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163B1 -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163B1
KR101898163B1 KR1020160165807A KR20160165807A KR101898163B1 KR 101898163 B1 KR101898163 B1 KR 101898163B1 KR 1020160165807 A KR1020160165807 A KR 1020160165807A KR 20160165807 A KR20160165807 A KR 20160165807A KR 101898163 B1 KR101898163 B1 KR 101898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motion
unlocking
seal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241A (ko
Inventor
신중조
조봉환
손정락
정순표
장영철
최우철
이진욱
박한수
권민관
신재민
손희목
김윤지
오재성
배이화
구영훈
최승철
정혜화
황재민
김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Priority to KR102016016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163B1/ko
Priority to PCT/KR2017/008983 priority patent/WO2018105850A1/ko
Publication of KR2018006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88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cluding means for preventing manipulation by external shocks, blow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을 지원하고, BLE, NFC, FIDO(Fast IDentity Online)방식의 생체 인증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며,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를 구비하여 편리성과 보안성을 높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Smart Electronic Seal Device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Unlock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봉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WCDMA,GSM,GPRS,GPS, WiFi,LTE,LTEMTC,LoRaWAN 통신을 지원하고, BLE, NFC, FIDO(Fast IDentity Online)방식의 생체 인증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며,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를 구비하여 편리성과 보안성을 높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봉인이란 특정물을 대상물에 부착한 뒤 부착 부위에서 해당 특정물을 탈부착 할 경우 파손이 되도록 고안된 표식으로 특정물의 훼손 여부를 통해 대상물의 훼손 또는 변형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표식을 의미한다.
국제거래의 증가는 국제물류 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특히 국제물류상에서 발생하는 각종 위험으로부터 컨테이너를 보호하기 위한 물류보안장치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등장한 전자봉인(e-Seal)은 수출입 물류에서 컨테이너의 비정상적인 개폐의 시도를 감지하여 알려주고 그 이력을 유지해 줌으로써 보안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봉인(e-Seal)은 이동 또는 정지 상태의 컨테이너 보안뿐만 아니라, 자전거, 여행용 캐리어 등의 소형 물품에 내장되는 형태로 사용되거나, 일부 중요 소형 화물 그리고 자산을 보관하고 있는 창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봉인(e-Seal)이 주목받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의 열쇠형 자물쇠는 자물쇠별 열쇠를 보관 및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창고나 물품을 관리하는 관리자에게는 여러 개의 열쇠를 따로 보관해야하는 번거로운 관리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열쇠를 분실하였을 경우, 추가 비용을 들여서 해당 자물쇠에 맞는 열쇠를 다시 제작하거나, 자물쇠를 절단 후 불용 처리하는 방법 외에는 대안이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자물쇠 기술은 위치추적 및 통신 등이 지원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위치, 모니터링, 편리성)을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사용자들의 요구사항들을 확인한 결과, 창고 관리를 할 때에 CCTV가 있는 창고도 있고 없는 창고도 있는데, 없는 창고의 경우 소형 스마트 전자봉인을 통하여 보안 기능을 얻고자 하며, CCTV가 있는 곳의 경우에도 CCTC가 모든 창고 문을 다 커버할 수가 없으므로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곳에는 소형 스마트 전자봉인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레거시 시스템과의 연동시에는 소형 스마트 전자봉인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CCTV의 경우 해당 이벤트가 발생한 장치 쪽으로 CCTV를 이동시켜 확인하는 기능도 필요한데, 종래 기술의 전자봉인(e-Seal) 장치는 이를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기업물류관점에서 공급망(Supply chain) 관리의 중요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동 또는 정지 상태의 컨테이너뿐만이 아니라 화물을 보관하고 있는 창고 역시 IT 기술을 활용하여 현재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물품 도난방지, 실시간 위치추적, 보안성이 강화된 잠금장치의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극도로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경찰청/군부대 탄약고, 현금수송차량 내 금고 등을 대상으로 이중 잠금보안 기술로 확대 적용이 가능한 새로운 전자봉인(e-Seal)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732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7353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전자봉인(e-Seal) 