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409B1 -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409B1
KR101306409B1 KR1020120018947A KR20120018947A KR101306409B1 KR 101306409 B1 KR101306409 B1 KR 101306409B1 KR 1020120018947 A KR1020120018947 A KR 1020120018947A KR 20120018947 A KR20120018947 A KR 20120018947A KR 101306409 B1 KR101306409 B1 KR 101306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reader
facility
distance
r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353A (ko
Inventor
이희권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엠티소프트
주식회사 바이트시스템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엠티소프트, 주식회사 바이트시스템,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409B1/ko
Priority to PCT/KR2013/001420 priority patent/WO2013125892A1/ko
Publication of KR20130097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6Mechanical actuation by tampering with faste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29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electronic sealing means
    • G09F3/033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electronic sealing means using RFID ta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bstract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전자 봉인장치는, 제1 몸체에 마련된 태그, 제2 몸체에 마련되며 태그가 근거리에 있으면 태그를 리딩하는 리더 및 리더의 리딩 결과를 기초로 전자 봉인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데, 제1 몸체와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의해 태그와 리더의 거리가 변화된다. 이에 의해, 리더와 태그의 거리 변화에 기인하여 시설물의 봉인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되어, 봉인의 위/변조 우려가 없고, 실시간으로 봉인 상태 판단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SEAL}
본 발명은 봉인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시설물에 대한 개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봉인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조 차량을 이용한 유류 수송에 있어서, 도유나 유사 유류로의 교체 등과 같은 불법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요즘과 같은 고유가 시대에는 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불법 행위 자체도 문제이지만, 위 과정에서 화재로 인한 유조 차량의 폭발 사고와 유사 유류를 주유한 차량의 손상, 폭발 등으로 인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불법 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조 차량의 저유 탱크를 봉인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하지만, 봉인을 설치하는데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봉인 자체를 위/변조하는 술법에 의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위/변조가 불가능하며, 자동으로 보다 정확하게 저유 탱크를 봉인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더와 태그의 거리 변화에 기인하여 시설물의 봉인 상태를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법의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을 전자 봉인하기 위한 전자 봉인장치는, 제1 몸체에 마련된 태그; 제2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태그가 근거리에 있으면 상기 태그를 리딩하는 리더; 및 상기 리더의 리딩 결과를 기초로, 전자 봉인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가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에 따라, 상기 시설물의 전자 봉인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가 근거리에 있으면, 상기 시설물은 전자 봉인 유지 상태이고,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가 원거리에 있으면, 상기 시설물은 전자 봉인 해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1 시설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2 시설에 결합되며, 상기 시설물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시설과 상기 제2 시설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이 필요하여, 상기 제1 몸체에 마련된 상기 태그와 상기 제2 몸체에 마련된 상기 리더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가 근거리에 위치하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 의해 상기 시설물을 개방하기 위해 조작되어야 하는 조작수단의 조작이 불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는,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리더의 리딩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변환되었음이 감지되면, 리딩 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리더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변환되었음이 감지되면, 리딩 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리더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가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밀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리적 