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408A -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408A
KR20220048408A KR1020200152034A KR20200152034A KR20220048408A KR 20220048408 A KR20220048408 A KR 20220048408A KR 1020200152034 A KR1020200152034 A KR 1020200152034A KR 20200152034 A KR20200152034 A KR 20200152034A KR 20220048408 A KR20220048408 A KR 20220048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unit
communication
control modul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조
김민우
손정락
신재민
구영훈
박수정
임재현
박광희
정준우
김윤지
황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Priority to PCT/KR2021/00931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80633A1/ko
Publication of KR20220048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40Transport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16Y40/35Management of things, i.e. controlling in accordance with a policy or in order to achieve specified objectiv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60Positioning; Nav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은, 원격 관제 모듈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냉동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부, 상기 냉동 컨테이너의 내부 환경 및 구동 상태와 관련된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배터리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량이 서로 다른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며,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Remote control module for refrigerated container and control method of remote control module}
본 발명은 냉동 컨테이너를 원격으로 관제하는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rewry 보고서(Reefer Shipping Annual Review and Forecast 2018/19)에 따르면, 냉동화물은 2021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1억 3,400만톤에 이르고, 냉동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냉장/냉동 컨테이너 운송비중은 최대 85%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최근 콜드체인(Cold Chain) 산업 성장과 물류기술의 발달로 신선식품의 유통 용기로 냉장/냉동 컨테이너가 사용되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외 수출 송화주들은 수입 수화주의 요청에 의해 USB 온도로거를 이용하여 화물의 시간단위 온도변화를 측정하고, 수화주의 도착지 지점(창고 or 거점)에서 저장된 USB 정보 다운로드 방식의 사후 확인을 통해 화물 손상유무 확인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들은 냉동 컨테이너 온도 이탈 시 즉각적인 대처가 불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냉동 컨테이너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반도체 생산용 화학원료 및 반제품 등의 수천만원 ~ 수억원의 가치를 가진 고가물품의 운송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운송 중에도 냉동 컨테이너의 고장 및 온도이탈에 따른 화물 손상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송화주에게는 운송사고 피해액 부담과 고객 신뢰도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고, 수화주에게는 생산계획 차질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냉동 컨테이너와 관련된 정보를 제한된 조건 내에서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원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냉동 컨테이너를 원격으로 관제할 수 있는 원격 관제 모듈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컨테이너에 부착되어, 원격 관제 시스템과 통신하는 냉동 컨테이너 원격 관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제 모듈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냉동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부, 상기 냉동 컨테이너의 내부 환경 및 구동 상태와 관련된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배터리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량이 서로 다른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며,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통신부의 기본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설정하고, 비활성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통신부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신부는,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기 설정된 통신 유지 시간 동안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 성공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유지 시간이 경과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부의 동작 모드가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실패한 경우,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다시 시도하도록, 상기 통신부가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통신부의 동작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은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제1 통신 주기 내에서 기 설정된 시도 횟수 만큼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한 결과,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모두 실패한 경우,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의 전송 대상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전송 대상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주기와 다른 제2 통신 주기에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과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송 대상 정보를 BATCH 타입의 데이터로서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치 정보 수집부는, 상기 배터리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량이 서로 다른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통신부가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는 비활성화 모드로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통신부가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는,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치 정보부는, 특정 통신 주기 내에서, 상기 위치 정보의 수집이 완료된 경우, 상기 통신부가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더라도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제 모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메세지에 따라 상기 냉동 컨테이너 원격 관제 모듈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컨테이너에 부착되어, 원격 관제 시스템과 통신하는 냉동 컨테이너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위치 정보 수집부를 통하여, 상기 냉동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센싱부를 통하여, 상기 냉동 컨테이너의 내부 환경 및 구동 상태와 관련된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배터리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량이 서로 다른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통신부가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컨테이너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하여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통신부가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 후, 기 설정된 통신 유지 시간 동안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며,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유지 시간이 경과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 시도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에서는, 제1 통신 주기 내에서, 기 설정된 횟수 만큼 상기 통신부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통신 주기 내에서,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모두 실패한 경우,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의 전송 대상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대상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주기와 다른 제2 통신 주기에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통신망과의 접속을 성공한 경우, BATCH 타입의 데이터로서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은, 원격 관제 모듈을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킴으로써, 제한된 에너지 자원 내에서 원격 관제 모듈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은, 냉동 컨테이너의 현재 위치 