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을 지원하고, BLE, NFC, FIDO(Fast IDentity Online)방식의 생체 인증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며,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를 구비하여 편리성과 보안성을 높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사전에 등록된 패스워드를 통해 스마트 패드락(Padlock)에 페어링을 하여 스마트 단말을 보유하고 전자 봉인 장치 근처에 접근하였을 때 별도의 키를 보유하지 않아도 사용자를 감지하여 전자 봉인 장치가 열리는 스마트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뿐만 아니라, BLE, NFC, FIDO(Fast IDentity Online) 생체 인증 방식의 지문카드/손목 밴드/반지/목걸이를 이용한 인증 기능을 통한 다중 모션 인식으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여 편리성과 보안성을 높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망을 이용하여, 봉인 장치가 이동이 되거나 불법으로 개폐가 되었을 경우, 이를 사용자의 모바일 SMS 또는 어플리케이션 푸쉬(App Push) 메시지로 보내 도난으로부터 사용자의 자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FIDO(Fast IDentity Online) 생체 인증 방식의 지문카드/손목 밴드/반지/목걸이를 이용한 인증 기능으로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편리성과 보안성을 높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 전자봉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인증 수단을 분실하였을 경우에는 비상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신호를 입력 시에 잠금 해제를 가능하게 하고, 스마트 단말에 탑재된 인가 NFC를 통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보안 기술을 탑재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자 봉인 장치 내부에 필요시에 충격, 온습도 센서 등을 탑재하여 장비 충격 등의 예외사항을 인지하고, 알람을 송출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가의 자전거, 여행용 캐리어에 내장화(Embedded)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중요 물품 도난방지, 실시간 위치추적, 보안성이 강화된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는 이동 통신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며,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를 구비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다중 모션 인식으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봉인 장치가, 잠금 해제 모션 설정 및 저장을 하는 잠금 해제 모션 설정 저장부;잠금 해제 설정을 위한 모션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상기 모션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모션의 일치 여부 및 설정 입력 횟수를 판단하여 해제 모션인지를 판단하는 해제 모션 판단부;상기 해제 모션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 처리를 하는 잠금 해제 처리부;잠금 상태에서 봉인 상태 감지 및 잠금 설정을 관리하는 봉인 감지 및 설정부;잠금 상태에서 봉인 상태 감지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하여 봉인해제, 봉인개폐감지, 위치정보 전송, 설정정보 및 상태정보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이벤트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자봉인 장치는,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와의 데이터 상호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동 통신부와,장비와 사용자 간에 NFC 통신을 지원하는 NFC부와,장비와 사용자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통신부와, FIDO(Fast IDentity Online) 생체 인증 방식의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FIDO부와,위치정보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GPS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부는,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봉인 장치는, 전자 와이어에 전류를 통과시켜 불법적인 절단이 있는 경우에는 SMS 및 어플리케이션 푸쉬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불법 개폐사항을 위치 정보와 함께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를 위한 다중 모션 인식은, 제 1 잠금 해제 모션 감지와,제 1 잠금 해제 모션 반복 입력이 정당한 경우 스위치 입력 허용과,스위치 입력 이후의 제 2 잠금 해제 모션 감지 및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봉인 장치는,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 클럭 및 전력을 이용하는 RTC(Real Time Clock)을 이용해 특정 시간을 주기로 센싱(Sensing), 슬립 모드(Sleep Mode), 통신(Communicating)을 반복하는 동작 알고리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은 이동 통신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며,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를 구비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다중 모션 인식으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봉인 장치;상기 전자봉인 장치와 통신하여 문개폐 이력정보 전송 및 조회, 블루투스 활성화, 패스워드 설정, 사용자 정보관리, 장비 관리를 수행하는 스마트 단말;상기 스마트 단말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송수신하는 명령어를 처리하고, 패스워드 변경, 사용자 관리, 원격 봉인해제, 문개폐 신호 대응 알람서비스를 수행하고, 전자봉인 장치 및 스마트 단말의 장비 인증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보안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봉인 