스위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태그는, RFID-태그이고, 상기 리더는, RFID-리더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봉인 방법은, 시설물에 결합되는 전자 봉인 장치의 제2 몸체에 마련되며 근거리에 있는 태그를 리딩할 수 있는 리더가 상기 전자 봉인 장치의 제1 몸체에 마련된 태그를 리딩하는 단계; 및 상기 리딩 단계에서의 리딩 결과를 기초로, 상기 시설물에 대한 전자 봉인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가 변화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더와 태그의 거리 변화에 기인하여 시설물의 봉인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되어, 봉인의 위/변조 우려가 없고, 실시간으로 봉인 상태 판단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물리적인 스위치와 태그 리딩이라는 다단계에 의한 봉인 상태 판단으로 인해, 보다 정확하게 오류 없이 봉인 상태 판단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태그 리딩이 이루어지는 시점을 제한함으로서 전자 봉인장치에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전자 봉인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해치-봉인장치의 외관을 각기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들,
도 4는 해치에 해치 덮개가 밀착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5는 다수의 해치-봉인장치들이 설치된 유조 차량의 상부를 촬영한 사진,
도 6 및 도 7은, 밸브-봉인장치의 외관을 촬영한 사진,
도 8은 밸브-봉인장치의 방향을 다르게 설치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
도 9는 유조 차량에 설치된 다수의 밸브-봉인장치들을 촬영한 사진,
도 10은, 도 9의 일부를 확대한 사진,
도 11은 전자 봉인장치의 내부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봉인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봉인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전자 봉인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전자 봉인 시스템은 유조 차량에 설치되어 구현된 것으로, i) 유조 차량의 저유 탱크에 마련된 유류 주입구의 '해치(Hatch)'와 ii) 저유 탱크에 마련된 유류 배출구의 '밸브(Valve)'를 전자 봉인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전자 봉인이란, 물리적인 수단을 이용한 눈에 보이는 일회성 봉인이 아닌, 전자적인 수단을 이용한 눈에 보이지 않는 다회성 봉인을 의미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전자 봉인 시스템은, 통신장치, 중계장치, 해치-봉인장치(Hatch Lock) 및 밸브-봉인장치(Valve Lock)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해치-봉인장치는 해치의 전자 봉인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RF 통신으로 중계장치에 전송한다. 여기서, 전자 봉인 상태라 함은, 전자 봉인이 유지되고 있는 전자 봉인 유지 상태와 전자 봉인이 해제된 전자 봉인 해제 상태를 구분된다.
마찬가지로, 밸브-봉인장치는 밸브의 전자 봉인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RF 통신으로 중계장치에 전송한다.
중계장치는 해치-봉인장치로부터 수신한 해치의 전자 봉인 상태와 밸브-봉인장치로부터 수신한 밸브의 전자 봉인 상태를 통신장치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중계장치와 통신장치는, RS-232 시리얼 통신으로 연결된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중계장치와 통신장치가 다른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장치는 중계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해치와 밸브의 전자 봉인 상태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로 전송한다. 해치와 밸브의 전자 봉인 상태 전송시, 통신장치는 '전자 봉인 상태 감지 시각'과 '감지 시각에서 유조 차량의 위치'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 해치-봉인장치와 밸브-봉인장치의 기구적 메커니즘에 대해, 하나씩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해치-봉인장치의 외관을 각기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들이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치-봉인장치는 몸체-1과 몸체-2로 구분되어 있는데, 몸체-1과 몸체-2는 각기 다른 부분들에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은 해치에 직접 결합되어 있는 반면, 몸체-2는 해치 덮개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4는 해치에 해치 덮개가 밀착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해치에 해치 덮개가 밀착되면, 몸체-1과 몸체-2도 밀착된다. 몸체-1과 몸체-2가 밀착된 상태에서 이들을 덮어 이들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몸체 덮개가 도 4의 상부에 나타나 있다. 몸체 덮개는, 유조 차량의 운행에 인한 흔들림으로 인해 몸체-1과 몸체-2가 밀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1의 내부에는 RFID-태그가 설치되어 있고, 몸체-2의 내부에는 RFID-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ID-리더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몸체-2의 외부에는 접점스위치가 돌출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1과 몸체-2가 밀착되면, 몸체-2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접점스위치가 몸체-1에 의해 눌러져 스위칭-ON 된다.
또한, 몸체-1과 몸체-2가 밀착되면, 몸체-2의 내부에 마련된 RFID-리더와 몸체-1의 내부에 마련된 RFID-태그가 근거리에 위치하게 되어, RFID-리더가 RFID-태그에 수록된 ID를 리딩할 수 있다.
하지만, 도 2나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1과 몸체-2가 이격되어 밀착 해제되면, 몸체-2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접점스위치가 몸체-1에 의해 눌러지지 않으므로 스위칭-OFF 된다.
또한, 몸체-1과 몸체-2가 이격되면, 몸체-2의 내부에 마련된 RFID-리더와 몸체-1의 내부에 마련된 RFID-태그가 원거리에 위치하게 되어, RFID-리더가 RFID-태그에 수록된 ID를 리딩할 수 없게 된다.