및 상태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냉동 컨테이너의 분실, 고장 및 온도이탈 등의 운송 사고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을 이용하여 냉동 컨테이너를 원격으로 관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이 구비된 냉동 컨테이너가 운송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 구성요소 중 통신부의 활성화 모드 및 활성화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 구성요소 중 위치 정보 수집부의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냉동 컨테이너(1) 용 원격 관제 모듈(100)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냉동 컨테이너(1)를 원격으로 관제할 수 있는 원격 관제 모듈(100) 및 원격 관제 모듈(100)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100)을 이용하여 냉동 컨테이너(1)를 원격으로 관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원격 관제 모듈이 구비된 냉동 컨테이너가 운송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100)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 구성요소 중 통신부의 활성화 모드 및 활성화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 구성요소 중 위치 정보 수집부의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100)은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 정보(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냉동 컨테이너(1) 를 원격으로 관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100)은 냉동 컨테이너(1) 에 구비될 수 있다. 원격 관제 모듈(100)은 냉동 컨테이너(1)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다. 냉동 컨테이너(1)와 관련된 관련 정보는 냉동 컨테이너(1)의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태정보는, 냉동 컨테이너(1) 및 원격 관제 모듈(1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정보는, i)온도(예를 들어, 냉동 컨테이너(1)의 내부 또는 외부 온도 중 적어도 하나), ii)습도(예를 들어, 냉동 컨테이너(1)의 내부 또는 외부 습도 중 적어도 하나), iii)충격 정보(예를 들어, 냉동 컨테이너(1)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정보), iv)냉동 컨테이너(1)의 문개폐 정보, v)냉동 컨테이너(11)의 특정 구역 진출입 정보, vi)냉동 컨테이너(1) 또는 원격 관제 모듈(100)의 전류, 전압, 배터리 잔량 정보, vii)냉동 컨테이너(1) 또는 원격 관제 모듈(100) 식별 정보(예를 들어, 일련 번호 등), viii)시간 정보(예를 들어, 센서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된 시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는 위에서 열거된 예들 외에도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원격 관제 모듈(100)은 냉동 컨테이너(1)와 관련된 관련 정보를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원격 관제 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들웨어(200)를 통하여 관련 정보를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들웨어(200)는 원격 관제 모듈(100)과 원격 관제 시스템(30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웹 서버에서 인증 시스템 및 메시징 툴에 이르는 모든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200)는 원격 관제 모듈(100)로부터 위치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200)는 원격 관제 시스템(300)로부터 제어 메세지를 수신하여 원격 관제 모듈(100)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미들웨어(200)는 소프트웨어적인 형태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시스템(300)은 미들웨어(200)로부터 수신받은 관련 정보(예를 들어,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냉동 컨테이너(1)의 현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냉동 컨테이너(1)를 제어할 수 있다.
미국 LA항만에서 한국 부산항만으로 냉동 컨테이너(1)의 운송 계획이 있는 경우, 원격 시스템(300)은 원격 관제 모듈(100)로부터 수신받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냉동 컨테이너(1)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받은 위치 정보가 한국의 부상항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인 경우, 원격 시스템(300)은 냉동 컨테이너(1)의 운송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원격 관제 시스템(300)은 냉동 컨테이너(1)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설정온도를 만족하지 못하고(예를 들어, 설정온도가 영하 10도이고, 수신된 냉동 컨테이너(1)의 온도가 영상 20도인 경우), 냉동 컨테이너(1)의 전압 또는 전류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냉동 컨테이너(1)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관제 시스템(300)은 냉동 컨테이너(1)에 적절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대응책을 강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관제 시스템(300)은 원격 관제 모듈(100)에 냉동 컨테이너(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원격 관제 모듈(100)은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메시지를 기반으로, 냉동 컨테이너(1)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100)은 냉동 컨테이너(1)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냉동 컨테이너(1)에 대해 직접적인 제어를 수행하거나, 냉동 컨테이너(1)의 제어부에 제어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 컨테이너(1)는, i) 도 2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트럭과 같은 운송 수단에 실려 항만 또는 고객사 창고로 이동되거나, ii) 도 2의 (b)에 도시된 것과같이, 항만 내 지정 장소에서 보관되거나, , iii) 도 2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박에 선적되어 해상에서 이동됨으로써, 다양한 위치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원격 관제 시스템(300)은 냉동 컨테이너(1)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할 니즈가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100)은 냉동 컨테이너(1)에 구비되어 냉동 컨테이너(1)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원격 관제 모듈(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100)은, 배터리부(110), 위치 정보 수집부(120), 센싱부(130), 통신부(140), 저장부(160), 및 제어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100)은 상술한 구성 요소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의 설명에 따른 기능과 동일 또는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요소들 중 배터리부(110)는 원격 관제 모듈(100)에 구동 전원(또는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부(110)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받아 원격 관제 모듈(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부(110)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120)는 냉동 컨테이너(1)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GPS를 포함할 수 있으며, GPS로부터 NMEA 형태(GPS 정보 표준)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수집부(120)는 위치보정기술(SBAS)을 이용하여 현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센싱부(130)는 냉동 컨테이너(1)의 내부 환경, 외부 환경 및 구동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통신부(140)는 미들웨어(200, 도 1에 도시됨)) 및 원격 관제 시스템(3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140)는, 원격 관제 모듈(100)을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통신망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관제 모듈(100)은,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원격 관제 모듈(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정보, 위치 정보 수집부(120), 센싱부(13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60)는 원격 관제 모듈(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펌웨어(firmware), 원격 관제 모듈(100)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정보들, 제어 메세지, 제어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출고 당시부터 원격 관제 모듈(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원격 관제 모듈(100)에 저장되고, 원격 관제 모듈(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에 의하여 원격 관제 모듈(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통신부(140)의 기본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비활성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통신부(140)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되어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원격 관제 모듈(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정보, 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원격 관제 시스템(300)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100)의 사양을 설명하도록 한다.