장치는, 이동 통신 기능으로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으로 NFC,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봉인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다중 모션 인식은, NFC, 블루투스, FIDO(Fast IDentity Online) 생체 인증 방식의 인증 기능을 갖고, 인증을 위한 수단은 지문카드, 손목 밴드, 반지, 목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는, 정전 문제로 인하여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에서 명령을 내릴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였을 때에 전자봉인 장치에 송신한 커맨드 데이터 및 유실된 커맨드 부분을 재생시키는 데이터 유실/재생 관리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는, 소켓 버퍼 사이즈를 유동적으로 설정 가능하게 하고, 설정 값을 벗어난 데이터들은 재전송이 아닌 다음 순차에 전송하게 하여 불필요한 재전송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패킷 최적화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는, 전자봉인 장치가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에 연결되면,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 자원을 사용하고, 설정 기간을 지난 명령 삭제, 명령 순서 관리를 통하여 미들웨어 부하를 줄이기 위한 데이터 명령 관리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봉인 장치는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로 위치, 문개폐, 충격, 배터리 경보, 장기미수신의 전자봉인 장치 상태 및 알람 정보를 전송하고,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는 전자봉인 장치로 이동 통신을 이용한 원격 문개폐 요청을 하고, 송수신 주기, 상태 임계값 정보, NFC 승인 카드 및 지문 승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봉인 장치는 스마트 단말로 위치, 문개폐, 충격, 배터리 경보, 장기미수신 항목의 문개폐 이력 및 자물쇠 상태의 알람 정보의 전송, SMS 및 App Push 메시지, 이메일을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은 전자봉인 장치로 블루투스 문개폐 및 송수신 주기, 상태임계값, NFC 문개폐 항목의 알람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은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로 이동 통신을 통한 원격 문개폐 요청, 송수신 주기, 상태임계값 항목의 알람 설정 신호를 전송하고,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는 스마트 단말로 문개폐 이력, 자물쇠 상태 알람 정보, 사용자 정보, 데이터 사용량, 비용 조회, NFC 승인자, 승인된 지문정보 항목의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은 이동 통신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며,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를 구비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다중 모션 인식으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봉인 장치의 제어에 있어서, 잠금 해제 모션 설정 및 저장을 하고, 전자봉인 장치를 대상 물품에 부착하여 잠금 상태로 설정 상태를 전환 및 유지하는 단계;잠금 상태에서 봉인 상태 감지 및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하여 봉인해제, 봉인개폐감지, 위치정보 전송, 설정정보 및 상태정보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제 1 잠금 해제 모션이 감지되면, 설정된 잠금 해제 모션인지 판단하고 설정 횟수 반복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단계;제 1 잠금 해제 모션 반복 입력이 정당한 경우 스위치 입력을 허용하는 단계;제 2 잠금 해제 모션이 감지되면 설정된 잠금 해제 모션인지 판단하고 설정 횟수 반복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여 전자 봉인 장치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통신 기능으로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으로 NFC,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을 지원하고, BLE, NFC, FIDO(Fast IDentity Online)방식의 생체 인증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며,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를 구비하여 편리성과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사전에 등록된 패스워드를 통해 스마트 패드락(Padlock)에 페어링을 하여 스마트 단말을 보유하고 전자 봉인 장치 근처에 접근하였을 때 별도의 키를 보유하지 않아도 사용자를 감지하여 전자 봉인 장치가 열리는 스마트키 구현이 가능하다.
셋째,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망을 이용하여, 봉인 장치가 이동이 되거나 불법으로 개폐가 되었을 경우, 이를 사용자의 모바일 SMS 또는 어플리케이션 푸쉬(App Push) 메시지로 보내 도난으로부터 사용자의 자산을 보호할 수 있다.
넷째, 사용자가 스마트 전자봉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인증 수단을 분실하였을 경우에는 비상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신호를 입력 시에 잠금 해제를 가능하게 하고, 스마트 단말에 탑재된 인가 NFC를 통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보안 기술을 구현한다.
다섯째, FIDO(Fast IDentity Online) 생체 인증 방식의 지문카드/손목 밴드/반지/목걸이를 이용한 인증 기능으로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편리성과 보안성을 높인다.
여섯째, 전자 봉인 장치 내부에 필요시에 충격, 온습도 센서 등을 탑재하여 장비 충격 등의 예외사항을 인지하고, 알람을 송출하여 안전성을 높인다.
일곱째, 고가의 자전거, 여행용 캐리어 등에 내장화(Embedded)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중요 물품 도난방지, 실시간 위치추적, 보안성이 강화된 봉인 장치를 제공한다.