접점 스위치는, 몸체-1과 몸체-2의 밀착 여부, 또는, 몸체-2의 내부에 마련된 RFID-리더와 몸체-1의 내부에 마련된 RFID-태그의 거리(근거리, 원거리)를 감지하는 스위치로 기능하는 소자에 해당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해치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해치 덮개가 상부로 들어 올려지는 움직임이 가해져야 하는데, 이 움직임으로 인해 몸체-2가 함께 움직여져, 몸체-1의 내부에 마련된 RFID-태그와 몸체-2의 내부에 마련된 RFID-리더의 거리가 변화되는 메커니즘에 따라 해치-봉인장치가 구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해치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 즉, 해치 덮개가 해치에 밀착된 경우는 몸체-1과 몸체-2도 밀착되어, RFID-리더와 RFID-태그가 근거리에 있으므로, RFID-리더가 RFID-태그에 수록된 ID를 리딩할 수 있다. RFID-리더가 RFID-태그에 수록된 ID를 리딩하는 경우는 해치가 전자 봉인된 상태이다.
반면, 해치가 개방된 경우, 즉, 해치 덮개가 해치에 밀착되지 않은 경우는 몸체-1과 몸체-2도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어, RFID-리더와 RFID-태그가 원거리에 있으므로, RFID-리더가 RFID-태그에 수록된 ID를 리딩할 수 없다. RFID-리더가 RFID-태그에 수록된 ID를 리딩하지 못하는 경우는 해치가 전자 봉인 해제된 상태이다.
한편, 유조 차량의 저유 탱크는 다수의 격실들로 구분되어 있고, 격실마다 해치가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조 차량에는 다수의 해치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유조 차량에는 다수의 해치-봉인장치들이 설치될 것이 요구되며, 이에 대한 사진이 도 5에 나타나 있다.
도 6과 도 7은 밸브-봉인장치의 외관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밸브-봉인장치는 몸체-1과 몸체-2로 구분되어 있는데, 몸체-2는 밸브에 결합되어 있고, 몸체-1은 몸체-2 하부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1의 내부에는 RFID-태그가 설치되어 있고, 몸체-2의 내부에는 RFID-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ID-리더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몸체-2의 외부에는 접점스위치가 돌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1의 회전에 의해, 몸체-1의 RFID-태그 설치 부분과 몸체-2의 RFID-리더 설치 부분이 밀착하게 되면, 몸체-2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접점스위치가 몸체-1에 의해 눌러져 스위칭-ON 된다.
또한, 몸체-1과 몸체-2가 밀착되면, 몸체-2의 내부에 마련된 RFID-리더와 몸체-1의 내부에 마련된 RFID-태그가 근거리에 위치하게 되어, RFID-리더가 RFID-태그에 수록된 ID를 리딩할 수 있다.
한편, 몸체-1과 몸체-2에는, 몸체-1과 몸체-2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스냅 패스너가 마련된다. 스냅 패스너는, 유조 차량의 운행에 의한 흔들림으로 인해 몸체-1과 몸체-2가 밀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하지만,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몸체-1의 회전에 의해, 몸체-1의 RFID-태그 설치 부분과 몸체-2의 RFID-리더 설치 부분이 이격되어 밀착 해제되면, 몸체-2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접점스위치가 몸체-1에 의해 눌러지지 않으므로 스위칭-OFF 된다.
또한, 몸체-1과 몸체-2가 이격되면, 몸체-2의 내부에 마련된 RFID-리더와 몸체-1의 내부에 마련된 RFID-태그가 원거리에 위치하게 되어, RFID-리더가 RFID-태그에 수록된 ID를 리딩할 수 없게 된다.
접점 스위치는, 몸체-1과 몸체-2의 밀착 여부, 또는, 몸체-2의 내부에 마련된 RFID-리더와 몸체-1의 내부에 마련된 RFID-태그의 거리(근거리, 원거리)를 감지하는 스위치로 기능하는 소자에 해당한다.
