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008B1 - 태양광 셀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광 셀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008B1
KR101305008B1 KR1020130050631A KR20130050631A KR101305008B1 KR 101305008 B1 KR101305008 B1 KR 101305008B1 KR 1020130050631 A KR1020130050631 A KR 1020130050631A KR 20130050631 A KR20130050631 A KR 20130050631A KR 101305008 B1 KR101305008 B1 KR 101305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unloading
unit
solder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복우
조윤기
Original Assignee
한복우
제너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복우, 제너셈(주) filed Critical 한복우
Priority to KR102013005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셀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스트립을 흡기 이동시키는 이동배치장치; 상기 이동배치장치를 통해 스트립을 공급받아 예비정렬시키는 스트립선정렬장치; 상기 스트립선정렬장치로 공급된 스트립을 검사하여 불량 스트립을 교체하는 선검사교체장치; 상기 이동배치장치를 통해 스트립선정렬장치에서 정렬된 스트립을 공급받아 정렬 및 납땜하는 솔더링장치; 상기 솔더링장치로 공급된 스트립의 상,하부로 버스바를 공급하는 버스바공급장치; 상기 솔더링장치를 통해 버스바로 납땜된 스트립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스트립전후이동장치; 상기 스트립전후이동장치의 상측에 구성되어 스트립의 납땜 불량을 검사하는 납땜검사장치; 상기 납땜검사장치를 통과한 스트립을 이동시켜 수납보관하는 하역장치;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이용하면, 스트립선정렬장치를 통해 스트립의 선정렬은 물론, 불량검사 및 교체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솔더링장치를 통해 스트립과 버스바의 용이한 정렬고정 및 납땜과 이물질 제거를 동시에 이룰 수 있어 태양광 셀 제작을 손쉽게 이룰 수 있고, 납땜된 스트립과 버스바를 파손 발생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수납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납땜검사장치를 통해 납땜 불량검사와 이물질의 제거를 이룰 수 있어 태양광 셀 제작시 불량을 줄일 수 있으며, 자동 작동하는 구성을 통해 작업시간의 단축 및 인력을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태양광 셀 제작 시스템{A solar cell fabr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립선정렬장치를 통해 스트립의 선정렬은 물론, 불량검사 및 교체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솔더링장치를 통해 스트립과 버스바의 용이한 정렬고정 및 납땜과 이물질 제거를 동시에 이룰 수 있어 태양광 셀 제작을 손쉽게 이룰 수 있고, 납땜된 스트립과 버스바를 파손 발생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수납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납땜검사장치를 통해 납땜 불량검사와 이물질의 제거를 이룰 수 있어 태양광 셀 제작시 불량을 줄일 수 있으며, 자동 작동하는 구성을 통해 작업시간의 단축 및 인력을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태양광 발전에 관련된 산업은 지구환경문제와 미래에너지원의 다원화에 의한 에너지 안보를 강조하면서 일본, 유럽, 미국을 중심으로 세계적인 관심 속에 급속한 속도로 성장을 하고 있는 산업 중 한 분야로써, 해마다 30%이상(최근 수년 내에는 40%이상)의 놀라운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21세기의 새로운 산업으로 급부상할 것을 예상하고, 범정부 차원의 기술개발과 내수 초기시장 창출을 위한 다양한 보급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이용 분야 측면에서도 주택용 및 중대규모 산업용 건물, 공공건물 및 빌딩 등, 건물에 PV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제조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다.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건물적용 PV 시스템의 설치사례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건물적용을 위한 태양전지모듈(PV모듈)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일반적으로 유리 상에 유리접합용 에바(EVA: Ethylene-vilylacetate)필름을 부착하고, 상기 에바필름 위에 솔라셀을 위치시키고, 상기 솔라셀 위에 에바필름을 부착한 후에 백시트 또는 유리를 적층 형성하여 만들어진다.
아울러, 상기 솔라셀은 다수개의 정렬된 셀스트링(Cell-string)을 버스바(Buss bar)의 전극과 솔더링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솔라셀은 자동화된 레이업 장비(Lay-up machine)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셀스트링과 버스바의 솔더링은 사람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거나 로봇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서는 솔더링의 편의성을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28248호와 같은 태양전지모듈의 솔더링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태양전지 모듈의 솔더링 장치는 스트립의 정렬과, 버스바의 정밀 배치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납땜시 발생하는 파티클을 제거할 수 없어 불량 제작이 많이 질 수밖에 없었으며, 셀스트링의 사전정렬을 정밀하게 이룰 수 없어 납땜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솔더링된 셀스트링을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보관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도중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높았으며, 운반 전 솔더링된 셀스트링의 불량 검사를 할 수 없어 제작완료되는 태양전지 모듈이 불량제작될 우려가 높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태양광 셀 제작장치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스트립을 흡기 이동시키는 이동배치장치; 상기 이동배치장치를 통해 스트립을 공급받아 예비정렬시키는 스트립선정렬장치; 상기 스트립선정렬장치로 공급된 스트립을 검사하여 불량 스트립을 교체하는 선검사교체장치; 상기 이동배치장치를 통해 스트립선정렬장치에서 정렬된 스트립을 공급받아 정렬 및 납땜하는 솔더링장치; 상기 솔더링장치로 공급된 스트립의 상,하부로 버스바를 공급하는 버스바공급장치; 상기 솔더링장치를 통해 버스바로 납땜된 스트립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스트립전후이동장치; 상기 스트립전후이동장치의 상측에 구성되어 스트립의 납땜 불량을 검사하는 납땜검사장치; 상기 납땜검사장치를 통과한 스트립을 이동시켜 수납보관하는 하역장치;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은, 스트립선정렬장치를 통해 스트립의 선정렬은 물론, 불량검사 및 교체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솔더링장치를 통해 스트립과 버스바의 용이한 정렬고정 및 납땜과 이물질 제거를 동시에 이룰 수 있어 태양광 셀 제작을 손쉽게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납땜된 스트립과 버스바를 파손 발생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시켜 수납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납땜검사장치를 통해 납땜 불량검사와 이물질의 제거를 이룰 수 있어 태양광 셀 제작시 불량을 줄일 수 있으며, 자동 작동하는 구성을 통해 작업시간의 단축 및 인력을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2는 본 발명의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트립선정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트립선정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7은 본 발명의 스트립선정렬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선승강이동정렬부를 통해 스트립이 정렬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선회수교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선회수교체장치에 구성된 가이드레일과 모터와 전후이동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스트립회수수단을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스트립교체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선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스트립 선 정렬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선회수교체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솔더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정렬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정렬수단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정렬수단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정렬수단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납땜설치대와, 납땜버스바고정대와, 납땜스트립고정대와, 납땜승강수단과 납땜전후이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2은 도 21의 정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납땜피치결정부와, 납땜피치결정이동수단과, 좌우이동플레이트와, 좌우이동정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도 23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납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납땜수단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납땜수단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납땐수단을 도시한 좌측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납땜승강부와 납땜기가 하강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버스바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버스바공급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버스바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스트립 전후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4, 35는 본 발명의 스트립전후이동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스트립전후이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스트립전후이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8은 도 37의 A부분 확대도.
도 39는 도 37의 B부분 확대도.
도 40은 도 37의 C부분 확대도.
도 41은 도 37의 D부분 확대도.
도 42는 도 37의 E부분 확대도.
도 43은 도 37의 F부분 확대도.
도 44는 본 발명의 납땜검사장치가 설치된 스트립전후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납땜검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의 하역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7은 본 발명의 하역피커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하역피커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하역그립퍼부로 스트립스트링이 안착된 보드를 흡착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하역거치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1은 본 발명의 하역보드저장공급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2는 본 발명의 하역보드저장공급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3은 본 발명의 하역보드저장공급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4는 본 발명의 하역수납보관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5는 본 발명의 하역수납보관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6은 본 발명의 하역수납보관수단에 구성된 개폐판부가 개폐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트립(1)과 버스바(3)를 납땜하여 만드는 태양광 셀을 제작하기 위한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에 관한 것으로, 이동배치장치(9)와, 스트립선정렬장치(100)와, 선검사교체장치(100a)와, 솔더링장치(200)와, 버스바공급장치(300)와, 스트립전후이동장치(400)와, 납땜검사장치(470)와, 하역장치(5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이동배치장치(9)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스트립(1)을 흡기 이동시켜 스트립선정렬장치(100) 및 솔더링장치(200)로 각각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하좌우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스트립(1)의 흡착고정을 위해 통상의 연결호스(미도시)가 진공흡기장치(미도시)에 연결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배치장치(9)가 상하좌우로 이동되는 구성은, 브라켓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과, 리니어모터를 통해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에서 실린더 또는 모터를 통해 승강 작동하는 통상의 구성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이동배치장치(9)는 스트립의 운반을 위한 통상의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립선정렬장치(100)는 전술한 이동배치장치(9)를 통해 이동배치된 다수의 스트립을 선 정렬시키는 장치로서,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설치받침부(10)와, 선안착부(20)와, 선흡기고정부(30)와, 선가이드부(40)와, 선승강이동정렬부(50)와, 선승강구동부(60)로 구성된다.
첫째, 선설치받침부(10)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에 고정설치되어 본 발명의 스트립 선 정렬장치(100)를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에 고정설치하는 구성으로,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1관통홀(11)을 형성한 받침판(13)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는 받침판(13)을 지지하는 지지대(15)가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15)를 통해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에 안착 고정설치된다.
둘째, 선안착부(20)는 상기 선설치받침부(10)의 받침판(13) 상측으로 이격설치되는 구성으로, 다수의 스트립(1)을 공급받아 안착 배치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선안착부(20)의 양측에는 선승강이동정렬부(50)를 통한 스트립(1)의 정렬을 위해 제2관통홀(21)이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제2관통홀(21)의 사이에는 선악착부(20)에 안착된 스트립(1)을 흡착고정하기 위한 흡착홀(23)이 다수로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선흡기고정부(30)는 상기 선안착부(20)의 흡착홀(23)에 대응되는 흡기홀(33)을 관통형성하여 선안착부(20)의 하면에 밀착설치되는 구성으로, 선안착부(20)에 배치된 스트립(1)을 선안착부(20)에 흡착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선흡기고정부(30)에는 흡착홀(23)에 대응되는 흡기홀(33)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기홀(33)에는 통상의 진공흡기장치(미도시)가 연결호스(미도시)를 통해 연결설치된다.
그리고, 선흡기고정부(30)를 통해 선안착부(20)에 안착된 스트립(1)의 흡착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선흡기고정부(30)의 흡기홀(33)에는 통상의 패킹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선가이드부(40)는 하부가 선설치받침부(10)의 받침판(13) 상면에 결합되고, 상부가 선안착부(20)의 하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선안착부(20)와 선가이드부(40)를 항상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며, 모서리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선승강이동정렬부(5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작용을 한다.
다섯째, 선승강이동정렬부(50)는 상기 선가이드부(40)에 베어링(51)결합되어 선흡기고정부(30)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선승강구동부(60)의 작동에 따라 선안착부(20)에 배치된 스트립(1)을 일정 간격으로 정렬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선승강이동정렬부(50)는 승강이동판(53)과, 승강지지대(55)와, 승강설치대(57)와, 정렬구(5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승강이동판(53)은 상기 선가이드부(40)에 베어링(51)결합되어 흡기고정부(30)와 받침판(13)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승강지지대(55)는 상기 승강이동판(53)의 상면 전, 후방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양측에는 제1고정부(54)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54)는 승강설치대(57)를 고정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승강 이동시 선흡기고정부(30)에 걸리는 현상 없이 스트립(1)의 정렬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제1고정부(54)가 상부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고정부(54)에 고정결합된 승강설치대(57)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완전 방지됨과 동시에, 승강설치대(57)의 고정결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제1고정부(54)의 양측이 상부로 돌출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설치대(57)는 상기 승강지지대(55)의 제1고정부(54)에 볼트와 같은 통상의 결합수단(미도시)으로 결합설치되어 선안착부(20)의 제2관통홀(21)에 대응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구성으로, 양측에는 상기 제1고정부(54)에 대응되는 제2고정부(57a)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57a)는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승강 이동시 선흡기고정부(30)에 걸리는 현상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며, 상기 제2고정부(57a)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승강설치대(57)를 승강지지대(55)에 보다 손쉽게 안착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승강설치대(57)의 상면에는 정렬구(59)가 삽입설치되는 제1결합부(56)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또한, 정렬구(5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설치대(57)의 제1결합부(56)에 대응되는 제2결합부(58)를 형성하여 승강설치대(57)에 다수로 결합설치되는 구성으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승강 이동시 선안착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선안착부(20)에 안착배치된 다수의 스트립(1)을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시키는 작용을 한다.
여섯째, 선승강구동부(60)는 상기 선설치받침부(10)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선승강이동정렬부(50)에 결합되어 선승강이동정렬부(50)를 선가이드부(40)를 따라 승강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고정판(61)과, 모터(63)와, 베어링(65)과, 승강너트(67)와, 고정결합체(69)로 이루어진다.