여덟째,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경찰청/군부대 탄약고, 현금수송차량 내 금고 등을 대상으로 이중 잠금보안 기술로 확대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봉인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을 지원하고, BLE, NFC, FIDO(Fast IDentity Online)방식의 생체 인증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며,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를 구비하여 편리성과 보안성을 높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사전에 등록된 패스워드를 통해 스마트 패드락(Padlock)에 페어링을 하여 스마트 단말을 보유하고 전자 봉인 장치 근처에 접근하였을 때 별도의 키를 보유하지 않아도 사용자를 감지하여 전자 봉인 장치가 열리는 스마트키 구현을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망을 이용하여, 봉인 장치가 이동이 되거나 불법으로 개폐가 되었을 경우, 이를 사용자의 모바일 SMS 또는 어플리케이션 푸쉬(App Push) 메시지로 보내 도난으로부터 사용자의 자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FIDO(Fast IDentity Online) 생체 인증 방식의 지문카드/손목 밴드/반지/목걸이를 이용한 인증 기능으로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 1 잠금 해제 모션 감지 및 제 1 잠금 해제 모션 반복 입력이 정당한 경우 스위치 입력 허용, 제 2 잠금 해제 모션 감지 및 판단에 의해 전자 봉인 장치 잠금 해제를 하는 다중 모션 인식에 의한 잠금 해제의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는 본체에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마트 전자봉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인증 수단을 분실하였을 경우 등에 사용하기 위한 비상키(Emergency Key), 배터리 내장부, 동작 상태 알림 LED, 전자봉인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웨이크 업 버튼(Wake-up Button), 배터리를 분리하는 디바이드 버튼(Divide Button)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은 도 2에서와 같이,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을 지원하고, BLE, NFC, FIDO(Fast IDentity Online)방식의 생체 인증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며,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를 구비하는 다중 모션 인식으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봉인 장치(200)와, 상기 전자봉인 장치(200)와 통신하여 문개폐 이력정보 전송 및 조회, 블루투스 활성화, 패스워드 설정, 사용자 정보관리, 장비 관리를 수행하는 스마트 단말(300)와, 상기 스마트 단말(300)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송수신하는 명령어를 처리하고, 패스워드 변경, 사용자 관리, 원격 봉인해제, 문개폐 신호 대응 알람서비스를 수행하고 전자봉인 장치(200) 및 스마트 단말(300) 등의 장비 인증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보안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은 개폐 이력 조회, 패스워드 설정, 연결 등을 수행하는 모바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는 스마트 단말(300)을 통하여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400)와 전자봉인 장치(200)간 데이터 상호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봉인해제, 봉인개폐감지, 위치정보 전송, 각종 설정정보 전송, 각종 상태정보 전송 등의 명령어를 수행하게 되어 있다.
전자봉인 장치(200)와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400)는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제어를 위한 통신을 하고, 통신 방식은 이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이동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300)과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400)는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제어를 위한 통신을 하고, 통신 방식은 이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이동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전자봉인 장치(200)와 스마트 단말(300)은 전자봉인을 위한 제어 및 전자봉인 장치(200)의 잠금 해제를 위하여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BLE, mBolt) 및 NFC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하고, 통신 방식은 이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전자봉인 장치(200)의 봉인 해제는 FIDO(Fast IDentity Online) 생체 인증 방식의 지문카드/손목 밴드/반지/목걸이를 이용한 인증 기능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봉인 장치(200)는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400)로 위치, 문개폐, 충격, 배터리 경보, 장기미수신 등의 전자봉인 장치 상태 및 알람 정보를 전송하고,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400)는 전자봉인 장치(200)로 이동 통신을 이용한 원격 문개폐 요청을 하고, 송수신 주기, 상태 임계값 정보, NFC 승인 카드 및 지문 승인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전자봉인 장치(200)는 스마트 단말(300)로 문개폐 이력 및 자물쇠 상태(위치, 문개폐, 충격, 배터리 경보, 장기미수신)의 알람 정보의 전송, SMS 및 App Push 메시지, 이메일을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300)은 전자봉인 장치(200)로 블루투스 문개폐 및 알람 설정 정보(송수신 주기, 상태임계값, NFC 문개폐)를 전송한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300)은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400)로 이동 통신을 통한 원격 문개폐 요청, 알람 설정(송수신 주기, 상태임계값) 신호를 전송하고,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400)는 스마트 단말(300)로 문개폐 이력, 자물쇠 상태 알람 정보, 사용자 정보, 데이터 사용량, 비용 조회, NFC 승인자, 승인된 지문정보 등의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다양한 부착대상을 고려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된다.