도 8은 밸브-봉인장치의 방향을 다르게 설치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에 나타난 방향 외에도 다른 방향으로 밸브-봉인장치의 설치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밸브를 개방/폐쇄시키는데 이용되는 레버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몸체-1의 RFID-태그 설치 부분과 몸체-2의 RFID-리더 설치 부분을 이격시키기 위한 몸체-1의 회전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몸체-1의 내부에 마련된 RFID-태그와 몸체-2의 내부에 마련된 RFID-리더의 거리가 변화되는 메커니즘에 따라 해치-봉인장치가 구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몸체-1의 내부에 마련된 RFID-태그와 몸체-2의 내부에 마련된 RFID-리더가 밀착되어, RFID-리더와 RFID-태그가 근거리에 위치함으로 인해, RFID-리더가 RFID-태그에 수록된 ID를 리딩할 수 있는 상태는, 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레버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한 경우로, 밸브가 전자 봉인된 상태에 해당한다.
반면, 몸체-1의 내부에 마련된 RFID-태그와 몸체-2의 내부에 마련된 RFID-리더가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어, RFID-리더와 RFID-태그가 원거리에 위치함으로 인해, RFID-리더가 RFID-태그에 수록된 ID를 리딩할 수 없는 상태는, 레버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로, 밸브가 전자 봉인 해제된 상태에 해당한다.
한편, 유조 차량의 저유 탱크는 다수의 격실들로 구분되어 있고, 격실마다 밸브가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조 차량에는 다수의 밸브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유조 차량에는 다수의 밸브-봉인장치들이 설치될 것이 요구되는데, 이를 촬영한 사진이 도 9에 나타나 있고, 일부를 확대한 사진이 도 10에 나타나 있다.
이하에서는, 해치-봉인장치와 밸브-봉인장치의 전기적 메커니즘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해치-봉인장치와 밸브-봉인장치의 전기적 메커니즘은 동일하게 구현가능 하므로, 양자를 전자 봉인장치(100)로 통칭하여 도시하고 설명하겠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봉인장치(100)는, 몸체-1(110)에 마련되는 RFID-태그(120)와 몸체-2(130)에 마련되는 RFID-리더(140), 접점 스위치(150), 전원 공급부(160), 제어부(170) 및 통신부(180)를 구비한다.
RFID-리더(140)는 RFID-태그(120)에 수록되어 있는 ID를 리딩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RFID-리더(140)와 RFID-태그(120)가, 근거리에 있는 경우 리딩이 가능하지만, 원거리에 있는 경우 리딩이 불가능하다.
제어부(170)는 RFID-리더(140)의 리딩 결과를 기초로 전자 봉인 상태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RFID-리더(140)가 RFID-태그(120)를 리딩 성공한 경우, 제어부(170)는 전자 봉인 유지 상태로 판단한다. 반면, RFID-리더(140)가 RFID-태그(120)를 리딩 실패한 경우, 제어부(170)는 전자 봉인 해제 상태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전자 봉인 상태를 통신부(180)를 통해 중계장치로 전달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접점 스위치(150)의 스위칭 상태를 기초로, 전원 공급부(160)의 RFID-리더(14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궁극적으로 RFID-태그(120)의 리딩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접점 스위치(150)의 스위칭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만, 전원 공급부(160)로부터 RFID-리더(14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접점 스위치(150)의 스위칭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만, RFID-리더(140)에 의한 리딩이 개시된다. 이는, RFID-리더(140)의 리딩 동작에 의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접점 스위치(150)의 스위칭 상태가 변경된 경우는, 접점 스위치(150)가 스위칭-ON 상태에서 스위칭-OFF 상태로 변경된 경우와, 접점 스위치(150)가 스위칭-OFF 상태에서 스위칭-ON 상태로 변경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도 11에 도시된 전자 봉인장치(100)의 전자 봉인 상태 판단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봉인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170)는 접점 스위치(150)의 스위칭 상태 변화를 감지한다(S210).
S210단계에서 스위칭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S210-Y), 제어부(170)는 RFID-리더(14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부(160)를 제어하여, RFID-리더(140)의 리딩 동작을 개시시킨다(S220).