먼저, 고정판(61)은 통상의 연결봉을 통해 상기 선설치받침부(10)의 받침판(13)의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모터(63)는 통상의 연결봉을 통해 상기 고정판(61)의 하부에 연결설치되는 통상의 구동모터로써, 고정판(61)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축(62)을 구성하여 상기 축(62)을 회전구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베어링(65)은 상기 고정판(61)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모터(63)의 축(62)에 결합되어 축(62)의 회전구동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승강너트(67)는, 모터(63)의 축(62)과 나사결합을 이루어 축(62)을 따라 승강 작동하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승강너트(67)에는 선승강이동정렬부(50)의 승강작동을 위한 고정결합체(69)가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결합체(69)는 선설치받침부(10)의 제1관통홀(11)을 통해 하부가 승강너트(67)에 고정결합되고, 상부가 선승강이동정렬부(50)에 고정결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축(62)을 따라 승강 작동하는 승강너트(67)는 선승강이동정렬부(50)에 고정결합된 고정결합체(69)에 의해 회전하지 않은 상태로 수직으로 승강 작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선안착부(20)에 안착배치된 스트립(1)이 선승강이동정렬부(50)의 정렬구(59)로 인해 일정하게 정렬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선검사교체장치(100a)는 도 4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선정렬장치(100)로 공급된 스트립(1)을 검사하여 불량 스트립을 교체하는 장치로서, 스트립(1)의 불량을 검사하는 선검사장치(70)와, 불량으로 판단된 불량 스트립(1)을 회수 및 교체하는 선회수교체장치(80)와, 스트립(1) 교체를 위해 스트립(1)을 공급하는 선공급장치(90)로 이루어진다.
먼저, 선검사장치(70)는 상기 선안착부(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선안착부(20)에 배치된 다수의 스트립(1) 중 불량 스트립(1)을 검사하는 통상의 검사장비로써, 통상의 브라켓(71)을 통해 선안착부(20)의 상측으로 이격 되게 간단히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선회수교체장치(80)는 도 4 또는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안착부(20)의 전방에 설치되어 불량 스트립의 회수 및 교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가이드레일(81)과, 모터(82)와, 전후이동체(83)과, 스트립회수수단(85)과, 스트립교체수단(8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선회수교체장치(80)의 가이드레일(81)은 선회수교체장치(80)의 전후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며, 모터(82)는 상기 가이드레일(81)의 사이에 위치되어 가이드레일(81)에 슬라이드결합되는 전후이동체(83)를 가이드레일(81)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는 통상의 구동모터로써, 회전구동되는 나사축(82a)을 전후방향으로 길게 구성한다.
또한, 선회수교체장치(80)의 전후이동체(83)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81)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모터(82)의 구동시 가이드레일(81)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전후이동을 위해 모터(82)의 나사축(82a)과 나사결합을 이루는 너트(83a)를 구성한다.
또한, 선회수교체장치(80)의 스트립회수수단(85)은 제1브라켓(84)을 통해 상기 전후이동체(83)의 상부에 결합설치되는 제1승강실린더(85a)와, 상기 제1승강실린더(85a)의 작동에 따라 승강 작동하는 회수부(85b)로 구성되는데, 상기 회수부(85b)는 선검사장치(70)를 통해 불량으로 판정된 불량 스트립(1)을 흡기하여 저장하는 통상의 챔버로써, 후방 하부에 스트립(1)의 흡기를 위한 흡기구(85c)를 구성하고 있으며, 전방에는 통상의 진공흡기장치(미도시)가 연결호스(미도시)를 통해 연결설치되는 연결구(85d)가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스트립회수수단(85)에는 흡기된 스트립(1)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박스(85f)가 연결구(85d)의 하부에 구성되는데, 상기 연결구(85d)의 하부에는 수납박스(85f)와 경계를 형성하는 차단판(85e)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납박스(85f)는 수납된 스트립(1)을 배출할 수 있도록 통상의 결합수단을 통해 탈부착되게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85e)은 상기 연결구(85d)의 하부에 구성되어 흡기구(85c)를 통해 흡기되는 스트립(1)이 연결구(85d)를 통해 진공흡기장치(미도시)로 빨려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 흡기구(85c)를 통한 진공흡기를 위해 차단판(85e)의 하부가 소폭으로 개방형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차단판(85e)은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85e)의 하부에 개방된 부위에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미도시)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선회수교체장치(80)의 스트립교체수단(87)은 제2브라켓(86)을 통해 상기 전후이동체(83)의 상부에 결합설치되는 제2승강실린더(87a)와, 상기 제2승강실린더(87a)의 작동에 따라 승강 작동하는 교체부(87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교체부(87b)는 스트립회수수단(85)을 통해 회수된 불량 스트립(1)을 대신하여 새로운 스트립(1)을 배치시키는 구성으로, 스트립회수수단(85)에 구성된 회수부(85b)의 흡기구(85c)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흡착교체구(87c)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흡착교체구(87c)는 연결호스(미도시)를 통해 통상의 진공흡기장치(미도시)가 연결설치된다.
아울러, 선공급장치(90)는 도 4 또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안착부(20)의 후방에 위치하여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새로운 스트립(1)을 스트립교체수단(87)으로 공급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설치고정판(92)과, 고정구동부(95)와, 승강부재(96)와, 스트립보관부(97)와, 가이드봉(99)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선공급장치(90)의 설치고정판(92)은 통상의 받침구를 통해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상부에는 고정대(9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91)는 스트립보관부(97)가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며, 고정대(91)의 상부에는 스트립보관부(97)에 적층되어 최상부에 위치한 스트립(1)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91a)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공급장치(90)의 고정구동부(95)는 통상의 연결봉을 통해 상기 설치고정판(92)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고정설치는 고정판재(93)와, 통상의 연결봉을 통해 상기 고정판재(93)에 연결설치되는 모터(94)와, 상기 모터(94)의 상측으로 돌출구성되어 고정판재(93)에 고정된 베어링(93a)과 결합되는 축(94a)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선공급장치(90)의 승강부재(96)는 상기 설치고정판(92)과 고정판재(93) 사이에 위치되어 너트(96a)를 통해 모터(94)의 축(94a)에 나사결합되어 축(94a)을 따라 승강 작동되는 구성이며, 스트립보관부(97)는 상기 승강부재(96)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고정판(92)의 고정대(91)에 삽입설치되는 구성으로, 스트립(1)을 적층하여 보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선공급장치(90)의 가이드봉(99)은 상기 설치고정판(92)에 베어링(98)으로 결합되어 승강부재(96)와 스트립보관부(97) 사이에 결합설치되는 구성으로, 승강부재의 승강에 따라 설치고정판에서 슬라이드이동되어 스트립보관부를 승강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선공급장치(90)에 의하면, 모터(94)의 구동에 의해 승강부재(96)가 축(94a)을 따라 승강 작동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96)와 스트립보관부(97) 사이에 결합된 가이드봉(99)에 의해 스트립보관부(97)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져, 상기 스트립보관부(97)에 적층되어 최상부에 배치된 스트립(1)이 고정대(91)의 센서(91a)에 대응되는 위치로 위치하게 되며, 이를 통해 선회수교체장치(80)의 스트립교체수단(87)으로 불량 스트립(1)의 교체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솔더링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16,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배치장치(9)를 통해 스트립선정렬장치(100)에서 정렬된 스트립(1)을 공급받아 정렬 및 납땜하는 장치로서, 정렬수단(190)과, 납땜수단(28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정렬수단(190)은 도 16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트립(1)과 버스바(3)를 공급받아 정렬시키는 구성으로, 납땜설치대(110)와, 납땜버스바고정대(120)와, 납땜스트립고정대(130)와, 납땜승강수단(140)과, 납땜전후이동수단(150)과, 납땜피치결정부(160)와, 납땜피치결정이동수단(170)과, 납땜전후이동부(180)로 구성된다.
첫째, 납땜설치대(110)는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에 고정설치되는 설치브라켓(119)과, 상기 설치브라켓(117)에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양측에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홀(111)이 형성된 설치판(117)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판(117)에는 스트립(1)과 버스바(3)를 흡기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1, 2흡기홀(113, 115)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2흡기홀(113, 115)은 설치판(117)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통과홀(116)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통과홀(116)에는 통상의 진공흡기를 위한 통상의 진공흡기장치(미도시)가 연결호스(미도시)를 통해 연결설치된다.
둘째, 납땜버스바고정대(120)는 상기 납땜설치대(110)에 구성된 제1흡기홀(113)에 대응되는 제1흡착홀(123)을 형성하여 납땜설치대(110)의 상면에 결합설치되는 구성으로, 스트립(1)의 하면으로 공급되어 있는 버스바(3)를 흡착고정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제1흡착홀(123)의 양 측면으로는 공급되는 버스바(3)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차단하여 버스바(3)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부(121)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납땜버스바고정대(120)는 버스바(3)를 스트립(1)의 정중앙과 양 사이드에서 각각 납땜 처리할 수 있도록 3개로 구성된다.
셋째, 납땜스트립고정대(130)는 상기 납땜설치대(110)의 구성된 제2흡기홀(115)에 대응되는 제2흡착홀(135)을 형성하여 납땜설치대(110)에 결합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동배치장치(9)를 통해 공급되는 다수의 스트립(1)을 흡착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납땜스트립고정대(130)는 스트립(1)의 용이한 흡착설치를 위해 2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납땜버스바고정대(120) 사이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넷째, 납땜승강수단(140)은 스트립(1)의 피치 간격조절 및 정렬시 스트립(1)의 하측에 배치된 버스바(3)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스트립(1)을 상승시켜 상기 스트립(1)이 하측의 버스바(3)와 이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에 고정설치된 승강실린더(141)와, 상기 승강실린더(141)의 로드(142)에 결합되어 승강작동하는 승강플레이트(143)와, 상기 승강플레이트(143)의 상측에 배치되어 납땜설치대(110)의 설치브라켓(119)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브라켓(144)과, 상기 승강플레이트(143)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고정브라켓(144)과 베어링(145)결합을 이루는 승강가이더(146)와, 상기 승강가이더(146)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스트립승강대(147)를 결합구성한 승강브라켓(148)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납땜승강수단(140)에는 승강플레이트(143)와 스트립승강대(147)의 승강 작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완충수단의 구성은 상기 납땜설치대(110)의 설치브라켓(119)에 돌출지지대(119a)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납땜승강수단(140)의 승강플레이트(143)에는 돌출지지대(119a)에 밀착되는 쇼크 업소버(143b)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쇼크 업소버(143b)의 흡수력을 통해 간단히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쇼크 업소버(143b)를 승강플레이트(143)에 설치하는 것은 완충브라켓(143a)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납땜전후이동수단(150)은 납땜피치결정부(160)를 전후로 이동시켜 납땜스트립고정대(130)에 다수로 설치된 스트립(1) 사이의 피치를 일정하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납땜승강수단(140)의 승강플레이트(143)에 고정설치되는 전후이동모터(151)와, 상기 전후이동모터(151)의 축(153)에 나사결합되는 너트(155)로 구성된다.
여섯째, 납땜피치결정부(1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립(1) 사이의 피치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이동브라켓(161)을 통해 납땜전후이동수단(150)의 너트(155)에 고정결합된 상태로 리니어베어링을 통해 승강브라켓(148)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결합되는 전후이동플레이트(163)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납땜피치결정부(160)에는 리니어베어링을 통해 상기 전후이동플레이트(163)의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결합되는 피치이동플레이트(164)와, 연결구(165)를 통해 상기 피치이동플레이트(164)에 결합되어 전후이동플레이트(163)의 상측에 배치되는 피치결정플레이트(167)가 구성되는데, 상기 피치결정플레이트(167)는 스트립(1)의 양측을 수평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어 통상의 연결대를 통해 서로 연결설치되, 피치결정홈(166)이 각각 다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치결정홈(166)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피치결정홈(166)은 전,후방에서 중심방향으로 모여지는 경사각을 형성한다. 그리고, 피치결정홈(166)의 경사각은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는 것이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정중앙에 형성된 피치결정홈(166)은 중심이 되도록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일곱째, 납땜피치결정이동수단(170)은 통상의 브라켓을 통해 납땜피치결정부(160)의 전후이동플레이트(163)에 결합설치되는 피치이동모터(171)와, 상기 피치이동모터(171)에 구성되며 통상의 브라켓을 통해 전후이동플레이트(163)에 베어링(172)결합되는 피치이동축(173)과, 통상의 브라켓을 통해 상기 피치이동플레이트(164)의 하면에 결합된 상태로 피치이동축(173)에 나사결합되는 피치이동너트(175)로 이루어진다.
여덟째, 납땜전후이동부(180)는 상기 납땜승강수단(140)의 스트립승강대(147)에 안착되어 하측의 버스바(3)와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스트립(1)을 전, 후로 이동시켜 일정하게 정렬하기 위한 구성으로, 통상의 리니어베어링을 통해 상기 납땜피치결정부(160)에 구성된 전후이동플레이트(163)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결합됨과 동시에, 양측 하부에 롤러(181)를 결합구성하여 남땜피치결정부(160)의 피치결정홈(166)에 끼워지는 전후이동바(183)를 다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후이동바(183)의 상부에는 조절이동구(185)가 각각 한 쌍으로 결합설치된다.
여기서, 조절이동구(185)는 남땜설치대(110)의 관통홀(11)을 통해 돌출되어 각각의 스트립(1)을 전후로 일정하게 정렬시키는 구성으로, 스트립(1)를 각각 정렬하기 위한 조절돌부(184)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렬수단(190)에는 다수의 스트립(1)을 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측방향 정렬을 이루는 좌우이동정렬부(196)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좌우이동정렬부(196)는 고정설치브라켓(191)과, 좌우이동실린더(192)와, 좌우이동플레이트(194)와, 좌우조절대(195)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여기서, 고정설치브라켓(191)은 좌우이동정렬부(196)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통상의 브라켓으로, 납땜승강수단(140)의 고정브라켓(146)에 결합설치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좌우이동실린더(192)는 상기 고정설치브라켓(191)의 상면에 결합설치되어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로드(193)를 작동시키는 통상의 실린더(193)이다.