전자봉인 장치(200)는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자 와이어는 미세전류를 통과시켜서 불법적인 목적을 지닌 사람이 절단하였을 경우, SMS 및 App Push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불법 개폐사항을 위치와 함께 송신한다.
그리고 전자봉인 장치(200)의 중앙에 LED 램프가 구성되어 제품의 상태를 사용자가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통신현황 및 배터리 잔량 표시를 한다.
전자봉인 장치(200)는 문개폐 알람 기능이 필수적으로 구현되도록 구성되고, 자전거, 화물차량 등 다양한 개인자산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장비와 사용자 간에 블루투스 페어링(Pairing)이 끊어질 경우 알람 기능이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여행자용 캐리어, 중요 물품 등 특별히 관리가 필요한 대상에 장비를 부착하였을 때, 사용자와 장비 간의 블루투스 페어링이 끊어지면 스마트 단말에 알람이 울리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의 조작 실수 및 잊어버림으로 인하여 계속적으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서 알람이 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필수 기능이 아닌 옵션 기능으로 동작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장비 자체에 스피커 알람 기능을 넣을 경우, 배터리 소모량이 커지고, 장비의 계속적인 알람으로 인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피해를 끼칠 수가 있으므로 스마트 단말에만 알람 기능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는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 클럭 및 전력을 이용하는 RTC(Real Time Clock)을 이용해 특정 시간을 주기로 센싱(Sensing), 슬립 모드(Sleep Mode), 통신(Communicating)을 반복하는 동작 알고리즘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스마트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문개폐 이력정보를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이력조회, 사용자 입장에서 블루투스 활성화 기능, 패스워드 설정, 사용자 정보관리, 장비 관리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송수신하는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고, 패스워드 변경, 사용자 관리, 원격 봉인해제, 문개폐 신호 대응 알람서비스 등의 기능을 구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는 데이터 유실/재생 관리 모듈을 구비하고, 이는 정전 등의 문제로 서버에서 명령을 내릴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였을 때에 장비에 송신한 커맨드 데이터 및 유실된 커맨드 부분을 재생시키는 모듈이다.
또한, 데이터 패킷 최적화 모듈을 구비하고, 아는 소켓 버퍼 사이즈를 유동적으로 설정 가능하게 하고, 설정 값을 벗어난 데이터들은 재전송이 아닌 다음 순차에 전송하게 하여, 불필요한 재전송을 줄임으로써 데이터 통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모듈이다.
또한, 데이터 명령 관리 모듈을 구비하고, 이는 장비가 서버에 연결 시, 서버 자원(메모리, CPU)을 사용하며, 오래된 명령 삭제, 명령 순서 관리 등을 통하여 미들웨어 부하를 줄이기 위한 서버 자원 관리 모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봉인 장치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봉인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봉인 장치는 잠금 해제 모션 설정 및 저장을 하는 잠금 해제 모션 설정 저장부(31)와, 잠금 해제 설정을 위한 모션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32)와, 모션 감지부(32)를 통하여 감지된 모션의 일치 여부 및 설정 입력 횟수를 판단하여 해제 모션인지를 판단하는 해제 모션 판단부(33)와, 해제 모션 판단부(33)의 판단 결과에 따라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 처리를 하는 잠금 해제 처리부(34)와, 잠금 상태에서 봉인 상태 감지 및 잠금 설정을 관리하는 봉인 감지 및 설정부(35)와, 잠금 상태에서 봉인 상태 감지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하여 봉인해제, 봉인개폐감지, 위치정보 전송, 설정정보 및 상태정보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이벤트 판단부(36)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는 스마트 단말(300)을 통하여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400)와의 데이터 상호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동 통신부(37)와, 장비와 사용자 간에 NFC 통신을 지원하는 NFC부(38)와, 장비와 사용자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통신부(39)와, FIDO(Fast IDentity Online) 생체 인증 방식의 지문카드/손목 밴드/반지/목걸이를 이용한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FIDO부(40)와, 위치정보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GPS부(39)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은 도 4에서와 같이, 잠금 해제 모션 설정 및 저장을 하고, 전자봉인 장치를 대상 물품에 부착하여 잠금 상태로 설정 상태를 전환 및 유지한다.(S401)
이어, 잠금 상태에서 봉인 상태 감지 및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하여 봉인해제, 봉인개폐감지, 위치정보 전송, 설정정보 및 상태정보 전송 기능을 수행한다.(S402)
그리고 제 1 잠금 해제 모션이 감지되면(S403), 제 1 잠금 해제 모션을 감지하여 설정된 잠금 해제 모션인지 판단하고 설정 횟수 반복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S404)
이어, 제 1 잠금 해제 모션 반복 입력이 정당한 경우 스위치 입력을 허용한다.(S405)
그리고 제 2 잠금 해제 모션 감지가 이루어지면(S406), 제 2 잠금 해제 모션을 감지하여 설정된 잠금 해제 모션인지 판단하고 설정 횟수 반복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여 전자 봉인 장치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S407)
이와 같은 잠금 해제 모션 감지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와 NFC 통신, 블루투스 통신을 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신 방식은 이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사전에 등록된 패스워드를 통해 스마트 패드락(Padlock)에 페어링을 하여 스마트 단말을 보유하고 전자 봉인 장치 근처에 접근하였을 때 별도의 키를 보유하지 않아도 사용자를 감지하여 전자 봉인 장치가 열리는 스마트키 구현을 나타낸 것이다.