S220단계에 의해 리딩을 개시한 RFID-리더(140)가 RFID-태그(120)를 리딩 성공한 경우(S230-Y), 제어부(170)는 전자 봉인 상태를 전자 봉인 유지 상태로 판단한다(S240). 그리고, 제어부(170)는 RFID-리더(14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 공급부(160)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70)는 S240단계에서의 판단된 전자 봉인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80)를 통해 중계장치로 전달한다(S250). S250단계에서 중계장치로 전달된 전자 봉인 상태에 대한 정보는 통신장치를 통해 관제센터로 전달된다.
한편, S220단계에 의해 리딩을 개시한 RFID-리더(140)가 RFID-태그(120)를 리딩 실패한 경우(S260-Y), 제어부(170)는 전자 봉인 상태를 전자 봉인 해제 상태로 판단한다(S270). 그리고, 제어부(170)는 RFID-리더(14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 공급부(160)를 제어한다.
S260단계에서의 리딩 실패란, S220단계에 의해 리딩을 개시하였음에도 특정 시간(예를 들면, 수 초) 동안 RFID-리더(140)가 RFID-태그(120)를 리딩 성공하지 못한 것을 말한다.
이후, 제어부(170)는 S270단계에서의 판단된 전자 봉인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80)를 통해 중계장치로 전달한다(S250). S250단계에서 중계장치로 전달된 전자 봉인 상태에 대한 정보는 통신장치를 통해 관제센터로 전달된다.
RFID-리더(140)는 스위칭 상태 변화시(S210)에 액티브 모드로 변환하고, 전자 봉인 상태 판단 완료시(S240 및 S270)에 슬립 모드로 변환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RFID-리더(140)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도 11에 도시된 전자 봉인장치(100가 전자 봉인 상태를 판단하는 다른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봉인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170)는 접점 스위치(150)의 스위칭 상태 변화를 감지한다(S310 및 S360).
접점 스위치(150)의 스위칭 상태가 스위칭-OFF에서 스위칭-ON으로 변화되었음이 감지되면(S310-Y), 제어부(170)는 RFID-리더(14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부(160)를 제어하여, RFID-리더(140)의 리딩 동작을 개시시킨다(S320).
S320단계에 의해 리딩을 개시한 RFID-리더(140)가 RFID-태그(120)를 리딩 성공한 경우(S330-Y), 제어부(170)는 전자 봉인 상태를 전자 봉인 유지 상태로 판단한다(S340). 그리고, 제어부(170)는 RFID-리더(14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 공급부(160)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70)는 S340단계에서의 판단된 전자 봉인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80)를 통해 중계장치로 전달한다(S350). S350단계에서 중계장치로 전달된 전자 봉인 상태에 대한 정보는 통신장치를 통해 관제센터로 전달된다.
한편, S320단계에 의해 리딩을 개시한 RFID-리더(140)가 RFID-태그(120)를 리딩에 실패한 경우(S330-N), 후속절차가 수행되지 않고 죵료된다. S310단계에서 접점 스위치(150)가 스위칭-ON으로 감지된 경우는, S330단계에서 RFID-리더(140)가 RFID-태그(120)를 리딩 성공하여야 함이 정상적이다.
접점 스위치(150)가 스위칭-ON 임에도 RFID-리더(140)가 리딩을 실패한 경우는 에러가 발생한 경우이므로, 전자 봉인 상태에 대한 정보가 중계장치와 통신장치를 통해 관제센터로 전달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도 13에 도시된 흐름도가 재수행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러가 재발생하였다면, 그 사실을 중계장치와 통신장치를 통해 관제센터로 전달하도록 구현가능하다.
한편, 접점 스위치(150)의 스위칭 상태가 스위칭-ON에서 스위칭-OFF로 변화되었음이 감지된 경우에도(S360-Y), 제어부(170)는 RFID-리더(14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부(160)를 제어하여, RFID-리더(140)의 리딩 동작을 개시시킨다(S370).
S370단계에 의해 리딩을 개시한 RFID-리더(140)가 RFID-태그(120)를 리딩 실패한 경우(S380-Y), 제어부(170)는 전자 봉인 상태를 전자 봉인 해제 상태로 판단한다(S390). 그리고, 제어부(170)는 RFID-리더(14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 공급부(160)를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70)는 S390단계에서의 판단된 전자 봉인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80)를 통해 중계장치로 전달한다(S350). S350단계에서 중계장치로 전달된 전자 봉인 상태에 대한 정보는 통신장치를 통해 관제센터로 전달된다.
