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334A -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334A
KR20100027334A KR1020080086211A KR20080086211A KR20100027334A KR 20100027334 A KR20100027334 A KR 20100027334A KR 1020080086211 A KR1020080086211 A KR 1020080086211A KR 20080086211 A KR20080086211 A KR 20080086211A KR 20100027334 A KR20100027334 A KR 20100027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ata
security device
securit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원
김현철
김종표
손호준
한경민
Original Assignee
이두원
김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원, 김현철 filed Critical 이두원
Priority to KR1020080086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7334A/ko
Publication of KR20100027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27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actual mobile position, i.e. position determined on mobi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16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 G06K19/071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 sensor or an interface to a sensor the sensor being capable of sen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istory or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들웨어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리더기 및 컨테이너에 부착되는 컨테이너 보안장치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에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로부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미들웨어로 송신하며;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리더기로 송신하며, 상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컨테이너의 상태 및 그 내용물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리더기로 송신하고 상기 리더기는 이를 상기 미들웨어로 송신하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기본정보는 물론이고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와 보안 상태 및 그 내용물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컨테이너의 관리가 용이하고 사고 발생시에 신속하게 대응한다. 또한, 컨테이너 보안장치에서 바로 상기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와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 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컨테이너를 관리할 수 있다.
컨테이너보안장치, CSD, 미들웨어, RFID, GPS모듈, e-Seal

Description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Container Securit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도어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 습도, 충격, 조도 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open)/닫힘(close) 상태 및 록(lock)/언록(unlock) 상태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컨테이너를 관리할 수 있고 안전 유지를 도모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에 탑재된 내용물에 대한 통관 시에는 X-ray에 의하여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X-ray를 이용한 검사는 컨테이너를 조사하기 위한 충분한 인력자원이 있다고 할지라도 인간의 능력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정밀한 조사가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 봉인(RFID e-seal) 기술이 컨테이너 의 물류 시스템에 도입되고 있다. 상기 전자 봉인 기술은 컨테이너에 탑재된 내용물의 임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RFID 태그가 장착된 자물쇠로 컨테이너 도어를 채우고, 자물쇠가 열리게 되면 이에 따른 기록이 RFID 태그에 저장되는 기술이다. 관리자는 최종적으로 상기 전자 봉인 기술이 적용된 자물쇠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전자 봉인 기술이 적용된 자물쇠가 채워진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에 탑재된 내용물에 대한 보안을 확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 봉인 기술에 따르면, 물류 현장에 관리자가 직접 투입되여야 하므로 효율적인 물류 이동의 운영에 한계가 있었으며 외부 충격으로 인해 RFID 태그가 장착된 자물쇠 자체에 결함이 생겼을 경우 컨테이너 도어의 개폐 여부를 더 이상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 및 컨테이너 도어의 개폐 상태에 관한 정보를 원격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컨테이너 보안장치 자체에서 직접 제공하여 컨테이너 검사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컨테이너 사고 발생시에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에 탑재된 내용물에 대한 보안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해결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컨테이너의 상태 및 그 내용물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리더기로 송신하고 상기 리더기는 이를 상기 미들웨어로 송신하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기본정보는 물론이고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와 보안 상태 및 그 내용물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컨테이너의 관리가 용이하고 사고 발생시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컨테이너 보안장치에서 바로 상기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와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 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컨테이너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은, 미들웨어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리더기 및 컨테이너에 부착되는 컨테이너 보안장치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에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로부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미들웨어로 송신하며;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리더기로 송신하며, 상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은, 미들웨어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리더기 및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컨테이너에 부착되는 컨테이너 보안장치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상기 컨테이너의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단계(S100)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생성된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2단계(S200)와; 상기 리더기가 송신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는 제3단계(S300)와; 상기 리더기가 송신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는 제3단계에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RFID모듈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로 송신하는 제4단계(S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컨테이너의 상태 및 그 내용물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리더기로 송신하고 상기 리더기는 이를 상기 미들웨어로 송신하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기본정보는 물론이고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와 보안 상태 및 그 내용물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컨테이너의 관리가 용이하고 사고 발생시에 신속하게 대응한다.
