행선지층 호출을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에 전송하는 단계(44)는 상기 행선지층 호출의 호출 데이터를 행선지 호출 장치로부터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선지층 호출의 호출 데이터를 메모리 내에 기록하는 단계(42)는 상기 행선지층 호출을 행선지 호출 장치(34)로부터 제어 시스템(33)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행선지층 호출의 호출 데이터를 엘리베이터 그룹(311)의 제어 시스템(33)의 메모리 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가 연속 할당에 의하여 유저에게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유저는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에 도착하고 있을 때,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정보를 신호광으로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가 단일 할당에 의하여 유저에게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유저는 유저가 입력한 행선지층 호출에 응답하여 행선지 호출 장치로 즉각 전송되는 데이터에 의해, 유저에게 할당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들은, 현관층에 도착하는 승객에 대해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에 의해 서비스될 층들을 미리 정한 구역들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9.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31)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그룹(311),
    승객이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카(31)를 예약하기 위한 행선지 호출 장치(34), 및
    엘리베이터 카(31)를 제어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그룹(311)의 제어 시스템(33)으로서, 상기 행선지 호출 장치(34)에 대응하는 제어 시스템(33)을 포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행선지 호출 장치(34)는 행선지층 호출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행선지층 호출의 호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그룹(311)의 제어 시스템(33)은 유저의 출발층 및 유저가 이동할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행선지층 호출의 승강장 호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유저에게 할당하도록 구성되어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그룹(311)의 제어 시스템(33)은 할당된 엘리베이터가 승강장(44)에 도착하고 있을 때에만 카 호출로서의 기록된 호출 데이터의 행선지층 호출을 할당된 엘리베이터 카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행선지 호출 장치(34)는 행선지층 호출을 기록하도록 구성되어있고,
    상기 행선지층 호출의 승강장 호출 데이터를 행선지 호출 장치로부터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행선지 호출 장치(34)는 행선지층 호출을 제어 시스템(33)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있고, 및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33)은 행선지층 호출을 기록하도록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33)은 연속 할당을 사용함으로써 유저에게 엘리베이터 카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33)은 단일 할당을 사용함으로써 유저에게 엘리베이터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선지 호출 장치(34)는 유저가 입력한 행선지층 호출에 응답하여 유저에게 서비스될 엘리베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즉각 수신하도록 구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087007638A 2005-09-27 2006-09-05 다수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엘리베이터 그룹제어 KR101306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50960 2005-09-27
FI20050960A FI118215B (fi) 2005-09-27 2005-09-27 Hissijärjestelmä
PCT/FI2006/000295 WO2007036597A2 (en) 2005-09-27 2006-09-05 Multiple car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group control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176A KR20080056176A (ko) 2008-06-20
KR101306642B1 true KR101306642B1 (ko) 2013-09-10

Family

ID=3515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638A KR101306642B1 (ko) 2005-09-27 2006-09-05 다수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엘리베이터 그룹제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513337B2 (ko)
EP (1) EP1943174B1 (ko)
KR (1) KR101306642B1 (ko)
CN (1) CN100593013C (ko)
AU (1) AU2006296519B2 (ko)
CA (1) CA2621315C (ko)
EA (1) EA011545B1 (ko)
FI (1) FI118215B (ko)
HK (1) HK1118790A1 (ko)
WO (1) WO20070365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0301B (fi) 2007-11-26 2009-09-15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P2010222074A (ja) * 2009-03-19 2010-10-0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GB2487705B (en) 2009-11-10 2014-03-05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with distributed dispatching
CN104684830A (zh) 2012-10-03 2015-06-03 奥的斯电梯公司 电梯需求输入设备
EP3003942B1 (en) * 2013-08-30 2023-01-11 KONE Corporation Multi-deck elevator allocation control
WO2015106821A1 (en) 2014-01-17 2015-07-23 Kone Corporation Elevator system comprising a destination control system
WO2017085352A1 (en) * 2015-11-16 2017-05-26 Kone Corporatio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allocation decision for at least one elevator
US20190168993A1 (en) * 2017-12-05 2019-06-06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of dispatching optimization based on sensing
MX2020006485A (es) 2017-12-21 2020-09-18 Inventio Ag Metodo y control de ascensores para control de un grupo de ascensores teniendo una pluralidad de ascensores basados en llamadas de destino.