블루투스 미 연결시, 블루투스 연결 완료, 블루투스를 통한 봉인 해제 과정에 따라 스마트 단말의 화면에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상태, 연결 상태를 알 수 있는 화면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이의 잠금 해제 방법은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을 지원하고, BLE, NFC, FIDO(Fast IDentity Online)방식의 생체 인증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며,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를 구비하여 편리성과 보안성을 높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사전에 등록된 패스워드를 통해 스마트 패드락(Padlock)에 페어링을 하여 스마트 단말을 보유하고 전자 봉인 장치 근처에 접근하였을 때 별도의 키를 보유하지 않아도 사용자를 감지하여 전자 봉인 장치가 열리는 스마트키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뿐만 아니라, BLE, NFC, FIDO(Fast IDentity Online) 생체 인증 방식의 지문카드/손목 밴드/반지/목걸이를 이용한 인증 기능을 통한 다중 모션 인식으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여 편리성과 보안성을 높인다.
또한,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망을 이용하여, 봉인 장치가 이동이 되거나 불법으로 개폐가 되었을 경우, 이를 사용자의 모바일 SMS 또는 어플리케이션 푸쉬(App Push) 메시지로 보내 도난으로부터 사용자의 자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전자봉인 장치 300. 스마트 단말
400.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

Claims (17)

  1. 이동 통신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며,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를 구비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다중 모션 인식으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봉인 장치가,
    잠금 해제 모션 설정 및 저장을 하는 잠금 해제 모션 설정 저장부;
    잠금 해제 설정을 위한 모션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
    상기 모션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모션의 일치 여부 및 설정 입력 횟수를 판단하여 해제 모션인지를 판단하는 해제 모션 판단부;
    상기 해제 모션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 처리를 하는 잠금 해제 처리부;
    잠금 상태에서 봉인 상태 감지 및 잠금 설정을 관리하는 봉인 감지 및 설정부;
    잠금 상태에서 봉인 상태 감지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하여 봉인해제, 봉인개폐감지, 위치정보 전송, 설정정보 및 상태정보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이벤트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봉인 장치는,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와의 데이터 상호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동 통신부와,
    장비와 사용자 간에 NFC 통신을 지원하는 NFC부와,
    장비와 사용자 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하는 블루투스 통신부와,
    FIDO(Fast IDentity Online) 생체 인증 방식의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FIDO부와,
    위치정보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GPS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 통신부는,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봉인 장치는,
    전자 와이어에 전류를 통과시켜 불법적인 절단이 있는 경우에는 SMS 및 어플리케이션 푸쉬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불법 개폐사항을 위치 정보와 함께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를 위한 다중 모션 인식은,
    제 1 잠금 해제 모션 감지와,
    제 1 잠금 해제 모션 반복 입력이 정당한 경우 스위치 입력 허용과,