한편, S380단계에 의해 리딩을 개시한 RFID-리더(140)가 RFID-태그(120)를 리딩 성공한 경우(S380-N), 후속절차가 수행되지 않는다. S360단계에서 접점 스위치(150)가 스위칭-OFF로 감지된 경우는, S380단계에서 RFID-리더(140)가 RFID-태그(120)를 리딩 실패하여야 함이 정상적이다.
접점 스위치(150)가 스위칭-OFF 임에도 RFID-리더(140)가 리딩을 성공한 경우는, 에러가 발생한 경우이므로, 전자 봉인 상태에 대한 정보가 중계장치와 통신장치를 통해 관제센터로 전달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 경우에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도 13에 도시된 흐름도가 재수행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러가 재발생하였다면, 그 사실을 중계장치와 통신장치를 통해 관제센터로 전달하도록 구현가능하다.
지금까지, 전자 봉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리더와 태그는 RFID 통신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상정하였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예에 불과한 것으로, RFID 통신방식은 다른 통신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전자 봉인 장치는 전자 봉인 상태에 대한 정보를 궁극적으로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전자 봉인 장치가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을 통해 전자 봉인 상태를 운전자에게 안내하거나, 내장된 메모리에 누적시키면서 보유하는 것으로도 구현가능하다.
그리고, 위 실시예에서, 전자 봉인 장치에 통신연결하는 중계장치와 이동통신망에 액세스하는 통신장치를 별개로 구현하였으나, 이 역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통신장치에 중계장치의 기능을 흡수시키고 중계장치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통신장치에 중계장치의 기능을 전자 봉인 장치에 흡수시키고 양자를 모두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위 실시예에서 전자 봉인 대상으로 언급한 유조 차량의 해치와 밸브 모두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든 일 예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유조 차량의 해치와 밸브 이외의 다른 시설물에 대한 전자 봉인의 경우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전자 봉인장치 110 : 몸체-1
120 : FID-태그 130 : 몸체-2
140 : RFID-리더 150 : 접점 스위치
160 : 전원 공급부 170 : 제어부
180 : 통신부

Claims (11)

  1. 시설물을 전자 봉인하기 위한 전자 봉인장치에 있어서,
    제1 몸체에 마련된 태그;
    제2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태그가 근거리에 있으면 상기 태그를 리딩하는 리더;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를 감지하는 스위치; 및
    상기 리더의 리딩 결과를 기초로, 전자 봉인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가 변화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변환되었음이 감지되면, 리딩 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리더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1 시설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2 시설에 결합되며,
    상기 시설물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시설과 상기 제2 시설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이 필요하여, 상기 제1 몸체에 마련된 상기 태그와 상기 제2 몸체에 마련된 상기 리더의 거리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봉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에 따라, 상기 시설물의 전자 봉인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봉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가 근거리에 있으면, 상기 시설물은 전자 봉인 유지 상태이고,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가 원거리에 있으면, 상기 시설물은 전자 봉인 해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봉인장치.
  4. 시설물을 전자 봉인하기 위한 전자 봉인장치에 있어서,
    제1 몸체에 마련된 태그;
    제2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태그가 근거리에 있으면 상기 태그를 리딩하는 리더; 및
    상기 리더의 리딩 결과를 기초로, 전자 봉인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가 변화되며,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1 시설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시설물을 구성하는 제2 시설에 결합되며,
    상기 시설물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시설과 상기 제2 시설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이 필요하여, 상기 제1 몸체에 마련된 상기 태그와 상기 제2 몸체에 마련된 상기 리더의 거리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봉인장치.