또한, 컨테이너 보안장치에서 바로 상기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와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 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컨테이너를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은 미들웨어(300), 상기 미들웨어(3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리더기(200) 및 컨테이너 보안장치(100)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장치를 컨테이너에 장착한 예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는, 상기 컨테이너의 좌측 도어의 측면에 끼워져 부착되도록‘
Figure 112008062414559-PAT00001
’형태의 절곡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는, 상기 리더기(200)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이거나 또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에 기지정된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에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여 상기 리더기(200)로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는 전원부(110), GPS 모듈(120), 컨디션센서(130), 보안센서(140), 저장부(150), RFID 모듈(160)와, 제어부(170) 및 입출력부(1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0)는, 외부의 콘센트와 연결되어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여 각각 동작하도록 한다. 상기 전원부(110)는 평상시에는 외부의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하지만,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평상시에 상기 외부의 콘센트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충전을 하여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동작이 가능하도록 충전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GPS 모듈(120)은, 상기 전원부(1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위성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의 위치좌표 및 시간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GPS 모듈(120)은,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하여 위성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의 위치좌표 및 시간데이터를 각각으로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70)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좌표 및 시간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상기 컨디션센서(130)는,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여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는 온도 데이터와 습도 데이터와 조도 데이터 및 충격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디션센서(130)는, 온도센서(131)와 습도센서(132)와 조도센서(133) 및 충격센서(1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센서(131)는,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온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습도센서(132)는,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습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습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조도센서(133)는,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조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조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조도센서(133)는, 컨테이너 내부로 빛이 들어오는 경우에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open)으로 판단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조도센서(133)에 의하여 빛이 감지된 시점의 시간 데이터 및 조도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상기 충격센서(134)는, 상기 컨테이너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그 충격량을 감지하여 충격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충격센서(134)에 의하여 충격이 감지된 시점의 시간 데이터 및 충격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상기 보안센서(140)는, 상기 컨테이너의 도어 상태를 감지하여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비정상적인 열림(open)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 개방 이벤트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보안 데이터는 도어상태 데이터 및 록상태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 이벤트는 열림(open) 이벤트 및 언록(unlock) 이벤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안센서(140)는, 도어센서(141) 및 록센서(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센서(141)는,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open)/닫힘(close)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비정상적인 열림(open)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 열림 이벤트를 발생한다. 상기 도어센서(141)는, 상기 열림 이벤트 발생시에 생성된 상기 도어상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도어센서(141)로부터 전달받은 도어상태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상기 록센서(142)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의 록(lock)/언록(unlock)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록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언록(unlock)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 언록 이벤트를 발생한다. 상기 록센서(142)는, 상기 언록 이벤트 발생시에 생성된 상기 록상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록센서(142)로부터 전달받은 록상태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GPS 모듈(120)이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의 위치좌표 및 시간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컨디션센서(130)가 생성한 상기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상기 보안센서(140)가 생성한 컨테이너의 상기 보안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의 운영에 필요한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컨테이너 보안장치(100) 일련번호, 컨테이너의 출발지, 도착지, 선적물 등의 정보를 포함)가 저장된다.
상기 RFID 모듈(160)은, 상기 리더기(200)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위치좌표와 시간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와 보안 데이터 및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200)로 송신한다.
상기 RFID 모듈(160)은, 상기 리더기(200)와 통신하기 위한 433㎒ 대역용 RFID 모듈(161) 및 2.4GHz 대역용 RFID 모듈(162)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RFID 모듈(161, 162)은 상호간에 동작모드가 상기 제어부(170)에 의하여 전환되어 둘 중 어느 하나가 동작된다.
상기 433㎒ 대역용 RFID 모듈(161)은, 기본적으로 ISO18000-2 통신규격을 따르며 상기 리더기(200)와 433MHz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통신을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433㎒ 대역용 RFID 모듈(161)은, 상기 2.4GHz 대역용 RFID 모듈(162) 구동시 대기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2.4GHz 대역용 RFID 모듈(162)이 대기모드로 전환되면 다시 동작한다. 상기 433㎒ 대역용 RFID 모듈(161)은, 송신 및 수신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2.4GHz 대역용 RFID 모듈(162)은, 기본적으로 IEEE 802.15.4b 통신규격을 따르며 상기 리더기(200)와 2.4GHz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통신을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2.4GHz 대역용 RFID 모듈(162)은, 평상시에는 대기모드이고 상기 433㎒ 대역용 RFID 모듈(161)이 상기 리더기(200)로부터 상기 2.4GHz 대역용 RFID 모듈(162) 구동명령을 수신하는 경우에 구동명령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리더기(200)와 통신한 후, 다시 대기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2.4GHz 대역용 RFID 모듈(162)은 송신만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GPS 모듈(120)이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의 위치좌표 및 시간데이터가 저장부(15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컨디션센서(130)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보안센서(140)에 의하여 생성된 컨테이너의 상기 보안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되도록 제어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리더기(200)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또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에 기지정된 주기가 도래한 경우에 상기 RFID 모듈(160)이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위치좌표와 시간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와 보안 데이터 및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200)로 송신하도록 상기 RFID 모듈(160)을 제어한다.