그리고, 좌우이동플레이트(194)는 상기 좌우이동실린더(192)의 로드(193)에 결합되어 로드(193)의 작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통상의 플레이트이며, 좌우조절대(195)는 상기 좌우이동플레이트(194)의 상면에 설치되어 좌우이동플레이트(194)의 좌우이동에 따라 스트립(1)의 좌우측면 정렬을 일정하게 이루는 구성이다.
더불어, 상기 좌우조절대(195)는 정확한 세팅을 위해 사용자에 의한 수동조작이 가능한데, 이와 같은 수동조작은 좌우조절대(195)를 좌우이동플레이트에 고정결합되는 마이크로미터(195a)와, 장공홈을 통해 좌우이동플레이트(194)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설치되는 조절구(195b)로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솔더링 장치(200)에 구성된 납땜수단(280)은 도 14 또는 도 25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수단(190)의 상측으로 이격설치되어 정렬수단(190)에 안착된 다수의 스트립(1)과 상기 스트립(1)의 상,하면에 각각 배치된 버스바(3)를 남땝하는 구성으로, 납땜설치플레이트(210)와, 납땜고정플레이트(220)와, 납땜승강구동수단(230)과, 납땜승강부(240)와, 납땜기(250)로 구성된다.
첫째, 납땜설치플레이트(210)는 납땜수단(280)의 설치를 위해 정렬수단(190)의 상측에 이격배치되는 통상의 플레이트로써,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에 고정설치되는 제1설치브라켓(211)을 통해 정렬수단(190)의 상측에 이격배치되며,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홀(21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납땜고정플레이트(200)은 납땜승강구동수단(230)의 설치를 위해 납땜설치플레이트(21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납땜설치플레이트(210)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제2설치브라켓(221)을 통해 설치되며, 상기 제2설치브라켓(221)의 외부에는 통상의 커버(미도시)를 부착함으로써 내부를 보호할 수도 있다.
셋째, 납땜승강구동수단(230)은 납땜승강부의 승강작동을 이루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 납땜고정플레이트(220)에 설치되는 모터(231)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납땜승강구동수단에는 모터(231)의 축(미도시)에 결합되는 밸트구동체(233)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밸트구동체(233)는 외주에 다수의 홈을 형성하여 한 쌍으로 이격설치되는 바퀴와, 상기 바퀴에 걸리는 줄로 이루어진 통상의 구성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바퀴를 연동시키기 위해 통상의 롤러를 사용해 줄을 연결설치한다.
더불어, 상기 납땜승강구동수단(230)에는 밸트구동체(233)의 바퀴에 결합되어 회전작동하는 스크루(237)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밸크구동체(233)와 결합되는 스크루(237)의 상측 부분은 납땜고정플레이트(220)와 베어링(235) 결합을 이루고 있어 납땜고정플레이트(220)와 결합시에도 스크루(237)의 회전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넷째, 납땜승강부(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납땜승강구동수단(230)을 통해 승강작동하는 구성으로, 너트(241)를 통해 상기 납땜승강구동수단(230)의 스크루(237)에 나사결합되는 제1승강이동플레이트(242)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제1승강이동플레이트(242)는 납땜설치플레이트(210)와 납땜고정플레이트(2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납땜승강부(240)에는 승강작동을 가이드 하는 승강이동봉(244)이 제1승강이동플레이트(242)의 하면에 결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승강이동봉(244)은 제1승강이동플레이트(242)의 모서리에 각각 결합설치되어 4개로 구성됨으로써 납땜승강부(240)의 승강 가이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드러운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납땜설치플레이트(210)에 베어링(243)결합되어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납땜승강부(240)에는 승강이동봉(244) 하부에 결합되어 납땜설치플레이트(210)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승강이동플레이트(24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2승강이동플레이트(245)는 납땜기(250)의 설치를 위한 구성이다.
다섯째, 납땜기(250)은 상기 정렬수단에 설치된 스트립(1)과 버스바(3)를 납땜하는 구성으로, 통상의 예열부(251)와 납땜부(255)로 구성된다.
여기서, 예열부(251)는 제1, 2승강이동플레이트(242, 245) 사이에 설치프레임(253)을 결합설치하여 상기 설치프레임(253)을 통하여 용이하게 결합설치할 수 있고, 납땜부(255)는 제2승강이동플레이트(245)에 하면에 결합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예열부(251)에는 납땜부(255)에 연결되어 납땜부(255)를 가열하는 가열봉(252)을 더 포함함으로써 스트립(1)과 버스바(3)의 납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3개의 버스바(3)를 스트립(1)에 각각 납땜하기 위해 납땜부(250)가 3개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납땜기(250)에 구성된 납땜부(255)의 하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정렬된 스트립(1)에 대응되는 가압돌기(256)가 다수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가압돌기(256)는 과도한 가압방지를 위해 스프링을 통한 탄성력을 지니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납땜부(255)의 전방 부근에는 가압돌기(256)와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추가돌기(257)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지니도록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추가돌기(257)는 가압돌기(256)보다 하측으로 조금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납땜기(250)를 통한 스트립(1)과 버스바(3)의 납땜작업시, 스트립(1)이 배치되지 않아 납땜이 이루어지지 않는 버스바(3)의 일부분이 추가돌기에 의해 자동으로 절곡되게 되며, 이와 같이 절곡된 버스바(3)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스트립(1)의 하면에 자동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납땜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납땜수단(280)에는 납땜기(250)를 통한 스트립(1)과 버스바(3)의 납땜시 발생하는 이물질을 흡기하는 납땜흡기수단(26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납땜흡기수단(260)은 진공흡입구(261)와, 연결관(263)과, 주름관(265)과, 진공장치(267)로써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먼저, 진공흡입구(261)는 상기 납땜승강부(240)의 제2승강이동플레이트(245) 하면에 결합되어 납땜기(250)에 구성된 납땜부(255)의 양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연결관(263)은 하부가 제1밀폐케이스(262)를 통해 제2승강이동플레이트(245)의 결합되어 진공흡입구(261)에 진공연결되고, 상부가 제1승강이동플레이트(242)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연결관(263)과 진공흡입구(261)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2승강이동플레이트(245)에는 진공흡입구(261)와 제1밀폐케이스(262)를 연결하는 홀이 상하로 관통형성된다.
더불어, 주름관(265)는 제2밀폐케이스(264)를 통해 제1승강이동플레이트(242)의 상부에 밀폐결합되어 연결관(263)에 진공연결되는 구성으로, 주름관(265)과 연결관(263)의 연결을 위해 상기 제1승강이동플레이트(242)에는 연결관(263)과 제2밀폐케이스(264)를 연결하는 홀이 상하로 관통형성된다.
덧붙여, 진공장치(267)는 통상의 연결호스를 통해 주름관(265)의 상부에 연결설치되는 통상의 진공흡기장치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납땜흡기수단(260)에 의하면, 납땜기(250)를 통한 납땜시 발생하는 흄과 같은 이물질을 깔끔히 처리할 수 있어 이물질에 의한 불량이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납땜수단(280)에는 정렬수단(190)으로 공급된 버스바(3)를 고정함으로써, 정렬된 버스바(3)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남땜고정수단(27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납땜고정수단(270)은 통상의 브라켓을 통해 제1설치브라켓(211)에 고정설치되는 모터(271)와, 상기 모터(271)의 모터축(272)에 결합되는 밸트구동체(273)와, 일측이 밸트구동체(273)에 축(274) 결합되고 타측에는 고정구(275)를 구성하여 버스바(3)를 고정하는 회전고정부(276)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고정부(276)는 밸트구동체(273)의 축(274)을 중심으로 90°의 각으로 회전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버스바(3)의 고정시 완충작용을 이루는 통상의 충격흡수기(277)를 통상의 브라켓을 통해 납땜고정수단(270)에 설치함으로써 버스바(3) 고정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버스바공급장치(300)는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더링장치(200)로 공급된 스트립(1)의 상,하부로 버스바(3)를 공급하는 장치로써, 릴부(310)와, 롤러부(320)와, 플럭스도포부(330)와, 트라이터널(340)과, 버스바이동부(350)와, 버스바컷팅부(360)로 구성된다.
첫째, 릴부(310)는 버스바(3)의 연속 공급을 위해 버스바(3)를 권취하는 구성으로 3개의 버스바(3)를 각각 공급하게 위해 3개로 구성된다.
둘째, 롤러부(320)는 상기 릴부(310)에 권취된 버스바(3)를 버스바이동부(350)를 통하여 솔더링장치(200)로 공급할 때에, 상기 버스바(3)가 릴부(310)에 권취된 것에 의해 형성된 굴곡 부분을 완화시키는 구성으로, 롤러를 다수로 구성한 제1, 2롤러부(321, 322)가 상,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2롤러부(321, 322)에 설치된 롤러는 버스바(3)의 굴곡 완화를 보다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일정하게 이격설치되어 제1롤러부(321)의 롤러 사이에 제2롤러부(322)의 롤러가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플럭스도포부(330)는 상기 롤러부(320)를 통과한 버스바(3)의 상,하면에 플럭스를 도포하는 구성으로, 플럭스저장기(331)에 저장된 플럭스를 버스바(3)로 공급하는 플럭스공급기(332)와, 상기 플럭스공급기(332)에서 버스바로 공급되는 플럭스를 버스바(3)의 상,하면에 얇게 도포하는 한 쌍의 붓(333)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상기 플럭스도포부(330)의 하부에는 플럭스의 과도한 공급시에도 본 발명에 플럭스가 묻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플럭스받침대(334)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드라이터널(340)은 상기 버스바(3)에 도포된 플럭스를 건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버스바(3)의 이동통로를 형성한 건조실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건조실의 내부에는 통상의 공기공급장치(미도시)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도록 설치되어 버스바의 건조를 이루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다섯째, 버스바이동부(350)은 상기 드라이터널(340)을 통과한 버스바(3)를 솔더링장치(200)로 공급된 스트립(1)의 상,하부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전후상하로 작동하는 통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버스바(3)의 끝단을 그립하는 통상의 집게를 구성한다.
여섯째, 버스바컷팅부(360)는 상기 드라이터널(340)과 버스바이동부(350)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스트립(1)의 상,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버스바(3)를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작용을 하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실린더(361)와, 상기 실린더(361)의 로드 끝단에 설치되는 컷팅날(363)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버스바공급장치(300)에는 롤러부(320)와 버스바컷팅부(360) 사이에 위치되어 버스바(3)를 인장시키는 버스바인장수단(37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버스바인장수단(370)은 버스바의 인장을 통하여 버스바의 굴곡진 부분을 완전히 펴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인장수단(370)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통상의 실린더(371)와, 상기 롤러부(320)와 플럭스도포부(330) 사이에 배치되도록 실린더(371)의 로드에 결합된 상태로 리니어베어링(372) 결합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이동인장몸체(373)와, 상기 플럭스도포부(330)와 버스바컷팅부(360) 사이에 고정배치되는 고정인장몸체(375)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인장몸체(373)와 고정인장몸체(375)에는 인장되는 버스바(3)를 고정하기 위한 버스바고정체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인장몸체(373)와 고정인장몸체(375)에 각각 설치된 각각의 버스바고정체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통상의 실린더(373a, 375a)와, 상기 실린더(373a, 375a)의 로드에 연결설치되어 버스바(3)를 고정하는 가압구(373b, 375b)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버스바고정체에는 버스바(3)의 가압고정시 버스바(3)에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통상의 스프링(373c, 375c)이 설치되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립전후이동장치(400)는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더링장치(200)를 통해 3개의 버스바(3)로 납땜되어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되는 스트립(1)뭉치(이하 스트립스트링이라 함)를 안전하게 후방으로 이동시켜 보관하기 위한 장치로서, 고정받침수단(410)과, 이동승강구동수단(420)과, 이동승강부(430)와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과, 이동승강그립퍼(450)로 이루어진다.
첫째, 고정받침수단(410)은 양측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스트립(1)의 양측 하면을 받쳐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대(411)와, 각각의 받침대(411) 하부에 결합설치되어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413)으로 구성된다.
둘째, 이동승강구동수단(420)은 상기 고정받침수단(410)에 구성된 받침대(411)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지지브라켓(413)의 사이에 위치되어 태양광 셀 제작세스템(1000)에 고정설치되는 이동고정플레이트(421)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고정플레이트(421)에는 이동승강부(430)의 승강작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베어링(42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승강구동수단(420)에는 이동고정플레이트(421)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이동리니어베어링(422)과, 제1이동리니어베어링(422)에 결합되어 전후로 작동함으로써 이동승강부(430)를 승강이동시키는 이동승강구동부(429)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승강구동부(429)는 통상의 브라켓을 통해 이동고정플레이트(421)의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모터(424)를 구성하는데, 상기 모터(424)의 축(425) 또한 통상의 베어링 및 브라켓을 통해 이동고정플레이트(421)에 고정설치되어 모터(424)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이동승강구동부(429)에는 상기 모터(424)의 축(425)에 나사결합되는 너트(426)와, 상기 너트(426)에 결합된 상태로 제1이동리니어베어링(422)에 결합되어 모터(424)의 작동에 따라 전후로 움직이는 이동작동대(427)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작동대(427)의 상면에는 이동경사대(428)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경사대(428)는 이동승강부(43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작동대(427)의 전후이동시 이동승강부(430)의 승강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경사면이 구성되어 있다.