    스위치 입력 이후의 제 2 잠금 해제 모션 감지 및 판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봉인 장치는,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 클럭 및 전력을 이용하는 RTC(Real Time Clock)을 이용해 특정 시간을 주기로 센싱(Sensing), 슬립 모드(Sleep Mode), 통신(Communicating)을 반복하는 동작 알고리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7. 잠금 해제 모션 설정 및 저장을 하는 잠금 해제 모션 설정 저장부;잠금 해제 설정을 위한 모션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상기 모션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모션의 일치 여부 및 설정 입력 횟수를 판단하여 해제 모션인지를 판단하는 해제 모션 판단부;상기 해제 모션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 처리를 하는 잠금 해제 처리부;잠금 상태에서 봉인 상태 감지 및 잠금 설정을 관리하는 봉인 감지 및 설정부;잠금 상태에서 봉인 상태 감지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하여 봉인해제, 봉인개폐감지, 위치정보 전송, 설정정보 및 상태정보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이벤트 판단부;를 포함하고, 이동 통신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며,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를 구비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다중 모션 인식으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봉인 장치;
    상기 전자봉인 장치와 통신하여 문개폐 이력정보 전송 및 조회, 블루투스 활성화, 패스워드 설정, 사용자 정보관리, 장비 관리를 수행하는 스마트 단말;
    상기 스마트 단말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송수신하는 명령어를 처리하고, 패스워드 변경, 사용자 관리, 원격 봉인해제, 문개폐 신호 대응 알람서비스를 수행하고, 전자봉인 장치 및 스마트 단말의 장비 인증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보안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봉인 장치는,
    이동 통신 기능으로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으로 NFC,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봉인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다중 모션 인식은,
    NFC, 블루투스, FIDO(Fast IDentity Online) 생체 인증 방식의 인증 기능을 갖고, 인증을 위한 수단은 지문카드, 손목 밴드, 반지, 목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는,
    정전 문제로 인하여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에서 명령을 내릴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였을 때에 전자봉인 장치에 송신한 커맨드 데이터 및 유실된 커맨드 부분을 재생시키는 데이터 유실/재생 관리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는,
    소켓 버퍼 사이즈를 유동적으로 설정 가능하게 하고, 설정 값을 벗어난 데이터들은 재전송이 아닌 다음 순차에 전송하게 하여 불필요한 재전송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패킷 최적화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는,
    전자봉인 장치가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에 연결되면,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 자원을 사용하고, 설정 기간을 지난 명령 삭제, 명령 순서 관리를 통하여 미들웨어 부하를 줄이기 위한 데이터 명령 관리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봉인 장치는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로 위치, 문개폐, 충격, 배터리 경보, 장기미수신의 전자봉인 장치 상태 및 알람 정보를 전송하고,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는 전자봉인 장치로 이동 통신을 이용한 원격 문개폐 요청을 하고, 송수신 주기, 상태 임계값 정보, NFC 승인 카드 및 지문 승인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봉인 장치는 스마트 단말로 위치, 문개폐, 충격, 배터리 경보, 장기미수신 항목의 문개폐 이력 및 자물쇠 상태의 알람 정보의 전송, SMS 및 App Push 메시지, 이메일을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은 전자봉인 장치로 블루투스 문개폐 및 송수신 주기, 상태임계값, NFC 문개폐 항목의 알람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
  15. 제 7 항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은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로 이동 통신을 통한 원격 문개폐 요청, 송수신 주기, 상태임계값 항목의 알람 설정 신호를 전송하고,
    전자봉인 통합 관리 서버는 스마트 단말로 문개폐 이력, 자물쇠 상태 알람 정보, 사용자 정보, 데이터 사용량, 비용 조회, NFC 승인자, 승인된 지문정보 항목의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통합 관리 시스템.