냉동 컨테이너(1)는 매우 다양한 장소로 이동 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나라, 서로 다른 장소로 이동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100)은 전 세계 모든 곳에서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모듈이 구비된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부(140)는 2G/3G/4G 통신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전 세계의 모든 주파수 대역대 커버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관제 모듈(100)은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위치 정보 수집부(120)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GPS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통신 모듈에 GPS 기능(모듈)이 내장되어 있는 경우, 이동 통신 모듈에서는 GPS모듈의 회로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원격 관제 모듈(100)은 통신 인터페이스(interface, I/F)로서 선박 내 Wi-Fi 및 LTE(4G) 주파수 대역대의 펨토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원격 관제 모듈(100)의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원격 관제 모듈(100)은 433 MHz RF통신, BLE 5.0(nRF52832)로 설계될 수 있다.
나아가, 원격 관제 모듈(100)은 3축센서(가속도 센서) 및 9축 센서(BMX160)를 이용하여, 원격 관제 모듈(100)의 탈착, 냉동 컨테이너(1) 기울어짐 등을 인식하고 실시간 알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 4와 함께, 원격 관제 모듈(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초기화 절차(S110)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초기화 절차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원격 관제 모듈(100)을 주체로 설명되는 구성은, “제어부(150)”를 주체로하여 설명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매우 자명할 것이다.
초기화 절차는 원격 관제 모듈(100)의 작동을 위해 원격 관제 모듈(100)을 구성하는 세부 부품(모듈)들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작업준비를 시키는 단계(S110)이다.
먼저, 원격 관제 모듈(100)은 OS를 초기화 한다. 원격 관제 모듈(100)은 RTOS(실시간 운영체제)를 사용하며, ucOS II를 사용할 수 있다. 원격 관제 모듈(100)은 여러 작업을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며 OS를 시작하기 전 OS 구동에 필요한 로직을 실행함으로써 초기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후, 원격 관제 모듈(100)은 MCU를 초기화 한다. 원격 관제 모듈(100)에는 중앙제어장치인 MCU(Micro Controller Unit)가 있으며, MCU는 사용되기 전에 시스템 클럭 및 외부장치버스 클럭을 조정하는 형태로 초기화가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원격 관제 모듈(100)은 IWDG를 실행한다. IWDG란 Watch dog의 일종으로, Watch dog는 MCU와 독립적인 클럭으로 동작하며, 외부 충격, 정전기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MCU가 작동을 멈추게 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MCU를 리셋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IWDG는 원격 관제 모듈(100) 문제 발생 시, 외·내부의 최소한의 보험 역할을 하며, IWDG의 실행에는 시스템 안정화에 그 목적이 있다.
다음으로, 원격 관제 모듈(100)은 저장부(160)에 해당되는 EEPROM을 초기화한다. 원격 관제 모듈(100)이 동작되게 되면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다. EEPROM은 원격 관제 모듈(100)이 실행되면서 수집한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초기화 단계에서 EEPROM과 연관된 버스를 enable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격 관제 모듈(100)은 9축 가속도 센서 및 BLE 초기화한다. 9축 가속도 센서는 원격 관제 모듈(100)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고, 블루투스(BLE)는 저전력으로 설계되며, 외부 센서노드와 인터페이서(I/F) 역할을 한다. 초기화 단계에서 9축 가속도 센서, 블루투스(BLE)와 연관된 버스를 활성화(enable) 상태로 변경한다.
다음으로, 원격 관제 모듈(100)은 GPS, Mobile(이동통신) 모듈 초기화 한다. GPS는 원격 관제 모듈(100)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동통신(Mobile) 모듈은 원격 관제 모듈(100)에서 수집한 정보를 미들웨어(200)에 보고하기 위한 통신원격 관제 모듈(100)로서 사용된다. 두 모듈 모두 초기화 단계에서 모듈과 연관된 버스를 활성화(enable) 상태로 변경한다.
다음으로, 원격 관제 모듈(100)은 9축 가속도 센서 및 블루투스의 전원 켠다.
이하에서는, 도 4의 냉동 컨테이너(1) 확인 절차(S120)를 설명한다.
냉동 컨테이너(1) 확인 절차란, 원격 관제 모듈(100)이 처음 동작 시, 원격 관제 모듈(100)에 연결된 냉동 컨테이너(1)가 있는지, 연결된 냉동 컨테이너(1)가 있다면 어떤 제조사(또는 메이커사) 또는 모델의 냉동 컨테이너(1)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20)이다. 이는, 냉동 컨테이너(1) 모델마다 프로토콜이 다르기 때문이다.