셋째, 이동승강부(4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승강구동수단(4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승강 작동하는 구성으로, 상기 이동승강구동수단(420)에 구성된 이동승강구동부(420)의 이동경사대(427)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이동경사대(427)에 안착되는 롤러(431)를 하부에 구성한 이동안착부(43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동안착부(433)의 하부에는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이동승강가이더(435)가 결합설치되는데, 상기 이동승강가이더(435)는 이동승강구동수단(420)의 이동고정플레이트(421)를 관통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이동고정플레이트(421)에 구성된 베어링(423)결합됨으로써 이동승강부(430)의 승강작동을 가이드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승강구동수단(420)에 구성된 모터(424)가 작동하면, 이동작동대(427)가 전후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이동작동대(427)의 전후이동에 따라 이동경사대(428)에 안착되어 있는 이동승강부(430)가 롤러(431) 및 이동승강가이더(435)를 따라 안정적으로 가이드 되면서 승강작동하는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넷째,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은 상기 이동승강부(4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스트립스트링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동전후구동수단(445)과, 이동전후작동부(44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의 이동전후구동수단(445)은 상기 이동승강부(430)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이동전후작동부(449)의 하면에 결합되는 제2이동리니어베어링(441)과, 상기 이동승강부(430)의 후방에 결합되는 모터(442)와, 상기 모터(442)의 축(442a)에 나사결합되는 너트(443)와, 상기 너트(443)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전후작동부(449)에 고정결합되는 연결체(444)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442)의 안정적인 고정설치를 위해 상기 모터(442)의 축(442a) 또한 통상의 베어링 및 브라켓을 통해 이동승강부(430)에 결합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의 이동전후작동부(449)는 상기 이동전후구동수단(445)의 제2이동리니어베어링(441)과 연결체(444)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이동전후구동수단(445)의 모터(442)의 작동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전후받침플레이트(446)와, 상기 이동전후받침플레이트(445)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이동승강그립퍼(450)의 이동승강플레이트(453)에 베어링(451)결합되는 이동가이드봉(447)과, 상기 이동전후받침플레이트(446)의 전방에 형성되어 솔더링장치(200)에 안착되어 있는 스트립(1)을 양측에서 받치는 이동스트립받침구(448)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승강구동수단(420)에 의해 이동승강부(430)와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이 동시에 승강작동하면, 상기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의 이동스트립받침구(448)를 통해 스트립스트링을 받쳐 올릴 수 있으며, 이동스트립받침구(448)를 통해 받쳐 올려진 스트립스트링은 이동전후구동수단(445)에 구성된 모터(442)의 작용으로 후방 이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이동승강그립퍼(450)는,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의 이동스트립받침구(448)에 의해 받쳐져 올려지는 스트립스트링을 상측에서 눌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이동전후작동부(449)에 구성된 이동가이드봉(447)에 베어링(451)결합되는 이동승강플레이트(453)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승강플레이트(453)의 중앙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홀(452)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승강플레이트(453)의 하부에는 상기 관통홀(452)을 통과하여 이동전후작동부(449)의 하부에 결합되는 로드(454)를 형성한 이동승강실리더(45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승강그립퍼(450)에는 연결브라켓(456)을 통해 상기 이동승강플레이트(453)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에 구성된 이동전후작동부(449)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트립고정구(457)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립고정구(457)는 이동시킬 스트립스트링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방에 형성되는 스트립고정구(457)는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의 이동스트립받침구(448)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후방에 형성되는 스트립고정구(457)는 이동전후받침플레이트(446)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이동승강그립퍼(450)에는 이동승강그립퍼(450)의 승강작동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는 이동승강충격방지수단(46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이동승강충격방지수단(460)의 구성은 이동가이드봉(447)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어 이동승강플레이트(453)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동고정플레이트(461)와, 상기 이동고정플레이트(461)에 고정설치되는 통상의 완충부(463)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승강그립퍼(450)에 구성된 이동승강실린더(455)의 구동에 의해 이동승강플레이트(453)가 이동가이드봉(447)을 따라 하강작동하면, 상기 이동가이드봉(447)의 끝단에 고정설치된 이동승강충격방지수단(460)의 완충부(463)가 이동승강플레이트(453)의 하면에 맞닿게 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이동승강그립퍼(450)의 승강 작동에 따른 충격과 소음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납땜검사장치(470)은 상기 스트립전후이동장치(400)의 상측에 구성되어 스트립(1)과 버스바(3)의 납땜 불량을 검사하는 장치로서, 이와 같은 납땜검사장치(470)는 고정받침수단(4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후좌우로 이동작동하는 구성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납땜검사장치(470)가 전후좌우로 이동작동하는 구성은 상기 고정받침수단(410)의 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471)에 슬라이드결합설치되어 전후로 작동하는 리니어모터(473)와, 통상의 브라켓을 통해 상기 리니어모터(473)에 연결되어 고정받침수단(410)의 상측에 이격설치되는 이동연결설치대(475)와, 상기 이동연결설치대(475)에 결합되어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좌우로 이동작동하는 통상의 납땜검사부(477)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상기 납땜검사장치(470)에는 버스바(3)로 납땜되어 후방으로 이동된 스트립(1)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브러쉬(479)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도 있는데, 이와 같은 브러쉬(479)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479a)에 결합하여 승강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물질의 제거시에만 스트립(1)과 버스바(3)의 납땜부위를 쓸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납땜검사장치(470)를 통하면, 스트립(1)과 버스바(3)의 납땜상태를 검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시 스트립(1)과 버스바(3)에 묻어있는 이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별도의 클리닝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역장치(500)는 도 1 내지 3 또는 도 46 내지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납땜검사장치(470)를 통과한 스트립스트링을 이동시켜 수납보관하는 장치로서, 하역피커수단(510)과, 하역보드저장공급수단(550)과, 하역수납보관수단(590)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하역피커수단(510)은 태양광셀 제작시스템(1000)에 구성된 스트립전후이동장치(400)를 통해 납땜검사되어 후방으로 이동된 스트립스트링을 운반하여 수납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역좌우레일부(511)와, 하역좌우이동부(513)와, 하역승강부(515)와, 하역그립퍼부(520)로 구성된다.
먼저, 하역좌우레일부(511)는 상기 스트립전후이동장치(40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성으로, 통상의 브라켓을 통해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설치 배치된다.
또한, 하역좌우이동부(513)는 상기 하역좌우레일부(511)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통상의 리니어모터(미도시)를 통해 리니어베어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역승강부(515)는 상기 하역좌우이동부(513)에 결합되어 승강작동하는 구성으로, 하역좌우이동부(513)에 고정설치되는 하역승강모터(515a)와, 상기 하역승강모터(515a)에 결합되어 회전구동하는 하역구동축(515b)과, 상기 하역구동축(515b)에 나사결합되는 하역너트(515c)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하역승강부(515)에는 상기 하역구동축(515b)의 양측에 위치되어 하역좌우이동부(513)에 상하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하역승강레일(515d)과, 상기 하역너트(515c)에 고정결합된 상태로 하역승강레일(515d)에 슬라이드결합되는 하역승강몸체(515e)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역승강모터(515a)의 구동에 따라 하역구동축(515b)이 회전구동되면, 하역너트(515c)에 결합된 하역승강몸체(515e)가 하역승강레일(515d)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승강작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하역그립퍼부(520)은 스트립스트링 또는 보드(501)를 그립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역승강부(515)에 결합설치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역피커수단(510)에 구성된 하역그립퍼부(520)는 상기 하역승강부(515)에 고정결합되는 하역고정몸체(521)와, 상기 하역고정몸체(5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진공흡입을 통해 보드(501)를 흡착고정하는 복수 개의 하역흡착부(523)와, 상기 하역고정몸체(521)의 하부에 설치되어 버스바로 납땜된 다수의 스트립뭉치 즉, 스트립스트링을 거치고정하는 하역거치고정부(52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역흡착부(523)는 진공흡입을 이루기 위한 구성으로, 연결호스(미도시)를 통해 통상의 진공흡기장치(미도시)에 연결설치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역흡착부(523)는 하역피커수단(510)의 하강작동시 충격을 받지 않도록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통상의 브라켓을 통해 하역고정몸체(521)에 고정설치되며, 하강작동에 따라 승강작동된 하역흡착부(523)는 스프링(524)을 통한 탄성복귀력으로 초기상태의 복귀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거치고정부(5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립스트링을 거치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트립스트링의 안전한 거치고정을 위해 복수 개로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립퍼설치대(526)과, 그립퍼거치대(527)와, 그립퍼실린더(528)로 이루어진다.
먼저, 거치고정부의 그립퍼설치대(526)는 상기 하역그립퍼부(520)에 구성된 하역고정몸체(521)에 결합설치되는 구성으로, 전면과 후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526a)을 각각 구성하고 있으며, 하측에는 통상의 밸트풀리(526b)를 구성한다.
더불어, 그립퍼거치대(527)은 상기 그립퍼설치대(526)의 레일(526a)에 각각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밸트풀리(526b)에 각각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527a)과, 각각 브라켓(527a)의 하측에 결합되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설치되는 거치대(527b)로 구성된다.
덧붙여, 그립퍼실린더(528)은 상기 그립퍼설치대(527)에 고정결합되어 그립퍼거치대(527)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공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그립퍼실린더(528)의 로드(529)를 그립퍼거치대(527)의 브라켓(527a)에 고정결합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그립퍼실린더(528)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면, 로드(529)가 한 쌍의 브라켓(527a) 사이공간을 좁히거나 넓히는 작동이 일어나 거치대(527b)를 통한 스트립스트링의 거치고정 또는 거치해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둘째, 하역보드저장공급수단(550)은 도 1 내지 5 또는 도 51 내지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역피커수단(510)의 하측의 설치구성되어 하역피커수단(510)으로 보드(501)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하좌우로 이동되는 하역피커수단(510)을 통해 운반되는 스트립스트링을 안전하게 받쳐서 수납보관을 이룰 수 있도록 스트립전후이동장치(4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며, 공급케이스(530)와, 제1하역승강작동부(540)로 구성된다.
먼저, 공급케이스(530)은 보드를 수납저장하는 구성으로, 상, 하측에는 보드의 보드의 공급을 위한 개구를 형성하며, 내측에는 보드(501)를 안착시켜 내부에 수납저장하기 위한 턱(531)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공급케이스(530)의 상부에는 제1하역승강작동부(540)를 통해 승강되어 공급되는 보드(501)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533)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급케이스(530)의 전면에는 보드(501)를 공급케이스(530)에 저장하기 위한 계폐덮개(53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1하역승강작동부(540)는 상기 공급케이스(530)의 하측에 설치되어 공급케이스(530)에 수납저장된 보드(501)를 하역피커수단(510)의 하역그립퍼부(520)로 승강공급하는 구성으로, 제1하역고정플레이트(542)와, 제1하역회전구동부(546)와, 제1하역이동부(549)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하역고정플레이트(542)는 제1고정봉(541)을 통해 공급케이스(530)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1고정봉(541)은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에 결합되어 제1하역고정플레이트(542)의 고정을 이룬다.
아울러, 제1하역회전구동부(546)는 상기 제1하역고정플레이트(542)에 결합되어 제1하역이동부의 승강작동을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제1하역고정플레이트에 결합설치되는 모터(543)와, 상기 모터(543)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밸트풀리(544)와, 통상의 베어링을 통해 상기 제1하역고정플레이트(542)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밸트풀리(544)에 결합되어 회전구동하는 제1하역회전축(545)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1하역이동부(54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하역회전구동부(546)의 구동에 따라 승강작동하여 공급케이스(530)에 수납저장된 보드(501)를 하역피커수단(510)의 하역그립퍼부(520)로 공급하는 작동을 하는 구성으로, 통상의 베어링을 통해 상기 제1고정봉(541)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제1하역회전축(545)에 나사결합되는 너트(547a)를 구성한 제1하역승강플레이트(547)와, 상기 제1하역승강플레이트(547)에 결합되어 공급케이스(530)에 수납저장된 보드(501)를 승강작동시키는 제1승강봉(548)으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1승강봉(548)은 보다 안정적인 승강작동을 위해 통상의 베어링(548a)을 통해 가이드되는 구성으로 이룰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1승강봉을 가이드하는 베어링은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에 고정설치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제1승강봉(548)의 상단에는 보드(501)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통상의 받침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제1하역이동부(549)는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보드(501)의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작동시키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제1하역회전축(545)의 구동은 보드(501)의 승강높이 조절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하역회전축(545)의 상측 끝단을 밸트풀리(549a)로 연결하여 하나의 모터(543)로 구동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제1하역회전축(545)을 서로 연결하는 밸트풀리(549a)는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에 결합되는 커버(549b)를 통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 것이 좋다.
셋째, 하역수납보관수단(590)은 도 1 내지 도 3 또는 도 54 내지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역피커수단(510)의 하측에 설치구성되어 하역피커수단(510)을 통해 운반된 보드(510) 및 스트립스트링을 전달받아 수납저장하는 구성으로, 상하좌우로 이동되는 하역피커수단(510)을 운반되는 보드(510) 및 스트립스트링을 안전하게 받쳐서 수납보관을 이룰 수 있도록 스트립전후장치(400)와 하역보드저장공급수단(550) 사이에 배치되며, 수납케이스(560)와, 개폐판부(570)와 제2하역승강작동부(580)로 구성된다.