상기 입출력부(180)는, 입력버튼부(181)와 LCD표시부(182)와 LED표시부(183) 및 경보기(184)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력버튼부(181)는, 리더기(200)를 거치지 않고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에서 바로 상기 LCD표시부(182)를 통하여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와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 등을 표시하려는 경우에, 버튼 이벤트를 발생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상기 LCD표시부(182)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입력버튼부(181)에서 버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와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상기 LED표시부(183)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전원부(110)의 정상적인 전원공급 여부 및 상기 RFID 모듈(160)의 정상동작 여부,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 등을 점등되어 표시하며, 상기 보안센서(140)에서 개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점등되어 표시한다. 상기 LED표시부(183)는, RED LED 및 GREEN LED로 이루어지고, 평상시에는 점등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경보기(184)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보안센서(140)에서 개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경보음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는, 전면부 일측에는 좌우로 젖혀지는 봉인핸들(101)이 형성되고, 전면부 타측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Mechanical Seal 및 e-Seal 중 어느 하나를 체결하기 위한 씰체결부(102)가 형성되어, 상기 봉인핸들(101)이 우측으로 젖혀져 고정되고 Mechanical Seal 및 e-Seal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고정된 봉인핸들(101)과 일부분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씰체결부(102)에 체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봉인핸들(101)과 Mechanical Seal 및 e-Seal 중 어느 하나를 겹치게 배치하여 씰체결부(102)에 체결하는 경우에, Mechanical Seal 및 e-Seal을 제거해야만 컨테이너 도어로부터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를 제거할 수 있으며, 그 이후에 컨테이너 도어를 개방 할 수 있다.
상기 리더기(200)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에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로부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에 기지정된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에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송신하는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리더기(200)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미들웨어(300)로 송신한다.
상기 미들웨어(300)는, 다수의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 및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부착되는 컨테이너에 관한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컨테이너 보안장치 일련번호, 컨테이너의 출발지, 도착지, 선적물 등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며, 상기 리더기(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상기 미들웨어(300)는, 상기 리더기(200)가 다수의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부착된 컨테이너의 상태 및 그 내용물을 파악하고,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웨어(3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리더기(200) 및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컨테이너에 부착되는 컨테이너 보안장치(100)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상기 컨테이너의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단계(S100)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생성된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를 저장부(150)에 저장하는 제2단계(S200)와, 상기 리더기(200)가 송신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제어부(170)가 판단하는 제3단계(S300) 및 상기 리더기(200)가 송신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제어부(170)가 판단하는 제3단계에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RFID 모듈(160)이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상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 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200)로 송신하는 제4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더기(200)가 송신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제어부(170)가 판단하는 제3단계에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에 기지정된 주기가 경과하였는지 상기 제어부(170)가 판단하는 제5단계(S500)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상기 컨테이너의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단계(S10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상기 컨테이너의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단계(S100)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GPS 모듈(120)이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좌표와 시간데이터로 이루어지는 GPS 데이터를 위성으로부터 수신하여 생성하는 단계(S110)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컨디션센서(130)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여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0) 및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보안센서(140)가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상태를 감지하여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GPS 모듈(120)이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좌표와 시간데이터로 이루어지는 GPS 데이터를 위성으로부터 수신하여 생성하는 단계(S110)는, 상기 GPS 모듈(120)이 상기 전원부(1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하여 위성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의 위치좌표 및 시간데이터를 각각으로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컨디션센서(130)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여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컨디션센서(130)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여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0)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온도센서(131)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1)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습도센서(132)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2)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조도센서(133)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3) 및 상기 컨테이너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충격센서(134)가 충격량을 감지하여 충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온도센서(131)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1)는, 상기 온도센서(131)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온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습도센서(132)가 상기 컨테이너 내 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2)는, 상기 습도센서(132)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습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습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조도센서(133)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3)는, 상기 