먼저, 냉동 컨테이너(1)를 확인하기 위하여, 냉동 컨테이너(1)의 가상드라이버 전원이 온(ON)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 냉동 컨테이너(1)의 전원은 제어부(150) 또는 외부 요소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냉동 컨테이너(1)를 인식하는 모듈은 물리적 모듈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으나, 냉동 컨테이너(1)에 RS232 포트를 연결한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원격 관제 모듈(100)은 냉동 컨테이너(1)의 ID를 요청할 수 있다. 원격 관제 모듈(100)은 RS232 포트를 통해, 냉동 컨테이너(1)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RS232 포트에 연결된 냉동 컨테이너(1)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냉동 컨테이너(1)에 ID(제조사 및 모델명)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격 관제 모듈(100)은 냉동 컨테이너(1)의 ID(제조사 및 모델명) 수신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원격 관제 모듈(100)은 냉동 컨테이너(1)로부터, 냉동 컨테이너(1)의 ID(제조사 및 모델명)를 수신하면 연결된 냉동 컨테이너(1)가 존재한다는 의미로 판단하고, 응답이 없을 경우, 기 설정된 횟수 만큼(예를 들어, 최대 3번까지) 요청을 시도를 할 수 있다.
한편, 냉동 컨테이너(1)의 ID 요청을 위한 프로토콜이 각 제조사 (다이킨, 캐리어, 스타쿨, 써모킹)마다 다르므로 원격 관제 모듈(100)은 응답이 없는 경우, 원격 관제 모듈(100)은 현재 요청한 요청 포맷(예를 들어, “다이킨”제조사 의 요청 포맷)과 다른 제조사(예를 들어, “캐리어”제조사)에 대한 냉동 컨테이너(1)의 ID(제조사 및 모델명) 요청 포맷으로, 냉동 컨테이너(1)에 대해 냉동 컨테이너(1)의 ID(제조사 및 모델명)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번째 시도)다이킨 요청 → 실패 시 → 캐리어 요청 → 실패 시 → 스타쿨 요청 → 실패 시 → 써모킹 요청 → 실패 시 → (두번째 시도)다이킨 요청 → 실패 시 → 캐리어 요청 → 실패 시 → 스타쿨 요청 → 실패 시 → 써모킹 요청 → (세번째 시도)다이킨 요청 → 실패 시 → 캐리어 요청 → 실패 시 → 스타쿨 요청 → 실패 시 → 써모킹 요청”과 같다.
만약, 원격 관제 모듈(100)은 각 냉동 컨테이너(1)에 대해 기 설정된 횟수 만큼(예를 들어, 최대 3회) 냉동 컨테이너(1)의 ID 전송을 요청했으나, 냉동 컨테이너(1)의 ID를 받지 못했다면, 냉동 컨테이너(1)에 원격 관제 모듈(100)이 부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냉동 컨테이너(1)부터 ID를 수신했거나, 또는 기 설정된 횟수만큼 연결 요청을 시도한 경우, 원격 관제 모듈(100)은 냉동 컨테이너(1)의 가상 드라이버 전원을 오프 (OFF)시킬 수 있다. 즉, 원격 관제 모듈(100)은 모든 과정이 끝나면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해 RS232 포트를 끈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의 원격 관제 모듈(100)의 정보 수집 절차(S130)를 설명한다.
원격 관제 모듈(100) 정보 수집이란, 냉동 컨테이너(1)의 위치 정보, 가속도 정보(가속도센서를 이용)와 같이 원격 관제 모듈(100)에 내장된 모듈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원격 관제 모듈(100)은 위치 정보 수집을 위하여, 위치 정보 수집부(120, 예를 들어, GPS 모듈)의 전원을 켠다. 여기에서, 전원을 켠다는 것은, 위치 정보 수집부(120)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격 관제 모듈(100)은 위치 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위치 정보 수집부(120, 예를 들어, GPS 모듈) 로부터 NMEA 형태(GPS 정보 표준)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격 관제 모듈(100)은 위치 정보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의 존재 유무는, 위치 정보의 수집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 관제 모듈(100)이 음영구역에 위치할 경우, 위치 정보 수집부(120, 예를 들어, GPS 모듈)는 원격 관제 모듈(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지 못하고, 개활지에 있을 경우 위치 정보 수집이 가능할 수 있다. 원격 관제 모듈(100)은 특정 주기 내에서 위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특정 주기 내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만큼 위치 정보의 수집을 시도 할 수 있다. 또한, 원격 관제 모듈(100)은 위치 정보를 수집하지 못하면, 다른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원격 관제 모듈(100)은 SBAS 정보 유무 판단할 수 있다. SBAS 정보는 일반 GPS 정보보다 오차가 적은 위치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관제 모듈(100)은 특정 주기 내에서 SBAS 정보를 받는다면 SBAS 정보를 이용하고, SBAS 정보를 받지 못한다면 일반 GPS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격 관제 모듈(100, 즉, 제어부(150)는)은, 최초로 수신한 위치 정보 및 최초로 위치 정보를 수신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한 위치 정보는 삭제하고,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수신한 위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위치 정보를 최초로 수신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위치 정보는 오차가 클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특정 주기 내에서, 위치 정보 수집부(120)로부터 위치 정보의 수집이 완료되면, 원격 관제 모듈(100)은 위치 정보 수집부(120, 예를 들어, GPS 모듈)을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는, 위치 정보 수집부(120)의 전원을 끄는(OFF)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이는 원격 관제 모듈(100)의 전류소모를 줄이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원격 관제 모듈(100)은 외부의 온·습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격 관제 모듈(100)은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 관제 모듈(100)은 블루투스로 수신된 정보의 경우, CRC16 알고리즘으로 올바른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원격 관제 모듈(100)은 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면, 다음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원격 관제 모듈(100)은 정보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원격 관제 모듈(100)은 유효한 정보를 수집할 때 까지 재 수집을 시도할 수 있다. 