먼저, 수납케이스(560)은 스트립스트링이 안착된 보드(501)를 내부에 수납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 케이스(565)와, 수납거치대(569)로 분리 구성된다.
여기서, 케이스(565)는 상, 하측에 보드(501)의 수납을 위한 개구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수납된 보드(501)를 안착시켜 저장하기 위한 턱(561)을 구성하고 있으며, 전면에는 스트립스트링이 안착된 보드(501)를 분리하기 위한 개폐덮개(56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수납거치대(569)는 상기 케이스(565)의 내부에 삽입되어 턱(561)에 안착설치되는 구성으로, 스트립스트링이 안착된 보드(501)를 안정적으로 거치보관하는 작용을 하며, 스트립스트링이 안착된 보드(501)의 수납저장을 위해 수납거치대(569)의 상,하측에는 개구와 관통홀(567)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567)은 제2하역승강작동부(580)가 상승작동하여 상기 제2하역승강작동부(580)의 상부에 보드(501)를 안착시키기 위해 수납거치대(569)의 하측에 형성되는 홀이다.
아울러, 상기 수납케이스(560)에 구성된 케이스(565)의 내부에는 통상이 센서(565a)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센서(565a)는 수납거치대(569)의 수납허용범위를 넘어서는 보드(501)를 감지할 수 있도록 수납거치대(569)의 바로 윗부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센서(565a)에 의하면, 수납거치대(569)의 수납허용범위를 과도하게 넘어서는 보드(501)의 적층을 방지할 수 있어 케이스(565)에서 수납거치대(569)를 분리시 스트립스트링과 보드(501)의 흐트러짐 및 파손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개폐판부(570)는 상기 수납케이스(560)에 구성된 케이스(565)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납케이스(560)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통상의 실린더(571)와, 슬라이드이동을 가이드하는 통상의 리니어베어링(573)을 통해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상기 개폐판부(570)의 상면에는 보드(501)의 안착을 위한 보드안착홈(575)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개폐판부(570)에는 보드안착홈(575)에 보드가 안착된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577)와, 제2하역승강작동부(580)가 상승운동하여 보드(501)를 받칠 높이로 이동된 것을 감지하는 센서(579)가 각각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드안착홈(575)에는 하역그립퍼부(520)의 하강작동시 그립퍼거치대(527)가 개폐판부(570)에 걸리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는 통상의 홀이 형성될 것이다.
또한, 제2하역승강작동부(580)는 상기 수납케이스(560)의 하측에 설치되어 하역피커수단(510)의 하역그립퍼(520)로 부터 전달받은 스트립스트링이 안착된 보드(501)를 승강시키는 작동을 하는 구성으로, 제1하역승강작동부(540)와 동일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하역승강작동부(580)는 제2하역고정플레이트(582)와, 제2하역회전구동부(586)와, 제2하역이동부(589)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하역고정플레이트(582)는 제2고정봉(581)을 통해 수납케이스(560)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2고정봉(581)은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에 결합되어 제2하역고정플레이트(582)의 고정을 이룬다.
아울러, 제2하역회전구동부(586)는 상기 제2하역고정플레이트(582)에 결합되어 제2하역이동부(589)의 승강작동을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제2하역고정플레이트(582)에 결합설치되는 모터(583)와, 상기 모터(583)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밸트풀리(584)와, 통상의 베어링을 통해 상기 제2하역고정플레이트(582)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밸트풀리(584)에 결합되어 회전구동하는 제2하역회전축(585)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2하역이동부(58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하역회전구동부(586)의 구동에 따라 승강작동하여 하역피커수단(510)의 하역그립퍼부(520)를 통해 운반된 보드(501)를 전달받은 후, 전달받은 보드(501)를 수납케이스(560)에 구성된 수납거치대(569)에 수납거치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통상의 베어링을 통해 상기 제2고정봉(581)에 슬라이드결합된 상태로 제2하역회전축(585)에 나사결합되는 너트(587a)를 구성한 제2하역승강플레이트(587)와, 상기 제2하역승강플레이트(587)에 결합되어 하역그립퍼부(520)로부터 전달받은 보드(501)를 승강작동시켜 수납케이스(560)에 수납저장하는 제2승강봉(588)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승강봉(588)은 수납거치대(569)에 형성된 관통홀(567)을 통해 수납거치대(569)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제2승강봉(588)은 보다 안정적인 승강작동을 위해 통상의 베어링(588a)을 통해 가이드되는 구성으로 이룰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2승강봉(588)을 가이드하는 베어링은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에 고정설치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제2승강봉(588)의 상단에는 보드(501)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통상의 받침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제2하역이동부(589)는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보드(501)의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작동시키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제2하역회전축(585)의 구동은 보드(501)의 승강높이 조절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하역회전축(585)의 상측 끝단을 밸트풀리(589a)로 연결하여 하나의 모터(583)로 구동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제2하역회전축(585)을 서로 연결하는 밸트풀리(589a)는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1000)에 결합되는 커버(589b)를 통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이 작동하면, 버스바공급장치(300)에 구성된 버스바이동부(350)가 구동되어 릴부(310)에 감겨진 버스바(3)를 후방으로 일정량 이동시키는 작동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플럭스도포부(330) 후방으로 이동되는 버스바(3)의 상, 하면에 플럭스를 도포하는 작업이 수행되며, 버스바(3)에 도포된 플럭스는 드라이터널(340)을 통해 건조되어 버스바(3)의 산화가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버스바이동부(350)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버스바(3)는 롤러부(320)와 버스바인장수단(370)을 통과하는데, 상기 롤러부(320)와 버스바인장수단(370)은 버스바(3)의 상,하면 가압 및 버스바(3)의 인장을 이루는 작동을 각각 수행하므로, 상기 롤러부(320)와 버스바인장수단(370)을 통과하는 버스바(3)는 릴부(310)에 권취된 것에 의해 형성되었던 굴곡 부분이 펴지게 된다.
따라서, 버스바이동부(350)의 구동에 따라 후방으로 일정량 이동된 버스바(3)에는 전술한 작동에 의해 펴진 상태로 플럭스의 도포가 이루어져 있다.
그 후에는, 버스바공급장치(350)에 구성된 버스바컷팅부(360)가 작동하여 후방으로 이동된 버스바(3)를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작동이 수행된 다음, 버스바이동부(350)의 후진작동을 통해 절단된 버스바(3)가 솔더링장치(200)의 정렬수단(190)에 구성된 납땜버스바고정대(120)에 안착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납땜버스바고정대(120)에 버스바(3)가 안착되면, 이탈방지돌부(121)에 의해 버스바(3)의 좌우움직임이 방지됨과, 진공흡기장치(미도시)에 연결된 제1흡기홀(113)과 제1흡착홀(123)을 통해 버스바(3)의 흡착고정이 이루어지며, 후진이동하였던 버스바이동부(350)는 전진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납땜버스바고정대(120)에 버스바가 안착될 때에는, 이동배치장치(9)의 흡착작용과 승강 및 좌우이동을 통해 다수의 스트립(1)이 스트립선정렬장치(100)의 선안착부(20)에 배치되는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이 선안착부(20)의 상면에 다수의 스트립(1)이 배치되면, 연결호스(미도시)를 통해 선흡기고정부(30)에 연결된 진공흡기장치가 작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선흡기고정부(30)에 구성된 흡기홀(33)과 선안착부(20)에 구성된 흡착홀(23)을 통해 선안착부(20)에 배치된 스트립(1)이 선안착부(20)의 상면에 흡착고정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승강구동부(60)의 작동에 따라 선승강이동정렬부(50)의 승강작동이 이루어져, 선안착부(20)에 흡착고정된 다수의 스트립(1)을 일정간격으로 정렬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을 스트립(1)의 정렬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승강구동부(60)의 모터(63)가 구동에 따라 모터(63)의 축(62)이 회전작동하면, 상기 축(62)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승강너트(67)가 축(62)을 따라 상승작동하는데, 이때, 상기 승강너트(67)의 상부에는 선승강이동정렬부(50)의 하면에 결합된 고정결합체(69)가 결합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승강너트(67)가 회전 없이 수직으로만 상승작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승강너트(67)의 상승작동에 따라 고정결합체(69)를 통해 결합된 선승강이동정렬부(50)가 선가이드부(40)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작동되어 정렬구(59)가 선안착부(20)에 형성된 제2관통홀(21)을 통해 선안착부(20)의 상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선안착부(20)에 배치된 다수의 스트립(1)이 일정간격으로 선 정렬되게 되며, 이를 통해 다음 공정에서의 작업이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트립(1)의 정렬이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선안착부(20)의 상측으로 이격 설치된 선검사장치(70)를 통해 선안착부(20)에 안착 배치된 스트립(1)의 불량검사를 이루는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는데, 이때, 상기 스트립(1)에 불량이 있을 경우, 불량 스트립(1)을 회수하여 교체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진행되게 할 수 있어 태양광 셀 제작시 불량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불량 스트립(1)의 회수 및 교체 작업은 선안착부(20)의 전방에 설치된 선회수교체장치(80)와, 선안착부(20)의 후방에 설치된 선공급장치(90)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불량 스트립(1)의 회수 및 교체 작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선검사장치(70)를 통해 선안착부(20)에 안착배치된 스트립(1)에 불량이 감지되면, 선회수교체장치(80)에 구성된 모터(82)의 구동에 의해 나사축(82a)에 나사결합된 전후이동체(83)가 가이드레일(81)을 따라 후진이동되며, 이와 같은 전후이동체(83)의 후진이동에 따라 전후이동체(83)에 결합설치된 스트립회수수단(85)과 스트립교체수단(87)이 동시에 전진이동된다.
이와 같은 전후이동체(83)의 전진이동은 제어부(미도시)의 자동제어에 따라 상기 스트립회수수단(85)에 구성된 흡기구(85c)가 불량이 감지된 스트립(1)의 상측에 위치할 때까지 이루어지며, 흡기구(85c)가 불량이 감지된 스트립(1)의 상측에 위치되면, 상기 스트립회수수단(85)에 구성된 제1승강실린더(85a)가 하강작동함과 동시에, 스트립회수수단(85)에 연결된 진공흡기장치가 작동하여 불량 스트립(1)을 회수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불량 스트립(1)의 회수가 완료되면, 상기 스트립회수수단(85)에 연결된 진공흡기장치의 작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제1승강실린더(85a)가 상승작동하여 스트립회수수단(85)의 높이가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후, 상기 전후이동체(83)의 전,후진 작동이 다시 이루어져 상기 스트립교체수단(87)에 구성된 흡착교체구(87c)가 선공급장치(90)에 적층보관된 스트립(1)의 상측에 위치되면, 상기 스트립교체수단(87)에 구성된 제2승강실린더(87a)가 하강작동함과 동시에, 스트립교체수단(87)에 연결된 진공흡기장치가 작동한다. 따라서, 상기 선공급장치(90)의 최상부에 배치된 스트립(1)이 흡착교체구(87c)로 흡착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흡착교체구(87c)로 하나의 스트립(1)을 흡착고정한 후에는, 제2승강실린더(87a)가 상승작동하여 스트립교체수단(87)의 높이가 초기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전후이동체(83)의 전,후진 작동이 다시 이루어져 상기 스트립교체수단(87)에 구성된 흡착교체구(87c)가 불량 스트립(1)이 배치되어 있던 장소의 상측에 위치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승강실린더(87a)의 하강작동이 이루어져 흡착교체구(87c)에 흡착고정되어 있던 스트립(1)이 선안착부(20)에 놓이게 됨과 동시에, 스트립교체수단(87)에 연결된 진공흡기장치의 작동이 정지되어 스트립(1)의 안착배치가 완료되고, 이 후, 제2승강실린더(87a)의 상승작동과, 전후이동체(83)의 전진작동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선회수교체장치(80)가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선공급장치(90)의 최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스트립(1)을 사용하면, 사용한 스트립(1)의 두께만큼 높이가 낮아지는데, 이와 같은 높이의 보정은 선공급장치(90)의 조작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선공급장치(90)에 적층되어 있는 스트립(1)이 센서(91a)에 의해 감지되지 않으면, 선공급장치(90)에 구성된 모터(94)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승강부재(96)가 축(94a)을 따라 승강 작동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96)와 스트립보관부(97) 사이에 결합된 가이드봉(99)에 의해 스트립보관부(97)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져, 상기 스트립보관부(97)에 적층되어 최상부에 배치된 스트립(1)이 고정대(91)의 센서(91a)에 대응되는 위치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사용에도 선회수교체장치(80)를 통한 스트립(1)의 교체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트립(1)의 선 정렬과 불량 스트립(1)의 교체가 완료된 후에는, 이동배치장치(9)의 작동을 통해 선 정렬된 다수의 스트립(1)을 솔더링장치(200)의 정렬수단(190)에 구성된 납땜스트립고정대(130)에 안착시킬 수 있는데, 납땜스트립고정대(130)에 안착된 스트립(1)은 진공흡기장치에 연결된 제2흡기홀(115)과 제2흡착홀(135)을 통해 스트립(1)의 흡착고정이 이루어지므로, 이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버스바(3)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다수 배치되는 스트립(1)의 안착배치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납땜버스바고정대(120)와 납땜스트립고정대(130)에 버스바(3)와 스트립(1)을 각각 배치한 후에는, 정렬수단(190)의 작동을 통해 스트립(1)을 일정피치와 간격으로 조절하는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이하에서는, 스트립(1)의 정렬작동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스트립(1)의 정렬을 위해선 먼저, 납땜스트립고정대(130)에 안착배치된 스트립(1)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남땜버스바고정대(120)에 안착배치된 버스바(3)와 상기 스트립(1)을 이격시킨다.