조도센서(133)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조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조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상기 조도센서(133)는, 컨테이너 내부로 빛이 들어오는 경우에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open)으로 판단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충격센서(134)가 충격량을 감지하여 충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4)는, 상기 컨테이너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상기 충격센서(134)가 그 충격량을 감지하여 충격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보안센서(140)가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상태를 감지하여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30)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보안센서(140)가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상태를 감지하여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30)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도어센서(141)가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open)/닫힘(close)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31) 및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록센서(142)가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의 록(lock)/언록(unlock)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록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도어센서(141)가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open)/닫힘(close)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31) 는, 상기 도어센서(141)가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open)/닫힘(close)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비정상적인 열림(open)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 열림 이벤트를 발생하고, 상기 열림 이벤트 발생시에 생성된 상기 도어상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록센서(142)가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의 록(lock)/언록(unlock)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록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32)는, 상기 록센서(142)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의 록(lock)/언록(unlock)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록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비정상적인 언록(unlock)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 언록 이벤트를 발생하고, 상기 언록 이벤트 발생시에 생성된 상기 록상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도어센서(141)가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open)/닫힘(close)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31) 및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록센서(142)가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의 록(lock)/언록(unlock)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록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32)가 수행된 이후에, 상기 컨테이너 도어가 비정상적인 열림(open) 상태인지 제어부(170)가 판단하는 단계(S133)와, 상기 컨테이너 도어가 비정상적인 언록(unlock) 상태인지 제어부(170)가 판단하는 단계(S13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 도어가 비정상적인 열림(open) 상태인지 제어부(170)가 판단하는 단계(S133) 및 상기 컨테이너 도어가 비정상적인 언록(unlock) 상태인지 제어부(170)가 판단하는 단계(S134)에서 상기 컨테이너 도어가 비정상적인 열림(open) 상태로 판단되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언록(unlock)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보안센서(140)가 개방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S135)와, 상기 제어부(170)가 상기 개방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로그를 저장하는 단계(S136)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LED표시부(183)가 점등되어 상기 개방 이벤트의 발생을 표시하는 단계(S137) 및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경보기(184)가 경보음을 발생하는 단계(S13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생성된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를 저장부(150)에 저장하는 제2단계(S200)는, 상기 제1단계(S100)에서 생성되어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된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와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를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상기 리더기(200)가 송신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제어부(170)가 판단하는 제3단계(S300)는,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RFID 모듈(160)이 상기 저장 부(150)에 저장된 상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200)로 송신하는 제4단계(S400)가 수행되고,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에 기지정된 주기가 경과하였는지 상기 제어부(170)가 판단하는 제5단계(S500)가 수행된다.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RFID 모듈(160)이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상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200)로 송신하는 제4단계(S400)는, 상기 RFID 모듈(160)이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상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200)로 송신한다. 상기 리더기(200)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RFID 모듈(160)은 433㎒ 대역용 RFID 모듈(160) 및 2.4GHz 대역용 RFID 모듈(16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RFID 모듈(160)은 상호간에 동작모드가 상기 제어부(170)에 의하여 전환되어 둘 중 어느 하나가 동작되어 송신한다.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에 기지정된 주기가 경과하였는지 상기 제어부(170)가 판단하는 제5단계(S500)는, 기지정된 주기가 경과하였다고 상기 제어부(170)가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RFID 모듈(160)이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상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200)로 송신하는 제4단계(S400)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에 기지정된 주기가 경과하였는지 상기 제어부(170)가 판단하는 제5단계(S500)에서 기지정된 주기가 경과하지 않았다고 상기 제어부(170)가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리더기(200)가 송신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제어부(170)가 판단하는 제3단계(S300)로 피드백하여 수행한다.
상기 제2단계(S200) 내지 제4단계(S400) 중 어느 한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입력버튼부(181)에서 버튼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제6단계(S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6단계(S600)에서 버튼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구비하는 LCD표시부(182)가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와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제7단계(S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가 컨테이너의 상태 및 그 내용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200)로 송신하고 상기 리더기(200)는 이를 상기 미들웨어(300)로 송신하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상태 및 그 내용물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컨테이너의 관리가 용이하고 컨테이너 사고 발생시에 신속하게 대응한다.