재 수집 절차는 기 설정된 횟수로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의 냉동 컨테이너(1)의 정보 수집 절차(S140)를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50)는 냉동 컨테이너(1)의 CID(Container ID)가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냉동 컨테이너(1)의 CID(Container ID)를 통해 냉동 컨테이너(1)의 제조사(또는 메이커사) 및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냉동 컨테이너(1)의 가상 드라이버 전원이 온(ON)상태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냉동 컨테이너(1)의 RS232 포트가 온(ON) 상태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냉동 컨테이너(1)와 관련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냉동 컨테이너(1)의 냉동기 컨트롤 패널에 냉동 컨테이너(1)의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30)는 냉동 컨테이너(1)의 냉동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싱부(130)가 센싱한 상태 정보의 유효성을 체크섬을 통해 검사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냉동 컨테이너(1)의 가상드라이버의 전원이 오프(OFF)상태로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냉동 컨테이너(1)의 가상드라이버의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 4의 통신부(140)와 미들웨어(200)가 연결하는 절차(S16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100)은 배터리의 효율적인 활용 및 통신 비용 절감을 위하여, 필요한 시점에서만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위치 정보 수집부(120) 및 통신부(140)의 활성화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통신부(140) 및 위치 정보 수집부(120)는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통신부(140) 및 위치 정보 수집부(12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부(140)가 활성화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40)가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통신부(140)는 통신망과의 연결을 시도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기 설정된 통신 주기(또는 특정 주기) 내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만큼 통신망과의 연결을 시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부(110)의 효율적인 활용 및 통신 비용의 감소를 위함이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로 통신망과의 연결을 시도하였으나, 통신망과의 연결에 실패한 경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부(160)(EEPROM)에 저장할 수 있다.
특정 주기 내에서, 통신부(140)가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50)는 통신부(140)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부(140)는 특정 주기 내에서 통신망과의 연결을 재 시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통신망과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통신망과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미들웨어(200) 또는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 연결을 시도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미들웨어(200) 또는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 연결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위치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저장부(160)(EEPROM)에 저장하고, 통신부(140)가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의 미들웨어 연결 여부 판단(S160) 및 데이터 통신 처리 절차(S170)를 설명한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미들웨어(200)(또는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미들웨어(200)(또는 원격 관제 시스템(300))와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마샬링 과정을 통해 직렬화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특정한 구조를 갖는 정보를 미들웨어(200)(또는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하기 위해 직렬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직렬화된 정보를 네트워크 엔디안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위치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미들웨어(200)(또는 원격 관제 시스템(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상태 정보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 Ack 신호 내에 제어 메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Ack 신호를 수신하고, Ack 신호 내에 제어 메세지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 메세지에 따라 원격 관제 모듈(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모니터링 모드에서 원격 관제 모듈(100)의 각 구성들의 제어를 수행한다. 만약 제어부는 통신부(140)에 수신한 Ack 신호 내에 OTA 제어 메세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OTA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의 전원 충전 여부 판단(S180), 비활성 모드(S190) 절차를 설명한다.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10)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통신망 접속을 성공하여,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 통신이 가능한 상태(즉, 통신부(130)가 활성화 모드인 상태)에서, 통신부(140)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 모드로 변경하기 전에, 배터리부(110)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10)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140)가 경비 모드로 동작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40)가 경비 모드로 동작할 경우, 통신부(140)는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 통신이 가능한 상태이며, 이 경우, 통신부(140)는 원격 제어 시스템(300)으로부터 메시지(예를 들어, SMS)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냉동 컨테이너(1)가 재상상태(Defrost)로 진입하거나, 냉동 컨테이너(1)를 고객에게 인도 전 원격 관제 모듈(100)의 사전검사(PTI, Pre Trip Inspection)를 수행하거나, 냉동 컨테이너(1)의 전원이 끊어질 경우, 통신부(140)가 경비 모드에서 비활성화 또는 절전 모드(S192) 동작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10)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통신부(14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일정 시간이 경과(또는 다음 통신 주기가 도래한 경우)하거나, 배터리부(110)가 완충되는 경우, S130 단계부터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경비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부터 SMS를 수신한 경우, 기 수신받은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부(150)는 기 수신받은 제어 메시지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SMS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와 기 수신받은 제어 메시지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원격 관제 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어 메시지들 간의 우선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어느 하나를 따라 원격 관제 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기 수신받은 제어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SMS의 내용에 따라 원격 관제 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원격 관제 