  5. 시설물을 전자 봉인하기 위한 전자 봉인장치에 있어서,
    제1 몸체에 마련된 태그;
    제2 몸체에 마련되며, 상기 태그가 근거리에 있으면 상기 태그를 리딩하는 리더; 및
    상기 리더의 리딩 결과를 기초로, 전자 봉인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가 변화되며,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가 근거리에 위치하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 의해 상기 시설물을 개방하기 위해 조작되어야 하는 조작수단의 조작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봉인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변환되었음이 감지된 경우에도, 리딩 동작을 개시하도록 상기 리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봉인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가 인접하도록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밀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리적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봉인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RFID-태그이고,
    상기 리더는, RFID-리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봉인장치.
  11. 시설물에 결합되는 전자 봉인 장치의 제2 몸체에 마련되며 근거리에 있는 태그를 리딩할 수 있는 리더가 상기 전자 봉인 장치의 제1 몸체에 마련된 태그를 리딩하는 단계; 및
    상기 리딩 단계에서의 리딩 결과를 기초로, 상기 시설물에 대한 전자 봉인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가 변화되며,
    상기 리딩단계는,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를 감지하는 스위치에 의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의 거리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변환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리더가 리딩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태그와 상기 리더가 근거리에 위치하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 의해 상기 시설물을 개방하기 위해 조작되어야 하는 조작수단의 조작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봉인 방법.
KR1020120018947A 2012-02-24 2012-02-24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 KR101306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947A KR101306409B1 (ko) 2012-02-24 2012-02-24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
PCT/KR2013/001420 WO2013125892A1 (ko) 2012-02-24 2013-02-22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947A KR101306409B1 (ko) 2012-02-24 2012-02-24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353A KR20130097353A (ko) 2013-09-03
KR101306409B1 true KR101306409B1 (ko) 2013-09-09

Family

ID=4900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947A KR101306409B1 (ko) 2012-02-24 2012-02-24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6409B1 (ko)
WO (1) WO2013125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163B1 (ko) 2016-12-07 2018-09-12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935A (ja) * 1996-07-10 1998-01-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錠システム
JP2005334143A (ja) * 2004-05-25 2005-12-08 Olympia:Kk Rfidを用いた遊技機の防犯システム
KR20100027334A (ko) * 2008-09-02 2010-03-11 이두원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016B1 (ko) * 2004-03-24 2012-02-24 커머스가드 에이비 컨테이너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모니터링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055945B1 (ko) * 2008-10-29 2011-08-09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유조차 적재/하화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935A (ja) * 1996-07-10 1998-01-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錠システム
JP2005334143A (ja) * 2004-05-25 2005-12-08 Olympia:Kk Rfidを用いた遊技機の防犯システム
KR20100027334A (ko) * 2008-09-02 2010-03-11 이두원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5892A1 (ko) 2013-08-29
KR20130097353A (ko)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7074B2 (ja) サプライチェーンにおけるスマートな物理的クロージャ
CN104471969A (zh) 禁用未经授权的nfc安全系统和方法
CN102819226A (zh) 智能车位锁及其控制方法
CN203877123U (zh) 一种物流周转箱
US11624464B2 (en) Device for supplying pressurized fluid, and assembly for storing pressurized fluid comprising such a device
KR101306409B1 (ko)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
EP2884437B1 (en) Method, control unit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a product loading state of at least one compartment in a tank vehicle
JP2012043081A5 (ko)
US8149118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 opening of closures of spaces to be secured
CN108140270A (zh) 保护以防止未经授权进入燃料气罐的阀门的系统
KR101306513B1 (ko) 전자 봉인에 의한 시설물 개폐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JP2010012659A (ja) プリンター装置
JP2011257807A (ja) Rfid機器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10700917B2 (en) Life cycle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ing life cycle and maintenance management of distributed network devices
JP4920218B2 (ja) 切り取ることによりデータ又は動作を変更可能な無線識別装置及び変更方法
US20200302839A1 (en) Electronic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same
CN207249698U (zh) 一种冷链运输温度检测装置
KR20100027334A (ko)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US11535494B2 (en) Door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09257178A (zh) 基于rfid的无人机实名认证系统
JP4880247B2 (ja) プログラマブルモジュール管理
KR20220048408A (ko)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
JP6313543B2 (ja) Rfidタグ及びこれを用いた物品管理システム
JP2005332391A (ja) プログラマブルモジュール管理
US20130186952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image reading method, and image read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