또한, 상기 LCD표시부(182)를 구비하여 바로 상기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와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 등을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100)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컨테이너를 관리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한 설명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고, 이상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해당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장치를 컨테이너에 장착한 예시도 및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상기 컨테이너의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단계(S100)의 상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컨디션센서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여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20)의 상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보안센서가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상태를 감지하여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30)의 상세 흐름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컨테이너 보안장치 101 : 봉인핸들
102 : 씰체결부 110 : 전원부
120 : GPS 모듈 130 : 컨디션센서
131 : 온도센서 132 : 습도센서
133 : 조도센서 134 : 충격센서
140 : 보안센서 141 : 도어센서
142 : 록센서 150 : 저장부
160 : RFID 모듈 170 : 제어부
180 : 입출력부 181 : 입력버튼부
182 : LCD표시부 183 : LED표시부
184 : 경보기 200 : 리더기
300 : 미들웨어

Claims (17)

  1. 미들웨어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리더기 및 컨테이너에 부착되는 컨테이너 보안장치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에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로부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미들웨어로 송신하며;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는: 상기 리더기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리더기로 송신하며, 상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는,
    위성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의 위치좌표 및 시간데이터로 이루어지는 GPS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모듈과;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여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컨디션센서와;
    상기 컨테이너의 도어 상태를 감지하여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비정상적인 열림(open)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 개방 이벤트를 발생하는 보안센서; 및
    상기 리더기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생성된 위치좌표와 시간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와 보안 데이터 및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로 송신하는 RFID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는,
    상기 GPS모듈이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의 GPS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컨디션센서가 생성한 상기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상기 보안센서가 생성한 컨테이너의 상기 보안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의 운영에 필요한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컨테이너 보안장치 일련번호, 컨테이너의 출발지, 도착지, 선적물 등의 정보를 포함)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GPS모듈이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컨테이너 보안장치의 GPS 데이터가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디션센서가 생성한 상기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보안센서가 생성한 컨테이너의 상기 보안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더기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또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에 기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RFID모듈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좌표와 시간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와 보안 데이터 및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RFID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버튼 이벤트를 발생하는 입력버튼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입력버튼부에서 버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와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LCD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RFID모듈의 정상동작 여부를 점등되어 표시하며, 상기 보안센서에서 개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점등되어 표시하는 LED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보안센서에서 개방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기;로 이루어지는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는: 온도 데이터와 습도 데이터와 조도 데이터 및 충격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디션센서는: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온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습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습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조도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조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조도센서 및 상기 컨테이너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에 그 충격량을 감지하여 충격 데이터를 생성하는 충격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안 데이터는: 도어상태 데이터 및 록상태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 이벤트는: 열림(open) 이벤트 및 언록(unlock) 이벤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안센서는: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open)/닫힘(close)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비정상적인 열림(open)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 열림 이벤트를 발생하는 도어센서; 및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의 록(lock)/언록(unlock)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록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비정상적인 언록(unlock)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 언록 이벤트를 발생하는 록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RFID모듈은,
    상기 리더기와 통신하기 위한 433㎒ 대역용 RFID모듈 및 2.4GHz 대역용 RFID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RFID모듈은 상호간에 동작모드가 전환되어 둘 중 어느 하나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는,
    전면부 일측에는 좌우로 젖혀지는 봉인핸들이 형성되고;
    전면부 타측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Mechanical Seal 및 e-Seal 중 어느 하나를 체결하기 위한 씰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봉인핸들이 우측으로 젖혀져 고정되고, Mechanical Seal 및 e-Seal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고정된 봉인핸들과 일부분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씰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8. 미들웨어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리더기 및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컨테이너에 부착되는 컨테이너 보안장치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상기 컨테이너의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생성된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보안 데이터 및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리더기가 송신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리더기가 송신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는 제3단계에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RFID모듈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로 송신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더기가 송신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는 제3단계에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에 기지정된 주기가 경과하였는지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에 기지정된 주기가 경과하였는지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는 제5단계에서 기지정된 주기가 경과하였다고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경우에,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RFID모듈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로 송신하는 제4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에 기지정된 주기가 경과하였는지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는 제5단계에서 기지정된 주기가 경과하지 