모듈(100)의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제어부(150)는 온(ON)상태로 구동되는 경우, 모니터링 모드로 동작하면서 원격 관제 모듈(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부터 펌웨어(firmware)를 업데이트하라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모니터링 모드에서 FOTA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펌웨어(firmware) 업데이트가 종료되면, FOTA 모드에서 모니터링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원격 관제 모듈(100)의 통신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100)은 배터리의 효율적인 활용 및 통신 비용 절감을 위하여, 필요한 시점에서만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위치 정보 수집부(120) 및 통신부(140)의 활성화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통신부(140) 및 위치 정보 수집부(120)는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통신부(140) 및 위치 정보 수집부(12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40) 및 위치 정보 수집부(120)는 반드시 동일한 동작 모드에서 동작할 필요는 없으며, 어느 하나가 활성화 모드일 때,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 모드일 수 있고, 이와 반대인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물론, 통신부(140) 및 위치 정보 수집부(120)는 모두 비활성화 모드이거나, 모두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통신 주기 마다,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냉동 컨테이너(1)의 관련 정보(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 통신이 필요한 시점 또는 위치 정보의 수집이 필요한 시점에 한하여, 통신부(140) 및 위치 정보 수집부(120)를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키고, 그 외에의 시점에서는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통신 주기 마다 도 5에 도시된 S210 내지 S230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주기적으로 냉동 컨테이너(1)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통신 주기 내에서, 위치 정보의 수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및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정보의 전송이 성공적을 완료되었는지(예를 들어, 통신망 연결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통신부(140) 및 위치 정보 수집부(12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통신 주기 마다, 비활성화 모드로 기본 설정된 위치 정보 수집부(110) 및 통신부(140)의 동작 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켜, 위치 정보 수집 및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망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 설정된 통신 주기 마다, 위치 정보 수집부(1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통신부(140)를 통해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 통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위치 정보 수집부(1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S210)은, 도 4에서 살펴본 S130(원격 관제 모듈 정보 수집) 단계에 대응되며, 냉동 컨테이너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과정(S220)은 도 4에서 살펴본 S140(냉동 컨테이너 상태 정보 센싱) 단계에 대응된다. 나아가,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S230)은 도 4에서 살펴본 S150 내지 S170 단계에 대응된다. 이에, 이하의 설명은 도 4에서 살펴본 설명과 연계하여 이해되어질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위치 정보 수집부(120)는 냉동 컨테이너(1)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10).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수집부(120)는 활성화 모드 또는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활성화 모드로 동작 하는 경우에 한하여, 냉동 컨테이너(1)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주기 마다, 비활성화 모드의 위치 정보 수집부(120)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켜, 위치 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냉동 컨테이너(1)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특정 주기 내에서, 기 설정된 횟수 만큼 위치 정보 수집부(120)를 통한 위치 정보 수집 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특정 주기 내에서, 기 설정된 시간 만큼 위치 정보 수집부(120)를 활성화 모드로 동작시키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위치 정보 수집부(120)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위치 정보 수집부(120)가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 정보의 수집이 완료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위치 정보 수집부(120)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다시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위치 정보 수집부(120)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위치 정보 수집을 다시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 수집의 시도는, 특정 주기 내에서 기 설정된 횟수 만큼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 설정된 횟수 이내에, 위치 정보가 수집되지 못한 경우, 제어부(150)는 위치 정보의 수집을 실패로 간주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특정 주기 내에서, 위치 정보의 수집이 완료된 경우, 특정 주기 내에서는 위치 정보 수집부(120)의 동작 모드를 계속하여 비활성화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센싱부(130)는, 냉동 컨테이너(1)의 내부 환경 및 구동 상태와 관련된 상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S220). 위치 정보의 수집과 상태 정보가 센싱되는 시점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상태정보는, 냉동 컨테이너(1) 및 원격 관제 모듈(100)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정보는, i)온도(예를 들어, 냉동 컨테이너(1)의 내부 또는 외부 온도 중 적어도 하나), ii)습도(예를 들어, 냉동 컨테이너(1)의 내부 또는 외부 습도 중 적어도 하나), iii)충격 정보(예를 들어, 냉동 컨테이너(1)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정보), iv)냉동 컨테이너(1)의 문개폐 정보, v)냉동 컨테이너(11)의 특정 구역 진출입 정보, vi)냉동 컨테이너(1) 또는 원격 관제 모듈(100)의 전류, 전압, 배터리 잔량 정보, vii)냉동 컨테이너(1) 또는 원격 관제 모듈(100) 식별 정보(예를 들어, 일련 번호 등), viii)시간 정보(예를 들어, 센서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된 시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통신부(140)를 통하여,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220).