  16. 이동 통신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며, 부착 대상에 본체를 걸기 위한 봉인걸쇠 및 불법 개폐 감지를 위한 전자 와이어를 구비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다중 모션 인식으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봉인 장치의 제어에 있어서,
    잠금 해제 모션 설정 및 저장을 하고, 전자봉인 장치를 대상 물품에 부착하여 잠금 상태로 설정 상태를 전환 및 유지하는 단계;
    잠금 상태에서 봉인 상태 감지 및 이벤트 발생 여부 판단하여 봉인해제, 봉인개폐감지, 위치정보 전송, 설정정보 및 상태정보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제 1 잠금 해제 모션이 감지되면, 설정된 잠금 해제 모션인지 판단하고 설정 횟수 반복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단계;
    제 1 잠금 해제 모션 반복 입력이 정당한 경우 스위치 입력을 허용하는 단계;
    제 2 잠금 해제 모션이 감지되면 설정된 잠금 해제 모션인지 판단하고 설정 횟수 반복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여 전자 봉인 장치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기능으로 WCDMA,GSM,GPRS,GPS,WiFi,LTE,LTEMTC,LoRaWAN 통신 방식을 지원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으로 NFC,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KR1020160165807A 2016-12-07 2016-12-07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 KR101898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807A KR101898163B1 (ko) 2016-12-07 2016-12-07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
PCT/KR2017/008983 WO2018105850A1 (ko) 2016-12-07 2017-08-17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807A KR101898163B1 (ko) 2016-12-07 2016-12-07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241A KR20180065241A (ko) 2018-06-18
KR101898163B1 true KR101898163B1 (ko) 2018-09-12

Family

ID=6249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807A KR101898163B1 (ko) 2016-12-07 2016-12-07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8163B1 (ko)
WO (1) WO20181058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1045B (zh) * 2018-08-30 2022-02-08 四川爱联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定位技术的货物运送系统
CN110889698B (zh) * 2018-09-07 2023-07-07 深圳市文鼎创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命令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67657A (ko) * 2018-12-04 2020-06-12 (주)이더블유비엠 Fido 인증을 이용한 락 시스템
CN109905854A (zh) * 2019-01-28 2019-06-18 张鹏 一款基于NB-IoT通信技术的智慧印章
CN115045567B (zh) * 2021-09-04 2023-08-18 郑州鸿浩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船舶的防盗锁
CN115113687B (zh) * 2022-05-23 2023-08-08 四川爱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模组的封存时间确定装置、方法及电子设备
KR102660757B1 (ko) * 2023-10-31 2024-04-26 대한민국 관리 기능을 강화한 컨테이너 봉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59B1 (ko) * 2006-05-16 2008-06-19 장용운 원격제어 밸브봉인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방제시스템
KR20100007327A (ko) 2008-07-14 2010-01-2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컨테이너의 전자봉인 시스템
KR101306409B1 (ko) 2012-02-24 2013-09-09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
KR101267094B1 (ko) * 2012-04-05 2013-05-24 (주)바이헤븐 도난 방지를 위한 봉인 시스템
KR20150032383A (ko) * 2013-09-16 2015-03-26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컨테이너 전자봉인 장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636297B1 (ko) * 2013-12-04 2016-07-2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트렁크 자동 오픈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69804B1 (ko) * 2015-01-29 2017-08-30 박수우 모션 인식 기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용 통합 제어장치
KR101788121B1 (ko) * 2015-04-14 2017-10-2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함 통합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5850A1 (ko) 2018-06-14
KR20180065241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163B1 (ko) 스마트 전자봉인 장치 및 그의 통합 관리 시스템 그리고 잠금 해제 방법
US9920550B2 (en) Electronically monitored safety lockou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17357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arming a container security device without use of an electronic reader
EP18822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ming a multi-layered security system
US200800734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nd managing cargo containers
US20160143407A1 (en) Electronic security bag controlled by mobile phone
TW200417848A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ntainers to maintain the security thereof
MXPA06011331A (es) Dispositivo de monitoreo inalambrico.
CN101174352A (zh) 用于安全系统的无源解除收发器
CN103960853A (zh) 旅行箱及对应的旅行箱防盗系统
US2016014798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t least one machine
CN103729919A (zh) 电子门禁控制系统
CN104751550A (zh) 网络报警智能门锁系统
EP3889919A1 (en) System and method of improving security during backup functionality of electronic control key
CN101994432A (zh) 密码锁系统及其使用方法
GB2446178A (en) An electronic seal
CN204375036U (zh) 一种物联网智能安全锁
CN202588671U (zh) 箱包防盗实时扫描系统
CN204463327U (zh) 一种基于双射频标签的防盗追踪系统
CN204808435U (zh) 网络报警智能门锁系统
CN112252853B (zh) 一种基于地理位置的密码锁系统及其开启方法
CN101625788B (zh) 行动装置的防盗系统
CN113795645B (zh) 用于储存包裹的安全容器、操作安全容器的方法和系统
CN202563613U (zh) 一种隐形锁控式全自动防盗报警系统
CN110211350B (zh) 一种基于nb-iot的移动锁保护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