않았다고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경우에, 상기 리더기가 송신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는 제3단계로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상기 컨테이너의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단계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GPS모듈이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좌표와 시간데이터로 이루어지는 GPS 데이터를 위성으로부터 수신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컨디션센서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여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보안센서가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상태를 감지하여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컨디션센서가 상기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감지하여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온도센서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습도센서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조도센서가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충격센서가 충격량을 감지하여 충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보안센서가 상기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상태를 감지하여 보안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도어센서가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open)/닫힘(close)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록센서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의 록(lock)/언록(unlock)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록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도어센서가 컨테이너 도어의 열림(open)/닫힘(close)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도어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록센서가 컨테이너 보안장치의 록(lock)/언록(unlock)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록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상기 컨테이너 도어가 비정상적인 열림(open) 상태인지 제어부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컨테이너 도어가 비정상적인 언록(unlock) 상태인지 제어부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도어가 비정상적인 열림(open) 상태로 판단되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언록(unlock)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보안센서가 개방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개방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로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LED표시부가 점등되어 상기 개방 이벤트의 발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경보기가 경보음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16.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RFID모듈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컨테이너의 기본정보 데이터와 GPS 데이터와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 및 보안 데이터를 상기 리더기로 송신하는 제4단계는,
    상기 리더기와 통신하기 위한 상기 RFID모듈이 433㎒ 대역용 RFID모듈 및 2.4GHz 대역용 RFID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RFID모듈은 상호간에 동작모드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전환되어 둘 중 어느 하나가 동작되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17.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내지 제4단계 중 어느 한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상기 컨테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입력버튼부에서 버튼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단계에서 버튼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컨테 이너 보안장치가 구비하는 LCD표시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컨테이너 상태 데이터와 보안 데이터 및 상기 컨테이너 기본정보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보안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080086211A 2008-09-02 2008-09-02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00027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211A KR20100027334A (ko) 2008-09-02 2008-09-02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211A KR20100027334A (ko) 2008-09-02 2008-09-02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334A true KR20100027334A (ko) 2010-03-11

Family

ID=4217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211A KR20100027334A (ko) 2008-09-02 2008-09-02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733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0459A (zh) * 2010-09-14 2011-01-19 南昌大学 一种包装物品监控系统和方法
KR101272405B1 (ko) * 2012-02-28 2013-06-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홉 기반의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장치
WO2013125892A1 (ko) * 2012-02-24 2013-08-29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
WO2013125893A1 (ko) * 2012-02-24 2013-08-29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전자 봉인에 의한 시설물 개폐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WO2014200129A1 (ko) * 2013-06-10 2014-12-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보안을 위한 엠투엠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0459A (zh) * 2010-09-14 2011-01-19 南昌大学 一种包装物品监控系统和方法
WO2013125892A1 (ko) * 2012-02-24 2013-08-29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
WO2013125893A1 (ko) * 2012-02-24 2013-08-29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전자 봉인에 의한 시설물 개폐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306409B1 (ko) * 2012-02-24 2013-09-09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전자 봉인장치 및 방법
KR101306513B1 (ko) * 2012-02-24 2013-09-09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전자 봉인에 의한 시설물 개폐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1272405B1 (ko) * 2012-02-28 2013-06-07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홉 기반의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장치
WO2014200129A1 (ko) * 2013-06-10 2014-12-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보안을 위한 엠투엠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12910A1 (en) Cargo Container Self-Arming Monitoring And Security Device
US8069693B2 (en) Floating J-hooks between two bushings in housing with a single piston
US7339469B2 (en) Shipping container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
US7936266B2 (en) Shipping container seal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EP1614077B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onitoring transport containers
US6624760B1 (en)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n electronic sensor platform and an interrogation transceiver
US7218215B2 (en) Cargo container integrity system
CN109270913B (zh) 一种用于车辆货物运输的监控终端及系统
CN107705071A (zh) 一种冷链物流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CN102933783B (zh) 门启闭装置的波束保护系统
US20100182148A1 (en) Method and devices for tracking and monitoring containers in global transportation
US20090115202A1 (en) Shipping container security system
KR20100027334A (ko) 컨테이너 보안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A2707169A1 (en) Wireless takover of wired alarm system components
CN101460981A (zh) 用于监测所封闭的对象完整性的安全装置
WO2011073972A1 (en) T racking and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for a shipping container
CN206411496U (zh) 智能冷藏集装箱实时定位监控系统
US20120112902A1 (en) System For Multiple Layered Security Within A Cargo Container
JP2011188474A (ja) 装置の要素をロックアウトする通信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20080246604A1 (en) Wireless interface module
CN110009281A (zh) 一种仓储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CN206288513U (zh) 智能的集装箱自动感知系统
JP2019526084A (ja) シールシステム及びその設置方法
CN202033773U (zh) 基于物联网技术的双向冷链管理系统
CN206430752U (zh) 智能罐式集装箱危险货物实时定位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