제어부(150)는 위치 정보의 수집 및 상태 정보의 수집이 모두 완료되지 않더라도, 현재 확보된 정보에 한하여,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통신부(140)는 배터리부(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량이 서로 다른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에, 통신부(140)를 통해,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 구성요소 중 통신부(140)의 활성화 모드 및 활성화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부(140)는 배터리부(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량이 서로 다른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며,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활성화 모드는 배터리부(110)에서 통신부(140)에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량이 비활성화 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반면에, 비활성화 모드는 배터리부(110)에서 통신부(140)에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량이 활성화 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이러한 비활성화 모드는 “슬립모드”, “절전모드” 또는 “대기 모드”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활성화 모드(142)에서, 기 설정된 통신 유지 시간 동안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주기 마다, 비활성화 모드의 위치 정보 수집부(120)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켜, 위치 정보 수집부(120)를 통해 냉동 컨테이너(1)의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50)는 특정 주기(T0, T1, T2 , T3 등) 내에서, 기 설정된 횟수 만큼(예를 들어, 2회 또는 3회) 위치 정보 수집부(120)를 통한 위치 정보 수집 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50)는 특정 주기(T0, T1, T2 , T3 등) 내에서, 기 설정된 횟수 만큼(예를 들어, 2회 또는 3회) 통신부(140)를 통하여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한편, 통신부(140)는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망 접속에 성공한 경우,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 관제 시스템(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위치 정보의 오차를 보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오차가 보정된 위치 정보를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통신부(140)가 위치 정보를 상태 정보에 앞서 1순위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통신부(140)가 위치 정보(121) 송신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제어부(150)는 배터리부(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통신부(140)의 기본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50)는 비활성화 모드(141)에서 동작하는 통신부(140)가, 특정 주기(T0, T1, T2, T3 등) 내에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되어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망으로의 접속 성공 여부에 관계없이, 기 설정된 통신 유지 시간(t3, t7, t9)이 경과되는 것에 근거하여, 통신부(140)의 동작 모드가 활성화 모드(141, 143, 144)에서 비활성화 모드(142, 145, 146)로 전환되도록 상기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통신부(140)는 활성화 모드(143)에서 통신망으로의 접속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 위치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하지 못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어부(150)는 통신부를(140)의 동작 모드가 활성화 모드(143)에서 비활성화 모드(145)로 전환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한다.
이는, 냉동 컨테이너용 운송 특성상, 통신부(110)가 일시적인 통신 오류 또는 차폐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 점에 비추어, 배터리부(11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실패한 경우, 기 설정된 시간(t8) 후에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다시 시도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활성화 모드(143)에서 비활성화 모드(145)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후(t8)에, 통신부(140)의 동작모드를 비활성화 모드(145)에서 활성화 모드(144)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는, 통신부(140)가 일시적인 통신 오류 또는 차폐 현상으로 인하여 통신망에 접속하지 못하는 상황을 벗어난 경우, 통신망과의 재 접속을 시도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제1 통신 주기(T2) 내에서 기 설정된 시도 횟수만큼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한 결과,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모두 실패한 경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의 전송 대상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이 때, 전송 대상 정보는,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제1 통신 주기(T2)와 다른 제2 통신 주기(T3)에서 통신부(140)가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 저장부(160)에 저장된 전송 대상 정보를 BATCH 타입의 데이터로서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150)는 통신부(140)가 저장부(160)에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일괄적으로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계속해서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제1 통신 주기(T2) 내에서 기 설정된 시도 횟수(예를 들어, 2번 또는 3번)만큼 활성화 모드(143, 144)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150)는 통신부(140)가 활성화 모드(143,144)에서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모두 실패한 경우,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의 전송 대상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는 통신부(140)가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하지 못한 위치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제1 통신 주기(T2)와 다른 제2 통신 주기(T3)에서 통신부(140)가 활성화 모드(147)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활성화 모드(147)에서 원격 관제 시스템(300)과의 통신이 가능할 경우, 저장부(160)에 저장된 위치 정보 및 상태 정보를 BATCH 타입의 데이터로서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냉동 컨테이너(1)의 운송 방법 특성상 통신부(140)는 실시간으로 원격 관제 시스템(300)에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는 점, 적재된 냉동 컨테이너(1)에 의해 통신부(140)는 차폐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점, 냉동 컨테이너(1)가 선박에 적재 되어 해상을 항해하는 경우에는 통신부(140)는 통신이 불가하다는 점, 장시간 소요되는 운송 계획에 차질이 없도록 배터리부(110)의 전원 사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는 점에 비추어, 배터리부(11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상태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 Ack 신호 내에 제어 메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Ack 신호를 수신하고, Ack 신호 내에 제어 메세지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 메세지에 따라 원격 관제 모듈(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메세지는, 원격 관제 시스템(300)에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원격 관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보 송수신 주기 변경, 원격 펌웨어(200) 업데이트, 냉동 컨테이너(1)를 고객에게 인도 전 원격 관제 모듈(100)의 사전검사(PTI, Pre Trip Inspection) 수행, 원격 관제 모듈(100)의 비활성화 모드 해제 , 냉동 컨테이너(1)의 설정 온도 또는 설정 습도 변경 등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40)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Ack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통신부(140)가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위치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재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제 모듈 구성요소 중 위치 정보 수집부의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치 정보 수집부(120)는, 배터리부(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량이 서로 다른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정보 수집부(120)는 통신부(140)가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는 비활성화 모드로 동일하게 동작하고, 통신부(140)가 활성화 모드(143, 144)로 동작하는 동안에는, 활성화 모드(123)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위치 정보 수집부(120)는, 특정 통신 주기(T2) 내에서, 위치 정보의 수집이 완료된 경우, 통신부(140)가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더라도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 수집부(120)는 위치 정보 수집부(120)의 활성화 모드(124)에서 위치 정보를 수집하였으나, 통신부(140)부가 통신부(140)의 활성화 모드에서 통신망과의 접속에 실패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때, 위치 정보 수집부(120) 및 통신부(140)는 모두 비활성 모드로 전환되어 작동한다. 이후, 통신부(140)는 비활성화 모드로 작동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후에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145)로 전환되어 원격 관제 시스템(300)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나, 위치 정보 수집부(120)는 위치 정보 수집부(120)의 비활성화 모드(125)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정보 수집부(120)는 특정 주기 내에서 위치 정보를 이미 수집하였으므로, 다시 위치 정보를 재 수집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위치 정보 수집부(120) 및 통신부(140)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은, 원격 관제 모듈을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킴으로써, 제한된 에너지 자원 내에서 원격 관제 모듈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은, 냉동 컨테이너의 현재 위치 및 상태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냉동 컨테이너의 분실, 고장 및 온도이탈 등의 운송 사고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이러한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매체(또는 기록 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명령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1. 냉동 컨테이너에 부착되어, 원격 관제 시스템과 통신하는 냉동 컨테이너 원격 관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제 모듈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냉동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부;