이와 같은 스트립(1)의 상승작동은 상기 스트립(1)의 전후좌우 방향 정렬시 정렬되는 스트립(1)에 의해 하측에 배치된 버스바(3)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납땜승강수단(140)을 통해 이룰 수 있다.
즉, 납땜승강수단(140)에 구성된 승강실린더(141)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승강실린더(141)의 로드(142)에 결합된 승강플레이트(143)가 상승작동하여 상기 승강플레이(143)에 결합된 승강가이더(146)와 승강브라켓(148)이 연동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가이더(146)는 납땜설치대(110)의 설치브라켓(119)에 고정결합된 고정브라켓(114)과 베어링(145)결합을 이루어 승강브라켓(148)의 안정적인 승강을 유도하는 작용을 하므로, 상기 승강브라켓(148)의 양측 상부에 결합된 스트립승강대(147)가 스트립(1)의 상측방향 이동을 안정적으로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트립(1)의 상측방향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납땜피치결정이동수단(170)의 작동을 통해 스트립(1) 간의 피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납땜피치결정이동부(160)의 피치이동모터(171)가 구동되면, 납땜피치결정부(160)의 피치이동플레이트(164)에 결합된 상태로 납땜피치결정이동수단(170)의 피치이동축(173)에 나사결합된 피치이동너트(175)에 의해 전후이동플레이트(163)의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된 피치이동플레이트(164)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피치이동플레이트(164)의 좌우이동에 따라 상기 피치이동플레이트(164)에 연결구(165)로 결합된 피치결정플레이트(167)가 좌우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피치결정플레이트(167)의 피치결정홈(166)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납땜전후이동부(180)의 롤러(181)가 피치결정플레이트(167)의 이동방향 및 피치결정홈(166)의 형상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납땜전후이동부(180)의 전후이동이 일어나며, 이와 같은 납땜전후이동부(180)의 전후이동에 따라 전후이동바(183)의 상부에 구성된 조절이동구(185)가 스트립(1) 간의 피치를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그 후에는, 납땜전후이동수단(150)의 작동을 통해 스트립(1) 사이의 전후방향 정렬을 이룰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작용은, 납땜전후이동수단(150)에 구성된 전후이동모터(151)의 구동에 의해 축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작동하는 너트(155)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납땜전후이동수단(150)에 구성된 너트(155)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 이동브라켓(161)을 통해 너트(155)와 결합된 전후이동플레이트(163)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전후이동플레이트(163)의 하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결합되는 피치이동플레이트(164)가 전후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되게 되며, 이와 같은 피치이동플레이트(164)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피치이동플레이트(164)에 연결구(165)로 결합된 피치결정플레이트(167)가 전후방향으로 연동하여 이동하는 작동이 일어난다.
따라서, 상기 피치결정플레이트(167)의 피치결정홈(166)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납땜전후이동부(180)의 롤러(181)가 피치결정플레이트(167)의 피치결정홈(166)에 걸려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며, 이와 같은 납땜전후이동부(167)의 전후이동에 따라 전후이동바(183)의 상부에 구성된 조절이동구(185)가 스트립(1) 사이의 전후 폭 정렬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트립(1)의 전후정렬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좌우이동실린더(192)의 로드(123)에 결합된 좌우이동플레이트(194) 및 좌우조절대(195)로 이루어진 좌우이동정렬부(196)를 통한 스트립(1)의 좌우정렬이 이루어져 스트립(1)의 정렬이 완료된다.
이처럼, 스트립(1)의 정렬이 완료된 후에는, 납땜승강수단(140)의 재구동을 통해 상승이동시켰던 스트립(1)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트립(1)을 납땜스트립고정대(130)에 안착배치함으로써, 납땜버스바고정대(120)에 안착배치된 버스바(3)의 상면에 스트립(1)을 밀착배치하고, 버스바공급장치(300)와 버스바이동부(350)를 통해 일정길이로 절단된 버스바(3)를 다시 한번 정렬수단(190)으로 공급함으로써, 스트립(1)의 상면에 버스바(3)가 안착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에는, 스트립(1)의 상면으로 공급되어 안착배치된 버스바(3)의 움직임 방지를 위해 납땜수단(280)에 구성된 납땜고정수단(270)이 버스바(3)의 전방부분을 고정하는 작용이 수행되며, 이와 같은 버스바(3)의 고정으로 인해 버스바이동부(350)가 버스바(3)를 놓고 움직일 시에도 상기 버스바(3)가 움직이는 현상이 방지된다.
전술한 작용을 통해 스트립(1)의 상하면에 버스바(3)가 밀착되도록 하여 정렬을 완료한 후에는, 버스바(3)를 고정하였던 납땜고정수단(270)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납땜수단(280)의 구동을 통해 스트립(1)과 버스바(3)의 납땜을 이룰 수 있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납땜승강구동수단(230)의 모터(231)가 구동하여 벨트구동체(233)를 통해 스크루(237)의 회전작동을 이룬다.
그러면, 너트(241)를 통해 상기 스크루(237)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제1승강이동플레이트(242)가 스크루(237)를 따라 하강하여 납땜승강부(240)의 하강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납땜승강부(240)에는 납땜설치플레이트(210)에 베어링(243)결합되어 있는 승강이동봉(244)이 구성되어 있어 납땜승강부(350)의 안정적인 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하강작동하는 납땜승강부(240)에는 통상의 납땜기(250)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납땜승강부(240)와 납땜기(250)의 하강이 동시에 이루어져 스트립(1)과 상기 스트립(1)의 상하면에 안착배치된 버스바(3)의 납땜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납땜기(250)에는 전후로 정렬된 스트립(1)의 간격 및 개수에 대응되는 가압돌기(25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의 동작만으로 정렬된 스트립(1)과 버스바(3)의 납땜을 모두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납땜기(250)에는 가압돌기(256)의 전방에 가압돌기(256)보다 하측으로 더욱 돌출형성된 추가돌기(256)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납땜이 이루어지지 않는 버스바(3)의 전방 부분을 절곡시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스트립(1)의 하면에 자동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트립(1)의 하면에 버스바(3)를 선공급하는 공정을 줄일 수 있어 반복적으로 이어지는 납땜작업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납땜기(250)를 통한 납땜시에는 흄과 같은 이물질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납땜기(250)의 양측에 구성된 납땜흡기수단(260)에 의해 이물질을 곧바로 흡기처리할 수 있어 이물질에 의한 불편함이나 불량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솔더링장치(200)를 통해 스트립(1)이 버스바(3)로 납땜처리되면, 스트립 전후 이동장치(400)가 작동하여 버스바(3)로 납땜된 스트립(1)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작동을 도 36 내지 도 4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스바(3)로 납땜된 스트립(1)을 후방으로 운반하기 위해, 이동승강구동수단(420)에 구성된 모터(424)가 작동하면, 상기 모터(424)의 축(425)에 나사결합된 너트(426) 및 제1이동리니어베어링(422)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작동대(427)가 전방으로 이동되게 되어 이동경사대(428)에 롤러(431)로 안착되어 있는 이동승강부(430)가 이동승강구동수단(420)에 베어링(423)결합되어 있는 이동승강가이더(435)의 안내를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하강작동하게 되며, 상기 이동승강부(430)의 하강작동에 따라 이동승강부(430)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 및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승강그립퍼(450)가 하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에 구성된 이동스트립받침구(448)가 솔더링장치(200)에 안착되어 있는 스트립(1) 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이동승강그립퍼(450)에 구성된 스트립고정구(457)가 솔더링장치(200)에 안착되어 있는 스트립(1) 보다 상측에 위치한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승강부(430)와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과 이동승강그립퍼(450)의 하강작동은 스트립(1)을 받쳐 들어올리기 위한 사전 준비작동으로 스트립(1)의 하측으로 배치될 정도로만 소폭으로 하강이동되면 족하다.
그 후에는, 도 36 내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에 구성된 모터(442)가 작동하여 상기 모터(442)의 축(442a)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너트(443) 및 상기 너트(443)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전후작동부(449)의 이동전후받침플레이트(445)가 전진운동하는 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이동전후받침플레이트(445)의 전진 이동은 이동승강부(430)와 결합된 제2이동리니어베어링(441)을 통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이동전후작동부(449)의 전진이동에 따라 솔더링장치(200)에 안착되어 있는 스트립(1)이 이동전후작동부(499)의 전방에 구성된 이동스트립받침구(448)와 이동승강그립퍼(450)의 전방에 구성된 스트립고정구(457)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솔더링장치(200)에 안착된 스트립(1)이 이동스트립받침구(448)와 스트립고정구(457) 사이에 배치된 후에는, 도 36, 37,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승강구동수단(420)에 구성된 모터(424)의 구동을 통해 하강이동되었던 이동승강부(430)와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 및 이동승강그립퍼(450)의 상승이동이 이루어져 솔더링장치(200)에 안착되어 있던 스트립(1)이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의 이동스트립받침구(448)에 의해 받쳐지게 됨과 동시에, 이동승강그립퍼(450)의 하강작동이 이루어져 이동스트립받침구(448)에 의해 받쳐져 스트립(1)이 이동승강그립퍼(450)의 전방에 구성된 스트립고정구(457)에 눌리게 되어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승강그립퍼(450)의 하강작동은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에 구성된 이동전후받침플레이트(446)에 로드(454)로 결합된 이동승강실린더(455)의 작동으로 인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동승강실린더(455)가 작동하면, 이동승강실린더(455)와 결합된 이동승강플레이트(453)가 베어링(451)결합된 이동가이드봉(447)을 따라 안정적으로 하강작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이동승강플레이트(453)의 하강작동에 따라 연결브라켓(456)을 통해 이동승강플레이트(453)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스트립고정구(457)가 하강작동하여 스트립(1)의 안정적인 고정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의 이동스트립받침구(448)와 이동승강그립퍼(450)의 스트립고정구(457) 사이에 고정되는 스트립(1)에는 과도한 압력이 가해질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승강그립퍼(450)의 하측에 구성되어 이동승강플레이트(453)의 하강이동시 충격을 흡수하는 이동승강축격방지수단(460)을 통해 소음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솔더링장치(200)에 안착되어 있던 스트립(1)을 이동스트립받침구(448)와 스트립고정구(457)로 안정적인 고정을 이룬 다음에는, 도 36, 37,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승강구동수단(420)에 구성된 모터(424)의 재구동을 통해 스트립(1)을 솔더링장치(200)에서 들어올리는 상승운동이 일어난다.
또한, 도 36, 37,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에 구성된 모터(442)가 작동하여 전진이동하였던 이동전후작동부(449)가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후진이동이 이루어져 버스바(3)로 납땜이 완료된 스트립(1)의 후진이동을 완료된다.
그리고, 도 36, 37,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승강구동수단(420)의 모터(424)의 구동을 통해 이동승강부(430)와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과 이동승강그립퍼(450)의 하강이동이 이루어져 이동스트립받침구(448)와 스트립고정구(457) 사이에 고정되어 있던 스트립(1)이 고정받침수단(410)의 받침대(411)에 안착되며, 이후, 도 36, 37,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이동승강그립퍼(450)의 이동승강실린더(455)의 작동으로 스트립고정구(457)가 상승이동함으로써, 스트립(1)의 고정이 해제되어 본 발명의 스트립전후이동장치(400)가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여기서, 전술한 동작은 솔더링장치(200)에서 다수의 스트립(1)을 3개의 버스바(3)로 납땜한 1개의 스트립뭉치를 후진 이동시키는 동작을 자세히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을 통하면, 납땜이 완료된 스트립뭉치를 반복적으로 후진이동시키는 작동이 연속반복적으로 이루어져 다수의 스트립뭉치를 버스바(3)를 통해 하나의 스트립스트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버스바(3)를 통해 다수의 스트립뭉치를 일정 길이로 납땜 연결하여 고정받침수단(410)으로 이동시킨 후에는, 납땜검사장치(470)의 리니어모터(473)의 작동으로 전진이동하면서 스트립(1)과 일측의 버스바(3)의 납땜불량 검사를 이룬 다음, 납땜검사를 이루는 납땜검사부(477)를 이동연결설치대(475)의 타측으로 옮겨 후진이동하면서 스트립(1)과 타측의 버스바(3)의 납땜불량 검사를 이룸으로써 납땜의 불량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납땜검사장치(470)를 통해 스트립(1)과 버스바(3)의 납땜검사가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납땜검사장치(470)에 구성된 실린더(479a)의 작동으로 브러쉬가 하강작동하므로, 납땜검사장치(470)의 전후작동에 따라 스트립(1)과 버스바(3)에 묻어 있는 이물질의 제거를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버스바(3)와 다수의 스트립(1)뭉치가 서로 납땜연결된 스트립스트링을 스트립전후이동장치(400)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시켜 납땜검사를 이룬 후에는, 하역장치(500)를 통해 스트립스트링을 안전하게 수납보관하는 작동이 수행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하역피커수단(510)의 하역좌우이동부(513)가 하역좌우이동레일부(511)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하역그립퍼부(520)가 하역보드저장공급수단(550)에 대응되는 상측으로 이동되는 작동이 이루어진 후, 하역승강부(515)에 구성된 하역승강모터(515a)의 구동에 따라 하역승강몸체(515e)가 하역승강레일(515d)을 따라 하강작동하는 작동이 이루어져, 하역그립퍼부(520)에 구성된 하역흡착부(523)가 하역보드저장공급수단(550)의 공급케이스(530)에 수납저장되어 있는 보드(501)에 밀착된다.