US11072515B2 (en) * 2018-03-27 2021-07-27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ed elevator maintenance mode initi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563B1 (ko) * 1983-06-07 1987-03-19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운전장치
US4691808A (en) * 1986-11-17 1987-09-08 Otis Elevator Company Adaptive assignment of elevator car calls
KR960010492A (ko) * 1994-09-20 1996-04-20 가나이 쯔도무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방법 및 장치
JP2003012249A (ja) * 2001-06-27 2003-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乗場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004881D1 (de) * 1989-09-27 1994-04-14 Inventio Ag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in Aufzugskabinen abgesetzten Zielrufen.
FI91238C (fi) * 1989-11-15 1994-06-10 Kone Oy Hissiryhmän ohjausmenetelmä
FI113467B (fi) * 2002-11-29 2004-04-30 Kone Corp Allokointimenetelmä
US5612519A (en) * 1992-04-14 1997-03-18 Inventio Ag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calls entered at floors to cars of a group of elevators
FI108716B (fi) * 1993-11-11 2002-03-15 Kone Corp Menetelmä hissiryhmän ohjaamiseksi
FI102268B (fi) * 1995-04-21 1998-11-13 Kone Corp Menetelmä hissiryhmän ulkokutsujen allokoimiseksi
FI111929B (fi) * 1997-01-23 2003-10-15 Kone Corp Hissiryhmän ohjaus
FI107604B (fi) * 1997-08-15 2001-09-14 Kone Corp Geneettinen menetelmä hissiryhmän ulkokutsujen allokoimiseksi
US5861587A (en) * 1997-11-26 1999-01-19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operating a double deck elevator car
US5923004A (en) * 1997-12-30 1999-07-13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continuous learning by a neural network used in an elevator dispatching system
US6644442B1 (en) * 2001-03-05 2003-11-11 Kone Corporation Method for immediate allocation of landing calls
FI111837B (fi) * 2001-07-06 2003-09-30 Kone Corp Menetelmä ulkokutsujen allokoimiseksi
FI20011898A0 (fi) * 2001-09-27 2001-09-27 Kone Corp Hissikorin täyttösuhteen huomioiva hissi
CH696993A5 (de) 2004-06-24 2008-02-29 Miniswys Sa Antriebseinhe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563B1 (ko) * 1983-06-07 1987-03-19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운전장치
US4691808A (en) * 1986-11-17 1987-09-08 Otis Elevator Company Adaptive assignment of elevator car calls
KR960010492A (ko) * 1994-09-20 1996-04-20 가나이 쯔도무 엘리베이터 운행 제어방법 및 장치
JP2003012249A (ja) * 2001-06-27 2003-01-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乗場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21315C (en) 2012-01-24
US20080210493A1 (en) 2008-09-04
US7513337B2 (en) 2009-04-07
CA2621315A1 (en) 2007-04-05
CN101272977A (zh) 2008-09-24
EA011545B1 (ru) 2009-04-28
EP1943174B1 (en) 2014-11-05
WO2007036597A3 (en) 2007-06-14
FI118215B (fi) 2007-08-31
CN100593013C (zh) 2010-03-03
EA200800648A1 (ru) 2008-10-30
FI20050960A (sv) 2007-03-28
WO2007036597A2 (en) 2007-04-05
KR20080056176A (ko) 2008-06-20
AU2006296519A1 (en) 2007-04-05
WO2007036597B1 (en) 2007-08-16
EP1943174A2 (en) 2008-07-16
AU2006296519B2 (en) 2010-11-04
HK1118790A1 (en) 2009-02-20
FI20050960A0 (fi) 2005-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642B1 (ko) 다수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엘리베이터 그룹제어
US7610995B2 (en) Automated transportation system with user-controlled transport selection
KR101039082B1 (ko) 콜 관련 엘리베이터 카 식별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작동 방법
US10106371B2 (en)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llocation of elevator calls based on a group allocation request, a system and a method of performing same
JP6435894B2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及び乗場呼びの登録モード切替制御方法
EP2195270A1 (en) Elevator system
US9382095B2 (en) Elevator system for generating automatic elevator calls using a personal identifier
US6419051B2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reassigning the cars of a double-deck elevator
JPH06321445A (ja) エレベータ
JPH08277074A (ja) 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方法及び運行制御装置
JPH07157208A (ja) エレベータの運行制御装置と運行制御方法
JP2016128356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S59167463A (ja)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
JP6984722B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WO2001079101A2 (en) Boarding hall call registration method and its device
EP2018337B1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system
JP4293631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7451661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59096B1 (ja) 乗り場行先階表示システム及び乗り場行先階表示方法
JP7462806B1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H0321647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4179685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275577A (ja) 群管理制御エレベータ装置
JP2006335512A (ja) 群管理エレベータ
JP2003095543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及び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