    상기 냉동 컨테이너의 내부 환경 및 구동 상태와 관련된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배터리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량이 서로 다른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며,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통신부의 기본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설정하고,
    비활성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상기 통신부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기 설정된 통신 유지 시간 동안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 성공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유지 시간이 경과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부의 동작 모드가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제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실패한 경우,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다시 시도하도록,
    상기 통신부가 활성화 모드에서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통신부의 동작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제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제1 통신 주기 내에서 기 설정된 시도 횟수 만큼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한 결과,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모두 실패한 경우,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의 전송 대상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전송 대상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제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주기와 다른 제2 통신 주기에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과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전송 대상 정보를 BATCH 타입의 데이터로서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제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집부는,
    상기 배터리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량이 서로 다른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통신부가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는 비활성화 모드로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통신부가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는,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제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부는,
    특정 통신 주기 내에서, 상기 위치 정보의 수집이 완료된 경우, 상기 통신부가 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더라도 비활성화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제 모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메세지에 따라 상기 냉동 컨테이너 원격 관제 모듈이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컨테이너 원격 관제 모듈.
  8. 냉동 컨테이너에 부착되어, 원격 관제 시스템과 통신하는 냉동 컨테이너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위치 정보 수집부를 통하여, 상기 냉동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센싱부를 통하여, 상기 냉동 컨테이너의 내부 환경 및 구동 상태와 관련된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배터리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소모량이 서로 다른 활성화 모드 및 비활성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통신부가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하여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통신부가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 후, 기 설정된 통신 유지 시간 동안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며,
    상기 기 설정된 통신 유지 시간이 경과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 시도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에서는,
    제1 통신 주기 내에서, 기 설정된 횟수 만큼 상기 통신부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통신 주기 내에서, 상기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모두 실패한 경우,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의 전송 대상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대상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주기와 다른 제2 통신 주기에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통신망과의 접속을 성공한 경우, BATCH 타입의 데이터로서 상기 원격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
KR1020200152034A 2020-10-12 2020-11-13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 KR202200484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9318 WO2022080633A1 (ko) 2020-10-12 2021-07-20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318 2020-10-12
KR20200131318 2020-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408A true KR20220048408A (ko) 2022-04-19

Family

ID=8139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034A KR20220048408A (ko) 2020-10-12 2020-11-13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84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555B1 (ko) * 2023-01-03 2024-01-11 신석주 이동식 스마트 냉동 컨테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555B1 (ko) * 2023-01-03 2024-01-11 신석주 이동식 스마트 냉동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1210B (zh) 使用信标的位置追踪
US10735907B2 (en) Wireless gateway relay system and method
US7340559B2 (en) Memory product controller, memory product control method, and memory product
CN107533788B (zh) 用于监视所运输的物品的系统和方法
US9886799B2 (en) Real-time cargo condi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remote real-time vehicle OBD monitoring
US11599852B1 (en) Continuous inventory management
US9253752B2 (en) Asset tracking system activated by predetermined pattern of asset movement
JP4107966B2 (ja) シグナリング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用のトランスポンダ
WO2008077184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with passive and active features
KR20060009854A (ko) 다중모드 무선 근거리 통신망/무선 주파수 식별 자산 태그
WO2005057469A2 (en) Dual mode reader device
US20200065353A1 (en) Data validation and healing through group association
US20080246604A1 (en) Wireless interface module
US8102242B2 (en) Autonomous interrogating transponder for direct communications with other transponders
KR20220048408A (ko)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
US11089546B2 (en) Inventory tracking tags, system and method for prolonging battery life
US201001351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configuration for moving object
JP6444217B2 (ja) データロガーおよび輸送状況把握方法
KR100821518B1 (ko) 온도 및 습도센서가 구비된 rfid 태그 및 그의운영방법
US7639134B2 (en) Item-level visibility of nested and adjacent containers
KR20230082418A (ko) 냉동 컨테이너 용 원격 관제 모듈 및 회수 제어 신호 기반의 원격 관제 모듈의 제어 방법
KR20150137885A (ko) Rfid태그 및 rfid태그의 전원을 관리하는 방법
US20050162269A1 (en) Dual mode reader device
US8297505B2 (en) Product management apparatus, product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duct management program
US20220358457A1 (en) Cluster-based item lifecycle tra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