그 후에는, 진공흡기장치(미도시)를 통한 하역흡착부(523)의 진공흡입에 의해 보드(501)의 하역그립퍼부(520)에 흡착고정이 이루어진 다음, 하역승강부(515)의 상승작동이 이루어져 보드(501)의 운반작업이 시작되는데, 상기와 같이 공급케이스(530)의 최상측에 수납저장된 보드(501)가 하역그립퍼부(520)로 운반되면, 상기 하역보드저장공급수단(550)에 구성된 제1하역승강작동부(540)가 자동 상승작동하여 공급케이스(530)의 최상측에 수납저장되는 보드(501)가 센서(533)와 동일 높이로 위치되게 되며, 이와 같은 작동을 통해 공급케이스(530) 내부에 보드(501)가 수납저장되어 있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역승강부(515)의 상승작동이 완료되면, 하역좌우이동부(513)의 연속적인 작동으로, 하역그립퍼부(520)가 하역수납보관수단(590)에 대응되는 상측으로 이동되는 작동이 이루어진 다음, 하역승강부(515)의 구동에 따라 하역그립퍼부(520)가 하강작동하여 하역수납보관수단(590)의 개폐판부(570)에 보드(501)가 안착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하역수납보관수단(590)의 개폐판부(570)에 보드(501)를 안착시킨 후에는, 하역승강부(515)의 상승작동과 하역좌우이동부(513)의 좌우이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하역그립퍼부(520)가 스트립전후이동장치(400)에 대응되는 상측으로 이동되는 작동이 이루어진 다음, 하역승강부(515)의 구동에 따라 하역그립퍼부(520)가 하강작동하여 스트립전후이동장치(400)에 안착되어진 스트립스트링이 하역그립퍼부(520)에 구성된 거치대(527b)의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역승강부(515)의 하강작동에 따라 스트립스트링이 거치대(527b) 사이에 배치되면, 하역거치고정부(525)에 구성된 그립퍼실린더(528)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여 그립퍼설치대(527)에 설치된 레일(526a)을 따라 브라켓(527a)을 이동시키는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브라켓(527a)의 이동에 따라 거치대(527b)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상기 거치대(527b)가 스트립스트링의 하측에 배치된다.
하역피커수단(510)을 통한 스트립스트링 거치준비가 완료되면, 하역승강부(515)의 상승작동과 하역좌우이동부(513)의 좌우이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하역그립퍼부(520)가 하역수납보관수단(590)에 대응되는 상측으로 이동되는 작동이 이루어진 다음, 하역승강부(515)의 구동에 따라 하역그립퍼부(520)가 하강작동하고, 하역그립퍼부(520)의 하강작동이 완료되면, 그립퍼실린더(528)의 작동으로 거치대(527b)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하역거치고정부(525)에 거치 되어 있던 스트립스트링이 하역수납보관수단(590)의 개폐판부(570)에 안착된 보드(501)의 상면에 놓이게 된다.
여기서, 개폐판부(501)에 안착되는 스트립스트링은 다수로 설치된 하역거치고정부(525)의 순차적인 작동에 따라 보드(501)의 상면에 단계적으로 안착되므로, 스트립스트링의 스트립(1)과 버스바(3)가 납땜된 부분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며, 그립퍼실린더(528)의 작동을 통한 거치대(527b)의 이동은 하역피커수단(510)의 하강작동시 보드(501)에 걸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개폐판부(570)에 안착된 보드(501)의 외측까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스트립스트링이 보드(501)에 안착된 다음에는, 하역승강부(515)의 하강작동이 더 이루어짐과 동시에, 진공흡기장치가 재작동하여 하역흡착부(523)를 통한 보드(501)의 흡착이 이루어지며, 이 후, 하역승강부(515)의 상승작동이 이루어져 하역그립퍼부(520)가 하역수납보관수단(590)에서 살짝 이격된다.
그리고, 실린더(571)의 작동을 통해 하역수납보관수단(590)의 수납케이스(560)에 리니어베어링(573) 결합된 개폐판부(570)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작동이 수행되어 수납케이스(560)의 상부 개구가 개방되는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 후, 제2하역승강작동부(580)의 제2승강봉(588)이 수납거치대(569)의 관통홀(567)을 통해 자동 상승작동하여 개폐판부(570)의 센서(567)에 위치한 부분까지 위치되면, 진공흡기장치의 작동이 정지되어 하역흡착부(523)에 흡착고정되어 있던 보드(501)가 제2하역승강작동부(580)의 제2승강봉(588) 상부에 안착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 후에는, 제2하역승강작동부(580)에 구성된 제2승강봉(588)의 하강작동에 따라 스트립스트링이 놓여 있는 보드(501)가 수납케이스(560)의 수납거치대(569)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실린더(571)의 작동으로 외측으로 벌어졌던 개폐판부(570)가 내측으로 모아지게 되어 초기상태로의 복귀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작동을 연속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태양광 셀을 제작하는 시스템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저렴한 가격으로 파손이나 불량 없는 태양광 셀의 제작을 신속히 이룰 수 있다.
1 : 스트립 3 : 버스바 9 : 이동배치장치
10 : 선설치받침부 11 : 제1관통홀 13 : 받침판 15 : 지지대
20 : 선안착부 21 : 제2관통홀 23 : 흡착홀
30 : 선흡기고정부 33 : 흡기홀
40 : 선가이드부
50 : 선승강이동정렬부 51 : 베어링 53 : 승강이동판 54 : 제1고정부 55 : 승강지지대 56 : 제1결합부 57 : 승강설치대 57a : 제2고정부
60 : 선승강이동정렬부 61 : 고정판 63 : 모터 65 : 베어링 67 : 승강너트 69 : 고정결합체
70 : 선검사장치 71 : 브라켓
80 : 선회수교체장치 81 : 가이드레일 82 : 모터 82a : 나사축 83 : 전후이동체 83a : 너트 84 : 제1브라켓 85 : 스트립회수수단 85a : 제1승강실린더 85b : 회수부 85c : 흡기구 85d : 연결구 85e : 차단판 85f : 수납박스 86 : 제2브라켓 87 : 스트립교체수단 87a : 제2승강실린더 87b : 교체부 87c : 흡착교체구
90 : 선공급장치 91 : 고정대 91a : 센서 92 : 설치고정판 93 : 고정판재 93a : 베어링 94 : 모터 94a : 축 95 : 고정구동부 96 : 승강부재 96a : 너트 97 : 스트립보관부 98 : 베어링 99 : 가이드봉
100a : 선검사교체장치
100 : 스트립선정렬장치
110 : 납땜설치대 111 : 관통홀 113, 115 : 제1, 2흡기홀 116 : 통과홀 117 : 설치판 118 : 설치브라켓
120 : 납땜버스바고정대 121 : 이탈방지돌부 123 : 제1흡착홀
130 : 납땜스트립고정대 135 : 제2흡착홀
140 : 납땜승강수단 141 : 승강실린더 142 : 로드 143 : 승강플레이트 144 : 고정브라켓 145 : 베어링 146 : 승강가이더 147 : 스트립승강대 148 : 승강브라켓
150 : 납땜전후이동수단 151 : 전후이동모터 153 : 축 155 : 너트
160 : 납땜피치결정부 161 : 이동브라켓 163 : 전후이동플레이트 164 : 피치이동플레이트 165 : 연결구 166 : 피치결정홈 167 : 피치결정플레이트
170 : 납땜피치결정이동부 171 : 피치이동모터 172 : 베어링 173 : 피치이동축 175 : 피치이동너트
180 : 납땜전후이동부 181 : 롤러 183 : 전후이동바 184 : 조절돌부 185 : 조절이동구
190 : 정렬수단
200 : 솔더링장치
210 : 납땜설치플레이트 211 : 제1설치브라켓 213 : 관통홀
220 : 납땜고정플레이트 221 : 제2설치브라켓
230 : 납땜승강구동수단 231 : 모터 233 : 밸트구동체 235 : 베어링 237 : 스크루
240 : 납땜승강부 241 : 너트 242 : 제1승강이동플레이트 243 : 베어링 244 : 승강이동봉 245 : 제2승강이동플레이트
250 : 납땜기 251 : 예열부 252 : 가열봉 253 : 설치프레임 255 : 납땜부 256 : 가압돌기 257 : 추가돌기
260 : 납땜흡기수단 261 : 진공흡입구 262, 264 : 제1, 2밀폐케이스 263 : 연결관 265 : 주름관 267 : 진공장치
270 : 납땜고정수단 271 : 모터 272 : 모터축 273 : 밸트구동체 274 : 축 275 : 고정구 276 : 회전고정부 278 : 충격흡수기
280 : 납땜수단
300 : 버스바공급장치 310 : 릴부
320 : 롤러부 321, 322 : 제1, 2롤러부
330 : 플럭스도포부 331 : 플럭스저장기 332 : 플럭스공급기 333 : 붓 334 : 플럭스받침대
340 : 드라이터널 350 : 버스바이동부
360 : 버스바컷팅부 361 : 실린더 363 : 컷팅날
370 : 버스바인장수단 371 : 실린더 372 : 리니어베어링 373 : 이동인장몸체 375 : 고정인장몸체 373a, 375a : 실린더 373b, 375b : 가압구 373c, 375c : 스프링
400 : 스트립전후이동장치
410 : 고정받침수단 411 : 받침대 413 : 지지브라켓
420 : 이동승강구동수단 421 : 이동고정플레이트 422 : 제1이동베어링 423 : 베어링 424 : 모터 425 : 축 426 : 너트 427 : 이동작동대 428 : 이동경사대
430 : 이동승강부 431 : 롤러 433 : 이동안착부 435 : 이동승강가이더
440 : 이동스트립운반수단 441 : 제2이동리니어베어링 442 : 모터 422a : 축 443 : 너트 445 : 이동전후구동수단 446 : 이동전후받침플레이트 447 : 이동가이드봉 448 : 이동스트립받침구 449 : 이동전후작동부
450 : 이동승강그립퍼 451 : 베어링 452 : 관통홀 453 : 이동승강플레이트 454 : 로드 455 : 이동승강실린더 456 : 연결브라켓 457 : 스트립고정구
460 : 이동승강충격방지장치 461 : 이동고정플레이트 463 : 완충부
470 : 납땜검사장치 471 : 레일 473 : 리니어모터 475 : 이동연결설치대 477 : 납땜검사부 479 : 브러쉬 479a : 실린더
500 : 하역 장치 501 : 보드
510 : 하역피커수단 511 : 하역좌우레일부 513 : 하역좌우이동부 515 : 하역승강부 515a : 하역승강모터 515b : 하역구동축 515c: 하역너트 515d : 하역승강레일 515e : 하역승강몸체
520 : 하역그립퍼부 521 : 하역고정몸체 523 : 하역흡착부 524 : 스프링 525 : 하역거치고정부 526 : 그립퍼설치대 526a : 레일 526b : 밸트풀리 527 : 그립퍼거치대 527a : 브라켓 527b : 거치대 528 : 그립퍼실린더 529 : 로드
530 : 공급케이스 531 : 턱 533 : 센서 535 : 개폐덮개
540 : 제1하역승강작동부 541 : 제1고정봉 542 : 제1하역고정플레이트 543 : 모터 544 : 밸트풀리 545 : 제1하역회전축 546 : 제1하역회전구동부 547 : 제1하역승강플레이트 547a : 너트 548 : 제1승강봉 548a : 베어링 549 : 제1하역이동부 549a : 밸트풀리
550 : 하역보드저장공급수단
560 : 수납케이스 561 : 턱 563 : 개폐덮개 565 : 케이스 565a : 센서 567 : 관통홀 569 : 수납거치대
570 : 개폐판부 571 : 실린더 573 : 리니어베어링 575 : 보드안착홈 577, 579 : 센서
580 : 제2하역승강작동부 581 : 제2고정봉 582 : 제2하역고정플레이트 583 : 모터 584 : 밸트풀리 585 : 제2하역회전축 586 : 제2하역회전구동부 587 : 제2하역승강플레이트 587a : 너트 588 : 제2승강봉 588a : 베어링 589 : 제2하역이동부 589a : 밸트풀리
590 : 하역수납보관수단
1000 :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

Claims (8)

  1.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스트립(1)을 흡기 이동시키는 이동배치장치(9);
    상기 이동배치장치(9)를 통해 스트립을 공급받아 예비정렬시키는 스트립선정렬장치(100);
    상기 스트립선정렬장치(100)로 공급된 스트립(1)을 검사하여 불량 스트립을 교체하는 선검사교체장치(100a);
    상기 이동배치장치(9)를 통해 스트립선정렬장치(100)에서 정렬된 스트립(1)을 공급받아 정렬 및 납땜하는 솔더링장치(200);
    상기 솔더링장치(200)로 공급된 스트립(1)의 상,하부로 버스바(3)를 공급하는 버스바공급장치(300);
    상기 솔더링장치(200)를 통해 버스바(3)로 납땜된 스트립(1)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스트립전후이동장치(400);
    상기 스트립전후이동장치(400)의 상측에 구성되어 스트립(1)의 납땜 불량을 검사하는 납땜검사장치(470);
    상기 납땜검사장치(470)를 통과한 스트립(1)을 이동시켜 수납보관하는 하역장치(50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선정렬장치(100)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1관통홀(11)을 형성한 받침판(13)과, 상기 받침판(13)을 지지하는 지지대(15)로 구성된 선설치받침부(10);
    상기 선설치받침부(10)의 받침판(13) 상측으로 이격설치되되, 양측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2관통홀(21)을 형성하고, 상기 제2관통홀(21)의 사이에는 흡착홀(23)이 다수로 관통형성된 선안착부(20);
    상기 선안착부(20)의 흡착홀(23)에 대응되는 흡기홀(33)을 관통형성하여 선안착부(20)의 하면에 밀착설치되며, 선안착부(20)에 배치된 스트립(1)을 선안착부(20)에 흡착시키는 선흡기고정부(30);
    하부가 선설치받침부(10)의 받침판(13) 상면에 결합되고, 상부가 선안착부(20)의 하면에 결합되는 선가이드부(40);
    상기 선가이드부(40)에 베어링(51)결합되어 선흡기고정부(30)의 상측에 배치되며, 선안착부(20)에 배치된 스트립(1)을 정렬시키는 선승강이동정렬부(50);
    상기 선설치받침부(10)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선승강이동정렬부(50)에 결합되어 선승강이동정렬부(50)를 선가이드부(40)를 따라 승강 작동시키는 선승강구동부(6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검사교체장치(100a)는,
    스트립선정렬장치(100)에 안착 배치된 스트립(1)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선검사장치(70);
    상기 선검사장치(70)를 통해 불량확인된 불량 스트립(1)을 회수 및 교체하는 선회수교체장치(80);
    상기 선회수교체장치(80)의 후방에 설치되어 교체할 스트립(1)을 수납공급하는 선공급장치(9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링장치(200)는,
    다수의 스트립(1)과 버스바(3)를 공급받아 정렬시키는 정렬수단(190);
    상기 정렬수단(190)의 상측으로 이격설치되어 정렬수단(190)에 안착된 다수의 스트립(1)과 상기 스트립(1)의 상,하면에 각각 배치된 버스바(3)를 남땝하는 납땜수단(280);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공급장치(300)는,
    버스바(3)가 감겨진 릴부(310);
    상기 릴부(310)에서 공급되는 버스바(3)의 굴곡을 완화시키는 롤러부(320);
    상기 롤러부(320)를 통과한 버스바(3)의 상,하면에 플럭스를 도포하는 플럭스도포부(330);
    버스바(3)에 도포된 플럭스를 건조시키는 드라이터널(340);
    드라이터널(340)을 통과한 버스바(3)를 솔더링장치(200)로 공급된 스트립(1)의 상,하부로 이동시키는 버스바이동부(350);
    상기 드라이터널(340)과 버스바이동부(350) 사이에 설치되어 버스바(3)를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버스바컷팅부(36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공급장치(300)에는, 롤러부(320)와 버스바컷팅부(360) 사이에 위치되어 버스바(3)를 인장시키는 버스바인장수단(37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전후이동장치(400)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받침수단(410);
    상기 고정받침수단(410)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이동승강구동수단(420);
    상기 이동승강구동수단(4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승강작동하는 이동승강부(430);
    상기 이동승강부(4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전후구동수단(445)과, 이동가이드봉(447)과 이동스트립받침구(448)를 구성하여 상기 이동전후구동수단(445)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전후작동부(449)로 구성된 이동스트립운반수단(440);
    상기 이동전후작동부(449)의 이동가이드봉(447)에 베어링(451)결합되며 중앙에 관통홀(452)을 형성한 이동승강플레이트(453)와, 상기 이동승강플레이트(453)에 고정결합되되 관통홀(452)을 통과하여 이동전후작동부(449)의 하부에 결합되는 로드(454)를 형성한 이동승강실린더(455)와, 연결브라켓(456)을 통해 상기 이동승강플레이트(453)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전후작동부(449)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트립고정구(457)로 구성된 이동승강그립퍼(45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장치(500)는,
    스트립전후이동장치(40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역좌우레일부(511)와, 상기 하역좌우레일부에 결합되는 하역좌우이동부(513)와, 상기 하역좌우이동부(513)에 결합되어 승강작동하는 하역승강부(515)와, 상기 하역승강부(515)에 결합되어 하역그립퍼부(520)로 구성된 하역피커수단(510);
    상기 하역피커수단(510)의 하측의 설치구성되되, 상, 하측에 개구를 형성하며 내측에는 보드(501)를 수납저장하기 위한 턱(531)이 구성된 공급케이스(530)와, 상기 공급케이스(530)의 하측에 설치되어 공급케이스(530)에 수납저장된 보드(501)를 하역피커수단(510)의 하역그립퍼부(520)로 승강공급하는 제1하역승강작동부(540)로 구성된 하역보드저장공급수단(550);
    상기 하역피커수단(510)의 하측에 설치구성되되, 상,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내부에 스트립(1)이 안착된 보드(501)를 수납저장하는 수납케이스(560)와, 상기 수납케이스(560)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납케이스(560)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부(570)와, 상기 수납케이스(560)의 하측에 설치되어 스트립(1)이 안착된 보드(501)를 승강시키는 제2하역승강작동부(580)로 구성된 하역수납보관수단(590);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
KR1020130050631A 2013-05-06 2013-05-06 태양광 셀 제작 시스템 KR101305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631A KR101305008B1 (ko) 2013-05-06 2013-05-06 태양광 셀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631A KR101305008B1 (ko) 2013-05-06 2013-05-06 태양광 셀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008B1 true KR101305008B1 (ko) 2013-09-09

Family

ID=4945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631A KR101305008B1 (ko) 2013-05-06 2013-05-06 태양광 셀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008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992A (ko) * 2014-09-30 2016-04-08 주식회사 제우스 태빙장치
KR20160038993A (ko) * 2014-09-30 2016-04-08 주식회사 제우스 다중 기판 처리 장치
KR101656344B1 (ko) * 2016-03-16 2016-09-12 제너셈(주) 스트링거
WO2017034327A1 (ko) * 2015-08-26 2017-03-02 주식회사 제우스 태빙 장치의 플럭스 도포 장치
CN107658412A (zh) * 2017-09-14 2018-02-02 浙江谷神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集流盘自动焊接装置及其工艺
CN108376727A (zh) * 2018-02-07 2018-08-07 无锡奥特维科技股份有限公司 焊带搬运装置和焊带搬运方法
CN108565230A (zh) * 2018-04-17 2018-09-21 无锡市精电技术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片排版贴胶带装置
CN108599715A (zh) * 2018-06-22 2018-09-28 君泰创新(北京)科技有限公司 汇流带引出机构和汇流带铺设装置
CN109277716A (zh) * 2018-11-20 2019-01-29 无锡市正罡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汇流带供应、调距、焊接一体装置
WO2019107589A1 (ko) * 2017-11-29 2019-06-06 주식회사 씨엔아이 박형 실리콘 태양전지모듈용 리본 솔더링 장치
CN110335842A (zh) * 2019-07-15 2019-10-15 河北羿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太阳能电池串汇流条拉取转向装置
CN110508956A (zh) * 2019-09-04 2019-11-29 苏州德睿联自动化科技有限公司 叠瓦板汇流条焊接设备及方法
KR102321182B1 (ko) * 2021-05-28 2021-11-03 주식회사 메이스 태양광 패널 태빙기용 플럭스 제공장치
CN117330575A (zh) * 2023-11-01 2024-01-02 融韵光电科技(苏州)有限公司 接线盒汇流条焊接不良检测设备
CN117438501A (zh) * 2023-11-09 2024-01-23 薛城区质量计量检测中心 一种太阳能电池片检测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188A (ja) 2000-07-03 2002-01-23 Rinnai Corp グリル
KR20100127618A (ko) * 2009-05-26 2010-12-06 주식회사 에이디디 태양전지의 리본 접합창지
KR101134085B1 (ko) 2012-02-08 2012-04-13 한성웰텍 (주) 태양전지모듈의 전작업처리 제조공정
KR101142274B1 (ko) 2010-11-18 2012-05-07 주식회사 톱텍 리본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188A (ja) 2000-07-03 2002-01-23 Rinnai Corp グリル
KR20100127618A (ko) * 2009-05-26 2010-12-06 주식회사 에이디디 태양전지의 리본 접합창지
KR101142274B1 (ko) 2010-11-18 2012-05-07 주식회사 톱텍 리본 정렬장치
KR101134085B1 (ko) 2012-02-08 2012-04-13 한성웰텍 (주) 태양전지모듈의 전작업처리 제조공정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8992A (ko) * 2014-09-30 2016-04-08 주식회사 제우스 태빙장치
KR20160038993A (ko) * 2014-09-30 2016-04-08 주식회사 제우스 다중 기판 처리 장치
KR102187624B1 (ko) * 2014-09-30 2020-12-08 주식회사 제우스 태빙장치
KR102164037B1 (ko) * 2014-09-30 2020-10-13 주식회사 제우스 다중 기판 처리 장치
WO2017034327A1 (ko) * 2015-08-26 2017-03-02 주식회사 제우스 태빙 장치의 플럭스 도포 장치
TWI622449B (zh) * 2015-08-26 2018-05-01 杰宜斯科技有限公司 搭接裝置的焊劑塗布裝置
KR101656344B1 (ko) * 2016-03-16 2016-09-12 제너셈(주) 스트링거
CN107658412A (zh) * 2017-09-14 2018-02-02 浙江谷神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集流盘自动焊接装置及其工艺
WO2019107589A1 (ko) * 2017-11-29 2019-06-06 주식회사 씨엔아이 박형 실리콘 태양전지모듈용 리본 솔더링 장치
CN108376727A (zh) * 2018-02-07 2018-08-07 无锡奥特维科技股份有限公司 焊带搬运装置和焊带搬运方法
CN108376727B (zh) * 2018-02-07 2024-03-01 无锡奥特维科技股份有限公司 焊带搬运装置和焊带搬运方法
CN108565230A (zh) * 2018-04-17 2018-09-21 无锡市精电技术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片排版贴胶带装置
CN108565230B (zh) * 2018-04-17 2024-03-29 无锡市精电技术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片排版贴胶带装置
CN108599715A (zh) * 2018-06-22 2018-09-28 君泰创新(北京)科技有限公司 汇流带引出机构和汇流带铺设装置
CN109277716A (zh) * 2018-11-20 2019-01-29 无锡市正罡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汇流带供应、调距、焊接一体装置
CN109277716B (zh) * 2018-11-20 2024-04-23 无锡市正罡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汇流带供应、调距、焊接一体装置
CN110335842A (zh) * 2019-07-15 2019-10-15 河北羿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太阳能电池串汇流条拉取转向装置
CN110335842B (zh) * 2019-07-15 2024-05-10 河北羿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太阳能电池串汇流条拉取转向装置
CN110508956A (zh) * 2019-09-04 2019-11-29 苏州德睿联自动化科技有限公司 叠瓦板汇流条焊接设备及方法
CN110508956B (zh) * 2019-09-04 2024-02-06 苏州德睿联自动化科技有限公司 叠瓦板汇流条焊接设备及方法
KR102321182B1 (ko) * 2021-05-28 2021-11-03 주식회사 메이스 태양광 패널 태빙기용 플럭스 제공장치
CN117330575A (zh) * 2023-11-01 2024-01-02 融韵光电科技(苏州)有限公司 接线盒汇流条焊接不良检测设备
CN117438501B (zh) * 2023-11-09 2024-03-29 薛城区质量计量检测中心 一种太阳能电池片检测装置及方法
CN117438501A (zh) * 2023-11-09 2024-01-23 薛城区质量计量检测中心 一种太阳能电池片检测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008B1 (ko) 태양광 셀 제작 시스템
CN107768725B (zh) 一种电芯保持架安装设备
KR101656354B1 (ko) 태양광 셀 제작시스템
CN205790905U (zh) 一种自动穿线理线生产线
CN107570869A (zh) 一种电池顶盖自动焊接设备
CN215118923U (zh) 一种电池片摆放机构
CN111682233B (zh) 电池模组pack生产线及电池模组
CN111146310A (zh) 一种叠瓦电池串生产设备
CN108481002A (zh) 锂电池极耳检验机
CN110596143A (zh) 方形铝壳电池外观检测装置及其方法
KR20080019526A (ko) 반도체 패키지 위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13787008A (zh) 一种新能源电池板合格检测装置
CN1774167A (zh) 元件安装机的带进料器和用带进料器自动设定带的初始位置的方法
CN108695540A (zh) 锂电池极耳自动装配机
CN108637502A (zh) 一种锂电池极耳装配机
CN214150485U (zh) 一体化检测设备
KR101601614B1 (ko) 반도체 소자 외관 검사장치
CN218416321U (zh) 一种电池片iv检测装置
KR101341394B1 (ko) 솔더링 장치
KR102044930B1 (ko) 셀 이송장치
CN212517145U (zh) 一种电池串搬运装置及电池片串焊设备
CN210281136U (zh) 端引线焊接机
CN108526040A (zh) 全自动锂电池分选机
CN115007472A (zh) 手机前盖外观检测机
CN211179577U (zh) 方形铝壳电池外观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